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지지 장치 및 환자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

申请号 KR1020130021455 申请日 2013-02-27 公开(公告)号 KR101649779B1 公开(公告)日 2016-08-19
申请人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发明人 에더한스; 그로쓰파트릭; 레쿠바르트마르틴; 링홀츠마르틴; 슈밋트마르쿠스;
摘要 본발명은환자테이블(31)과, 환자(15)를지지하기위한가동형지지대(32)와, 지지대(32)의하나이상의운동방향(34)을따라지지대(32)를안내하도록설계된안내유닛(33)과, 지지대(32)에부가유닛을고정하기위한고정유닛(37)을포함하는환자지지장치에관한것으로서, 고정유닛(37)은지지대(32)와관련하여부가유닛의위치조정을유연하게하기위해하나이상의조정유닛(40)을갖는다.
权利要求
  • 환자 테이블(31)과, 환자(15)를 지지하기 위한 가동형 지지대(32)와, 지지대(32)의 하나 이상의 운동 방향(34)을 따라 지지대(32)를 안내하도록 설계된 안내 유닛(33)과, 지지대(32)에 부가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유닛(37)을 포함하는 환자 지지 장치에 있어서,
    고정 유닛(37)은 지지대(32)와 관련하여 부가 유닛의 위치 조정을 유연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조정 유닛(40)을 가지고,
    하부 구조 커버(51)를 포함하며, 하부 구조 커버(51)와 지지대(32)의 하부면 사이에 고정 유닛(37)을 수납하기 위한, 40mm 내지 80mm의 높이(53)를 갖는 영역(52)이 배치되고,
    하부 구조 커버(51)는 지지대(32)에 대면하는 환자 테이블(31)의 면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부가 유닛은 헤드 코일 유닛(38)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 유닛(37)은 지지대(32)의 하부면 또는 정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고정 유닛(37)은, 지지대(32)로부터 방향(49)을 따라 눕는 면(44)으로부터 하부면 방향으로 멀어지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부분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고정 유닛(37)의 수납을 위한 영역(52)은 50mm 내지 70mm의 높이(5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고정 유닛(37)의 수납을 위한 영역(52)은 환자 지지 장치(30)의 전체 종방향 연장부(35)를 따라 같은 높이(5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대(32)는 탈착식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조정 유닛(40)은 하나 이상의 공간 방향(48)을 따르는 부가 유닛의 운동 또는 위치 조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조인트 유닛(41, 42, 4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조정 유닛(40)은 2개 이상의 공간 방향을 따르는 부가 유닛의 운동 또는 위치 조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조인트 유닛(4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환자 지지 장치(30)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
  • 说明书全文

    환자 지지 장치 및 환자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PATIENT SUPPORT APPARATUS AND MEDICAL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PATIENT SUPPORT APPARATUS}

    본 발명은 환자 테이블과,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가동형 지지대와, 지지대의 하나 이상의 운동 방향을 따라 지지대를 안내하도록 설계된 안내 유닛과, 지지대에 부가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환자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환자 지지 장치는 환자 테이블 및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한다. 지지대는 안내 유닛에 의해 환자 지지 장치의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환자 지지 장치는 지지 유닛에 헤드 코일 유닛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 유닛을 갖는다. 이 경우에 헤드 코일 유닛은 지지 유닛의 눕는 면(lying surface)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지지 유닛과 관련하여 다양한 위치들에 부가 유닛을 유연하게 지지 및/또는 고정할 수 있게 하는 환자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항들의 특징들을 통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환자 테이블과,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가동형 지지대와, 지지대의 하나 이상의 운동 방향을 따라 지지대를 안내하도록 설계된 안내 유닛과, 지지대에 부가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환자 지지 장치에 근거한다.

    고정 유닛은 지지대와 관련하여 부가 유닛의 위치를 유연하게 조정하도록 하나 이상의 조정 유닛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부가 유닛이 지지 유닛과 관련해 다양한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가 유닛이 코일 유닛, 특히 헤드 코일 유닛에 의해 형성됨에 따라, 환자, 특히 환자 머리 부분이 수술 집도의가 원하는 위치에 그리고/또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적합한 지지 위치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지지 장치는 특히 의료 영상 장치와 관련하여 이용하도록 설계되었다. 부가 유닛, 특히 헤드 코일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지지 장치의 지지대에 바람직하게 통합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지지 장치는 특히 바람직하게 자기 공명 장치로 형성된 의료 영상 장치에 적합하다. 가동형 지지대에 의해 환자 지지 장치는, 특히 환자의 머리 부분에서 진료, 특히 외과적 처치가 실시되는 동안 또는 그 이후에 특히 검사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는 지지대 위에 누워 있을 수 있고, 환자 지지 장치를 이용해 수술 테이블로부터 지지대와 함께 옮겨져 예를 들어 자기 공명 장치로 이동되며, 이때 지지대는 양측 환자 지지 장치의 도킹 후 안내 유닛에 의해 제1 환자 지지 장치로부터 제2 환자 지지 장치로 이동된다. 종종 자기 공명 장치가 외과적 처치의 제어 또는 계속에 이용되기 때문에, 이 경우 환자의 머리는 헤드 코일 유닛 내부에 고정되며, 또한 머리는 개방적 수술 또는 개방적 처치를 위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 지지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수술 테이블에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신경외과적 처치용 환자 지지 장치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 유닛은 지지대의 하부면 및/또는 정면에 배치되므로, 매우 공간 절약적이며 컴팩트한 환자 지지 장치가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맥락에서 "하부면"이란 특히 지지대의, 지지면 반대편 측을 의미한다. 여기서 "정면"은 지지대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향된, 지지대의 머리 지지 영역에 배치되는 쪽을 의미한다.

    또한, 고정 유닛은, 지지대로부터 임의의 방향을 따라 지지면으로부터 하부면 방향으로 멀어지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부분 영역을 가지므로, 부가 유닛, 특히 헤드 코일 유닛은 환자 및/또는 수술 집도의에게 최적인 위치에, 특히 지지대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수술 중 영상 촬영이 없는 종래의 신경외과적 환자 지지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적절하고 인체공학적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환자 지지 장치는 하부 구조 커버를 가지며, 하부 구조 커버와 지지대의 하부면 사이에는 고정 유닛의 수납을 위한 40mm 내지 80mm 높이의 영역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역이 50mm 내지 70mm의 높이를 가지며, 그로 인해 검사 및/또는 진료 중에 헤드 코일의 바람직한 하강이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고정 유닛의 수납을 위한 영역"이란 하부 구조 커버와 환자 테이블의 하부면 사이의 영역을 의미하며, 이 영역에는 예를 들어 코일 부재, 케이블 등과 같은 추가적 유닛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지지대가 이동할 때 고정 유닛의 수납을 위한 영역 내에서 고정 유닛이 방해 없이 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 고정 유닛의 수납을 위한 영역은 환자 지지 장치의 전체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같은 높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대가 탈착식 플레이트로 형성됨으로써 예를 들어 수술 지원 장치, 특히 의료 영상 장치를 위한 환자 지지 장치 등의 다양한 지지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장치의 수납을 위한 영역에 의해, 제1 지지 장치로부터 제2 지지 장치로 지지대가 방해 없이 운동할 수 있다. 상기 맥락에서 "탈착식 플레이트"는 특히, 다양한 환자 지지 장치들 사이에서 교체될 수 있는 환자 지지용 지지대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 환자 지지 장치가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안내 유닛을 가짐으로써, 제1 환자 지지 장치로부터 제2 환자 지지 장치로 지지대가 방해 없이 특히 마찰이 거의 없이 교체될 수 있고, 이때 지지대의 교체를 위해 양측 환자 지지 장치는 바람직하게 서로 도킹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조정 유닛은 하나 이상의 공간 방향을 따르는 부가 유닛, 특히 헤드 코일 유닛의 운동 및/또는 위치 조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조인트 유닛을 가진다. 그러므로 환자의 헤드 코일 유닛 및/또는 머리 부분의 위치 조정을 위한 특히 유연한 조정 가능성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정 유닛은 2개 이상의 공간 방향을 따르는 부가 유닛, 특히 헤드 코일 유닛의 운동 및/또는 위치 조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조인트 유닛을 가질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조정 유닛이 헤드 코일 유닛의 위치 조정 및/또는 운동을 위한 복수의 조인트 유닛을 갖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부가 유닛, 특히 헤드 코일 유닛의 위치가 복수의 공간 방향을 따라 매우 바람직하게 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환자의 머리 영역에서의 외과적 처치를 위한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그리고/또는 최적의 치료 위치에 부가 유닛, 특히 헤드 코일 유닛의 위치를 매우 바람직하게 매칭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조인트 유닛은 회전 조인트 및/또는 볼 조인트 및/또는 그 밖에 당업자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조인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고정 유닛은 부가 유닛, 특히 헤드 코일 유닛의 고정을 위한 고정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 특징들 및 구체적 내용은 하기에 설명되는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지지 장치에 관한 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의료 영상 장치는 자기 공명 장치(10)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의료 영상 장치의 실시예는 자기 공명 장치(10)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의료 영상 장치는 컴퓨터 단층촬영 장치, PET 장치, 이동식 또는 고정식 X선 기반 C-arm 시스템, SPECT 장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기 공명 장치(10)는, 강력하면서도 특히 일정한 주자계(13)를 발생시키기 위한 주자석(12)을 갖는 자석 유닛(11)을 포함한다. 또한, 자기 공명 장치(10)는 환자(15)를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 수용 영역(14)을 가지며, 이 수용 영역(14)은 원주 방향으로 자석 유닛(11)에 의해 에워싸여 있다. 환자(15)는 자기 공명 장치(10)의 환자 지지 장치(30)에 의해 수용 영역(14) 안으로 들어올 수 있다. 이를 위해 환자 지지 장치(30)는 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자석 유닛(11)은, 영상 촬영 동안 공간 부호화에 이용되는 자계 경사의 발생을 위한 경사 자계 코일(16)을 갖는다. 경사 자계 코일(16)은 경사 제어 유닛(17)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자석 유닛(11)은 분극의 여기를 위한 원통형 고주파 코일 유닛(18) 및 고주파 제어 유닛(19)을 가지며, 분극은 주자석(12)에 의해 발생하는 주자계(13)에서 조정된다. 고주파 코일 유닛(18)은 고주파 제어 유닛(19)에 의해 제어되며, 실질적으로 수용 영역(14)으로 형성되는 검사 공간 안에 고주파 자기 공명 시퀀스를 방사한다. 그로 인해 자화가 평형 상태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또한, 고주파 코일 유닛(18)에 의해 자기 공명 신호가 수신된다.

    주자석(12) 및 경사 제어 유닛(17)의 제어를 위해, 그리고 고주파 제어 유닛(19)의 제어를 위해, 자기 공명 장치(10)는 컴퓨터로 형성된 제어 유닛(20)을 갖는다. 컴퓨터는 자기 공명 장치(10)를, 예를 들어 사전설정된 이미징 경사 에코 시퀀스의 실시를 중앙 제어한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 파라미터와 같은 제어 정보 및 재구성된 자기 공명 영상은 조작자를 위해 자기 공명 장치(10)의 디스플레이 유닛(21)에,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모니터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자기 공명 장치(10)는 입력 유닛(22)을 가지며, 이 입력 유닛을 이용하여 측정 과정 중에 조작자에 의해 정보 및/또는 변수가 입력될 수 있다.

    도시된 자기 공명 장치(10)는 물론 자기 공명 장치(10)가 보통 갖는 추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기 공명 장치(10)의 일반적인 기능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는 환자 지지 장치(30)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자기 공명 장치(1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환자 지지 장치(30)는 자기 공명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환자 지지 장치(30)는,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 장치, 특히 자기 공명 장치(10)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수술 테이블에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신경외과적 처치용 환자 지지 장치(30)로 형성되어 있다.

    환자 지지 장치(30)는 환자 테이블(31) 및 환자(15)를 지지하기 위한 가동형 지지대(32)를 갖는다. 또한, 환자 지지 장치(30)는, 지지대(32)의 운동 방향(34)을 따라 지지대(32)를 안내하도록 설계된 안내 유닛(33)을 포함한다. 이 경우 운동 방향(34)은 환자 지지 장치(30)의 종방향 연장부(35)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안내 유닛(33)은 2개의 가이드 레일(36)을 가지며, 가이드 레일들은 각각 환자 지지 장치(30)의 종방향 연장부(35)를 따라서 환자 테이블(31)의 측면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다. 이 경우 가이드 레일(36)은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슬라이딩 부재를 가지며, 슬라이딩 부재는 롤 슬라이딩 부재 및/또는 당업자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다른 슬라이딩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환자 테이블(31)과 관련하여 종방향 연장부(35)를 따라서 지지대(32)의 저마찰 운동 및/또는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대(32) 역시 안내 유닛(33)의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슬라이딩 부재 및/또는 가이드 부재,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을 가질 수 있다. 안내 유닛(33)에 의해 지지대(32)는 종방향 연장부(35)를 따라서 운동하도록 지지되며, 이 경우 지지대는 환자 지지 장치(30)로부터 수술 테이블 지지 장치로 옮겨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대(32)는 탈착식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또한, 환자 지지 장치(30)는 헤드 코일 유닛(38)으로 형성된 부가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유닛(37)을 갖는다. 부가 유닛은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또 다른 유닛들 또는 부재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 유닛(37)은 홀더(39)를 가지며, 홀더 내에 헤드 코일 유닛(39)이 배치된다. 고정 유닛(37)은, 지지대(32)와 관련하여 헤드 코일 유닛(38)의 위치가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고정 유닛(37)은 하나 이상의 조인트 유닛(41, 42, 43)을 포함하는 조정 유닛(40)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조정 유닛(40)은 3개의 조인트 유닛(41, 42, 43)을 갖는다. 제1 조인트 유닛(41)은 제1 회전 조인트 유닛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조인트 유닛(42)은 제2 회전 조인트 유닛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회전 조인트 유닛과 제2 회전 조인트 유닛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이때 제1 회전 조인트 유닛의 회전축과 제2 회전 조인트 유닛의 회전축이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양 회전축은 실질적으로 지지대(32)의 눕는 면(44)에 평행하게, 그리고 지지대(32)의 종방향 연장부(45)에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양 회전 조인트 유닛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스트럿(4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회전 조인트 유닛은 지지대와 고정 연결된, 고정 유닛(37)의 고정 부재(47)와 관련하여 제1 회전 조인트 유닛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 평행 스트럿(46)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2 회전 조인트 유닛은 헤드 코일 유닛(38)의 설치를 위한 홀더(39)와 관련하여 제2 회전 조인트 유닛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 평행 스트럿(46)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헤드 코일 유닛(38)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 양 회전 조인트 유닛에 의해 헤드 코일 유닛이 지지대(32)의 종방향 연장부(45)를 따라서, 그리고 지지대(32)의 종방향 연장부(45)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향하며 지지대(32)의 지지면(44)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향하는 제2 공간 방향(48)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코일 유닛(38)의 설치를 위한 홀더(39)는, 회전 조인트 유닛을 포함하는 조정 유닛(40)의 제3 조인트 유닛(43)을 갖는다. 상기 제3 회전 조인트 유닛의 회전축은 제1 및 제2 회전 조인트 유닛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향해 있고, 또한 지지대(32)의 지지면(44)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향해 있다. 그와 같은 방식으로 헤드 코일 유닛(38)의 회전은 지지대(32)의 지지면(44)에 대해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 조인트 유닛(43)에 의해, 지지대(32)의 눕는 면(44)에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 내에서 헤드 코일 유닛(38)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조정 유닛(40) 및/또는 조정 유닛(40)의 개별 조인트 유닛(41, 42, 43)은 회전 조인트 유닛으로부터 변형된 실시예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인트 유닛(41, 42, 43)은 볼 조인트 유닛, 회전 슬라이딩 조인트 유닛 및/또는 당업자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다른 조인트 유닛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특히 개별 조인트 유닛이 복수의 자유도에서 조정 가능성을 갖는 경우, 조인트 유닛의 수의 변경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헤드 코일 유닛(38)의 희망 위치를 위해 고정 유닛(37), 특히 조정 유닛(40)의 조정이 예를 들어 임상의(clinician) 같은 조작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예를 들어 전기 또는 전자 조정 유닛과 같은 조정 유닛(40)을 이용해 헤드 코일 유닛(38) 위치의 적어도 부분 자동 조정 및/또는 부분 자가 조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고정 유닛(37)은 환자 지지 장치(30)의 지지대(32)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고정 부재(47)를 포함하는 고정 유닛(37)은 지지대(32)에 고정 설치되고, 이러한 설치는 지지대(32)의, 지지면(44) 반대편 면으로 형성되는 하부면 및/또는 지지대(32)의 정면에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유닛(37)이 지지대(32)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 유닛(37)의 고정 부재(47)는 지지대(32)와 나사 체결되고, 접착되고, 리벳 연결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다른 고정 방법에 의해 지지대(32)와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지지대(32)의 하부면 및/또는 정면에 고정 유닛(37)이 설치됨으로써, 고정 유닛(37)은 지지대(32)의 크기보다 더 돌출한다. 즉, 고정 유닛(37)은 방향(49)을 따라 지지대(32)의 지지면(44)으로부터 하부면 방향으로 지지대(32)를 넘어 돌출한다. 고정 유닛(37)의 위치 조정에 따라 고정 유닛(37)은 상기 방향(49)을 따라서 지지대(32)와 관련하여 약 70mm의 최대 연장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연장부가 약 60mm 길이를,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50mm 길이를 갖는다. 또한, 고정 유닛(37)이 지지대(32)의 종방향 연장부(45)를 따라 정면을 넘어 돌출하므로, 헤드 코일 유닛(38)은 고정 유닛(37)에 조립된 위치에서 지지대(32)의 종방향 연장부(45)를 따라서 지지대(32)의 크기 외부에 배치된다. 이처럼, 헤드 코일 유닛(38), 특히 환자(15)의 머리와 접촉될 헤드 코일 유닛(38)의 접촉면(50)이 고정 유닛(37)에 의해, 특히 조정 유닛(40)에 의해 눕는 면(44)의 높이로 하강되고 그리고/또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환자 지지 장치(30), 특히 환자 테이블(31)은 하부구조 커버(51)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구조 커버는 제어 장치, 전자 장치, 및/또는 당업자에게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다른 구성 유닛들 및/또는 구성 부재들을 수용하기 위한 영역과, 환자 테이블(31)의 지지대(32)쪽 면을 커버하도록 설계된다. 하부 구조 커버(51)와 관련하여 하강된 헤드 코일 유닛(38)과 함께 지지대(32)가 원활하게 운동하도록 환자 지지 장치는 고정 유닛(37)의 수납을 위한 영역(52)을 가지며, 이때 지지대(32)로부터 고정 유닛(37)이 상기 영역(52) 안으로 들어온다. 고정 유닛(37)의 수납을 위한 영역(52)은 약 40mm 내지 약 80mm의 높이(53)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50mm 내지 70mm의 높이(53)를,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5mm의 높이(53)를 갖는다. 고정 유닛(37)의 수납을 위한 상기 영역(52)은 환자 지지 장치(30)의 전체 종방향 연장부(35)를 따라 같은 높이(53)를 갖는다. 또한, 상기 영역(52)은 환자 테이블(31)의 양 가이드 레일(36) 사이의 전체 횡방향 연장부를 따라 연장해 있으므로, 지지대(32)가 종방향 연장부(35)를 따라 운동하는 동안 고정 장치(37)의 원하지 않는 기울어짐이 방지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