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것

申请号 KR1020177012377 申请日 2015-10-07 公开(公告)号 KR1020170065652A 公开(公告)日 2017-06-13
申请人 티쎈크로프 마리네 지스템스 게엠베하;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发明人 슐뢰써카이; 비리히로베르트; 마이어카르슈텐;
摘要 본발명은말려질수 있고, 들것의길이방향으로사람을어태칭하기위한적어도 2 개의띠들을포함하는들것 (10) 에관한것이다. 들것의길이방향으로사람을어태칭하기위한띠들은, 띠들이들것에서사람의어깨를수용하도록설계된제 1 영역위에서고정되도록배열된다. 들것은들것의길이방향으로조절할수 있는바닥횡방향부재를또한포함한다. 들것에는사람의목을수용하도록설계된제 2 영역에서펼침가능한부양디바이스 (50) 가고정된다. 펼침가능한부양디바이스 (50) 는관형구성을가지며, 제 2 영역에서, 길이방향으로사람을어태칭하기위한띠들에연결된다.
权利要求
  • 들것 (10) 으로서,
    상기 들것 (10) 은 말려질 수 있고 (rolled up), 상기 들것 (10) 은 상기 들것 (10) 의 길이방향으로 사람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2 개의 띠들을 포함하고, 상기 들것 (10) 의 길이방향으로 사람을 고정하기 위한 상기 띠들은 상기 띠들이 제 1 영역 위에서 체결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들것 (10) 에서 사람의 어깨를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들것 (10) 에는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 (50) 가 장착되고, 상기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 (50) 는 상기 들것 (10) 에서 제 2 영역에 체결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사람의 목을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 (50) 는 관형 구성을 갖고, 상기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 (50) 는,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사람을 고정하기 위한 상기 띠들에 연결되고, 상기 부양 디바이스 (50) 는, 상기 부양 디바이스 (50) 가 상기 들것 (10) 에 누워 있는 사람에 대해 직접 놓이도록 배열되는, 들것 (1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들것 (10) 은 족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족부 플레이트는 상기 들것의 길이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0).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들것 (10) 은 봉 형상 또는 판 형상의 강성 요소들 (76) 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 요소들 (76) 은 상기 들것 (10) 의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0).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형의 상기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 (50) 는 상기 들것 (10) 에 누워 있는 사람의 흉부 앞에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0).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들것 (10) 은 두부 단부 및 족부 단부에서 손잡이들 (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0).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들것 (10) 은 사람을 고정하기 위한 횡방향 벨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0).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 (50) 는 흉부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흉부 벨트는 상기 들것 (10) 의 횡방향 벨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0).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 (50) 는 펼침 상태에서 4면형 부양체들을 상기 들것 (10) 에 누워 있는 사람의 흉부 영역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0).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들것 (10) 은 상기 들것 (10) 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루프들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들은 상기 들것 (10) 의 횡방향으로 중앙에 배열되고, 상기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 (50) 는 벨크로-타입 클로저 피스에 의해 루프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0).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 (50) 는 물과의 접촉시에 자가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0).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 (50) 는 제 1 섹터 및 제 2 섹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터는 펼침 동안에 먼저 펼쳐지고, 상기 제 2 섹터는 그에 후속하여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0).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들것 (10) 은 길이방향으로 말려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0).
  • 제 12 항에 있어서,
    말려진 들것 (10) 은 백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0).
  • 선박으로부터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들것 (10) 의 용도.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잠수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0) 의 용도.
  • 说明书全文

    들것{STRETCHER}

    본 발명은 공간 제한 구역으로부터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특히 바다에서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들것에 관한 것이다.

    많은 들것들이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들것은 일반적으로 강성을 들것에 부여하는 베이슨 (basin) 또는 바아들의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런 식으로, 사람은 들것에 쉽게 놓일 수 있고 안정된 자세로 운반될 수 있다. 그러나, 제한된 환경에서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2m 이상이고 폭이 50cm 이상인 고정된 들것을 보관하고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선박, 예를 들어 특히 군함에서는, 흔히 공간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기존의 들것은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유연한 들것들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천처럼 설계되어 있어서 유연하다. 이들은 단단히 묶을 수 있어서, 특히 말을 수 있어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이러한 종류의 들것들은 예를 들어 산악 구조에서 사용된다. 사람을 운반하기 위해서, 이들은, 사람이 들것에서 안정되도록, 구조될 사람의 반쪽으로 길이방향으로 말릴 수 있다. 이를 위해, 들것은 예를 들어 사람의 흉부, 복부 및 다리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일련의 횡방향 벨트들로 고정된다. 이러한 들것은 일반적으로 각각 어깨 영역, 중간 및 발 끝에서 6 개의 손잡이를 포함한다 (우측에 3 개, 좌측에 3 개). 이런 식으로, 6 명의 구조자들이 들것으로 쉽게 사람을 옮길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구조자들이 들것의 좌우에서 서있을 여유가 있어야 한다.

    선박으로부터, 특히 잠수함으로부터 사람을 구조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이 사람을 신속하게 대피시켜야 한다. 이러한 사람은 일반적으로 헬리콥터에 의해 적절한 의료 시설을 갖춘 다른 선박이나 육지에 있는 병원으로 대피된다. 이를 위해서는, 선박에 탑승한 사람을 헬리콥터에 탑승시켜야 한다. 헬리콥터 착륙 장치가 없는 선박의 경우, 예를 들어 잠수함의 경우에는, 사람을 로프 윈치로 대피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적으로 제한된 환경으로부터, 특히 바다에서 사람을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게 하는 들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사람의 안전을 보장하고 이 사람을 가능한한 안정시켜서 더 이상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들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들것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 하기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은 말려질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들것은 좁은 공간, 예를 들어 벌크 헤드를 통해 운반될 수 있다. 들것은 들것의 길이방향으로 사람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2 개의 띠들을 포함한다. 들것의 길이방향으로 사람을 고정하기 위한 띠들은 제 1 영역 위에서 띠들이 체결되도록 배치되며, 제 1 영역은 들것에서 사람의 어깨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띠들은 운반 중에 사람이 들것에서 들것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으로, 미끄러짐이 발생하게 되면, 특히 척추 손상이 있거나 의심되는 경우에 또 다른 상해를 입힐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사람이 미끄러지면 들것에서의 체중 분포가 변화되어, 마찬가지로 사람 및 가능하게는 구조자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가 들것에 장착된다.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는, 펼쳐진 상태에서, 사람이 익사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부력을 발생시킨다.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의 예로는 팽창식 구명 조끼, 팽창식 부력체 또는 펼침가능한 구명 뗏목이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 펼침은 부풀림 또는 공기 흡입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는 들것의 제 2 영역에 체결되고, 제 2 영역은 사람의 목을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는 아직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관형 구성이다. 이는,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가 들것에 쉽게 통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관형의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는 유리하게는 사람이 부양 디바이스 상에서 다소 중앙에 목이 놓이도록 배열된다. 이는 사람이 구명 조끼를 추가적으로 장착할 필요가 없다는 큰 이점을 갖는데, 이는 사람이 가능하게는 자궁 경부 부위에 상해를 입어 적절한 목 지지대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끔 불가능하다. 제 2 영역에서, 가능하게는 제 3 영역에서, 제 3 영역은 어깨를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는 길이방향으로 사람을 고정하기 위한 띠들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람의 머리 영역에 부양 디바이스를 고정 위치결정하는 것이 구조중에 필요시되는 부가적인 핸들링 조작없이 그리고 사람에 대한 부가적인 부담없이 보장되며, 결과적으로 건강 상태의 추가적인 손상이 최소로 감소된다. 부양 디바이스는, 부양 디바이스가 들것에 누워있는 사람에 대해 직접 놓이도록 배치된다. 이는, 길이방향으로 사람을 고정하기 위한 띠들이 사람에 대해 놓이고, 길이방향으로 사람을 고정하기 위한 띠들에 부양 디바이스가 연결된다는 사실에 의해 보장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관형은 임의의 가늘고 이동가능한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관형은 또한 내부가 중공형이 아니거나 중공형인 형상을 명시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은 사람을 운반할 뿐만 아니라 사람을 수용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람 구조와 이어지는 운반 사이에서 예를 들어 헬리콥터와 같은 구조 차량의 도착을 기다리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는 수용이 필요할 수 있다. 부상당한 사람을 수용하는 것은 그 자체로 잠수함에서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잠수함에 탑승시, 부상당한 사람은 대개 식당의 식탁에 올려 놓아지고 높이가 약 3cm 인 목재 스파에 있게 된다. 부상당한 사람은 잠수함의 롤링시에 떨어질 수도 있다. 사람이 본 발명에 따른 들것으로 구조된 후에, 사람은 들것에 머무를 수 있으므로 식당에 안전하게 수용될 수, 예를 들어 필요시에 보살핌을 받을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선박 룸, 예를 들어 식당의 천장, 비아 로프 또는 다른 체결 수단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들것은 다른 강성의 들것에 통합될 수 있다. 구급차 또는 헬리콥터와 같은 구조 차량은 일반적으로 강성의 들것을 포함한다. 이 강성의 들것은 들것을 안전하게 구조 차량에 연결하기 위해 필요하다. 강성의 들것은, 특히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를 포함할 필요가 없으며 일반적으로 이것을 포함하지 않는 통상의 강성의 들것이다. 들것에 있는 사람이 이동에 의해 가능한 적은 불편을 받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들것에 따르면 사람이 강성의 들것 위에 올려 놓아지고 거기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은 바람직하게는 들것을 강성의 들것에 고정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들것은 족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족부 플레이트는 들것의 길이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족부 플레이트는, 특히 들것이 경사지에서 사용되거나 수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사람을 들것에 추가로 안정화시키는데 적합하다. 이는, 예를 들어 사람이 잠수함의 포탑을 통과하여 대피된 다음에 헬리콥터에 의해 픽업될 때에 유리하다. 띠들 이외에, 족부 플레이트는 들것에서의 사람의 안정화를 보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들것은 봉 형상 또는 판 형상의 강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강성 요소들은 들것의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향한다. 이 실시형태의 장점은, 한편으로는 들것이 길이방향으로 매우 쉽게 말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강성 요소들은 들것이 사람에 대해 횡방향으로 말려져 사람을 안정화시키자마자 길이방향으로 말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수직 운반의 경우 또는 로프에서의 운반의 경우에, 예를 들어 호버링 헬리콥터로 들어올리는 때에, 이는 사람의 자세를 안정화시킨다. 사람이 들것에서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수록, 사람의 건강 상태가 더 악화될 확률이 더 줄어든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관형의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의 단부들은 사람의 흉부의 전방에서 연결가능하다.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는 길이방향으로 사람을 고정하기 위한 띠들에 제 2 영역에서 연결되기 때문에, 단부들은 들것에 누워 있는 사람의 흉부 영역 또는 복부 영역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단부들은, 사람이 추가적인 스트레스를 받는 일이 없이, 예를 들어 클릭 클로저 또는 카라비너 (carabiner) 에 의해, 서로 쉽게 연결될 수 있다. 부양 디바이스의 펼침 상태에서의 작용은 연결에 의해 향상되고, 부력은 특히 사람의 머리 부분에서 최적화된다. 이런 식으로 익사가 가장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들것은 두부 단부 및 족부 단부에서 손잡이들을 포함한다. 들것은 들것에 고정된 사람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충분히 안정되어서, 들것에 고정된 사람은 2명 (두부 단부에 1명, 그리고 족부 단부에 1명) 에 의해 옮겨질 수 있다. 이것은 들것이 6 명의 구조자에 의해 운반되는 종래의 방식과 비교하여 불리할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들것 옆에 누군가를 위한 여지가 없는 공간적으로 제한된 구역에서 사람을 운반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좁은 공간에서, 들것은 단 한 사람만에 의해 땅바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들것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강성 요소들을 또한 포함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방식으로 사람이 단지 한 사람에 의해 당겨졌을 때 조차도 안정화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들것은 사람을 고정하기 위한 횡방향 벨트들을 포함한다. 들것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 개의 횡방향 벨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개의 횡방향 벨트를 갖는다. 횡방향 벨트들은 벨트 자체가 들것을 사람 주위에서 말을 수 있도록 배열된다. 횡방향 벨트들은, 사람의 크기와 관계없이 사람이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가변적이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는 펼침 상태에서 4면형 부양체들을 들것에 누워 있는 사람의 흉부 영역에 포함한다. 특히, 흉부 벨트는 부양 디바이스가 펼침 상태에서 물과 접촉할 때에 위치를 변경하는 상황, 특히 사람의 머리 위로 미끄러지는 것을 신뢰성있게 방지한다. 추가 흉부 벨트를 추가로 조이면 환자에게 추가적인 부담이 된다. 따라서, 흉부 벨트는 횡방향 벨트에 연결된다. 이런 식으로, 사람에 대한 전반적인 부담이 최소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는 펼침 상태에서 4면형 부양체들을 들것에 누워 있는 사람의 흉부 영역에 포함한다. 사면형 부양체들은 구명 조끼의 영역에서 특히 안전한 것으로 입증되었고, 아주 작은 파도가 들것에 있는 사람의 머리 위를 씻을 수 있는 상황을 회피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들것은 들것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루프들을 포함한다. 이 루프들은 들것의 횡방향으로 중앙에 배열된다.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는 벨크로-타입 폐쇄 피스에 의해 루프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특히 크거나 특히 작은 사람이 들것에 놓이기 전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는 물과의 접촉시에 자가적으로 펼쳐진다. 구조될 사람은 통상적으로 물과 접촉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기 때문에, 들것에 사람을 고정시킨 후에 부양 디바이스를 펼치는 것은 필요한 것이 아니라 방해가 된다. 그러나, 사람이 고정되고 가능하게는 의식을 잃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람이 예기치 않게 물에 닿자마자 사람이 부양 디바이스를 펼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자동 펼침 중에, 사람은 건강 상태의 악화를 유발할 수도 있는 힘을 받게 되지만, 사실상 그 사람의 익사는 어떤일이 있어도 회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는 제 1 섹터 및 제 2 섹터를 포함하고, 제 1 섹터는 펼침 동안에 먼저 펼쳐지고, 제 2 섹터는 그에 후속하여 펼쳐진다. 예를 들어, 사람의 우측에 있는 섹터가 먼저 펼쳐지고 사람의 좌측에 있는 섹터가 그후에 펼쳐진다. 이 실시형태의 이점은, 사람이 반듯이 누운 자세에 있고 따라서 사람의 얼굴이 위로 향하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들것은 길이방향으로 말려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팩트한 패키지가 가능해지고, 들것은 비상시에 신속하게 풀려서 사용할 준비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말려진 들것은 백팩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들것은 말려진 상태로 쉽게 운반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선박으로부터 구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특히 잠수함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동굴에서 구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동굴, 특히 자연 동굴은 종종 제한적이며 때로는 물로 채워진 지역을 포함한다. 따라서, 동굴에서 사람을 구조하는 것은 종종 매우 어렵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을 도면들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들것의 개략적인 후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들것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AA 를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들것 (10) 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들것 (10) 은 벨트 띠 (20) 로 구성된 손잡이들을 가지며, 이들 손잡이들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튜브, 특히 바람직하게는 직포 튜브를 통해 손잡이 영역에서 작동한다. 손잡이 영역에 있는 튜브의 장점은 둥근 모양의 튜브이며, 이에 의하면 벨트가 구조자의 손에 점상의 하중을 가하는 일이 없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파지될 수 있다. 벨트 띠 (22) 는 들것 (10) 상에 재봉된다. 재봉은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형태이다. 벨트는 들것의 중간을 향하는 측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두 개의 다른 단부들은 연속 벨트 띠에 다소 중앙에서 만나서 거기에서 재봉되도록 들것 (10) 상에 재봉된다. 이는, 벨트를 통해 손잡이 (20) 로부터 들것 (10) 으로의 힘의 특히 효율적인 전달을 보장하고, 벨트 띠 (20) 로 이루어진 손잡이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들것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사람의 흉부 영역을 수용하기 위한 영역에서 들것에는 또 다른 벨트 띠가 재봉되는데, 이는 버클 (30) 을 포함한다. 사람이 들것 (10) 상에 배치될 때, 버클들 (30) 은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들것 (10) 은 사람 주위에서 측방향으로 말려지며, 그럼으로써 사람을 안정화시킨다.

    도 2 는 들것 (10) 을 개략적인 평면도로 도시한다.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 (50) 는 들것 (10) 상에 장착되어, 조절가능한 체결구 (54) 및 체결 탭 (40) 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방식으로 들것 (10) 에 연결된다. 조절가능한 체결구 (54) 는 예를 들어 벨크로 테이프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의 위치가 들것 (10) 상에 놓여질 사람의 높이에 쉽고 신속하게 적응될 수 있다. 클로저 피스 (52) 에 의해,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 (50) 는 들것 (10) 상에 놓여진 사람의 흉부 전방에서 폐쇄되어 올바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 (50) 는 마찬가지로 버클 (30) 을 통해 들것 (10) 에 연결되고, 버클 (30) 상의 벨트 띠 (56) 는 들것 (10) 에 누워 있는 사람의 흉부 둘레에 길이를 적응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들것 (10) 은 2 개의 어깨 벨트 (60) 를 포함하는데, 도면에는 하나의 어깨 벨트 (60) 의 일부만이 도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어깨 벨트 (60) 는 들것의 길이방향으로 사람을 고정하기 위한 띠이다. 어깨 벨트 (60) 는 시임 (58) 에서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 (50) 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들것 (10) 에 누워 있는 사람이 어깨 벨트 (60) 에 의해 들것 (10) 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므로,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 (50) 의 정확한 위치가 보장된다.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 (10) 는 관형 구성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들것 (10) 상에서 U 형상으로 체결된다.

    도 3 은 도 3 에 따른 라인 AA 를 따른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들것 (10) 은 상부층 (70) 및 하부층 (78) 을 갖는다. 상부층 (70) 은 쉽게 세척될 수 있는 방식으로 가공되는데, 그 이유는 부상을 입은 사람이 들것 (10) 의 사용 중에 상부층 (70) 에 놓이기 때문이다. 하부층 (78) 은 특히 찢어짐에 강한데, 그 이유는 하부층 (78) 은 특히 한정된 영역에서는 운반 중에 지면에서 끌려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상부층 (70) 및 하부층 (78) 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이 재료는 두 가지 요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상부층 (70) 과 하부층 (78) 사이에는 내부 포켓 (74) 이 있다. 내부 포켓 (74) 과 하부층 (78) 사이에는 강성 요소 (76) 가 있다. 강성 요소 (76) 는 예를 들어 두께가 0.2 내지 10 mm 인 플라스틱 시트이다. 강성 요소 (76) 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모든 벨트 띠들 (72) 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부층 (70) 과 내부 포켓 (74) 사이에 재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층 (70) 상에 있지 않고 (여기서는 들것 (10) 상에 누워 있는 사람이 불편할 수 있고 상부층 (70) 의 세척을 어렵게 할 수 있음) 하부층 (78) 상에도 있지 않는 벨트 띠들 (72) 의 라우팅 (routing) 이 가능하고, 그 결과, 들것 (10) 을 지면을 통해 또는 특히 벌크헤드를 통해 당기는 것이 어렵지 않게 된다. 또한, 이는 벨트 띠 (72) 와 들것 (10) 사이에서의 특히 효율적인 힘 전달을 허용한다.

    10: 들것
    20: 벨트 띠로 구성된 손잡이
    22: 재봉된 벨트 띠
    30: 버클
    40: 체결 탭
    50: 펼침가능한 부양 디바이스
    52: 클로저 피스
    54: 조절가능한 체결구
    56: 벨트 띠
    58: 시임
    60: 어깨 벨트
    70: 상부층
    72: 벨트 띠
    74: 내부 포켓
    76: 강성 요소
    78: 하부층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