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초제거장치

申请号 KR2020110007829 申请日 2011-08-29 公开(公告)号 KR2020130001573U 公开(公告)日 2013-03-08
申请人 양금모; 发明人 양금모;
摘要 잡초제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잡초제거장치는 파이프 형상의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파이프 형상의 연장프레임;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연장프레임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그립부;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를 잡고 누르는 동작에 의해 오므려져서 잡초를 움켜잡는 잡초파지유닛; 및, 상기 연장프레임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발로 밟아 상기 그립부를 잡고 누르는 힘에 추가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잡초파지유닛이 잡초를 움켜잡게 하거나, 또는, 상기 연장프레임이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해 꺾인 상태에서 상기 잡초파지유닛에 파지된 잡초를 지렛대 원리로 뽑아내게 하는 지렛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权利要求
  • 파이프 형상의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파이프 형상의 연장프레임;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연장프레임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그립부;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를 잡고 누르는 동작에 의해 오므려져서 잡초를 움켜잡는 잡초파지유닛; 및,
    상기 연장프레임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발로 밟아 상기 그립부를 잡고 누르는 힘에 추가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잡초파지유닛이 잡초를 움켜잡게 하거나, 또는, 상기 연장프레임이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해 꺾인 상태에서 상기 잡초파지유닛에 파지된 잡초를 지렛대 원리로 뽑아내게 하는 지렛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초 파지 유닛은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로 상호 간격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지지부재;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 1 회동축부;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 2 회동축부;
    일측이 상기 제 1 회동축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 1 핑거부재;
    일측이 상기 제 2 회동축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 1 핑거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핑거부재; 및,
    상기 제 1 회동축부 및 상기 제 2 회동축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핑거부재 및 상기 제 2 핑거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1 핑거부재과 상기 제 2 핑거부재가 상호 회전함에 따라 중심축이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유동 회전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핑거부재 및 상기 제 2 핑거부재는 각각 아치 형상이고 서로 마주하는 형상이며,
    상기 잡초 파지 유닛은 상기 제 1 핑거부재와 상기 제 2 핑거부재의 사이 간격이 벌어진 초기 상태의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핑거부재와 상기 제 2 핑거부재가 상호 오므려져 잡초를 파지하는 제 2 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잡초 파지 유닛은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상하유동 회전축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유동 회전축부를 상기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킴으로써 상기 잡초 파지 유닛을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대한 외력 제거시 상기 잡초 파지 유닛이 상기 제 2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유닛은
    상기 그립부 상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바아;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바아와 상기 상하유동 회전축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작동바아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와이어가 당겨져 상기 제 2 위치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렛대 부재는 길이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핑거부재 및 상기 제 2 핑거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장치.
  • 说明书全文

    잡초제거장치{WEEDS REMOVAL APPARATUS}

    본 고안은 잡초를 제거하기 위한 잡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전동방식의 예초기를 사용하는 방식과 사용자의 힘만으로 사용되는 잡초제거기구를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전동 예초기를 사용하는 방법은 전기 또는 석유와 같은 연료를 사용하는 비용적인 문제가 있고, 소음 발생이 심하여, 무게가 무거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통상적인 곡괭이, 삽, 갈퀴와 같이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힘만으로 잡초를 제거할 수 있지만, 보다 잡초제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잡초제거장치들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98-036141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319108호 등에서 제안되어 왔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잡초제거효율을 향상시킨 잡초제거장치들도 사용자가 힘을 덜 쓰면서도 용이하게 잡초를 제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대한 한계를 개선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힘을 많이 들이지 않고도 보다 용이하게 잡초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잡초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잡초제거장치는 파이프 형상의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파이프 형상의 연장프레임;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연장프레임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그립부;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를 잡고 누르는 동작에 의해 오므려져서 잡초를 움켜잡는 잡초파지유닛; 및, 상기 연장프레임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발로 밟아 상기 그립부를 잡고 누르는 힘에 추가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잡초파지유닛이 잡초를 움켜잡게 하거나, 또는, 상기 연장프레임이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해 꺾인 상태에서 상기 잡초파지유닛에 파지된 잡초를 지렛대 원리로 뽑아내게 하는 지렛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잡초 파지 유닛은,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로 상호 간격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지지부재;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 1 회동축부;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 2 회동축부; 일측이 상기 제 1 회동축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 1 핑커 부재; 일측이 상기 제 2 회동축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 1 핑거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핑거부재; 및, 상기 제 1 회동축부 및 상기 제 2 회동축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핑거부재 및 상기 제 2 핑거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1 핑거부재과 상기 제 2 핑거부재가 상호 회전함에 따라 중심축이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유동 회전축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핑거부재 및 상기 제 2 핑거부재는 각각 아치 형상이고 서로 마주하는 형상이며, 상기 잡초 파지 유닛은 상기 제 1 핑거부재와 상기 제 2 핑거부재의 사이 간격이 벌어진 초기 상태의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핑거부재와 상기 제 2 핑거부재가 상호 오므려져 잡초를 파지하는 제 2 위치;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잡초 파지 유닛은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상하유동 회전축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유동 회전축부를 상기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킴으로써 상기 잡초 파지 유닛을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대한 외력 제거시 상기 잡초 파지 유닛이 상기 제 2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유닛은 상기 그립부 상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바아;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바아와 상기 상하유동 회전축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작동바아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와이어가 당겨져 상기 제 2 위치가 유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렛대 부재는 길이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핑거부재 및 상기 제 2 핑거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그립부를 잡고 누르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제 1 핑거부재와 제 2 핑거부재가 오므려져 잡초를 파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렛대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뿌리가 커서 뽑히기 힘든 잡초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제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잡초제거장치의 제 1 핑거부재 및 제 2 핑거부재가 벌어진 초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잡초제거장치의 제 1 핑거부재 및 제 2 핑거부재가 잡초를 움켜 잡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연장 프레임이 본체 프레임에 대해 꺾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제거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잡초제거장치는 본체 프레임(101), 연장프레임(102), 그립부(111), 잡초파지유닛(120)을 포함한다.

    본체프레임(101)과 연장프레임(102)은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 프레임(101)과 연장프레임(102)의 접하는 부분에는 경첩(105)이 설치되어, 본체프레임(101)과 연장프레임(102)이 서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체프레임(101) 및 연장프레임(102)은 경첩(105)이 설치된 반대쪽에는 각각 제 1 삽입구(107)와 제 2 삽입구(108)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삽입구(107,108)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핀(190)이 설치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본체프레임(101)과 연장프레임(102)이 일직선상에 서로 마주하고 있을 때는 제 1 및 제 2 삽입구(107,108)에 고정핀(109)을 꽂아두어 일직선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고정핀(109)을 뽑게 되면, 연장프레임(102)이 경첩(105)에 의해 본체프레임(101)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된다. 즉, 연장프레임(102)은 본체프레임(101)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립부(111)는 사용자가 잡기 위한 것으로 본체프레임(101)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립부(111) 하측에는 고정바(113)가 마련된다.

    잡초파지유닛(120)은 본체 프레임(101)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의해 오므려져서 잡초를 움켜잡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쌍의 제 1 핑거부재(121,122), 제 2 핑거부재(123), 제 1 및 제 2 지지부재(124a,124b), 제 1 회동축부(125), 제 2 회동축부(126) 및, 상하유동 회전축부(127)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 1 핑거부재(121,122) 및 제 2 핑거부재(123)는 각각 아치 형상으로 갖으며, 서로 마주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제 1 핑거부재(121,122) 및 제 2 핑거부재(123)의 마주하는 면에는 돌기(128)가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지지부재(124a,124b)는 본체프레임(101)의 양 측면과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하부로 갈수록 상호 간격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 1 회동축부(125) 및 제 2 회동축부(126)는 각각 제 1 및 제 2 지지부재(124a,124b)의 하단에 결합된다. 제 1 회동축부(125)에는 한 쌍의 제 1 핑거부재(121,122)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제 1 핑거부재(121,122)는 제 1 회동축부(125)의 양끝단에 연결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제 2 회동축부(126)에는 제 2 핑거부재(123)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 2 핑거부재(123)는 한 쌍의 제 2 핑거부재(121,122) 사이에 배치된다.

    상하유동 회전축부(127)는 제 1 회동축부(125)와 제 2 회동축부(126)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핑거부재(121,122) 및 제 2 핑거부재(123)의 겹치는 부분과 축 결합되어,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상호 회전된다.

    잡초파지유닛(120)은 도 3과 같이,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의 사이 간격이 벌어진 초기 상태의 제 1 위치와, 도 4와 같이 제 2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서로 오므려져 사이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잡초를 파지하게 되는 제 2 위치를 갖게 된다.

    상하유동 회전축부(127)는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과정에서 중심축이 상하로 이동되게 된다. 즉, 상하유동 회전축부(127)는 도 4와 같은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오므려지는 과정에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도 3과 같이 벌어지는 과정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도 3과 같이,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벌어진 초기 상태에서 그립부(111)를 잡고 지면을 향해 누르면, 지지부재(124a,124b)가 제 1 및 제 2 회전축부(125,126)에 F와 같은 힘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핑거부재(121,122)가 제 1 회동축부(125)에 대해 A1방향(정방향)으로 회동하고, 제 2 핑거부재(123)는 제 2 회동축부(126)에 대해 A2방향(역방향)으로 회동하며, 상하유동 회전축부(127)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도 4와 같이 오므려진다.

    이처럼, 사용자가 그립부(111)를 잡고 지면으로 향해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서로 오므려져 잡초를 파지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잡초파지유닛(120)은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오므려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될 시, 벌어져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 타입의 탄성부재(137)를 더 구비한다.

    이를 위해, 상하유동 회전축부(127)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131)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131)의 상부에는 유동 지지판(135)이 설치되며, 본체프레임(101)의 내부에는 중공부를 갖는 고정 지지판(136)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137)는 유동지지판(135)과 고정지지판(136)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도 4와 같이 오므려져 상하유동 회전축부(127)가 상방으로 올라가면 탄성부재(137)가 압축되어 상하유동 회전축부(127)를 본체프레임(10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그립부(111)를 잡고 지면을 향해 누르는 동작에 의해,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오므려진 다음, 사용자가 누르는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137)에 의해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벌어져 도 3과 같은 초기상태가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잡초제거장치는 지렛대 부재(151)를 더 포함한다.

    지렛대 부재(151)는 연장프레임(102)의 일측면에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지렛대 부재(151)는 길이 조절가능하도록 외관(152)과 내관(153)으로 구성된다.

    외관(152)은 연장프레임(102)과 동일한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프레임(102)에 일측면과 결합구(158)를 이용해 직각으로 결합된다. 이 경우, 결합구(158)는 연장프레임(102)과 외관(152)에 볼트부재(B1)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볼트부재(B1)를 풀어 외관(152)을 연장프레임(10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외관(152)에는 핀 통과공(152a)이 형성된다.

    외관(152)의 하측에는 삼각형 형상의 보강 플레이트(154)가 구비된다. 보강 플레이트(154)의 측면이 연장프레임(102)과 접하도록 보강 플레이트(154)의 상단이 외관(152)의 하면에 결합된다. 보강 플레이트(154)에 의해 지렛대 부재(151)의 지지력이 향상된다.

    내관(153)은 외관(152)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고, 내관(15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길이조절공(153a)이 형성되고, 내관(153)의 끝단에는 받침판(157)이 결합된다.

    따라서, 내관(152)을 외관(152)으로부터 소정길이로 인출하거나 삽입된 상태에서 핀 통과공(152a) 및 길이조절공(153a)들 중 하나에 길이조절용 핀(155)을 삽입함으로써, 지렛대 부재(15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잡초파지유닛(120)의 제 2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위치고정유닛을 더 포함한다.

    위치고정유닛은 작동바아(132) 및 와이어(133)를 포함한다.

    작동바아(132)는 그립부(111)에 대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와이어(133)는 지지 브라켓(131)과 작동바아(132)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와이어(133)는 본체프레임(101)과 연장프레임(102)의 내부에 삽입되며, 와이어(133)의 상단은 작동바아(132)의 일측과 연장프레임(102)의 상부 내측에서 결합되고, 하단은 고정지지판(136)의 중공부, 스프링(137) 및 유동 지지판(135)을 통과하여 지지 브라켓(131)과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그립부(111)를 잡고 지면을 향해 누르는 힘을 가하여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오므려진 상태에서 작동바아(132)를 잡아 외력을 가하면 작동바아(132)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와 함께와이어(133)가 당겨져 사용자가 지면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더라도 작동바아(132)를 잡고 있기만 하면,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오므려진 상태진 상태 즉, 제 2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와이어(133)의 하단이 상하유동 회전축부(127)의 상단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131)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와이어(133)의 하단이 상하유동 회전축부(127)에 바로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작동바아(132)의 조작시 와이어(133)를 통해 상하유동 회전축부(127)의 상하 유동을 제한하기만 하면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제거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그립부(111)를 잡고 지면을 향해 누르는 힘을 가하면, 도 4와 같이, 잡초파지유닛(120)의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오므려져 잡초들이 뽑히면서 모아진다. 이 경우,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지면(G)과의 마찰력에 의해 잘 오므려지지 않으면, 사용자가 손으로 그립부(111)를 잡고 지면을 향해 누르는 동작과 더불어 발을 사용해 지렛대부재(151)를 밟아 하방으로 추가적인 힘을 작용시켜 잡초파지유닛(120)의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오므려지게 해 잡초들을 움켜잡게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손으로 작동바아(132)를 잡아 힘을 가한 후,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한 다음, 잡초를 지면(G)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다.

    한편, 잡초를 제거한 다음, 작동바아(132)에 가해졌던 사용자의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37)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는 다시 벌어져 도 3과 같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지면(G)으로부터 잘 뽑히는 않는 잡초들을 제거해야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그립부(111)를 잡고 지면을 향해 누르는 힘을 가해 도 4와 같이, 잡초파지유닛(120)의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오므려지게 한 후, 작동바아(132)를 잡아 힘을 가한다. 다음으로, 도 5와 같이, 고정핀(109)을 뽑아 연장프레임(102)을 본체프레임(101)에 대해 꺽은 후, 지렛대 부재(151)의 끝단을 지면(G)의 일부에 지지시키고 손으로 잡고 있는 그립부(111)를 지렛대 부재(151)에 대해 회동되게 하측으로 내림으로써, 제 1 핑거부재(121,122)와 제 2 핑거부재(123)가 오므려져 파지하고 있는 잡초를 지렛대 원리에 의해 쉽게 지면(G)으로부터 뽑아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1...본체프레임
    102...연장프레임
    111...그립부
    113...고정바
    107...제 1 삽입구
    108...제 2 삽입구
    109...고정핀
    120...잡초파지유닛
    121,122...제 1 핑거부재
    123...제 2 핑거부재
    124a,124b...지지부재
    125...제 1 회동축부
    126...제 2 회동축부
    127...상하유동 회전축부
    128...돌기
    131...지지 브라켓
    135...유동지지판
    136...고정지지판
    137...탄성부재
    151...지렛대 부재
    152...외관
    153...내관
    154...보강 플레이트
    155...길이조절용 핀
    157...받침판
    158...결합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