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

申请号 KR1020167011295 申请日 2014-01-02 公开(公告)号 KR1020160096073A 公开(公告)日 2016-08-12
申请人 린 안이; 发明人 린안이; 린더다오;
摘要 본발명은자전거와결합할수 있는카트구조에관한것으로서, 하나의카트(2)를포함하고, 상기카트는하나의프레임구조, 적어도하나의앞바퀴(21), 하나의핸들연결봉(24), 하나의차체연결봉(25) 및하나의조종기구를포함하고; 상기프레임구조는하나의베이스플레이트(31) 및프레임부(32)를가지고있고; 상기베이스플레이트(31)는상기카트(2)가물체를운반할수 있게하고; 상기프레임부(32)는하나의백프레임(321)을포함하여베이스플레이트(31)와고정결합하고; 상기적어도하나의앞바퀴(21)는상기프레임구조의하방에설치되어움직일수 있는구조가되고, 상기적어도하나의앞바퀴(21)는상기카트(2)의운행방향의전방에위치하고, 상기베이스플레이트(31)는화물또는사람을지탱하는기능이있고; 상기프레임부(32)는다수개봉체구조로상기베이스플레이트(31) 상방에고정되고; 상기핸들연결봉(24)은하나의연결구조를포함하여상기핸들연결봉(24)이하나의자전거(1)와결합되도록하고; 하나의조종기구는상기카트(2)를조정하는데사용하여상기핸들연결봉(24)이상기자전거(1)와결합될때 상기조종기구에서상기카트(2)를조종할수 있도록함으로써상기자전거(1)를타면상기카트가전진하도록만든다.
权利要求
  • 카트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는 프레임 구조, 적어도 하나의 앞바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앞바퀴는 상기 프레임 구조의 하방에 설치되어 움직일 수 있는 구조가 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앞바퀴는 상기 카트의 운행방향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카트가 연결 구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카트가 자전거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앞바퀴는 두 개의 앞바퀴이고;
    상기 연결구조로 상기 카트의 하나의 핸들 연결봉에 위치하고;
    상기 카트는 하나의 조종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종기구는 상기 카트를 조정하는데 사용하여 상기 핸들 연결봉이 상기 자전거와 결합될 때 상기 조종기구에서 상기 카트를 조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전거를 타면 상기 카트가 전진하도록 만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연결봉은 T형에 가까운 봉상 구조이고, 여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봉 및 하나의 가로방향 봉을 하고, 상기 정방향 봉은 상기 가로방향 봉의 가까운 중앙부위를 연결하고; 상기 정방향 봉의 바닥 단부는 고정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 구조의 후방을 연결하고;P상기 가로방향 봉의 양면에는 각각 하나의 후크가 있고; 상기 후크에서 상기 자전거의 핸들을 클램핑하고; 상기 카트의 핸들 연결봉을 상기 자전거의 핸들에 연결하여 상기 카트를 상기 자전거의 핸들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
  • 제 2항에 있어서,
    차체 연결봉은 하나의 긴 띠 모양 구조이고, 상기 핸들 연결봉의 적절한 위치에 연결하고, 상기 차체 연결봉의 한 단부와 상기 핸들 연결봉은 하나의 회전 관절 연결을 사용하고, 상기 차체 연결봉(25)는 적어도 하나의 차체 후크가 있어 상기 자전거의 메인 차체관에 클램핑하는 데 사용하고, 상기 카트는 상기 연결 방식을 통해 상기 자전거의 메인 차체관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결합 연결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자전거가 상기 카트를 구동하도록 만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 기구는 조종봉을 포함하는데, 상기 조종봉은 조종 핸들, L모양에 가까운 회전봉, 적어도 하나의 가로봉, 두 개의 연장봉, 제1 조향 연결봉, 제1 회전 축통, 제2 회전 축통 및 제3 회전 축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축통과 상기 제2 회전 축통 사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봉을 사용하여 연결 고정하고, 상기 전동봉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기 제2 회전 축통과 상기 제3 회전 축통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3 회전 축통은 상기 카트의 프레임 구조의 후방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조종 핸들의 가로방향 봉은 핸들 부위이고, 상기 조종 핸들의 정방향 봉은 하나의 제1 회전 축통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조종 핸들이 상기 제1 회전 축통을 축심으로 상기 제1 회전 축통 내에서 회전하도록 만들고;
    상기 전동 봉은 상기 제2 회전 축통과 상기 제3 회전 축통 내에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전동 봉의 하단은 하나의 봉체를 연장시키고, 상기 봉체의 말단에는 하나의 제1 돌출 봉체가 있고; 상기 전동 봉 상단의 상기 제2 회전 축통에 하나의 연장 봉체와 상기 프레임 구조의 백프레임이 연결 고정되고;
    상기 두 연장 봉의 꼬리 단부에는 각각 하나의 제3 돌출 봉체 및 제4 돌출 봉체가 있고, 여기에서 제1 연장 봉의 헤드단과 상기 조종 핸들의 정방향 봉의 꼬리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고정 연결 위치는 상기 제1 회전 축통보다 낮고, 다른 하나의 연장 봉의 헤드단과 상기 전동 봉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 연결 위치는 상기 제2 회전 축통보다 낮고;
    상기 제1 조향 연결봉의 꼬리 단부에는 각각 하나의 슬롯 홀이 있어 상기 두 연장 봉의 꼬리 단부의 제3 돌출 봉체 및 제4 돌출 봉체를 관통시키는 데 제공되고, 상기 제1 조향 연결봉의 중간 위치에는 하나의 관통 홀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 홀은 하나의 제1 축봉을 관통시키는 데 제공되고, 상기 제1 조향 연결봉은 상기 제1 축봉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축봉을 축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축봉의 위치는 상기 두 가로봉의 중간 위치로서 고정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조종 핸들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1 조향 연결봉이 동시에 회전하고 이것은 전동 봉을 회전시키고;
    제2 조향 연결봉에 있어서, 상기 제2 조향 연결봉은 하나의 긴 띠 모양 봉체이고, 여기에서 구간 위치에는 하나의 관통 홀이 설치되어 하나의 제2 축봉을 관통시키는 데 제공되고, 상기 제2 축봉의 한 단부와 상기 프레임 구조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고정 연결 방식을 채택하고, 상기 제2 조향 연결봉은 상기 제2 축봉(54)을 축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조향 연결봉의 꼬리 단부에 각각 하나의 슬롯 홀이 있고;
    하나의 타이 로드에 있어서, 상기 타이 로드는 긴 띠 모양의 봉체이고, 상기 타이 로드의 중간 위치에 하나의 제2 돌출 봉체가 있고, 상기 타이 로드의 양단에 각각 하나의 너클 암이 볼트 연결되어 있고, 상기 너클 암(61)은 하나의 조향 축(62)과 고정 연결되고, 상기 너클 암이 이동하면 상기 조향 축이 회전하고; 상기 조향 축은 하나의 제4 회전 축통을 관통하고; 상기 제4 회전 축통은 상기 카트의 프레임 구조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조향 축은 상기 제4 회전 축통을 축심으로 축방향 회전하고; 상기 조향 축의 다른 한 단부는 상기 두 앞바퀴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조향 연결봉 헤드단의 슬롯 홀은 전동 봉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봉체의 제1 돌출 봉체를 관통시키는 데 제공되고, 상기 제2 조향 연결봉 꼬리 단부의 슬롯 홀은 상기 타이 로드의 제2 돌출 봉체를 관통시키는 데 제공되고; 상기 전동 봉이 회전하면 상기 제2 조향 연결봉이 동시에 회전해 상기 타이 로드를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타이 로드가 움직이게 될 때 좌측이나 우측으로 편향될 수 있고, 상기 타이 로드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편향될 때 상기 너클 암을 구동시켜 상기 조향 축을 회전시키고; 상기 조향 축이 회전하면 상기 두 앞바퀴가 동시에 회전하여 조향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는 두 개의 뒷바퀴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카트의 두 앞바퀴 직경은 두 뒷바퀴 직경보다 크고,
    두 뒷바퀴는 상기 프레임 구조의 하방에 설치하고,
    상기 카트의 두 뒷바퀴의 지면과의 높이는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 구조는 휠체어, 애완동물차, 유모차, 수동 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와 상기 자전거를 결합한 후 상기 자전거의 앞바퀴를 허공에 뜨게 만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연결봉은 연장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뒷바퀴에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는 모터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
  • 说明书全文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 {TROLLEY STRUCTURE CAPABLE OF BEING COMBINED WITH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노령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돕거나 보살펴야 할 인구도 증가하고 있다. 노인들은 체력이 부족하여 시장에서 물건을 사거나 애완동물을 데리고 외출할 경우 카트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도 아기를 데리고 외출하는 경우 아기를 카트에 태워서 이동하기에는 중량이 상당하며, 물건 또는 애완동물을 담은 카트 역시 중량이 상당하다. 사용자의 체력까지 부족할 경우 다리 힘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만약 우리가 카트의 기능을 더욱 확장하여 자전거나 전동차를 동력원으로 사용해 카트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면, 움직이기 불편한 사람(예를 들어 노인과 영유아) 또는 대량의 화물을 운반해야 하는 경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므로, 카트의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이동 카트를 개발하여 화물과 사람을 운송할 수 있도록 하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자전거와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으며 결합 시에는 상호 보완 기능을 구현하여 화물과 사람을 모두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기술의 결함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를 제안하며, 여기에서 휠체어 또는 카트는 바로 자전거와 분리되거나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움직이기 불편한 노인, 어린이 또는 귀중한 화물을 차에서 내리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간과 힘을 절약시키고 움직이기 불편한 사람의 안전을 보장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카트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는 하나의 프레임 구조, 적어도 하나의 앞바퀴, 하나의 핸들 연결봉, 하나의 차체 연결봉, 및 하나의 조종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구조는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프레임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카트가 물체를 운반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하나의 백프레임을 포함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와 고정 결합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앞바퀴는 상기 프레임 구조의 하방에 설치되어 움직일 수 있는 구조가 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앞바퀴는 상기 카트의 운행방향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화물 또는 사람을 지탱하는 기능이 있고, 상기 프레임부는 다수개 봉체 구조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방에 고정되고, 상기 핸들 연결봉은 하나의 연결 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핸들 연결봉이 하나의 자전거와 결합되도록 하고, 하나의 조종기구는 상기 카트를 조정하는데 사용하여 상기 핸들 연결봉이 상기 자전거와 결합될 때 상기 조종기구에서 상기 카트를 조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전거를 타면 상기 카트가 전진하도록 만든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자전거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카트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조종기구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조종기구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카트 측면도이고; 및
    도 6은 본 발명의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구조로 인한 기능 효과와 장점은 도면과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카트 구조는 휠체어, 애완동물차, 유모차, 수동 카트 등 다양한 형태의 카트일 수 있다. 상기 카트와 결합하는 자전거(1)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전거는 골격(10), 핸들(11), 쿠션(12), 앞바퀴(13) 및 뒷바퀴(14)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골격(10)은 자전거와 관련된 부품을 결합하는 데 사용한다. 핸들(11), 쿠션(12), 앞바퀴(13) 및 뒷바퀴(14)는 상대적으로 상기 골격(10)에 장착한다. 상기 골격(10)은 하나의 메인 차체관(15)을 포함한다.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전거(1)의 뒷바퀴(14)는 앞바퀴(13)보다 크거나, 상기 앞바퀴(13)가 폴딩 타입이고 접어서 상기 뒷바퀴(14)가 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전거와 결합할 수 있는 카트 구조는 아래를 포함한다.

    카트(2)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카트(2)는 프레임 구조, 두 개의 앞바퀴(21), 두 개의 뒷바퀴(22), 핸들 연결봉(24), 차체 연결봉(25) 및 조종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구조는 베이스 플레이트(31) 및 프레임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는 상기 카트(2)가 물체를 운송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프레임부(32)는 백프레임(321)을 더 포함하여 베이스 플레이트과 고정 결합될 수 있고, 두 사이드 프레임(322)은 각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백프레임(321)과 인접한다.

    두 앞바퀴(21)와 두 뒷바퀴(22)는 각각 상기 프레임 구조 하방에 설치되어 움직일 수 있는 구조가 되고, 두 앞바퀴(21)는 상기 카트(2)의 움직이는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고, 두 뒷바퀴(22)는 상기 카트(2)의 움직이는 방향의 후방에 위치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는 화물이나 사람을 운반하는 기능을 가지며,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에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쿠션이 있다. 상기 프레임부(32)는 다수개 봉체 구조이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부(32)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의 화물이나 사람 운반을 보호하는 데 사용하여 화물이나 사람이 상기 프레임 구조 밖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트의 두 앞바퀴(21)의 직경은 두 뒷바퀴(22)의 직경보다 크다.

    핸들 연결봉(24)는 T형에 가까운 봉상 구조이고, 여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봉(241) 및 하나의 가로방향 봉(242)을 포함한다. 상기 정방향 봉(241)은 가로방향 봉(242)의 가까운 중앙부위를 연결한다. 정방향 봉(241)의 바닥 단부는 고정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 구조의 후방을 연결한다. 상기 가로방향 봉(242)의 양면에는 각각 하나의 후크(243)가 있다. 상기 후크(243)에서 상기 자전거(1)의 핸들(11)을 클램핑한다. 상기 카트(2)의 핸들 연결봉(24)을 상기 자전거(1)의 핸들(11)에 연결하여 상기 카트(2)를 상기 자전거(1)의 핸들(11)에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구조를 거쳐 상기 자전거(1)가 상기 카트(2)를 구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핸들 연결봉(24)이 상기 자전거의 핸들(11)을 연결하는 방식은 본 실시예에서 실시하는 방식을 제한하지 않으며, 핸들 연결봉(24)과 상기 자전거의 핸들(11)을 고정 연결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 잠금 등의 방식이 있다.

    상기 차체 연결봉(25)는 하나의 긴 띠 모양 구조이고, 상기 핸들 연결봉(24)의 적절한 위치에 연결하고, 상기 차체 연결봉(25)의 한 단부와 상기 핸들 연결봉(24)은 하나의 회전 관절 연결을 사용하고, 상기 차체 연결봉(25)는 적어도 하나(도에서는 2개로 도시함)의 차체 후크(251)가 있어 상기 자전거(1)의 메인 차체관(15)에 클램핑하는 데 사용하고, 상기 카트(2)는 상기 연결 방식을 통해 상기 자전거(1)의 메인 차체관(15)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결합 연결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전거(1)가 상기 카트(2)를 구동하도록 만들 수 있다.

    상기 차체 연결봉(25)을 상기 메인 차체관(15)에 연결하는 방식은 본 실시예에서 실시하는 방식을 제한하지 않으며, 상기 차체 연결봉(25)과 상기 메인 차체관(15)을 고정하는 모든 구조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 잠금 등 방식이 있다.

    상기 조종 기구는 도 2 내지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을 포함한다.

    조종봉에 있어서 상기 조종봉은 하나의 조종 핸들(43), 하나의 L모양에 가까운 회전봉(42), 적어도 하나의 가로봉(43)(도면에서는 2개로 도시함), 두 개의 연장봉(44), 하나의 제1 조향 연결봉(51), 하나의 제1 회전 축통(71), 하나의 제2 회전 축통(72), 및 하나의 제3 회전 축통(7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회전 축통(71)과 상기 제2 회전 축통(72) 사이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봉(43)을 사용하여 연결 고정하고, 상기 전동봉(42)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기 제2 회전 축통(72)과 상기 제3 회전 축통(73)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3 회전 축통(73)은 상기 카트(2)의 프레임 구조의 후방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 조종 핸들(41)의 가로방향 봉은 핸들 부위이고, 상기 조종 핸들(41)의 정방향 봉은 하나의 제1 회전 축통(71)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조종 핸들(41)가 상기 제1 회전 축통(71)을 축심으로 상기 제1 회전 축통(71) 내에서 회전하도록 만든다.

    상기 전동 봉(42)은 상기 제2 회전 축통(72)과 상기 제3 회전 축통(73)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전동 봉(42)의 하단은 하나의 봉체를 연장시키고, 상기 봉체의 말단에는 하나의 제1 돌출 봉체(81)가 있다.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동 봉(42) 상단의 상기 제2 회전 축통(72)에 하나의 연장 봉체(91)와 상기 프레임 구조의 백프레임(321)이 연결 고정된다.

    상기 두 연장 봉(44)의 꼬리 단부에는 각각 하나의 제3 돌출 봉체(83) 및 제4 돌출 봉체(84)가 있고, 여기에서 제1 연장 봉(44)의 헤드단과 상기 조종 핸들(41)의 정방향 봉의 꼬리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고정 연결 위치는 상기 제1 회전 축통(71)보다 낮고, 다른 하나의 연장 봉(44)의 헤드단과 상기 전동 봉(42)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 연결 위치는 상기 제2 회전 축통(72)보다 낮다.

    상기 제1 조향 연결봉(51)의 꼬리 단부에는 가각 하나의 슬롯 홀이 있어 상기 두 연장 봉(44)의 꼬리 단부의 제3 돌출 봉체(83) 및 제4 돌출 봉체(84)를 관통시키는 데 제공되고, 상기 제1 조향 연결봉(51)의 중간 위치에는 하나의 관통 홀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 홀은 하나의 제1 축봉(52)을 관통시키는 데 제공되고, 상기 제1 조향 연결봉(51)은 상기 제1 축봉(52)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축봉(52)을 축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축봉(52)의 위치는 상기 두 가로봉(43)의 중간 위치로서 고정 연결된다. 사용자가 상기 조종 핸들(41)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 조향 연결봉(51)이 동시에 회전하고 이것은 전동 봉(42)을 회전시킨다.

    하나의 제2 조향 연결봉(53)에 있어서, 상기 제2 조향 연결봉(53)은 하나의 긴 띠 모양 봉체이고, 여기에서 구간 위치에는 하나의 관통 홀이 설치되어 하나의 제2 축봉(54)을 관통시키는 데 제공되고, 상기 제2 축봉(54)의 한 단부와 상기 프레임 구조의 베이스 플레이트(31)는 고정 연결 방식을 채택하고, 상기 제2 조향 연결봉(53)은 상기 제2 축봉(54)을 축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 조향 연결봉(53)의 꼬리 단부에 각각 하나의 슬롯 홀이 있다.

    하나의 타이 로드(6)에 있어서, 상기 타이 로드(6)는 긴 띠 모양의 봉체이고, 상기 타이 로드(6)의 중간 위치에 하나의 제2 돌출 봉체(82)가 있고, 상기 타이 로드(6)의 양단에 각각 하나의 너클 암(61)이 볼트 연결되어 있고, 상기 너클 암(61)은 하나의 조향 축(62)과 고정 연결되고, 상기 너클 암(61)이 이동하면 상기 조향 축(62)이 회전한다. 상기 조향 축(62)은 하나의 제4 회전 축통(74)을 관통한다. 제4 회전 축통(74)은 상기 카트(2)의 프레임 구조와 고정 연결된다. 상기 조향 축(62)은 상기 제4 회전 축통(74)을 축심으로 축방향 회전한다. 상기 조향 축(62)의 다른 한 단부는 상기 두 앞바퀴(21)와 연결된다.

    상기 제2 조향 연결봉(53) 헤드단의 슬롯 홀은 전동 봉(42)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봉체의 제1 돌출 봉체(81)를 관통시키는 데 제공되고, 상기 제2 조향 연결봉(53) 꼬리 단부의 슬롯 홀은 상기 타이 로드(6)의 제2 돌출 봉체(82)를 관통시키는 데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전동 봉(42)이 회전하면 상기 제2 조향 연결봉(53)이 동시에 회전해 상기 타이 로드(6)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타이 로드(6)가 움직이게 될 때 좌측이나 우측으로 편향될 수 있고, 상기 타이 로드(6)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편향될 때 상기 너클 암(61)을 구동시켜 상기 조향 축(62)을 회전시킨다. 상기 조향 축(62)이 회전하면 상기 두 앞바퀴(21)가 동시에 회전하여 조향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작 방식은 아래와 같다.

    1. 카트(2)의 상기 핸들 연결봉(24)의 상기 후크(243)을 상기 자전거(1)의 핸들(11)에 클램핑시킨다. 상기 카트(2)의 핸들 연결봉(24)을 상기 자전거(1)의 핸들(11)에 연결시켜 상기 카트(2)를 상기 자전거(1)의 핸들(11)에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는 상기 자전거(1)가 상기 카트(2)를 구동시킨다.

    2. 상기 차체 연결봉(25)의 적어도 하나의 차체 후크(251)를 상기 자전거(1)의 메인 차체관(15)에 클램핑시키기 때문에, 상기 카트(2)가 하나의 연결 방식을 통하여 상기 자전거(1)의 메인 차체관(15)에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호 결합 연동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전거(1)는 상기 카트(2)를 구동시킬 수 있다.

    3. 상기 카트(2)와 상기 자전거(1)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자전거(1)를 타면 동시에 상기 카트(2)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1)의 뒷바퀴(14)는 앞바퀴(13)보다 크거나, 상기 앞바퀴(13)이 폴딩 타입이고 접어서 상기 뒷바퀴(14)를 착지시킬 수 있고, 상기 카트(2)의 두 앞바퀴(21)의 직경이 상기 두 뒷바퀴(22)의 직경보다 큰 설계는 결합 후 상기 자전거(1)의 앞바퀴(13) 및 상기 카트(2)의 상기 두 뒷바퀴(22)가 허공에 뜨게 만들기 때문에, 상기 자전거(1)의 뒷바퀴(14) 및 상기 카트(2)의 상기 두 앞바퀴(21)가 착지되기만 하면 행진 시 전체 구조를 구동시킬 수 있다.

    4.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1)를 탈 때 상기 카트(2)의 조종 봉의 조종 핸들(41)를 움켜쥘 수 있으며, 상기 조종 핸들(41)의 회전을 통하여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조향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은 설계가 독특하고 실제 수요에 상당히 부합한다. 종래 기술의 단점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과 비교할 때 특출한 진보된 장점을 가지고 있고 기능도 확실히 개선되었다. 본 발명은 국내외 문헌과 시중에 공개되거나 노출된 적이 없으므로, 특허법 규정에 부합한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새로운 실시가능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설명에 불과하므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본 정신과 동일한 수준의 실시나 변경을 진행한 경우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1: 자전거 6: 타이 로드(tie rod)
    61: 너클 암(knuckle arm) 62: 조향 축
    10: 골격 11: 핸들
    12: 쿠션 13: 앞바퀴
    14: 뒷바퀴 2: 카트
    21: 앞바퀴 22: 뒷바퀴
    25: 차체 연결봉 251: 차체 후크
    24: 핸들 연결봉 241: 정방향 봉
    242: 가로방향 봉 243: 후크
    41: 조종 핸들 42: 전동 봉
    43: 가로 봉 44: 연장 봉
    31: 베이스 플레이트 32: 프레임부
    321: 백프레임 322: 사이드프레임
    51: 제1 조향 연결봉 52: 제1 축봉
    53: 제2 조향 연결봉 54: 제2 축봉
    71: 제1 회전 축통 72: 제2 회전 축통
    73: 제3 회전 축통 74: 제4 회전 축통
    91: 연장 봉체 82: 제2 돌출 봉체
    83: 제3 돌출 봉체 84: 제4 돌출 봉체
    81: 제1 돌출 봉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