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申请号 KR1020077002203 申请日 2005-06-30 公开(公告)号 KR1020070057777A 公开(公告)日 2007-06-07
申请人 페르노-와싱턴, 인코포레이티드.; 发明人 보우르그래프엘로이이.; 친로버트씨.; 폴록이빈디.; 서톤워렌데일시니어.;
摘要 A combination cot loading and fastening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an ambulance cot having a normal loading height of about 76 centimeters (about 30 inches) into an emergency rescue vehicle having a transport deck in excess of 78 centimeters (about 31 inches), the vehicle having an opening providing access to the transport deck, is disclosed. The system comprises a pair of tracks, a shuttle assembly to securely pull the ambulance cot along the pair of tracks, and a locking mechanism mounted on the shuttle assembly. The shuttle assembly is configured to position the locking mechanism a distance away from a second end of the pair of tracks and at angle below the transport deck of the emergency rescue vehicle, the angle ranging from about 10° to 25°, and the distance ranging about 22.8 centimeters (about 9 inches) to about 50 centimeters (about 20 inches).
权利要求
  • 수송 데크에 대한 억세스를 제공하는 개구를 가지고, 78cm(약 31in)을 초과하는 수송 데크를 가지는 응급 구조 차량내로 약 76cm(약 30in)의 정상 적재 높이를 가지는 구급차 침대를 싣고 내리기 위한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으로서,
    응급 차량의 수송 데크에 장착가능하면서, 제1 및 제2 단부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연장하는 종방향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트랙으로서, 제2 단부는 차량의 개구에 인접하게, 그러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랙은 대향 채널을 구비하는 한 쌍의 트랙,
    상기 트랙 쌍의 대향 채널내에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트랙 쌍을 따라 구급 침대를 안전하게 당기도록 구성된 셔틀 조립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연장하는 종방향 본체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셔틀 조립체, 및
    상기 셔틀 조립체상에 장착되고, 구급차 침대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셔틀 조립체는 로킹 메커니즘을 트랙 쌍의 제2 단부로부터 떨어진 거리에서 그리고 그 응급 구조 차량의 수송 데크 아래에서 소정 각도로 배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도는 약 10° 내지 약 25°이고, 상기 거리는 약 22.8cm(약 9in) 내 지 약 50cm(약 20in)인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78cm(약 31in)을 초과하는 수송 데크를 가지는 응급 구조 차량에 설치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쌍은 제2 단부에서 하향 경사진 곡선형 상부 및 하부 표면부를 제공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조립체는 종방향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트랙 쌍내에서 구르도록 수용된 롤러를 구비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조립체는 종방향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트랙 쌍내에서 구르도록 수용된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는 종방향 본체의 길이를 따라 조절가능한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종방향 본체는 내부 트랙의 상부 및 하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로킹 메커니즘은 내부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내부 트랙과 결합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종방향 본체는 내부 트랙의 상부 및 하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로킹 메커니즘은 내부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내부 트랙과 결합하며,
    셔틀 조립체는 트랙 쌍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각도 및 상기 거리로 연장하는 내부 트랙의 부분을 갖도록 구성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조립체는 제1 및 제2 안전 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전 포획부는 제1 단부를 조절하는 로킹 메커니즘을 해제가능하게 로크하도록 구성되고, 제2 안전 포획부는 그로부터 소정 상대 거리에서 로킹 메커니즘을 해제가능하게 로크하도록 구성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 프레임이고, 상기 셔틀 조립체는 제1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2 프레임 상에 장착된 제1 및 제2 안전 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전 포획부는 제2 프레임의 제1 단부에 인접한 로킹 메커니즘을 해제가능하게 로크하도록 구성되고, 제2 안전 포획부는 그로부터 소정 상대 거리에서 로킹 메커니즘을 해제가능하게 로크하도록 구성되며, 제2 안전 포획부는 제2 프레임의 길이를 따라 조절가능한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메커니즘은 셔틀 조립체 상에서 높이 조절가능한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로킹 메커니즘은 구급차 침대의 적재 단부의 견부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조오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구급차 침대의 추종 단부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제2 단부에 인접하게 장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연장가능한 경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트랙 쌍을 따라 동력하에 셔틀 조립체를 전이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동작하는 콘트롤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로킹 메커니즘은 추종 단부에서 침대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셔틀 조립체는 구급차 침대의 종방향 측부를 따라 결합하도록 구성된 유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조립체는 로킹 메커니즘을 경유하여 구급차 침 대에 대한 하나의 부착점을 제공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조립체는 구급차 침대에 대한 세 개의 부착점을 제공하고, 상기 세 개의 부착점 중 하나는 상기 로킹 메커니즘인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트랙 쌍 각각에 제공된 적어도 한 쌍의 롤러인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조립체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종방향 본체를 구비하는 운반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셔틀 조립체는 또한 두 쌍의 안정화기 바아, 한 쌍의 리프팅 실린더 및 세 개의 부착점 중 하나로서 상기 로킹 장치를 장착하는 3 지점 부착 요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조립체는 세 개의 부착점 중 하나로서 상기 로킹 장치를 장착하는 3 지점 부착 요크 조립체와,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종방향 본체상에 장착된 한 쌍의 직립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직립 지지부는 한 쌍의 안정화기 바아 및 리프팅 실린더를 각각 피봇가능하게 장착하며, 각 직립 지지부의 상기 안정화기 바아는 상기 셔틀 조립체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며,
    직립 지지부의 쌍의 상기 리프팅 실린더는 요크 조립체를 리프팅하도록 구성 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조립체는 세 개의 부착점 중 하나로서 상기 로킹 장치를 장착하는 3 지점 부착 요크 조립체와,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종방향 본체상에 장착된 한 쌍의 직립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직립 지지부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안정화기 바아와 그 사이에 장착된 리프팅 실린더를 각각 피봇가능하게 장착하며, 각 직립 지지부의 상기 상부 및 하부 안정화기 바아는 상기 셔틀 조립체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며,
    각 리프팅 실린더는 하부 안정화기 바아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고, 요크 조립체를 리프팅하도록 구성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조립체는 세 개의 부착점 중 하나로서 상기 로킹 장치를 장착하는 3 지점 부착 요크 조립체와,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종방향 본체상에 장착된 한 쌍의 직립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직립 지지부는 한 쌍의 안정화기 바아 및 리프팅 실린더를 각각 피봇가능하게 장착하며, 각 직립 지지부의 상기 안정화기 바아는 상기 셔틀 조립체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며,
    직립 지지부의 쌍의 상기 리프팅 실린더는 요크 조립체를 리프팅하도록 구성되고,
    직립 지지부는 차량 개구 내측에 잔류하고, 그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지 않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조립체는 두 쌍의 안정화기 바아, 한 쌍의 리프팅 실린더 및 요크 조립체를 포함하고,
    요크 조립체는 헤드 프레임에 장착되며 별개인 두 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프레임은 전방 단부에서 구급차 침대에 대한 제1 부착점을 제공하도록 상기 로킹 메커니즘을 장착하며, 상기 평행한 아암은 그 측부상에서 구급차 침대에 대한 두 개의 추가 부착점을 제공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조립체는 두 쌍의 안정화기 바아, 한 쌍의 리프팅 실린더 및 요크 조립체를 포함하고,
    요크 조립체는 헤드 프레임에 장착되며 별개인 두 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프레임은 전방 단부에서 구급차 침대에 대한 제1 부착점을 제공하도록 상기 로킹 메커니즘을 장착하며, 상기 평행한 아암은 구급차 침대에 대한 두 개의 추가 부착점을 제공하도록 구급차 침대의 측부 연장 아암과 결합하기 위한 유지부를 제공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 说明书全文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COMBINATION COT LOADING AND FASTENING SYSTEM}

    본 발명은 환자 수송 장치, 예로서, 구급차 침대, 들것, 카트, 인큐베이터 수송기 및 기타 유사 환자 수송 장치를 응급 구조 차량 내에 안전하게 적재하고 안전하게 수송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78cm(약 31in)을 초과하는 수송 데크(transport deck)를 가지는 응급 구조 차량 내로의 환자 수송 장치를 안전하게 싣고 내릴 수 있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과, 본 발명의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을 가지는 응급 구조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응급 구조 인력(예로서, 의료보조원)은 현저한 무릎 굽힘, 허리 굽힘 및 무거운 짐들기를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허리 부상의 위험이 증가된다. 예로서, 응급 구조 차량(예로서, 구급차)내로 싣고 내리는 동안, 구급차 침대 같은 종래의, 완전 수동식, 바퀴형 환자 수송 장치의 전체 중량을 두 명의 응급 구조 인력이 지탱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과도한 수동 리프팅(lifting) 작업이다. 종종, 이런 구급차 침대와 환자의 조합된 중량은 136kg(약 300lbs)를 초과한다.

    상기 문제점은 보다 비용 효율적인 절차 및 부품을 사용하기 위한 노력에서, 응급 구조 차량 제조자들이 새로운 응급 구조 차량(즉, 구급차) 디자인을 상업적으 로 가용한 트럭 새시에 기초하여 행함으로서 심화된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트럭 새시는 약 76cm(약 30in)의 종래의 적재 높이 보다 약 10cm(약 4in) 증가한 86cm(약 34in)를 초과하는 적재 공간(loading bay)/수송 데크 높이를 제공한다. 환자 및 응급 구조 인력 양자 모두의 부상 위험을 증가시키는 이런 적재 공간/수송 데크 높이에 부가하여, 이런 적재 공간 수송 높이는 응급 구조 차량내로의 용이하고 안전한 적재할 수 있는 구급차 침대 디자인의 한계를 연장시킨다.

    예로서, 응급 구조 인력(일반적으로는 두 명)은 이런 증가된 적재 높이로 구급차 침대를 들어올리는 데 증가된 인체공학적 문제를 겪는다. 재설계된 구급차 침대는 구급차 침대의 적재 바퀴를 종래의 트럭 새시 기반 차량의 보다 높은 적재 공간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 약 10cm(약 4in) 보다 높은 환자 수송면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보다 높은 적재 범위를 갖도록 하기 위한 구급차 침대의 높이의 증가는 응급 구조 차량내로 구급차 침대를 안전하게 들어올려 실을 수 있는 응급 구조 인력의 크기 범위가 보다 작다. 이 감소된 범위를 벗어난 응급 구조 인력은 그들이 보다 높은 높이로 들어올릴 때 보다 큰 근골격 부상의 위험에 직면하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이것은 응급 구조 요원의 파트너가 매우 다른 높이에 있을 때, 더욱 악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산업에 활용되는 침대 고정구 시스템이 사용가능하지만, 현재까지, "평균적" 사람의 범위가 쉽고 안전하게 종래의 구급차 침대를 78cm(약 31in)을 초과하는 수송 데크를 가지는 응급 구조 차량내로 쉽고 안전하게 싣고 내릴 수 있으면서, 이런 과도하게 높은 수송 데크상으로 들어올려져 실을 수 있도록 구급차 침대를 재설계할 필요가 없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과, 본 발명의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을 가지는 응급 구조 차량은 없다.

    상술한 문제점은 "평균적" 사람의 범위가 약 76cm(약 30in)의 정상 적재 높이를 가지는 구급차 침대를 78cm(약 31in)을 초과하는 수송 데크를 가지는 응급 구조 차량내로 쉽고 안전하게 싣고 내릴 수 있게 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을 채용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과 응급 구조 차량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의해 충족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수송 동안 불필요한 침대 이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수송 데크에 대한 억세스를 제공하는 개구를 가지고, 78cm(약 31in)을 초과하는 수송 데크를 가지는 응급 구조 차량내로 약 76cm(약 30in)의 정상 적재 높이를 가지는 구급차 침대를 싣고 내리기 위한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응급 차량의 수송 데크에 장착가능하면서, 제1 및 제2 단부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연장하는 종방향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트랙을 포함하며, 제2 단부는 차량의 개구에 인접하게, 그러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트랙은 대향 채널을 구비한다. 트랙 쌍의 대향 채널내에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트랙 쌍을 따라 구급 침대를 안전하게 당기도록 구성된 셔틀 조립체(shuttle assembly)가 제공된다. 셔틀 조립체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연장하는 종방향 본체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또한, 셔틀 조립체상에 장착되고, 구급차 침대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셔틀 조립체는 로킹 메커니즘을 트랙 쌍의 제2 단부로부터 떨어진 거리에서, 응급 구조 차량의 수송 데크 아래에서 소정 각도로 배치하도록 구성되며, 이 각도는 약 10° 내지 약 25°이고, 상기 거리는 약 22.8cm(약 9in) 내지 약 50cm(약 20in)이다.

    도면 및 명세서의 잔여 부분을 참조로,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에 대한 추가적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구비하는 응급 구조 차량의 부분 파단 등각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 조립체의 상면 사시도.

    도 3은 구급차 침대의 프레임 부재를 수용하도록 배치된 도 2의 셔틀 조립체의 측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형 적재 및 고정 시스템의 셔틀 조립체의 로킹 메커니즘에 의해 유지된 도 3의 구급차 침대의 측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 구조 차량의 수송 데크상으로 싣는 동안 셔틀 조립체의 로킹 메커니즘에 의해 유지되는, 도 3에 도시된 구급차 침대의 적재 단부의 사시도.

    도 6은 응급 구조 차량내에 구급차 침대가 부분적으로 실려져 있는, 그 로킹 메커니즘내에 구급차 침대를 유지하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의 부분 파단 등각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전히 실려져 한 쌍의 크래시 등급 속박부(crash rated restrain)에 의해 적소에 유지된 구급차 침대를 도시하는 도 3에 도시된 구급차 침대의 추종 단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장가능한 경사부를 구비한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갖는 응급 구조 차량의 등각도.

    도 9는 부분 단면 상태로 도시된 차량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운반대 프레임(carriage frame) 조립체를 구비한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3 지점 연결부로 구급차 침대를 고정하는 도 9의 운반대 프레임 조립체의 측면도.

    도 11은 구급차 침대의 하부 구조 프레임(undercarriage frame)이 상승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3 지점 연결부로 구급차 침대를 고정하는 도 10의 운반대 프레임 조립체의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조합형 구급차 적재 및 고정 시스템의 측면 입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에 구급차 침대가 완전히 실려져 있는 도 12의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의 측면도.

    본 발명은 유사 참조 번호가 유사 구조 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도 1 내지 도 13의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응급 구조 차량(24)의 수송 데크(22)상에 배치된 구급차 침대(20)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구급차 침대(2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26)의 보조로 그 위에 실려져 고정되어 있다. 차량(26)의 수송 데크(22)는 지면(25)으로부터 약 78 cm(약 31in) 내지 약 92cm(약 36in)의 범위의 수직 높이(A)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부가적으로, 차량(24)의 범퍼(27)의 단차부 또는 상부 부분은 지면(27) 위로 약 50cm(약 20in) 내지 약 60cm(약 24in)의 범위의 수직 높이(B)를 갖는다. 통상적인 범퍼(27)는 22.8cm(약 9in) 보다 큰 폭(BW)을 가지며, 차량(24)은 약 5cm(약 2in)의 도어 프레임 폭(DFW)을 가지기 때문에,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장치(26)는 구급차 침대(20)상으로의 래칭을 위해, 하향으로 적어도 10cm(약 6in) 및 외향으로 적어도 22.8cm(약 9in)에 도달할 수 있다.

    시스템(26)의 표면 장착식 외부 트랙(28)은 응급 구조 차량(24)의 제1 단부(30)로부터 응급 구조 차량(24)의 제2 단부로 연장하며, 제2 단부는 도어 개구(32)에 인접한다. 트럭(28)의 제2 단부(31)는 적어도 폭(DFW)에 위치되며, 그래서, 차량의 도어(들)는 밀봉 도어 개구(32)일 수 있다.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트랙(28)은 두 개의 내향 지향 슬롯형 안내 트랙(34, 36)을 구비하고, 안내 트랙은 수송 데크(22)에 평행 및 수직으로 연장하며, 하나는 나머지의 경면 대칭 이미지이다. 외부 트랙(28)의 제2 단부는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경사진 곡선 슬롯형 안내 트랙 부분(38, 40)을 구비한다.

    외부 트랙(28)은 응급 구조 차량을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 개장하기에 편리하게 하도록, 페르노 와싱턴 인코포레이티드(Ferno-Washington, Inc.)에게 양도된 미 국 특허 제5,913,55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정 장치와 동일한 볼트 패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26)은 셔틀 조립체(42)를 포함하고, 셔틀 조립체는 일 단부로부터 나머지 단부까지 슬롯형 안내 트랙(34, 36)을 따라 이동하고 외부 트랙(28)을 따라 부착된 구급차 침대를 안전하게 안내하도록 외부 트랙(28)과 결합한다. 셔틀 조립체(42)는 셔틀 제1 단부(46), 셔틀 제2 단부(48) 및 셔틀 제1 단부(46)로부터 셔틀 제2 단부(48)로 연장하는 종방향 본체(50) 형성하는 제2 프레임(44)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51, 53)는 종방향 본체(50)의 외부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안내 트랙(34, 36)내에 수용된다. 롤러(51, 53)는 종방향 본체(50)의 길이를 따라 조절가능할 수 있다. 제2 프레임의 종방향 본체(50)는 내부 트랙(52)의 상부 및 하부면을 형성한다. 크래시 등급 로킹 메커니즘(54)은 구급차 침대(20)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고, 내부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내부 트랙(52)과 결합한다(도 1).

    셔틀 조립체(42)는 로킹 메커니즘(54) 및 내부 트랙(52)의 일부를 구비하도록 적용되며, 외부 트랙(2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하여, 외부 트랙(28)이 장착되는 수송 데크(22) 아래에서, 그를 초과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셔틀 조립체(42)는 또한, 제1 및 제2 안전 포획부(56, 58)를 포함한다. 제1 안전 포획부(56)는 제1 단부(46)에 인접한 신뢰성있는 로킹 메커니즘(54)을 해제가능하게 로킹하고, 제2 안전 포획부(58)는 그로부터 소정 상대적 거리에서, 로킹 메커니 즘(54)을 해제가능하게 로킹한다. 제2 안전 포획부(58)는 로킹 메커니즘(54)이 다양한 전체 연장 높이를 갖는 침대에 도달 및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프레임(44)의 길이를 따라 조절가능하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부가적으로, 로킹 메커니즘(54)의 높이도 상하로 조절가능하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44)은 외부 트랙(28)의 곡선부(38, 40)로 인해, 수송 데크(22)에 의해 형성된 수평면으로부터 아래로 약 10°내지 25°의 범위로, 그리고, 일 특정 실시예에서는 약 16°내지 약 20°의 범위로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44)의 셔틀 제2 단부(48)는 약 22.8cm(약 9in) 내지 약 50cm(약 20in)의 범위로 외부 트랙(28)의 제2 단부(31)를 초과하여 연장한다. 제2 프레임(44)의 단부에 제공된 로킹 메커니즘(54)에서, 이런 연장부 및 하향 편향 범위는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26)이 지면(25) 위로 약 78cm(약 31in) 내지 약 92cm(약 36in)의 범위의 데크 높이를 가지는 수송 데크(22)상으로 구급차 침대(20)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실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향 각진 적재 단부를 가지는 구급차 침대 또는 침대 적재 바퀴는 더 이상 극도로 높은 수송 데크를 갖는 이런 응급 구조 차량에 탑재될 필요가 없다.

    구급차 침대(20)를 싣기 위해서, 셔틀 조립체(42)는 연장되고, 로킹 메커니즘은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안전 포획부(58)에 의해 적소에 고정된 제2 프레임(44)의 제2 단부에 인접 배치된다. 구급차 침대(20)는 그후 시스템(20)을 향해 구르게되고, 로킹 메커니즘(54)의 손잡이는 구급차 침대(20)의 적재 단부(57)에 제공된 견부(62) 사이에 로킹 메커니즘(54)의 조오(60)를 배치하기 위 해 뒤로 당겨진다. 다음에, 구급차 침대(20)의 추종 단부(59)(도 7)가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에 의한 작동에 의해 지지되는 동안, 구급차 침대(20)의 하부 구조 프레임(61)이 상승되고(화살표 63으로 표시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된 위치로 구급차 침대(20)를 배치한다.

    도 5 및 도 6을 또한 참조하면, 구급차 침대(20)의 하부 구조 프레임(61)이 안전하게 상승되고 나면, 제2 안전 포획부(58)를 위한 릴리즈 손잡이(64)가 그후 당겨지며(도 5에 화살표 59로 표시됨), 이런 로킹 메커니즘(54)은 제1 안전 포획부(56)를 경유하여 셔틀 제1 단부(46)에 인접한 적소에 로킹될 때까지, 내부 트랙(52)을 따라 구급차 침대(20)를 안내한다. 이 로킹 메커니즘(54)의 최초 이동은 차량(24)내로 구급차 침대(20)의 추종 단부(59)를 추진하기 위해 단 한사람의 응급 구조 인력을 사용하여, 구급차 침대(20)를 수송 데크(22) 상으로 쉽게 들어올려서 안내할 수 있게 하는 기계적 장점을 제공한다. 그후, 셔틀 조립체(42)는 도 1 및 도 7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구급차 침대(20)가 완전히 실려질 때까지, 외부 트랙(28)을 따라 전방으로 구르게 된다(도 6에 화살표 63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구급차 침대(20)가 실려지고 나면, 크래시 등급 속박부 또는 고정 장치(66, 68)가 구급차 침대(20)의 추종 단부(59)를 고정하고,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은 수송부(22)상의 적소에 구급차 침대(20)를 로킹한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내릴 때에는 이 단계가 반대가 된다.

    필요시, 도 8에 예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응급 구조 차량(24)의 내외로 구급차 침대(20)를 안내하는 것을 돕기 위해 연장가능한 경사부(70)가 제공된다. 또 다 른 실시예에서, 셔틀 조립체(52)는 적절한 구동 유닛(71)으로부터의 동력하에 전이될 수 있다. 구동 유닛(71)의 제어 및 동력공급은 추후 섹션에서 후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26)은 동력하에 부착된 구급차 침대를 들어올리도록 구성된다. 이런 실시예는 비 동력식 구급차 침대를 위해서도 적합하지만 역시 동력하에 리프팅하는 하부 구조 프레임을 구비한 구급차 침대와 함께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런 구급차 침대는 예로서, 일반적으로 양도된 발명의 명칭이 "공압 동력식 리프팅 구급차 침대"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0/982,483호 및 일반적으로 양도된 발명의 명칭이 "전자유압 동력식 리프팅 구급차 침대"인 국제 출원 번호 제US05/198547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의 내용은 여기에 전문이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설명될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그 내용이 전체적으로 참조로 여기에 통합되어 있는 발명의 명칭이 "개선된 멀티레벨 롤인 침대"인 일반적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제6,701,54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측부 연장 아암 및 풀을 또한 구비하는 구급차 침대 디자인의 장점을 취한다.

    도 9를 먼저 참조하면,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26)의 이 대안 실시예에서, 트랙(28)의 안내 트랙(34, 36)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로 전술된 셔틀 조립체(42)에서와 같이 구급차 침대(20)의 바로 전방 대신에, 후술될 바와 같이, 구급차 침대의 전방 및 측부에 부착하는 대안적 셔틀 조립체(72)를 활주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보다 큰 거리로 이격되어 장착된다. 롤러(51, 53)에 부가하여, 롤러(74, 76)는 운반대 프레임(80)의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 부재(78, 79) 중 각각의 하나의 외부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안내 트랙(34, 36)내에 수용된다. 롤(51, 53, 74, 76)은 또한 트랙(34, 36)의 내부와 롤러의 표면 사이에 작은 간격만이 존재하도록 크기설정 및 성형된다. 물론, 다른 트랙(24) 단면이 바퀴(36)의 고정에 효과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대안 실시예의 셔틀 조립체(72)는 운반대 프레임(80), 두 쌍의 안정화기 바아(82, 84 및 86, 88), 한 쌍의 리프팅 실린더(90, 92) 및 3 지점 부착 요크 조립체(94)를 포함한다. 운반대 프레임(80)은 롤러(51, 53, 74, 76)상에서 트랙(34, 36)의 길이를 따라 미끄러진다. 운반대 프레임(80) 자체는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진 매우 다양한 부재로 형성될 수 있지만, 예시된 실시예에서, 운반대 프레임(80)은 횡단 프레임 부재(96, 98)에 의해 결합된 종방향 부재(78, 79)의 쌍에 의해 형성된다. 각 종방향 부재(78, 79)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게, 각각 직립 지지부(100, 102)가 존재하며, 이는 각각 안정화기 바아(82, 84 및 86, 88)의 쌍 중 각각의 하나를 각각 장착한다.

    리프팅 실린더(90, 92)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 같은 유체 작동식 선형 작동기 또는 전기 작동식 선형 작동기이다. 각 리프팅 실린더(90, 92)의 제1 단부는 안정화기 바아(82, 84)의 각 쌍 사이에서, 직립 지지부(100, 102) 중 각각의 하나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다. 각 리프팅 실린더(90, 92)의 다른 단부는 각 하부 안정화기 바아(86, 88)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된다. 각 안정화기 바아(82, 84, 86, 88)의 제2 단부는 요크 조립체(94)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다. 직립 지지 부(100, 102) 및 그 연계된 안정화기 바아(82, 84 및 86, 88)는 운반대 프레임(80)에 요크 조립체(94)를 피봇가능하게 연결하며, 피봇점(104a-d)을 형성한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직립 지지부(100, 102) 및 캐리어(80)는 차량의 적재 공간 내측에 잔류하며, 그로부터 외향 연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계된 안정화기 바아(82, 84 및 86, 88)는 요크 조립체(94)가 부착된 구급차 침대(20)(도 10)를 범퍼(27) 또는 다른 차량(24)상의 구조체 위로 적절히 상승시킬 수 있도록 차량(24)의 플로어(22)로부터 충분한 거리에 피봇점(104a-d)을 배치하도록 치수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안정화기 바아(82, 84 및 86, 88)는 셔틀 조립체(42)를 갖는 이전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연장 및 하향 편향 범위 정도에 피봇점(104a-d)을 배치하도록 크기설정된다(도 2).

    요크 조립체(94)는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된 금속 세그먼트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가지는 다른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요크 조립체(94)는 헤드 프레임(110)에 장착된, 분리된 두 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아암(106, 108)을 포함한다. 헤드(110)는 상부 프레임 부재(112)와 하부 프레임 부재(114)로 형성된다. 하나의 단일 조립체(미도시)의 사용을 포함하는 세그먼트의 다수의 다른 배열이 요크 조립체(94)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요크 조립체(94)는 구급차 침대(20)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1 클래스 레버(class lever)로서 작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요크 조립체(94)는 구급차 침대(20)를 그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3 지점 부착부를 제공한다. 구급차 침 대(20)와 결합하는 요크 조립체(94)의 제1 부착점은 하부 프레임 부재(114)상에 제공된 크래시 등급 로킹 메커니즘(116)이다. 스키드판(118)은 구급차 침대(20)의 적재 단부를 구급차 침대 로킹 메커니즘(116)과이 결합 상태로 안내하기 위해 제공된다. 구급차 침대(20)의 적재 단부(57)가 침대 로크 메커니즘(116)과 접촉할 때, 래칭 메커니즘(120)은 구급차 침대 로크내에 적재 단부 프레임 부재(128)를 견고히 유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전방으로 도약한다. 수동 릴리즈(미도시)는 구급차 침대 로크를 로킹해제하고, 동시에, 동작을 위해 래칭 메커니즘(120)을 리셋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제2 및 제3 부착점은 도 10에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구급차 침대(20)상의 측부 연장 아암 또는 풀(pull;126)과 결합하는 각 아암(106, 108)의 단부상의 각각의 유지부(122, 124)이다. 다른 측부상에서와 동일하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부(122, 124)는 아암(106, 108)의 단부 또는 요크 조립체(94)에 형성되며, 구급차 침대(20)상의 풀(126)을 수용 및 지지하도록 치수설정된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운반대 프레임(80)과 요크 조립체(94) 사이의 피봇가능한 결합은 피봇점(104a-d)을 형성하고, 리프팅 실린더(90, 92)가 하부 안정화 바아(86, 88)의 단부에 연결되는 위치가 작용점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구급차 침대 로킹 메커니즘(116)의 위치는 피봇점(104a-d)으로부터 소정 거리 전방의 차량의 표면(22)을 향한다. 이런 위치설정은 구급차 침대(20)의 적재 단부(57)가 범퍼(27) 같은 차량상의 임의의 장애물을 통과하기에 충분히 높다는 사실의 장점을 취한다. 이 방식으로, 비록, 구급차 침대(20)상의 풀(126)이 구급차 침대(20)의 근사 무게 중심의 전방에 위치되지만, 구급차 침대 로킹 메커니즘(116) 및 유지부(122)의 카운터 밸런싱이 피봇점(104a-d) 둘레에서의 요크 조립체(94)의 용이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그에 의해, 구급차 침대(28)를 상승시킨다. 이는 수송을 위해 차량(24)내에 싣기 위해서 구급차 침대(20)의 최적의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요크 조립체(94)에 직접적으로 리프팅 실린더(90, 92)의 단부를 연결하는 것 같은 작용점과 피봇점의 다른 위치도 가능하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콘트롤러(132)(도 10 및 도 11)는 리프팅 실린더(90, 92)의 연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리프팅 실린더(90, 92)는 구급차 침대(20)를 상승시키기 위해, 요크 조립체(9)에 충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리프팅 실린더(90, 92)의 정확한 필요 능력은 리프팅되는 구급차 침대(20)의 중량 및 요크 조립체(50)의 치수에 의존한다. 그러나, 리프팅 실린더(90, 92)는 25.4cm(약 10.0 in) 작동기 행정 및 544kg(약 1200lb) 리프팅 등급을 가져야만 한다는 것이 판명되었으며, 일 실시예에서, 리프팅 실린더(90, 92)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며, 차량(24)의 배터리로부터 전기가 공급된다.

    이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중, 차량(24)의 도어가 개방되어 개방된 도어를 통해 외부로 요크 조립체(94)가 연장하도록 개방된 도어를 향해 트랙(36)내에서 운반대 프레임(80)이 활주할 수 있게 된다. 운반대 프레임(80)은 구급차 침대(24)가 리프팅되는 동안, 운반대 프레임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로킹 장치(134)에 의해 적소에 로킹될 수 있다. 유사한 로킹 핀이 또한 트랙(36)을 따른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요크 조립체(94)는 리프팅 실린더(90, 92)를 연 장시킴으로써 하강되고, 이는 요크 조립체(94)가 피봇점(104a-d) 둘레에서 피봇하게 하며, 하강되게 한다. 그후, 구급차 침대는 역시 유지부(122)내에 구급차 침대(20)의 풀(126)을 안치시키는 구급차 침대 로킹 메커니즘(116)과의 로킹 결합 상태로 안내되며, 그에 의해, 구급차 침대(20)가 3 연결점으로 요크 조립체(94)에 고정된다.

    구급차 침대(20)에 대한 요크 조립체(94)에 의해 제공되는 3 연결점은 측부 상의 구급차 침대의 측부간 경사에 대한 고려사항을 제거한다. 부가적으로, 구급차 침대(20)의 하부 구조 프레임(136)은 역시, 요크 조립체(94)내에 구급차 침대(20)를 안전하게 균형화하는 전방 및 측부 연결부로 인해, 요크 조립체(94)로부터 구급차 침대가 기울어지거나 이탈하는 문제점 없이,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승(화살표 138)될 수 있다.

    구급차 침대(20)의 하부 구조 프레임(136)이 상승된 이후, 요크 조립체(94)는 그후 리프팅 실린더(90, 92)를 수축시킴으로써 상승되고, 이는 요크 조립체(94)가 피봇점(104) 둘레에서 피봇하게 하고, 구급차 침대를 추가로 지면 위로 들어올리며, 그래서, 구급차 침대(20)의 바퀴(140)가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24)의 표면(22) 위에 존재하게 한다. 구급차 침대(20)가 지면으로부터 완전히 상승되고 나면, 로킹 장치(134)가 해제되고, 구급차 침대(20)가 차량(22)내로 전이되며(화살표 140으로 표시), 그래서, 운반대 프레임(80)이 트랙(34, 36)을 따라 활주한다.

    일 실시예에서, 13으로 예시된 완전히 실려진 위치로의 구급차 침대(20)의 수평 전이는 수동적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수평 전이는 트랙(34, 36) 둘레에서 운반대 프레임(8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적절한 구동 유닛(142)에 의해 동력 공급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142)은 콘트롤러(132)에 의해 제어되며, 차량(24)으로부터 필요한 동력을 인출한다. 이런 구동 유닛 실시예는 또한 여기에 전술한 모든 다른 실시예에도 적합하다. 운반대 프레임(80)이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22)내로 완전히 추진되었을 때, 요크 조립체(94)는 다시 하강될 수 있고(화살표 144로 표시됨), 그래서, 구급차 침대(20)는 수송을 위한 차량(24)의 바닥(22)상에 안치된다. 고정 장치(66, 68)가 다시 도 7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침대(20)의 추종 단부(59)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차를 위해서는 이 단계는 반대가 된다.

    본 기술의 숙련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 개념 및 주된 특성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설명된 응급 구조 차량의 유형 및 치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설명 및 내용은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주제에 대한 모든 정당한 등가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