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기

申请号 KR1020167004344 申请日 2015-12-03 公开(公告)号 KR1020160086813A 公开(公告)日 2016-07-20
申请人 교와 아그멘토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마사키사다오;
摘要 간병인의부담을경감시킨다. 대향하는상변과하변을갖는ㄷ자형상의프레임과, 돌출부재와, 상기돌출부재의선단부에접속된제1 아암과, 상기제1 아암의선단부에회동가능하도록접속된제2 아암과, 상기제1 아암의선단부끼리를접속하는제1 봉상체와, 상기제2 아암끼리를접속하는제2 봉상체와, 상기상변에고정된파지부재에회동가능하도록파지된실린더와, 상기실린더의선단부와상기제1 봉상체와접속하는접속부재와, 상기상변에고정된, 긴구멍을갖는긴 구멍부재와, 상기긴 구멍에계합된계합핀에고정된제3 아암과, 상기제2 봉상체에고정되고, 상기제3 아암의타단을접속하는아암접속부재와, 상기하변에접속된다리부와, 상기프레임및 상기다리부에장착된복수의차륜을구비하는이승기.
权利要求
  • 피간병인을 이승시키기 위한 이승기로서,
    대향하는 상변과 하변을 갖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상변에 설치된 상기 피간병인을 들어 올리기 위한 이승 수단과,
    상기 하변에 설치된 다리부를 구비한 이승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승 수단은,
    상기 상변에 고정된 한 쌍의 돌출 부재와,
    한 쌍의 상기 돌출 부재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된 한 쌍의 제1 아암과,
    한 쌍의 상기 제1 아암의 각각의 선단부에 하나씩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된 한 쌍의 제2 아암과,
    한 쌍의 상기 제1 아암의 선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제1 봉상체와,
    한 쌍의 상기 제2 아암끼리를 접속하는 제2 봉상체와,
    상기 상변에 고정된 파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파지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와 상기 제1 봉상체를 상기 실린더가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상기 상변에 고정된, 긴 구멍을 갖는 긴 구멍 부재와,
    상기 긴 구멍에 계합된 계합핀에 일단이 고정된 제3 아암과,
    상기 제2 봉상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3 아암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3 아암의 타단을 접속하는 아암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프레임의 ㄷ자 형상의 면에 대해, 상기 제2 아암측으로 신장되도록 상기 하변에 접속되고,
    상기 다리부에는 차륜이 장착된 이승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 내에서의 상기 계합핀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켰을 때, 상기 제2 아암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하 이동하는 모드와, 상기 제2 아암이 상기 프레임 방향이 아래가 되도록 경사시켜 상하 이동하는 모드를 변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승기.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킴으로써 측면 방향에 대한 투영도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 내의 위치로부터 상기 아암 접속 부재와 상기 제3 아암의 접속부까지의 거리를 A로 하고,
    상기 돌출 부재와 상기 제1 아암의 접속부로부터 상기 아암 접속 부재와 상기 제3 아암의 접속부까지의 거리를 B로 했을 때,
    A=B가 되는 위치가 상기 긴 구멍 내에 존재하고, 당해 위치에 상기 계합핀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켰을 때, 상기 제2 아암을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이승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승 수단은,
    상기 상변에 고정된 돌출 부재와,
    상기 돌출 부재의 선단부에 제1 핀을 개재하여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된 제1 아암과,
    상기 제1 아암의 타단의 선단부에 상기 제1 아암이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된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접속된 한 쌍의 제2 아암과,
    상기 상변에 고정된 파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의 일단이 접속된 실린더 및 계합핀용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타단의 선단부와 상기 제1 핀을 접속하고, 상기 실린더의 신축 운동을 상기 제1 핀의 회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부재와,
    상기 상변에 고정된, 긴 구멍을 갖는 긴 구멍 부재와,
    상기 긴 구멍에 계합하여, 상기 계합핀용 실린더의 타단의 선단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계합핀용 실린더의 신축 운동에 의해 상기 긴 구멍 내를 이동 가능한 계합핀과,
    상기 계합핀에 일단이 고정된 제3 아암과,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3 아암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3 아암의 타단을 접속하는 아암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프레임의 ㄷ자 형상의 면에 대해, 상기 제2 아암과 동일한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상기 하변에 접속되고,
    상기 다리부에는 차륜이 장착된 이승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 내에서의 상기 계합핀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켰을 때, 상기 제2 아암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하 이동하는 모드와, 상기 제2 아암이 상기 프레임 방향이 아래가 되도록 경사시켜 상하 이동하는 모드를 변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승기.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킴으로써 측면 방향에 대한 투영도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 내의 위치로부터 상기 아암 접속 부재와 상기 제3 아암의 접속부까지의 거리를 A로 하고,
    상기 돌출 부재와 상기 제1 아암의 접속부로부터 상기 아암 접속 부재와 상기 제3 아암의 접속부까지의 거리를 B로 했을 때,
    A=B가 되는 위치가 상기 긴 구멍 내에 존재하고, 당해 위치에 상기 계합핀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켰을 때, 상기 제2 아암을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하 이동시키는 이승기.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변과 하변을 연결하는 부재가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상변과 상기 하변의 간격이 조정 가능한 이승기.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2 아암이 한 쌍의 상기 제2 아암 사이에 끼워진 공간을 감싸도록 만곡되어 있고,
    한 쌍의 상기 제2 아암이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승기.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를 2개 갖고,
    2개의 상기 다리부는 서로 간격이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승기.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를 2개 갖고,
    2개의 상기 다리부는 그 접속부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승기.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를 2개 갖고,
    상기 다리부는 그 일부가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이승기.
  • 说明书全文

    이승기{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피간병인을 침대, 휠체어, 화장실 등의 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이승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병인이 한 명뿐이어도 피간병인의 이승이 가능한 이승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간병이 필요한 노령자의 증가에 따라, 간병인의 부담 증가가 문제가 되고 있다. 간병인은 피간병인을 침대에서 휠체어로, 휠체어에서 화장실 좌변기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어, 매우 힘든 노동이다. 간병인 중에는 피간병인을 들어 올리는 동작을 반복하기 때문에, 허리를 다쳐 퇴직하는 경우도 많고, 퇴직하는 간병인이 증가하게 되면, 나머지 간병인의 부담이 증가하여, 나머지 간병인도 허리를 다쳐 퇴직하게 되는 악순환에 빠져 있다.

    이에, 간병인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피간병인의 이동을 돕기 위한 이승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이승기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대차와, 상기 대차에 기립하는 위치에서, 전후로 기울어져 이동 가능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설치된 피간병인의 흉부를 지지하기 위한 흉부 지지부와, 상기 지주의 하부의 양측 방향에 각각 설치된 피간병인의 정강이부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정강이부 지지부를 구비한 이승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로써, 의료 종사자나 간병인 혹은 환자나 피간병인에 대한 육체적, 정신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모터 등의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이승 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4573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승기는 침대 사이드로부터 침대에 삽입할 수 없기 때문에, 피간병인이 누운 방향에서 이승기에 탈 수 없어, 간병인은 피간병인을 일으켜 그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었다. 또한, 피간병인을 엉덩이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벨트를 피간병인의 엉덩이 아래에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두 명의 간병인이 피간병인을 안아 올려 엉덩이를 들어 올린 후, 벨트를 배치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결국 두 명의 간병인이 필요하고, 피간병인을 들어 올리기 때문에, 허리에 부담이 가해졌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승기는 피간병인을 이승기에 태우기 위해, 결국 두 명이 피간병인을 들어 올릴 필요가 있어, 간병인의 수적 부담도 크며, 간병인의 허리에 대한 부담도 큰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병인의 수적 부담 및 간병인의 허리에 대한 부담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승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승기는 피간병인을 이승시키기 위한 이승기로서, 대향하는 상변과 하변을 갖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상변에 설치된 상기 피간병인을 들어 올리기 위한 이승 수단과, 상기 하변에 설치된 다리부를 구비한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ㄷ자 형상의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ㄷ자 형상의 프레임의 상변과 하변 사이에 침대를 끼워 넣도록 하여 침대에 이승기를 삽입할 수 있어, 피간병인이 침대에 누운 위치 그대로 몸을 일으키는 것만으로 이승기에 태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이승기는 상기 이승 수단은 상기 상변에 고정된 한 쌍의 돌출 부재와, 한 쌍의 상기 돌출 부재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된 한 쌍의 제1 아암과, 한 쌍의 상기 제1 아암의 각각의 선단부에 하나씩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된 한 쌍의 제2 아암과, 한 쌍의 상기 제1 아암의 선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제1 봉상체와, 한 쌍의 상기 제2 아암끼리를 접속하는 제2 봉상체와, 상기 상변에 고정된 파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파지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와 상기 제1 봉상체를 상기 실린더가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상기 상변에 고정된, 긴 구멍을 갖는 긴 구멍 부재와, 상기 긴 구멍에 계합된 계합핀에 일단이 고정된 제3 아암과, 상기 제2 봉상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3 아암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3 아암의 타단을 접속하는 아암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프레임의 ㄷ자 형상의 면에 대해, 상기 제2 아암측으로 신장되도록 상기 하변에 접속되고, 상기 다리부에는 차륜이 장착된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ㄷ자 형상의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ㄷ자 형상의 프레임의 상변과 하변 사이에 침대를 끼워 넣도록 하여 침대에 이승기를 삽입할 수 있어, 피간병인이 침대에 누운 위치 그대로 몸을 일으키는 것만으로 이승기에 태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간병인의 부담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승기는 상기 긴 구멍 내에서의 상기 계합핀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켰을 때, 상기 제2 아암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하 이동하는 모드와, 상기 제2 아암이 상기 프레임 방향이 아래가 되도록 경사시켜 상하 이동하는 모드를 변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피간병인의 겨드랑이 아래에 제2 아암을 삽입하고, 프레임 방향이 아래가 되도록 제2 아암을 경사시켜 상승시킴으로써, 피간병인의 허리가 올라가기 때문에, 간병인은 혼자서도 피간병인의 엉덩이 아래에 벨트를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피간병인을 들어 올릴 필요가 없으므로, 허리에 대한 부담도 경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승기는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킴으로써 측면 방향에 대한 투영도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 내의 위치로부터 상기 아암 접속 부재와 상기 제3 아암의 접속부까지의 거리를 A로 하고, 상기 돌출 부재와 상기 제1 아암의 접속부로부터 상기 아암 접속 부재와 상기 제3 아암의 접속부까지의 거리를 B로 했을 때, A=B가 되는 위치가 상기 긴 구멍 내에 존재하고, 당해 위치에 상기 계합핀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켰을 때, 상기 제2 아암을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제2 아암을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피간병인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이승기에 태우고 내릴 수 있다.

    또한, 추가로 본 발명의 이승기는 상기 이승 수단은 상기 상변에 고정된 돌출 부재와, 상기 돌출 부재의 선단부에 제1 핀을 개재하여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된 제1 아암과, 상기 제1 아암의 타단의 선단부에 상기 제1 아암이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된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접속된 한 쌍의 제2 아암과, 상기 상변에 고정된 파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의 일단이 접속된 실린더 및 계합핀용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타단의 선단부와 상기 제1 핀을 접속하고, 상기 실린더의 신축 운동을 상기 제1 핀의 회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부재와, 상기 상변에 고정된, 긴 구멍을 갖는 긴 구멍 부재와, 상기 긴 구멍에 계합하여, 상기 계합핀용 실린더의 타단의 선단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계합핀용 실린더의 신축 운동에 의해 상기 긴 구멍 내를 이동 가능한 계합핀과, 상기 계합핀에 일단이 고정된 제3 아암과,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3 아암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3 아암의 타단을 접속하는 아암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프레임의 ㄷ자 형상의 면에 대해, 상기 제2 아암과 동일한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상기 하변에 접속되고, 상기 다리부에는 차륜이 장착된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ㄷ자 형상의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ㄷ자 형상의 프레임의 상변과 하변 사이에 침대를 끼워 넣도록 하여 침대에 이승기를 삽입할 수 있어, 피간병인이 침대에 누운 위치 그대로 몸을 일으키는 것만으로 이승기에 태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간병인의 부담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계합핀용 실린더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수동에 의하지 않고, 계합핀의 위치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승기는 상기 긴 구멍 내에서의 상기 계합핀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켰을 때, 상기 제2 아암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하 이동하는 모드와, 상기 제2 아암이 상기 프레임 방향이 아래가 되도록 경사시켜 상하 이동하는 모드를 변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피간병인의 겨드랑이 아래에 제2 아암을 삽입하고, 프레임 방향이 아래가 되도록 제2 아암을 경사시켜 상승시킴으로써, 피간병인의 허리가 올라가기 때문에, 간병인은 혼자서도 피간병인의 엉덩이 아래에 벨트를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피간병인을 들어 올릴 필요가 없으므로, 허리에 대한 부담도 경감된다. 또한, 계합핀용 실린더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모드의 변환을 수동에 의하지 않고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승기는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킴으로써 측면 방향에 대한 투영도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 내의 위치로부터 상기 아암 접속 부재와 상기 제3 아암의 접속부까지의 거리를 A로 하고, 상기 돌출 부재와 상기 제1 아암의 접속부로부터 상기 아암 접속 부재와 상기 제3 아암의 접속부까지의 거리를 B로 했을 때, A=B가 되는 위치가 상기 긴 구멍 내에 존재하고, 당해 위치에 상기 계합핀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켰을 때, 상기 제2 아암을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제2 아암을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피간병인을 안전하며 안정적으로 이승기에 태우고 내릴 수 있다.

    또한, 추가로 본 발명의 이승기는 상기 프레임의 상변과 하변을 연결하는 부재가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상변과 상기 하변의 간격이 조정 가능한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침대, 휠체어, 변기 등의 이승원, 이승처의 높이에 맞추어 이승기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피간병인의 이승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승기는 한 쌍의 상기 제2 아암이 한 쌍의 상기 제2 아암 사이에 끼워진 공간을 감싸도록 만곡되어 있고, 한 쌍의 상기 제2 아암이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제2 아암을 회동시킴으로써 넓힌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피간병인을 용이하게 제2 아암 사이에 들어가게 할 수 있고, 그 상태로 제2 아암을 회동시켜 좁힘으로써, 피간병인의 겨드랑이 아래에 제2 아암을 용이하게 세트할 수 있다. 또한, 제2 아암이 내측을 감싸도록 만곡되어 있으므로, 피간병인의 등도 제2 아암으로 서포트할 수 있어, 피간병인이 뒤로 기대어 있어도 제2 아암으로 서포트하여 피간병인이 뒤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승기는 상기 다리부를 2개 갖고, 2개의 상기 다리부는 서로 간격이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휠체어의 차륜의 폭이나, 변기의 폭 등, 이승원, 이승처의 사이즈에 맞추어 2개의 다리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휠체어의 경우는 차륜 사이에 2개의 다리부가 들어가도록 다리부의 간격을 조정하고, 변기의 경우는 변기를 2개의 다리부 사이에 끼워 넣도록 다리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이승원, 이승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본 발명의 이승기는 상기 다리부를 2개 갖고, 2개의 상기 다리부는 그 접속부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2개의 다리부를 회동시켜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휠체어의 차륜의 폭이나, 변기의 폭 등, 이승원, 이승처의 사이즈에 맞추어 2개의 다리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휠체어의 경우는 차륜 사이에 2개의 다리부가 들어가도록 다리부의 간격을 조정하고, 변기의 경우는 변기를 2개의 다리부 사이에 끼워 넣도록 다리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이승원, 이승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승기는 상기 다리부를 2개 갖고, 상기 다리부는 그 일부가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휠체어의 차륜의 폭이나, 변기의 폭 등, 이승원, 이승처의 사이즈에 맞추어 2개의 다리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휠체어의 경우는 차륜 사이에 2개의 다리부가 들어가도록 다리부의 간격을 조정하고, 변기의 경우는 변기를 2개의 다리부 사이에 끼워 넣도록 다리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이승원, 이승처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승기는 간병인의 수적 부담 및 간병인의 허리에 대한 부담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승기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승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이승기의 작동에 의해 피간병인의 허리가 올라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이승기에 의해 피간병인을 들어 올리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아암의 각도를 나타내는 이승기의 측면 방향에 대한 투영도이다.
    도 6은 침대에서의 피간병인의 이승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프레임이 신축 기능을 갖는 이승기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8은 다리부가 그 접속부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이승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투구뿔의 턱형상의 다리부를 갖는 이승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승기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과는 상이한 방향에서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승기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승기의 계합핀 부근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2 아암의 각도를 나타내는 이승기의 측면 방향에 대한 투영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승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술한다.

    [제1 실시형태]

    (1)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승기(100)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승기(100)는 상변(102A)과 하변(102B)을 갖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102)으로 구성되고, 상변(102A)에는 피간병인을 들어 올리기 위한 이승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승 수단은 이하에 설명하는 상변(102A)에 설치되어 있는 것 전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변(102A)에는 파지 부재(104)와, 긴 구멍 부재(106)와, 한 쌍의 돌출 부재(108, 108)가 설치되고, 하변(102B)에 한 쌍의 다리부(110, 110)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 부재(108, 108)의 선단부에는 한 쌍의 제1 아암(112, 112)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아암(112, 112)의 각각의 선단부(돌출 부재(108)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선단부)에는 하나씩 한 쌍의 제2 아암(114, 114)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아암(114, 114)은 ㄷ자 형상의 프레임(102)의 ㄷ자 형상의 면에 대해 길이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아암(114, 114)의 선단부(제1 아암(112)과 접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선단부)는 수평 방향 내측으로 회동하여(도시하지 않음) 고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피간병인을 제2 아암(114, 114) 사이에 끼웠을 때, 제2 아암(114, 114)의 각각의 선단부를 내측으로 회동시켜 고정함으로써, 피간병인은 이 부분에 등을 기댈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피간병인도 안심하고 이승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아암(112, 112)의 제2 아암(114)측 선단부끼리는 제1 봉상체(116)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한 쌍의 제2 아암(114, 114)의 제1 아암(112)측 선단부끼리는 제2 봉상체(11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봉상체(116)와 제2 봉상체(118)는 도 1에서는 개별체로 나타내고 있지만, 일체여도 된다. 또한, 반드시 봉상이 아니라 판상 등 그 밖의 형상이어도 된다. 즉, 제1 봉상체(116)와 제2 봉상체(118)는 각각 제1 아암(112, 112)의 선단부끼리와, 제2 아암(114, 114)의 선단부끼리를 접속하는 것이면, 형상에 상관없이 제1 봉상체(116)와 제2 봉상체(118)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파지 부재(104)의 상부에는 실린더(120)가 회동 가능하도록 파지되어 있다. 여기서, 파지 부재(104)는 도 1에 있어서는 2장의 판상체로 구성되어 있지만, 1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실린더(120)는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전동 실린더 등 임의의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지만, 전동 모터와 기어로 구동되는 전동 실린더가 유압, 공압의 배관이 불필요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파지 부재(104)는 파지 부재라는 명칭으로 했지만, 반드시 실린더(120)를 파지할 필요는 없으며, 실린더(120)를 회동 가능하도록 유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유지 방법이어도 된다. 따라서, 파지 부재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지만, 실린더(120)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라는 의미이며, 파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린더(120)의 선단부(파지 부재(104)에 파지되어 있지 않은 측의 선단부)는 제1 봉상체(116)에 설치된 접속 부재(122)에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긴 구멍 부재(106)에는 긴 구멍(106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 구멍(106A)에 계합된 긴 구멍(106A) 내에서 회동 가능한 계합핀(124)에는 제3 아암(126)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제3 아암(126)의 타단은 제2 봉상체(118)에 고정된 아암 접속 부재(128)에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하변(102B)과 다리부(110, 110)에는 복수의 차륜(13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다리부(110)는 1개 이상이면 되지만, 2개가 바람직하다. 1개로는 불안정하고, 3개 이상 있어도 별로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한 쌍의 제1 아암(112, 112)의 각각에는 벨트(132)의 일단과 타단이 접속된다. 벨트(132)는 제1 아암(112) 상에 있어서는 제1 아암(112)과 제2 아암(114)의 접속부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휠체어에서의 작동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작동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승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휠체어(200)에 앉아 있는 피간병인을 이승시킬 때의 동작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피간병인의 도면을 생략하여 기재한 것이다.

    휠체어(200)에 이승기(100)를 가까이하여, 도 2(A)의 상태일 때, 피간병인(도시하지 않음)의 겨드랑이 아래에 제2 아암(114)을 끼운다.

    다음으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합핀(124)(제1 아암(112)의 그림자로 보이지 않음)을 긴 구멍(106A)의 상부에 위치시켜, 실린더(120)를 수축시킨다. 이로써, 제2 아암(114)은 제1 아암(112)과 일직선상에 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기울어져(피간병인측이 위가 되도록 기울어져) 상승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아암(114)과 제1 아암(112)이 일직선상에 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제1 아암(112)과 돌출 부재(108)의 접속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로써, 도 3(이승기의 작동에 의해 피간병인의 허리가 올라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간병인(300)은 겨드랑이 아래를 제2 아암(114)에 의해 비스듬히(몸의 앞쪽이 아래이고, 뒷쪽이 위가 되도록) 들어 올릴 수 있으므로, 휠체어(200)의 좌면(302)으로부터 엉덩이가 올라가게 된다.

    이로써, 간병인(도시하지 않음)은 혼자서도 용이하게 벨트(132)를 피간병인(300)의 엉덩이 아래에 설치할 수 있다. 종래의 이승기에서는 벨트를 피간병인의 엉덩이 아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두 명의 간병인이 피간병인을 들어 올릴 필요가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이승기(100)에서는 이와 같이 간병인 혼자서도 피간병인(300)의 엉덩이 아래에 벨트(132)를 설치할 수 있다.

    피간병인(300)의 엉덩이 아래에 벨트(132)를 설치한 후,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120)를 신장시켜 제2 아암(114)을 내림으로써 피간병인을 휠체어(200)에 앉힌 후, 계합핀(124)을 긴 구멍(106A)의 하부에 수동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120)를 수축시킴으로써, 제2 아암(114)은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기울지 않고 상승한다.

    이로써, 도 4(이승기에 의해 피간병인을 들어 올리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132)에 의해 피간병인(300)의 엉덩이를 들어 올려 지지함과 함께 제2 아암(114)에 의해 피간병인(300)을 겨드랑이 아래로부터도 지지하므로, 피간병인(300)을 불안하게 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이러한 도 4의 상태로, 이승기(100)를 화장실이나 침대 등의 이승처로 이동시킨다. 이승기(100)에는 차륜(13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피간병인(300)을 들어 올린 상태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승처인 침대나 화장실 등에 있어서 피간병인(300)을 상기와는 반대의 순서로 내림으로써, 피간병인(300)을 침대나 화장실 등의 이승처로 이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승기(100)는 긴 구멍 부재(106)에 형성된 긴 구멍(106A) 내에서 계합하는 계합핀(124)의 긴 구멍(106A) 내에서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계합핀(124)을 지지점으로 한 제3 아암(126)의 동작에 의해, 실린더(120)를 수축시켰을 때 제2 아암(114)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승하는 모드와, 제1 아암(112)과 제2 아암(114)이 일직선상에 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제2 아암(114)이 상승하는 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3) 작동시의 제2 아암 각도

    다음으로, 실린더(120)를 신축시켰을 때의 제2 아암(114)의 각도에 대해 도 1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2 아암(114)의 각도를 나타내는 이승기의 측면 방향에 대한 투영도이다. 도 5에서는 각 각도의 제2 아암(114)을 나타내고 있지만,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기호의 첨부는 일부 생략되어 있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여, 계합핀(124)이 측면 방향에 대한 투영도에 있어서 제1 아암(112)과 돌출 부재(108)의 접속부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경우, 실린더(120)가 수축됨으로써, 제3 아암(126)은 이 위치(x 2 )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므로, 즉,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아암(112)과 돌출 부재(108)의 접속부와 동일한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1 아암(112)과 동일하게 회전하므로, 제3 아암(126)에 지지된 제2 아암(114)은 제1 아암(112)과 일직선상에 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회전한다.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한 결과, 측면에 대한 투영도에 있어서, 긴 구멍(106A) 내의 계합핀(124)의 위치(x 1 )와 제3 아암(126)과 아암 접속 부재(128)의 접속 위치(a)의 거리를 A(x 1 -a간 거리)로 하고, 제1 아암(112)과 돌출 부재(108)의 접속 위치 b와 a의 거리를 B(ba간 거리)로 했을 때, A=B가 되는 위치(x 1 )에 계합핀(124)이 위치했을 때, 실린더(120)가 수축됨으로써, 제2 아암(114)은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승하는 것을 알아 내었다.

    본 발명의 이승기(100)는 긴 구멍(106A) 내에 A=B가 되는 위치(x 1 )가 존재하고, 이 위치에 계합핀(124)을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제2 아암(114)을 수평 상태인 채로 상승, 하강시킬 수 있다. 이로써, 피간병인은 겨드랑이 아래에 제2 아암(114)을 끼운 상태로, 몸을 기울이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 채로 몸의 상승, 하강이 가능해지므로, 공포감을 느끼지 않으며, 안정적인 이승이 가능해진다.

    (4) 침대에서의 작동

    다음으로, 침대에 있는 피간병인의 이승에 대해 도 6,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침대에서의 피간병인의 이승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승기(100)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102)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침대(310) 사이드로부터 상변(102A)과 하변(102B) 사이에 침대(310)를 끼워 넣도록 침대(310)에 삽입할 수 있다.

    이로써,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운 상태의 피간병인(300)의 눈 앞에 제2 아암(114)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간병인은 피간병인(300)의 방향을 바꿀 필요도 없이, 단지 일으켜 겨드랑이 아래에 제2 아암(114)을 배치하는 것만으로 된다. 이에 비해, 종래의 이승기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102)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침대(310) 사이드로부터 이승기를 삽입할 수 없으므로, 간병인은 피간병인을 일으키고, 방향을 바꾸어 침대 사이드에 앉히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였다.

    우선, 이승기(100)를 침대(310) 사이드로부터 침대(310)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피간병인(300)을 일으켜 겨드랑이 아래에 제2 아암(114)을 삽입하고, 계합핀(124)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2 아암(114)이 기울어져 상승(하강)하는 모드로 하여, 제2 아암(114)을 상승시킨다. 이로써, 피간병인(300)이 앞으로 기울면서 피간병인(300)의 엉덩이가 약간 올라가므로, 간병인(도시하지 않음)은 신속히 벨트(132)를 피간병인(300)의 엉덩이 아래에 배치하고, 제2 아암(114)을 하강시킨다.

    다음으로, 계합핀(124)의 위치를 조정해, 제2 아암(114)이 수평으로 상승(하강)하는 모드로 하여, 제2 아암(114)을 상승시킨다. 이로써, 피간병인(300)은 엉덩이 아래는 벨트(132)에 의해 서포트되고, 겨드랑이 아래는 제2 아암(114)에 의해 지지되므로, 안전하며 안정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들어 올린 피간병인(300)을 이승기(100)를 이동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휠체어 등의 앞에 데려와, 피간병인(300)을 이승시킨다. 피간병인(300)을 이승시킬(내려놓을) 때는 상기와는 반대의 순서로 행할 수 있다. 즉, 제2 아암(114)이 수평 상태인 채로 상승, 하강하는 모드인 채로 이승처에서 하강시켜 피간병인(300)을 일단 이승처에 내려놓는다.

    다음으로, 계합핀(124)의 위치를 조정해, 제2 아암(114)의 프레임측 선단이 아래가 되도록 기울어진 상태(제1 아암(112)과 제2 아암(114)이 일직선상인 상태)로 상승(하강)하는 모드로 하여, 제2 아암(114)을 상승시키고, 피간병인(300)을 앞으로 기울게 함으로써 엉덩이를 약간 올라가게 하여, 신속히 엉덩이 아래로부터 벨트(132)를 빼낸다.

    마지막으로, 제2 아암(114)을 하강시켜 피간병인(300)을 이승처에 완전히 이승시키고, 겨드랑이 아래로부터 제2 아암(114)을 빼냄으로써, 이승을 완료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이승시킬 수 있다.

    (5) 이승기 각부의 변형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승기(100)의 각부의 변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프레임(102)이 신축 기능을 갖는 이승기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02)의 수직 부분, 즉, 상변(102A)과 하변(102B)을 접속하는 부분이 신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신축 기능은 종래 채용되고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외통 내에 내통이 삽입되고, 임의의 위치에서 나사 등의 스토퍼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통 내에 내통이 삽입되는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타입의 경우에는 상변(102A)측과 하변(102B)측 중 어느 것이 외통이거나 혹은 내통이어도 된다.

    이로써, 침대의 높이나, 휠체어의 높이, 화장실의 좌변기 등의 이승원이나 이승처의 높이에 따라 상변(102A)과 하변(102B)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피간병인(300)의 이승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다리부(110)가 그 접속부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이승기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다리부(110, 110)는 그 밑동 부분(하변(102B)과의 접속부)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해도 된다. 또한, 회동했을 때의 임의의 각도로 회동을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써, 2개의 다리부(110, 110) 사이에, 화장실의 좌변기의 사이즈가 지나치게 커서 들어가지 않는 경우여도, 2개의 다리부(110, 110)의 선단부를 넓힘으로써 화장실의 좌변기를 2개의 다리부(110, 110) 사이에 넣어, 이승기(100)를 화장실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휠체어의 차륜 사이에 다리부(110, 110)를 넣을 때, 휠체어의 종류에 따라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2개의 다리부(110, 110) 선단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휠체어의 차륜과 차륜 사이에 2개의 다리부(110, 110)를 삽입하여, 이승기(100)를 휠체어에 세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2개의 다리부(110, 110)의 간격을 넓히거나, 혹은 좁히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승기(100)를 다양한 이승원이나 이승처에 대응시킬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다리부(110, 110)의 간격을 넓히거나, 혹은 좁히는 방법으로는, 상술한 것 이외에 2개의 다리부(110, 110)가 평형 상태를 유지한 채로 슬라이드하여 간격을 넓히거나, 혹은 좁히는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2개의 다리부(110, 110) 중 하나 혹은 양쪽 모두의 하변(102B)과의 접속부가 하변(102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이러한 구조로는, 다리부(110)를 빼내어, 하변(102B)의 다른 위치에 장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조나, 다리부(110)와 하변(102B)의 접속부가 하변(102B)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는 구조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리부(110, 110)끼리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여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다리부(110, 110)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혹은, 간격을 바꿀 수 있는 경우(각도를 바꾸는 경우도 포함함)에도 당초의 2개의 다리부(110, 110)의 간격은 260㎜∼300㎜가 바람직하며, 280㎜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가 예의 연구에 의해, 이 간격의 경우, 휠체어나 화장실의 변기 등 다양한 이승원, 이승처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다음으로, 다리부(110, 110)의 그 밖의 변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투구뿔의 턱형상의 다리부를 갖는 이승기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부(110, 110)는 투구뿔의 턱형상이어도 된다. 즉, 다리부(110, 110)는 하변(102B)에 설치된 대좌(400)에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다리부(110, 110)는 도중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대좌(400)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며, 다리부(110, 110)는 하변(102B)에 직접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휠체어나 화장실의 변기 등 다양한 이승원, 이승처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1) 구성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승기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설명하며, 공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작동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효과도 동일하므로, 공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승기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과는 상이한 방향에서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승기의 사시도이다.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승기(101)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승기(100)에 있어서, 계합핀용 실린더(500)를 사용함으로써, 수동에 의하지 않고 긴 구멍(106A) 내의 계합핀(124)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실린더(120)는 제1 실시형태의 위치에 장착할 수 없기 때문에, ㄷ자 형상의 프레임(102)을 포함하는 면(프레임면으로 칭한다)의 맞은편측(프레임면에 대해 종래 실린더가 있던 측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상변(102A)에 고정된 돌출 부재(108)에는 제1 핀(502)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아암(112)은 일방의 단부가 제1 핀(502)에 접속되고, 타방의 단부가 지지 부재(504)를 구성하는 회동 가능한 핀(504A)에 접속된다. 지지 부재(504)에는 내측을 감싸도록 만곡된 제2 아암(114, 114)이 설치되고, 제2 아암(114, 114)은 지지 부재(504)와의 접속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이 만곡되고, 회동 가능한 제2 아암(114, 114)은 제1 실시형태의 이승기(100)가 구비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지지 부재(504)도 포함하여 제1 실시형태가 구비되어도 되고, 제1 실시형태의 제2 아암(114, 114)이 동일하게 만곡되어 있어도 되며, 추가로, 제1 실시형태의 제2 아암(114, 114)이 그 도중 또는 제1 아암(112)과의 접속부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2 아암(114, 114)이 각각 내측을 감싸도록 만곡되어 있음으로써, 피간병인의 겨드랑이 아래에 제2 아암(114, 114)을 설치하여, 피간병인(도시하지 않음)의 등도 제2 아암(114, 114)에 의해 서포트되므로, 피간병인이 뒤로 쓰러지지 않고, 안전하며 안정적으로 피간병인을 이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아암(114, 114)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2 아암(114, 114)을 넓혀 피간병인을 제2 아암(114, 114) 사이에 넣은 후, 제2 아암(114, 114)을 닫음으로써, 용이하게 피간병인의 겨드랑이 아래에 제2 아암(114, 114)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아암(114, 114)을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피간병인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제2 아암(114, 114)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폭이 넓은 신체 사이즈의 피간병인을 안전하며 안정적으로 이승시킬 수 있다. 회동 가능한 제2 아암(114, 114)은 임의의 회동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의 위치에서 회동할 수 없도록 고정됨으로써, 피간병인이 기대면 제2 아암(114, 114)이 벌어져, 피간병인이 제2 아암(114, 114)으로부터 빠져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파지 부재(104)에는 실린더(120)의 일단과, 계합핀용 실린더(500)의 일단이 파지 부재(104)를 끼고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실린더(120)의 타단의 선단부는 실린더(120)의 신축 운동을 제1 핀(502)의 회동 운동으로 변화시키는 변환 부재(506)에 접속되어 있다.

    변환 부재(506)는 실린더(120)의 타단의 선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하는 회동 부재(506A)와, 회동 부재(506A)를 제1 핀(502)을 접속하는 레버(506B)로 구성된다. 실린더(120)가 신장됨으로써, 레버(506B)가 제1 핀(502)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므로, 그 회동에 의해 제1 핀(502)도 회동하게 된다. 제1 핀(502)이 회동함으로써, 제1 아암(112)이 제1 핀(502)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므로, 결국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실린더(120)의 신축에 의해, 제1 아암(112)이 돌출 부재(108)와의 접속부(즉, 제1 핀(502))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 도 11에 추가하여, 도 12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승기의 계합핀(124) 부근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계합핀용 실린더(500)의 타단의 선단에는 회동 가능하도록 계합핀(124)이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계합핀용 실린더(500)를 신축시킴으로써, 계합핀(124)의 긴 구멍(106A) 내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 고정시킬 수 있다.

    제3 아암(126)은 그 일단이 긴 구멍(106A) 내에서 회동 가능한 계합핀(124)에 접속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504)에 고정된 아암 접속 부재(128)에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하변(102B)에는 하변(102B)과의 접속부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된 2개의 다리부(110, 11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다리부(110, 110)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변화가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또한, 이승기(101)의 각부의 변형도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이승기(100)의 변화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2) 작동시의 제2 아암 각도

    다음으로, 실린더(120)를 신축시켰을 때의 제2 아암(114)의 각도에 대해 도 10∼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2 아암(114)의 각도를 나타내는 이승기의 측면 방향에 대한 투영도이다. 제2 아암(114)의 각도에 대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이하에 설명한다.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합핀(124)(제1 핀(502)의 그림자에 가려 져 있음)이 측면 방향에 대한 투영도에 있어서 제1 아암(112)과 돌출 부재(108)의 접속부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경우, 실린더(120)가 신장됨으로써, 제3 아암(126)은 이 위치(x 2 )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므로, 즉,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아암(112)과 돌출 부재(108)의 접속부와 동일한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1 아암(112)과 동일하게 회전하므로, 제3 아암(126)에 지지된 제2 아암(114)은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아암(112)과 일직선상에 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회전한다.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한 결과, 측면에 대한 투영도에 있어서, 긴 구멍(106A) 내의 계합핀(124)의 위치(x 1 )와 제3 아암(126)과 아암 접속 부재(128)의 접속 위치(a)의 거리를 A(x 1 -a간 거리)로 하고, 제1 아암(112)과 돌출 부재(108)의 접속 위치 b와 a의 거리를 B(ba간 거리)로 했을 때, A=B가 되는 위치(x 1 )에 계합핀(124)이 위치했을 때, 실린더(120)가 신장됨으로써 제2 아암(114)은 도 13(C),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승하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의 이승기(101)는 긴 구멍(106A) 내에 A=B가 되는 위치(x 1 )가 존재하고, 이 위치에 계합핀(124)을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제2 아암(114)을 수평 상태로 상승, 하강시킬 수 있다. 이로써, 피간병인은 겨드랑이 아래에 제2 아암(114)을 끼운 상태로, 몸을 기울이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 채로 몸의 상승, 하강이 가능해지므로, 공포감을 느끼지 않으며, 안정적인 이승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이승기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승기(101)의 휠체어에서의 작동, 침대에서의 작동 등,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작동 및 그 효과는 완전히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100… 이승기, 101… 이승기, 102… 프레임, 102A… 상변, 102B… 하변, 104… 파지 부재, 106… 긴 구멍 부재, 106A… 긴 구멍, 108… 돌출 부재, 110… 다리부, 112… 제1 아암, 114… 제2 아암, 116… 제1 봉상체, 118… 제2 봉상체, 120… 실린더, 122… 접속 부재, 124… 계합핀, 126… 제3 아암, 128… 아암 접속 부재, 130… 차륜, 132… 벨트, 200… 휠체어, 300… 피간병인, 302… 좌면, 310… 침대, 400… 대좌, 500… 계합핀용 실린더, 502… 제1 핀, 504… 지지 부재, 504A… 핀, 506… 변환 부재, 506A… 회동 부재, 506B… 레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