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기

申请号 KR1020110128352 申请日 2011-12-02 公开(公告)号 KR101134050B1 公开(公告)日 2012-04-13
申请人 김영석; 发明人 김영석;
摘要 PURPOSE: A crops harvesting device is provided to smoothly supply soil rearward and to prevent damage to crops. CONSTITUTION: A crops harvesting device comprises an exhaust device(20), a collecting device(30), and a separating device(40). The exhaust device is installed so that a main shaft can pass through a main body. In the inside of the main shaft, a power belt is connected, a crops hanging rod is connected to a hanging rod rotary shaft in a chain shape. The collec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inne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crops harvesting device and discharges collected crops to a desired place.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es a pressing roller and an invasion prevention board.
权利要求
  • 트렉터에 연결하는 트렉터 상부 연결대(13)와 트렉터 하부 연결대(14)가 설치되고 감속기(12)를 관통하는 메인축(12a)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축(12a)에 연결한 동력벨트(11a)가 걸림봉 회전축(17b)에 연결되며, 상기 걸림봉 회전축(17b)을 연결하며 양쪽의 본체(11) 내부에 연결한 농작물 걸림봉(17)의 우측으로 진입날(14a)을 설치한 농작물 배출구조에 있어서,
    상기 진입날(14a)의 좌측에 설치하며 농작물 걸림봉(17)이 'S'자 형태가 되도록 상측을 눌러 지지하는 누름 로울러(42)를 설치하고, 상기 누름 로울러(42)의 전방으로 침입 방지판(41)을 설치하여 흙과 농작물이 낙하되면서 후방으로 잘 밀려나가도록 하는 분리장치(4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기.
  • 트렉터에 연결하는 트렉터 상부 연결대(13)와 트렉터 하부 연결대(14)가 설치되고 감속기(12)를 관통하는 메인축(12a)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축(12a)에 연결한 동력벨트(11a)가 걸림봉 회전축(17b)에 연결되며, 상기 걸림봉 회전축(17b)을 연결하며 양쪽의 본체(11) 내부에 체인(51)의 안쪽에서 하측의 연결구(52)와 상측의 상부 연결구(53)로 결합된 농작물 걸림봉(17)의 중앙에는 봉 연결대(64)와 보조 연결대(65)를 설치한 배출장치(40)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장치(40)의 우측으로 진입날(14a)을 설치한 농작물 배출구조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 걸림봉(17) 8~12개에 하나는 상측으로 분리방지 돌기(55)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 연결구(53)에 분리방지 돌기(55)가 위치하는 공간부(54)와 상기 분리방지 돌기(55)의 안쪽으로 걸림부(53a)를 설치하며, 상기 농작물 걸림봉(17)의 중앙에 설치하는 봉 연결대(64)와 보조 연결대(65)의 양쪽으로 농작물 걸림봉(17)에 링 보강부(57)를 설치하는 분리 방지장치(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기.
  • 제 1항에 있어서,
    분리장치(40)는 메인축(12a)에 연결한 원통풀리(18)와 벨트(18a)를 진동축(23a)의 종동풀리(19)에 연결하며, 상기 진동축(23a)에는 회전하면서 체인(51)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캠(23)을 설치하고, 상기 진동축(23a)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또 하나의 진동축(24a)을 설치하여 진동체인(21)으로 연결한 후 상기 진동축(24a)에는 체인(51)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캠(24)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기.
  • 제 1항에 있어서,
    분리장치(40)는 누름 로울러(42)의 전방에 설치하는 침입 방지판(41)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누름 로울러(42)와 본체(11)의 사이로 농작물이나 돌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기.
  • 제 1항에 있어서,
    분리장치(40)는 메인축(12a)에 연결한 원통풀리(18)와 벨트(18a)를 진동축(23a)의 종동풀리(19)에 연결하며, 상기 진동축(23a)에는 회전하면서 체인(51)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캠(23)을 설치하고, 상기 진동캠(23)의 하측으로 지렛대(70)를 설치한 후 상기 지렛대(70)가 회전 중심축(71)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지렛대(70)의 끝 부분에 진동 로울러(72)를 설치하여 체인(51)에 진동을 제공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부 연결구(53)에 설치하는 농작물 걸림봉(17)은 8~12개에 하나의 위치에 보조 걸림봉(61)이 돌출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상부 연결구(53)의 중앙 상측으로 걸림봉 설치대(63)를 결합하여 고정볼트(56)로 상부 연결구(53)와 연결구(52)를 관통하여 너트(56a)로 고정하며, 상기 걸림봉 설치대(63)에서는 걸림봉 연결대(62)에 보조 걸림봉(61)이 농작물 걸림봉(17) 보다 돌출된 위치에 설치되어 돌이나 농작물이 후퇴하지 않고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기.
  • 说明书全文

    흙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기{Crop harvest}

    본 발명은 흙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돌이나 땅속 작물과 흙을 선별하기 위하여 공급하는 과정에서 흙이 후방으로 원활하게 공급되며 농작물 걸림봉에 진동을 제공하여 흙과 돌이나 땅속 작물과의 분리가 잘되고, 수확기의 부하를 방지하며 농작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흙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땅속에서 성장하는 뿌리작물은 감자, 고구마, 땅콩, 마늘, 파, 양파, 인삼 등으로 땅속의 뿌리에 열매가 달리는 작물을 말하는 것으로, 경작지에 대량으로 재배된 뿌리작물(이하 "농작물"이라 칭함)을 수학하기 위해 땅속 농작물 수확기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농작물 수확기는 특허등록번호 제0645990호(2006. 11. 07. 등록)에 게재한 바와 같이, 트랙터의 후방으로 기어박스를 연결하고 상측 연결구에 트랙터의 상측을 하측 연결구에 트랙터의 하측을 연결하는 구성을 통하여 트랙터의 후방으로 농작물 수확기를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농작물 수확기는 본체의 내부에 농작물 걸림봉을 소정의 형태로 회전되도록 설치하고 전방에 진입 날을 설치하여 구동체인을 통하여 진입 날이 소정의 궤적을 회전하면서 진입 날에 의해 땅속에 있는 농작물을 파헤치면 흙은 농작물 걸림봉의 하측을 통하여 땅에 배출되고 농작물은 분리되어 수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농작물 수확기는 걸림봉이 본체의 전체 폭에 해당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농작물로부터 흙이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고랑의 후방에 배출함으로써 수확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한번 트렉터가 이동하면서 농작물 수확기로 2개의 고랑에 있는 농작물을 수확하게 되지만, 2개의 고랑 후방으로 채취한 농작물을 배출하게 되므로 고랑의 상측에 채취한 농작물이 어지럽게 널려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다음 고랑의 농작물을 채취하기 위해 흙과 농작물을 파내기 위해 트렉터의 바퀴가 고랑의 폭보다 더 넓게 이동하게 되면서 수확된 농작물이 밟혀 손상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 다른 종래의 농작물 수확기로는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0-0008736호와, 특허등록 제0723603호, 특허등록 제0855745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0312844호 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땅속에 있는 농작물을 흙과 함께 수확기에 공급하여 농작물로부터 흙과 이물질을 제거하여 수확한 후 후방에 다시 배출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배출된 농작물이 다음 고랑의 작업시에 트렉터의 바퀴에 의해 손상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농작물 걸림봉(17)에 흙과 함께 공급되는 농작물은 농작물 걸림봉의 사이에서 흙과 분리되어야만 하지만 흙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결합력이 강한 경우 경사지게 형성된 농작물 걸림봉으로 공급된 후 이동되면서 서로 분리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는 현상에 의해 농작물의 수확이 어려워지는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흙이 전방의 진입날(14a)에 의해 파여서 공급된 후 농작물 걸림봉이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고 고속 회전하게 되므로 농작물 걸림봉의 경사각을 따라 흙이 뒤로 넘어가지 못하고 말려서 굴러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서 농작물이 농작물 걸림봉과 충돌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게 되고, 흙의 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면서 수확기에 많은 부하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쉽게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0645990호(2006. 11. 07. 등록)

    문헌 2.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0-0008736호(2010. 09. 02. 공개)

    문헌 3. 특허등록 제0723603호(2007. 05. 23. 등록)

    문헌 4. 특허등록 제0855745호(2008. 08. 26. 등록)

    문헌 5. 실용신안등록 제0312844호(2003. 04. 28.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흙과 농작물이 농작물 걸림봉에 공급될 때 누름 로울러에 의해 한번 낙하 되면서 흙이 후방으로 쉽게 넘어가면서 흙과 농작물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수확기에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흙과 농작물 및 돌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농작물 걸림봉에 진동을 제공하여 흙과 농작물 및 돌이 진동으로 쉽게 분리되어 후방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농작물 걸림봉의 결합에 의해 농작물 걸림봉이 체인과 분리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트렉터에 연결하는 트렉터 상부 연결대와 트렉터 하부 연결대가 설치되고 감속기를 관통하는 메인축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축에 연결한 동력벨트가 걸림봉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걸림봉 회전축을 연결하며 양쪽의 본체 내부에 연결한 농작물 걸림봉의 우측으로 진입날을 설치한 농작물 배출구조에 있어서,

    상기 진입날의 좌측에 설치하며 농작물 걸림봉이 'S'자 형태가 되도록 상측을 눌러 지지하는 누름 로울러를 설치하고, 상기 누름 로울러의 전방으로 침입 방지판을 설치하여 흙과 농작물이 낙하되면서 후방으로 잘 밀려나가도록 하는 분리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트렉터에 연결하는 트렉터 상부 연결대와 트렉터 하부 연결대가 설치되고 감속기를 관통하는 메인축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축에 연결한 동력벨트가 걸림봉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걸림봉 회전축을 연결하며 양쪽의 본체 내부에 체인의 안쪽에서 하측의 연결구와 상측의 상부 연결구로 결합된 농작물 걸림봉의 중앙에는 봉 연결대와 보조 연결대를 설치한 배출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장치의 우측으로 진입날을 설치한 농작물 배출구조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 걸림봉 8~12개에 하나는 상측으로 분리방지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 연결구에 분리방지 돌기가 위치하는 공간부와 상기 분리방지 돌기의 안쪽으로 걸림부를 설치하며, 상기 농작물 걸림봉의 중앙에 설치하는 봉 연결대와 보조 연결대의 양쪽으로 농작물 걸림봉에 링 보강부를 설치하는 분리 방지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흙과 농작물이 농작물 걸림봉에 공급될 때 누름 로울러에 의해 농작물 걸림봉이 하측으로 내려간 위치에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흙과 농작물이 공급되면서 후방으로 잘 밀려나가게 되므로 전방에서 공급하는 흙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흙과 농작물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농작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확기에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흙과 농작물 및 돌이 분리장치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캠으로 농작물 걸림봉에 진동을 제공하여 흙과 농작물 및 돌이 진동으로 쉽게 분리되어 후방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농작물 걸림봉이 상부 연결구의 공간에서 분리방지 돌기의 결합에 의해 농작물 걸림봉이 체인과 결합된 상태에서 간격이 좁아지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항상 일정한 간격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배출 안내장치와 분리 방지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배출 안내장치와 분리 방지장치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배출 안내장치에 대한 요부확대 분리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배출 안내장치에 대한 요부확대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배출 안내장치에 대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분리 방지장치에 대한 요부확대 분리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분리 방지장치에 대한 요부확대 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분리 방지장치에 대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분리 방지장치에 대한 요부확대 평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분리장치와 배출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배출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분리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배출장치에 진동을 주는 상태의 주요 연결상태 평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수집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
    도 18 은 본 발명의 수집장치에 대한 작동상태 정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트렉터의 후방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농작물 수확기(10)에는 배출장치(20)와 분리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농작물 수확기(10)는 양쪽으로 형성한 본체(11)의 도면상 우측에 설치된 트렉터 하부 연결대(14)의 상측에 트렉터 상부 연결대(13)를 삼각형으로 설치하며, 상기 트렉터 상부 연결대(13)의 좌측으로 본체(11)를 가로질러 연결한 보강대(16)에 연결한다.

    트렉터 상부 연결대(13)의 좌측에는 감속기(12)를 설치하여 트렉터에 PTO축으로 연결하여 동력을 공급받고, 상기 감속기(12)의 양쪽으로 메인축(12a)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수집장치(30)는 농작물 수확기(10)의 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수확하여 배출하는 농작물을 수거하여 원하는 위치와 장소에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배출장치(20)는 메인축(12a)이 본체(11)를 관통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축(12a)의 안쪽으로 동력벨트(11a)를 연결하여 농작물 걸림봉(17)을 체인형태로 연결한 걸림봉 회전축(17b)에 연결한다.

    상기 걸림봉 회전축(17b)에 연결된 농작물 걸림봉(17)은 하측으로 늘어지지 않도록 바닥 받침 로울러(25)를 설치하여 지지하였다.

    상기 본체(11)의 사이에는 도면상 우측으로 진입날(14a)을 경사지게 설치하고, 진입날(14a)의 좌측에는 농작물 걸림봉(17)을 체인(51)이 연속해서 결합되어 길게 연결, 연속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출장치(20)를 설치한다.

    상기 메인축(12a)의 한쪽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원동풀리(18)를 설치하고, 배출장치(20)의 내부에서 농작물 걸림봉(17)의 사이를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진동축(23a)의 한쪽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종동풀리(19)를 설치하여 상기 원통풀리(18)와 종동풀리(19)를 벨트(18a)로 연결하여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종동풀리(19)가 설치된 진동축(23a)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또 다른 진동축(24a)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스프라켓을 설치하여 진동체인(21)으로 연결한다.

    상기 진동축(23a, 24a)에는 진동캠(23, 24)가 각각 체인(51)의 하측에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체인(51)에 진동을 제공하도록 설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출 안내장치와 분리 방지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배출 안내장치와 분리 방지장치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출 안내장치에 대한 요부확대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배출 안내장치에 대한 요부확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배출 안내장치에 대한 요부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배출장치(20)는 양쪽 본체(11)의 내부에 농작물 걸림봉(17)을 일정한 간격에 설치하여 체인(51)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농작물 걸림봉(17)에서 8~12칸에 한곳씩 배출 안내장치(60)를 설치한다.

    상기 체인(51)의 안쪽에는 중앙에 구멍(52a)이 형성되고 양쪽으로 농작물 걸림봉(17)이 올려져 결합되도록 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구(52)를 체인(51)에 용접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연결구(52)의 상측에는 농작물 걸림봉(17)이 올려진 후 상측에서 상부 연결구(53)가 결합된 후 고정볼트(56)로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배출 안내장치(60)는 상부 연결구(53)의 중앙에서 결합하는 걸림봉 설치대(63)를 고정볼트(56)로 결합하여 연결구(52)의 하측에서 너트(56a)로 고정한다.

    상기 걸림봉 설치대(63)에는 한쪽 방향으로 걸림봉 연결대(62)가 돌출되어 보조 걸림봉(61)이 고정된다.

    상기 보조 걸림봉(61)은 농작물 걸림봉(17)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며, 돌이나 농작물이 채취되어 선별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분리 방지장치에 대한 요부확대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분리 방지장치에 대한 요부확대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분리 방지장치에 대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분리 방지장치에 대한 요부확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배출장치(20)의 농작물 걸림봉(17) 8~12칸 정도에 하나씩 분리 방지장치(50)를 설치하여 체인(51)과 농작물 걸림봉(17)이 조립된 상태에서 내부로 좁혀지거나 외부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분리 방지장치(50)는 농작물 걸림봉(17)의 양쪽 선단에서 상측으로 분리방지 돌기(55)가 돌출되며, 상부 연결구(53)에서 분리방지 돌기(55)가 돌출되는 위치에 공간부(54)가 형성되도록 걸림부(53a)만 남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분리방지 돌기(55)가 형성된 농작물 걸림봉(17)은 중앙에서 봉 연결대(64)가 봉 고정볼트(64a)로 결합되고, 상기 봉 연결대(64)의 사이에서 보조 연결대(65)가 보조 고정볼트(65a)로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분리방지 돌기(55)가 형성된 농작물 걸림봉(17)은 봉 연결대(64)의 양쪽으로 링 보강부(57)와 같이 지름이 더 커서 유동이 방지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분리장치와 배출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배출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분리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배출장치에 진동을 주는 상태의 주요 연결상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스프라켓(17c)으로 연결한 체인(51)의 초입 부분에는 분리장치(40)를 설치하여 바닥을 파서 수확하는 농작물이나 흙과 돌이 상승하다가 하측으로 내려치도록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분리장치(40)는 안내핀 부재(14b)의 좌측으로 설치하는 스프라켓(17c)을 통하여 회전하는 농작물 걸림봉(17)이 'S'자 형태로 상측에서 설치되도록 누름 로울러(42)가 설치되며, 누름 로울러(42)가 농작물 걸림봉(17)의 상측을 하측으로 눌러 지지하게 된다.

    상기 누름 로울러(42)의 전방에는 침입 방지판(41)을 전방에 설치하여 흙이나 돌 및 농작물 등이 누름 로울러(42)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분리장치(40)의 후방에는 체인(51)의 하측에서 회전하면서 진동을 주어 흙과 돌 및 농작물의 분리가 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며, 벨트(18a)가 연결되는 종동풀리(19)의 일측에서 진동축(23a)과 체인(51)의 하측에 상기 진동축(23a)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진동축(24a)을 진동체인(21)으로 연결한다.

    상기 진동축(23a, 24a)에는 체인(51)의 하측으로 진동캠(23, 24)를 각각 설치하여 회전하면서 체인(51)에 진동을 제공하도록 한다.

    도 14는 배출장치에서 체인(51)에 진동을 주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진동축(23a)에는 진동캠(23)을 설치하고, 상기 진동캠(23)의 하측으로 회전 중심축(71)에 결합된 지렛대(70)를 설치하며, 상기 진동캠(24)이 설치된 위치에 진동로울러(72)를 설치한 후 상기 진동 로울러(72)에 지렛대(70)를 연결하는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수집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수집장치에 대한 작동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수집장치(30)는 보강대(16)의 상측으로 돌출된 실린더 연결구(39)에 배출 실린더(34)가 연결되어 있고, 배출 실린더(34)의 배출 실린더 로드(35)의 끝 부분에는 제1 와이어(36)와 제2 와이어(37)가 연결되어 있다.

    수집장치(30)는 농작물 걸림봉(17)이 있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나머지 좌측면과 양쪽면이 막혀있는 버켓 몸체(31)를 설치하고, 버켓 몸체(31)의 상측에는 회전 돌출대(33)가 양쪽에서 돌출되어 본체(11)에 회전 배출봉(33a)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버켓 몸체(31)는 제1 고정점(36a)에 배출실린더 로드(35)와 제1 와이어(36)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점(36a)의 일측에 안내 로울러(37a)에는 배출실린더 로드(35)에 연결한 제2 와이어(37)가 지나가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버켓 몸체(31)의 하측에는 바닥판(32)이 형성되어 있어서 버켓 몸체(31)의 하측면을 막아 주도록 설치하며, 도면상 좌측에서 버켓 몸체(31)의 하측 부분에 제2 고정점(37b)을 설치하여 제2 와이어(37)의 끝이 연결되도록 하였다.

    상기 바닥판(32)의 도면상 우측 끝에는 바닥판 회전축(32a)을 버켓 몸체(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였으며, 상기 버켓 몸체(31)의 도면상 우측에서 하측으로 스톱퍼(31a)를 설치하여 본체(11)에 맞닿아 버켓 몸체(31)가 하측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기(10)의 트렉터 상부 연결대(13)와 트렉터 하부 연결대(14)를 트렉터의 후방에 연결하여 견인 가능하도록 하고, 농작물 수확기(10)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면에서 들어올려서 이동하며, 작업시에만 지면에 닿도록 하여 작업하는 것이다.

    주로 밭에 심겨진 감자, 고구마, 인삼 등과 같은 농작물이나 밭을 새로 일구는 경우에 돌을 수거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농작물 수확기(10)는 한번에 1~2 고랑 정도의 폭을 작업할 수 있는 것으로,

    트렉터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농작물 수확기(10)는 도면상 우측의 진입날(14a)이 1~2 개의 고랑을 파고들어가 흙과 농작물을 후방으로 공급하게 되며, 진입날(14a)의 후방에서 농작물 걸림봉(17)으로 이루어진 배출장치(20)에 공급하게 된다.

    배출장치(20)의 농작물 걸림봉(17)에 흙과 농작물이 함께 공급되면 분리장치(40)에 의해 흙과 농작물을 분리하는 것으로, 진입날(14a)이 농작물의 깊이보다 더 깊게 흙을 파고 들어가서 흙과 농작물을 공급하게 되며, 진입날(14a)의 좌측으로 흙과 농작물을 그대로 스프라켓(17c)을 통하여 고속으로 회전하는 농작물 걸림봉(17)의 상측에 진입하도록 안내한다.

    농작물 걸림봉(17)은 스프라켓(17c)에 의해 경사지게 이동하다가 누름 로울러(42)에 의한 분리장치(40)가 'S'자 형태로 하측으로 이동된 후 다시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농작물 걸림봉(17)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흙과 농작물이 하측으로 낙하되어 농작물 걸림봉(17)에 충돌되면서 농작물과 흙이 분리되는 작용을 수행하게 되고, 동시에 적체되지 않고 후방으로 신속하게 공급하게 된다.

    상기 누름 로울러(42)의 설치에 의해 농작물 걸림봉(17)이 'S'자 형태가 되도록 이동하며 누름 로울러(42)의 전방에 설치한 침입 방지판(41)은 누름 로울러(42)와 본체(11)의 사이를 막아 흙에 포함된 돌이나 농작물 등이 누름 로울러(42)와 본체(11)의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분리장치(40)에 의해 흙과 농작물이 낙하되면서 충격으로 수분이 많이 함유된 흙이라도 쉽게 분리되도록 하고 정체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후방으로 신속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며, 농작물 걸림봉(17)을 통하여 진행하면서 흙의 일부는 하측으로 분리되고 농작물은 농작물 걸림봉(17)의 상측에 남아 후방으로 이동되는 작용에 따라 흙에 의해 농작물 걸림봉(17)에서 부하가 발생하지 않아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 메인축(12a)의 한쪽에서는 동력 벨트(11a)를 통하여 걸림봉 회전축(17b)을 회전시키게 되며, 걸림봉 회전축(17b)에 연결한 농작물 걸림봉(17)은 본체(11)의 하측에서 체인(51)에 연결되어 고속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농작물 걸림봉(17)에 농작물과 흙이 공급되어 이송하는 과정에서 배출장치(20)는 메인축(12a)의 일측으로 연결된 편심축(18)에 작동대(18a)가 연결되어 작동부재(18b)를 좌, 우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왕복 이동하게 되므로 작동부재(18b)에 연결된 제거봉(24)의 양측으로 연결되어 있는 지지 로울러(23, 23a)가 제거봉(24)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농작물 걸림봉(17)을 상측으로 들어올린 후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반복하게 되면서 농작물 걸림봉(17)은 상, 하 방향으로 출렁거림이 발생하여 흙과 농작물을 흔들어 농작물에 묻어있는 이물질과 흙을 분리장치(40)에서 분리한 후 다시 한번 제거하는 역할과, 흙의 덩어리가 부서지면서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농작물 걸림봉(17)에서는 결국 농작물만 남아 도면상 좌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농작물 걸림봉(17)에서 남은 농작물은 후방으로 이동된 후 수집장치(30)에 공급되므로 바닥판(32)의 상측에 수확한 농작물이 공급되는 것이다.

    수집장치(30)에 공급되는 수확한 농작물이 쌓여서 더 이상 공급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원하는 장소 또는 농기계나 차량의 적재함에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농작물 수확기(10)를 이동하여 농작물을 배출할 위치로 이동한 후 수집장치(30)의 바닥판(32) 좌측 끝 부분에서 배출 가능하도록 하고, 배출 실린더(34)를 구동시켜 배출 실린더 로드(35)가 축소되도록 한다.

    배출 실린더 로드(35)가 축소되면서 제1 와이어(36)가 버켓 몸체(31)를 당겨 회전 배출봉(33a)을 축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하고, 제2 와이어(37)가 안내 로울러(37a)를 통하여 제2 고정점(37b)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바닥판 회전축(32a)을 축으로 바닥판(32)이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면서 버켓 몸체(31)와 바닥판(32)은 모두 상측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버켓 몸체(31)와 바닥판(32)이 회전 이동하면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켓 몸체(31)와 바닥판(32)의 좌측이 상측으로 들려져 버켓 몸체(31)의 우측면 하측이 몸체(11)의 좌측에서 하측 방향이 개방되므로 바닥판(32)의 경사면에 따라서 수확한 농작물이 우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버켓 몸체(31)와 바닥판(32)을 회전시켜 바닥판(32)에 공급된 수확 농작물을 배출한 후에는 배출 실린더(34)를 구동하여 배출 실린더 로드(35)를 신축시키면 제1 와이어(36)와 제2 와이어(37)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버켓 몸체(31)와 바닥판(32)을 하측으로 회전 이동시켜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한편, 분리장치(40)에서 한번 엎어진 후 공급되는 흙과 농작물 또는 돌은 원동풀리(18)와 종동풀리(19)를 연결한 벨트(18a)를 통하여 진동축(23a)이 회전하면서 진동캠(23)이 회전하면서 체인(51)에 충격을 주어 진동이 발생하도록 하게 되므로 농작물 건조봉(17)은 분리장치(40)를 통과한 후 다시 한번 진동으로 흙과 농작물 또는 돌을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진동축(23a)에는 일측으로 또 다른 진동축(24a)에 진동체인(21)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진동축(24a)이 회전하면서 진동캠(24)이 체인(51)에 다시 한번 충격을 주어 진동이 발생하도록 하게 되므로 농작물 건조봉(17)은 또다시 진동이 발생하면서 흙과 농작물 또는 돌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 여러 차례의 진동에 의한 분리역할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축(23a)에 제공되는 동력으로 회전하는 진동캠(23)이 체인(51)에 진동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진동캠(23)이 회전하면서 하측의 지렛대(70)를 누르면 회전 중심축(71)을 축으로 지렛대(70)가 하강하면서 진동 로울러(72)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체인(51)에 진동을 제공하는 작용에 의해 연속된 진동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농작물 건조봉(17)은 연결구(52)와 상부 연결구(53)의 사이에 결합하고, 연결구(52)를 체인(51)에 용접한 상태이므로 본체(11)의 내부에서 체인(51)의 폭이 넓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농작물 건조봉(17)의 8~12개에 한 칸씩 양쪽으로 분리방지돌기(55)를 형성하고 상부 연결구(53)의 한쪽에 공간부(54)가 형성되는 걸림부(53a)를 조립함으로써 분리방지 돌기(55)가 공간부(54)에 설치되어 걸림부(53a)에 걸리게 되며, 중앙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 연결대(64)와 보조 연결대(65)에 관통하는 농작물 건조봉(17)에 링 보강부(57)와 같이 지름을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체인(51)의 폭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작동되도록 하는 분리 방지장치(50)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출 안내장치(60)를 통하여 수집된 돌 또는 농작물을 수집장치(30)에 공급하는 것으로, 농작물 건조봉(17) 8~12개 간격에 상부 연결구(53)의 중앙 상측으로 걸림봉 설치대(63)를 결합하여 고정볼트(56)로 상부 연결구(53)와 연결구(52)를 관통하여 너트(56a)로 고정하는 것이며, 걸림봉 설치대(63)에서는 걸림봉 연결대(62)에 보조 걸림봉(61)이 돌출되어 농작물 걸림봉(17) 보다 돌출된 위치에 있어서 진행하면서 돌이나 농작물이 후퇴하지 않고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수집장치(30)에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기의 전방에 설치하는 분리장치에 농작물과 흙을 함께 공급하면 누름 로울러에 의한 농작물 걸림봉이 하측으로 처진 상태의 'S'자 형태로 이루어져 농작물과 흙이 낙하되면서 후방으로 잘 밀려나가도록 하고, 고속 회전과 농작물 걸림봉의 흔들림에 따라 흙과 농작물이 분리되어 농작물의 분리작업을 통한 손상을 방지하면서 수확기에 발생하는 부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10 : 농작물 수확기 11 : 본체
    11a : 동력벨트 12 : 감속기
    12a : 메인축 16 : 보강대
    17 : 농작물 걸림봉 17b : 걸림봉 회전축
    18 : 편심축 20 : 배출장치
    23, 24 : 진동캠 23a, 24a : 진동축
    25 : 바닥 받침 로울러 30 : 수집장치
    31 : 버켓 몸체 31a : 스톱퍼
    32 : 바닥판 32a : 바닥판 회전축
    33 : 회전 돌출대 33a : 회전 배출봉
    34 : 배출 실린더 35 : 배출 실린더 로드
    36 : 제1 와이어 36a : 제1 고정점
    37 : 제2 와이어 37a : 안내 로울러
    37b : 제2 고정점 40 : 분리장치
    41 : 침입 방지판 42 : 누름 로울러
    50 : 분리 장지장치 51 : 체인
    52 : 연결구 53 : 상부 연결구
    53a : 걸림부 54 : 공간부
    55 : 분리방지돌기 60 : 배출 안내장치
    61 : 보조 걸림봉 62 : 걸림봉 연결대
    63 : 걸림봉 설치대 70 : 지렛대
    71 : 회전 중심축 72 : 진동 로울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