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용 베드장치

申请号 KR1020060112251 申请日 2006-11-14 公开(公告)号 KR101227252B1 公开(公告)日 2013-01-28
申请人 마쿠에트 게엠베하; 发明人 콕흐,귀도;
摘要 본 발명은 환자용 베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자용 베드(18)와, 베드(18)를 지지하는 지지부(10)와, 베드(18)를 이동시키는 트롤리(16)를 구비하며, 상기 베드(18)에는 지지부(10)와 트롤리(16)에 있어서 각각의 제 2 또는 제 3 연결요소(24,26)에 양자 택일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 1 연결요소(22)가 배치되고, 베드(18)가 지지부(10) 또는 트롤리(16)에 연결될 때 제 1 연결요소(22)를 제 2 또는 제 3 연결요소(24,26)에 양자 택일적으로 잠금 고정시키도록 잠금수단이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22,24,26)들 중 1개 이상에 설치된 환자용 베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22,24,26)들 중 하나에 조정가능하게 배치되고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22,24,26)들 중 두개 연결요소의 맞물림 위치에서 각 경우에 인접하는 연결요소의 틈새(76,82)에 각각 맞� ��림되는 1개 이상의 잠금요소(60,6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들이 제어캠(88,97)을 그들 상에 형성하고, 이들 제어캠(88,97)에 의하여 지지부(10)로부터 트롤리(16)로, 또는 그 반대로의 이동중에 잠금요소(60,62)가 틈새로 확실하게 이동되거나 틈새로부터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자용 베드장치
权利要求
  • 환자용 베드(18)와, 베드(18)를 지지하는 지지부(10)와, 베드(18)를 이동시키는 트롤리(16)를 구비하며, 상기 베드(18)에 지지부(10)와 트롤리(16)에 있어서 제 2 또는 제 3 연결요소(24,26)로의 양자 택일적인 접속을 위해 구비된 제 1 연결요소(22)가 배치되고, 베드(18)가 지지부(10) 또는 트롤리(16)에 연결될 때 제 1 연결요소(22)를 제 2 또는 제 3 연결요소(24,26)에 양자 택일적으로 잠금 고정시키기 위하여 잠금 수단이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22,24,26)들 중 1개 이상에 구비되는 환자용 베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이,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22,24,26)들 중 하나에 조정가능하게 배치되고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22,24,26)들 중 두개 연결요소의 맞물림 위치에서 각 경우에 인접하는 연결요소의 틈새(76,82)에 맞물림되는 1개 이상의 잠금요소(60,6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22,24,26)들에 제어캠(88,97)이 형성되고, 이들 제어캠(88,97)에 의하여 지지부(10)로부터 트롤리(16)로 또는 그 반대로의 이동중에 잠금요소(60,62)가 틈새로 확실하게 이동되거나 또는 틈새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베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요소(60,62)는, 제어캠(88,97)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고 레버의 피보트축(64,66)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어 모서리(86,103; 96,101)를 갖는 2-아암식의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레버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베드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요소(22)에 두개의 잠금요소(60,62)들이 배치되고, 그 잠금요소(60,62)들 중 하나는 제 1 연결요소(22)를 제 2 연결요소(24)에 잠금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제 1 연결요소(22)를 제 3 연결요소(26)에 잠금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캠(97,88)들은, 제 2 연결요소(24) 또는 제 3 연결요소(26)에 있어서 상기 잠금요소(60,62)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베드장치.
  • 说明书全文

    환자용 베드장치{PATIENT BED SYSTEM}

    도 1은 환자용 베드, 베드용 트롤리, 환자용 베드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환자용 베드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상호 협동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들을 보여주는 부분 개략도.

    도 3은 서로 동시에 맞물리는 구조의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들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베드 측부에 배치되는 제 1 연결요소만의 부분 개략도.

    도 5는 서로 동시에 맞물려 있는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들의 개략도.

    도 6과 도 7은 지지부로부터 트롤리로 베드의 이동중의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들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과 도 9는 트롤리로부터 지지부로의 베드의 이동중의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들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 6과 도 7에 대응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부(support column) 16 : 트롤리(trolley)

    18 : 베드 22 : 제 1 연결요소
    24 : 제 2 연결요소 26 : 제 3 연결요소

    60, 62 : 잠금요소(locking element)
    64, 66 : 피보트축(pivot axis)

    88, 97 : 제어캠(control cam)
    86, 103; 96, 101 : 제어 모서리(control edge)

    본 발명은 환자용 베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용 베드와 베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베드를 이동하기 위한 트롤리를 포함하며, 베드가 지지부 및 트롤리상의 각각의 제 2 및 제 3 연결요소와 양자 택일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 1 연결요소를 그 자체에 배치하고, 잠금수단이 그 자체 주지의 방식으로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들 중 적어도 1개에 설치되어, 베드가 지지부 또는 트롤리에 연결되는 경우에 제 1 연결요소를 제 2 또는 제 3 연결요소에 양자 택일적으로 연결되어 잠금하도록 구성된 환자용 베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베드 장치는 예를들어 EP 457 246 B1에 개시되어 있다. 베드를 트롤리로 이동하기 위하여, 트롤리는 지지부에 대하여 적당한 위치로 이동되어져야 한다. 지지부의 높이 조정장치의 하방이동에 의해 베드는 먼저 트롤리에 놓일 때 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동 시점에서 베드의 제 1 연결요소는 지지부와 트롤리의 제 2 및 제 3 연결요소들과 동시에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공지의 장치에서, 제 2 및 제 3 연결요소가 서로에 대하여 지지될 때 그들 사이에 제 1 연결요소가 제 2 및 제 3 연결요소들 사이의 상호 직면하는 틈새에 맞물리게 된다.

    EP 457 246 B1에 개시된 환자용 베드장치에서, 베드의 연결요소들은 두개의 스프링이 장착된 잠금볼트(locking bolt)들이 제공되어 있으며, 그중 하나의 잠금볼트는 베드가 지지부에 놓여 있을 때 지지부의 연결요소에 래치(latch) 즉 걸쇠물림되고, 다른 잠금볼트는 베드가 트롤리에 놓일 때 트롤리의 연결요소에 걸쇠물림된다. 예를 들어, 지지부의 상승 이동에 의해 트롤리로부터 지지부로의 베드 인계작업의 경우에, 트롤리의 연결요소에 걸쇠물림된 상태의 잠금 볼트는 지지부의 제어 윤곽에 의해 뒤로 눌려지게 되어 트롤리상의 베드는 잠금해제된다. 동시에, 트롤리는 지지부의 연결요소에 있어서 또 하나의 다른 잠금볼트의 걸림을 방지한다. 베드가 트롤리에서 벗어나 상승되는 경우에만 잠금볼트가 트롤리의 연결요소로부터의 거리증가시 스프링의 프리스트레스(prestress) 즉 탄성력하에 지지부의 연결요소에 걸쇠물림된다. 반대로, 지지부의 연결요소에 걸쇠물림된 잠금볼트는 트롤리의 제어 윤곽에 의해 뒤로 눌려지게 되는 반면, 다른 잠금볼트는 베드로부터 지지부의 거리 증가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트롤리의 연결요소에 걸쇠물림된다. 베드 인계시에, 즉, 지지부의 연결요소와 트롤리의 연결요소들은 베드의 연결요소와 맞물림되어 있을 때, 베드는 어떠한 잠금볼트에 의해서도 상승되지 않게 보호되지는 않는다. 더욱이, 예를 들어 연결요소들이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면, 스프링의 탄성력하에 잠금볼트가 채워지지 못하는 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베드장치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고 안전성이 향상된 환자용 베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베드장치에는, 잠금수단이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들 중 하나에 조정가능하게 배치되고 두개의 연결요소들의 맞물림 위치에서 인접하는 연결요소의 틈새 속으로 맞물림되는 1개 이상의 잠금요소를 포함하며,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들은 그들상에 제어캠을 형성하고 있어서 이들 제어캠에 의하여 지지부로부터 트롤리로 또는 그 반대로의 베드의 이동작업중에, 잠금요소는 각각의 틈새속으로 확실하게 이동되거나 틈새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 경우, 각각의 잠금요소는 두개의 아암으로 되고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즉 2-아암식의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레버(two-armed rotatably mounted lever)로서 구성되며, 상기 레버는 제어캠과 작용하도록 구성되고 레버의 회동중심 반대쪽, 즉 두개의 레버아암에 배치된 제어 모서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잠금요소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걸쇠물림의 래치 위치를 취하게 되지는 않지만, 대신에 그에 의해 확실하게 맞물림 위치로 가이드된다. 동시에 베드의 이동동작중에, 즉 잠금요소의 작동중에, 베드는 항상 반대로 향한 제어 모서리들 사이에서 갇히게 되므로, 베드 인계시에도 베드가 각각의 연결요소에서 벗어나 상승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앞서 설명한 공지의 환자 베드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도, 제 1 연결요소는 두개의 잠금요소들을 그에 배치하고 있으며, 잠금요소들중 하나는 제 2 연결요소에 제 1 연결요소를 잠금고정시키도록 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잠금요소는 제 1 연결요소를 제 3 연결요소에 잠금고정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제어캠은 제 2 및 제 3 연결요소들의 잠금요소들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용 베드장치는 동작 테이블의 지지부(1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10)는 다리부(12)와, 그 다리부에 수직으로 조정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 헤드(14)를 구비한다. 상기의 높이 조정수단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상의 방식으로 될 수 있다. 대체로, 높이 조정수단은 유압 또는 기계식 승강장치로 될 수 있다.

    도면에서, 지지부에 인접하여 좌측에는 트롤리(16)가 배치되며, 그 트롤리는 동작 테이블의 테이블 보드 또는 베드(18)를 지지하여 운반하고 있다. 상기 트롤리(16)는 EP 457 246 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도시 안됨)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측부 프레임부(20)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롤리(16)는 지지부(10)가 측부 프레임부(20)들 사이에 놓이도록 지지부(10)까지 상승될 수 있다.

    베드(18)의 길이방향의 측부 모서리에는 제 1 연결요소(22)가 배치되고, 그 제 1 연결요소(22)는 지지부 헤드(14)의 제 2 연결요소(24)나 트롤리(16)의 측부 프레임부(20)의 제 3 연결요소(26)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베드(18)가 트롤리(16) 또는 지지부(1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들의 보다 상세한 구조와 동작은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2에 있어서, 연결 프레임(28)은 중간판(30)과, 그 길이방향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두개의 측면부(side cheek: 32)들을 포함하며, 측면부(32)는 도면에 두개의 측면부들 중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중간판(30)은 그 상부에 실제 환자 베드(18)를 연결하기 위한 기부(bedding: 34)를 구비하고 있으며, 베드(18)는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된 기부 축(36)을 중심으로 연결프레임(28)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각각의 측면부(32)는 그 내측에 제 1 연결요소(22)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연결요소(22)는 외측부(38)를 갖춘 광폭 장부(tenon) 구성 및 내측부(42)를 갖춘 홈 형상의 틈새(clearance: 40) 구조를 갖는다.

    연결 프레임(28)의 아래에는 도면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지지부 헤드(14)의 일부분인 지지부재(saddle: 44)가 배치된다. 그 지지부재(44)는 중간부(46)와 양측의 측부(48)를 갖추고 있으며 연결 프레임(28)과 마찬가지로 C자형 구조로 되어 있고, 도면에는 두개의 측부들 중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측부(48)는 제 1 연결 요소(22)를 수용하기 위하여 제 2 연결요소(24)를 구성하는 수용 포켓을 그 외측에 구비하며, 상기 수용 포켓은 제 1 연결요소(22)의 외측부(38)에 맞는 내측부(50)를 갖는다. 각각의 측부(48) 부근의 중간부(46)에는 그 상부에 돌출된 센터링 핀(52)을 구비하며, 상기 센터링 핀(52)은 연결 프레임(28)의 중간판(30) 밑에 형성된 상보적(相補的) 형상의 핀 수용부(pin receptacle: 54)속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2 연결요소(24)의 수용 포켓으로 돌출된 가이드 장부는 제 3 연결요소(26)를 형성하며, 받침부(56)를 통해 트롤리(16)에 고정되며, 제 1 연결요소(22)의 틈새(40)속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장부는 제 1 연결요소(22)의 내측부(42)에 일치하는 외측부(58)를 갖는다.

    베드가 트롤리로부터 지지부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는 동안에 3개의 모든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22,24,26)들이 동시에 서로 맞물리게 되면, 그 연결요소들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연결요소가 다른 연결요소에 포개어 끼워지는 식으로 된다. 제 3 연결요소(26)를 형성하는 장부는 제 1 연결요소(22)의 틈새(40)에 배치되고, 제 1 연결요소(22)는 다시 제 2 연결요소(24)를 형성하는 수용 포켓에 맞물리게 되어 3개의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들이 한 평면에 배치되는 것처럼 조립된다. 이러한 결과, 베드(18)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매우 평탄한 구조로 된다.

    이러한 구성의 다른 이점은 잠금기구(locking mechanism)의 다음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잠금기구에 의하여 베드(18)는 지지부(14) 또는 트롤리(16)중 어느 하나에 번갈아가면서 교호로 연결되는 것이다.

    도 4는 연결프레임(28)의 측면부(32)의 내측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제 1 연결요소(22)에는 두개의 잠금요소(60,62)들이 조정가능하게 장착된다. 잠금요소(60,62)들은 각각 두개의 아암으로 된 레버 형태로 되며, 상기 각각의 레버는 피보트 축(64,66)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토션 스프링(68,7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잠금요소(60)는 지지부 헤드(14)에 베드(18)를 잠금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레버 아암(72)에는, 후크가 형성된 연장부(hooked extension: 74)가 제공되며, 그 연장부(74)는 제 2 연결요소(24)의 내측부(50)에서의 틈새(76)로 맞물리게 된다(도 5 참조). 잠금요소(62)는 베드(18)를 트롤리(16)에 잠금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잠금요소(62)의 레버 아암(78)은 장부 형태로 된 제 3 연결요소(26)의 외측부(58)에 있는 틈새(82)에 맞물려 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된 연장부(80)를 구비한다(도 5 참조).

    지지부(10)로부터 트롤리(16)로의 베드(18) 이동중에 있어 잠금요소들의 작동 모드를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3개의 제 1, 제 2 및 제 3 연결요소(22,24,26)들이 서로 완전히 맞물린 상태를 보여준다. 이 상태에서, 잠금요소(60,62)들 모두는 해제 위치로 회동된다. 이 회동은 잠금요소(60)의 경우, 레버 아암(72)의 반대쪽의 레버 아암(84)이 제 3 연결요소(26)에 형성된 제어캠(88)의 제어 모서리(86)에서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잠금요소(60)의 후크가 형성된 연장부(74)의 반대쪽 레버 아암(72)의 단부(9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연결요소의 외측부의 반원 형태의 틈새(92) 속으로 침투함으로써 일어난다. 같은 방식으로, 잠금요소(6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아암(78)의 반대쪽의 레버 아암(94)이 제 2 연결요소(24)에 형성된 제어캠(97)의 제어 모서리(96)와 함께 슬라이드되며, 다시 후크가 형성된 연장부(80)의 반대쪽의 레버 아암(78)의 단부(98)는 제 2 연결요소(24)의 반원형태의 틈새(100)속으로 침투함으로써 일어난다.

    트롤리(16)로의 베드(18)의 이동중에, 지지부 헤드(14)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위치에서 하강된다. 도 6에는 지지부 헤드(14)의 하강 이동 및 그에 동반한 제 2 연결요소(24)의 하강 이동의 개시와 함께 우측의 잠금요소(62)는 레버 아암(78)의 단부(98)의 제어 모서리(101) 상을 슬라이딩하는, 제 2 연결요소(24)의 제어캠(97)의 작용하에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이로써 후크가 형성된 연장부(80)는 틈새(82) 속으로 이동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 6에 도시된 위치에서, 베드(18)는 트롤리(16)로부터 더 이상 상승될 수 없다. 지지부 헤드(14)가 더 하강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요소(62)의 후크가 형성된 연장부(80)는 제 3 연결요소(26)의 틈새(82) 속으로 완전히 회동되어서 베드(18)는 트롤리(16)에 견고하게 잠금 고정된다. 이 위치에서, 후크가 형성된 연장부(80)는 토션 스프링(70)의 작용으로 유지된다. 반대로, 지지부 헤드(14)가 도 7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승하는 동안에는, 잠금요소(6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제 1 연결요소(22) 및 제 3 연결요소(26) 사이의 잠금이 해제된다.

    도 8과 도 9는 베드(18)가 트롤리(16)로부터 지지부(10)로 이동하는 동안의 잠금 작동을 보여준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위치에서 출발하여, 지지부 헤드(14)가 상승하게 되면, 제 3 연결요소(26)가 제 1 연결요소(22)의 틈새(40)에서 벗어나 하방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동시에, 이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요소(60)는 레버 아암(72)의 단부(90)의 제어 모서리(103)를 슬라이드하고 제 3 연결요소(26)에 위치하는 제어캠(88)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잠금요소(60)의 후크가 형성된 연장부(74)는 지지부측의 제 2 연결요소(24)의 틈새(76)속으로 맞물리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연결요소(26)가 제 1 연결요소(22)에서 인출되면, 베드(18)는 지지부 헤드(14)에 견고하게 잠금 고정된다. 반대로, 제 3 연결요소(26)가 제 1 연결요소(22)의 틈새(40) 속으로 도입될 때, 잠금요소(6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서 제 2 연결요소(24) 및 제 1 연결요소(22) 사이의 잠금이 해제된다. 상기한 설명은 두개의 잠금요소(60,62)들이 각각 연결작동중에 회동되어서, 한편으로는 베드와 지지부 헤드 사이의 신뢰성있는 잠금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베드와 트롤리 사이의 신뢰성있는 잠금이 보장됨을 보여준다.

    더욱이, 두개의 잠금요소(60,62)들이 해제위치로 회동된 도 5의 위치에서 출발하여, 베드(18)가 지지부 헤드와 트롤리에 대하여 상승되면, 두개의 잠금요소(60,62)들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잠금상태로 된다. 이로써, 베드(18)는 도 5에 도시된 위치에서 벗어나 상승되는 것이 신뢰성있게 방지된다.

    지지부(10)로부터 트롤리(16)로의 베드(18)의 이동에 있어 가능한 마찰이 없게 하기 위하여, 제 1, 제 2, 제 3 연결요소(22,24,26)들은 서로에 대하여 정확하게 일직선상으로 정렬되어져 있어야 한다. 상기 제 1, 제 2, 제 3 연결요소(22,24,26)들이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면 장애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44)는 부호(102)로 표시되는 센서를, 제 2 연결요소(24)의 수용 포켓 속에 배치하고, 이 센서(102)는 제 2 연결요소(24)에 대하여 제 3 연결요소(26)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 센서(102)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디스크(104)로 이루어지며 이 디스크(104)는 예를 들면 전위차계 탭(potentiometer tap)에 접속되고 그 외측에는 편심적으로 배치된 감지 돌기(sensing finger: 10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감지 돌기(106)는, 제 3 연결요소(26)의 넓은 쪽에 형성되고 두개의 제어 모서리(110,112)들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틈새(108)에 맞물려 결합한다. 트롤리(16)와 지지부 헤드(14)가 환자 인계 과정에서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어서 제 2 및 제 3 연결요소(24,26)들이 필요한 형태로 서로 일직선으로 되지 않게 되는 경우, 감지 돌기(106)는 제어 모서리(110,112)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디스크(104)는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은 예를 들면 접속된 전위차계를 통해 탐지되며, 제어신호로 변환되어 지지부 헤드(14)의 제어부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마찰이 없는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 2 및 제 3 연결요소(24, 26)들이 서로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지지부 헤드(14)는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베드는 종래 기술의 베드장치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높은 기능 신뢰성을 보장하는 장점이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