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申请号 KR1020110049891 申请日 2011-05-26 公开(公告)号 KR1020120131606A 公开(公告)日 2012-12-05
申请人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发明人 권대규; 유미; 정구영; 김경; 강승록;
摘要 PURPOSE: An early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easily rehabilitate his or her body. CONSTITUTION: An early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mprises a frame(10), a bed unit(20), and an unstable plate unit. The bed unit is formed to be incli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The unstable plate unit is installed in the lower side of the bed unit. The unstable plate unit comprises a plate member, and a hemispherical protrusion member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end unit.
权利要求
  •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베드부(20)와;
    상기 베드부(20)의 하측에 구비되는 불안정판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판부(30)는 상기 베드부(20)의 하측에 구비되는 판부재(310)와;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에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베드부(20)의 하측 상부면에 안착되는 반원형상의 돌출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판부(30)는 상기 베드부(20)의 하측에 구비되는 판부재(310)와;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 일측과 상기 베드부(20)의 하측 상부면 일측 사이 및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 타측과 상기 베드부(20)의 하측 상부면 타측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탄성부재(320)와;
    상기 탄성부재(3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에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베드부(20)의 하측 상부면에 안착되는 반원형상의 돌출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판부(30)는 상기 베드부(20)의 하측에 구비되는 판부재(310)와;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과 상기 베드부(20)의 하측 상부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탄성부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판부(30)는 상기 베드부(20)의 하측에 구비되는 판부재(310)와;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과 상기 베드부(20)의 하측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백(340)과;
    상기 지지백(340)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판부(30)는 상기 베드부(20)의 하측에 구비되는 판부재(310)와;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 일측과 상기 베드부(20)의 하측 상부면 일측 사이 및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 타측과 상기 베드부(20)의 하측 상부면 타측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탄성부재(320)와;
    상기 탄성부재(3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과 상기 베드부(20)의 하측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백(340)과;
    상기 지지백(340)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판부(30)는 상기 베드부(20)의 하측에 구비되는 판부재(310)와;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볼부재(360)와;
    상기 베드부(2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측에 상기 볼부재(360)를 수용하는 수용홈(373)이 형성되는 조인트부재(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2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경사각도조절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부면에 가이드슬릿(411)이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타측면에 축결합되는 구동모터(420)와;
    상기 구동모터(420)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리드스크류(430)와;
    상기 리드스크류(430)와 나사결합되는 좌우이동부재(440)와;
    상기 좌우이동부재(440)의 상측에 하측이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410)의 가이드슬릿(411)내에 수용되고, 상측이 상기 베드부(20)의 하부면에 축결합되는 링크부재(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부면에 가이드슬릿(411)이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실린더부재(460)와;
    상기 실린더부재(460)의 로드(461)에 하측이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410)의 가이드슬릿(411)내에 수용되고, 상측이 상기 베드부(20)의 하부면에 축결합되는 링크부재(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20)는 하측베드부(210)와;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상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측베드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베드부(22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2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상측에서 상하이동된 상태인 상기 상측베드부(220)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2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와 상기 불안정판(30)사이에 이격공간(S)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2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베드부(20)에 누운 사용자가 재활훈련상태 및 프로그램에 따른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니터(50)와;
    상기 베드부(20)에 누운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상기 베드부(20)의 경사각도를 계산하는 머리 회전각 측정부(60)와;
    상기 베드부(20)에 누운 사용자의 눈에 착용되고, 각종 정보 또는 가상현실을 보여주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70)와;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 모니터(50), 머리 회전각 측정부(60)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70)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 说明书全文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EARLY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USING UNSTABLE}

    본 발명은 베드부에 누워진 상태인 최초 발병에 의해 거동할 수 없거나 마비된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불안정판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조기 재활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음은 물론 마비된 신경의 자연퇴화의 예방 및 말초신경을 자극시켜 2차 재활훈련이 가능한 상태의 시기를 앞당기도록 하는 재활 훈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 손상 또는 외상성 뇌손상 등과 같이 거동할 수 없거나 또는 편마비가 생기면 마비된 근육은 필요한 순간에 필요한 힘을 내지 못하고 필요한 크기의 힘을 생성하지 못하며 또한 양측 하지 근육을 이용하여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것은 거동할 수 없거나 편마비가 발생한 환자는 의식적으로 마비된 부분을 사용하지 않으려는 경향으로 인한 것으로,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마비된 부분의 신경이 퇴화되고, 이로 인해 편마비 환자는 균형을 잡지 못하여 이상 보행을 하게 된다.

    이러한 마비 환자에게 있어서 재활훈련 시기는 환자가 정상인으로서 사회환원할 수 있도록 하는 기간을 단축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러나, 마비 환자의 재활훈련시기는 환자가 어느 정도 거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시행되지만, 최초 발병 때부터 거동이 가능한 때까지의 기간이 적게는 몇개월부터 많게는 몇년까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며, 이 기간 동안 환자는 침대에 계속 누워있음으로 마비된 부분의 신경은 자연퇴화되고, 이로 인해 자연퇴화된 신경은 재활훈련을 통해서도 회복이 어려워 결국 정상인의 환원에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베드부에 누워진 상태인 최초 발병에 의해 거동할 수 없거나 마비된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불안정판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조기 재활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음은 물론 마비된 신경의 자연퇴화의 예방 및 말초신경을 자극시켜 2차 재활훈련이 가능한 상태의 시기를 앞당기도록 하는 재활 훈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베드부와; 상기 베드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불안정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불안정판부는 상기 베드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하부면에 상기 판부재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베드부의 하측 상부면에 안착되는 반원형상의 돌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불안정판부는 상기 베드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하부면 일측과 상기 베드부의 하측 상부면 일측 사이 및 상기 판부재의 하부면 타측과 상기 베드부의 하측 상부면 타측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판부재의 하부면에 상기 판부재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베드부의 하측 상부면에 안착되는 반원형상의 돌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불안정판부는 상기 베드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하부면과 상기 베드부의 하측 상부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불안정판부는 상기 베드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하부면과 상기 베드부의 하측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백과; 상기 지지백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불안정판부는 상기 베드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하부면 일측과 상기 베드부의 하측 상부면 일측 사이 및 상기 판부재의 하부면 타측과 상기 베드부의 하측 상부면 타측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판부재의 하부면과 상기 베드부의 하측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백과; 상기 지지백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불안정판부는 상기 베드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볼부재와; 상기 베드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측에 상기 볼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조인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드부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경사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부면에 가이드슬릿이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축결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상측에 하측이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되고, 상측이 상기 베드부의 하부면에 축결합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부면에 가이드슬릿이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로드에 하측이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되고, 상측이 상기 베드부의 하부면에 축결합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베드부는 하측베드부와; 상기 하측베드부의 상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측베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상측베드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하측베드부의 상측에서 상하이동된 상태인 상기 상측베드부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드부의 상측베드부와 상기 불안정판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드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베드부에 누운 사용자가 재활훈련상태 및 프로그램에 따른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니터와; 상기 베드부에 누운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상기 베드부의 경사각도를 계산하는 머리 회전각 측정부와; 상기 베드부에 누운 사용자의 눈에 착용되고, 각종 정보 또는 가상현실을 보여주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경사각도조절부, 모니터, 머리 회전각 측정부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베드부에 누워진 상태인 최초 발병에 의해 거동할 수 없거나 마비된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불안정판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조기 재활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음은 물론 마비된 신경의 자연퇴화의 예방 및 말초신경을 자극시켜 2차 재활훈련이 가능한 상태의 시기를 앞당기도록 하는 재활 훈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 내지 7은 불안정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경사각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상하이동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고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하측베드부와 불안정판부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베드부(20) 및 불안정판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는 캐스터(10a)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베드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 구비된다.

    상기 베드부(2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 일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베드부(20)는 하측베드부(210)와 상측베드부(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타단부와 상기 상측베드부(220)의 하측사이에는 상기 하측베드부(210)와 상기 상측베드부(2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5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50)의 하단부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베드부(220)는 상기 하측베드부(210)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타단부 상측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베드부(220)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프레임(10)의 전방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상측베드부(220)에는 특히, 중추신경계 손상을 입은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눕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불안정판부(30)는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불안정판부(30)는 상기 상측베드부(220)에 눕혀진 특히, 중추신경계 손상을 입은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의 발바닥부위와 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재활훈련을 위해 양발로 상기 불안정판부(30)를 가압하면서 움직일 수 있다.

    도 3 내지 7은 불안정판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불안정판부(30)는 일예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부재(310), 돌출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판부재(310)는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바닥부위와 접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330)는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에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반원형상으로 일체형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330)는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불안정판부(30)는 다른예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판부재(310), 탄성부재(320) 및 상기 돌출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320)는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 일측과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상부면 일측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20)는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 타측과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상부면 타측 사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20) 사이에 상기 돌출부재(330)가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불안정판부(30)는 또 다른예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판부재(310)와 상기 탄성부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320)는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과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상부면 사이에 일체형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불안정판부(30)는 또 다른예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판부재(310), 지지백(340) 및 충진물(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지지백(340)은 가요성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백(340)은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에 일체연결된 상태로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과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상부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진물(350)은 에어, 젤, 스폰지 및 자기유동유체(MR유체, Magneto-Rheological Fuli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백(340)의 내부에 충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불안정판부(30)는 또 다른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판부재(310), 상기 탄성부재(320), 상기 지지백(340) 및 상기 충진물(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320) 사이에 상기 지지백(340)이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불안정판부(30)는 또 다른예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판부재(310), 볼부재(360) 및 조인트부재(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볼부재(360)는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부재(360)는 축부재(361)와 볼(3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축부재(361)는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362)은 단면형상이 원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362)은 상기 축부재(361)의 하단부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재(370)는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상부면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재(370)의 상측에는 상기 볼부재(360)를 수용하는 수용홈(37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재(370)는 축부재(371)와 수용부재(37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축부재(371)는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상부면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372)는 상기 축부재(371)의 상단부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372)는 단면형상이 하측으로 볼록한 반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372)의 내부에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으로 볼록한 반원형상의 상기 수용홈(37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7의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 일측과 도 7의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상부면 일측 사이 및 도 7의 상기 판부재(310)의 하부면 타측과 도 7의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상부면 타측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320)가 각각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경사각도조절부(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베드부(20)의 경사각도(도 2의 α)를 조절하는 경사각도조절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는 몸체(410), 구동모터(420), 리드스크류(430), 좌우이동부재(440) 및 링크부재(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41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410)의 상부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가이드슬릿(4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20)는 상기 몸체(410)의 타측면에 축결합된 상태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430)는 상기 구동모터(420)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410)의 내부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440)는 상기 리드스크류(43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450)의 하측은 상기 몸체(410)의 가이드슬릿(411)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좌우이동부재(440)의 상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450)의 상측은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의 하부면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20)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430)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좌우이동부재(440)는 상기 몸체(4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20)의 상하경사각도(α)는 커지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420)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4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좌우이동부재(440)는 상기 몸체(4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20)의 상하경사각도(α)는 작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는 다른예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410), 실린더부재(460) 및 상기 링크부재(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460)는 상기 몸체(410)의 타측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450)의 하측은 상기 몸체(410)의 가이드슬릿(411)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부재(460)의 로드(461)의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450)의 상측은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의 하부면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460)의 로드(461)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20)의 상하경사각도(α)는 커지게 된다.

    상기 실린더부재(460)의 로드(461)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20)의 상하경사각도(α)는 작아지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은 상하이동부재(2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베드부(20)는 상기 하측베드부(210)와 상기 상측베드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베드부(220)는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타단부 상측방향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타단부와 상기 상측베드부(220)의 하측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재(250)의 상단부는 상기 상측베드부(220)의 하측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상기 상측베드부(220)를 상하이동시켜 상기 불안정판부(30)의 타단부와 상기 상측베드부(220)의 하측이 접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불안정판부(30)를 보다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베드부(220)를 자동으로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23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린더(2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린더(231)는 상기 상측베드부(220)의 하부면 하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231)의 로드(232)는 상기 연결부재(250)의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231)의 로드(232)의 길이가 늘어날 시 상기 상측베드부(220)는 자동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231)의 로드(232)의 길이가 줄어들 시 상기 상측베드부(220)는 자동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230)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233)와 리드스크류(234)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동모터(233)는 상기 상측베드부(220)의 하부면 하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34)는 상기 연결부재(250)의 하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33)가 상기 리드스크류(234)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상측베드부(220)는 자동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233)가 상기 리드스크류(23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상측베드부(220)는 자동으로 하강하게 된다.

    도 12는 고정부재(2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측베드부(220)는 관리자 등에 의해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상측에서 수동으로 상하이동될 수도 있다.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상측에서 수동으로 상하이동된 상태인 상기 상측베드부(220)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베드부(220)의 하부면 하측과 상기 연결부재(250)의 하부면에는 각각 나사공(미도시)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40)는 고정볼트 등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고정부재(240)는 상기 상측베드부(220)의 하부면 하측과 상기 연결부재(250)의 하부면에는 각각 형성된 상기 나사공(미도시)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13은 하측베드부(210)와 불안정판부(30) 사이에 이격공간(S)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불안정판부(30)의 판부재(310)의 타단부와 상기 상측베드부(220)의 하부 일측이 서로 접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의 하부 일측과 상기 불안정판부(30)의 판부재(310)의 타단부 사이에 이격공간(S)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니터(50), 머리 회전각 측정부(60),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70) 및 제어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50)는 상기 베드부(2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50)는 상기 베드부(20)에 누운 사용자가 재활훈련상태 및 프로그램에 따른 영상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 회전각 측정부(60)는 상기 베드부(20)에 누운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상기 베드부(20)의 상하경사각도(α)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70)는 상기 베드부(20)에 누운 사용자의 눈에 착용되고, 각종 정보 또는 가상현실을 상기 베드부(20)에 누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 모니터(50), 머리 회전각 측정부(60)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에 특히, 중추신경계 손상을 입은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눕혀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에 상기 머리 회전각 측정부(60)를 착용시키고, 사용자의 눈 부위에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70)를 착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베드부(20)의 상하경사각도(α)를 상기 제어부(80)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의 안정을 위해 사용자는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에 안전띠(미도시)로 고정하며, 상기 상측베드부(220)에 눕혀진 사용자는 상기 상측베드부(220)의 중심부 상부면에 형성된 파지대(90)를 파지할 수 있다.

    이상태에서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상기 제어부(80)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70)로 가상현실에 따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가상현실이 자동차 경주라면 다수의 차량을 피하기 위해 본인의 차량을 좌, 우로 이송시켜야 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머리를 좌우로 움직이면,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을 상기 머리 회전각 측정부(60)에서 측정하게 된다.

    상기 머리 회전각 측정부(60)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상기 제어부(80)로 출력되며, 상기 제어부(80)는 측정값에 따른 좌, 우 이송량을 계산하여 이를 가상현실의 본인 차량에 적용함으로서, 다수의 차량을 피하거나 갈림길의 진로선택을 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상측베드부(220)에 눕혀진 사용자의 하체 부위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근전도를 측정하는 근전도 센서와; 상기 불안정판부(30)에 하중센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근전도센서가 측정한 사용자의 근전도값과 상기 하중센서가 측정한 하중값은 상기 제어부(80)로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80)는 컴퓨터 모니터 등을 포함한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상기 근전도센서가 측정한 사용자의 근전도값과 상기 하중센서가 측정한 하중값을 각각 숫자화하여 화면출력할 수 있다.

    한편, 특히 상기 하중센서가 상기 불안정판부(30)의 판부재(310)에 구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바닥을 통해 상기 불안정판부(30)를 가압할 경우 상기 하중센서는 상기 불안정판부(30)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베드부(20)의 상하경사각도(α)가 커지도록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불안정판부(30)를 가압하지 않은 경우 상기 하중센서는 하중을 감지할 수 없게 되고,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베드부(20)의 상하경사각도(α)가 작아지도록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베드부(20)에 누워진 상태인 최초 발병에 의해 거동할 수 없거나 마비된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상기 불안정판부(30)를 통해 지속적으로 조기 재활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음은 물론 마비된 신경의 자연퇴화의 예방 및 말초신경을 자극시켜 2차 재활훈련이 가능한 상태의 시기를 앞당기도록 하는 재활 훈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프레임, 20; 베드부,
    30; 불안정판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