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면보호대를 이용한 환자이송장치

申请号 KR1020120050558 申请日 2012-05-12 公开(公告)号 KR101355756B1 公开(公告)日 2014-01-27
申请人 제양규; 发明人 제양규;
摘要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환자침대와 환자이동침대사이, 혹은 환자이동침대와 각종 검사장치 사이로 서로 이송할 때 환자에게 최소한의 불편을 주면서, 환자를 손쉽게 이송할 수 있는 환자이송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병원에서 환자를 이동할 때 환자침대와 환자이동침대 혹은 환자이동침대와 각종 검사장치 사이에 발생 되는 환자이송에 관련된 장치이다.
본 발명의 환자이송장치는 환자이동침대에 환자의 몸을 싣거나 혹은 내리기 위해 환자의 몸을 실을 수 있는 상판이동판, 상판이동판에 연결되어 상판이동판을 쉽게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이송암, 환자이동침대 프레임 위에 고정되어 이송암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송암하우징, 그리고 이송암이 환자침대 위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환자침대 위에 눕혀져서 가이드레일의 역할을 하는 측면보호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판이동판을 옆으로 기울여 환자의 몸을 쉽게 싣거나 내릴 수 있도록 상판이동판에 링크(linkage)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단순히 몸을 옆으로 세움으로서 환자이동침대에 싣거나 내릴 수 있기 때문에, 환자에게는 이송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적은 인원으로 환자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환자 이송을 위해 별도의 외부 동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별도 부속장치의 설치 및 철수과정이 필요하지 않아 운영하기가 매우 편리하며, 장치가 간단하기 때문에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다.
权利要求
  • 환자의 몸을 싣고 환자이동침대 양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판이동판(10) 과,
    상판이동판(10)에 연결되어 상판이동판(10)을 움직이게 하고,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이송암 롤러(31)를 서로 연결시켜 한 두 개의 이송암 롤러(31)에 집중되는 힘을 분산시키고, 이송함 하우징(34) 속에서 버팀목의 역할을 하여, 상판이동판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이송암(30) 과,
    환자이동침대 프레임(60)에 설치되며, 이송암 롤러(31)가 원활하게 움직이게 하며, 이송암 롤러(31)가 측면보호대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이송암하우징(34) 과,
    환자침대위에 눕혀져서 이송암(30)이 환자침대 위를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가이드레일의 역할을 하고, 이송암의 일부는 아무런 장애 없이 측면보호대를 지나 환자침대 내부 깊은 곳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환자이동침대와 환자침대를 서로 연결하여 환자이동침대를 안전하게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측면보호대(50) 로 구성된 환자이송장치
  • 청구항 1에서;
    환자의 몸을 싣거나 혹은 내릴 때 상판이동판(10)이 쉽게 기울어 질 수 있도록 상판이동판(10)과 이송암(30) 사이에 설치되어 피봇 역할을 하는 링크(42, 43)가 설치된 환자이송장치
  • 청구항 2에서;
    상판이동판(10)이 기울어질 때 링크의 피봇이 되는 위치를 효과적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상부 링크(42)의 길이와 하부 링크(43)의 길이가 서로 다른 링크가 설치된 환자이송장치
  • 청구항 1에서;
    이송암(30)이 일정한 거리 이상 이송암 하우싱(34)을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이송암 스토퍼(32)와 이송암하우징 스토퍼(36)가 설치된 환자이송장치
  • 청구항 1에서;
    환자가 장시간 환자이동침대에 머물러야 할 경우 상판이동판 일부를 세워서 환자의 피로를 들어줄 수 있도록 상판이동판 가동부(11)가 설치된 환자이송장치
  • 说明书全文

    측면보호대를 이용한 환자이송장치 {Patient Transfer Apparatus Using Side Safety Rails}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환자침대와 환자이동침대 사이를 이송시킬 때 환자에게는 최소한의 불편을 주면서, 손쉽게 환자를 이송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병원에서 환자를 이동할 때 환자침대와 환자이동침대 혹은 환자이동침대와 각종 검사장치 사이에 발생 되는 환자이송에 관련된 장치이다.

    환자이동침대와 환자침대 사이로 환자를 옮기기 위한 환자이송장치에 관하여 국내외적으로 많은 특허가 출원되어 있다. 출원 및 등록된 많은 국내외 특허들은 복잡한 장치나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절차가 복잡하고 고가의 설비가 요구되어 실제 적용이 쉽지 않다. US 4,259,756와 KR 10-2002-0049632 등은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 및 조작은 간편하나, 환자가 환자이송장치의 상판이동판(top movable board)에 누워있으면, 환자 몸무게로 인해 상판이동판과 환자침대 매트리스 사이의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상판이동판을 쉽게 움직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US 7,000,268은 상판이동판이 환자침대위에서 손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을 새롭게 설치했다. 그러나 가이드 레일을 별도로 설치하고 철수하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다. KR 10-2003-0037260은 벨트형 상판이동판이 환자침대 위를 움직이면서 벨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판이동판 위에 있는 환자의 몸이 함께 움직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판이동판이 환자침대 위를 움직이는 거리는 상판이동판위에서 환자 몸이 움직이는 거리보다 더 길어야 하는데, 오히려 상판이동판위에서 환자 몸이 움직이는 거리가 상판이동판이 환자침대 위를 움직이는 거리의 2배가 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실제 적용하기가 어렵다.

    본 출원인이 고안한 KR 10-2009-0053325는 이송암 하우징을 통하여 이송암이 환자침대의 푹신한 메트리스 위를 직접 이동하도록 하였고, 이송암 위로 움직일 수 있는 활차를 통하여 상판이동판이 환자침대위로 좀 더 많은 거리를 손쉽게 움직이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송암이 환자침대 위를 움직이도록 도와주는 가이드 레일이 없이 이송암 롤러만을 통해 이송암이 푹신한 메트리스 위의 많은 거리를 직접 이동하기에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환자의 몸이 실려 있을 때 이송암의 이동은 쉽지 않다. 또 환자이송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환자이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성이다. KR 10-2009-0053325는 이송암이 환자침대 메트리스 위를 이동할 때, 환자이동침대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추가적인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송암 위로 움직이는 활차 대신에 환자이동침대의 측면보호대를 환자침대 매트리스 위에 눕혀, 이송암이 환자침대 메트리스 위를 이동할 때 측면 보호대가 가이드 레일의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이송암이 환자침대 메트리스 대신에 측면보호대 위로 움직이게 하여, 환자의 몸이 실린 상판이동판이 환자침대 위로 손쉽게 움직이게 하였다. 또 측면 보호대가 환자침대 메트리스 위에 눕히게 되면 측면보호대가 환자이동침대와 환자침대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여 환자이송장치의 안전성을 크게 높여줄 수 장점도 있다.

    삭제

    환자이송장치는 외부 동력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고, 환자에게 최소한의 불편을 주면서, 적은 인원으로 환자를 안전하고 손쉽게 옮길 수 있어야 한다. 또 환자이송장치는 설치 및 조작이 쉬워야 한다.

    별도 부가장치의 복잡한 설치 및 철수과정이 없이 누워있는 환자의 몸을 환자침대(70)로부터 환자이동침대로, 혹은 환자이동침대로부터 환자침대(70)로 이송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자의 몸을 실을 수 있는 상판이동판(10), 상판이동판(10)에 연결되어 상판이동판(10)을 쉽게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이송암 롤러(31)가 부착된 이송암(30), 환자이동침대 프레임(60) 위에 고정되어 이송암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송암하우징(34), 그리고 환자침대 위에 눕혀져서 이송암이 환자침대 위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의 역할을 하는 측면보호대(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판이동판을 옆으로 기울여 환자의 몸을 쉽게 싣거나 내릴 때, 회전 피봇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판이동판에 링크(linkage)(42,43)가 설치할 수 있다.

    환자를 병실에서 진료 및 검사실로 옮기기 위해 환자침대(70)로부터 환자이동침대로 옮겨야 할 경우가 많다. 또 환자이동침대로부터 X레이 촬영기, MRI 촬영기 등 각종 검사장비로 환자를 옮겨야 할 경우도 많다. 그럴 때마다 몸이 불편한 환자를 옮기기가 쉽지 않다. 옮길 때마다 환자에게는 많은 고통이 있고, 또 여러 명의 사람들이 동원되어야 한다. 특히 최근 사람들의 비만이 심해짐에 따라, 큰 몸무게를 가진 환자들의 이송에 매우 큰 불편이 따른다.

    본 발명은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환자 몸을 단순히 옆으로 세움으로서 환자를 환자이동침대에 쉽게 타거나 내릴 수 있게 하기 때문에, 환자에게는 이송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적은 인원으로 환자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환자이송을 위해 별도의 외부 동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별도의 부속장치를 설치하거나 철수하는 과정이 필요 없어 운영하기가 매우 편리하며, 장치가 간단하기 때문에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다.

    삭제

    삭제

    그림 1은 환자이송장치가 설치된 환자이동침대의 개략도를,
    그림 2은 환자침대와 연결된 환자이동침대의 개략도를,
    그림 3은 이송암하우징의 구성도를,
    그림 4는 이송암의 구성도를,
    그림 5는 이송암과 이송암하우징의 조립도를,
    그림 6은 이송암과 링크의 조립도를,
    그림 7은 링크의 작동도를,
    그림 8은 측면보호대와 이송암을,
    그림 9는 측면보호대 위를 움직이는 이송암을,
    그림 10은 환자를 환자이동침대로 싣는 단계를,
    그림 11은 환자를 환자이동침대로부터 내리는 단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림 3, 4,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자이동침대의 상판이동판(10)이 푹신한 메트리스가 있는 환자침대 위를 쉽게 움직이기 위해서 상판이동판 밑에 여러 개의 이송암 롤러(31)가 달린 이송암(transfer arm)(30)을 설치하였다. 이송암(30)은 상판이동판(10)과 직접 연결되거나 중간에 링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판이동판을 움직이게 한다. 또 이송암(30)에 설치된 이송암 롤러(31)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해 줄 수 있도록 이송암하우징(34)이 환자이동침대 프레임(60)에 고정되어 있다.

    여러 개의 이송암 롤러(31)가 설치되어 있는 이송암(30)은 상판이동판(10)에 연결되어 있어 상판이동판(10)을 움직이게 하고, 가이드 레일의 역할을 하는 측면보호대(50)를 지나 이송암(30)이 환자침대 깊숙한 곳까지 이동할 때, 특히 상판이동판에 환자의 몸을 싣거나 내릴 때, 이송암(30)은 이송암 롤러(31)를 서로 연결시켜 한 두 개의 이송암 롤러(31)에 집중되는 힘을 분산시키고, 이송암 하우징(34) 안에서 버팀목의 역할을 하여, 이송암 롤러(31)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고 상판이동판(10)이 손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송암 하우징(34)은 환자이동침대 프레임(60)에 설치되며, 이송암 롤러(31)를 원활하게 움직이게 하고, 이송암 롤러(31)가 이송암 하우징(34)을 지나 측면보호대 위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환자이동침대의 상판이동판(10)에 환자를 싣거나 혹은 내리기 위해 상판이동판(10)이 환자침대 매트리스 위를 움직일 때, 특히 환자의 몸이 상판이동판(10) 실려 있을 경우에는 비록 이송암(30) 밑에 이송암 롤러(31)가 달려 있어도 환자 매트리스 위를 직접 움직이기가 쉽지 않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KR 10-2009-0053325에서 이송암(30) 위를 추가로 움직일 수 있는 활차를 고안하였다.

    그러나 상판이동판(10)을 환자침대 위를 쉽게 움직이게 하기 위한 더 좋은 방법은 활차 등을 이용한 간접적인 방법보다는 이송암(30) 자체가 환자침대 위를 손쉽게 움직이게 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환자이동침대에 있는 측면보호대(50)를 환자침대(70) 매트리스 위에 눕혀, 상판이동판(10)과 연결된 이송암(30)이 환자침대 위를 움직일 때 환자침대 매트리스 대신에 측면보호대(50) 위로 움직이게 하여, 환자의 몸이 실린 상판이동판(10)이 환자침대 위로 손쉽게 움직이게 하였다.

    그림 1과 2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면보호대(50)는 가이드 레일의 역할을 하기 위해 이송암이 이동하는 부분의 길이가 약간 긴 것 이외는 일반적인 측면보호대와 구성이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또 이송암 스토퍼(32)가 이송암하우징 스토퍼(36)와 만나기 전까지는 이송암(30)은 측면보호대(50)를 지나 환자침대 깊숙한 곳까지 아무런 장애 없이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철수될 수 있다. 또 이송암 하우징(34)은 이송암 롤러(31)가 이송암 하우징(34)을 지나 측면보호대(50) 위를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어 이송암의 움직임이 매우 원활하다.
    본 발명의 측면보호대(50)는 이송암(30)이 환자침대 매트리스 위로 손쉽게 움직이게 하는 가이드 레일의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환자이동침대와 환자침대를 서로 연결하여 상판이동판(10)이 환자침대 위로 움직일 때 무게 중심의 이동으로 인해 환자이송침대가 넘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안전장치의 역할도 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환자의 몸을 싣거나 혹은 내리기 위해 별도의 가이드 레일 장치를 설치하거나 철수하는 과정이 필요 없다. 상판이동판(10)이 움직일 때 상판이동판에 고정된 이송암(30)이 이송암 롤러(31)를 통하여 이송암하우징(34)과 환자침대 위에 설치된 측면보호대(50)를 가이드레일로 활용하여 매우 쉽게 움직일 수 있다. US 7,000,268은 이송암 이동을 위한 별도의 가이드 레일 장치를 구성하여 이를 설치하거나 철수하는 복잡한 과정이 요구되었지만,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아무런 추가 장치가 없는 기존의 측면보호대를 그대로 활용하여 가이드 레일로 활용하였다.

    환자의 몸을 손쉽게 싣거나 내리기 위해 상판이동판(10)을 기울여 세울 필요가 있을 때 그림 6,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판이동판(10)과 이송암(30) 사이에 링크(linkage)(42, 43)를 설치하면, 상판이동판(10)이 기울어질 때 링크는 회전 피봇 역할을 한다. 환자를 환자이동침대에 싣기 위해 상판이동판(10)을 환자 쪽으로 이동하면, 환자는 누운 채로 등을 세운다. 이때 상판이동판(10)을 환자의 등 쪽으로 같이 세우면 환자는 등을 상판이동판에 기대고, 상판이동판을 누이면 환자의 몸은 자연스럽게 상판이동판에 눕히게 된다. 또 환자의 몸을 환자이동침대로부터 내릴 때는 상판이동판(10)을 환자침대(70) 쪽으로 이동하여 상판이동판(10)을 기울임으로서 환자의 몸이 자연스럽게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그림 7에서 상판이동판(10)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의 상부 링크(42)의 길이가 하부 링크(43)의 길이보다 길면, 상판이동판(10)이 기울어질 때 상부 링크(42)에 연결된 회전 피봇 지점이 상판이동판(10) 중심점으로부터 좀 더 바깥쪽으로 옮겨 지게 된다. 상판이동판(10)의 피봇 지점이 상판이동판(10) 중심점으로부터 좀 더 바깥쪽으로 옮겨지면, 피봇 지점이 환자 몸의 무게 중심보다 더 멀어져, 환자가 몸을 상판이동판(10)에 기댈 때 상판이동판(10)은 자연스럽게 환자이동침대 위에 놓이게 된다.

    그림 8과 9에는 이송암(30)이 측면보호대(50) 위를 움직여서 상판이동판(10)이 세워질 때의 이송암(30)과 이송암하우징(34), 그리고 측면보호대(50)의 모습이 보여져 있다.

    환자를 환자이동침대에 싣고 내리는 과정이 그림 10, 11에 나와 있다. 우선 환자침대로부터 환자이동침대에 환자를 싣기 위해 그림 10-a와 같이 환자이동침대를 환자침대 옆에 붙인 다음, 그림 10-b와 같이 우선 환자이동침대의 측면보호대(50)를 환자침대(70) 위에 눕힌다. 그림 10-c와 같이 상판이동판(10)은 이송암을 통해 이송암하우징(34)과 측면보호대(50) 위를 손쉽게 움직일 수 있다. 환자를 환자이동침대로 싣기 위하여 그림 10-d와 같이 환자가 등을 세우면 그림 10-e와 같이 상판이동판을 환자 쪽으로 가까이 이동하여 세우면 환자는 등을 상판이동판에 기댄다. 이때 상판이동판을 그림 10-f와 같이 눕히면 환자의 몸은 자연스럽게 상판이동판(10)에 눕히게 되고, 상판이동판(10)을 환자이동침대 쪽으로 밀면, 상판이동판(10)에 연결된 이송암은 그림 10-f와 같이 측면보호대(50) 위를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판이동판(10)은 이송암 롤러(31)를 통해 측면보호대(50)와 이송암하우징(34) 위를 움직이기 때문에 상판이동판(10)을 움직이는 데 많은 힘이 필요 없다. 그림 10-g와 같이 환자의 몸이 완전히 환자이동침대로 옮겨지면 그림 10-h와 같이 측면보호대를 세우면 된다.

    또 환자의 몸이 일단 환자이동침대에 완전히 올라가고 난 다음 환자이동침대를 움직이기 이전에 환자이동침대 양쪽에 있는 측면보호대(50)를 그림 10-h와 같이 세워서 상판이동판(10)의 움직임을 고정시켜야 한다. 측면보호대(50)는 환자를 이동할 때 환자의 몸이 환자이동침대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판이동판(10)과 이송암(30)의 움직임을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환자를 환자이동침대로부터 환자침대로 내릴 때는 그림 11-a와 같이 환자이동침대를 환자침대 옆으로 붙인 다음, 그림 11-b와 같이 환자이동침대의 측면보호대(50)를 환자침대위에 먼저 눕힌다. 그림 11-c와 같이 환자의 몸이 실린 상판이동판(10)을 환자침대 쪽으로 밀면, 상판이동판(10)은 이송암을 통하여 이송암하우징(34)과 측면보호대(50)위를 움직여서 환자침대 쪽으로 이동한다. 그림 11-d와 같이 링크(42, 43)가 연결된 상판이동판(10)을 환자침대 쪽으로 기울이면 환자의 무게 중심이 쏠리면서 그림 11-e와 같이 자연스럽게 환자의 몸이 환자침대 쪽으로 미끄러져 내려오게 된다. 환자의 몸이 환자침대 쪽으로 내려오고 나면, 그림 11-f와 11-g와 같이 다시 상판이동판(10)을 환자이동침대 쪽으로 밀면 손쉽게 철수된다.

    본 발명에서 환자이송장치의 상판이동판(10)과 이송암(30)은 환자이동침대의 좌우 양방향으로 모두 움직일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환자를 환자침대로부터 환자이동침대로 옮길 때나, 혹은 환자이동침대로부터 환자침대로 옮길 때, 환자이동침대의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환자 몸의 무게 중심이 이동하기 때문에 환자이동침대가 넘어지지 않도록 막아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환자를 환자이동침대로 옮겨 싣거나 내리기 위해 환자이동침대가 환자침대 옆으로 접근한 후, 바퀴 잠금장치를 통해 그림 8의 환자이동침대 바퀴(62)를 고정하는 것이 우선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환자이동침대의 측면보호대(50)가 환자침대 위에 눕혀져서 환자 몸을 이송하는 과정 중에 환자이동침대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의 역할을 한다.

    이 발명의 가장 큰 장점은 이송암(30) 이동을 위한 가이드 레일 등의 부속장치를 별도로 설치하거나 철수하는 과정이 필요 없다는 데 있다. 다만 가이드 레일의 역할을 하는 측면보호대를 그림 10과 같이 환자침대 위에 눕힌 다음, 상판이동판(10)을 환자이동침대 쪽에서 환자 쪽으로 밀어서 환자를 상판이동판(10)에 싣고 난 후, 상판이동판(10)을 다시 환자이동침대 쪽으로 밀면,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손쉽게 환자를 환자이동침대에 실을 수 있다는데 있다. 또 환자를 환자이동침대로부터 환자침대로 내리기 위해서도 부속장치를 별도로 설치하거나 철수하는 과정이 필요 없이 그림 11과 같이 측면보호대를 환자침대 위에 눕혀 상판이동판(10)을 환자침대 쪽으로 밀어서 환자를 내리고 상판이동판을 환자이동침대 쪽으로 다시 밀면, 역시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환자를 환자이동침대로부터 환자침대로 내릴 수 있다.

    그림 1, 8, 9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송암하우징(34)은 환자이동침대 프레임(60)에 설치되어 있다. 이송암하우징(34)이 설치된 환자이동장치 프레임(60)은 조인트 등을 통해 필요에 따라서는 상판이동판 가동부(11)를 세우게 할 수 있다. 환자이동침대에서 오랫동안 환자가 기다려야 할 때, 상판이동판 가동부(11)를 세워서 환자는 좀 더 편하게 누워 있을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