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申请号 KR1020130024760 申请日 2013-03-08 公开(公告)号 KR101339077B1 公开(公告)日 2013-12-09
申请人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发明人 엄시내; 나경석; 신유나; 윤용; 김한성;
摘要 A docking device for a bicycle and a wheelchair includes a vertical moving shaft, a shock absorbing unit, a horizontal moving shaft, a wheelchair width control unit, and a wheelchair shaft connection unit. The vertical moving shaft is connected to a saddle pin connecting a saddle unit and a pedal of the bicycle. The shock absorbing unit absorbs impact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vertical moving shaft. The horizontal mov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moving shaft to be able to rotate. The wheelchair width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by considering the width of the wheelchair. One end of the wheelchair shaft conne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moving shaf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wheelchair width control unit.
权利要求
  • 자전거의 안장부와 페달을 연결하는 안장축에 연결되는 상하이동축;
    상기 상하이동축의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
    상기 상하이동축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좌우이동축;
    휠체어의 아래 부분에서 휠체어 폭을 고려하여 연결되는 휠체어폭조절부;
    일단은 상기 좌우이동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휠체어폭조절부에 연결되는 휠체어측연결부; 및
    한 쌍의 휠체어의 앞바퀴축들에 고정된 휠체어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휠체어폭조절부는,
    상기 휠체어측연결부와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휠체어연장부와 연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축은 상기 안장축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축과 상기 상하이동축은 제1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좌우이동축은 상기 상하이동축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좌우이동축은 상기 상하이동축과 연결되는 전단부 및 상기 휠체어측연결부와 연결되는 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장치.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축과 상기 휠체어측연결부는 제2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좌우이동축은 상기 휠체어측연결부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단은 볼조인트(ball-joint)로 상기 좌우이동축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축의 양 끝단의 높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수평부는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휠체어측연결부와 길이가 변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평부는 상기 휠체어연장부와 길이가 변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축과 자전거의 뒷바퀴의 중앙을 연결하는 경사축에 연결되는 완충부연결축;
    상기 상하이동축에 고정되는 완충부지지축; 및
    일단은 상기 완충부연결축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완충부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상하이동축의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축에 고정되는 완충부지지축; 및
    일단은 상기 안장축과 자전거의 뒷바퀴의 중앙을 연결하는 경사축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완충부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상하이동축의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축과 자전거의 뒷바퀴 중앙을 연결하는 경사축에 연결되는 클램프 부위와 완충지지부 사이에 힌지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장치.
  • 说明书全文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DOCKING APPARATUS BETWEEN A BICYCLE AND A WHEELCHAIR}

    본 발명은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와 휠체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 노약자 또는 장애인 등의 이동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는 휠체어는, 최근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이고 이동 수단의 신속성 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휠체어의 개발은 수요의 한계 등의 이유로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그 결과 다른 제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술 향상이 부족한 상황이다. 물론, 자동식 휠체어도 개발된 상황이긴 하지만 높은 가격 등을 이유로 많이 보급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휠체어 사용자들은 직접 바퀴를 굴려 이동하거나 보조자가 밀어주는 수동식 휠체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수동식 휠체어의 경우 장시간 이동시, 또는 경사진 길의 이동시 등에는 사용자 또는 보조자 모두 쉽게 피로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동 거리 및 이동 환경에 제약이 있다.

    이러한 수동식 휠체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49465호에서는 자전거의 앞부분에 휠체어를 탑재하는 구조의 휠체어 운송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자전거에 탑재된 휠체어의 경우, 자전거 운전의 어려움이나 자전거가 넘어지는 등의 사고시 휠체어에 탑승한 탑승자가 위험하게 되는 등의 문제를 가진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 관계를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는 상하이동축, 완충부, 좌우이동축, 휠체어폭조절부 및 휠체어측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이동축은 자전거의 안장부와 페달을 연결하는 안장축에 연결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상하이동축의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좌우이동축은 상기 상하이동축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휠체어폭조절부는 휠체어의 아래 부분에서 휠체어 폭을 고려하여 연결된다. 상기 휠체어측연결부는 일단은 상기 좌우이동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휠체어폭조절부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이동축은 상기 안장축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좌우이동축과 상기 상하이동축은 제1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좌우이동축은 상기 상하이동축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좌우이동축과 상기 휠체어측연결부는 제2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좌우이동축과 상기 휠체어측연결부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단은 볼조인트(ball-joint)로 상기 좌우이동축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좌우이동축의 양 끝단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휠체어의 앞바퀴축들에 고정된 휠체어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체어폭조절부는, 상기 휠체어측연결부와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휠체어연장부와 연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수평부는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휠체어측연결부와 길이가 변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평부는 상기 휠체어연장부와 길이가 변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장축과 자전거의 뒷바퀴의 중앙을 연결하는 경사축에 연결되는 완충부연결축, 상기 상하이동축에 고정되는 완충부지지축, 및 일단은 상기 완충부연결축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완충부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상하이동축의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이동축에 고정되는 완충부지지축, 및 일단은 상기 안장축과 자전거의 뒷바퀴의 중앙을 연결하는 경사축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완충부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상하이동축의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장축과 자전거의 뒷바퀴 중앙을 연결하는 경사축에 연결되는 클램프 부위와 완충지지부 사이에 힌지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전거와 휠체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하이동축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축을 통해 연결하고, 상하이동축의 충격을 완충부가 흡수하여, 휠체어 탑승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축이 상기 상하이동축에 대하여 좌우 회전이 가능하므로, 자전거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어 휠체어로 전달되므로, 자전거와 휠체어가 보다 안정적으로 곡선을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축과 휠체어측연결부는 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볼조인트를 통해 연결되므로, 자전거가 넘어지는 등의 비상상황에서 휠체어가 동시에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휠체어 탑승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축은 양 끝단의 높이를 달리하여, 자전거와 휠체어의 높이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축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휠체어 앞바퀴를 들어올리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휠체어와 자전거의 높이차를 보상해 줄 수 있어, 휠체어 탑승자의 편의성 및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휠체어폭조절부는 휠체어측연결부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자전거와 휠체어 사이의 간격을 다르게 할 수 있고, 휠체어연장부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다양한 휠체어 폭에 맞도록 결합 길이를 다르게 할 수 있어, 조립의 우수성 및 범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자전거와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좌우이동축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2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휠체어와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에서 자전거와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에서 휠체어와의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1000)는 제1 고정부(10), 상하이동축(20), 완충부지지축(30), 완충부(40), 완충부연결축(50), 좌우이동축(60), 휠체어측연결부(70), 휠체어폭조절부(80) 및 휠체어연장부(90)를 포함한다. 상기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끝단은 자전거(1)와 연결되며, 다른쪽 끝단은 휠체어(100)와 연결된다. 그리하여, 자전거 탑승자가 상기 자전거(1)를 이동시키면, 상기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100)에 의해 상기 휠체어(100)도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자전거(1)는 안장부(2), 뒷바퀴(3), 페달(6), 상기 안장부로부터 상기 페달(6)까지 연장된 안장축(4), 및 상기 안장축(4)의 상부에서 상기 뒷바퀴(3)의 중앙부까지 연장된 경사축(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체어(100)는 의자부(110), 상기 의자부의 양 측면에 연결된 손잡이부(130), 앞바퀴부(140), 뒷바퀴부(150), 및 상기 손잡이부(130)로부터 상기 앞바퀴부(140)까지 연장된 휠체어축(1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자전거(1) 및 상기 휠체어(100)는 도 1에 도시된 형태 외의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1000)도 상기 자전거 및 상기 휠체어의 형태 및 구조에 적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10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자전거와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고정부(10)는 상기 상하이동축(20)의 일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상하이동축(20)과 상기 안장축(4)을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고정부(10)는 상기 안장축(4)과는 클램프의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하이동축(20)은 상기 제1 고정부(10)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이동축(20)은 전체적으로 상기 자전거(1)의 움직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자전거(1)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이 상기 휠체어(10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제한된다.

    상기 완충부연결축(50)은 상기 경사축(5)의 임의의 위치에 제2 고정부(13)를 통해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고정부(13)는 상기 경사축(5) 중, 상기 뒷바퀴(3)의 중앙부와 인접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부(10)와 동일하게 클램프의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 연결축은 상기 제2 고정부(13)에 대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힌지축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완충부연결축(50)은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며, 예를 들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상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20)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완충부지지축(30)이 상기 상하이동축(20) 상에 고정된다. 상기 완충부지지축(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상하이동축(20)이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상하이동축(20)을 고정한다.

    즉, 상기 완충부지지축(30)은 상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고정편들(17)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편들(17) 사이에 상기 상하이동축(2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편들(17) 사이에는 제3 고정부(15)가 위치하여, 상기 상하이동축(15)은 상기 고정편들(17) 사이의 제3 고정부(15)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완충부지지축(30)이 상기 상하이동축(20)과 서로 고정되므로, 상기 상하이동축(2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완충부지지축(30)도 상하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된다.

    상기 고정편(17)의 끝단에는 상기 완충부(40)가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편(17)의 끝단과 상기 완충부(40)는 제4 고정부(16)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40)의 다른 끝단은 앞서 설명한 상기 완충부연결축(50)에 고정된다. 상기 완충부(40)는 외부에는 스프링이 고정되며 내부에는 공압이 채워져 있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한다.

    즉, 상기 완충부(40)는 상기 완충부지지축(30) 및 상기 완충부연결축(50)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완충부지지축(30) 및 상기 완충부연결축(50) 사이에 전다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이 경우, 상기 완충부(40)는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지면에 수직인 방향의 충격을 주로 흡수한다.

    이와 같이, 상기 완충부(40)에 의해, 자전거의 상하방향의 진동, 즉 안장축(4)에 가해지는 상하방향의 진동이 상기 상하이동축(20)으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상하이동축(20)의 상하방향의 진동, 및 상기 자전거의 뒷바퀴(3)에 가해지는 상하방향의 진동이 흡수된다. 그리하여, 상기 상하이동축(20)에 직접 전달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은 최소화되어, 상기 상하이동축(20)과 연결된 상기 휠체어(100)로 전달된다.

    도 3은 도 1에서 좌우이동축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좌우이동축(60)은 일단은 상기 상하이동축(20)과 연결되며, 반대쪽인 타단은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에 연결된다.

    상기 좌우이동축(60)은 상기 상하이동축(20)과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가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와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좌우이동축(60)은 상기 상하이동축(20)으로부터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를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진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전거(1)의 높이가 휠체어(100) 보다 높으므로, 상기 좌우이동축(60)의 양 끝단의 높이를 달리하여, 이러한 높이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좌우이동축은 상단부와 하단부로 나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다양한 자전거와 휠체어의 높이차를 보상해 주며 휠체어 앞바퀴를 들어올리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범용성 및 휠체어 탑승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좌우이동축(60)은 상기 상하이동축(20)과 제1 연결부(22)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좌우이동축(60)은 상기 상하이동축(20)에 대하여 상기 제1 연결부(22)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자전거와 휠체어가 곡선 주행시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좌우이동축(60)은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와는 제2 연결부(31)를 통해 연결된다.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서 제2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연결부(31)는 제1 끝단(28) 및 제2 끝단(29)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끝단(28)은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끝단(29)은 상기 좌우이동축(60)과 연결된다.

    상기 제1 끝단(28)은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와 별도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지 않고,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와 상기 제2 연결부(3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상기 제2 끝단(29)은 상기 좌우이동축(6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좌우이동축(60)은 상기 제2 연결부(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끝단(29)은 예를 들어, 볼조인트(ball-joint)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끝단(29)은, 예를 들어, 5~10도의 범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축(60)이 상기 제2 연결부(31)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자전거(1)가 전복되거나 급격하게 이동하는 등의 긴박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좌우이동축(60)이 상기 제2 연결부(31)에 대하여 회전하여 충격 및 이동을 보상할 수 있으므로, 상기 휠체어(100)에 충격 및 이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상기 자전거(1)의 전복이나 급격한 움직임이 있더라도, 상기 휠체어(100)가 동시에 전복되거나 급격하게 움직이지 않게 되어, 상기 휠체어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서 휠체어와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좌우이동축(60)과 연결된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는 상기 휠체어폭조절부(80) 및 상기 휠체어연장부(90)와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100)와 상기 자전거(1)가 서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휠체어(100)는 다양한 종류 및 크기로 제작되며, 사용자의 체구나 장애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제작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상기 휠체어(100)의 뒷바퀴부들(150) 사이의 폭도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폭의 휠체어에 모두 연결이 가능하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휠체어폭조절부(80) 및 상기 휠체어연장부(90)가 전체 결합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된다.

    우선, 상기 휠체어연장부(90)는, 휠체어(100)의 앞바퀴부(140)로부터 연장된 앞바퀴축(141)에 일 끝단이 고정된다. 즉, 상기 휠체어연장부(90)는 상기 앞바퀴축(141)과 제3 연결부(25)를 통해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연결부(25)는, 예를 들어, 클램프일 수 있다.

    상기 휠체어연장부(90)는 한 쌍의 앞바퀴축(141)과 연결되어 한 쌍의 앞바퀴축(141)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지만, 중앙부가 서로 연결되지는 않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그리하여, 후술할 상기 휠체어폭조절부(80)와의 연결을 통해 휠체어 폭에 맞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휠체어폭조절부(80)는 연장부(81) 및 수평부(82)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81) 및 상기 수평부(82)는 'ㅗ'자 형상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장부(81)는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와 제6 고정부(23)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는 상기 연장부(81)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6 고정부(23)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81)를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 내부로 삽입하는 길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상기 휠체어(100)와 상기 자전거(1)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부(82)는 상기 휠체어연장부(90)와, 상기 수평부(82) 및 상기 휠체어연장부(90) 전체의 길이가 변화되도록 제7 고정부(24)를 통해 서로 고정된다. 즉, 상기 휠체어연장부(90)의 중앙의 이격부를 통해 상기 수평부(82)가 위치한 후, 상기 휠체어연장부(90)가 상기 수평부(82)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7 고정부(24)를 통해 상기 휠체어연장부(90) 및 상기 수평부(82)가 서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휠체어연장부(90)가 상기 수평부(82)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휠체어(100)의 폭에 맞도록 상기 휠체어연장부(90) 및 상기 수평부(82)를 서로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에서 자전거와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1100)에서는 상기 완충부연결축(50)이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10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1100)에서는, 완충부(41)의 일 끝단은 상기 고정편(17)과 상기 제4 고정부(16)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완충부(41)의 다른 끝단은 상기 제2 고정부(13)에 의해 상기 경사축(5)에 직접 고정된다. 그리하여, 별도의 완충부연결축(50)이 생략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상기 상하이동축(20)의 상하방향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완충부(41)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에서 휠체어와의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와의 연결부는 도 5에서 설명한 휠체어와의 연결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휠체어와의 연결부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휠체어와의 연결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는 휠체어폭조절부(180) 및 휠체어연장부(190)와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100)와 상기 자전거(1)가 서로 연결된다.

    한편, 도 7에서는 상기 휠체어연장부(190)의 끝단이 휘어져 상부로 연장되지 않고 일자로 연장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상기 휠체어(100)의 뒷바퀴부들(150)의 구조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며, 도 5에서와 같이 끝단이 휘어져 상부로 연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뒷바퀴부들(150) 사이의 폭의 변화에 따라 상기 휠체어연장부(19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휠체어폭조절부(180)는 길이조절부(191)를 매개로 상기 휠체어연장부(190)와 결합된다. 즉, 제7 고정부(124)는 상기 길이조절부(191)에 형성된 홈과 임의의 위치에서 결합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으로 상기 휠체어연장부(19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폭조절부(180)는 연장부(181) 및 수평부(182)를 포함하며, 'ㅗ'자 형상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장부(181)는 제6 고정부(123)를 통해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와 길이가 변하도록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82)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연장부(190)와 상기 길이조절부(19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7 고정부(124)를 통해 길이가 변하도록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휠체어연장부(190)의 양 끝단에 고정된 제3 연결부(125)에 손잡이부(126)가 고정된 연결부재가 고정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126)는 일반적인 나사형태의 고정부와 달리 손잡이가 용이하도록 연장된 부분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대적으로 동작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 등의 사용자가 상기 휠체어연장부(190)를 상기 휠체어(100)에 고정하는 경우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전거와 휠체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하이동축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축을 통해 연결하고, 상하이동축의 충격을 완충부가 흡수하여, 휠체어 탑승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축이 상기 상하이동축에 대하여 좌우 회전이 가능하므로, 자전거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어 휠체어로 전달되므로, 자전거와 휠체어가 보다 안정적으로 곡선을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축과 휠체어측연결부는 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볼조인트를 통해 연결되므로, 자전거가 넘어지는 등의 비상상황에서 휠체어가 동시에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휠체어 탑승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축은 양 끝단의 높이를 달리하여, 자전거와 휠체어의 높이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축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휠체어 앞바퀴를 들어올리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휠체어와 자전거의 높이차를 보상해 줄 수 있어, 휠체어 탑승자의 편의성 및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휠체어폭조절부는 휠체어측연결부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자전거와 휠체어 사이의 간격을 다르게 할 수 있고, 휠체어연장부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다양한 휠체어 폭에 맞도록 결합 길이를 다르게 할 수 있어, 조립의 우수성 및 범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는 자전거와 휠체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 : 자전거 10 : 제1 고정부
    13 : 제2 고정부 15 : 제3 고정부
    16 : 제4 고정부 17 : 고정편
    18 : 제5 고정부 20 : 상하이동축
    22 : 제1 연결부 23, 123 : 제6 고정부
    24, 124 : 제7 고정부 25, 125 : 제3 연결부
    28 : 제1 끝단 29 : 제2 끝단
    30 : 완충부지지축 31 : 제2 연결부
    40, 41 : 완충부 50 : 완충부연결축
    60 : 좌우이동축 70 : 휠체어측연결부
    80, 180 : 휠체어폭조절부 81, 181 : 연장부
    82, 182 : 수평부 90, 190 : 휠체어연장부
    191 : 길이 조절부 126 : 손잡이부
    1000 :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