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순환촉진 침대

申请号 KR1020080036661 申请日 2008-04-21 公开(公告)号 KR1020090111079A 公开(公告)日 2009-10-26
申请人 은문기; 发明人 은문기;
摘要 PURPOSE: A bed for blood circulation promotion is provided, which can effectively relive fatigue by promoting movement of the joint and spinal cord. CONSTITUTION: A bed for blood circulation promotion comprises a mattress frame(11) which has the support stand(10) of the width direction and is installed in the floor; a bed base(12) in which length directional both middle sides are axis-supported by the support stand of a frame and which is installed to be capable of seesaw motion; an oil cylinder(13) which is connected between the mattress frame and bed base and makes seesaw motion of the bed base possible; a working fluid supply source which provides the working fluid for the operation of the oil cylinder; and a copper coil(15) which is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oil cylinder and working fluid supply source.
权利要求
  • 폭방향 양쪽의 지지대(10)을 가지면서 바닥에 설치되는 침대 프레임(11);
    상기 프레임(11)의 지지대(10)에 길이방향 중간 양쪽이 축지지되어 시소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침대 베이스(12);
    상기 침대 프레임(11)과 침대 베이스(12)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침대 베이스(12)의 시소 운동을 가능케 해주는 오일실린더(13);
    상기 오일실린더(13)의 작동을 위한 작동유를 제공하는 작동유 공급원(14);
    상기 침대 베이스(12)의 바닥에 배관되면서 오일실린더(13)와 작동유 공급원(14)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동 코일(15);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촉진 침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 코일(15)에 설치되어 라인을 따라 흐르는 작동유를 가열함으로써 침대에 온열기능을 부여하는 히터(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촉진 침대.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 코일(15)은 2개씩의 유입측 및 배출측을 가지면서 침대 베이스(12)의 바닥 전체 면적에 걸쳐 지그재그 형태로 배 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촉진 침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실린더(13)는 로드측이 침대 프레임(11)의 길이방향 한쪽 끝에 있는 브라켓(17)에 연결되고 실린더측이 침대 베이스(12)의 길이방향 중간에서 수직 연장된 암(18)에 연결되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촉진 침대.
  •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침대에 누운 환자 스스로가 오일실린더(13)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촉진 침대.
  • 说明书全文

    혈액순환촉진 침대{Bed for enhancing the circulation of blood}

    본 발명은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면서 신체를 교정하기 위한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소 운동을 통해 환자의 혈액순환, 근육이완, 관절 및 척수의 이동 등을 촉진시키면서 환자의 척추 불균형 상태를 바르게 잡아주는 혈액순환촉진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생활에 쫓겨 운동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공부하는 학생의 경우 발육상태가 예전에 비하여 월등히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나 학원 등의 학습공간에 비치되는 의자나 책상은 기존의 것이 사용됨에 따라 장시간의 학습활동이 반복되는 경우 척추가 굽어지는 현상과 같은 척추만곡증이 일반화되고 있다.

    또한,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눈부시게 발전됨과 더불어 인터넷망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컴퓨터를 이용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서서 활동하는 시간보다 앉아서 키보드를 조작하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요통이나 어깨결림 등의 골반, 허리, 등, 어깨, 목, 머리로 이어지는 선상의 신체부위에서 각종 질환이 많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 골반, 허리, 등, 어깨, 목, 머리로 이어지는 부위에는 목뼈인 경추와 등부위의 흉추, 허리부위의 요추 및 골반부위의 천추로 이루어지며, 허리를 지지하고 척수신경을 보호하는 척추가 자리잡고 있는 바, 장기간 앉아서 근무하는 직장인이나 학생의 경우 척추가 좌우 "S"자로 휘는 척추측만증의 발병률이 높고, 이외에도 허리디스크나 척추분리증 등이 발병할수 있으며, 성장 저하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부할 때나 책상앞에서 근무할 때의 잘못된 자세,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걷는 동작, 높이가 맞지 않는 베개를 베고 자는 습관 등 잘못된 생활습관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신체의 밸런스가 무너지면서 목디스크 등이 쉽게 발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추, 흉추 및 요추에서 발생되는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바른 생활자세를 유지하고 규칙적으로 적절한 운동을 하는 것이 필요하나 여러가지 여건상 이를 제대로 지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운동선수나 작업자인 경우에도 운동이나 작업 도중 과도한 신체 움직임이나 충격 등으로 목, 허리, 다리 등의 뼈마디 부위가 급격히 틀어져 인대가 늘어나거나 골절되는 등 일종의 디스크 증상이 발생하게 되면, 과도한 경우 수술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이에 차후 장시간 뼈 및 근육이 제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물리치료 등의 재활운동을 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척추교정을 위한 각종 척추교정기가 제안되었으나, 대부분의 선행기술이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척추 또는 등근육을 잡아당겨 이완시켜주거나 의복처럼 착용하여 척추의 왜곡을 방지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의료기관이나 재활기관 등 전문기관에서 사용하는 것이어서 이를 사용하는데에는 시간적, 경제적 제약이 많이 따르는 곤란한 문제가 있다.

    한편, 정형외과 및 한방병원에서는 허리디스크 환자 또는 관절환자에게 물리치료를 시행하게 되며, 물리 치료시에는 환자를 침대에 눕히거나 또는 앉도록 한 다음 치료부위에 다양한 치료기구 또는 지압기구를 이용하여 치료행위를 하게 된다.

    이러한 치료는 환자가 병원이라는 특정장소에서만 행할 수 있는 치료로 가벼운 통증이나 부상이 심각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정에서 약물이나 운동을 통하여 치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동전후의 피로감 회복 등을 위해서 또는 잦은 디스크 및 관절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가정에 안마의자 또는 손으로 하는 다양한 지압기구를 구비하여 마사지 또는 지압을 함으로써 몸의 피로를 풀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의자 또는 침대에 지압기구를 장착시켜 환자가 눕거나 앉게 되면 지압기구가 전원인가에 따라 마사지를 하면서 환자의 피로 또는 응혈진 부분을 풀게 하는 기구가 다수 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치료기구 즉, 환자가 지압을 위해 눕게 되는 침대는 단순한 일반 가정용 침대 또는 쿠션력이 없는 바닥면으로 상기한 침대에서 지압을 하 게 되면 척추가 휜 경우 또는 응혈부분이 있는 경우 급작스런 지압으로 미세한 조직의파괴 또는 휜 척추가 제대로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게 되어 오히려 치료자에게 해를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병원에서의 치료는 환자를 수평상태로 고정시킨 다음 다양한 기구와 함께 반드시 물리 치료사의 도움을 받아야만 가능한 견인방식을 채택하여 환자가 스스로 기구를 조작 또는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침대에 누운 환자를 시소 운동 형태로 움직여주면서 신체도 교정하면서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새로운 형태의 신체 교정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환자의 응혈진 부분 또는 혈액순환과 관절 및 척수의 이동을 촉진시켜 피로감을 효과적으로 풀 수 있도록 하는 등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고, 목 교정, 척추 교정, 고관절 교정, 골반 교정 등의 체육 역학적인 운동을 통해 신체 내 뼈의 불균형을 효과적으로 바로잡을 수 있는 혈액순환촉진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대에 온열기능을 부여하여 목이나 척추 등과 같은 부위의 근육이나 신경을 풀어주는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고, 특히 침대의 시소 운동을 위한 구동매체를 직접 발열시켜 바닥을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실용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등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혈액순환촉진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혈액순환촉진 침대는 폭방향 양쪽의 지지대을 가지면서 바닥에 설치되는 침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지지대에 길이방향 중간 양쪽이 축지지되어 시소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침대 베이스, 상기 침대 프레임과 침대 베이스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침대 베이스의 시소 운동을 가능케 해주는 오일실린더, 상기 오일실린더의 작동을 위한 작동유를 제공하는 작동유 공급원, 상기 침대 베이스의 바닥에 배관되면서 오일실린더와 작동유 공급원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동 코일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동 코일에 히터를 설치하고, 이때의 히터를 이용하여 라인을 따라 흐르는 작동유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침대에 온열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일실린더의 경우 로드측이 침대 프레임의 길이방향 한쪽 끝에 있는 브라켓에 연결되고 실린더측이 침대 베이스의 길이방향 중간에서 수직 연장된 암에 연결되는 유압 실린더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혈액순환촉진 침대는 시소 운동 형태의 특성과 온열기능의 특성을 통해 환자나 사용자가 편안히 누운 상태에서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응혈진 부분이나 혈액 및 척수의 이동을 촉진시켜 환자나 사용자의 피로감을 효과적으로 풀 수 있고, 또 목이나 척추 등과 같은 부위의 근육이나 신경을 손쉽게 풀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목 교정, 척추 교정, 고관절 교정, 골반 교정 등의 체육 역학적인 운동을 통해 사용자 스스로가 인체의 불균형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고, 특히 인체 공학적인 설계로 침대에 누워서 편안하게 교정 등의 운동을 힘들이지 않고 장시 간 할 수 있으므로, 교정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고 약한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통해 혈액순환을 개선할 수 있는 등 목 통증이나 허리 디스크 등을 예방 및 치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발열수단을 침대에 설치하지 않고 침대의 시소 운동을 위한 구동매체인 작동유의 배관을 침대 바닥에 설치하고, 이때의 작동유를 직접 가열하는 형태의 온열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등 실용적이고 경제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실린더 구동 방식으로 침대의 시소 운동을 구현함에 따라 구조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등 제작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하루에 1시간 이상 물구나무서기를 하면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침대를 이용하면 편히 잠을 자면서 물구나무서기를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 온수보일러의 경우 수맥이 흐르는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침대의 경우 오일이 순환하기 때문에 수맥이 없고, 또 전자파가 없기 때문에 혈액순환은 물론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촉진 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혈액순환촉진 침대는 사용자가 눕게 되는 침대 베이스(12)와, 상기 침대 베이스(12)를 일정높이로 받쳐주는 침대 프레임(11)을 포함하며, 이때의 침대 베이스(12)는 시소 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침대 프레임(11)에는 길이방향 중간의 폭방향 양쪽에 일정높이의 지지대(10)가 각각 형성되고, 이 지지대(10)상에 침대 베이스(12)의 길이방향 중간 양쪽이 축지지되므로서, 침대 베이스(12)는 축지지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그 양쪽이 위아래로 오르내리는 시소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침대 베이스(12)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얇은 천이나 쿠션 등이 깔릴 수 있다.

    침대 베이스(12)의 시소 운동은 오일실린더(13)의 작동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오일실린더(13)는 유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의 실린더는 침대 베이스(12)의 저부에서 침대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그 로드측이 침대 프레임(11)의 길이방향 한쪽 끝에 있는 브라켓(17)에 연결되는 동시에 실린더측이 침대 베이스(12)의 길이방향 중간에서 수직 연장된 암(18)에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브라켓(17)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측을 고정점으로 하는 유압 실린더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암(18)이 한쪽으로 밀려났다가 당겨지는 형태의 동작을 반복하게 되므로서, 침대 베이스(12)는 시소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침대 베이스(12)의 시소 운동은 사용자의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으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오일실린더(13)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실질적으로는 오일실린더의 작동을 위해 공급되는 작동유의 공급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침대 베이스(12)의 시소 운동에 의해 사용자는 침대에 편안히 누운 상태에서 스스로 신체 교정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든 전원장치, 예를 들면 유압펌프, 전자밸브류, 히터 등을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오일실린더(13)의 작동을 위한 작동유를 공급하는 동 코일(15)을 침대 베이스(12)의 바닥에 배관하고, 또 이때의 배관을 타고 흐르는 작동유를 가열함으로써, 침대 베이스(12)에 온열기능을 부여한 특징을 제공한다.

    즉, 동 코일의 배관을 활용하여 침대의 온열수단을 구성함으로써, 기존 별도의 온열장치를 구비한 침대들에 비해 구조 및 기능면이나 경제적인 측면, 실용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작동유 공급원(14)측에서 연장되는 동 코일(15)은 2개씩의 유입측 및 배출측을 가지면서 침대 베이스(12)의 바닥 전체 면적에 걸쳐 지그재그 형태로 배관된 후, 오일실린더(13)측으로 연장된다.

    즉, 2개의 동 코일(15) 중 1개의 라인은 침대 베이스(12)의 중앙부 바닥을 밑에서 위로 관통(유입측)한 후, 바닥의 대략 1/2 정도의 면적에 걸쳐 배관된 다음, 재차 중앙부 바닥을 위에서 밑으로 관통(배출측)하여 오일실린더(13), 예를 들 면 유압 실린더의 하나의 포트에 연결되고, 나머지 1개의 라인 또한 침대 베이스(12)의 중앙부 바닥을 밑에서 위로 관통(유입측)한 후, 나머지 바닥의 1/2 정도의 면적을 걸쳐 배관된 다음, 재차 중앙부 바닥을 위에서 밑으로 관통(배출측)하여 유압 실린더의 다른 하나의 포트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작동유 공급원(14)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는 침대 베이스(12)의 바닥 전체를 경유한 다음 오일실린더(13)의 작동매체로 사용될 수 있고, 또 재차 작동유 공급원(14)측으로 회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 코일(15)의 일측, 예를 들면 침대 베이스(12)의 바닥에 배관되어 있는 구간의 일측에는 히터(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의 히터(16)가 라인 내의 작동유를 가열하게 되므로서, 침대 베이스(12)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을 통해 침대 바닥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고, 결국 이러한 온열작용을 통해 사용자나 환자는 뭉친 근육을 풀거나 혈액순환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때의 상기 히터(16)는 동 코일(15)(바람직하게는 침대 시소 운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플렉시블한 파이프)을 사용하는 경우에 동 코일 둘레에 부착 설치가 가능한 히팅 자켓 형태의 히터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침대 바닥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의 히터 제어 방법 뿐만 아니라 리모트 컨트롤의 조작으로 각 전원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촉진 침대에서 작동유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배관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유 공급원(14)은 작동유의 강제 토출을 위한 유압펌프(19)와, 일정량의 작동유를 항상 확보할 수 있는 탱크(20)를 포함하며, 이러한 유압펌프(19) 및 탱크(20)에서 연장되는 동 코일(15)이 침대 베이스(12)의 바닥을 경유하여 오일실린더(13)로 연결된다.

    상기 동 코일(15)은 2개의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라인이 공급측과 회수측의 역할을 번갈아 담당하면서 오일실린더(13)측으로 작동유를 보낼 수 있고 탱크(20)측으로 작동유를 회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압펌프(19)로부터 연장되는 1개의 동 코일(15)은 침대 바닥을 경유한 후, 오일실린더(13)의 전진측 포트에 연결되고, 다른 1개의 동 코일(15)은 침대 바닥을 경유한 후, 오일실린더(13)의 후진측 포트에 연결되는 한편, 각 라인에서는 하나씩의 라인이 분기되어 탱크(20)측으로 각각 연결된다.

    물론, 이때의 유압펌프(19)는 탱크(20)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강제 펌핑하여 오일실린더(13)측에 보낼 수 있다.

    또한, 오일실린더(13)측으로 연장되는 각 라인과 또 분기되는 각 라인에는 각각의 전자밸브(21a),(21b),(22a),(22b) 예를 들면, 전자 전자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전자밸브의 선택적으로 개폐작동에 의해 작동유의 공급 및 회수 방향이 결정되면서 오일실린더(13)의 전진 또는 후진 작동 형태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밸브 21a 및 21b와 22a 및 22b는 동시에 개폐된다.

    즉, 전자밸브 21a 및 21b가 동시에 열리면 전자밸브 22a 및 22b는 동시에 닫 히고, 반대로 전자밸브 21a 및 21b가 동시에 닫히면 전자밸브 22a 및 22b는 동시에 열린다.

    이에 따라, 2개의 전자밸브(21a),(21b)가 열리면 오일실린더(13)의 후진측 포트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오일실린더(13)는 전진 작동하게 되고, 이때의 전진측 포트를 통해 빠져나온 작동유는 탱크(20)로 회수된다.

    마찬가지로, 2개의 전자밸브(22a),(22b)가 열리면 오일실린더(13)의 전진측 포트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오일실린더(13)는 후진 작동하게 되고, 이때의 후진측 포트를 통해 빠져나온 작동유는 탱크(20)로 회수된다.

    이와 같은 작동유의 흐름이 반복되면서 오일실린더(13)가 전진 및 후진 작동을 할 수 있고, 결국 침대의 시소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때의 각 전자밸브의 개폐 제어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밸브와 유압펌프는 모두 탱크 내에 설치되므로서, 소음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혈액순환촉진 침대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촉진 침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혈액순환촉진 침대는 환자나 사용자의 머리가 위로 향하는 위치와 머리가 아래로 향하는 위치 두 가지의 사용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척추 또는 골격 교정 등을 위한 환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고정밴드(미도시) 등으로 환자의 몸을 고정시킨 다음,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면 작동유가 공급되면서 오일실린더(13)가 전진 및 후진 작동을 반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침대 베이스(12)도 시소 운동을 하게 되며, 결국 그 위의 환자의 신체 또한 시소 운동의 영향을 받아 같이 움직이게 되므로, 인체의 하중이 선택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응혈진 부분 또는 어긋난 골격이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려 하게 됨과 동시에 척추와 골격의 교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침대의 시소 운동으로 환자의 혈액과 척수를 침대가 기울어지는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의 피로감이 풀리도록 하는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위와 같은 침대의 시소 작동시 히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침대 베이스(12)의 바닥 배관을 통해 바닥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피로회복이나 교정 등의 치료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실린더의 전진 및 후진 작동을 통한 침대의 시소 운동을 이용하여 환자의 머리쪽 또는 발쪽을 번갈아가면서 높일 수 있고, 이러한 자세 변화를 통해 인체 교정시 인체의 무게중심 및 무게중심 방향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각 부위별로 근육 이완 효과 및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촉진 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촉진 침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촉진 침대에서 작동유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배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촉진 침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대 11 : 침대 프레임

    12 : 침대 베이스 13 : 오일실린더

    14 : 작동유 공급원 15 : 동 코일

    16 : 히터 17 : 브라켓

    18 : 암 19 : 유압펌프

    20 : 탱크 21a,21b,22a,22b : 전자밸브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