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터취부장치와 이러한 장치가 결합된 인큐베이터

申请号 KR1019970002384 申请日 1997-01-28 公开(公告)号 KR100359540B1 公开(公告)日 2003-03-15
申请人 아톰 메디칼 코포레이션; 发明人 나오끼혼마; 싱이찌고바야시; 게이스게아까바야시; 가즈오마쓰바라;
摘要 A gas flow passage (1) has a device (5) to deflect the direction of gas flow towards the outer part of the passage, and a trap (6a) downstream for foreign matter in the gas stream which occupies part or all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ow passage.
权利要求
  • 기내에 형성된 수용공간내에 수용되는 폐쇄위치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린 개방위치사이로 회전가능한 힌지형 도어로 구성된 필터취부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가 상기 폐쇄위치애서 상기 힌지형 도어를 탄력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잠금장치와, 상기 힌지형 도어의 내부에 배설된 필터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형 도어가 상기 필터수단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힌지형 도어가 상기 잠금장치에 의하여 상기 폐쇄위치에 탄력적으로 고정될 때에 상기 필터수단이 사전에 결정된 취부상태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취부장치.
  • 청구범위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가 상기 기대에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힌지형 도어에 형성된 작동레바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레바가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분과 상기 결합부에 탄력적으로 결합가능한 탄력결합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형 도어의 회전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스크류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스크류를 풀때에 상기 힌지형 도어가 당기어져 상기 기대로부터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이 필터와 상기 필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를 갖는 홀더재가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형 도어가 상기 홀더재가필터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는 필터결합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형 도어가 상기 기대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메인도어부재와, 상기 메인도어부재에 착설된 보조도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결합부가 상기 보조도어부재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1 항에 있어서, 폐쇄위치로부터 최대개방위치로 상기 힌지형 도어의 최대회전각도의 범위가 45° ∼ 120°, 좋기로는 60° ∼ 90° 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의 오염정도를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형 도어에 투명창이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청구범위 1 ∼ 7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필터취부장치가 인큐베이터 기대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인큐베이터기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 기대에 형성된 수용공간내에 수용되는 폐쇄위치와 상기 수용공간으로 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린 개방위치사이로 회전가능한 힌지형 도어로 구성된 필터취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형 도어내에 홀더재가필터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는 필터결합부가 충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취부장치.
  • 청구범위 9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형 도어의 회전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스크류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스크류를 풀 때에 상기 힌지형 도어를 당기어 상기 기대로부터 분리할수 있음을 특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9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형 도어가 상기 기대에 회전 가능하게 착설된 메인도어부재와, 상기 메인도어부재에 착설된 보조도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결합부가 상기 보조도어부재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9 항에 있어서, 폐쇄위치로부터 최대개방위치로 상기 힌지형 도어의 최대회전각도의 범위가 45° ∼120°, 좋기로는 60° ∼ 90° 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9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의 오염정도를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형 도어에 투명창이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청구범위 9 ∼ 13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필터취부장치가 인큐베이터 기대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인큐베이터 기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 说明书全文

    필터취부장치와 이러한 장치가 결합된 인큐베이터

    본 발명은 인큐베이터와 같은 기계기구에 결합되어 이에 유입되는 공기와 같은 유체를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수단을 사전에 결정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필터취부장치와, 이러한 필터취부장치가 결합된 인큐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조수아와 같은 병약한 신생아를 위한 제어환경을 제공하는 인큐베이터는 온도, 습도, 산소함량등이 상태조절되는 상태조절공기공급장치를 갖는다. 인큐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 예를 들어 산부인과 병실의 공기(이하 "외부공기"라 함)와 필요한 경우 산소통으로 부터 공급되는 산소를 필터로 정화하고 이들을 인큐베이터의 후드에 공급하기 위하여 이러한 형태의 상태조절공기공급장치는 인큐베이터의 기대에 필터를 취부하는 필터취부장치를 갖는다.

    제 10 도 ∼ 제 12 도는 통상적인 인큐베이터의 필터취부장치의 한 예를 보인 것으로, 필터수용케이스(7)가 그 저면판(4)에서 좌우한쌍의 스터드볼트(9)(11)에 의하여 상부에 신생아수용실(도시하지 않았음)을 갖는 기대(1)의 배면벽(3)에 고정된다. 저면판(4)에는 외주연을 따라 사각턱(6)이 형성되어 있고 가스통공(5)이 형성되어있다. 기대(1)는 이 기대(1)의 상부에 놓이는 신생아수용실에 눕힌 신생아를 보호하는 투명후드(도시하지 않았음)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기대(1)는 인큐베이터가 설치되는 테이블(도시하지 않았음)상에 놓인다. 기대(1)의 배면벽(3)에는 필터수용케이스(7)의 가스통공(5)에 일치하는 가스통공(8)이 형성되어있다.

    스터드볼트(9)(11)는 기대(1)의 배면벽(3)으로부터 필터수용케이스(7)측으로 돌출되고 부직포등으로 되어있는 에어필터(13)의 좌우통공(15)(17)으로 삽입되어 에어필터(13)가 그 사각주연이 사각턱(6)에 접하도록 필터수용케이스(7)내에 수용된다. 용기형 필터커어버(19)의 측부가 필터수용케이스(7)의 측벽에 결합되어 에어필터(13)의 외주연이 필터커이버(19)의 단부를 구부려 형성되고 사각턱(6)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가압부(19a)에 의하여 사각턱(6)에 가압된다.

    한쌍의 좌우측 클램프장치(23)(25)가 필터커어버(19)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고 각 단부에 박스너트(23a)(25a)가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클램프장치(23)(25)를 손으로 회전시킬 때에 각 박스너트(23a)(25a)가 각 스터드볼트(9)(11)의 단부에 나선결합된다. 이와같이 에어필터(13)의 탄력에 대항하여 필터수용케이스(7)에 삽입고정된 필터커어버(19)가 에어필터(13)의 외주연에 가압되고 그 가압부(19a)가 필터수용케이스(7)의 저면판(4)의 사각턱(6)에 가압되어 에어필터(13)가 사각턱(6)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프리-필터챔버(29)가 에어필터(13)와 필터커어버(19)의 전면판(19b)사이에 형성되고 포스트-필터챔버(30)가 에어필터(13)와 필터수용케이스(7)의 저면판(4)사이에 형성된다.

    필터커어버(19)에는 유량제어기구(31)가 형성되어 외부공기와 공급산소가 필터커어버(19)의 전면판(19b)에 형성된 가스유입구(27)를 통하여 프리-필터챔버(29)로 유도된다. 제 12A 도와 제 12 B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유량제어기구(31)는 필터커이부(19)의 전면판(19b)에 고정적으로 착설된 블록형 동체(35)를 갖는다. 블록형 동체(35)는 필터커어버(19)의 전면판(19b)에 형성된 가스유입구(27)에 일치하게 형성된 공기유입구(33)를 갖는다. 더욱이 블록형 동체(35)에는 연결파이프(39)가 고정적으로 착설되고 이에 산소공급파이프(37)의 단부가 연결된다. 이 파이프(37)는 산소통(도시하지 않았음)으로부터 산소를 유도한다. 산소공급파이프(37)는 연결파이프(39)를 통하여 공기유입구(33)에 연통된다. 공기밸브동체(41)는 전후로 이동토록 그 축(41a)을 통하여 블록형 동체(35)에 착설되고 코일스프링(43)의 힘에 의하여 그 후퇴위치로 탄지되어 공기유입구(33)가 에어밸브동체(41)에 의하여 선단위치에서 폐쇄된다. 선단부는 밸브시이트로서 평상시에는(사용치 않는 시간을 포함하여) 표식판(45)이 유량제어기구(31)에 착설된다. 표식판(45)는 평면상이며 하단측으로 연장된 슬로트(45a)를 갖는다. 더욱이, 결합공(47)을 갖는 짧은 수평판(45b)이 표식판(45)의 배면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있다.

    유량제어기구(31)가 결합된 제 10 도 ∼제 12 도에서 보인 필터취부장치가평상시에 사용될때에 제 12A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공기밸브 동체(41)와 유량제어기구(31)의 블록형 동체(35)사이에 표식판넬(45)의 하단부를 삽입하고, 에어밸브동체(41)의 축(41a)을 슬로트(45a)에 결합하며 블록형 동체(35)로부터 돌출된 돌출부(35a)를 결합공(7)에 결합토록 사전에 수행되어야한다. 평상시 공기밸브동체(41)는 전진위치에 놓여 공기유입구(33)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져 있어 공기유입구(33)는 프리-필터챔버(29)를 외부와 연통시킨다.

    따라서 기대(1)내에 배치된 상태조절공기공급장치의 공기순환팬(도시하지 않았음)이 구동될때에 외부공기가 가스유입구(33)와 가스유입구(27)를 통하여 프리-필터챔버(29)측으로 유도된다. 만약 필요한 경우 산소통(도시하지 않았음)의 밸브가 적당히 개방된다. 이 경우에 산소통으로부티 공급된 산소가 산소공급파이프(37)와 연결파이프(39)를 통하여 공기유입구(33)측으로 유도되고 상기 외부공기와 함께 프리-필터챔버(29)내로 유도된다. 따라서, 밸브의 개방정도에 따라서 그 양이 좌우되는 공급산소가 적당히 풍부하게된 공기가 프리-필터챔버(29)로부터 공기필터(13), 포스트-필터챔버(30)와 가스통공(5)(8)를 통하여 공기순환팬(도시하지 않았음)측으로 유동한다. 이와같이 공기는 공기필터(13)에 의하여 정화된다. 이 경우에 가스통공(5)(8)는 직경이 작아서 공기순환팬의 흡인력은 에어필터(13)에 큰 압력을 가하여 공기필터(13)를 손상시키는 일이없다.

    이러한 연결로, 신생아수용기에 눕힌 신생아는 비정상상태가 되므로 인큐베이터의 후드로 상당량의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요구될때에 산소통의 밸브가 충분히 개방되고 표식판(45)이 유량제어기구(31)의 블록형 동체(35)로부터 분리된다. 이로써 공기밸브동체(41)가 코일스프링(43)의 탄력에 의하여 후측으로 이동하므로서 공기유입구(33)의 선단부가 제 12B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공기밸브동체(41)에 의하여 폐쇄된다. 외부공기가 프리-필터챔버(29)측으로 유입되지 않을 때에는 공급산소만이 프리-필터챔버(29)로 유도된다.

    에어필터(13)가 교환되어야할 때에 또는 필터취부장치를 청소하여야 할 때에 클램프장치(23)(25)는 스터드볼트(9)(11)의 단부로부터 박스너트(23a)(25a)를 분리하기 위하여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어야한다.

    만약 이렇게 되면 필터커어버(19)가 필터수용케이스(7)로부터 분해될 수 있으며 에어필터(13)가 필터수용케이스(7)로부터 분리될 수있고, 만약 필요한 경우에 에어필터(13)가 분리되는 한 필터수용케이스(7)의 각 부재를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에어필터(13)이 교환되어야 할 때에는 새로운 공기필터를 필터수용케이스(7)내에 수용하면 되고 필터커어버(19)를 필터수용케이스(7)에 고정하면된다.

    그러나, 제 10 ∼ 12 도에서 보인 종래의 필터취부장치에 있어서, 필터커어버측에 형성된 좌우한쌍의 클램프장치(23)(25)가 필터수용케이스측에 각각 형성된 좌우한쌍의 스터드볼트(9)(11)의 단부에 나선결합된다. 이와같이, 에어필터의 외주연이 필터커어버(19)의 가압부(19a)에 의하여 필터수용케이스(7)의 저면에 대하여 가압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박스너트(23a)(25a)가 필요이상 스터드볼트(9)(11)에 너무 강하게 나선결합되면 박스너트(23a)(25a)를 풀기 어렵게하므로서 에어필터가 교환되어야 하거나 필터취부장치가 세척되어야 할 때에 필터수용케이스(7)로부터 에어필터(13)를 분리해내기 어렵다. 반대로, 일측 또는 양측의 박스너트(23a)(25a)가 스터드볼트(9)(11)에 너무 느슨히 나선결합되는 경우 에어필터(13)의 외주연과 필터수용케이스(7)의 저면판(4)의 사각턱(6)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쉽다. 이 경우에 있어서, 먼지가 이러한 간극, 포스트-필터챔버(30), 필터수용케이스(7)의 저면판(4)에 형성된 가스통공(5)과, 기대(1)의 배면벽(3)에 형성된 가스통공(8)을 통하여 공기순환팬(도시하지 않았음)으로 유도되기 쉽다.

    이러한 결과로, 제 10도 ∼제 12 도에서 보인 종래의 필터취부장치에 있어서, 각 클램프장치(23)(25)의 나선결합방향으로의 회전은 클램프장치(23)(25)의 박스너트(23a)(25a)를 스터드볼트(9)(11)에 정확히 나선결합시키기 위해 신중히 수행되어야 한다. 더욱이 박스너트(23a)(25a)를 각각 나선결합시키는 작용이 각기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야하므로 매우 번거럽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힌지도어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 또는 잠금장치와 필터수단을 사전에 결정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간단히 구성되고 필터수단을 취부하는 것과 필터수단이 교환될때에 필터수단을 힌지도어의 내부로 부터 분리해내는 것이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는 필터취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욱이,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수단이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취급이 매우 간단한 필터취부장치를 사용하여 사전에 결정된 상태로 가압되고 고정되는 필터취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 홀더재가필터(다시말해서, 필터자체)를 매우 용이하게 교환하기 위하여 힌지도어가 그 개방위치로 회전된 후 그 교환을 위하여 필터취부부분으로부터 홀더재가필터가 분리되고 이에 취부되는 필터취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취부장치는 힌지형 도어를 가지며 이 힌지형 도어는 도어가 인큐베이터 기대와 같은 기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폐쇄위치와 도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공간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린 개방위치로 회전가능하게 되어있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서 필터취부장치는 힌지형 도어를 폐쇄위치에 탄력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와 한지형 도어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수단을 갖는다. 힌지형 도어가 잠금장치에 의하여 폐쇄위치에 탄력적으로 고정될 때에 힌지형 도어가 필터수단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필터수단이 사전에 결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이 다른 관점에 따라서, 홀더재가필터를 자유롭게 취부하고 분리할 수 있는 필터취부부분이 힌지형 도어의 내측에 제공된다.

    제 1 도는 인규베이터에 적용된 본 발명의 필터취부장치를 보인 정면도.

    제 2 도는 제 1도에서 보인 필터취부장치의 사시도.

    제 3 도는 제 1도의 III - III 선 단면도.

    제 4 도는 힌지형 도어가 잠겨지지 않는 상태에 있는 제 3 도와 같은 단면도.

    제 5 도는 힌지형 도어가 개방되고 이 힌지형 도어와 홀더재가필터가 분리되는 것을 보인 제 3 도와 같은 단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에서 보인 상태에서 홀더재가필터와 보조도어부재를 보인 일부절개표시 사시도.

    제 7 도는 제 3 도의 VII - VII 선 부분확대도.

    제 8A 도는 제 5 도에서 보인 상태에서 인큐베이터베이스에 힌지형 도어를 취부하기 위한 주요구성부분의 사시도.

    제 8B 도는 제 8A 도와 같은 사시도로서 인큐베이터 기대로부터 힌지형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 9 도는 제 1 도의 IX - IX 선 단면도.

    제 10 도는 종래 인큐베이터의 필터취부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 11 도는 제 10 도에서 보인 필터취부장치의 중앙부분측단면도.

    제 12A 도는 정상사용의 경우를 보인 제 11 도의 XII - XII 선 단면도.

    제 12B 도는 신생아가 비정상상태일때에 비상의 경우를 보인 제 12A 도와 같은 단면도.

    *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기대, 13 : 에어필터, 51 : 흡입가스제어공간,

    55 : "U"자형 결합봉, 63 : 힌지형 도어, 69 : 안내스크류,

    75 : 작동레바, 75b : 탄성결합부, 81 : 보조도어부재,

    81a : 필터결합부, 89 : 홀더재가필터, 91 : 홀더,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제 9 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인큐베이터의 필터취부장치의 실시형태가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1 도 ∼제 9 도에서 보인 장치와 제 10 도 ∼제 12 도에서 보인 필터취부장치에서는 동일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제 1 도 ∼ 제 9 도에서 보인 필터취부장치는 기대(1)의 배면벽(3)에 형성된직육면체형의 흡인가스제어공간(51)을 갖는다. 제어공간(51)의 상부벽(53)에는 중첩형 고정판(56)으로 "U"자형의 결합봉(55)이 고정착설되고, 공간(51)의 배면벽(57)에는 가스통공(8)이 형성되어있다. 더욱이 제 5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공간(51)의 좌우측면(59)에는 측벽(59)의 각 전면부에 좌우한쌍의 축(61a)(61b)이 회전가능하게 착설되고 측벽(59)의 각 배면부에는 한쌍의 좌우 원호형요구(62)가 약 75° 의 각도를 통하여 형성되어있다. 제 1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좌측 축(61b)에는 기대(1)에 착설된 로타리댐버(66)의 회전부분이 연결되어 축(61b)이 급격히 또는 작은힘에 의하여 회전되지 아니한다.

    흡인가스제어공간(51)은 힌지형 도어(63)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으로서 사용된다. 제 1 도와 제 3 도에서 공간(51)에 수용된 힌지형 도어(63)는 직육면체형이고 공간(51)과 같은 크기로 되어있다. 힌지형 도어(63)는 또한 뚜껑부재로서 사용된다. 힌지형 도어(63)는 메인도어부재(64)와 접착제나 스크류로 메인도어부재(64)에 착설되고 고정되는 보조도어부재(81)로 구성되고,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메인도어부재(64)가 좌우한쌍의 축(61a)(61b)을 통하여 좌우측벽(59)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다. 제 5도와 제 8A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메인도어부재(64)의 좌우측벽(65)에 제공된 너트(67)가 나선결합되는 안내스크류(69)가 원호형 안내구(62)에 삽입되어 힌지형 도어(63)가 좌우한쌍의 축(61a)(61b)에서 약 75° 의 각도를 통하여 제 3 도에서 보인 폐쇄위치로부터 제 5 도에서 보인 최대개방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도어(62)는 또한 그 폐쇄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제 1 도와 제 2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요구(71)가 측방향으로보조도어부재(81)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메인도어부재(64)의 전면중앙의 약간 우측에서 그 상측부에 형성되어있다. 요구(71)내에서, 작동레바(75)가 스핀들(77)을 통하여 우측 및 좌측 측벽(73)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다. 적당한 합성수지로 일체가 되게 성형된 작동레바(75)는 작업자가 손으로 쉽게 손잡이부분(75a)을 갖는 요입부(79)와, 기대(1)의 "U"자형 결합봉(55)에 탄력적이고 선택적으로 결합된 탄성결합부(75b)를 갖는다. 이와같이 힌지형 도어(63)를 폐쇄위치로 고정하는 잠금장지가 작동레바(75)의 탄성결합부(75b)와 기대(1)의 "U"자형 결합봉(55)으로 구성된다.

    제 1 도와 제 2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좌우한쌍의 외부공기유입구(78a)(78b)가 메인도어부재(64)의 전면하측에 형성되고, 제 3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직육면체의 관상형태인 보조도어부재(81)가 고정스크류로 메인도어부재(64)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착설된다. 투명창(85)이 보조도어부재(81)에 형성된 전면개방부(83)에 고정되며 홀더재가필터(89)가 분리가능하게 착설되고 보조도어부재(81)에 제공된 배면개방부(87)를 향하게 되어 홀더(91)에 착설된 에어필터(13)가 얼마나 오염되었나하는 것을 투명창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항시 확인할 수 있다.

    제 6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홀더재가필터(89)는 사각형의 홀더(91), 홀더(91)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접착된 한방의 스폰지형 패킹(92a)과 사각형 에어필터(즉, 필터동체)(13)로 구성되며, 그 주연부가 환상슬로트(91a)에 삽입되고 필요한 경우 접착제로 고정된다. 더욱이 홀더(91)는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하게 되도록"U"자형의 단면으로 되어있고 그 내면에 환상슬리트(91a)를 갖는 홀더동체(91b)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주연으로부터 연장된 플랜지(91c)를 갖는다. 더욱이 홀더(9])의 저면에서, 스폰지형 패킹(92a)이 플랜지(91c)에 접착되고 홀더(91)의 배면에서 스폰지형 패킹(92b)이 홀더동체(91b)에 접착된다.

    제 3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힌지형 도어(63)에는 보조도어부재(81), 투명창(85), 에어필터(13)와 홀더(91)로 둘러싸인 프리-필터챔버(29)가 형성되어있다. 더욱이 필터취부분으로 작용하는 필터고정부(81a)가 힌지형 도어(63)의 내측부로서 작용하는 보조도어부재(81)의 배면에 형성된다. 필터고정부(81a)는 홀더재가필터(89)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다. 필터고정부(81a)의 전면측에 배치된 전면판부에는 에어필터(13)의 전면이 프리-필터챔버(29)를 향하도록 하는 배면개방부(87)가 배치되고, 필터고정부(81a)의 배면측에 배치된 배면판에는 절결부(94)가 형성되어 에어필터(13)의 배면이 포스트-필터챔버(30)를 향하게 된다. 절결부(94)가 상측부로부터 깊게 배면판을 절취하여 형성되어 배면판이 "U"자형의 형태가 되고 "U"자형 고정부(96)가 형성된다.

    홀더재가필터(89)를 보조도어부재(81)의 필터고정부(81a)에 결합시키고 보조도어부재(81)에 홀더재가필터(89)를 분리가능하게 착설하고자 할 때에 홀더재가필터(89)의 플랜지(91c)의 좌우측부가 배면개방부(87)가 형성된 전면판부분과 "U"자형 고정부(96) (제 6도)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으로 플랜지(91c)가 필터고정부(81a)의 수용공간의 하측단부에 이를 때까지 하향삽입된다. 이와같이 플랜지(91c)의 하측단부가 필터고정부(81a)의 전면판과 "U"자형 고정부(96)의 하측부사이에 삽입되고, 플랜지(91c)가 이 플랜지(91c)의 하단부가 필터고정부(81a)의 저면에 접할때에 필터고정부(81a)에 의하여 고정된다.

    제 1도와 제 9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흡인가스제어기구로서 작용하는 가스공급밸브기구(95)가 보조도어부재(81)의 좌측벽(93)에 착설된다. 밸브기구(95)가 공기유입구(33)와 산소공급파이프(97)의 기부가 각각 상하측단부에 배치된 원통형 케이스와, 산소공급파이프(97)를 통하여 공급된 공급산소의 가변압력에 일치하여 상하이동하는 작동부재(103)를 갖는다. 이 작동부재(103)는 공급산소의 압력이 증가할 때에 상향되는 압력검출판(105), 압력검출판(105)의 여러위치에 일치되게 공기유입구(33)의 크기를 변화시켜 공기유입량을 제어하는 공기밸브동체(41)와, 공기밸브동체(41)를 압력검출판(105)에 연결하는 밸브스핀들(107)을 갖는다.

    공기유입구(33)로 유입되는 공기는 메인도어부재(64)의 전면에 형성된 한쌍의 외부공기유입구(78a)(78b)를 통하여 메인도어부재(64)의 내부로 유동하는 공기일 수 있다.

    제 6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보조도어부재(81)의 좌측벽(93)에는 외부공기흡입공(108)과 산소흡입공(110)이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원통형케이스(99)내의 공기와 공급산소가 프리-필터챔버(29)로 유도된다. 제 1 도, 제 2 도와 제 9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메인도어부재(64)의 전면부의 하부좌측에 컵형요구(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저면에 연결파이프가 고정되며, 연결파이프(39)에는 산소공급파이프(97)의 단부가 연결되고 산소탱크(도시하지 않았음)로 부터 공급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 산소공급파이프(도시하지 않았음)의 단부가 연결파이프(39)의 단부는 연결된다. 제 9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연결파이프(39)의 단부는 메인도어부재(64)(다시말해서, 힌지형 도어 63의 전면)과 같은 평면내에 놓여 연결파이프(39)가 외부물체에 걸리지 않게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힌지형 도어(63)는 메인도어부재(64)와, 이 메인도어부재(64)에 착설되어 고정된 보조도어부재(81)로 구성되고 필터고정부(81a)가 보조도어부재(81)에 형성되어 복잡한 구조의 힌지형 도어(63)를 접착제나 스크류에 의하여 비교적 간단한 두 부재(64)(81)를 조립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힌지형 도어(63)는 제 3 도에서 보인 폐쇄위치와 제 5 도에서 보인 최대 개방위치로 왕복할 수 있으며 최대개방위치에서 인큐베이터의 기대(1)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그 상세한 내용이 제 8A도, 제 8B도 및 제 8C 도에서 설명된다.

    제 1도, 제 7 도와 제 8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우측에서 메인도어부재(6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61b)의 축부분(111)은 양측이 "D"자형의 형태로 절삭되어 이 축부분(111)은 부분적으로 기다란 원형형상(다시말해서 부분적으로 가늘어진 형상)이 된다. 폭이 축부분(111)의 기다란 원형부분의 폭과 동일한 슬리트(109)가 메인도어부재(64)의 우측에 형성되고 축부분(111)이 슬로트(109)에 결합되어 축(61 b)과 힌지형 도어(63)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부수적으로 좌측에서 메인도어부재(6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61a)의 축부분(111)은 "D"자의 형태로 절삭되지 않아 축(61a)의 축부분(111)이 원형단면의 형태로 일정하게 되어있다. 메인도어부재(64)의 좌측부에 형성된 슬로트(109)는 폭이 축(61a)의 축부분(111)의 직경과 같으며 축부(111)가 역시 슬로트(109)에 삽입된다.

    제 5 도와 제 8A 도에서 보인 최대 개방위치에서 메인도어부재(64)의 좌우측 안내스크류(69)를 제 8B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손으로 풀면 안내스크류(69)의 쌍이 기대(1)의 각 좌우측의 원호형 안내요구(62)로 부터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 힌지형 도어(63)를 슬로트(109)의 축선을 따라 상향경사방향으로 당기는 경우 축(61a)(61b)의 축부(111)는 제 8c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메인도어부재(64)의 슬로트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이와같이 힌지형 도어(63)는 인큐베이터의 기대(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메인도어부재(64)의 저면벽에는 각 슬로트(109)에 연결되고 축(61a)(61b)의 각 헤드부분(112)이 통과하는 헤드통과개방부(113)가 형성되어 축(61a)(61b)의 헤드부분(112)이 저벽(68)에 의하여 고정되지 아니하며 슬로트(109)에서 빠지지도 아니한다.

    분리된 힌지형 도어(63)가 다시 인큐베이터 기대(1)에 착설되어야 할 때에는 상기 언급된 분리과정을 역순으로 수행하면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한쌍의 축(61a)(61b)을 서로 결합하는데 특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는 없으며 두 축(61a)(61b)중에서 축(61b)만이 부분적으로 가는 부분인 축부분(111)을 가지며 로타리댐퍼(66)가 축(61b)에 착설되므로 축(61b)이 힌지형 도어(63)의 슬로트(109)에 결합될수 있다.

    이와같이 취부과정은 매우 간단히 수행된다.

    제 1 도 ∼제 9 도에서 보인 필터취부장치가 정상상태에서 사용될때에기대(1)에 배치된 조절공기공급장치의 공기순환팬(도시하지 않았음)이 구동되기만 하면 되며, 필요한 경우 산소통(도시하지 않았음)의 벨브가 적당히 개방된다. 그 결과로 공급량이 밸브개방정도에 따라 좌우되는 산소통으로부터의 공급산소는 외부산소공급관(도시하지 않았음), 연결파이프(39)와, 내브산소공급파이프(97)(제 9 도)를 통하여 가스공급밸브장치(95)의 원통형 케이스(99)내로 유도된다. 공급량이 공급산소의 양에 따라 좌우되는 공기(공기량은 공급된 공기량에 반비례한다)가 공기유입구(33)를 통하여 원통형케이스(99)내로 유도된다. 따라서 원통형케이스(99)내의 공급산소와 공기가 프리-필터챔버(29)로 유도되어 서로 혼합된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적량의 산소로 풍부하게 된 공기가 공기필터(13), 포스트-필터챔버(30)와 가스통공(8)을 통하여 공기순환팬(도시하지 않았음)으로 이동되고 이로써 공기가 공기필터(13)에 의하여 정화된다.

    제 1 도 ∼제 9 도에서 보인 필터취부장치가 신생아가 비정상상태일때에 사용되는 경우 사전에 결정된 양 이상의 공급산소가 원통형 케이스(99)내로 유도된다. 이 경우 공기유입구(33)는 가스공급밸브장치(95)의 에어밸브동체(41)로 거의 완전히 폐색되어 공급산소만이 프리-필터챔버(29)로 유도될 수 있다.(제 9 도)

    에어필터(13)를 교환하고자 할 때에는 손가락으로 작동레바(75)의 손잡이부분(75a)를 잡고 작동레바(75)를 핀(77)을 중심으로 하여 제 3 도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따라서, 작동레바(75)의 탄성결합부(75b)가 제 4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U"자형 결합봉(55)으로부터 분리되어 손으로 손잡이부분(75a)를 잡고 힌지형 도어(63)가 제5 도에서 보인 최대개방위치에 이를때까지 힌지형 도어(63)를축(61a)(61b)을 중심으로 하여 제 4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손가락으로 홀더동체(91b)의 상측부를 잡고 홀더재가필터(89)를 상측으로 당기는 경우 홀더재가필터(89)가 보조도어부재(81)의 필터결합부(81a)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홀더재가필터가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방법으로 필터결합부(81a)에 결합된다.

    필터취부장치의 각 부재를 청소하여야 할때에는 힌지형 도어(63)를 이미 언급된 바와같이 인큐베이터의 기대(1)로부터 분리하고 홀더재가필터(89)를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힌지형 도어(63)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이와같이 필터취부장치의 각 부재를 청소하는 것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후에 힌지형 도어(63)가 이미 언급된 바와같이 제 5 도에서 보인 최대개방위치에서 인큐베이터의 기대(1)에 취부되고 제 3 도에서 보인 폐쇄위치로 상기언급된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립과정은 종료될 것이다.

    작동레바(75)가 스핀들(77)을 중심으로 하여 제 4 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힌지형 도어(63)가 제 3 도에서 보인 폐쇄위치로 복귀된 후에 작동레바(75)의 탄성결합부(75b)가 제 3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기대(1)의 측부에 제공된 "U"자형 결합봉(55)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보조도어부재(81)는 흡입가스제어공간(51)의 배면벽(57)에 대하여 적당한 압력하에서 홀더재가필터(89)를 탄력적으로 가압토록 작용한다. 이와같이, 일측스폰지형 패킹(92a)와 이 패킹(92a)에 충분히 가압되는 보조도어부재(81)사이의 일측 접속부와, 타측 스폰지형 패킹(92b)와 이 패킹(92b)에 충분히 가압되는 배면벽(57)사이의 타측접속부는 모두 공기가 새지않게 밀착되어 공기가 유입 또는 방출되지 않도록 보조도어부재(81)의 필터결합부(81a)로 홀더(91)를 밀착결합시킬 필요가 있다. 즉 홀더(91)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느슨히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작동레바(75)의 탄성결합부(75b)가 제 3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U"자형 결합봉(55)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때에 작동레바(75)의 전면이 메인도어부재(64)의 표면과 일치하게 되어(다시말해서 힌지형 도어 63의 전면과 일치하게 되어) 작동레바(75)가 외부의 다른 물체에 걸리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사이를 왕복운동할 수 있는 개폐도어의 내측부에 필터수단을 설치한것이므로 개폐도어의 폐쇄위치로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기구 또는 잠금기구나 필터수단을 정해진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기구들을 간단한 구조로 할수가 있으며 아울러 필터수단을 새것으로 교체하기 위한 필터수단을 개폐도어의 내측부로부터 용이하개 착탈시킬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에서, 본 발병은 인큐베이터의 필터취부장치에 적용되나 본 발명은 다른 의료기구나 클리너를 갖는 팬히터등의 공조시스템과 같은 기계기구가 필터취부장치를 갖는 경우 인큐베이터 이외의 다른 기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필터에 의하여 공기나 산소를 풍부하게 함유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한 것이나 본 발명은 공기이외의 다른 가스함유기체나 다른 유체를 정화시키는데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언급된 실시형태에서, 단일작동레바(75)가 그 수평방향에서 보조도어부재(81)의 중심을 향하도록 제공되어 있으나 한쌍의 좌우작동레바나 둘 이상의 작동레바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에서, 힌지형 도어(63)가 폐쇄위치로부터 최대개방위치까지 약 75°의 각도를 통하여 회전되나 실제로 최대회전각도는 45° ∼ 120° 의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60° ∼ 90° 의 범위내인 것이좋다. 최대회전각도가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힌지형 도어(63)의 필터결합부(81a)에 홀더재가필터(89)를 착탈하는 것이 어렵다. 반대로, 최대회전각도가 상기 범위보다 크면 힌지형 도어(63)의 개폐가 어렵고 홀더재가필터(89)의 착탈이 번거럽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