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 이동 지원구

申请号 KR1020147034442 申请日 2013-03-12 公开(公告)号 KR101666938B1 公开(公告)日 2016-10-17
申请人 나카무라 마사요시; 发明人 나카무라마사요시;
摘要 재해시 등의긴급피난이나, 모래땅, 눈길, 자갈길, 진흙늪 등과같이고르지못한땅에서의주행과오르막길에서의휠체어의주행이동을지원할수 있고, 휠체어에간편하게또 단시간에장착될수 있으며, 스페이스를차지하지않고수납할수 있는휠체어이동지원구를제공한다. 본발명의휠체어이동지원구는, 휠체어의좌우프론트파이프또는좌우레그파이프중 어느것에, 협착혹은계착시켜탈착가능하게장착하는한 쌍의장착부재, 이한 쌍의장착부재가양단부에마련된コ자모양의파이프프레임으로이루어진다. 장착부재는, 파이프프레임의단부에형성된협착부와, 그협착부의전방으로서파이프프레임의단부에부설된파지부로구성된다. 파지부가휠체어의프론트파이프또는레그파이프의일부분을파지하고, 협착부가휠체어의프론트파이프또는레그파이프의일부분을압접한다.
权利要求
  • 휠체어의 프론트 파이프 또는 레그 파이프 중 어느 것에, 협착 혹은 계착(係着)시켜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 부재를 일단(一端)에 구비한 파이프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타단(他端)을 견인하는 것에 의해 휠체어를 이동할 수 있는 휠체어 이동 지원구로서,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협착부(挾着部)와, 그 협착부의 전방으로서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단부에 부설된 파지부(把持部)와,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주위에 마련된 위치 조정 너트로 구성되며,
    상기 파지부가 휠체어의 프론트 파이프 또는 레그 파이프의 일부분을 파지하고,
    상기 위치 조정 너트를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축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협착부가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축심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협착부가 휠체어의 프론트 파이프 또는 레그 파이프의 일부분을 압접(壓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이동 지원구.
  • 휠체어의 좌우 프론트 파이프 또는 좌우 레그 파이프 중 어느 것에, 협착 혹은 계착시켜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한 쌍의 장착 부재, 상기 한 쌍의 장착 부재가 양단부에 마련된 コ자 모양의 파이프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휠체어 이동 지원구로서,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협착부와, 그 협착부의 전방으로서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단부에 부설된 파지부와,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주위에 마련된 위치 조정 너트로 구성되며,
    상기 파지부가 휠체어의 프론트 파이프 또는 레그 파이프의 일부분을 파지하고,
    상기 위치 조정 너트를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축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협착부가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축심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협착부가 휠체어의 프론트 파이프 또는 레그 파이프의 일부분을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이동 지원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협착부가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주위에 마련된 나사산과 나사 접합되는 위치 조정 너트와 접촉하여, 그 위치 조정 너트를 파이프 프레임의 축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협착부가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축심을 따라 이동하여, 휠체어의 프론트 파이프 또는 레그 파이프의 일부분을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이동 지원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프레임은, 복수의 직경이 다른 파이프 프레임 부재로 이루어지며, 각 단(各段)의 파이프 프레임 부재가 끼워넣기식(入子式)으로 되어 있고, 다단(多段)의 파이프 프레임 부재가 직선적으로 신축되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이동 지원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프레임에서, 상기 장착 부재를 구비하는 일단과 반대인 타단의 형상은, L자 모양, J자 모양, 혹은 T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이동 지원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협착부가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주위에 마련된 나사산과 나사 접합되는 위치 조정 너트와 접촉하여, 그 위치 조정 너트를 파이프 프레임의 축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협착부가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축심을 따라 이동하여, 휠체어의 프론트 파이프 또는 레그 파이프의 일부분을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이동 지원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프레임은, 복수의 직경이 다른 파이프 프레임 부재로 이루어지며, 각 단의 파이프 프레임 부재가 끼워넣기식으로 되어 있고, 다단의 파이프 프레임 부재가 직선적으로 신축되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이동 지원구.
  • 삭제
  • 说明书全文

    휠체어 이동 지원구{WHEELCHAIR MOVEMENT ASSISTANCE DEVICE}

    본 발명은, 재해 시 등의 긴급 피난이나, 모래땅, 눈길, 자갈길, 진흙 늪 등과 같이 고르지 못한 땅(不整地)과 오르막길에서의 주행 이동을 지원하는 휠체어의 이동 지원구(支援具)에 관한 것이다.

    미리 설정된 가이드 수단을 따라 이동하는 견인 대차를 이용하여, 휠체어를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견인하는 휠체어 이동 지원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좌우 차륜을 지지하는 지지축 상에 판스프링을 통해 지지되는 좌석부와, 이 좌석부를 견인하기 위한 수레 손잡이(梶棒)를 구비한 인력거로서, 좌석부로서, 착석 부재, 등받이 부재 및 발 얹음 부재가 부설된 의자형의 좌석용 파이프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는 인력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또한, 대대적인 연결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휠체어 사용자 자신이 수동으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손가락 끝이나 손이 부자유스러운 사람이 운전한 경우라도 안전한 속도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한 간편 연결식 휠체어 견인차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3).

    또한, 오르막(句配)을 오르내리는 경우와 자갈길 등과 같이 요철이 있는 장소에서도 시중을 드는 사람(介助者)이, 시중을 받는 사람(被介助者)이 앉아 있는 휠체어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회동(回動) 아암이 붙어 있는 휠체어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4).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휠체어 이동 지원 장치의 경우, 미리 설정된 가이드 수단을 따라 이동하는 견인 대차를 사용하기 때문에, 재해 시 등의 긴급 피난이나, 모래땅, 눈길, 자갈길, 진흙 늪 등과 같이 고르지 못한 땅에서의 주행이나 오르막길에서의 주행은 어렵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좌석용 파이프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는 인력거의 경우, 일반적인 휠체어에 적용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간편 연결식 휠체어 견인차의 경우, 배터리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필요하여, 배터리 충전이 없어지면 견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4에 개시된 회동 아암이 붙어 있는 휠체어의 경우, 휠체어를 개조하여, 항상, 회동 아암이 장착되어 있으며, 휠체어 본체의 전후 방향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절첩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일반적인 휠체어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문제가 있다.

    동일본 대지진 재해와 같은 대규모 긴급 피난이 필요한 경우나, 모래땅, 눈길, 자갈길, 진흙 늪 등과 같이 고르지 못한 땅에서의 이동, 오르막길에서의 이동 등, 휠체어의 후방 손잡이부(그립)를 밀어서 이동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휠체어 이동 지원구는, 긴급 피난이 필요한 때, 일반적인 휠체어에 간편하게 또 단시간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보통 때, 휠체어 이동 지원구는,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고 수납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16351호 등록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 2012-035833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개 2004-135747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개 2007-125202호 공보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재해 시 등의 긴급 피난이나, 모래땅, 눈길, 자갈길, 진흙 늪 등과 같이 고르지 못한 땅에서의 주행과 오르막길에서의 휠체어의 주행 이동을 지원할 수 있고, 휠체어에 간편하게 또 단시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고 수납할 수 있는 휠체어 이동 지원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는, 휠체어의 프론트 파이프 또는 레그 파이프 중 어느 것에, 협착 혹은 계착(係着)시켜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 부재를 일단에 구비한 파이프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파이프 프레임의 타단을 견인하는 것에 의해 휠체어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휠체어는 시중을 드는 자가 후방에서 미는 것에 의해, 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휠체어로 재해 시 등의 긴급 피난이나, 휠체어의 고르지 못한 땅에서의 주행과 오르막길에서의 주행의 경우, 휠체어의 후방에서 양손으로 미는 것만으로는, 이동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는, 휠체어의 프론트 파이프 또는 레그 파이프 중 어느 것에, 협착 혹은 계착시켜 탈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장착 부재를 일단에 구비한 파이프 프레임의 타단을 견인하는 것에 의해, 휠체어를 견인하여, 휠체어로 재해 시 등의 긴급 피난이나, 휠체어의 고르지 못한 땅에서의 주행이나 오르막길에서의 주행 이동을 용이하게 지원한다.

    또, 휠체어 이동 지원구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으로 함으로써, 휠체어의 좌우 프론트 파이프 또는 좌우 레그 파이프에 장착하여, 좌우 파이프 프레임을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휠체어를 안전하게 견인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 프레임은, 경량의 수지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다. 파이프 프레임의 형상은 길게 뻗은 원기둥이나 다각기둥이다. 형상은 일부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파이프 프레임의 일단에는 프론트 파이프 또는 레그 파이프 중 어느 것에 탈착 가능하게 협착 혹은 계착될 수 있는 장착 부재가 마련되며, 타단은 사람이 손으로 쥐기 쉽도록 그립이나, 띠나 끈 등이 마련된다. 파이프 프레임의 타단 형상은, L자 모양, J자 모양, 혹은 T자 모양으로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사람이 손으로 쥐기 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 모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프레임은 복수의 직경이 다른 파이프 프레임 부재로 이루어지며, 각 단의 파이프 프레임 부재가 끼워넣기식으로 되어 있고, 다단의 파이프 프레임 부재가 직선적으로 신축되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2개의 직경이 다른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경우, 한쪽 파이프 프레임의 내경과 다른쪽 파이프 프레임의 외경이 대략 같아, 한쪽 파이프 프레임의 관 속을 다른쪽 파이프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는, 휠체어의 좌우 프론트 파이프 또는 좌우 레그 파이프 중 어느 것에, 협착 혹은 계착시켜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한 쌍의 장착 부재, 이 한 쌍의 장착 부재가 양단부에 마련된 コ자 모양의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휠체어를 안전하게 견인하여, 휠체어로 재해 시 등의 긴급 피난이나, 휠체어의 고르지 못한 땅에서의 주행이나 오르막길에서의 주행 이동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다.

    제 2 관점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에 있어서의 파이프 프레임은, 2개의 병행하는 파이프 프레임과 그들을 직교하는 방향에서 접속하는 파이프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평면도에서 コ자 모양의 형상을 나타내는 파이프 프레임이다.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복수의 파이프 프레임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파이프 프레임은, 경량의 수지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다. 봉 모양 부재의 형상은 길게 뻗은 원기둥이나 다각기둥이다. 형상은 일부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장착 부재는, 휠체어의 좌우 프론트 파이프 또는 좌우 레그 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것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것이면 된다. 예를 들면, 2개의 부재로 프론트 파이프 등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고정나사 훅 등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프론트 파이프 등을 끼워 넣은 상태를 유지하고, 프론트 파이프 등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에 있어서의 장착 부재는, 파이프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협착부와, 그 협착부의 전방으로서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단부에 부설된 파지부로 구성되며, 파지부가 휠체어의 프론트 파이프 또는 레그 파이프의 일부분을 파지하고, 협착부가 휠체어의 프론트 파이프 또는 레그 파이프의 일부분을 압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휠체어 이동 지원구를, 휠체어에 간편하게 단시간에 장착·분리할 수 있다.

    특히, 협착부가 파이프 프레임의 주위에 마련된 나사산과 나사접합되는 위치 조정 너트와 접촉하여, 그 위치 조정 너트를 파이프 프레임의 축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협착부가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축심을 따라 이동하여, 휠체어의 프론트 파이프 또는 레그 파이프의 일부분을 압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형태로서, 본 발명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에 있어서의 장착 부재는, 대략 원주 절반의 원호를 따라 만곡되는 형상을 구비한 한 쌍의 훅으로서, 서로 대치되는 방향으로 만곡이 형성된 한 쌍의 훅이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축심을 축대칭으로 하여 마련되고, 훅의 개방부를 막는 탈락 방지용 스토퍼가 파이프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훅의 개방부를 막는 탈락 방지용 스토퍼가 마련됨으로써, 휠체어로부터 휠체어 이동 지원구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로서, 본 발명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에 있어서의 장착 부재는, 아래의 (a) 지지봉, (b) 한 쌍의 훅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장착 부재에 의해, 휠체어의 레그 파이프에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다.

    (a) 상기 봉 모양 부재 혹은 파이프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봉 모양 부재 혹은 파이프 프레임을 관통하고 지지봉. 이 지지봉은, 봉 모양 부재 혹은 파이프 프레임의 단부에 고착된다.

    (b) 지지봉의 양단에 고정되며, 지지봉의 단면(斷面)에 병행한 면으로 대략 원주 절반의 원호를 따라 만곡되는 형상을 구비한 한 쌍의 훅. 이 한 쌍의 훅은, 서로 대치되는 방향으로 만곡이 형성되며, 지지봉의 길이 방향에서 본 경우에 한 쌍의 훅으로 둘러싸인 형상이 대략 원형이다.

    휠체어의 레그 파이프 하측을 거는 훅은, 휠체어의 레그 파이프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휠체어의 레그 파이프 상측을 거는 훅은, 휠체어의 레그 파이프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a) 지지봉, (b) 한 쌍의 훅에 더해, 또, (c)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휠체어의 레그 파이프와 휠체어 이동 지원구의 결합을 강하게 하여, 레그 파이프로부터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c) 휠체어의 레그 파이프 하측을 거는 훅과 지지봉의 접합부에 마련된, 레그 파이프 탈락 방지용 스토퍼.

    여기서, 스토퍼는, 훅의 개방부를 막는 부재나 띠이다. 예를 들면, 매직 테이프(등록상표)로 훅의 개방부를 막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에 있어서의 파이프 프레임은, 손잡이부 프레임과 좌우 한 쌍의 연계 프레임으로 분할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수납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분할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손잡이부 프레임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휠체어의 종류에 따라 다른 좌우 프론트 파이프 또는 레그 파이프의 간격 차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계 프레임이 복수의 파이프 모양 부재로 이루어지고, 각 단의 파이프 모양 부재가 끼워넣기식으로 되어 있으며, 다단의 파이프 모양 부재가 직선적으로 신축되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2개의 직경이 다른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한쪽 파이프 프레임의 내경과 다른쪽 파이프 프레임의 외경이 대략 같아, 한쪽 파이프 프레임의 관 속을 다른 파이프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은, 예를 들면, 핀이나 나사로 파이프 프레임의 슬라이드를 멈춰 전체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휠체어를 안전하게 견인하며, 휠체어로 재해 시 등의 긴급 피난이나, 휠체어의 고르지 못한 땅에서의 주행이나 오르막길에서의 주행 이동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고, 휠체어에 간편하게 또 단시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고 수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실시예 1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의 구성도(평면도).
    [도 2] 실시예 1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의 구성도(정면도).
    [도 3] 휠체어의 설명도.
    [도 4] 실시예 1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를 장착한 휠체어의 외관 측면도.
    [도 5] 실시예 1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의 이용 상태 설명도.
    [도 6] 실시예 2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를 휠체어에 장착한 모습의 부분 확대도.
    [도 7] 실시예 2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를 장착한 이미지 도면.
    [도 8] 실시예 3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의 구성도.
    [도 9] 실시예 4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해 간다. 또, 본 발명 범위는, 이하의 실시예나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많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1)는, 손잡이부 프레임(3)의 파이프 프레임과 2개의 연계 프레임(4)의 파이프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프레임(2)과, 휠체어(도시하지 않음)의 좌우 레그 파이프(1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좌우 한 쌍의 장착 부재(5)를 갖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부재(5)는, 파지부(6)와 협착부(7)와 위치 조정 너트(8)를 사용하여 레그 파이프(12)를 끼워 붙여, 레그 파이프(12)를 협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위치 조정 너트(8)는, 연계 프레임(4)의 파이프 프레임 주위에 마련된 나사산을 나사접합하며, 위치 조정 너트(8)를 파이프 프레임의 축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파이프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위치 조정 너트(8)는, 협착부(7)와 접촉해 있기 때문에, 위치 조정 너트(8)의 이동에 따라, 협착부(7)도 이동한다. 파지부(6)는, 대략 반원주(半圓周)의 원호를 따라 만곡되는 형상으로, 레그 파이프(12)의 일부(반원주)와 끼워 맞춰, 레그 파이프(12)를 파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파지부(6)와 협착부(7)가 레그 파이프(12)를 협착한다.

    또한, 도 1에서는, 파지부(6)와 협착부(7)가 레그 파이프(12)를 끼워 넣도록 되어 있으나, 레그 파이프(12) 대신에 프론트 파이프(11)를 끼워 넣어, 프론트 파이프(11)에 확고하게 협착할 수 있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파지부(6)와 협착부(7)로, 프론트 파이프(11)와 레그 파이프(12) 모두를 끼워 넣어, 프론트 파이프(11)와 레그 파이프(12)에 확고하게 협착할 수 있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손잡이부 프레임(3)의 파이프 프레임과 2개의 연계 프레임(4)의 파이프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프레임(2)은, 1개의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손잡이부 프레임(3)의 파이프 프레임과 연계 프레임(4)의 파이프 프레임이 분리 가능하고, 각각의 파이프 프레임 단부끼리가 나사장착, 혹은 협착 부재로 협착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 파이프 프레임(2)에는, 3개소(箇所)에 휠체어를 견인하는 사람이 쥐는 손 부분을 배려하여 고무 튜브(30)를 감아 붙이고 있다.

    도 2도 도 1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1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의 구성도이다. 도 1을 평면도로 한 경우, 도 2는 정면도가 된다.

    도 3은, 휠체어의 설명도로, 프론트 파이프(11)와 레그 파이프(12)에 관해, 휠체어 전체에서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를 장착한 휠체어의 외관 측면도이다. 도 4에서는, 레그 파이프(12)에 휠체어 이동 지원구를 장착하고 있다.

    도 5는, 실시예 1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의 이용 상태 설명도이다. 휠체어를 견인하는 사람(40)은, 파이프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장소로 들어가, 손잡이부 프레임(3)의 파이프 프레임을 밀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것에 의해, 땅, 눈길, 자갈길, 진흙 늪 등과 같이 고르지 못한 땅에서의 주행이나 오르막길에서의 휠체어의 주행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재해 시 등의 휠체어 긴급 피난 시에 재빠르게 이동이 가능하다.

    파이프 프레임에 있어서, 2개의 병행하는 연계 프레임(4)에 슈퍼마켓 장바구니를 걸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종래는 휠체어에서는 장바구니를 둘 장소가 없어 불편했다. 휠체어 뒷부분에 장바구니를 두는 스페이스를 마련하는 것은, 휠체어 중심이 후륜(타이어)의 중심축보다 후방이 될 우려가 있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에서는, 휠체어 전방에 장바구니를 둘 장소가 생기기 때문에, 휠체어 이용자에게 안전·안심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를 사용함으로써, 복수 대의 휠체어를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휠체어 후방에, 손잡이부 프레임(3)을 걸 수 있는 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복수 대의 휠체어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재해 시 등의 휠체어 긴급 피난에 있어서, 복수 대의 휠체어를 연결시켜 이동할 수 있는 것은 큰 장점이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실시예 2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 2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를 휠체어에 장착한 모습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실시예 2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를 장착한 이미지 도면이다.

    실시예 2에서는, 간단하게 휠체어에 장착 가능한 장착 부재를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장착 부재는, 파이프 프레임을 구성하는 연계 프레임(4)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계 프레임(4)을 관통하는 지지봉으로서, 연계 프레임(4)의 단부에 고착된 지지봉(41, 43)이 있다.

    또한, 이 지지봉(41, 43)의 양단에 고정되며, 지지봉(41, 43)의 단면에 병행한 면으로 대략 반원주의 원호를 따라 만곡되는 형상을 구비한 한 쌍의 훅(42, 45)이 있다. 한 쌍의 훅(42, 45)은, 서로 대치되는 방향으로 만곡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봉(41, 43)의 길이 방향에서 본 경우에 한 쌍의 훅(42, 45)으로 둘러싸인 형상은 대략 원형이다. 이 둘러싸인 부분에 휠체어의 레그 파이프를 위치시킨다.

    휠체어의 레그 파이프(12) 하측을 거는 훅(45)은, 휠체어의 레그 파이프(12)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휠체어의 레그 파이프(12) 상측 거는 훅(42)은, 휠체어의 레그 파이프(12)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휠체어의 레그 파이프(12) 하측을 거는 훅(45)과 지지봉(43)의 접합부에는, 레그 파이프(12)의 탈락 방지용 스토퍼(4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장착 부재에 따르면, 휠체어 이동 지원구를 간단하게 휠체어에 장착 가능하다.

    실시예 3

    다음으로, 실시예 3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 3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의 구성도(A는 평면도, B는 외관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3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는, 실시예 1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의 연계 프레임(4)의 파이프 프레임과, 휠체어(도시하지 않음)의 좌우 프론트 파이프(1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좌우 한 쌍의 장착 부재(5)와 그립용 고무 튜브(30)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부재(5)는, 파지부(6)와 협착부(7)와 위치 조정 너트(8)를 사용하여 프론트 파이프(11) 혹은 레그 파이프(12)를 끼워 붙이며, 프론트 파이프(11) 혹은 레그 파이프(12)를 협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4

    다음으로, 실시예 4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 4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의 휠체어 이동 지원구는, 장착 부재가 대략 반원주의 원호를 따라 만곡되는 형상을 구비한 한 쌍의 훅 모양의 파지부(6)로서, 서로 대치되는 방향으로 만곡이 형성된 한 쌍의 훅 모양의 파지부(6)가 연계 프레임(4)의 파이프 프레임의 축심을 축대칭으로 하여 마련되며, 훅 모양 파지부(6)의 개방부를 막는 탈락 방지용 스토퍼(9)가 파이프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기구(50)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9(A)는 파지부(6)의 개방부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9(B)는 탈락 방지용 스토퍼(9)가 슬라이드되어 파지부(6)의 개방부가 막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휠체어의 재해 시 이동 지원구로서 유용하다.

    1 휠체어 이동 지원구
    2 파이프 프레임
    3 손잡이부 프레임
    4 연계 프레임
    5 장착 부재
    6 파지부(把持部)
    7 협착부(挾着部)
    8 위치 조정 너트
    9 탈락 방지용 스토퍼
    10 그립
    11 프론트 파이프
    12 레그 파이프
    13 좌석 시트
    14 풋 플레이트
    15 아암 파이프
    16 크로스 파이프
    17 팔걸이
    18 등(背) 밴드
    19 백레스트 파이프
    20 후륜(타이어)
    21 전륜(캐스터)
    22 핸드 림
    23 브레이크 레버
    24 브레이크 슈
    25 샤프트 플레이트
    26 레그 벨트
    30 고무 튜브
    40 휠체어를 견인하는 사람
    41, 43 지지봉
    42, 45 훅
    44 스토퍼
    50 슬라이드 기구
    51 스토퍼 파지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