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기

申请号 KR1020160145288 申请日 2016-11-02 公开(公告)号 KR1020170053579A 公开(公告)日 2017-05-16
申请人 아톰 메디칼 코포레이션; 发明人 와카바야시,케이스케; 고바야시,켄지; 오오하시,마사아키; 마쓰바라,이치로; 마쓰바라,테르미;
摘要 본발명은, 보육기의전부의구성부재를수송하기위한수송비를비교적저액으로억제할수 있고, 깨끗하게청소하는작업을비교적간단하게실시할수 있으며, 별개의아가감염증등에걸릴가능성을낮추고, 파손부분의수복이나부품교환이비교적간단한보육기를제공한다. 이러한보육기에서는, 제1 래치기구에의한상면후드의래치를해제시키는것에의해, 상면후드를주위테두리부로부터분리할수 있도록구성되고, 제2 내지제5 래치기구중 어느것을래치해제상태로오게하는것에의해, 주위테두리부를구성하는 4개의벽부중, 래치해제된래치기구에대응하는벽부를, 보육기기대로부터분리할수 있도록구성된다.
权利要求
  • 와상가(臥床架)(42)를 지지할 수 있는 보육기 기대(12)와,
    아기 수용 공간(25)의 바깥 주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보육기 기대(12)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제1 벽부(21), 제2 벽부(22), 제3 벽부(23) 및 제4 벽부(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주위 테두리부(75)와,
    상기 아기 수용 공간(25)의 상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내지 제4 벽부(21 내지 24) 중 적어도 하나의 벽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면 후드(26)를 구비하고 있는 보육기(11)에 있어서,
    상기 상면 후드(26)가, 상기 주위 테두리부(75)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부에, 제1 래치 기구(50)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 제1 래치 기구(50)가 래치 해제 상태로 오게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상면 후드(26)가, 상기 제1 래치 기구(50)에 의한 래치를 해제하여, 상기 주위 테두리부(75)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벽부(21), 상기 제2 벽부(22), 상기 제3 벽부(23) 및 상기 제4 벽부(24)의 각각이, 상기 보육기 기대(12)에 제2 래치 기구(58), 제3 래치 기구(59), 제4 래치 기구(60) 및 제5 래치 기구의 각각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 제2 래치 기구(58), 상기 제3 래치 기구(59), 상기 제4 래치 기구(60) 및 상기 제5 래치 기구 중 어떠한 래치 기구가 래치 해제 상태로 오게 되는 것에 의해, 이러한 래치 해제 상태로 오게 된 상기 어떠한 래치 기구에 래치되어 있던 상기 벽부가, 이러한 어떠한 래치 기구에 의한 래치를 해제하여, 상기 보육기 기대(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육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육기 기대(12)를 지지할 수 있는 보육기 기대 지지 기구(14)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육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육기 기대 지지 기구(14)가,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실질적으로의 전체가 개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32)를 갖는 대차 본체(31)와,
    이러한 대차 본체(31)의 상기 개구부(32)를 개폐하기 위해, 이러한 대차 본체(31)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좌우 한 쌍의 개폐문(33a, 33b)과,
    상기 보육기(11)를 이동시키는데 이용하기 위해, 상기 대차 본체(31)에 배설된 차 바퀴(15)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육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육기 기대 지지 기구(14)가, 그 상단부가 보육기 기대(1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지주부(132)와, 이러한 지주부(132)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대차 본체(133)와, 이러한 대차 본체(133)의 한쪽 측의 단부와 이러한 한 쪽 측과는 반대측인 타 쪽의 측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다리부(134a, 134b)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134a, 134b)의 각각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차 바퀴(1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육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 수용 공간(25)의 상기 바깥 주위가, 상기 아기 수용 공간(25)을 평면적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장방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육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후드(26)가, 상기 제1 내지 제4 벽부(21 내지 24) 중 적어도 2개의 고정 측의 벽부(21, 22)의 각각에, 상기 제1 래치 기구(50)의 각각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육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벽부(21 내지 24) 중 상기 고정 측의 벽부(21, 22)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가동 측의 벽부(23, 24)의 하단부가, 상기 보육기 기대(12)에 회동 자유롭게 축지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 측의 벽부(23, 24)가, 그 하단부를 회동 지점으로서 실질적으로 직립한 상태와 실질적으로 하수한 상태의 사이를 왕복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육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육기(11)가 폐쇄형 보육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육기.
  • 说明书全文

    보육기{INCUBATOR}

    본 발명은, 와상가를 지지할 수 있는 보육기 기대와, 아기 수용 공간의 바깥 주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보육기 기대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제1, 제2, 제3 및 제4 벽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주위 테두리부와, 상기 아기 수용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내지 제4 벽부 중 적어도 하나의 벽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면 후드를 구비하고 있는 보육기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보육기는, 일본 특개평 9-276343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1"이라고 함)에 실질적으로 예시되고 있는 것처럼,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보육기(이하, "특허 문헌 1의 보육기"라고 함)에 있어서, 의사나 간호사 등의 취급자는, 보육기의 아기 수용 공간에 배설되어 있는 와상가 상에서 자고 있는 신생아 등의 아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하여 각종의 처치를 실시할 수 있다. 즉, 의사나 간호사 등의 취급자는, 인클로저의 앞측의 면을 구성하고 있는 가동 벽부를, 실질적으로 직립시킨 상태(바꾸어 말하면, 폐쇄 상태)로부터 이러한 가동 벽부의 하단부 부근을 회동 지점으로서 외측을 향해 왕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실질적으로 아래로 처진 상태로 한다. 이 때문에, 아기 수용 공간이 앞측의 면에서 개방되므로, 의사나 간호사 등의 취급자는, 이러한 개방된 앞측의 면으로부터 아기에게 다가간 후, 아기에 대해 필요한 처치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처치를 실시한 후에는, 실질적으로 아래로 처진 상태가 되어 있는 가동 벽부를 상기 왕회동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복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아기 수용 공간을 다시 폐쇄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보육기에서는, 아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인클로저가 보육기 기대 상에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클로저에서는, 이러한 인클로저의 앞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동 벽부 이외의 벽부(바꾸어 말하면, 앞측의 벽부 중 가동 벽부 이외의 부분, 후측의 벽부, 좌우 양측의 벽부 및 상면 후드부) 및 보육기 기대의 각각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없도록,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에 의해, 차례차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의 보육기의 복수대를 화물선박, 화물 철도, 트럭 등의 수송 수단에 의해 동시에 수송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폐쇄형 보육기가 비교적 부피가 크기 때문에, 1대 당 폐쇄형 보육기의 수송 비용이 비교적 고액이 된다.

    그리고, 특허 문헌 1의 보육기에서는, 앞측, 후측 및 좌우 양측의 벽부, 상면 후드부 및 보육기 기대의 사이의 상호의 결합을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벽부끼리의 인접 부분이나, 이러한 벽부와 상면 후드부의 인접 부분이나, 보육기 기대와 이러한 벽부의 인접 부분(특히, 서로 인접하는 양자의 극간) 등에, 아기의 체액 등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닦아서 깨끗이 하는 것에 의해 깨끗이 청소하는 것이 비교적 곤란하다. 이 때문에, 상기 체액 등이 상기 간극 등에 남은 채로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른 아기가 상기 보육기의 아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간극 등을 미리 깨끗이 청소하는 것이 비교적 곤란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다른 아기가 감염증 등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보육기에서는, 앞측, 후측 및 좌우 양측의 벽부와 상면 후드부 및 보육기 기대와의 사이의 결합을 서로 분리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이러한 벽부나 상면 후드부 중 적어도 하나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파손했을 때에는, 상기 4개의 벽부와 상기 상면 후드부와 상기 보육기 기대로 구성되어 있는 인클로저와 보육기 기대와의 조합 구조의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보육기에 있어서의 상술과 같은 결점을,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도, 효과적으로 시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와상가를 지지할 수 있는 보육기 기대와, 아기 수용 공간의 바깥 주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보육기 기대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제1 벽부, 제2 벽부, 제3 벽부 및 제4 벽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주위 테두리부와, 상기 아기 수용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내지 제4 벽부 중 적어도 하나의 벽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면 후드를 구비하고 있는 보육기에 있어서, 상기 상면 후드가, 상기 주위 테두리부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부에, 제1 래치 기구에 의해서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 제1 래치 기구가 래치 해제 상태로 오게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상면 후드가, 상기 제1 래치 기구에 의한 래치가 해제하여, 상기 주위 테두리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벽부, 제2 벽부, 제3 벽부 및 제4 벽부의 각각이, 상기 보육기 기� �에 제2 래치 기구, 제3 래치 기구, 제4 래치 기구 및 제5 래치 기구의 각각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 제2 래치 기구, 제3 래치 기구, 제4 래치 기구 및 제5 래치 기구 중 어떠한 래치 기구가 래치 해제 상태로 오게 되는 것에 의해, 이러한 래치 해제 상태로 오게 된 상기 어떠한 래치 기구에 래치 되어 있던 상기 벽부가, 이러한 어떠한 래치 기구에 의한 래치를 해제하여, 상기 보육기 기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육기와 관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보육기의 구성 부재 중, 주위 테두리부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4 벽부의 각각과 상면 후드와의 각각이, 보육기 기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바꾸어 말하면, 정식으로)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육기의 구성 부재의 전체를 수송하는 것이, 비교적 간단하게 되므로, 보육기의 전체의 구성 부재를 수송하기 위한 수송비를 비교적 저액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육기 기대, 제1 내지 제4 벽부의 각각 및 상면 후드의 각각을 깨끗이 청소하는 작업이 비교적 간단하게 되므로, 아기의 체액 등이 상면 후드, 제1 내지 제4 벽부 및 보육기 기대의 상호의 사이에 부착하고 있어도, 다른 아기가 감염증 등에 걸리는 것을 비교적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육기 기대, 제1 내지 제4 벽부 및 상면 후드 중 적어도 하나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파손했을 때에, 이러한 파손한 부분을 수복하거나 이 파손한 부분의 부품을 교환하거나 하는 작업이, 일반적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보육기 기대를 지지할 수 있는 보육기 기대 지지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보육기 기대를 지지할 수 있는 보육기 기대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보육기 기대(나아가서는, 주위 테두리부 및 상면 후드가 각각 장착된 보육기 기대)를 테이블이나 책상 위 등에 재치할 필요가 특히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보육기 기대, 주위 테두리부 및 상면 후드를 적당한 장소에 비교적 안전한 상태에서 배치하는 것이, 비교적 간단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제1 관점의 제1 태양에서는, 상기 보육기 기대 지지 기구가,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거의 전체가 개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갖는 대차 본체와, 이러한 대차 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이러한 대차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좌우 한 쌍의 개폐문과, 상기 보육기를 이동시키는데 이용하기 위해, 상기 대차 본체에 배설된 차 바퀴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내지 제4 벽부의 각각이나 상면 후드 등의 각각을 대차 본체의 개구부를 통해 대차 본체 내에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내지 제4 벽부의 각각이나 상면 후드 등의 각각이 보육기 기대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더라도, 보육기의 체재가 좋고, 또한, 제1 내지 제4 벽부의 각각이나 상면 후드 등의 각각이 손상될 우려가 적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관점의 상기 제2 태양에서는, 상기 보육기 기대 지지 기구가, 그 상단부가 보육기 기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지주부와, 이러한 지주부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대차 본체와, 이러한 대차 본체의 한 쪽 측의 단부와 이러한 한 쪽 측과는 반대측인 다른 쪽 측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다리부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의 각각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차 바퀴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내지 제4 벽부의 각각이나 상면 후드 등의 각각을, 보육기 기대의 하방의 공간에 수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내지 제4 벽부의 각각이나 상면 후드 등의 각각이 보육기 기대로부터 분리되고, 보육기 기대 및 보육기 기대 지지 기구가 포장용 용기에 수납되고 있을 때에도, 보육기의 체재가 좋고, 또한, 제1 내지 제4 벽부의 각각이나 상면 후드 등이 손상될 우려가 적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아기 수용 공간의 상기 바깥 주위가, 상기 아기 수용 공간을 평면적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장방형상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아기 수용 공간의 바깥 주위가, 이러한 아기 수용 공간을 평면적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장방형상이기 때문에, 보육기나 보육기의 구성 부재를 실질적으로 직방체 형상의 골판지 상자 등의 포장용 용기에 비교적 간단하고 확실하게 수납할 수 있으므로, 수송 시의 취급이 간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상면 후드가, 상기 제1 내지 제4 벽부 중 적어도 2개의 고정 측의 벽부의 각각에, 상기 제1 래치 기구의 각각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면 후드가, 적어도 2개의 고정 측의 벽부의 각각에, 제1 래치 기구의 각각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면 후드를 비교적 안정된 상태에서 주위 테두리부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3 관점의 제1 태양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 벽부 중 상기 고정 측의 벽부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가동 측의 벽부의 하단부가, 상기 보육기 기대에 회동 자유롭게 축지 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 측의 벽부가, 그 하단부를 회동 지점으로서 실질적으로 직립한 상태와 실질적으로 하수한 상태와의 사이를 왕복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적어도 하나의 가동 측의 벽부가, 그 하단부를 회동 지점으로서 실질적으로 직립한 상태와 실질적으로 하수한 상태와의 사이를 왕복 회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의사나 간호사 등은, 보육기의 아기 수용 공간 내의 아기에 대해, 비교적 간단하게 각종의 처치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관점에서는, 상기 보육기가 폐쇄형 보육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보육기가 폐쇄형의 보육기이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비교적 고장나기 어려운 보육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의,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에 관련하여 읽혀지는 다음의 상세하게 설명된 기재로부터, 간단하게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폐쇄형 보육기에 적용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육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보육기에 있어서의, 상면 후드와 다리측의 벽부와의 연결 기구 및 앞측의 벽부의 잠금 기구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나타낸 상면 후드와 다리측(脚側)의 벽부와의 연결 기구를, 상면 후드가 다리측의 벽부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1 분리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나타낸 상면 후드와 다리측의 벽부와의 연결 기구를, 상면 후드가 다리측의 벽부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2 분리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나타낸 상면 후드와 다리측의 벽부와의 연결 기구를, 상면 후드가 다리측의 벽부 상에 재치되고, 연결 기구가 기능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 나타낸 상면 후드와 다리측의 벽부와의 연결 기구를, 상면 후드가 다리측의 벽부 상에 재치되고, 연결 기구가 기능하고 있는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나타낸 보육기에 있어서의, 보육기 기대와 다리측의 벽부와의 연결 기구 및 보육기 기대와 앞측의 벽부와의 연결 기구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서 나타낸 보육기를, 상면 후드, 머리측의 벽부, 다리측의 벽부, 앞측의 벽부 및 후측의 벽부를 각각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나타낸 보육기를, 보육기 기대로부터 베이비 가이드용의 벽부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서 나타낸 보육기를, 이러한 보육기의 사용 상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로 곤포한 곤포 상태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면 후드, 머리측의 벽부, 다리측의 벽부, 앞측의 벽부 및 후측의 벽부를 보육기 본체로부터 각각 분리한 후의 도 1에서 나타낸 보육기를, 보육기 본체, 상면 후드, 다리측의 벽부 및 앞측의 벽부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곤포한 곤포 상태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나타낸 보육기를, 상면 후드, 머리측의 벽부, 다리측의 벽부, 앞측의 벽부 및 후측의 벽부의 각각을 보육기 본체의 물품 수납용 공간에 수납한 물품 수납 상태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면 후드, 머리측의 벽부, 다리측의 벽부, 앞측의 벽부 및 후측의 벽부를 보육기 기대로부터 각각 분리하는 것과 동시에, 대차와 보육기 기대에서 분리한 후의 도 1에서 나타낸 보육기를, 보육기 기대, 상면 후드, 머리측의 벽부, 다리측의 벽부, 앞측의 벽부 및 후측의 벽부와 대차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곤포한 곤포 상태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을 폐쇄형 보육기에 적용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육기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나타낸 보육기를, 상면 후드, 머리측의 벽부, 다리측의 벽부, 앞측의 벽부 및 후측의 벽부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곤포하여 메인 지주의 바깥 주위에 배치한 후 전체적으로 곤포한 곤포 상태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폐쇄형 보육기에 각각 적용한 제1 및 제2 실시예를, "1. 제1 실시예" 및 "2. 제2 실시예"로 항목 분류하고,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제1 실시예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1) 보육기 전체의 개략적인 설명", "(2) 머리측, 다리측, 앞측 및 후측의 벽부의 설명", "(3) 상면 후드의 설명", "(4) 보육기 기대와 머리측 및 다리측의 벽부와의 연결 기구의 설명", "(5) 보육기 기대와 앞측 및 후측의 벽부와의 연결 기구의 설명", "(6) 상면 후드와 주위 벽부와의 연결 기구의 설명" 및 "(7) 보육기의 곤포의 방법의 설명"으로 항목 분류하고,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보육기 전체의 개략적인 설명

    폐쇄형 보육기(11)는, 도 1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평면적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장방형(바꾸어 말하면, 전체적으로 실질적인 직방체 형상) 등의 보육기 기대(12)와 이 보육기 기대(12)의 실질적으로의 바깥 주위에 따라 이러한 보육기 기대(12) 상에 입설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방체 형상 등의 인클로저(13)와 보육기 기대(12)를 그 실질적으로 상면에 장착 고정하고 있는 보육기 기대 지지 수단 또는 보육기 기대 지지 기구로서의 대차(14)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인클로저(13)는, 장착 및 분리가 각각 용이하도록, 보육기 기대(12) 상에 장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대차(14)는, 이러한 대차(14)의 하측면의 실질적으로 네 귀퉁이의 각각에, 보육기(11)를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차 바퀴(15)를 마련하여 지지되고 있다. 또한, 보육기 기대(12)는, 필요에 따라, 부착 및 분리가 각각 용이하도록 대차(14)에 장착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일단 장착된 후에는 용이하게 분리할 할 수 없도록 장착 고정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보육기 기대(12)는, 볼트와 너트로부터 구성되는 연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대차(14)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고정되고 있을 수 있다.

    인클로저(13)는, 도 1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a)이러한 인클로저(13)에 수용되어 있는 아기의 머리측의 벽부를 구성하고 있는 머리측의 벽부(바꾸어 말하면, 인클로저(13)의 길게 연장하여 존재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한 쌍의 벽부 중 한 쪽 측의 벽부)(21),

    (b)아기의 다리측의 벽부를 구성하고 있는 다리측의 벽부(바꾸어 말하면, 인클로저(13)의 길게 연장하여 존재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고 있는 한 쌍의 벽부 중 한 쪽 측의 벽부에서 만나고, 제1 벽부(21)에 실질적으로 대향하고 있는 제2 벽부)(22),

    (c)앞측의 벽부(아기의 우측의 벽부에서 만나고, 인클로저(13)의 짧게 연장하여 존재하는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고 있는 한 쌍의 벽부 중 한 쪽 측의 벽부인 제3 벽부)(23),

    (d)후측의 벽부(아기의 좌측의 벽부에서 만나고, 인클로저(13)의 짧게 연장하여 존재하는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고 있는 한 쌍의 벽부 중 한 쪽 측의 벽부인 제4 벽부)(24), 및

    (e)이러한 벽부(21 내지 24)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아기 수용 공간(25)의 상면의 실질적으로 전체를 가리도록 배설되어 있는 상면 후드(26)

    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인클로저(13)는 그것의 실질적으로의 전체가 실질적으로 투명, 실질적으로 반투명 등일 수도 있다. 그리고, 벽부(21 내지 24) 및 상면 후드(26)의 각각은,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투명한 아크릴 수지 등의 실질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합성 수지, 실질적으로 투명하거나, 실질적으로 반투명한 등의 그 외의 합성 수지 등과 같은, 실질적으로 투명하거나, 실질적으로 반투명한 등의 재료로부터,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 등에서 나타낸 대차(14)는, 그 실질적으로 전체가 스틸제 등의 금속제일 수 있고, 또한, 실질적으로 직방체 형상 등의 실질적으로 상자형의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대차(14)는, 앞측의 면 등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실질적으로 전체 등이 개구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32)를 가지는 대차 본체(31)와, 이러한 대차 본체(31)의 개구부(32)를 개폐하기 위해, 이러한 대차 본체(31)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개폐문(33a, 33b)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좌측의 개폐문(33a)은, 대차 본체(31)의 좌측의 단부 부근을 회동 지점으로서 왕복 회동할 수 있도록, 대차 본체(31)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개폐문(33b)는, 대차 본체(31)의 우측의 단부 부근을 회동 지점으로서 왕복 회동할 수 있도록, 대차 본체(31)에 장착되어 있다.

    기대(12)의 좌측의 벽부(34) 및 우측의 벽부(35)의 각각의 상부 부근의 외측면에는, 도 1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좌측의 손잡이부(36) 및 우측의 손잡이부(37)가 각각 장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좌측 및 우측의 손잡이부(36, 37)는, 평평한 실질적으로 U자형 모양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손잡이부(36, 37)의 각각의 양단부는, 좌측의 벽부(34) 및 우측의 벽부(35)의 각각에, 장착 고정 또는 일체 성형 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기대(12)의 좌측의 측면부에는, 가습기 유닛(41)이, 당겨 빼기에 의해 기대(12)로부터 꺼내질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기대(12)의 우측의 측면부에는, 인클로저(13)의 내부에 배설되어 있는 와상가(42)(도 8 참조)의 머리측의 부분(43)으로부터 다리측의 부분(44)에 걸친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데 이용되는 각도 조정용 손잡이(45)가, 배설되어 있다.

    와상가(바꾸어 말하면, 와상대)(42)의 머리측, 다리측, 앞측 및 후측의 단부의 각각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머리측의 보조 벽부(67), 다리측의 보조 벽부(68), 앞측의 보조 벽부(69) 및 후측의 보조 벽부(70)이 각각 배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와상가(42)의 머리측, 다리측, 앞측 및 후측의 각각의 단부에는, 한 쌍씩의 콘센트용 슬릿(78, 79)이, 그러한 길이 방향에 따라서, 각각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벽부(67 내지 70)의 각각의 한 쌍씩의 콘센트부(88, 89)의 각각이 이러한 콘센트용 슬릿(78, 79)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보조 벽부(67 내지 70)가, 비교적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와상대(42)에 각각 장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보조 벽부(67 내지 70)는, 와상가(42) 상에 배설되어 있는 매트 (80) 상에 가로로 누워 있는 신생아 등의 아기가 매트(80) 상으로부터 밀려 나오는 것을,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2) 머리측, 다리측, 앞측 및 후측의 벽부의 설명

    머리측의 벽부(21)는, 도 1, 도 11 등에서 나타낸 다리측의 벽부(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머리측의 벽부(21) 및 다리측의 벽부(22)의 각각의 중앙 부분에는, 도 1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천재질 등의 조리개 창(46)이 장착되어 있는 손삽입용 개구(4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머리측의 벽부(21) 및 다리측의 벽부(22)의 각각의 앞측의 부분 및 후측의 부분의 각각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홈에는, 그로멧 부재(51)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한, 머리측의 벽부(21) 및 다리측의 벽부(22)의 각각의 상단 부근에는, 도 1, 도 2, 도 3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전후 한 쌍의 래치 기구(50)의 각각의 피계합부(52)가 일체 성형 등에 의해 각각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머리측의 벽부(21)의 후측의 단부 및 다리측의 벽부(22)의 앞측의 단부의 각각의 상단부 부근에는, 도 2, 도 11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피계합부로서의 래치 받이부(53)가 일체 성형 등에 의해 배설되어 있다. 또한, 머리측의 벽부(21) 중 후측의 단부의 부근에서 또한 상측의 단부의 부근에는, 산소 센서 등의 보조적인 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11 등에서 나타낸 앞측의 벽부(23)는, 후측의 벽부(2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의 각각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의 각각은, 좌측의 손투입 창(54) 및 우측의 손투입 창(55)이 각각 배설되어 있다. 또한, 부호 56은, 좌측 및 우측의 손투입 창(54, 55)의 각각의 회동축부이다. 그리고, 부호 57은, 좌측 및 우측의 손투입 창(54, 55)의 각각의 래치 기구이다.

    기대(12)의 앞측의 부분(610 및 후측의 부분(62)의 각각의 상단부 부근의 좌우 양측 부분 부근에는, 도 1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좌측의 경첩부(63) 및 우측의 경첩부(64)가 회동축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왕복 회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의 각각은, 이러한 벽부(23, 24)가 폐쇄 상태가 되어 있을 때 상면 후드(26)의 앞측 및 후측의 하단부의 각각과 계합하는 좌우 한 쌍의 제1 래치 기구(65)가, 각각 배설되어 있다. 또한, 제1 래치 기구(65)의 각각은,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 중 어느 한 쪽의 벽부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는 공통의 축부(66)와 이러한 공통의 축부(66)의 외측의 단부와 안쪽의 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외측의 래치 레버부(71) 및 내측의 래치 레버부(7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앞측의 벽부( 23) 및 후측의 벽부(24)의 각각의 좌측의 단부 부근(바꾸어 말하면, 이러한 벽부(23, 24)의 각각의 외측으로부터 향하는 우측의 단부 부근)에서 또한 상측의 단부 부근에는, 도 2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래치 기구(73)의 계합부로서의 래치 레버부(74)와 이 래치 레버부(74)를 벽부(23, 24)에 장착 지지하기 위한 레버 지지부(77)가, 각각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앞측 또는 후측의 벽부(23, 24)를 개방할 경우에는, 레버 지지부(77)에 대해 래치 레버부(74)를 왕동 조작하는 것에 의해, 래치 레버부(74)를 피계합부(53)로부터 이탈시킨 후에, 앞측 또는 후측의 벽부(23, 24)를 개방시키면 좋다.

    (3) 상면 후드의 설명

    상면 후드(26)는, 도 1, 도 10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실질적으로 사각뿔 사다리꼴 형상 등일 수 있고, 그 하면이 전면적으로 개구하고 있는 중공체일 수 있다. 또한, 머리측의 벽부(21), 다리측의 벽부(22),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에 의해, 평면적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장방형상(바꾸어 말하면, 상면 및 하면의 각각이 전체적으로 개구하고 있는 실질적인 각통형상) 등의 주위 테두리부(75)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위 테두리부(75)와 이러한 주위 테두리부(75)의 상면 개구를 선택적으로 가릴 수 있는 상면 후드(26)에 의해, 인클로저(13)가 구성되어 있다.

    상면 후드(26)의 머리측의 단부 및 다리측의 단부의 각각의 앞측의 부분 및 후측의 부분의 각각은, 도 1, 도 3, 도 11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전후 한 쌍의 래치 기구(50)의 계합부(76)가 각각 배설되어 있다. 또한, 계합부(76)는, 상면 후드(26)의 하단부에 일체 성형 등에 의해 배설되어 있는 래치 부재용의 지지부(81)와 이러한 지지부(81)의 각각에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에 접동(摺動)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어 있는 래치 부재(82)를 구비하고 있다.

    (4) 기대와 머리측 및 다리측의 벽부와의 연결 기구의 설명

    도 1 등에서 각각 나타낸 머리측의 벽부(21) 및 다리측의 벽부(22)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직립하고 있는 벽부 본체(83)와 이러한 벽부 본체(83)의 하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일체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고 벽부 본체(83)의 하단부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여 존재하고 있는 피장착부(84)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피장착부(84)의 각각에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연장하여 존재하고 있고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일 수 있는 전후 한 쌍의 계합용 개구(8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육기 기대(12)의 좌측의 측단부(86) 및 우측의 측단부(87)의 각각의 전단부 부근 및 후단부 부근의 각각에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연장하여 존재하고 있고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일 수 있는 위치 결정용의 앞측 돌출부(91) 및 위치 결정용의 후측 돌출부(91)의 각각이, 좌측의 측단부(86) 및 우측의 측단부(87)에, 각각 일체적 등으로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앞측의 돌출부(91) 및 후측의 돌출부(92)의 각각의 위쪽 면에는, 이러한 돌출부(91, 92)의 각각과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일 수 있는 앞측의 계지용 레버(93) 및 후측의 계지용 레버(94)의 각각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 도 7 등에서 나타낸 다리측의 벽부(22)를 보육기 기대(12)에 장착 고정할 경우에는, 앞측 및 후측의 계지용 레버(93, 94)의 길이 방향을 보육기 기대(12)의 전후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시킨다. 그 다음으로, 다리측의 벽부(22)의 피장착부(84)를 보육기 기대(12)의 좌측의 측단부(86) 상에 재치시킨다. 이러한 재치를 할 때에는, 앞측 및 후측의 돌출부(91, 92) 및 앞측 및 후측의 계지용 레버(93, 94)의 각각을, 앞측 및 후측의 계합용 개구(85)에, 상대적으로 감합 또는 삽입시킨다. 그 다음으로, 앞측 및 후측의 계지용 레버(93, 94)의 각각을, 수동 등에 의해,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90도 회동시킨다. 그 결과, 앞측 및 후측의 돌출부(91, 92)가 앞측 및 후측의 계합용 개구(85)로부터 상대적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앞측 및 후측의 계지용 레버(93, 94)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지된다. 이로 인해, 머리측의 벽부(21) 및 다리측의 벽부(22)의 각각이, 앞측 및 후측의 계지용 레버(93, 94)에 의해, 보육기 기대(12)의 실질적으로 상면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장착 고정된다. 따라서, 머리측의 벽부(21) 및/또는 다리측의 벽부(22)를, 보육기 기대(12)에 장착하거나 보육기 기대(12)로부터 분리하거나 하는 조작을, 비교적 간단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머리측의 벽부(즉, 제1 벽부)(21)를 위한 앞측 및 후측의 계지용 레버(93, 94)에 의해, 머리측의 벽부(21)를 위한 제2 래치 기구(58)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리측의 벽부(즉, 제2 벽부)(22)를 위한 앞측 및 후측의 계지용 레버(93, 94)에 의해, 다리측의 벽부(22)를 위한 제3 래치 기구(59)가 구성되어 있다.

    (5) 기대와 앞측 및 후측의 벽부와의 연결 기구의 설명

    도 1 등에서 각각 나타낸 보인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의 각각은, 회동축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보육기 기대(12)에 왕동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육기 기대(12)의 앞측의 부분(61) 및 후측의 부분(62)의 각각의 상단부 부근의 좌우 양측 단부의 부근에는, 도 8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좌측의 오목부(97) 및 우측의 오목부(9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오목부(97, 98)의 각각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측의 벽부(99)에는, 감합 구멍(100)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의 각각은, 도 1, 도 7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의 각각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측을 향해 돌출하고 있는 상기 회동축부가, 배설되어 있다.

    도 7에서 나타낸 접동 조작부 등의 조작부(107)의 각각은, 장착 고정, 단순한 연동 구조, 또는 일체 성형 등에 의해, 상기 회동축부의 각각에 연동 가능한 상태로서 계합할 수 있도록,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의 경첩부(63, 64)의 각각에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자가 수동에 의해서 조작부(107)를 조작하는 것에 의서,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의 각각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측과는 실질적으로 반대 측을 향해, 조작부(107)를 슬라이드(바꾸어 말하면, 왕동 조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서 나타낸 것처럼, 좌우 한 쌍의 상기 회동축부를 보육기 기대(12)의 감합 구멍(100)으로부터 각각 빼낼 수 있으므로,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의 각각을, 보육기 기대(12)로부터, 극히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의 각각을 기대(12)에 다시 장착할 때에는, 상술의 분리 조작 때와는 실질적으로 반대의 장착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앞측의 벽부(즉, 제3 벽부)(23)를 위한 한 쌍의 조작부(107)에 의해, 앞측의 벽부(23)를 위한 제4 래치 기구(60)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측의 벽부(즉, 제4 벽부)(24)를 위한 한 쌍의 조작부(107)에 의해, 후측의 벽부(24)를 위한 제5 래치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5 래치 기구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7에서 나타낸 제4 래치 기구(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추고 있을 수 있다.

    (6) 상면 후드와 주위 벽부와의 연결 기구의 설명

    앞측의 벽부(23), 머리측의 벽부(21), 후측의 벽부(24) 및 다리측의 벽부(22)에 의해서, 도 1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실질적으로 전체면에서 가구하고 있는 주위 테두리부(75)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위 테두리부(75)의 상단 개구의 실질적으로 전체면은, 상면 후드(26)에 의해서 덮여 있다.

    상면 후드(26)의 좌측의 하단부 및 우측의 하단부의 각각은, 도 2, 도 4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전후 한 쌍의 래치 기구(50)의 각각에 의해, 머리측의 벽부(21) 및 다리측의 벽부(22)에 각각 장착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머리측 및 다리측의 벽부(21, 22)에 각각 배설되어 있는 피계합부(52)의 각각이, 상면 후드(26)에 각각 배설되어 있는 래치 부재용의 지지부(81)에, 각각 계합하는 것에 의해, 상면 후드(26)의 머리측의 벽부(95) 및 상면 후드(26)의 다리측의 벽부(96)의 각각이, 주위 벽부(75)의 머리측 및 다리측의 벽부(21, 22)의 각각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계합부(76)의 래치 부재용 지지부(81)는, 도 4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일체 성형 등에 의해 상면 후드(26)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81)의 각각은, 래치 부재(82)를 가이드하기 위한 상측의 가이드부(101) 및 하측의 가이드부(102)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81)의 각각의 아래 쪽 단부에는, 머리측 및 다리측의 벽부(21, 22)의 각각의 상측의 피계합부(52)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결여부(10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래치 부재(82)의 각각은, 도 3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지지부(81)의 각각의 상측의 가이드부(101) 및 하측의 가이드부(102)에 의해 각각 가이드 되는 상측의 피가이드부(104) 및 하측의 피가이드부(10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래치 부재(82)의 각각의 외측면에는, 이러한 래치 부재(82)의 실질적으로 상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하단까지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고 있는 조작용 돌조부(突部)(106)가, 각각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래치 부재(82)에는, 상측의 피가이드부(104)와 하단의 피가이드부(105)와의 사이에서, 관통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는 창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래치 부재용의 지지부(81)의 각각의 상측의 가이드부(10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전후 한 쌍의 스토퍼부(112, 113)가 각각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부(8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에는, 칼라 라벨이 좋은 인디케이터용의 라벨(114)이 각각 배설되어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용의 라벨(114)의 각각은, 지지부(81)의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에 대해 차례차례 연장하여 존재하고 있는 제1 색부분(예를 들면, 녹색)(115a) 및 제2 색부분(예를 들면, 적색)(115b)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상면 후드(26)의 머리측의 벽부(95) 및 다리측의 벽부(96)의 각각의 하단부는, 도 1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머리측 및 다리측의 각각의 전후 한 쌍의 래치 기구(50)에 의해, 주위 테두리부(75)의 머리측 및 다리측의 벽부(21, 22)의 상단부에, 각각 분리 가능한 상태로, 장착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면 후드(26)의 머리측의 벽부(95) 및 다리측의 벽부(96)의 각각의 계합부(76)의 각각을, 도 4, 도 5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머리측 및 다리측의 벽부(21, 22)의 각각의 상단부에 각각 배설되어 있는 피계합부(52)에, 계합시킨다. 그 다음으로, 예를 들면, 취급자가 조작용 돌조부(106)를 2개의 손가락으로 집어서 조작하는 것에 의해, 래치 부재(82)의 각각을, 도 5, 도 6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래치 부재용의 지지부(81)의 상측 및 하측의 가이드부(101, 102)를 따라 도 3에서의 우측에서 좌측을 향해 접동시킨다. 이 결과, 래치 부재(82)의 상측 및 하측의 피가이드부(104, 105)가, 래치 부재용의 지지부(81)의 상측의 가이드부(101) 및 하측의 가이드부(102)에 각각 안내된다. 이 때문에, 래치 부재(82)는, 도 5에서 나타낸 복동 위치로부터 도 6에서 나타낸 왕동 위치로 왕동한다. 따라서, 래치 부재용의 지지부(81)(나아가서는, 상면 후드(26)의 머리 측벽부(95) 또는 다리측의 벽부(96)의 하단부 부근)가, 머리측의 벽부(21) 또는 다리측의 벽부(22)의 각각의 상단부 부근에, 장착 지지된다.

    래치 부재(82)가, 도 5에서 나타낸 것처럼, 래치 부재용 지지부(81)에 대한 복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창구멍(111)에는, 제2 색부분(예를 들면, 적색)이 나타나 있다. 그리고, 래치 부재(82)가, 도 6에서 나타낸 것처럼, 래치 부재용 지지부(81)에 대한 왕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창구멍(111)에는, 제1 색부분(예를 들면, 녹색)이 나타나 있다. 따라서, 취급자는, 창구멍(111)에 나타나 있는 색을 식별하는 것에 의해, 래치 기구(50)의 각각이 상면 후드(26)의 소정의 개소를 머리측 또는 다리측의 벽부(21, 22)의 소정의 장소에 확실히 장착 지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의 각각을 도 2 등에서 나타낸 복회동 위치에서 확실히 보관 유지하기 위해, 도 2 등에서 나타낸 래치 기구(65)가,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의 각각 배설되어 있다. 또한, 래치 기구(65)를 도 2에서 나타낸 실질적으로 직립한 상태 이외의 상태(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하수한 상태 또는 실질적으로 횡으로 넘어가 있는 상태)로 해 두고 나서, 앞측 또는 후측의 벽부(23, 24)의 각각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에 회동시킨 후에, 래치 기구(65)를 축부(66)를 지지점(支点)으로서 각각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실질적으로 직립한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동에 의해, 앞측 또는 후측의 벽부(23, 24)를 폐쇄 위치에 확실하고 간단하게 잠글 수 있다. 또한, 상술의 경우와는 반대의 조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앞측 또는 후측의 벽부(23, 24)의 각각을 개방시킬 때는, 상기 잠금 해제를 실시한 후에, 상기 "(2) 머리측, 다리측, 앞측 및 후측의 벽부의 설명"의 항목에서 설명한 것처럼, 래치 레버부(74)를 계합부(53)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좋다.

    (7) 보육기의 곤포의 방법의 설명

    도 1 등에서 나타낸 폐쇄형 보육기(1)를 반송 등을 위해 포장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보육기(1)을 골판지 등의 종이제, 플라스틱제, 목재제 등의 포장용 용기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는, 폐쇄형 보육기(1)의 전체(바꾸어 말하면, 인클로저(13)가 보육기 기대(12)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보육기)가, 실질적으로 직방체 형상일 수 있는 비교적 큰 단일의 포장용 용기(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면이 개폐 가능한 골판지 상자)(121)에 단지 수납되어 곤포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폐쇄형 보육기(1)이 부피가 크므로, 이러한 폐쇄형 보육기(1)의 전체가 실질적으로 알맞게 수납될 수 있는 사이즈인 것이 바람직한 부피가 큰 포장용 용기(121)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도 11에는, 폐쇄형 보육기(1) 중 인클로저(13)가 보육기 기대(12)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주위 테두리부(75)가 보육기 기대(12)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또한, 상면 후드(26)가 주위 테두리부(75)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또한, 주위 테두리부(75)는, 머리측의 벽부(21), 다리측의 벽부(22),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에 각각 분리되어 있다.

    도 1에서 나타낸 보육기 기대(12)로부터 인클로저(13)를 분리할 때에는, 예를 들면, 다음의 기재의 순서를 수행할 수 있다. 우선 먼저,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의 각각을, 보육기 기대(12)로부터, 각각 분리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과 같은 조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의 각각을,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개방 상태로 하고 나서, 좌우 양측의 조작부(107)를, 전술과 같이 왕동 조작시킨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상기 회동축부를 보육기 기대(12)의 감합 구멍(100)으로부터 각각 빼낸다. 이로 인해,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의 각각이, 취급자 등에 의해서, 보육기 기대(12)로부터 극히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1, 도 2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머리측의 벽부(21) 및 다리측의 벽부(22)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상면 후드(26)를, 이러한 벽부(21, 22)로부터 분리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래치 기구(50)에 의한 벽부(21, 22)에의 상면 후드(26)의 장착에 대한 기술의 경우와는 실질적으로 반대의 조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상면 후드(26)를 벽부(21, 2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보육기 기대(12)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머리측 및 다리측의 벽부(21, 22)의 각각을, 보육기 기대(12)로부터 각각 분리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앞측 및 후측의 계지용 레버(93, 94)에 의한 보육기 기대(12)에의 머리측 및 다리측의 벽부(21, 22)의 장착에 대한 기술의 경우와는 실질적으로 반대의 조작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머리측 및 다리측의 벽부(21, 22)의 각각을, 보육기 기대(1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와상가(42)의 머리측, 다리측, 앞측 및 후측의 각각의 단부에 각각 배설되어 있는 보조 벽부(67 내지 70)의 각각을 분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보조 벽부(67 내지 70)의 각각을 와상가(42)의 콘센트용 슬릿(78, 79)으로부터 각각 빼낸다.

    그 다음으로, 보육기 기대(12)가 재치되어 장착되어 있는 대차(14)는, 도 11에서 나타낸 것처럼, 포장용 용기(121)보다는 어느 정도 작은 포장용 용기(122)에 수납되어 곤포된다. 그리고, 앞측 및 후측의 벽부(23, 24)의 각각이, 이러한 벽부(23, 24)의 각각을 실질적으로 알맞게 수납 할 수 있는 사이즈일 수 있는 포장용 용기(123)에 각각 수납되어 곤포된다. 또한, 머리측의 벽부(21) 및 다리측의 벽부(22)의 각각이, 이러한 벽부(21, 22)의 각각을 실질적으로 알맞게 수납 할 수 있는 사이즈일 수 있는 포장용 용기(124)에 각각 수납되어 곤포된다. 또한, 상면 후드(26)도, 이러한 상면 후드(26)을 실질적으로 알맞게 수납 할 수 있는 사이즈일 수 있는 포장용 용기(125)에 수납되어 곤포된다. 또한, 포장용 용기(122 내지 125)의 각각은,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직방체 형상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면이 개폐 가능(바꾸어 말하면, 개폐 자유롭게 존재)할 수 있고 골판지 상자일 수 있다. 그리고, 보육기 기대(12) 부착의 대차(14), 앞측의 벽부(23), 후측의 벽부(24), 머리측의 벽부(21), 다리측의 벽부(22) 및 상면 후드(26)의 각각은, 보육기 기대(1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기 이전 상태에 있어서, 포장용 용기(122 내지 125) 중 실질적으로 매우 적합한 사이즈 중 하나에 각각 수납되어 곤포될 수도 있다.

    도 12에는, 도 11에서 각각 나타낸 포장용 용기(123, 124, 125)가 포장용 용기(122)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 12에서 나타낸 예시에서는, 보육기 기대(12) 부착의 대차(14)는, 이러한 대차(14)의 전면에 개구부(32)를 갖는 물품 수납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물품 수납 공간은, 대차(14) 중 평면적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コ 자형의 틀(126)과, 상기 물품 수납 공간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는 좌우 한 쌍의 개폐문(31a, 31b)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또한, 틀(126)은, 상면측의 판상부와 하면측의 판상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좌우 한 쌍의 개폐문(31a, 31b)을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직방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서는, 상면 후드(26)가 수납되어 있는 포장용 용기(125)와 앞측 및 후측의 벽부(23, 24)가 각각 수납되어 있는 한 쌍의 포장용 용기(123, 127)가, 상기 하면측의 판상부 상에,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실질적으로 상방을 향해 겹쳐 쌓여 있다. 또한, 머리측 및 다리측의 벽부(21, 22)가 각각 수납되어 있는 한 쌍의 포장용 용기(124, 128)의 각각이, 포장용 용기(127) 상에 각각 쌓여 있다. 이러한 경우, 한쪽의 포장용 용기(128)는, 한 쪽의 포장용 용기(124)의 실질적으로 좌측에 있고, 이러한 한 쪽의 포장용 용기(12)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보조 벽부(67 내지 70)의 각각은,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로, 천재질, 종이제 등의 수납용 봉투(도시하지 않음)에 수납한 후에, 예를 들면, 상면 후드(26)의 안쪽의 부분에 수납할 수 있다.

    도 13에는, 폐쇄형 보육기(1) 중 보육기 기대(12)와 인클로저(13)가 대차(14)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보육기 기대(12)와 인클로저(13)와의 조합 구조가 대차(14)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분리 시에는, 보육기 기대(12)를 대차(14) 상에 결합하고 있는 결합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양자의 결합을 해제하고 나서, 도 13에서 나타낸 것처럼, 상기 조합 구조를 대차(14)로부터 분리시키면 좋다.

    그 다음으로, 대차(14)는,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도 11에서 나타낸 포장용 용기(122)보다 더 어느 정도 작은 포장용 용기(129)에 수납되어 곤포될 수 있다. 그리고, 보육기 기대(12)는, 포장용 용기(129)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 또는 다소 다른 사이즈일 수 있는 포장용 용기(130)에 수납되어 곤포될 수 있다. 또한, 상면 후드(26), 머리측의 벽부(21), 다리측의 벽부(22),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의 각각은, 도 11에서 나타낸 경우와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 또는 다소 다른 사이즈일 수 있는 포장용 용기(125, 124a, 124b, 123a, 123b)의 각각에 수납되어 곤포될 수 있다. 또한, 포장용 용기(129, 130, 125, 124a, 124b, 123a, 123b)의 각각은,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직방체 형상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면이 개폐 가능(바꾸어 말하면, 개폐 자유롭게 존재)할 수 있으며 골판지 상자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상면 후드(26), 머리측의 벽부(21), 다리측의 벽부(22), 앞측의 벽부(23) 및 후측의 벽부(24)의 각각이 곤포되어 있는 포장용 용기(125, 124a, 124b, 123a, 123b)의 각각은, 예를 들면, 도 13에서 나타낸 것처럼, 이러한 상면 후드(26) 및 벽부(21 내지 24)의 각각이 보육기 기대(12)에 본래 장착되어야 할 각각의 위치의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포장용 용기(130)에 수납되어 곤포될 수 있다.

    도 1에서 나타낸 폐쇄형 보육기(11)의 복수대를,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각각 곤포한 후, 화물선박, 화물 철도, 트럭 등의 수송 수단에 의해 동시에 수송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폐쇄형 보육기(11)가 비교적 큰 부피가 된다. 이 때문에, 1대 당의 폐쇄형 보육기(11)의 수송 비용이 비교적 고액이 된다. 그러나, 도 1에서 나타낸 폐쇄형 보육기(11)의 복수대를, 도 11 또는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곤포한 후, 상기 수송 수단에 의해서 동시에 수송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폐쇄형 보육기(11)(바꾸어 말하면, 보육기(11)의 구성 부재의 전체)가 그렇게 부피가 크지 않으므로 비교적 콤팩트하게 된다. 이 때문에, 1대 당의 폐쇄형 보육기(11)의 특히, 국외 등에의 수송 비용이 비교적 저액으로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 또는 도 12에서 나타낸 것처럼 곤포되어 있는 폐쇄형 보육기(11)를, 도 1에서 나타낸 상태로 조립하거나 복원하는 조작이, 비교적 간단하다. 또한, 폐쇄형 보육기(11)를, 도 11에서 나타낸 것처럼, 대차(14) 부착의 보육기 기대(12), 벽부(21 내지 24) 및 상면 후드(26)로 각각 분리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 이 때문에, 보육기 기대(12), 벽부(21 내지 24) 및 상면 후드(26) 중 적어도 하나를 필요에 따라 닦아서 깨끗이 함 등에 의해 깨끗하게 청소하는 작업이, 비교적 간단하게 된다. 따라서, 벽부(21 내지 24) 끼리의 인접 부분이나, 벽부(21 내지 24)와 상면 후드(26)와의 인접 부분이나, 보육기 기대(12)와 벽부(21 내지 24)와의 인접 부분(특히, 서로 인접하는 양자의 간극) 등에, 아기의 체액 등이 부착하고 있더라도, 다른 아기가 폐쇄형 보육기(11)의 아기 수용 공간(25)에 수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간극 등을 닦아서 깨끗이 하는 것을 통해 미리 깨끗하게 청소하는 것이 비교적 간단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다른 아기가 감염증 등에 걸리는 것을, 비교적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육기 기대(12), 벽부(21 내지 24) 및 상면 후드(26)를 서로 분리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므로, 보육기 기대(12), 벽부(21 내지 24) 및 상면 후드(26) 중 적어도 하나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파손했을 때, 이러한 파손한 벽부 등을 수복하거나 이러한 파손한 벽부 등이나 해당 부품을 교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교환 등의 작업이, 비교적 간단함과 동시에, 그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2.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의한 폐쇄형 보육기(131)의 보육기 기대(12) 및 인클로저(13)의 각각은, 도 14 및 도 15에서 각각 나타낸 것처럼, 제1 실시예에 의한 폐쇄형 보육기(11)(도 1 참조)의 보육기 기대(12) 및 인클로저(13)의 각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수도 있다. 따라서, 폐쇄형 보육기(131)의 보육기 기대(12) 및 인클로저(13)의 구체적인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폐쇄형 보육기(131)의 보육기 기대 지지 수단 또는 보육기 기대 지지 기구로서의 대차(14)는, 도 14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또한, 단부가 보육기 기대(1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지주부(132)와, 이러한 지주부(132)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대차 본체(133)와, 이러한 대차 본체(133)의 앞측 및 후측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전후 한 쌍의 실질적으로 원호상인 다리부(134a, 134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대차 본체(133)의 실질적으로 앞측의 부분에는, 좌우 한 쌍의 승강용 페달(135a, 135b)이 각각 배설되어 있다. 또한, 취급자가 좌측의 페달(135a)을 발로 밟는 것 등에 의해, 이러한 좌측의 페달(135a)을 하강시켰을 때에, 지주부(132)가 실질적으로 상방을 향해 연신하므로, 보육기 기대(12)(나아가서는, 인클로저(13))가 실질적으로 상방을 향해 상승한다. 그리고, 취급자가 우측의 승강용 페달(135b)을 발로 밟는 것 등에 의해, 이러한 우측의 승강용 페달(135b)을 하강시켰을 때에, 지주부(132)가 실질적으로 하방을 향해 축소한다. 이 때문에, 보육기 기대(12)(나아가서는, 인클로저(13))가 실질적으로 하방을 향해 하강한다. 또한, 전후 한 쌍의 다리부(134a, 134b)의 각각의 좌우 양측부에는, 차 바퀴(15)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차 바퀴(15)의 각각의 실질적으로 상측에는, 개개의 차 바퀴(15)의 회동을 정지시킬 때 취급자가 밟기 위한 스토퍼(136)가 각각 배설되어 있다.

    도 15에는, 도 14에서 각각 나타낸 앞측 및 후측의 벽부(23, 24), 머리측 및 다리측의 벽부(21, 22) 및 상면 후드(26)의 각각이, 도 11 및 도 12에서 각각 나타낸 경우와 같이, 포장용 용기(123 내지 125, 127, 128)에 각각 수납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즉, 도 15에서는, 도 14에서 나타낸 폐쇄형 보육기(131)가 대차(14) 부착의 보육기 기대(12) 및 포장용 용기(123 내지 125, 127, 128)로 각각 분리된 상태로 포장용 용기(122)에 수납되어 곤포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 폐쇄형 보육기(131)를 도 15에서 나타낸 것처럼 곤포하기 위해, 도 11 및 도 12에서 나타낸 경우와 같이, 인클로저(13)를 구성하고 있는 4개의 벽부(21 내지 24) 및 상면 후드(26)는, 대차(14) 첨부의 보육기 기대(12)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되고, 각각 곤포된다. 그리고, 4개의 보조 벽부(67 내지 70)(도 8 참조)의 각각도, 도 11 및 도 12에서 나타낸 경우와 같이, 와상가(42)로부터 분리된 후, 예를 들면, 상면 후드(26)와 함께 곤포될 수 있다. 또한, 포장용 용기(123 내지 125, 127, 128)의 각각은, 지주부(132)의 바깥 주위에서 및 보육기 기대(12)와 다리부(134a, 134b)의 사이에 수납된 후, 대차(14) 부착의 보육기 기대(12)와 함께 포장용 용기(122)에 수납되어 곤포될 수 있다.

    도 15에서 나타낸 폐쇄형 보육기(131)의 복수대 각각을, 도 15에 나타낸 것처럼 각각 개별적으로 곤포한 후, 상기 수송 수단으로 동시에 수송하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기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효과를 상주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에서 나타낸 폐쇄형 보육기(131)에 의하면, 도 1에서 나타낸 폐쇄형 보육기(11)의 경우와 같이, 폐쇄형 보육기(131)의 조립 또는 복원의 작업이나, 폐쇄형 보육기(131)를 대차(14) 부착의 기대(12), 벽부(21 내지 24) 및 상면 후드(26)로 개별적으로 분리하는 작업이나, 청소, 파손의 수복 및 부품 교환을 각각 실시하는 작업이, 비교적 간단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의 제1 및 제2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취지에 근거하여 각종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폐쇄형 보육기에 적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폐쇄형 보육기 겸용의 개방형 보육기 등의 다른 보육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면 후드를 지지하는 지주(도시하지 않음)의 높이를 신축시킬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이러한 지주를 보육기 기대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보육기 지지 기구(바꾸어 말하면, 보육기 지지 수단)로서의 대차(14)가, 차 바퀴(15)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보육기 지지 기구 14는, 차 바퀴(15)를 반드시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보육기(11)가, 대차(바꾸어 말하면, 보육기 지지 기구 또는 보육기 지지 수단)(14)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보육기(11)는, 보육기 지지 기구 또는 보육기 지지 수단(14)을 반드시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보육기 본체의 보육기 기대(12)가, 테이블의 상면이나 책상의 상면 등의 적당한 재치 장소 상에, 직접적으로 또는 헝겊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재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아기 수용 공간(25)이, 이러한 아기 수용 공간(25)을 평면적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장방형상이다. 그러나, 아기 수용 공간(25)은, 이러한 아기 수용 공간(25)을 실질적으로 평면적으로 볼 때, 반드시 실질적으로 장방형상일 필요는 없고, 보육기 기대(12)의 형상 등에 따라, 실질적으로 원형 모양,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 실질적으로 육각 형상, 실질적으로 팔각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