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추인장베개

申请号 KR1020140028519 申请日 2014-03-11 公开(公告)号 KR101421268B1 公开(公告)日 2014-07-18
申请人 (주)세원메디텍; 发明人 맹성호; 김창용;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rvical vertebra traction pillow.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sed for anyone without a burden since the traction and support actions of a cervical vertebra are automatically performed only by lying and lifting head; has an excellent traction effect since a slide is unnecessary by applying a gear mode for the tra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 can be used as medical equipment by not only providing treatment effects of linear neck, turtle neck, etc. by keeping the line of the cervical vertebra in a desired C shape but also relieving a neck pain or a shoulder discomfort by pressing the back of the neck. The cervical vertebra traction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like the above: has an excellent traction effect by adopting the gear mode which converts the head weight of a user into the traction force of the cervical vertebra; has a treatment effect of a linear neck and a turtle neck since a neck support part keeps the line of the cervical vertebra in the desired C shape; and relieves neck pain and shoulder discomfort and induces a deep and comfortable sleep by pressing the back of the neck.
权利要求
  • 삭제
  •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 지지하며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한 헤드레스트와;
    상기 헤드레스트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헤드레스트의 상하 회동시 헤드레스트를 상기 회동축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되, 헤드레스트가 하향 회동할 때 헤드레스트를 사용자의 경추를 인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견인유도부와;
    상기 헤드레스트를 상향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유도부는;
    상기 헤드레스트를 수평으로 통과한 상태로 헤드레스트의 회동축 역할을 하는 메인샤프트와,상기 메인샤프트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메인샤프트의 축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기어부와,
    상기 회전기어부에 치합하여 회전기어부의 회전시 메인샤프트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랙기어부를 구비한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인장베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랙기어부와 회전기어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커버하며 랙기어부를 보호하는 덮개와,
    상기 하우징을 상호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인장베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기어부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메인샤프트를 통해 상기 헤드레스트를 상향 지지하는 스프링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인장베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양단부를 통과시키며, 메인샤프트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장공을 갖는 샤프트가이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인장베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는;상기 메인샤프트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자의 머리의 무게에 의해 눌려 하향 회동하며 메인샤프트를 축회전 시키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과 메인샤프트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성형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뒷통수를 지지하는 뒷통수지지부와, 사용자의 목을 받쳐 지지하는 목지지부와, 상기 헤드레스트가 하향 회동할 때 사용자의 목을 견인하는 견인부를 가지며 일체를 이루는 성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인장베개.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목지지부에는, 사용자의 목을 지압하는 다수의 지압용돌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인장베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베이스프레임을 그 내부에 포함한 상태로 성형되며 소정 형상을 취하는 성형체에 감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인장베개.
  • 说明书全文

    경추인장베개{Cervical vertebrae traction Pillow}

    본 발명은 경추인장베개에 관한 것이다.

    잠을 자거나 누울 때 머리를 받치는 베개에는, 스폰지나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 등이 들어있는 일반적인 것에서부터, 경추를 지지하며 지압효과를 제공하고 숙면을 유도하는 등의 여러 기능이 부가된 기능성베개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사람의 수면시간은 개인마다 다르긴 하지만, 평균적으로 6시간 내지 9시간 정도인데, 이러한 긴 시간동안 잘못된 베개를 사용하여 머리와 목이 불편하다면, 숙면을 취할 수 없음은 물론 근골격계를 비롯해서 신경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목뼈라고 하는 경추의 경우, 정상적인 C자형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앞으로 휘거나 직선형으로 펼쳐져 목의 통증이나 어깨 결림 등의 증상을 유발하게 된다.

    알려진 바와같이, 경추는 목 아랫쪽의 신체부위와 뇌를 연결하는 신경이 통과하는 부분으로서 경추의 이상으로 인해 경막이 긴장되면 뇌압이 증가하여 두뇌의 기능장애가 올 수 있고, 그에 따라 신체 조절능력에 장애가 유발되기도 한다. 또한, 경추의 곡선이 비뚤어진다면 심장에서 머리로 올라오는 동맥의 압박을 야기하여 뇌혈류의 순환장애를 일으키거나, 머리에서 심장으로 돌아오는 정맥의 혈류압의 증가를 야기하기도 한다.

    이와같이, 신체에 있어서 경추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고, 베개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경추를 올바로 지지함과 아울러 긴장된 경추를 견인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의 베개가 제안된 바 있다.

    가령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0987호에 개시된 경추견인베개는, 하부가 반통형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 두부안착부와 경추견인부를 갖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두부안착부에 뒷통수를 올리면 경추견인부가 목에 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머리에 힘을 가하여 뒷통수를 하부로 내리면 경추견인부가 상승하여 사용자의 뒷목을 상향 가압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경추견인베개는, 그 구조상, 경추견인부가 단지 경추를 상부로 받쳐 올리기만 할 뿐 실제로 견인하지는 못한다. 즉 사용자의 머리를 (목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밀어 올리지 못하여 견인 작용이 매우 미약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머리가 두부안착부에 올려진 상태 그대로에서는 경추견인부가 작용하지 못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경추견인부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두부안착부를 일부러 내려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한 것이다.

    아울러, 특히 상기 경추견인베개 자체의 높이가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베개의 높이가 높으면 경추가 앞으로 휘어져 경추질환을 야기할 수 있는데, 상기한 종래의 경추견인베개는 경추를 앞으로 휘어지게 한 상태에서 견인하는 것이므로 디스크 탈출을 야기할 수 있다는 치명적 문제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경추견인베개를 베고 몇 시간의 수면을 취할 수 는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누워서 단지 머리를 올리기만 하여도 경추의 인장 및 받침작용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누구나 부담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경추인장베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경추 인장을 위하여 기어방식이 적용되어 미끄러짐이 없기 때문에 인장효과가 뛰어난 경추인장베개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목지지부가, 경추라인을 바람직한 C자 형태로 유지함으로써 일자목, 거북목 등의 치료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목덜미를 지압하여 목의 통증이나 어깨 결림을 완화할 수 있어 치료용 기기로 사용할 수 도 있는 경추인장베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추인장베개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 지지하며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한 헤드레스트와; 상기 헤드레스트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헤드레스트의 상하 회동시 헤드레스트를 상기 회동축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되, 헤드레스트가 하향 회동할 때 헤드레스트를 사용자의 경추를 인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견인유도부와; 상기 헤드레스트를 상향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유도부는; 상기 헤드레스트를 수평으로 통과한 상태로 헤드레스트의 회동축 역할을 하는 메인샤프트와, 상기 메인샤프트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메인샤프트의 축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기어부와, 상기 회전기어부에 치합하여 회전기어부의 회전시 메인샤프트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랙기어부를 구비한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아울러,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랙기어부와 회전기어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커버하며 랙기어부를 보호하는 덮개와, 상기 하우징을 상호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기어부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메인샤프트를 통해 상기 헤드레스트를 상향 지지하는 스프링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양단부를 통과시키며, 메인샤프트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장공을 갖는 샤프트가이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기 메인샤프트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자의 머리의 무게에 의해 눌려 하향 회동하며 메인샤프트를 축회전 시키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과 메인샤프트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성형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뒷통수를 지지하는 뒷통수지지부와, 사용자의 목을 받쳐 지지하는 목지지부와, 상기 헤드레스트가 하향 회동할 때 사용자의 목을 견인하는 견인부를 가지며 일체를 이루는 성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지지부에는, 사용자의 목을 지압하는 다수의 지압용돌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베이스프레임을 그 내부에 포함한 상태로 성형되며 소정 형상을 취하는 성형체에 감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경추인장베개는, 사용자가 누워서 단지 머리를 올리기만 하여도 경추의 인장 및 받침작용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누구나 부담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경추 인장을 위하여 기어방식이 적용되어 미끄러짐이 없기 때문에 인장효과가 뛰어나며, 아울러, 경추라인을 바람직한 C자 형태로 유지함으로써 일자목, 거북목 등의 치료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목덜미를 지압하여 목의 통증이나 어깨 결림을 완화할 수 있어 치료용 기기로 사용할 수 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인장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경추인장베개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경추인장베개에서의 지지바디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3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경추인장베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베이스프레임에 대한 회동판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의 베이스프레임에 대한 견인부재의 작동원리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경추인장베개는, 수면시 일반 베개를 사용하는 것처럼 사용할 수 도 있고, 경추치료(경추의 라인을 바로 잡는 치료)목적으로 사용할 수 도 있다. 가령 병의원 등에 설치하여 경추의 인장이나 목덜미 부위의 맛사지 목적으로 사용될 수 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인장베개(11)의 외부 모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경추인장베개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경추인장베개(11)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 지지하며 메인샤프트(19)를 회동축으로 삼아 화살표 a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헤드레스트(13)와, 상기 헤드레스트(13)의 양측부에 위치한 상태로 헤드레스트(13)를 지지하는 지지바디(17)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바디(17)는, 헤드레스트(13)가 머리무게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내려 갈 때, 헤드레스트(13)를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시켜 경추가 견인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회동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견인유도부를 그 내부에 구비한다. 상기 견인유도부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헤드레스트(13)는 사용자가 머리를 위치시키는 부분으로서, 발포우레탄이나 라텍스 또는 이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재질로 인서트 성형된 성형체이다. 상기 메모리폼이나 발포우레탄 또는 라텍스(이하, 성형체)는,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동판(31)과, 메인샤프트(19)의 일부, 그리고 메인샤프트고정부재(33)를 감싼다.

    상기 헤드레스트(13)가 머리를 받치는 것이니 만큼, 헤드레스트(13)의 외부면을 베갯잇으로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흡수력을 갖는 면직물로 감싸 땀을 흡수하게 할 수 도 있고, 여름철에는 통기성을 갖는 마직물로 감쌀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성형체는 회동판(31)과 메인샤프트(19)와 메인샤프트고정부재(33)를 성형틀 내부에 인서트 시킨 상태로 재료를 주입하여 형성된 것이다.

    여하튼, 상기 헤드레스트(13)에는, 사용자의 뒷통수를 받쳐 지지하는 뒷통수지지부(13a)와, 목을 상부로 올려 받치는 목지지부(13b)와, 상기 목지지부(13b)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벽부(13c)와, 상기 목지지부(13b)와 뒷통수지지부(13a)의 사이에 위치하는 견인부(13d)를 갖는다.

    상기 뒷통수지지부(13a)는, 오목한 형태를 취하여 머리의 위치를 중앙부로 유도한다. 이와같이 뒷통수지지부(13a)가 머리의 위치를 가이드하므로 사용자는 머리 위치를 굳이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목지지부(13b)는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용자의 목부분을 화살표 m 방향으로 받쳐올려, 경추의 라인을 바람직한 C 자형 라인으로 유지한다.

    특히 상기 목지지부(13b)의 상면에는 다수의 지압용돌기(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압용돌기(15)는 목부분의 근육을 자극하여 피로를 풀어주고 혈행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압용돌기(15)로서, 옥이나 황토볼 또는 토르말린 등을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출광물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지압용돌기(15)의 크기나 배열패턴 등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측벽부(13c)는 목지지부(13b)의 양측부에 일체를 이루며 상부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사용자 목의 양측부를 커버한다. 이와같이 측벽부(13c)가 목지지부(13b)의 양측부 상부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압용돌기(15)가 목의 양측부를 지압할 수 있다. 측벽부(13c)와 목지지부(13b)로 인해 사용자는 목의 전체부분을 그 자리에서 바로 지압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상기 견인부(13d)는, 목지지부(13b)와 뒷통수지지부(13a)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후두골 부분이 걸리는 부분이다. 즉 헤드레스트(13)에 올려진 머리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재껴질 때 후두골을 화살표 F 방향으로 당기는 부분이다. 견인부(13d)의 작용에 의해 경추의 인장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경추인장베개(11)에서의 지지바디(17)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지지바디(17)는, 헤드레스트(13)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사이드부(17a)와, 헤드레스트(13)의 하부를 받치는 베이스부(17b)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바디(17)도 헤드레스트와 마찬가지로 메모리폼이나 발포우레탄 또는 라텍스를 인서트 사출하여 성형된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내부에 베이스프레임(43)과 견인유도부 등을 수용한다. 이러한 지지바디(17)도 헤드레스트(13)와 마찬가지로 직물이나 가죽 등으로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부(17a)는 헤드레스트(13)의 양측부를 커버하며 보호한다. 상기 사이드부(17a)의 형상은 헤드레스트(13)의 측부 형상과 유사하다.

    아울러 상기 사이드부(17a)의 내향면에는 샤프트가이더(39)의 가이드장공(39a)이 노출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가이더(39)는 지지바디(17)를 이루는 성형체(도 4의 17c)에 감싸인 부분으로서 가이드장공(39a)을 통해 메인샤프트(19)의 양단부를 사이드부(17a)의 내측으로 받아들인다.

    상기 베이스부(17b)는, 헤드레스트(13)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 헤드레스트(13)의 하강시 헤드레스트를 받친다. 헤드레스트(13)가 지면에 부딪히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헤드레스트(13)는 완전히 하향 회동한 상태에서 베이스부(17b)에 지지되는 것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Ⅳ-Ⅳ선 단면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3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사이드부(17)의 몸체를 이루는 성형체(17c), 즉, 발포우레탄이나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된 바디의 내부에 베이스프레임(43)의 하우징(43a)과 덮개(25)가 묻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성형체(17c)는 베이스프레임(43)과 덮개(25)를 틀에 먼저 고정시킨 상태로 재료를 주입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고른 밀도 분포를 갖는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프레임(43)의 연결부(43e)도 성형체(17c)에 묻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연결부(43e)를 커버하고 있는 성형체(17c)의 두께는 베개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된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경추인장베개(1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헤드레스트(13)와 견인유도부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견인유도부는, 일단 헤드레스트(1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헤드레스트의 상하 회동시, 헤드레스트를 도 2의 화살표 F 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견인유도부는, 헤드레스트(13)의 몸체 역할을 하는 성형체(17c)의 하단 귀퉁이부를 수평으로 통과해 양단부가 헤드레스트(13) 측부로 연장된 메인샤프트(19)와, 상기 메인샤프트(19)의 양단부를 통과시키며 메인샤프트(19)의 수평운동을 가이드하는 샤프트가이더(39)와, 상기 메인샤프트(19)의 양단부에 고정되고 그 하부에 회전기어부(41c)를 갖는 견인부재(41)와, 상기 회전기어부(41c)에 치합하는 랙기어부(43b)가 포함된 베이스프레임(43)으로 이루어진다.

    도 9에 상기 견인유도부가 보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메인샤프트(19)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환봉으로서 그 양단부에 스냅링체결홈(19b)을 갖는다. 상기 스냅링체결홈(19b)은 스냅링(37)이 끼워지는 홈이다. 상기 스냅링(37)은 별도의 스냅링플라이어를 이용해 벌어진 상태로 스냅링체결홈(19b)에 끼워진 상태로 오무라져 그 자리에 유지된다. 상기 스냅링은 지지벽(43n)에 걸려 메인샤프트(19)의 길이방향 이동을 차단한다.

    아울러 상기 메인샤프트(19)의 양단부 외주면에는 평면부(19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평면부(19a)는 메인샤프트(19)를 기계가공하여 형성한 부분으로서 견인부재(41)의 결합구멍(41b)에 끼움 결합한다. 상기 결합구멍(41b)의 내주면은 메인샤프트(19)의 양단부의 모양에 치합한다. 따라서 메인샤프트(19)가 축회전하면 견인부재(41)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샤프트(19)의 중앙부 외주면에는 회동판고정부(19c)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판고정부(19c)는 평면부(19a)와 마찬가지로 메인샤프트(19)를 기계 가공하여 형성된 부분으로서, 그 내부 영역에 다수의 나사구멍(19d)을 갖는다. 상기 나사구멍(19d)은 고정나사(35)를 통과시키는 관통로이다.

    특히 상기 회동판고정부(19c)에는 회동판(31)이 고정된다. 상기 회동판(31)은 그 후단부에 메인샤프트결합부(31a)를 갖는 판상부재로서, 헤드레스트(13)에 머리의 무게가 인가될 때 하향 회동하며 메인샤프트(19)를 화살표 c 방향으로 축회전 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회동판(31)의 후단부에는 메인샤프트결합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샤프트결합부(31a)는 회동판고정부(19c)와 밀착하는 부분으로서 다수의 암나사구(31b)를 구비한다. 상기 암나사구(31b)는 나사구멍(19d)을 상향 통과한 나사와 결합하는 구멍이다.

    상기 회동판(31)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며 격자형 패턴의 홈(31c)과 관통홀(31d)을 갖는다. 이와같이 회동판(31)에 홈(31c)과 관통홀(31d)을 형성함으로써, 회동판(31)과 성형체(17c)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보다 확실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샤프트(19)의 하부에는 메인샤프트고정부재(33)가 위치한다. 상기 메인샤프트고정부재(33)는 메인샤프트(19)를 회동판(31)에 올려 붙이는 막대형 부재로서 고정나사(35)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관통구멍(33b)을 갖는다.

    상기 고정나사(35)는, 메인샤프트고정부재(33)와 메인샤프트(19)를 통과한 상태로 암나사구(31b)에 결합함으로써 회동판(31)에 대한 메인샤프트(19)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샤프트(19)의 양단부측에는 샤프트가이더(39)와 견인부재(41)가 차례로 끼워진다.

    상기 사이드가이더(39)는, 메인샤프트(19)를 통과시키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장공(39a)을 제공하는 헤드부(39c)와, 상기 헤드부(39c)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후술할 다리부고정슬릿(43d)에 끼움 결합하는 다리부(39b)를 구비한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프레임(43)에 지지된 상태로 메인샤프트(19)의 수평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메인샤프트(19)의 수평운동이라함은, 메인샤프트(19)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직선운동을 의미한다. 즉 도 10의 화살표 F 방향 및 그 반대방향 운동을 말한다.

    상기 견인부재(41)는, 결합구멍(41b)을 구비한 샤프트고정부(41a)와, 상기 샤프트고정부(41a)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기어부(41c)를 갖는다. 상기 견인부재(41)는 샤프트가이더(39)와 스냅링(37)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랙기어부(43b)에 치합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메인샤프트(19)의 양단부가 상기 견인부재(41)에 결합하므로, 결국 메인샤프트(19)가 축회전하면 회전기어부(41c)는 화살표 d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경추인장베개(11)에는, 상기 헤드레스트(13)를 상향 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평상시, 가령, 경추인장베개(11)를 사용하지 않을 때, 헤드레스트(13)를 상부로 올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같이 헤스레스트(13)가 상부로 올라와 있어야, 경추인장베개(11)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탄성지지부의 세부 구성은 매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탄성지지부는, 상기 샤프트고정부(41a)의 외주면 상측에 구비되는 후크(41d)와, 하우징(43a)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며 후크(41d)에 일대일 대응하는 고정편(43k)과, 상기 후크(41d)와 고정편(43k)을 연결하는 인장스프링(43m)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장스프링(43m)은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후크(41d)를 화살표 p 방향으로 당긴다. 후크(41d)가 당겨지면 견인부재(41)가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하고 결국 헤드레스트(13)가 상부로 들리게 되는 것이다.상기 베이스프레임(43)은, 상호 나란하며 양측의 회전기어부(41c)에 치합하는 랙기어부(43b)와, 상기 랙기어부(43b)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사각 하우징(43a)과, 상기 하우징(43a)을 커버하는 덮개(25)와, 상기 하우징(43a)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리부고정슬릿(43d)과, 상기 하우징(43a)을 연결하며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부(43e)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43a)은 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그 내부에 상기 견인부재(41)와 탄성지지부와 지지벽(43n)을 수용한다. 상기 견인부재(41)는 하우징(43a)에 수용된 상태로 자신의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43a)의 일측벽과 내부의 지지벽(43n)에는 가이드홈(43c)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43c)은 덮개(25)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25a)에 대응하며 그 사이에 상기 메인샤프트(19)의 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다리부고정슬릿(43d)은 샤프트가이더(39)의 다리부(39b)가 끼워져 고정되는 홈이다. 상기 다리부고정슬릿(43d)의 상부에 샤프트가이더(39)를 위치시킨 상태로 내리 누르면, 다리부고정슬릿(43d)에 대한 샤프트가이더(39)의 결합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43e)에는 다수의 격자형 홈(43g)과 관통홀(43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43g)과 관통홀(43f)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성형체(17c)에 대한 베이스프레임(43)의 결합을 보다 완전하게 이루도록 마련한 것이다.

    다시 도 6 및 도 7로 돌아와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견인부재(41)가 랙기어부(43b)에 치합한 상태로, 인장스프링(43m)에 의해 화살표 e 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13)는 상부로 들려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헤드레스트(13)에 물리력을 가하여 헤드레스트(13)를 하부로 회동시키면, 하향 회동력은 상기 메인샤프트(19)를 통과해 견인부재(41)로 전달되고, 견인부재(41)를 화살표 k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인장스프링(43m)이 늘어남은 물론이다.

    상기 견인부재(41)가 화살표 k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헤드레스트(13)가 도 2의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하며 경추를 인장함은 위에 설명한 바와같다.

    도 8은 상기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헤드레스트(13)가 사용자의 머리 무게에 의해 눌려 하향 회동하여 있다. 특히, 이 때 상기 견인부(13d)는 사용자의 후두골 부분을 F 방향으로 인장하고 있다. 경추가 인장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목지지부(13b)는 뒷목을 화살표 m 방향으로 지지하여 인장상태의 경추를 바람직한 C자 형태로 받치고 있다.

    도 1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43)에 대한 견인부재(41)의 작동원리를 도식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동판(31)이 상부로 들려 있는 상태에서, 회동판을 하부로 내리 누르면, 견인부재(41)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런데 상기 회전기어부(41c)가 랙기어부(43b)에 치합하고 있으므로, 메인샤프트(19)가 화살표 F 방향으로 거리 Z 만큼 직선이동 하게 된다. 상기 메인샤프트(19)의 이동거리(Z)는 베개의 설계시 적절히 결정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경추인장베개 13:헤드레스트 13a:뒷통수지지부
    13b:목지지부 13c:측벽부 13d:견인부
    15:지압용돌기 17:지지바디 17a:사이드부
    17b:베이스부 17c:성형체 19:메인샤프트
    19a:평면부 19b:스냅링체결홈 19c:회동판고정부
    19d:나사구멍 25:덮개 25a:가이드홈
    31:회동판 31a:메인샤프트결합부 31b:암나사구
    31c:홈 31d:관통홀 33:메인샤프트고정부재
    33b:관통구멍 35:고정나사 37:스냅링
    39:샤프트가이더 39a:가이드장공 39b:다리부
    39c:헤드부 41:견인부재 41a:샤프트고정부
    41b:결합구멍 41c:회전기어부 41d:후크
    43:베이스프레임 43a:하우징 43b:랙기어부
    43c:가이드홈 43d:다리부고정슬릿 43e:연결부
    43f:관통홀 43g:홈 43k:고정편
    43m:인장스프링 43n:지지벽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