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용 이동식 욕조

申请号 KR1020090071690 申请日 2009-08-04 公开(公告)号 KR1020110013970A 公开(公告)日 2011-02-10
申请人 (주) 나누우리; 发明人 김재호;
摘要 PURPOSE: A transportable bath tub for a patient is provided, which enables a user to conveniently transfer a patient to a bed from a bath tub. CONSTITUTION: A transportable bath tub for a patient comprises: a bath tub(10) having a drain hole; a flexible tube(40) which has an air gateway and is located inside the bath tub; and an air injector injecting air into the flexible tube. The bath tub includes: a pair of support stands(20) supporting the bath tub; and a pair of casters(30,30') which are installed at the support stand. In one end of the air gateway, an air entrance(60) is prepared.
权利要求
  • 환자용 이동식 욕조에 있어서,
    배수공을 갖는 욕조와;
    공기출입구를 갖고 상기 욕조의 내부에 위치하는 가요성 튜브와;
    상기 가요성 튜브에 공기를 출입시키는 공기주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이동식 욕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는,
    상기 욕조의 전후에 고정되어 상기 욕조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된 전후 한 쌍의 구름바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이동식 욕조.
  • 说明书全文

    환자용 이동식 욕조{mobile bathtub for patients}

    본 발명은 환자용 이동식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병으로 인해 침대에 누워 있을 수밖에 없는 환자, 특히 간병인이 목욕을 위한 와상(臥狀) 환자의 이동시 환자의 고통과 불편함이 없도록 간편하게 욕조로 옮길 수 있으며, 욕조 내부에서 목욕이 완료된 이후 욕조로부터 환자를 고통 및 불편함이 없이 간편하게 침상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한 환자용 이동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조는, 목욕물을 담을 수 있도록 표면으로부터 내부가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목욕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욕조는 일반인 등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욕실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각종 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 중 이동이 가능하여 혼자서도 목욕 가능한 환자가 있는 한편, 병세가 심해 침대 등에 누워 있을 수밖에 없어 목욕 불가능하거나 목욕을 하려면 매우 어려운 와상 환자가 있다.

    이와 같은 와상 환자를 목욕을 시키려면 간병인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환자를 욕실로 옮기거나 또는 욕실로 옮길 수 없는 환자는 간병인이 물수건 등을 이용해 전신을 닦아 주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환자의 고통은 물론 간병인 등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에 개재된 실용등록번호 20-0401864호 " 환자용 목욕 전용침대"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환자용 목욕 전용침대"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을 용이하게 목욕시키기 위한 목욕 전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대 프레임의 용이한 상,하 승강이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침대 프레임 상측의 상판과 그 상판을 지지하고 있는 상판프레임을 별도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각도 조절 및 분할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침대프레임의 상,하 승강이 자유로워 편리하게 환자의 신체를 청결하게 세척시킬 수 있으면서도, 환자의 신체를 강제적으로 회전시키거나 엎드리지 않고도 분할 회전 가능한 상판의 작동에 의해 편안한 상태로 환자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목욕 침대를 다 사용하고 난 이후에는 그 상판 전체를 일 측으로 경사지게 각도 조절하여 용이하게 상판 및 그 침대를 세척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환자용 목욕 전용 침대는, 침대 프레임의 상,하 승강이 이루어지게 하고, 침대 프레임 상측의 상판과 그 상판을 지지하고 있는 상판 프레임을 별도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각도 조절 및 분할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침대프레임의 상,하 승강이 쉬어 편리하게 환자의 신체를 청결하게 세척시 킬 수 있는 이점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자용 목욕 전용 침대는, 말 그대로 환자를 위한 전용 목욕 침대로서 목욕 가능한 침대를 제안하고 있기 때문에 복잡한 부품 및 이에 따른 제조비용의 상승으로 제품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열악한 생활환경에 있는 환자는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 환자용 목욕 전용 침대는 그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병원 등에 국한되어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도 가진다.

    이에 욕조의 이동이 편리하고 침상에 누워있는 와상 환자의 고통 또는 불편함이 없이 환자를 간편하게 욕조로 옮겨 욕조 내부에서 목욕을 시킨 후 욕조로부터 다시 침상으로 옮겨 놓을 수 있는 욕조의 제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상(臥狀) 환자를 간병인이 목욕을 위한 이동시 환자의 고통과 불편함이 없도록 환자를 간편하게 욕조로 옮기고 욕조 내부에서 목욕이 완료된 이후 욕조로부터 환자를 간편하게 침상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한 환자용 이동식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환자용 이동식 욕조에 있어서, 배수공을 갖는 욕조와; 공기출입구를 갖고 상기 욕조의 내부에 위치하는 가요성 튜브와; 상기 가요성 튜브에 공기를 출입시키는 공기출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이동식 욕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욕조는, 상기 욕조의 전후에 고정되어 상기 욕조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된 전후 한 쌍의 구름바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침상에서 세면실 또는 욕조로 이동하기 어려운 와상 환자 등을 욕조로의 이동을 위한 고통 및 불편함이 없이 손쉽게 욕조로 옮길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목욕을 돕는 간병인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이동식 욕조로부터 가요성 튜브를 분리한 상 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이동식 욕조(10)는, 목욕물을 받을 수 있도록 표면으로부터 내부가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목욕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욕조(10)의 전후에는 욕조(1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20)(20')가 설치되며, 지지대(20)(20')에는 전후 한 쌍의 구름바퀴(30)(30')가 설치되어 있어 욕조(10)를 필요한 곳으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욕조(10)의 내부에는 가요성 튜브(40)가 마련되는데, 가요성 튜브(40)에는 가요성 튜브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또는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출입구(50)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출입구(50)의 일단에는 가요성 튜브(40)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또는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출입기(60)가 마련된다. 여기서 가요성 튜브(40)의 일 측에 공기배출구(도시치 않음)를 별도 마련하여 가요성 튜브(4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0은 욕조(10)의 일 측으로부터 절첩 가능하며, 머리를 감을 수 있는 보조욕조이며, 부호 80, 80'는 환자의 편리를 위한 안전펜스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이동식 욕조(10)를 사용하여 환자를 목욕시키려 할 때에는, 먼저, 간병인은 욕조(10)의 구름바퀴(30)(30')를 이용 욕조를 환자가 누워 있는 침상 옆으로 이동시킨다.

    침대 옆으로 이동된 욕조(10)를 침대의 일 측과 접촉시킨 후, 공기출입 기(60)를 동작시켜 가요성 튜브(40)에 공기를 주입시킨다. 이렇게 되면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요성 튜브(40)는 욕조(10)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부풀어 오르고, 따라서 가요성 튜브(40)의 표면 높이는 침상의 높이와 동일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간병인은 침상의 환자를 옆으로 뉘인 후 살짝 들어서 가요성 튜브(40) 위로 간편하게 옮길 수 있다.

    이후 환자가 가요성 튜브(40) 위로 옮겨지면 간병인은 공기출입기(60)를 재가동시켜 가요성 튜브(40)의 공기를 배출시킨다. 이렇게 하면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요성 튜브(40) 내부의 공기는 배출되고, 따라서 공기가 배출된 가요성 튜브(40)의 형상은 거의 욕조(10)의 내부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바뀜으로 가요선 튜브(40) 위의 환자는 자연스럽게 욕조(10) 안으로 내려간다. 이때 간병인은 욕조(10)에 목욕물을 채운 후 환자를 목욕시키면 된다.

    목욕이 완료되면 욕조(10)의 배수공(11)을 열어 목욕물을 배출시킨 후 다시 공기출입기(60)를 동작시키면 가요성 튜브(40)는 도 3과 같이 부풀어 올라 가요성 튜브(40)의 표면 높이가 침상의 높이와 동일한 위치가 된다. 따라서 간병인은 욕조(10) 즉, 가요성 튜브(40)로부터 환자를 옆으로 뉘인 후 살짝 들어올려 침상으로 옮기는 것으로서 와상 환자의 목욕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배수공(11)을 갖는 욕조(10)와, 공기출입구(50)를 갖고 욕조의 내부에 위치하는 가요성 튜브(40)와, 가요성 튜브에 공기를 출입시키는 공기출입기(60)를 포함하는 환자용 이동식 욕조를 이용함으로써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고 간병인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이동식 욕조로부터 가요성 튜브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환자를 침대로부터 욕조로 옮길 수 있도록 가요성 튜브에 공기를 주입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욕조에서 환자를 목욕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욕조 11 : 배수공

    20, 20' : 지지대 30, 30' : 구름바퀴

    40 : 가요성 튜브 50 : 공기출입구

    60 : 공기출입기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