로타리형 침대

申请号 KR1019940700112 申请日 1992-05-22 公开(公告)号 KR1019970008651B1 公开(公告)日 1997-05-28
申请人 이우라 다다시; 发明人 이우라다다시;
摘要 내용없음
权利要求
  • 적어도 전단측에 전층립(3)이 취부되어져 있고, 상면에 재치(載置)된 고정의 침대후레임(1)의 전후 중간부분에 상하방향의 축심의 둘레에 회동자재(回動自在)한 로타리 침대틀(6)을 설치하고, 이 로타리 침대틀(6)에 적어도 배수부(23b)와 요퇴수부(23c)와 각수부(23d)가 구분되어 굴절이 자재롭게 설계된 매트(32)를 담당하는 가동매트 지지체(23)을 장착하고, 전기한 고정의 침대후레임(1)의 후단측에는 족수부용 매트(42)를 담당하는 족수매트 지지체(41)을 설치하고, 전기한 로타리 침대틀쪽에 정,역회전 조작이 가능한 모타(10)과 그 모타(10)로 감속회전되는 나사축(12)에 나합된 나사통(13)을 장착하고, 이 나사통(13)과 전기한 고정의 침대후레임(1)측과의 사이에 당해 나사통(13)의 이동에 관하여 로타리 침대틀(6)을 대략 90도 강제 회동시키는 회동기구(A)와, 나사� �(13)의 이동에 관하여 전기한 배수부(23b)와 요퇴수부(23c)와 각수부(23d)가 굴절작동하도록 하는 운동기구(B)를 개장(介裝)하고, 전기한 로타리 침대틀(6)의 회동개시에 앞서서 배수부(23b)가 일어나는 것과 동시에 각수부(23d)가 족수부용의 매트(42)에 충돌하지 않고 들어 올려지도록 하는 운동구성과 함께, 전기한 침대후레임(1)의 적어도 앞측부분의 좌우횡폭을 걸어서 넘는 것이 가능한 협폭(L)으로 설치되어진 로타리형 침대.
  • 说明书全文

    로타리형 침대

    제1도는 일부 간략화한 측면도이다.

    제2도는 간략화한 평면도이다.

    제3도는 요부의 평면도이다.

    제4도는 요부의 측면도이다.

    제5도는 요부의 정면도이다.

    제6도는 요부의 평면도이다.

    제7도는 요부의 측면도이다.

    제8도는 제7도의 평면도이다.

    제9도는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요부의 측면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의 평면도이다.

    제11도는 회동기구 A의 작용을 설명하는 요부의 평면도이다.

    제12도는 회동기구 A의 작용을 설명하는 요부의 평면도이다.

    제13도는 회동기구 A의 작용을 설명하는 요부의 평면도이다.

    제14도는 회동기구 A의 작용을 요부의 평면도이다.

    제15도는 회동기구 A의 작용을 설명하는 요부의 평면도이다.

    제16도는 가동매트 지지체 23의 작동기구를 설명하는 요부의 설명도이다.

    제17도는 가동매트 지지체 23의 작동기구를 설명하는 요부의 설명도이다.

    제18도는 가동매트 지지체 23의 작동기구를 설명하는 요부의 설명도이다.

    제19도는 가동매트 지지체 23의 작동기구를 설명하는 요부의 설명도이다.

    제20도는 가동매트 지지체 23의 작동기구를 설명하는 요부의 설명도이다.

    제21도는 가동매트 지지체 23의 작동기구를 설명하는 요부의 설명도이다.

    제22도는 로타리침대의 전체적인 동작의 요점을 나타낸 설명용의 측면도이다.

    제23도는 로타리침대의 전체적인 동작의 요점을 나타낸 설명용의 측면도이다.

    제24도는 로타리침대의 전체적인 동작의 요점을 나타낸 설명용의 측면도이다.

    제25도는 로타리침대의 전체적인 동작의 요점을 나타낸 설명용의 평면도이다.

    제26도는 로타리침대의 전체적인 동작의 요점을 나타낸 설명용의 평면도이다.

    제27도는 로타리침대의 전체적인 동작의 요점을 나타낸 설명용의 측면도이다.

    제28도는 침대후레임의 분할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9도는 침대후레임의 착탈작용을 설명하는 요부의 측면도이다.

    제30도는 침대후레임의 착탈작용을 설명하는 요부의 측면도이다.

    제31도는 침대후레임의 착탈작용을 설명하는 요부의 측면도이다.

    제32도는 침대후레임의 착탈작용을 설명하는 요부의 측면도이다.

    제33도는 난간의 취부를 설명하는 요부의 측면도이다.

    제34도는 난간의 빠짐방지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주로 신체장애자나 노인이 사용하는 회동식(回動式)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후로 각각 충립(衡立)이 취부(取付)된 고정의 침대후레임의 전,후 및 중간 부분에 상하방향의 축심(軸心)의 둘레에 회동자재(回動自在)한 로타리 침대를 설치하고, 이 로타리 침대틀에 적어도 배수부(背受部)와 요퇴수부(腰腿受部)와 각수부(脚受部)가 구별되어져 굴절이 자재하도록 설치된 매트를 담당하는 가동매트 지지체를 장착하고, 이 로타리 침대들을 대략 90도 회동시켜 누워있는 사람이 층립으로 인해 방해받지 않고 침대후레임의 횡축 방향에서 내려올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누운자세에서 의자 걸침자세가 되도록 배수부가 기립함과 아울러 각수부가 하방으로 내려 앉도록 구동기구를 구성한 로타리형 침대가 본원 발명자에 의해 제조 시판되었다.

    그런데, 이 종래형의 로타리형 침대는 마루면(床面)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침대후레임의 좌우횡전폭(左右橫全幅)이 매트폭과 동일한 정도로 넓게 구성되어 있고, 로타리 침대틀을 회동시키기 앞서서 배수부를 기립작동시켜 안락의자 걸침자세로 하여도 시중자(介添者)가 침대후레임 위로 일어서지 않으면 층립과 기립자세의 배수부와의 사이로 들어가는 것이 불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종래형의 로타리형 침대로는 시중자가 앞쪽의 충립과 기립상태로 된 배수부와의 사이에 마루면에 서 있는 자세로 들어가서 침대위에 의자걸침 자세로 있는 장애자나 노인의 시중을 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등을 해결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지니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로타리형 침대는 적어도 전단측(前端側)에 전 층립 3이 취부되어 있고, 마루면에 재치(載置)된 고정의 침대후레임 1의 전,후 및 중간부분에 상하 방향의 축심의 둘레에 회동자재한 로타리 침대틀 6을 설치하고, 이 로타리 침대틀 6에 적어도 배수부 23b와 요퇴수부 23c와 각수부 23d가 구분되어 굴절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매트 32를 담당하는 족수(足受)매트 지지체 41을 설치하고, 전기한 로타리 침대틀 쪽으로 감속회전되는 나사축 12에 나합(螺合)된 나사통 13을 정착하고, 이 나사통 13과 전기한 고정의 침대후레임 1과의 사이에 해당 나사통 13의 이동에 관련하여 로타리 침대틀 6을 대략 90도 강제회동하도록 된 회동기구 A와, 나사통 13의 이동에 관련하여 전기한 배수부 23b와 요퇴수부 23c와 각수부 23d가 굴절착동하는 운동기구 B를 개장(介 裝)하고, 전기한 로타리 침대틀 6의 회동개시에 앞서서 배수부 23b가 기립함과 동시에 각수부 23d가 족수부용 매트 42에 충돌하지 않는 모양으로 치켜 올려지는 모양의 연동구성(連動構成)을 함과 동시에, 전기한 침대후레임 1의 적어도 앞측부분의 좌우횡폭을 가능한 협폭(L)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중의 1은측면도에 있어서 전후 중간부가 하방으로 내려간 침대후레임으로, 좌우전폭 L은 사람이 용이하게 걸칠 수 있는 정도의 높이와 횡폭이 20-30cm의 협폭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전단과 후단에는 횡틀 1e 1f가 좌우로 연장되어 있고, 이 좌우양단에 캐스터회동륜 2가 각축 2a를 의지하여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침대후레임 1은 전후레임 1a, 중간후레임 1b 및 후 후레임 1c에 분할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착탈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3은 전층립, 4는 후층립을 표시하고, 전기한 침대후레임 전단 및 후단의 횡틀에 고착되어 있다. 전기한 중간 후레임 1b에는 로타리용 고정틀 5가 취부되어 있다. 이 로타리용 고정틀 5는 외주(外周)의 상, 하에 소정의 간막(イ)을 형성하는 모양의 하틀 5a와 상틀 5b로 구성되어 있다.

    6은 로타리 침대틀로, 전기한 로타리용 고정틀 5의 간막(イ)부에 감합하여 회동하는 판 6a에 고착되어 있다. 7a,7b는 베아링을 형성하게 하는 강구(鋼球)를 나타낸다. 8은 작동기구 지지틀로, 전기한 로타리 침대를 6에 지지각 9,9...로 일체적으로 지지시키며, 평면도가 장방형상으로 틀이 짜여져 있다. 10은 모타로써, 이 모타에는 감속기 11이 일체적으로 짜여져 있고, 또한 정역(正逆)회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감속기가 부착된 모타 10은 전기한 작동 기구지지틀 8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모타 10으로 회전되는 나사축 12는 마찬가지로 작동기구 지지체 8에서 회전이 자유자재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 12a는 마찰 클러치로 일정이상의 부하에 의해 미끄러져 축 12를 정지시키는 안전용의 클러치이다. 13은 나사통으로, 전기한 나사축 12에 나합시켜 이 나사통 13의 전후측에는 좌우에 돌출하는 축 14,14를 설치하고, 여기에 로라 16,16...을 취부하고, 로라 16,16...이 전기한 좌우측의 지지틀 8a,8b상을 굴러가도록 하여 나사통 13이 나사축 12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A는 회동기구로, 전기한 로타리용 고정틀 5의 상틀 5b의 상면(上面)에 좌우측으로 캠구(口), (八)를 지닌 돌기상의 고정캠 15,15를 설치하는 한편, 나사통 13에는 좌우측으로 타고나가는 횡판 17에 핀 18을 삽탈(揷脫) 가능한 구멍 19를 뚫고, 좌우 한쪽 방향의 구멍에 핀 18을 꽂은 상태에서, 모타 10을 회전하여 나사축 12의 회전에 의해서 나사통 13을 모타 10측으로 이동시, 해당핀 18이 캠구(口) 또는 (八)에 개입하여 이 캠구의 평면시에 대한 경사각에 의해 나사통 13측에 좌우한쪽으로 죄어지고, 이 때문에 로타리 침대틀 6이 대략 90도 회동되어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모타 10의 회전은 전기한 횡판 17의 이동으로 스위치 1을 눌러서 로타리 가동틀 6이 90도 회동한 시점에서 정지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자동정지용 스위치 1은 나사통 13측과 작동기구 지지틀 8측과의 사이의 적당위치에 설치되면 되고, 실시예에 의해 한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당연히 모타 10을 역회전하면, 로타리 침대틀 6이 전기한 것과 전혀 반대의 작용으로 90도 역회전 회동하여 원래대로 복귀한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20,21 및 22는 이동 캠체로서, 어느것이나 전기한 나사통 13과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해당 나사통자체 또는 이것에 고착된 부재에 취부되어, 후술하는 배수부, 요퇴수부 혹은 각수부의 굴절작용을 행하는 캠이다. 22은 가동측 매트지지체로서, 두수부(頭受部) 23a, 배수부 23b, 요퇴수부 23c 및 각수부 23d로 구성되고, 전기한 두수부 23a와 배수부 23b는 굴절금구(屈折金具) 24로 상호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요퇴수부 23c와 각수부 23d는 마찬가지로 굴절금구 24로 상호연결되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부 23b와 요퇴수부 23c의 각각의 기단측(基端側)이 전기한 로타리 침대틀 6에 기부(基部)가 고착된역 U자틀 25,25,에 핀 수구(受具) 26, 핀 27을 끼어넣고 회동이 자재롭게 취부되어 있다. 28,28...은 난간 취부용 통체(筒體)로서 로타리 침대틀 6에 4쌍으로 고착되어 있다. 29는 두수부 23a의 작동링로서, 해당두수부 23a에 일체인 아암 30과 전기한 역 U자틀 25의 핀수구 31과의 사이에 로트 31을 개재시켜 배수부 23b가 일어설때에 두수부 23a가 대략 수평상태를 유지시키는 연동부재이다.

    32는 전기한 가동측 매트지지체 23상에 부설한 매트로서, 각 굴절부에 대응한 부분이 굴절을 용이하게 한다. 단, 얇은 매트의 경우에는 매트내부에 홈을 내는 등의 굴절이 용이하도록 구성을 할 필요는 없다. 33은 배수부 23b에 일체인 작동아암으로, 캠 로라 33a가 취부되어 있고, 전기한 이동캠체 20에 당점하여 배수부 23b의 굴절작동을 담당한다. 34는 요퇴수부 23c에 일체인 작동브라켓으로서, 캠로라 34a에 취부되어 있고, 전기한 이동캠체 21에 당접하여 요퇴수부 23c의 굴절작동을 담당한다. 35는 각수부 23d를 굴절작동시키는 작동아암으로, 전기 요퇴수부 23cㅇ에 일체인 작동브라켓 34에 핀 36을 끼워넣어 회동이 자재롭게 추착(樞着)된 브라켓 37에 일체적으로 취부되어 있고, 이 브라켓 37에는 레버 38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레버 38과 전기한 각수부 23d측에 고착되어 있는 레버 39를 로트 40으로 연결하여 해당 작동 아암 35의 작동으로 각 수부 23d가 움직이도록 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작동 아암 35에는 캠로라 35a가 취부되고, 전기한 이동캠체22에 이 캠로라 35a가 당접한 모양으로 되어 있다. 41은 고정침대틀 1의후단측에 설치된 족수매트 지지체로서, 상부에 족수매트 42가 부설되어 있다. 43은 매트가 닳는 일을 방지하는 규제틀을 나타낸다. 44는 수접(手摺)으로, 전기한 수접취부용 통체 28,28에 삽탈이 자재로운 핀을 지닌 고정 수접부 44a와, 고정수접부 44a에 대하여 외측상방으로 향하고 내측내방향으로 회동하여 정지하는 가동수접부 44b로 이루어져 있다.

    SW2는 모타 10의 역회전시의 자동정지를 행하는 스위치로 지지틀 8a에 취부되어 있고 전기한 횡판 17이 모타 10에 멀어져서 매트지지체 23이 거의 수평상태가 될때 정지시키는 것이다. 45는 스위치 조작 박스로, 모타 10에서 자재코드 46으로 연동되고, 이것에는 누워있는 사람이 모타를 자재로이 ON, OFF 및 정회전, 역회전의 선택을 할 수 있는 매뉴얼 스위치 SW3가 설치되어 있다. 60은 시중자 M의 족원측(足元側)을 안정하게 보지하는 가이드로서, 로타리 침대틀 6에 고착되고, 전단측의 평면도에서의 횡폭이 좁아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점 넓게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서, 로타리 침대틀 6의 회동 및 가동축 매트지지체 23의 굴절작동이 관계는 전기회동기구 A와, 각 이동캠체 20,21,22 및 이들의 캠로라 33a,34a,35a등으로 된 굴절작동기구 B로 되어 있으나, 이들의 작동을 담당하는 관계부재의 캠체 및 캠플로워 부재(핀 18, 캠로라 33a,34a,34a)는 다음의 위치관계에 설정된다.

    즉, 모타 10의 역회전으로 나사통 13이 해당모타 10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스위치 SW2가 횡 17에서 눌러져서 OFF되어 정지상태로 될때, 제1도 및 제16도에서 표시한 상태의 기본설정 위치에 각 캡체, 캠플러워 부재가 위치되고, 그후에 모타 10을 정회전하고 나사통 13을 모타 10측으로 이동시킴에 의하여 제17도와 같은 모양으로 배수부 23b가 상방으로 굴절되면 함께 조금씩 요퇴수부 23c가 치켜 들어지고, 각 수부 23d는 요퇴수부 23c에는 추종하지 않고 약간아래로 늘어진 상태로 되며, 그후에 제18도의 상태부터 시작하여 각 수부 23d가 상방으로 제19도 처럼 치켜 들어진다. 때문에, 이 제18도의 상태에서 정지되면, 전층립 3과 가동매트 지지체 23상에 부설된 매트 32의 전단과의 사이에 공극(空隙)M가 제2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되어, 이 사이에 시중자 K가 들어올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침대 후레임 1의 좌우횡폭 L이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후레임 1을 넘어 상면에 일어서는 것이 가능하고, 의자 걸침 상태로 되어 있는 장애자나 노인의 등 쪽에서 간단한 시중작업이 가능하다. 다음에, 이 각수부 23d가 치켜 들어진 상태에서, 비로소 핀 18이 캠구(口) 혹은 (八)에 개입하고 시작하는 제11도의 상태로 되어, 로타리 가동 6이 회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시중자 K가 공극부 M에 위치하여 서 있어도, 베드 32의 회동과 함께 제26도와 같은 모양으로 침대 26을 넘어서 해당 침대후레임 1의 외측으로 어렵지 않게 피하는 것이 가능하여 극히 안전하다. 계속하여 회동중 각수부 23d는 치켜들어진 제19도의 상태와 같이 보지되어, 45도 정도 회동한 시점에서 천천히 요퇴수부 23c 및 각수부 23d가 하방으로 복귀하기 시작하고, 그후에 요퇴수부 23c가 대략 수평상태에 이르러도 각수부 23d는 제21도와 같이 굴절하여 대략 수직상태에 까지 아래로 늘어진다. 이때 로타리 가동틀 6도 스위치 SW1에서 모타 10이 정지되어 그 회동을 정지한다.

    그리고, 다음은 모타 10을 정회전시키면 이 작동과는 전혀 반대의 작용으로 로타리 침대틀 6이 역회전함과 함께 각 매트 지지틀이 원래의 수평상태로 복귀하는 모양으로 각 부재의 관련위치를 설정하였다. 즉, 전기한 각수부 23d의 치켜 올려진 위치는 고정의 매트 42의 상면에서 크게 상방으로 사이가 떨어져 로타리 침대틀 6이 회동할때는 누워있는 사람의 족원(足元)이 매트 42에 닿지 않도록 그 굴절작동의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실시예도 그러한 모양으로 캠을 설정한 것이다.

    작동상태를 상세히 순서를 따라서,설명하면, 모타 10을 정회전하여 나사축 12를 회전시키고, 나사통 13을 모타 10측으로 천천히 이동시키면, 이동 캠체 20의 배면에서 캠로라 33a를 모타 10측으로 누름작동 아암 33을 작동시켜 배수부 23b를 제17도에서 나타낸 모양으로 순서대로 기립시킨다. 또한, 이 작동으로 연이어 캠로라 34a가 이동캠체 21의 경사면으로 올라타도록 요퇴수부 23c를 약간 경동(傾動)시킨다. 그리고 제18도의 상태에 달하면, 이번에는 캠로라 35a가 이동캠 22에 올라타서 제19도에 표시한 것처럼 각수부 23d를 치켜 올린다.

    즉, 누워있는 사람의 자세가 제23도에서 표시한 자세로 된다. 이 시점에 있어서의 나사통 13의 위치는 제12도의 상태 또는 이것에 가까운 상태로 있다. 그리고, 제24도의 자세 그대로, 나사통 13이 제13도를 따라서 제14도의 모양으로 이동한다. 즉, 캠핀 18을 제10도에 있어서 좌측의 구멍 19에 셋트하여 놓으면, 이 핀 18이 캠구(口)에 개입하여 모타 10자체가 맞붙어 있는 작동기구지지틀 8(로타리 침대틀 6)을 제14도, 제15도와 같이 회동시킨다.

    또한, 이 작동과 함께, 족수부 23d는 제19도로 부터 제20도를 걸쳐서 제21도와 같이 작동시키게 된다.

    즉, 누워 있는 사람은 상기 설명한 제24도의 상태에서 제25도의 회동자세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제27도의 자세로 된다. 즉, 이 제24도의 상태에서 시증자 K가 전층립 3과 베드 32의 전단과의 사이에 서서 시증작업을 하고 있고 제25도의 상태에서 예측못하게 회동시키면, 시중자 K는 제26도와 같은 모양으로 고정의 침대후레임 1의 횡외측(橫外側)으로 나갈 수 있지만, 이때 족원측으로 점차로 후측으로 넓어져 가는 가이드 60에 의해 자연적으로 외방으로 밀어내어져 극히 스무스하게 후레임 1의 외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자세로 되면 나사통 13이 모타 10에 가장 접근한 상태로 되어, 스위치 SW1이 횡판 17로 눌러져 OFF되고, 모타 10이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이와같이, 스위치 조작바스 45의 스위치 SW3으로 모타 10을 정회전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누워있는 사람은 등이 기립하고 다리를 펴서 앉은 자세로 되면서 각수부 23d가 치켜 올라가 누워있는 사람의 족선측(足先側)까지도 고정의 매트 42로 부터 부상해버린 상태로 로타리 침대틀 6를 회동하여 해당 족선측이 고정이 매트 42상에서 평면시로 빠지는 위치로 회동하면, 이번에는 해당 각수부 23d가 하방으로 처져서 제27의 상태로 된다.

    따라서, 누워있는 사람은 수접 44의 가동수접부 44b를 내측으로 회동시켜 손으로 어느정도 자신의 체중을 지탱하면서 마루면에 올라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5도의 상태에서 모타 10을 역회전시켜서 나사통 13을 해당모타 10으로부터 점점 멀어져 가는 조작에 의해, 반대로 선 자세의 사람을 간단히 제1도에서 대표되는 기본형인 누워있는 자세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작용은, 전술한 선자세로 하는 경우와 전혀 반대로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침대 후레임 1은 전술한대로 전 후레임 1a, 중간 후레임 1b 및 후 후레임 1c로 분해가능한 탈착식으로 되어 있으나, 그 탈착구조를 설명하면, 제28도의 사시도에서 표시한 분해상태와 같이, 분할부분의 후레임부분을, 저부측(低部側)이 교대로 상방측으로 부터 감합(嵌合) 계지(係止) 가능한 양 후레임에 저(低)계지부 51을 형성하고, 상부측에는 한쪽의 후레임측에 핀 52로 회동가능한 계지로(係止爪) 53을 설치하고, 이것을 용수철 54로 탄지하여 다른쪽의 후레임상측에 위치하는 모양으로 설치하고, 감합계지된 후레임이 예측못하게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으로 부터 계합(係合)된 쪽의 후레임에는 양 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부터 조합시킬 때 해당 계지조 53을 눌러서 후레임 계합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형성된 이치(體)55에 계지조 53이 계합되는 모양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립시에는 간단히 양후레임을 편방(片方)을 약간 높게하여 전후에 접합시켜서 높게한 쪽의 후레임을 접합 동시에 떨어뜨려서 저계지부 51을 계지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한다. 이 접합조립 단계를 제29도~제32도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의 수접 44의 빠짐방지 수단은 제33도와 제34도에 표시해 놓았으나, 난간쪽으로 악(鍔) 56을 후레임측의 자물쇠 조(爪) 57로 상방에서 누르는 용도의 해당 자물쇠 조 57을 회동가능하도록 하였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로타리형 침대는 상면에 재치된 고정측의 침대후레임 1의 좌우 횡폭 L을 좁게하여 시중자 K가 간단히 넘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침대후레임 1의 전 후 중간부분에 로타리 침대 6을 설치하고, 로타리 침대 6의배수부를 일어서게하여 의자걸침 자세로 장애자를 할 때에 전층립 3과 기립된 배수부와의 사이에 시중가 K가 들어가 등도 아래로 늘어뜨린 자세의 장애자를 쉽게 간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침대후레임 1의 횡외측으로 시중자가 어렵지 않게 침대후레임 1을 넘어서 탈출할 수 있어, 부상당하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된 것으로, 병원등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