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튼 레일 구조

申请号 KR1020137030368 申请日 2011-12-09 公开(公告)号 KR101502266B1 公开(公告)日 2015-03-12
申请人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스기모리준;
摘要 단일 개의 주레일 (13) 의 단부에 분기 부재 (20) 를 통하여 복수 개의 부레일 (11, 12) 이 연결되고, 주레일이 복수 개의 부레일 중 선택된 1 개의 부레일에 연통 접속됨으로써 주레일 및 상기 선택된 부레일을 복수의 커튼 러너가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분기 부재의 연결 플레이트 (21) 에 의해 단일 개의 주레일과 복수 개의 부레일이 연결된다. 연결 플레이트에 대하여 요동축 (28) 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피벗 마운팅된 단일 개의 요동 레일 (22) 이 요동함으로써, 주레일과 복수 개의 부레일 중 어느 1 개를 연통 접속시키도록 전환된다. 자력 반발식의 유지 기구 (23) 가 요동 레일의 요동 각도를 규제함과 동시에, 요동 레일을 소정의 요동 각도로 유지한다. 요동 레일의 전환시의 조작력을 경감시킴으로써, 요동 레일의 전환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权利要求
  • 단일 개의 주레일의 단부에 분기 부재를 통하여 복수 개의 부레일이 연결되고, 상기 단일 개의 주레일이 상기 복수 개의 부레일 중 선택된 1 개의 부레일에 연통 접속됨으로써 상기 주레일 및 상기 선택된 부레일을 복수의 커튼 러너가 주행하도록 구성된 커튼 레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분기 부재가,
    상기 단일 개의 주레일과 상기 복수 개의 부레일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와,
    이 연결 플레이트에 대하여 요동축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피벗 마운팅되고 또한 요동함으로써 상기 주레일과 상기 복수 개의 부레일 중 어느 1 개를 연통 접속시키도록 전환되는 단일 개의 요동 레일과,
    이 요동 레일의 요동 각도를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요동 레일을 소정의 요동 각도로 유지하는 자력 반발식의 유지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레일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레일이 제 1 및 제 2 부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하면에 상기 요동 레일이 요동 가능하게 피벗 마운팅되고, 상기 요동 레일에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향하여 슬라이딩 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요동 레일의 자중의 일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요동 레일을 상기 제 1 또는 제 2 부레일 중 어느 것에 연통 접속시키도록 안내하는 장공이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제 1 자석이 형성되고, 상기 요동 레일에 상기 제 1 자석과 간격을 두고 또한 상기 제 1 자석의 자력에 반발하는 제 2 자석이 형성되고, 상기 요동 레일이 상기 제 1 부레일에 연통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슬라이딩 핀을 상기 장공의 일단에 누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자석이 상기 제 1 자석의 자력에 대하여 반발하고 또한 상기 요동 레일이 상기 제 2 부레일에 연통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슬라이딩 핀을 상기 장공의 타단에 누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자석이 상기 제 1 자석의 자력에 대하여 반발하도록 구성된 커튼 레일 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일방의 측면에 이 연결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공의 일단에 면하는 제 1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타방의 측면에 이 연결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공의 타단에 면하는 제 2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일단에서 상기 장공 내로 돌출되는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제 1 조정 비스가 상기 제 1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장공의 타단에서 상기 장공 내로 돌출되는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제 2 조정 비스가 상기 제 2 나사공에 나사 결합된 커튼 레일 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석용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자석용 나사공에 강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자석용 조정 비스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자석용 조정 비스의 하단에 상기 제 1 자석이 그 자력에 의해 흡착된 커튼 레일 구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요동 레일 사이에 상기 요동 레일을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대하여 소정의 요동 각도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이 고정을 해제하는 로크 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로크 기구가, 상기 요동 레일을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 위치와, 상기 요동 레일의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로 전환되는 전환 스토퍼를 갖고, 상기 주레일로부터 상기 요동 레일을 지나 상기 선택된 부레일을 향하는 복수의 커튼 러너 중 선두의 커튼 러너의 전동체가 다른 커튼 러너의 전동체보다 대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두의 커튼 러너가 전진하여 상기 로크 기구를 통과할 때 상기 선두의 커튼 러너의 전동체가 상기 전환 스토퍼를 상기 고정 위치로 전환시키고, 상기 선두의 커튼 러너가 후퇴하여 상기 로크 기구를 통과할 때 상기 선두의 커튼 러너의 전동체가 상기 전환 스토퍼를 상기 해제 위치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른 커튼 러너가 전진 또는 후퇴하여 상기 로크 기구를 통과해도 상기 다른 커튼 러너의 전동체가 상기 전환 스토퍼를 전환시키지 않도록 구성된 커튼 레일 구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개의 주레일이 병실의 베드의 측부 상방에 상기 베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부레일이 상기 베드의 다리밑부 상방에 상기 주레일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동일 수평면 내에서 서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커튼 레일 구조.
  • 说明书全文

    커튼 레일 구조{CURTAIN RAIL STRUCTURE}

    본 발명은, 병원의 공동 입원실의 병실, 민박 또는 여관의 큰 방 등을 베드마다 칸막이하는 칸막이용 커튼을 매다는 데에 적합한 커튼 레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단측의 1 개의 주레일의 선단측이 분기부를 통하여 복수 개의 부레일로 분기되고 또한 각각의 레일 내를 복수의 커튼 러너가 자유롭게 주행할 수 있도록 되는 커튼 레일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커튼 레일 구조에서는, 주레일과 부레일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가 분기부에 형성된다. 또 연결 플레이트에 대하여 요동축으로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도록 피벗 지지되고 또한 요동 위치에 따라 주레일과 각각의 부레일을 접속 가능한 요동 레일이 분기부에 형성된다. 또한 요동 레일의 요동 각도를 규제함과 동시에 요동 레일을 원하는 위치로 유지해 두기 위한 자착식의 유지 기구가 분기부에 형성된다. 이 자착식의 유지 기구는, 자석과 자성체를 사용하여 자력에 의해 흡착 유지하는 방식의 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기구는, 연결 플레이트의 양측 측면에 장착되는 스토퍼 부재와, 이 스토퍼 부재의 내면측에 고정된 자성체와, 요동 레일의 양측 측면에 장착된 자석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튼 레일 구조에서는, 커튼을 드리우는 방향을 변경할 때에는, 예를 들어, 일단 선두의 커튼 러너를 분기부의 앞까지 되돌리고, 선두측의 수 개의 커튼 러너를 요동 레일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커튼을 전환시키는 방향의 부레일측을 향하여 잡아당기면, 요동 레일은 원하는 부레일측으로 요동하여 레일로를 전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통상시에 베드의 다리밑에 가까운 부레일을 사용하여, 회진시 등에 있어서 베드의 다리밑 근방에 카트가 진입하는 공간부를 둘 때, 일단 선두의 커튼 러너를 분기부의 앞까지 되돌리고, 요동 레일을 요동시켜 레일로를 전환시키고, 다시 커튼을 닫으면, 베드의 다리밑 단부와 커튼 사이에 넓은 공간부를 확보할 수 있어, 카트와 커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1 의 커튼 레일 구조에서는, 요동 레일에, 선두의 커튼 러너가 전진 방향을 향하여 분기부를 통과한 후, 선두의 커튼 러너가 후퇴 방향을 향하여 분기부를 통과하지 않는 한, 요동 레일의 위치를 고정시켜 두는 로크 기구가 형성된다. 이 로크 기구에서는, 요동 레일의 상부 중공부와 하부 중공부를 칸막이하는 중간벽의 선단측 중앙부에 긴 홈상의 노치가 형성되고, 중간벽 상에 개략 사각형상이고 또한 하면 중앙부에 돌기를 갖는 로크 부재가 재치된다. 또 하면의 돌기를 긴 홈상의 노치를 통과시켜 하부 중공부에 돌출시킴으로써 로크 부재가 노치를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선두의 커튼 러너의 정상부에만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로써, 로크 부재의 하방을 선두의 커튼 러너가 통과할 때, 선두의 커튼 러너의 돌출부가 전진 또는 후퇴하여 로크 부재의 돌기에 충돌하면, 돌출부가 돌기를 가압하여 로크 부재를 노치를 따라 슬라이딩시킨다. 그리고 돌기가 노치의 단부에 도달하여 갈 곳이 없어지면, 로크 부재가 약간 떠올라 선두의 커튼 러너의 돌출부가 로크 부재의 돌기를 통과하고, 그 후, 로크 부재가 자중으로 강하하여, 떠오르기 직전의 위치로 되돌아오고, 요동 레일이 분기측의 부레일에 고정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79614호 (청구항 1 및 4, 단락 [0008], [0025], [0026], [0031], 도 1 ∼ 도 4, 도 8, 도 9)

    그러나, 상기 종래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커튼 레일 구조에서는, 요동 레일을 원하는 위치로 유지해 두는 유지 기구로서 자석 및 자성체의 흡착력을 이용하고 있고, 요동 레일의 전환시에, 가장 강한 흡착 상태로 자성체에 밀착되어 있는 자석을 자성체로부터 커튼을 잡아당겨 떼어놓기 때문에, 비교적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여, 조작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또, 상기 종래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커튼 레일 구조에서는, 자석의 개체차에 의해 자석의 자력이 커튼 레일마다 편차가 발생하면, 커튼 레일마다 요동 레일을 전환시키는 조작력이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커튼 레일 구조에서는, 선두의 커튼 러너가 로크 부재의 하방을 통과할 때, 선두의 커튼 러너의 돌출부가 로크 부재의 돌기를 가압하여 로크 부재를 노치를 따라 슬라이딩시키고, 로크 부재가 분기측의 부레일에 들어가 요동 레일을 이 부레일에 고정시킨 후, 로크 부재가 약간 떠올라 선두의 커튼 러너의 돌출부가 로크 부재의 돌기를 통과하는데, 예를 들어 선두의 커튼 러너가 로크 부재의 하방을 통과할 때의 속도가 과대하면, 로크 부재가 분기측의 부레일에 들어가기 전에 로크 부재가 약간 떠올라 선두의 커튼 러너의 돌출부가 로크 부재의 돌기를 통과하여, 요동 레일의 분기측의 부레일에 대한 고정이 불완전해지거나, 혹은 요동 레일의 분기측의 부레일에 대한 고정의 해제가 불완전해질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요동 레일의 전환시의 조작력을 경감시킬 수 있고, 이로써 요동 레일의 전환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튼 레일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자석의 개체차에 의해 자석의 자력이 편차가 발생해도, 제 1 및 제 2 자석 간의 자력을 최적의 자력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커튼 레일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선두의 커튼 러너의 속도가 과대해도, 선두의 커튼 러너의 전동체에 의한 로크 기구의 전환 스토퍼의 전환을 확실하게 실시함으로써, 요동 레일의 연결 플레이트에 대한 고정 또는 고정의 해제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다른 커튼 러너의 전동체에 의한 로크 기구의 전환 스토퍼의 전환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커튼 레일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요동 레일을 원하는 부레일에 연통 접속시켰을 때, 요동 레일이 원하는 부레일에 대하여 어긋나지 않고 거의 완전히 일치시키도록 조정할 수 있는 커튼 레일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베드의 다리밑부와 커튼 사이의 공간의 넓이를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커튼 레일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일 개의 주레일 (13) 의 단부에 분기 부재 (20) 를 통하여 복수 개의 부레일 (11, 12) 이 연결되고, 단일 개의 주레일 (13) 이 복수 개의 부레일 (11, 12) 중 선택된 1 개의 부레일 (11, 12) 에 연통 접속됨으로써 주레일 (13) 및 상기 선택된 부레일 (11, 12) 을 복수의 커튼 러너 (14, 16) 가 주행하도록 구성된 커튼 레일 구조에 있어서, 분기 부재 (20) 가, 단일 개의 주레일 (13) 과 복수 개의 부레일 (11, 12) 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 (21) 와, 이 연결 플레이트 (21) 에 대하여 요동축 (28) 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피벗 마운팅되고 또한 요동함으로써 주레일 (13) 과 복수 개의 부레일 (11, 12) 중 어느 1 개를 연통 접속시키도록 전환되는 단일 개의 요동 레일 (22) 과, 이 요동 레일 (22) 의 요동 각도를 규제함과 동시에 요동 레일 (22) 을 소정의 요동 각도로 유지하는 자력 반발식의 유지 기구 (23)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은, 제 1 관점에 기초한 발명으로서, 또한 도 1,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부레일 (11, 12) 이 제 1 및 제 2 부레일로 이루어지고, 연결 플레이트 (21) 의 하면에 요동 레일 (22) 이 요동 가능하게 피벗 마운팅되고, 요동 레일 (22) 에서 연결 플레이트 (21) 를 향하여 슬라이딩 핀 (32) 이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딩 핀 (32) 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 맞춰짐으로써 요동 레일 (22) 의 자중의 일부를 지지하고 또한 요동 레일 (22) 을 제 1 또는 제 2 부레일 (11, 12) 중 어느 것에 연통 접속시키도록 안내하는 장공 (長孔) (21f) 이 연결 플레이트 (21) 에 형성되고, 연결 플레이트 (21) 에 제 1 자석 (51) 이 형성되고, 요동 레일 (22) 에 제 1 자석 (51) 과 간격을 두고 또한 제 1 자석 (51) 의 자력에 반발하는 제 2 자석 (52) 이 형성되고, 요동 레일 (22) 이 제 1 부레일 (11) 에 연통 접속되었을 때에 슬라이딩 핀 (32) 을 장공 (21f) 의 일단에 누르는 방향으로 제 2 자석 (52) 이 제 1 자석 (51) 의 자력에 대하여 반발하고 또한 요동 레일 (22) 이 제 2 부레일 (12) 에 연통 접속되었을 때에 슬라이딩 핀 (32) 을 장공 (21f) 의 타단에 누르는 방향으로 제 2 자석 (52) 이 제 1 자석 (51) 의 자력에 대하여 반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은, 제 2 관점에 기초한 발명으로서, 또한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 (21) 의 일방의 측면에 이 연결 플레이트 (21)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장공 (21f) 의 일단에 면하는 제 1 나사공 (21g) 이 형성되고, 연결 플레이트 (21) 의 타방의 측면에 이 연결 플레이트 (21)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장공 (21f) 의 타단에 면하는 제 2 나사공 (21h) 이 형성되고, 장공 (21f) 의 일단에서 장공 (21f) 내로 돌출되는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제 1 조정 비스 (41) 가 제 1 나사공 (21g) 에 나사 결합되고, 장공 (21f) 의 타단에서 장공 (21f) 내로 돌출되는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제 2 조정 비스 (42) 가 제 2 나사공 (21h) 에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은, 제 2 관점에 기초한 발명으로서,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 (21) 에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석용 나사공 (21i) 이 형성되고, 자석용 나사공 (21i) 에 강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자석용 조정 비스 (53) 가 나사 결합되고, 자석용 조정 비스 (53) 의 하단에 제 1 자석 (51) 이 그 자력에 의해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관점은, 제 1 또는 제 2 관점에 기초한 발명으로서, 또한 도 1, 도 2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 (21) 와 요동 레일 (22) 사이에 요동 레일 (22) 을 연결 플레이트 (21) 에 대하여 소정의 요동 각도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이 고정을 해제하는 로크 기구 (54) 가 형성되고, 로크 기구 (54) 가, 요동 레일 (22) 을 연결 플레이트 (21) 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 위치와, 요동 레일 (22) 의 연결 플레이트 (21) 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로 전환되는 전환 스토퍼 (56) 를 갖고, 주레일 (13) 로부터 요동 레일 (22) 을 지나 상기 선택된 부레일 (11, 12) 을 향하는 복수의 커튼 러너 (14, 16) 중 선두의 커튼 러너 (14) 의 전동체 (14a) 가 다른 커튼 러너 (16) 의 전동체 (16a) 보다 대경 (大徑) 으로 형성되고, 선두의 커튼 러너 (14) 가 전진하여 로크 기구 (54) 를 통과할 때 선두의 커튼 러너 (14) 의 전동체 (14a) 가 전환 스토퍼 (56) 를 고정 위치로 전환시키고, 선두의 커튼 러너 (14) 가 후퇴하여 로크 기구 (54) 를 통과할 때 선두의 커튼 러너 (14) 의 전동체 (14a) 가 전환 스토퍼 (56) 를 해제 위치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되고, 다른 커튼 러너 (16) 가 전진 또는 후퇴하여 로크 기구 (54) 를 통과해도 다른 커튼 러너 (16) 의 전동체 (16a) 가 전환 스토퍼 (56) 를 전환시키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관점은, 제 1 내지 제 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한 발명으로서, 또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일 개의 주레일 (13) 이 병실의 베드 (17) 의 측부 상방에 베드 (17)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복수 개의 부레일 (11, 12) 이 베드 (17) 의 다리밑부 상방에 주레일 (13) 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동일 수평면 내에서 서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요동 레일의 전환시에, 가장 강한 흡착 상태로 자성체에 밀착되어 있는 자석을 자성체로부터 커튼을 잡아당겨 떼어놓기 때문에, 비교적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여, 조작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종래의 커튼 레일 구조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 1 관점의 커튼 레일 구조에서는, 요동 레일의 요동 각도를 규제함과 동시에 요동 레일을 소정의 요동 각도로 유지하는 유지 기구가 자력 반발식이기 때문에, 요동 레일의 전환시의 조작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요동 레일의 전환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의 커튼 레일 구조에서는, 요동 레일을 제 1 부레일에 연통 접속시켰을 때에 슬라이딩 핀을 장공의 일단에 누르는 방향으로 제 2 자석이 제 1 자석의 자력에 대하여 반발하고, 요동 레일을 제 2 부레일에 연통 접속시켰을 때에 슬라이딩 핀을 장공의 타단에 누르는 방향으로 제 2 자석이 제 1 자석의 자력에 대하여 반발하므로, 제 1 및 제 2 자석의 서로 반발하는 자력에 의해 요동 레일이 제 1 부레일 또는 제 2 부레일에 연통 접속되도록 유지됨과 함께, 요동 레일의 전환시의 조작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와 동일하게, 요동 레일의 전환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의 커튼 레일 구조에서는, 제 1 나사공에 나사 결합된 제 1 조정 비스가 장공의 일단에서 장공 내로 돌출되는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요동 레일의 제 1 부레일에 대한 어긋남을 없애, 요동 레일을 제 1 부레일에 거의 완전히 일치시키도록 조정할 수 있고, 제 2 나사공에 나사 결합된 제 2 조정 비스가 장공의 타단에서 장공 내로 돌출되는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요동 레일의 제 2 부레일에 대한 어긋남을 없애, 요동 레일을 제 2 부레일에 거의 완전히 일치시키도록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커튼 러너가 요동 레일 및 부레일 사이를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이음 (異音) 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의 커튼 레일 구조에서는, 자석용 나사공에 나사 결합된 자석용 조정 비스의 하방으로의 돌출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이 자석용 조정 비스의 하단에 흡착된 제 1 자석과 요동 레일에 장착된 제 2 자석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자석의 개체차에 의해 자석의 자력이 편차가 발생해도, 제 1 및 제 2 자석 간의 자력을 최적의 자력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관점의 커튼 레일 구조에서는, 선두의 커튼 러너가 전진하여 로크 기구를 통과할 때 선두의 커튼 러너의 전동체가 전환 스토퍼를 고정 위치로 전환시키고, 선두의 커튼 러너가 후퇴하여 로크 기구를 통과할 때 선두의 커튼 러너의 전동체가 전환 스토퍼를 해제 위치로 전환시킨다. 그 결과, 선두의 커튼 러너의 속도가 과대해도, 선두의 커튼 러너의 전동체에 의한 로크 기구의 전환 스토퍼의 전환을 확실하게 실시함으로써, 요동 레일의 연결 플레이트에 대한 고정 또는 고정의 해제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커튼 러너가 전진 또는 후퇴하여 로크 기구를 통과해도 다른 커튼 러너의 전동체가 전환 스토퍼를 전환시키지 않는다. 그 결과, 다른 커튼 러너의 전동체에 의한 로크 기구의 전환 스토퍼의 전환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관점의 커튼 레일 구조에서는, 베드의 다리밑부 상방에 복수 개의 부레일을 주레일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동일 수평면 내에서 서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시켜 배치하였으므로, 요동 레일을 요동시켜 주레일을 원하는 1 개의 부레일에 연통 접속시키고, 주레일에서 요동 레일을 지나 상기 원하는 부레일에 걸쳐 복수의 커튼 러너를 주행시켜 커튼을 전개하면, 베드의 다리밑부와 커튼 사이의 원하는 넓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베드의 다리밑부와 커튼 사이의 공간의 넓이를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도 1 의 (a) 는 본 발명 실시형태의 주레일을 제 1 부레일에 요동 레일을 통하여 접속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 2 의 A 화살표도이고, (b) 는 본 발명 실시형태의 주레일을 제 2 부레일에 요동 레일을 통하여 접속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 2 의 A 화살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a) 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3 의 (a) 는 슬라이딩 핀이 제 1 조정 비스의 선단에 눌러져 요동 레일이 제 1 부레일에 연통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 의 CC 선 단면도이고, (b) 는 슬라이딩 핀이 제 2 조정 비스의 선단에 눌러져 요동 레일이 제 2 부레일에 연통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 의 CC 선 단면도이다.
    도 4 의 (a) 는 제 2 자석이 제 1 자석에 대하여 반발하여 요동 레일이 제 1 부레일에 연통 접속되는 위치에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 의 DD 선 단면도이고, (b) 는 제 2 자석이 제 1 자석에 대하여 반발하여 요동 레일이 제 2 부레일에 연통 접속되는 위치에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 의 DD 선 단면도이다.
    도 5 는 로크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의 (a) 는 도 5 의 (a) 의 EE 선 단면도이고, (b) 는 도 5 의 (b) 의 FF 선 단면도이다.
    도 7 의 (a) 는 도 5 의 (a) 의 GG 선 단면도이고, (b) 는 도 5 의 (b) 의 HH 선 단면도이다.
    도 8 의 (a) 는 도 5 의 (a) 의 II 선 단면도이고, (b) 는 도 5 의 (b) 의 JJ 선 단면도이다.
    도 9 는 주레일, 제 1 부레일, 제 2 부레일, 요동 레일 및 연결 플레이트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은 커튼 레일을 베드의 측부 상방 및 다리밑부 상방에 장착한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일 개의 주레일 (13) 의 단부에 분기 부재 (20) 를 통하여 복수 개의 부레일 (11, 12) 이 연결되고, 단일 개의 주레일 (13) 이 복수 개의 부레일 (11, 12) 중 선택된 1 개의 부레일 (11, 12) 에 연통 접속됨으로써 주레일 (13) 및 상기 선택된 부레일 (11, 12) 을 복수의 커튼 러너 (14, 16) 가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주레일 (13) 이 병실의 베드 (17) 의 측부 상방에 베드 (17)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2 개의 제 1 및 제 2 부레일 (11, 12) 이 베드 (17) 의 다리밑부 상방에 주레일 (13) 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동일 수평면 내에서 서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이들 레일 (11 ∼ 13) 에 커튼 (18) 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매달아진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부레일의 개수를 2 개로 하였지만, 부레일은 3 개 또는 4 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커튼 레일을 병원의 공동 입원실의 병실에 베드마다 설치하였지만, 커튼 레일을 민박이나 여관의 큰 방에 베드마다 설치해도 되고, 혹은 회의실이나 대기실에 설치해도 된다. 커튼 레일을 회의실이나 대기실에 설치하는 경우, 커튼 레일로부터 매단 커튼으로 칸막이되는 작은 방의 넓이를 인원수 등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분기 부재 (20) 는, 1 개의 주레일 (13) 과 2 개의 제 1 및 제 2 부레일 (11, 12) 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 (21) 와, 이 연결 플레이트 (21) 에 대하여 요동축 (28) 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피벗 마운팅되고 또한 요동함으로써 주레일 (13) 과 2 개의 제 1 또는 제 2 부레일 (11, 12) 중 어느 1 개를 연통 접속시키도록 전환되는 1 개의 요동 레일 (22) 과, 이 요동 레일 (22) 의 요동 각도를 규제함과 동시에 요동 레일 (22) 을 소정의 요동 각도로 유지하는 자력 반발식의 유지 기구 (23) 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 주레일 (13) 과 제 1 부레일 (11) 과 제 2 부레일 (12) 은 횡단면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주레일 (13) 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편 (上片) (13a) 과, 이 상편 (13a) 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수하 (垂下) 된 1 쌍의 측편 (側片) (13b, 13b) 과, 이들 측편 (13b, 13b) 의 하단으로부터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커튼 러너 (14, 16) 의 전동체 (14a, 16a) 가 전동하는 1 쌍의 하편 (下片) (13c, 13c) 과, 1 쌍의 측편 (13b, 13b) 의 연직 방향의 중앙을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편 (13d) 을 갖는다 (도 1, 도 2 및 도 9). 주레일 (13) 의 상편 (13a), 측편 (13b), 하편 (13c) 및 연결편 (13d) 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량 합금의 압출 성형 또는 인발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 주레일 (13) 의 상부에는 편평한 사각 형상의 연결공 (13e) 이 형성되고, 주레일 (13) 의 하부에는 커튼 러너 (14, 16) 의 전동체 (14a, 16a) 를 전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C 형 채널재를 엎어 놓은 형상의 전동 오목부 (13f) 가 형성된다.

    제 1 부레일 (11) 은, 주레일 (13) 의 상편 (13a), 1 쌍의 측편 (13b, 13b), 1 쌍의 하편 (13c, 13c) 및 연결편 (13d) 과 각각 동일 형상의 제 1 상편 (11a), 1 쌍의 제 1 측편 (11b, 11b), 1 쌍의 제 1 하편 (11c, 11c) 및 제 1 연결편 (11d) 을 갖는다 (도 1, 도 2 및 도 9). 그리고 제 1 부레일 (11) 의 상부에는 편평한 사각 형상의 제 1 연결공 (11e) 이 형성되고, 제 1 부레일 (11) 의 하부에는 커튼 러너 (14, 16) 의 전동체 (14a, 16a) 를 전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C 형 채널재를 엎어 놓은 형상의 제 1 전동 오목부 (11f) 가 형성된다. 또 제 2 부레일 (12) 은, 주레일 (13) 의 상편 (13a), 1 쌍의 측편 (13b, 13b), 1 쌍의 하편 (13c, 13c) 및 연결편 (13d) 과 각각 동일 형상의 제 2 상편 (12a), 1 쌍의 제 2 측편 (12b, 12b), 1 쌍의 제 2 하편 (12c, 12c) 및 제 2 연결편 (12d) 을 갖는다 (도 1, 도 2 및 도 9). 그리고 제 2 부레일 (12) 의 상부에는 편평한 사각 형상의 제 2 연결공 (12e) 이 형성되고, 제 2 부레일 (12) 의 하부에는 커튼 러너 (14, 16) 의 전동체 (14a, 16a) 를 전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C 형 채널재를 엎어 놓은 형상의 제 2 전동 오목부 (12f) 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부레일 (11) 의 각 편이나 제 2 부레일 (12) 의 각 편도, 주레일 (13) 의 각 편과 동일하게,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량 합금의 압출 성형 또는 인발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연결 플레이트 (21) 는, 비자성 재료인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량 합금에 의해 장판 (長板) 상으로 형성된다. 연결 플레이트 (21) 의 길이는 요동 레일 (22) 의 길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길게 형성되고, 연결 플레이트 (21) 의 폭은 제 1 및 제 2 부레일 (11, 12) 의 합계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연결 플레이트 (21) 의 두께는 주레일 (13) 의 연결공 (13e) 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1 및 도 2). 또 연결 플레이트 (21) 의 일단에는, 주레일 (13) 의 연결공 (13e) 에 삽입 가능한 2 개의 주삽입부 (21a, 21b) 가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주레일 (13) 이 1 개인 것에 대하여, 주삽입부 (21a, 21b) 를 2 개 형성한 것은, 주레일 (13) 및 부레일 (11, 12) 의 배치 형성의 방법에 따라, 2 개의 주삽입부 (21a, 21b) 중 주레일 (13) 의 연결공 (13e) 에 삽입하기에 적합한 측의 주삽입부 (21a, 21b) 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 플레이트 (21) 의 타단에는, 제 1 및 제 2 부레일 (11, 12) 의 제 1 및 제 2 연결공 (11e, 12e) 에 각각 삽입 가능한 2 개의 제 1 및 제 2 부삽입부 (21c, 21d) 가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돌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 중의 부호 24 는 주삽입부 (21a) 를 주레일 (13) 의 연결공 (13e) 에 삽입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비스이고, 도 1 및 도 2 중의 부호 26 은 제 1 부삽입부 (21c) 를 제 1 부레일 (11) 의 제 1 연결공 (11e) 에 삽입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비스이고, 도 1 중의 부호 27 은 제 2 부삽입부 (21d) 를 제 2 부레일 (12) 의 제 2 연결공 (12e) 에 삽입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비스이다.

    요동 레일 (22) 은, 1 쌍의 요동 측편 (22a, 22a) 과, 1 쌍의 요동 측편 (22a, 22a) 의 상단을 연결하는 요동 연결편 (22b) 과, 1 쌍의 측편 (22a, 22a) 의 하단으로부터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커튼 러너 (14, 16) 의 전동체 (14a, 16a) 가 전동하는 1 쌍의 요동 하편 (22c, 22c) 을 갖는다 (도 2 ∼ 도 9). 요동 측편 (22a), 요동 연결편 (22b) 및 요동 하편 (22c) 은 비자성 재료인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량 합금의 압출 성형 또는 인발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 요동 레일 (22) 에는, 커튼 러너 (14, 16) 의 전동체 (14a, 16a) 를 전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C 형 채널재를 엎어 놓은 형상의 전동 오목부 (22d) 가 형성된다. 이 요동 레일 (22) 의 전동 오목부 (22d) 는, 주레일 (13) 의 전동 오목부 (13f), 제 1 부레일 (11) 의 제 1 전동 오목부 (11f) 및 제 2 부레일 (12) 의 제 2 전동 오목부 (12f) 와 횡단면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요동 레일 (22) 중 주레일 (13) 에 연통 접속되는 기단 하부에는, 1 쌍의 요동 측편 (22a, 22a) 의 하부와 1 쌍의 요동 하편 (22c, 22c) 을 절제 (切除) 함으로써, 요동 절결부 (22e) 가 형성된다. 이로써 요동 레일 (22) 의 기단 상부에는 요동 볼록부 (22f) 가 형성된다. 또 주레일 (13) 중 요동 레일 (22) 의 기단에 연통 접속되는 일단 상부에는, 상편 (13a), 1 쌍의 측편 (13b, 13b) 의 상부 및 연결편 (13d) 을 절제함으로써, 주절결부 (13g) 가 형성된다. 이로써 주레일 (13) 의 일단 하부에는 주볼록부 (13h) 가 형성된다. 요동 볼록부 (22f) 의 돌출 길이는 주볼록부 (13h) 의 돌출 길이보다 약간 짧게 형성된다. 주볼록부 (13h) 의 선단면은 요동 레일 (22) 의 요동시에 주레일 (13) 이 요동 레일 (22) 에 간섭하지 않도록 최대 요동 각도와 동등한 모따기, 혹은 최대 요동 각도보다 약간 큰 각도의 모따기가 실시된다 (도 1).

    요동 레일 (22) 은, 연결 플레이트 (21) 의 하면에 요동축 (28) 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피벗 마운팅된다. 요동 레일 (22) 의 기단 근방, 즉 요동 연결편 (22b) 중 요동 볼록부 (22f) 의 기단에 위치하는 부분에 요동축 삽입 통과공 (22g) 이 형성되고, 연결 플레이트 (21) 의 기단 근방에는 요동축 삽입 통과공 (22g) 에 대향하여 요동축 나사공 (21e) 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 도 2 중의 부호 29 는 요동 레일 (22) 의 요동축 (28) 에 대한 회전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감삽 (嵌揷) 된 부싱이고, 도 2 중의 부호 31 은 부싱 (29) 을 요동축 (28) 에 고정시키기 위한 로크 너트이다. 또 요동 레일 (22) 에서 연결 플레이트 (21) 를 향하여 슬라이딩 핀 (32) 이 돌출 형성된다. 즉, 슬라이딩 핀 (32) 은, 요동 레일 (22) 의 선단 근방의 요동 연결편 (22b) 에 형성된 슬라이딩 핀 삽입 통과공 (22h) 에 유삽 (遊揷) 되고, 슬라이딩 핀 삽입 통과공 (22h) 에 대향하는 연결 플레이트 (21) 에 이 플레이트 (21)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장공 (21f) 에 유삽된다. 도 2 중의 부호 33 은 슬라이딩 핀 (32) 에 감삽된 칼라이고, 도 2 중의 부호 34 는 칼라 (33) 의 빠짐 방지용의 로크 너트이다. 장공 (21f) 은 단이 형성된 장공으로 형성되고, 즉 장공 (21f) 은, 슬라이딩 핀 (32) 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는 폭협의 장공과, 칼라 (33) 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폭광의 장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 핀 (32) 이 폭협의 장공 (21f) 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 맞춰지고, 상기 칼라 (33) 가 폭광의 장공 (21f) 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 맞춰짐으로써, 슬라이딩 핀 (32) 이 요동 레일 (22) 의 자중의 일부를 지지하고, 또한 요동 레일 (22) 을 제 1 또는 제 2 부레일 (11, 12) 중 어느 것에 연통 접속시키도록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연결 플레이트 (21) 의 일방의 측면에는, 이 연결 플레이트 (21)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폭광의 장공 (21f) 의 일단에 면하는 제 1 나사공 (21g) 이 형성되고, 연결 플레이트 (21) 의 타방의 측면에는, 이 연결 플레이트 (21)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폭광의 장공 (21f) 의 타단에 면하는 제 2 나사공 (21h) 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3). 제 1 나사공 (21g) 에는, 폭광의 장공 (21f) 의 일단에서 폭광의 장공 (21f) 내로 돌출되는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제 1 조정 비스 (41) 가 나사 결합되고, 제 2 나사공 (21h) 에는, 폭광의 장공 (21f) 의 타단에서 폭광의 장공 (21f) 내로 돌출되는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제 2 조정 비스 (42) 가 나사 결합된다. 요동 레일 (22) 이 요동하여 칼라 (33) 의 외주면이 제 1 조정 비스 (41) 또는 제 2 조정 비스 (42) 의 선단에 맞닿음으로써, 요동 레일 (22) 의 요동 각도가 규제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3 중의 부호 43 은 제 1 조정 비스 (41) 를 고정시키는 로크 너트이고, 도 1 및 도 3 중의 부호 44 는 제 2 조정 비스 (42) 를 고정시키는 로크 너트이다.

    한편, 연결 플레이트 (21) 에는 원판상의 제 1 자석 (51) 이 형성되고, 요동 레일 (22) 에는 제 1 자석 (51) 과 간격을 두고 또한 제 1 자석 (51) 의 자력에 반발하는 사각판상의 제 2 자석 (52) 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4). 연결 플레이트 (2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기단측에 치우진 위치로서, 연결 플레이트 (21) 의 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요동 플레이트 (22) 측에 치우친 위치에,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석용 나사공 (21i) 이 형성된다. 이 자석용 나사공 (21i) 에는, 강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자석용 조정 비스 (53) 가 나사 결합되고, 이 자석용 조정 비스 (53) 의 하단에 상기 제 1 자석 (51) 이 그 자력에 의해 흡착되도록 구성된다. 또 요동 레일 (22)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기단측에 치우친 위치로서, 요동 레일 (22) 의 폭 방향의 중앙에 사각 형상의 자석용 각공 (孔) (22i) 이 형성된다. 이 자석용 각공 (22i) 에 제 2 자석 (52) 이 삽착된다. 그리고 요동 레일 (22) 이 제 1 부레일 (11) 에 연통 접속되었을 때, 연결 플레이트 (21) 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제 2 자석 (52) 이 제 1 자석 (51) 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연결 플레이트 (21) 의 일방의 측면측으로 어긋나도록 구성된다 (도 4 의 (a)). 이로써 요동 레일 (22) 이 제 1 부레일 (11) 에 연통 접속되었을 때, 제 2 자석 (52) 이 제 1 자석 (51) 의 자력에 대하여 도 4 의 (a) 의 실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반발하도록, 즉 슬라이딩 핀 (32) 을 장공 (21f) 의 일단에 누르는 방향 (도 3 의 (a) 의 실선 화살표의 방향) 으로 제 2 자석 (52) 이 제 1 자석 (51) 의 자력에 대하여 반발하도록 구성된다. 또 요동 레일 (22) 이 제 2 부레일 (12) 에 연통 접속되었을 때, 연결 플레이트 (21) 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제 2 자석 (52) 이 제 1 자석 (51) 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연결 플레이트 (21) 의 타방의 측면측으로 어긋나도록 구성된다 (도 4 의 (b)). 이로써 요동 레일 (22) 이 제 2 부레일 (12) 에 연통 접속되었을 때, 제 2 자석 (52) 이 제 1 자석 (51) 의 자력에 대하여 도 4 의 (b) 의 파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반발하도록, 즉 슬라이딩 핀 (32) 을 장공 (21f) 의 타단에 누르는 방향 (도 3 의 (b) 의 파선 화살표의 방향) 으로 제 2 자석 (52) 이 제 1 자석 (51) 의 자력에 대하여 반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자석 (51, 52) 은 서로 동일한 자극이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자극 (51, 52) 이 이들의 자력에 의해 서로 반발한다.

    한편, 연결 플레이트 (21) 와 요동 레일 (22) 사이에는, 요동 레일 (22) 을 연결 플레이트 (21) 에 대하여 소정의 요동 각도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이 고정을 해제하는 로크 기구 (54) 가 형성된다 (도 2 및 도 5). 로크 기구 (54) 는, 요동 레일 (22) 을 연결 플레이트 (21) 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 위치 (도 5b) 와, 요동 레일 (22) 의 연결 플레이트 (21) 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 (도 5a) 로 전환되는 전환 스토퍼 (56) 를 갖는다. 요동 레일 (22) 의 선단부는, 요동 연결편 (22b) 의 중앙이 제거되고, 요동 연결편 (22b) 의 잔부를 1 쌍의 요동 측편 (22a, 22a) 의 상단에 기립시킴으로써 1 쌍의 요동 기립편 (22j, 22j) 이 형성된다 (도 2, 도 5 및 도 9). 또 연결 플레이트 (21) 의 선단부 하면에는, 상기 1 쌍의 요동 기립편 (22j, 22j) 을 수용 가능한 기립편 수용 오목부 (21j) 가 형성된다 (도 1, 도 2 및 도 5). 이 기립편 수용 오목부 (21j) 는 요동 레일 (22) 이 요동해도 1 쌍의 요동 기립편 (22j, 22j) 이 연결 플레이트 (21) 에 간섭하지 않도록 비교적 크게 형성된다. 또한 기립편 수용 오목부 (21j) 의 상면에는, 연결 플레이트 (21) 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 1 및 제 2 스토퍼 수용 오목부 (21k, 21m) 가 각각 형성된다. 제 1 스토퍼 수용 오목부 (21k) 는 연결 플레이트 (21) 의 일방의 측면측에 형성되고, 제 2 스토퍼 수용 오목부 (21m) 는 연결 플레이트 (21) 의 타방의 측면측에 형성된다.

    상기 전환 스토퍼 (56) 는, 그 중앙 기단 쪽이 상기 1 쌍의 요동 기립편 (22j, 22j) 에 스토퍼 지지축 (57) 을 통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2, 도 5 및 도 6). 또 전환 스토퍼 (56) 의 기단에는 스토퍼 회전 운동 규제축 (58) 이 삽입 통과되고, 1 쌍의 요동 기립편 (22j, 22j) 에서 1 쌍의 요동 측편 (22a, 22a) 에 걸쳐, 대략 부채형의 1 쌍의 회전 운동 규제 오목부 (22k, 22k) 가 각각 형성된다 (도 5, 도 7 및 도 9). 전환 스토퍼 (56) 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스토퍼 회전 운동 규제축 (58) 의 양단은 1 쌍의 회전 운동 규제 오목부 (22k, 22k) 에 각각 유삽된다. 또 전환 스토퍼 (56) 의 중앙 선단 쪽에 스토퍼 일시 고정구 (59) 가 삽착된다 (도 2, 도 5 및 도 8). 스토퍼 일시 고정구 (59) 는, 전환 스토퍼 (56) 의 중앙 선단 쪽에 삽입된 고정축 (59a) 과, 이 고정축 (59a) 의 양단의 1 쌍의 구멍 (59d, 59d) 에 각각 삽입된 1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 (59b, 59b) 과, 이들 스프링 (59b, 59b) 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탄성 지지되는 1 쌍의 강구 (鋼球) (59c, 59c) 로 이루어진다 (도 8). 또한 요동 레일 (22) 의 1 쌍의 요동 측편 (22a, 22a) 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1 쌍의 제 1 고정공 (22m, 22m) 이 각각 형성되고, 1 쌍의 요동 기립편 (22j, 22j) 에는, 1 쌍의 제 1 고정공 (22m, 22m) 의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도록 1 쌍의 제 2 고정공 (22n, 22n) 이 각각 형성된다 (도 5 및 도 8). 1 쌍의 제 1 고정공 (22m, 22m) 에 1 쌍의 강구 (59c, 59c) 의 일부가 삽입되었을 때, 전환 스토퍼 (56) 의 선단부가 제 1 및 제 2 스토퍼 수용 오목부 (21k, 21m) 에 수용되지 않는 위치, 즉 해제 위치에 전환 스토퍼 (56) 가 일시적으로 고정되고, 1 쌍의 제 2 고정공 (22n, 22n) 에 1 쌍의 강구 (59c, 59c) 의 일부가 삽입되었을 때, 전환 스토퍼 (56) 의 선단부가 제 1 또는 제 2 스토퍼 수용 오목부 (21k, 21m) 중 어느 것에 수용된 위치, 즉 고정 위치에 전환 스토퍼 (56) 가 일시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복수의 커튼 러너 (14, 16) 중 선두의 커튼 러너 (14) 의 전동체 (14a) 는, 다른 커튼 러너 (16) 의 전동체 (16a) 보다 대경으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5). 여기서, 선두의 커튼 러너 (14) 란, 주레일 (13) 로부터 요동 레일 (22) 을 지나 제 1 또는 제 2 부레일 (11, 12) 중 선택된 어느 부레일 (11, 12) 을 향하는 복수의 커튼 러너 (14, 16) 중 선두의 커튼 러너 (14) 를 말한다. 또 전환 스토퍼 (56) 의 하면은 선두의 커튼 러너 (14) 의 전동체 (14a) 의 통과에 의해 스토퍼 지지축 (57) 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전동체 (14a) 의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만곡면으로 형성된다. 선두의 커튼 러너 (14) 가 전진하여 로크 기구 (54) 를 통과할 때, 선두의 커튼 러너 (14) 의 전동체 (14a) 가 전환 스토퍼 (56) 의 하면에 맞닿아 전환 스토퍼 (56) 를 고정 위치로 전환시키고, 선두의 커튼 러너 (14) 가 후퇴하여 로크 기구 (54) 를 통과할 때, 선두의 커튼 러너 (14) 의 전동체 (14a) 가 전환 스토퍼 (56) 의 하면에 맞닿아 전환 스토퍼 (56) 를 해제 위치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다. 단, 다른 커튼 러너 (16) 가 전진 또는 후퇴하여 로크 기구 (54) 를 통과해도, 다른 커튼 러너 (16) 의 전동체 (16a) 가 전환 스토퍼 (56) 를 전환시키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 중의 부호 14b 는 선두의 커튼 러너 (14) 에 형성되고 커튼 (18) 을 매달기 위한 훅이 걸리는 원고리이고, 도 5 중의 부호 16b 는 다른 커튼 러너 (16) 에 형성되고 커튼 (18) 을 매달기 위한 훅이 걸리는 원고리이다. 또, 도 10 중의 부호 61 은 병실의 천장으로부터 수하되고 주레일 (13) 및 부레일 (11, 12) 을 유지하기 위한 매달림 로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튼 레일 구조의 조립 순서를 설명한다. 병실의 천장으로부터 복수 개의 매달림 로드 (61) 를 수하시키고, 이들 매달림 로드 (61) 의 하단에 주레일 (13) 과 제 1 부레일 (11) 과 제 2 부레일 (12) 을 장착한다 (도 10). 이어서 전동체 (14a, 16a) 가 1 쌍의 하편 (13c, 13c) 을 전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커튼 러너 (14, 16) 를 주레일 (13) 에 걸어 맞춘다. 한편, 요동 레일 (22) 에 로크 기구 (54) 를 장착함과 함께 제 2 자석 (52) 을 삽착한다. 또 연결 플레이트 (21) 의 제 1 및 제 2 나사공 (21g, 21h) 에 제 1 및 제 2 조정 비스 (41, 42) 를 나사 결합한 후, 제 1 및 제 2 조정 비스 (41, 42) 에 로크 너트 (43, 44) 를 각각 나사 결합한다. 연결 플레이트 (21) 의 자석용 나사공 (21i) 에 자석용 조정 비스 (53) 를 나사 결합한 후, 자석용 조정 비스 (53) 의 하면에 제 2 자석 (52) 을 그 자력에 의해 흡착시킨다. 이 때 제 2 자석 (52) 의 하면측의 자극을 제 1 자석 (51) 의 상면측의 자극과 동일하게 한다. 다음으로 요동 레일 (22) 을 연결 플레이트 (21) 의 하면에 요동축 (28) 및 슬라이딩 핀 (32) 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피벗 마운팅한다. 이 상태에서 연결 플레이트 (21) 의 주삽입부 (21a) 를 주레일 (13) 의 연결공 (13e) 에 삽입한 후, 연결 플레이트 (21) 의 제 1 부삽입부 (21c) 를 제 1 부레일 (11) 의 제 1 연결공 (11e) 에 삽입함과 함께, 연결 플레이트 (21) 의 제 2 부삽입부 (21d) 를 제 2 부레일 (12) 의 제 2 연결공 (12e) 에 삽입한다. 그리고, 비스 (24) 를 주삽입부 (21a) 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주삽입부 (21a) 를 연결공 (13e) 에 삽입한 상태로 고정시키고, 비스 (26) 를 제 1 부삽입부 (21c) 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 1 부삽입부 (21c) 를 제 1 연결공 (11e) 에 삽입한 상태로 고정시키고, 비스 (27) 를 제 2 부삽입부 (21d) 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 2 부삽입부 (21d) 를 제 2 연결공 (12e) 에 삽입한 상태로 고정시킨다. 또한 요동 레일 (22) 을 요동시켜, 요동 레일 (22) 을 제 1 또는 제 2 부레일 (11, 12) 에 일치하도록 제 1 및 제 2 조정 비스 (41, 42) 를 조정하여 로크 너트 (43, 44) 로 고정시킴과 함께, 자석용 조정 비스 (53) 에 의해 제 1 자석 (51) 의 제 2 자석 (52) 에 대한 자력을 조정한다. 그 결과, 커튼 러너 (14, 16) 가 요동 레일 (22) 및 부레일 (11, 12) 사이를 통과할 때에 거의 이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 자석 (51, 52) 의 개체차에 의해 자석 (51, 52) 의 자력이 편차가 발생해도, 제 1 및 제 2 자석 (51, 52)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을 최적의 자력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의 작업으로 커튼 레일 구조의 조립은 완료된다. 그 후, 복수의 커튼 러너 (14, 16) 의 원고리 (14b, 16b) 에 커튼 (18) 의 훅을 걸어 맞춰 커튼 (18) 을 매단다.

    이와 같이 조립된 커튼 레일 구조의 동작을 설명한다. 병실의 베드 (17) 의 다리밑에 카트를 두지 않는 경우에는, 커튼 (18) 을 베드 (17) 의 다리밑에 접근시킨 상태에서 전개한다. 즉, 주레일 (13) 의 하방에 정리되어 있던 커튼 (18) 의 일단을 베드 (17) 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요동 레일 (22) 을 향하여 잡아당긴다. 그러면 선두의 커튼 러너 (14) 에는 베드 (17) 의 측면에 접근하는 방향의 힘도 부가되기 때문에, 선두의 커튼 러너 (14) 가 주레일 (13) 에서 요동 레일 (22) 로 이동하면, 요동 레일 (22) 의 선단이 제 1 부레일 (11) 에 연통 접속되는 방향으로 요동축 (28) 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때 슬라이딩 핀 (32) 을 장공 (21f) 의 일단에 누르는 방향, 즉 칼라 (33) 를 제 1 조정 비스 (41) 의 선단에 누르는 방향으로, 제 2 자석 (52) 이 제 1 자석 (51) 의 자력에 대하여 반발하므로, 요동 레일 (22) 의 선단이 제 1 부레일 (11) 에 연통 접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선두의 커튼 러너 (14) 가 전진하여 로크 기구 (54) 를 통과하면, 선두의 커튼 러너 (14) 의 전동체 (14a) 가 전환 스토퍼 (56) 의 만곡되는 하면에 맞닿아 전환 스토퍼 (56) 를 고정 위치로 전환시킨다. 즉, 전환 스토퍼 (56) 의 선단부가 연결 플레이트 (21) 의 제 1 스토퍼 수용 오목부 (21k) 에 삽입된다. 이 때 스토퍼 일시 고정구 (59) 의 강구 (59c) 의 일부가 제 2 고정공 (22n) 에 삽입되므로, 전환 스토퍼 (56) 의 선단부가 제 1 스토퍼 수용 오목부 (21k) 에 삽입된 상태로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그 결과, 요동 레일 (22) 의 제 1 부레일 (11) 과의 연통 접속이 의도치 않게 해제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커튼 러너 (16) 가 전진하여 로크 기구 (54) 를 통과해도, 다른 커튼 러너 (16) 의 전동체 (16a) 가 선두의 커튼 러너 (14) 의 전동체 (14a) 보다 소경 (小徑) 이기 때문에, 전환 스토퍼 (56) 의 하면에 맞닿지 않는다. 그 결과, 다른 커튼 러너 (16) 의 전동체 (16a) 가 전환 스토퍼 (56) 를 의도치 않게 전환시키지 않는다. 또한 선두의 커튼 러너 (14) 가 제 1 부레일 (11) 의 선단까지 이동하면, 커튼 (18) 이 주레일 (13), 요동 레일 (22) 및 제 1 부레일 (11) 의 하방에 전개된다. 이 때 커튼 (18) 이 베드 (17) 의 다리밑에 접근한 상태로 전개되어 있으므로, 베드 (17) 와 이 베드 (17) 에 대면하는 베드 사이의 통로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개한 커튼 (18) 을 주레일 (13) 의 하방에 정리하는 경우에는, 전개한 커튼 (18) 의 일단을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선두의 커튼 러너 (14) 가 후퇴하여 로크 기구 (54) 를 통과하면, 선두의 커튼 러너 (14) 의 전동체 (14a) 가 전환 스토퍼 (54) 의 만곡되는 하면에 맞닿아 전환 스토퍼 (54) 를 해제 위치로 전환시킨다. 즉, 연결 플레이트 (21) 의 제 1 스토퍼 수용 오목부 (21k) 에 삽입되어 있던 전환 스토퍼 (56) 의 선단부가 제 1 스토퍼 수용 오목부 (21k) 로부터 이탈된다. 이 때 스토퍼 일시 고정구 (59) 의 강구 (59c) 의 일부가 제 1 고정공 (22m) 에 삽입되므로, 전환 스토퍼 (56) 의 선단부가 제 1 스토퍼 수용 오목부 (21k) 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다른 커튼 러너 (16) 가 후퇴하여 로크 기구 (54) 를 통과해도, 다른 커튼 러너 (16) 의 전동체 (16a) 가 선두의 커튼 러너 (14) 의 전동체 (14a) 보다 소경이기 때문에, 전환 스토퍼 (56) 의 하면에 맞닿지 않는다. 그 결과, 다른 커튼 러너 (16) 의 전동체 (16a) 가 전환 스토퍼 (56) 를 의도치 않게 전환시키지 않는다. 선두의 커튼 러너 (14) 가 제 1 부레일 (11) 로부터 요동 레일 (22) 을 지나 주레일 (13) 로 후퇴하면, 커튼 (18) 은 주레일 (13) 의 하방에 정리된다.

    한편, 회진 등을 위해 병실의 베드 (17) 의 다리밑에 카트를 두는 경우에는, 커튼 (18) 을 베드 (17) 의 다리밑으로부터 떨어뜨린 상태로 전개한다. 즉, 주레일 (13) 의 하방에 정리되어 있던 커튼 (18) 의 일단을 베드 (17) 로부터 떼어놓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요동 레일 (22) 을 향하여 잡아당긴다. 그러면 선두의 커튼 러너 (14) 에는 베드 (17) 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힘도 부가되기 때문에, 선두의 커튼 러너 (14) 가 주레일 (13) 에서 요동 레일 (22) 로 이동하면, 요동 레일 (22) 의 선단이 제 2 부레일 (12) 에 연통 접속되는 방향으로 요동축 (28) 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때 슬라이딩 핀 (32) 을 장공 (21f) 의 일단에 누르는 힘, 즉 칼라 (33) 를 제 1 조정 비스 (41) 의 선단에 누르는 힘은, 제 2 자석 (52) 이 제 1 자석 (51) 의 자력에 대하여 반발하는 힘이기 때문에, 비교적 약하다. 그 결과, 요동 레일 (22) 의 전환시의 조작력을 경감시킬 수 있어, 요동 레일 (22) 은 신속하게 요동축 (28) 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칼라 (33) 가 제 2 조정 비스 (42) 의 선단에 맞닿는다. 칼라 (33) 가 제 2 조정 비스 (42) 의 선단에 맞닿으면, 슬라이딩 핀 (32) 을 장공 (21f) 의 타단에 누르는 방향, 즉 칼라 (33) 를 제 2 조정 비스 (42) 의 선단에 누르는 방향으로, 제 2 자석 (52) 이 제 1 자석 (51) 의 자력에 대하여 반발하므로, 요동 레일 (22) 의 선단이 제 2 부레일 (12) 에 연통 접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선두의 커튼 러너 (14) 가 전진하여 로크 기구 (54) 를 통과하면, 선두의 커튼 러너 (14) 의 전동체 (14a) 가 전환 스토퍼 (56) 의 만곡되는 하면에 맞닿아 전환 스토퍼 (56) 를 고정 위치로 전환시킨다. 즉, 전환 스토퍼 (56) 의 선단부가 연결 플레이트 (21) 의 제 2 스토퍼 수용 오목부 (21m) 에 삽입된다. 이 때 스토퍼 일시 고정구 (59) 의 강구 (59c) 의 일부가 제 2 고정공 (22n) 에 삽입되므로, 전환 스토퍼 (56) 의 선단부가 제 2 스토퍼 수용 오목부 (21m) 에 삽입된 상태로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그 결과, 요동 레일 (22) 의 제 2 부레일 (12) 과의 연통 접속이 의도치 않게 해제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커튼 러너 (16) 가 전진하여 로크 기구 (54) 를 통과해도, 다른 커튼 러너 (16) 의 전동체 (16a) 가 선두의 커튼 러너 (14) 의 전동체 (14a) 보다 소경이기 때문에, 전환 스토퍼 (56) 의 하면에 맞닿지 않는다. 그 결과, 다른 커튼 러너 (16) 의 전동체 (16a) 가 전환 스토퍼 (56) 를 의도치 않게 전환시키지 않는다. 또한 선두의 커튼 러너 (14) 가 제 2 부레일 (12) 의 선단까지 이동하면, 커튼 (18) 이 주레일 (13), 요동 레일 (22) 및 제 2 부레일 (12) 의 하방에 전개된다. 이 때 커튼 (18) 이 베드 (17) 의 다리밑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전개되어 있으므로, 베드 (17) 의 다리밑에 카트를 두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드 (17) 의 다리밑부와 커튼 (18) 사이의 공간의 넓이를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개한 커튼 (18) 을 주레일 (13) 의 하방에 정리하는 경우에는, 전개한 커튼 (18) 의 일단을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선두의 커튼 러너 (14) 가 후퇴하여 로크 기구 (54) 를 통과하면, 선두의 커튼 러너 (14) 의 전동체 (14a) 가 전환 스토퍼 (56) 의 만곡되는 하면에 맞닿아 전환 스토퍼 (56) 를 해제 위치로 전환시킨다. 즉, 연결 플레이트 (21) 의 제 2 스토퍼 수용 오목부 (21m) 에 삽입되어 있던 전환 스토퍼 (56) 의 선단부가 제 2 스토퍼 수용 오목부 (21m) 로부터 이탈된다. 이 때 스토퍼 일시 고정구 (59) 의 강구 (59c) 의 일부가 제 1 고정공 (22m) 에 삽입되므로, 전환 스토퍼 (56) 의 선단부가 제 2 스토퍼 수용 오목부 (21m) 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다른 커튼 러너 (16) 가 후퇴하여 로크 기구 (54) 를 통과해도, 다른 커튼 러너 (16) 의 전동체 (16a) 가 선두의 커튼 러너 (14) 의 전동체 (14a) 보다 소경이기 때문에, 전환 스토퍼 (56) 의 하면에 맞닿지 않는다. 그 결과, 다른 커튼 러너 (16) 의 전동체 (16a) 가 전환 스토퍼 (56) 를 의도치 않게 전환시키지 않는다. 선두의 커튼 러너 (14) 가 제 2 부레일 (12) 로부터 요동 레일 (22) 을 지나 주레일 (13) 로 후퇴하면, 커튼 (18) 은 주레일 (13) 의 하방에 정리된다.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의 커튼 레일 구조는, 병원의 공동 입원실의 병실, 민박 또는 여관의 큰 방 등을 베드마다 칸막이하는 칸막이용의 커튼을 매달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11 : 제 1 부레일
    12 : 제 2 부레일
    13 : 주레일
    14 : 선두의 커튼 러너
    14a, 16a : 전동체
    16 : 다른 커튼 러너
    17 : 베드
    20 : 분기 부재
    21 : 연결 플레이트
    21f : 장공
    21g : 제 1 나사공
    21h : 제 2 나사공
    21i : 자석용 나사공
    22 : 요동 레일
    23 : 유지 기구
    28 : 요동축
    32 : 슬라이딩 핀
    41 : 제 1 조정 비스
    42 : 제 2 조정 비스
    51 : 제 1 자석
    52 : 제 2 자석
    53 : 자석용 조정 비스
    54 : 로크 기구
    56 : 전환 스토퍼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