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터

申请号 KR1020157017646 申请日 2013-12-18 公开(公告)号 KR1020150096685A 公开(公告)日 2015-08-25
申请人 유로-셀띠끄 소시에떼 아노님; 发明人 두이그난카딸;
摘要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카운터들에 관한 것이고 특히 디스펜서들에 사용되는 카운터들에 관한 것이며 카운터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들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정량-주입 흡입기들과 같은 정량-주입 디스펜서들에 사용되는 카운터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카운트를 나타내는 제1 표시부를 갖고 축에 대해 증가에 따라 회전가능한 제1 링 부재; 및 제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고, 제한 메커니즘은, 제1 링 부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작동하도록 배열된 체결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링 부재와 접촉하여, 축 주위에서 제한 부재에 대한 제1 링 부재의 자유 회전이 제한된다.
权利要求
  • 카운트를 나타내는 제1 표시부를 갖고 축 주위에서 증가에 따라 회전가능한 제1 링 부재; 및
    제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상기 제1 링 부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작동하도록 배열된 체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링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축 주위에서 상기 제한 부재에 대한 상기 제1 링 부재의 자유 회전이 제한되는, 카운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분은 상기 제1 링 부재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에 접촉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치형을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링 부재는 상기 제한 부재의 상기 체결 부분과 협업하도록 배열된 체결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축 주위에서 상기 제한 부재에 대한 상기 제1 링 부재의 자유 회전이 제한되는, 카운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링 부재의 상기 체결 부분은 상기 제1 링 부재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 상의 복수의 치형을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링의 상기 내측 원주방향 표면 상의 상기 복수의 치형은 래칫 치형(ratchet teech)을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2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재 체결 부분의 상기 하나 이상의 치형은 하나 이상의 삼각 또는 래칫-형상의 치형을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2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고정된 관계로 상기 제한 부재 체결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 링 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한 부재 체결 부분은 상기 제1 링 부재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카운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외측 원주방향 표면 상에서 상기 제1 링 부재와 접촉하는, 카운터.
  •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재는 고정 단부 및 플로팅 단부를 갖는 베이스 상에 지지되고,
    상기 고정 단부는 상기 제한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플로팅 단부는 상기 제한 부재로부터 자유롭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 단부에서 가요성이어서 상기 플로팅 단부가 상기 제1 링 부재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카운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재 체결 부분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플로팅 단부에 위치되는, 카운터.
  •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제1 링 부재와 동일한 축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된 제한 링 부재를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한 링 부재는, 상기 축 주위에서 상기 제한 링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지 위해 하우징 내 대응-형상의 돌출부들과 체결되는 상부 원주방향 표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배치 리세스를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상기 제1 링 부재의 순 카운트 방향으로 상기 제1 링 부재에 마찰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역 카운트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링 부재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카운터.
  •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운트를 나타내는 제2 표시부를 갖는 제2 링 부재로서, 상기 제2 링 부재는 상기 제1 링 부재와 동일한 축 주위에서 증가 회전가능한, 제2 링 부재;
    상기 제2 링 부재를 상기 제1 링 부재에 해방가능하게(releasably) 결합하는 결합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1 링 부재들은, 결합된 경우 협업하여 회전하고, 결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링 부재의 독립적인 회전이 허용되며,
    상기 결합 메커니즘은 상기 축 주위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및 방사상 내측으로 이동가능한 제1 체결 수단 및 제2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결합 메커니즘은 상기 제1 체결 수단을 방사상 외측으로 만곡시키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수단은 상기 제2 링 부재의 소정 정도의 회전 이후 방사상 외측으로 만곡되며,
    상기 제2 링 부재의 상기 소정량의 회전은 상기 축 주위에서 상기 제2 링 부재의 완전한 회전보다 작은, 카운터.
  • 청구항 14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수단은 상기 제2 링 부재와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카운터.
  • 청구항 15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수단은 슬롯(slot) 및 접촉 단부를 갖는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이 슬롯 및 접촉 단부를 갖는 4개의 아암들을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부는 상기 만곡부를 접촉하는 상향 연장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14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 수단은 상기 제1 링 부재와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카운터.
  • 청구항 14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 수단은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일정하게 이격되는, 카운터.
  • 청구항 21 또는 22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수단은 방사상 외측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1 체결 수단은 상기 돌출부들 중 하나와 체결되는, 카운터.
  •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수단은 상기 돌출부들 중 하나와 체결되고,
    상기 제1 링 부재는 순 카운트 방향으로 상기 제한 메커니즘의 마찰 저항을 넘어서며, 상기 제1 링 부재는 상기 순 카운트 방향으로 회전하는, 카운터.
  • 청구항 15 내지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한 부재와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카운터.
  • 청구항 14 내지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 부재는 상기 제2 표시부의 시야를 방해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14 내지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메커니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링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카운터.
  •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폴-치형 메커니즘(pawl-and-teeth mechanism)을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폴-치형 메커니즘은 복수의 치형과 체결가능한 제1 폴 및 제2 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폴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치형 중 하나와 구동 체결로 체결되는 구동 체결 면과, 상기 복수의 치형 중 하나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체결 면을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폴들 각각은,
    상기 제1 폴이 상기 치형의 카운트 행정 동안에 상기 복수의 치형들 중 하나에 구동 체결로 체결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2 폴이 상기 치형의 복귀 행정 동안에 상기 복수의 치형들 중 하나에 구동 체결로 체결되도록 배열되는, 카운터.
  • 청구항 29 또는 30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폴들 각각은,
    상기 제2 폴이 상기 구동 메커니즘의 카운트 행정 동안에 상기 복수의 치형들 중 하나 위에 올려지고,
    상기 제1 폴이 상기 구동 메커니즘의 상기 복귀 행정 동안에 상기 복수의 치형둘 중 하나에 올려지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
  • 청구항 29 내지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폴들은 상기 제2 링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치형은 치형-베어링 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링 부재의 보어 내에서 왕복 운동하게 되며,
    상기 폴-치형 메커니즘은, 상기 치형-베어링 부재가 상기 제2 링 부재의 상기 보어 내에서 왕복 운동함으로써 상기 제2 링 부재의 회전 운동을 야기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카운터.
  • 청구항 14 내지 3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물 컨테이너로부터 약물의 주입량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 메커니즘 및 상기 약물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본체를 갖는 디스펜서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링 부재의 회전은 상기 디스펜서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카운터.
  •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는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분배되는 또는 상기 컨테이너에 남아 있는 약물의 주입량들을 표시하는, 카운터.
  • 청구항 1 내지 3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숫자들, 색상들, 글자들, 및 기호들(symbol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14 내지 3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숫자들, 색상들, 글자들, 및 기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35 또는 36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제1 행의 숫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제2 및 제3 행의 숫자들을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1 행의 숫자들은 일단위 숫자를 나타내고, 상기 제2 행은 십단위 숫자를 나타내며, 상기 제3 행은 백단위 숫자를 나타내는, 카운터.
  • 청구항 37 또는 38에 있어서,
    상기 제1 행의 숫자들은 반복되는 정수 세트들을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37 내지 3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행의 숫자들은 반복되는 정수 세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행의 숫자들은 정수 세트를 포함하는, 카운터.
  • 청구항 35 내지 4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들은 상기 제1 및 제2 링 부재 상에 인쇄, 조각, 엠보싱, 몰딩, 접착, 병합 및/또는 채색되는, 카운터.
  • 청구항 1 내지 4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운터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 약물 컨테이너를 수신하는 본체;
    약물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로부터의 약물의 주입을 분배하는 분배 메커니즘; 및
    청구항 1 내지 4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운터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 청구항 42 또는 43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가압 정량-주입 흡입기들(pressurized metered-dose inhalers, pMDIs)인, 디스펜서.
  • 청구항 42 내지 4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로부터의 약물의 주입을 분배하기 위한 상기 분배 메커니즘은 호흡-구동되는, 디스펜서.
  • 축에 대한 회전 부재의 자유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 메커니즘으로서,
    회전 축을 갖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대해 방사상으로 작동하도록 배열된 체결 부분으로서,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제한 메커니즘에 관한 상기 축에 대한 상기 회전 부재의 자유 회전이 제한되는, 체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분은 상기 회전 부재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에 접촉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치형을 포함하는, 제한 메커니즘.
  • 축에 대한 회전 부재의 자유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 메커니즘으로서,
    회전 축을 갖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에 대해 방사상으로 작동하도록 배열된 체결 부분으로서,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제한 메커니즘에 관한 상기 축에 대한 상기 회전 부재의 자유 회전이 제한되는, 체결 부분; 및
    고정된 관계로 상기 제한 메커니즘 체결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아암을 포함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회전 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한 메커니즘 체결 부분이 회전 부재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제한 메커니즘.
  • 청구항 47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분은 상기 회전 부재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과 접촉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치형을 포함하는, 제한 메커니즘.
  • 청구항 46 내지 4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한 메커니즘의 상기 체결 부분과 협업하도록 배열된 체결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축 주위에서 상기 제한 부재에 대한 상기 회전 부재의 자유 회전이 제한되는, 제한 메커니즘.
  • 청구항 49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체결 부분은 상기 회전 부재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 상의 복수의 치형을 포함하는, 제한 메커니즘.
  • 청구항 50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내측 원주방향 표면 상의 상기 복수의 치형은 래칫 치형(ratchet teech)을 포함하는, 제한 메커니즘.
  • 청구항 48 내지 5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메커니즘 체결 부분의 상기 하나 이상의 치형은 하나 이상의 삼각 또는 래칫-형상의 치형을 포함하는, 제한 메커니즘.
  • 청구항 46에 있어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고정된 관계로 상기 제한 메커니즘 체결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회전 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한 메커니즘 체결 부분은 회전 부재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제한 메커니즘.
  • 청구항 4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외측 원주방향 표면 상에서 회전 부재와 접촉하는, 제한 메커니즘.
  • 청구항 46 내지 5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메커니즘 체결 부분은 고정 단부 및 플로팅 단부를 갖는 베이스 상에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 단부에서 제한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 단부에서 가요성으로 구성되어 상기 플로팅 단부가 회전 부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한 메커니즘.
  •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와 동일한 축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된 제한 링 부재를 포함하는, 제한 메커니즘.
  • 청구항 55 또는 56에 있어서, 상기 제한 메커니즘 체결 부분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플로팅 단부에 위치되는, 제한 메커니즘.
  • 청구항 46 내지 5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순 회전 방향으로 회전 부재에 마찰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역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 부재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제한 메커니즘.
  • 说明书全文

    카운터{Count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카운터들에 관한 것이고 특히 디스펜서들에 사용되는 카운터들 및 상기 카운터들을 포함하는 디스펜서들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정량-주입 흡입기들(metered-dose inhalers, MDIs)과 같은 정량-주입 디스펜서들과의 일반적으로 카운터들에 관한 것이다.

    카운터들은 다양한 응용분야들에서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약물 컨테이서 내 잔존하는 약물의 주입의 수량의 정확한 결정이 얻어지기 어려운 의약 디스펜서들의 분야에서 중요하다. 그러한 의약 디스펜서의 예는 정량-주입 흡입기이다.

    정량-주입 흡입기들(이하 'MDIs'로 지칭함)은 약물들을 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태로, 폐들(lungs)에 분배(dispense)하기 위한 장치들이다. 넓게 이야기하면 MDI들과 같은 디스펜서들은 2개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컨테이너 및 전달 장치. 상기 컨테이너는 액상을 유지하기 위해 높은 압력 하에서 추진체로 계류(suspended)되거나 용해(dissolved)된 약물을 보유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컨테이너는 종종 내부 계측 밸브를 포함하는데, 이는 상기 밸브가 가동되는 경우 정확하게 측정된, 재생산 가능한 약물의 주입량을 방출(release)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전달 장치는 전형적으로 액츄에이터 및 마우스피스를 포함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예를 들어 흡입 또는 수동 동작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주입량의 방출을 유도하기 위해 컨테이너의 계측 밸브(metering valve)와 상호작용한다.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약물을 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은 호흡 구동된 디스펜서의 도면을 제공하며 이는 이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논의될 것이다.

    약물 컨테이너들은 전형적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불투명 물질로 만들어지고, 전달 장치 내에 전체적으로 하우징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그 안에 잔존하는 약물의 주입량이 얼마나 많은지를 효율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MDI가 여전히 약물 주입량을 보유하는 경우에도 너무 빨리 폐기하게끔 하거나 더욱 안좋은 예로는 상기 MDI를 그것의 권장 수명을 넘어서 사용하는 것이다. 어느 상황도 바람직하지 않다 - 전자는 낭비가 심하고 후자는 잠재적으로 위험하다. 때때로 사용자들은 MDI를 흔들어 임의의 약물이 그 안에 존재하는지에 관한 측정을 얻으려고 하지만, 기는 콘테이너 함량의 매우 개략적인 정성적 측량을 제공할 뿐이다. 예를 들어, 주입량을 형성하기 위한 충분한 약물 및 추진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와 계측 밸브를 채우는데 필요한 것보다 작은 양의 약물 및 추진체를 포함하는 것 사이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들이 콘테이너 내 약물의 양을 과대평가하고 실제 존재하지 않는 다른 주입을 위한 충분한 약물이 잔존한다고 실수로 결론지을 위험이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에게 사용중인 것이 만료되기 전 교체 약물 콘테이너를 얻도록 하는 충분한 경고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얼마나 많은 주입량들이 그로부터 분배되어 왔는지, 그리고 상보적으로 얼마나 많이 남아있는지를 추적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카운터 메커니즘을 갖는, 예를 들어 흡입기들과 같은 디스펜서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및 유럽 의약청(EMEA)과 같은 규제 부서들은 주입-카운터들의 구현을 장려하는 가이드라인들을 발행하였다(식품의약국, "Guidance for industry: integration of dose counting mechanisms into MDI drug products", 2003; 유럽 의약청, “Final guideline on the quality of inhalation and nasal products”, 2005).

    주입 카운터들은 일반적으로 '카운트'가 등록되는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고, 이들은 예를 들어 콘테이너/하우징의 움직임에 의한 기계적 힘 또는 움직임에 응답하는 일련의 이동 부분들로 구성된 기계 카운터들; 소리, 온도, 또는 압력 변화화 같은 구동과 연관된 이벤트를 감지하는 전기 회로를 갖는 전기 카운터들; 및 전기 및 기계 부분들을 조합한 전자-기계 카운터들이다.

    주입 카운터들과 관련한 일부 배경 선행 기술은 다음을 포함한다: "Dispensing Apparatus Comprising a Dosage Counting Device"라는 제목의 유럽특허공보 제EP1169245호; "Inhaler Dose Counter"라는 제목의 국제특허공개공보 제PCT/GB97/03480호; "Indicator Device Responsive to Axial Force"라는 제목의 국제특허공개공보 제PCT/US1996/008418호; "Improved Dose Indicator for Fluid Product Dispensing Device"라는 제목의 국제특허공개공보 제PCT/FR2004/001844호; "Dosage Counting Device"라는 제목의 영국특허공개공보 제GB2372542호; "Indicating Device with Warning Dosage Indicator"라는 제목의 국제특허공개공보 제PCT/CA04/001884호; "Dose Counter for Dispensers"라는 제목의 국제특허공개공보 제PCT/US04/039926호; 및 "Dispenser for Medicament"라는 제목의 미국특허공개공보 제US7047964호.

    주입 카운터 분야의 다른 개발들은 뱅앤울릅슨 메디컴사의 인슐라르(Insular)(상표) 장치를 포함하고, 관련 공개서들은 다음과 같다: "Dispenser with Doses Counter"라는 제목의 국제특허공개공보 제WO98/056444호; "Actuation Indicator for a Dispensing Device"라는 제목의 국제특허공개공보 제WO04/001664호; "Canister-Supported Rotating Ring Count Readout Assembly for a Metered Dose Inhaler"라는 제목의 국제특허공개공보 제WO07/012854호; 및 "Zahlwerk zum Zahlen dosierter Abgaben flussiger oder fester Produkte sowie Einrichtung zum dosierten Abgeben solcher Produkte "라는 제목의 독일특허공개공보 제DE 10061723호.

    우리는 또한 이전 국제특허공개공보 제WO2010/103315호에서 디스펜서 및 카운터를 설명하였다.

    비록 그러한 장치들이 컨테이너로부터 분배된 약물들의 주입량들 및/또는 그 안에 잔존하는 주입량들의 일부 측정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였지만, 개선의 여지가 남아있다. 특히, 컨테이들로부터의 약물의 방출을 안정적으로 "카운트"하는 주입 카운터들을 제공하는 것이 어려움이 밝혀져 왔다. 직면한 어려움은 계측 밸브 스템(metering valve stem)의 상대적으로 작은 움직임이 감지되어야 하고 카운트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어려움은 일정한 길이를 갖지 않는 약물 컨테이너의 길이의 공차들이 제조됨으로써 그리고 또한 카운터 메커니즘 및 그것의 디스펜서 메커니즘으로의 결합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의 치수들의 공차들이 제조됨으로써 악화된다. 동시에, 그것은 카운트되지 않아야 할 임의의 움직임들의 경우, 실제 경우보다 더 높은 수의 주입들이 잔존한다고 표시되는 것을 야기할 것이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나아가 오류 카운트의 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규제 압력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운터가 제공되며, 상기 카운터는 다음을 포함한다: 카운트를 나타내는 제1 표시부를 갖고 축 주위에서 증가에 따라 회전가능한 제1 링 부재; 및 제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상기 제1 링 부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작동하도록 배열된 체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링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축 주위에서 상기 제한 부재에 대한 상기 제1 링 부재의 자유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 제1 링 부재에 대해 방사상으로 작동하는 제한 메커니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링 부재 상에서 작동하는 방사상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의 제조 공차들과 연관된 문제들이 경감된다. 상기 수직 차원에서의 공차들은 상기 제1 링 부재에 대해 방사상으로 작동하는 제한 메커니즘의 작동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제한 메커니즘의 더욱 신뢰성있는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체결 부분은 상기 제1 링 부재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에 접촉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치형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체결 부분은 상기 제1 링 부재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에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 부재는 상기 제한 부재의 상기 체결 부분과 협업하도록 배열된 체결 부분을 포함할 수 있어, 상기 축 주위에서 상기 제한 부재에 대한 상기 제1 부재의 자유 회전이 제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링 부재의 상기 체결 부분은 상기 제1 링 부재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 상의 복수의 치형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치형은 상기 제1 링 부재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의 상기 내측 또는 외측 원주방향 표면 상의 상기 복수의 치형은 래칫 치형(ratchet teech)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칫 치형을 제공함으로써, 일 방향(바람직하게는 카운트 방향)의 제한된 회전을 가능케 하고, 역 카운트 방향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상기 제한 부재 체결 부분의 상기 하나 이상의 치형은 하나 이상의 삼각 또는 래칫-형상의 치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체결 부분이 상기 제1 링 부재 상의 상기 체결 부분과 상호작용하여 그것의 자유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가이드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는 고정된 관계로 상기 제한 부재 체결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 링 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한 부재 체결 부분은 상기 제1 링 부재와의 접촉을 유지한다.

    상기 가이드 암을 방사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기 체결 부분으로부터 고정된 거리에서 제공함으로써, 상기 체결 부분은 상기 제1 링 부재를 더욱 신뢰성있게 추적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체결 부분이 상기 제1 링 부재 상의 상기 체결 부분과의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 보장된다. 다시 말해, (예를 들어 상기 제1 링 부재와 상기 제한 링 부재 사이에 일부 방사상 활동이 있는 경우와 같은) 상기 제1 링 부재의 방사상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상기 제1 링 부재가 외측으로 방사상 이동할 때 아암은 (상기 제1 링 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제1 링 부재의 움직임 또는 상기 제1 링 부재가 가질 수 있는 임의의 윤곽들을 따라갈 것이기 때문에, 그리고 상기 제1 링 부재가 내측으로 방사상 이동하는 경우 상기 체결 부분은 상기 제1 링 부재의 움직임을 따를 것이기 때문에, 상기 체결 부분이 상기 제1 링 부재 상의 상기 체결 부분과 떨어지는 것을 야기하지 않아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는 외측 원주방향 표면 상에서 상기 제1 링 부재와 접촉한다. 상기 제1 링 부재 상의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제1 링 부재의 상기 외측 원주방향 표면 상에 있는 실시예들에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내측 원주방향 표면 상으로 작동한다.

    상기 제한 부재는 또한 고정 단부 및 플로팅 단부를 갖는 베이스 상에 지지될 수 있고, 상기 고정 단부는 상기 제한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플로팅 단부는 상기 제한 부재로부터 자유롭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 단부에서 가요성이어서 상기 플로팅 단부가 상기 제1 링 부재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한 부재 체결 부분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플로팅 단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 부분은 상기 제1 링 부재에 대하여 방사상 내측 및 외측으로 움직일 수 잇다.

    상기 제한 부재는 또한 상기 제1 링 부재와 동일한 축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된 제한 링 부재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 메커니즘이 제한 링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한 링 부재는 상기 축 주위에서 상기 제한 링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지 위해 하우징 내 대응-형상의 돌출부들과 체결되는 상부 원주방향 표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배치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배열은 상기 제한 메커니즘이 상기 제1 링 부재에 고정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전술한 제한 메커니즘들 중 임의의 메커니즘들에서,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상기 제1 링 부재의 순 카운트 방향으로 상기 제1 링 부재에 마찰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역 카운트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링 부재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 배열은 순 카운트 방향으로의 오버-카운팅에 대한 방지를 제공하고, 상기 카운터의 역 카운트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한다.

    상기 카운터는 다음도 포함할 수 있다: 카운트를 나타내는 제2 표시부를 갖는 제2 링 부재로서, 상기 제2 링 부재는 상기 제1 링 부재와 동일한 축 주위에서 증가 회전가능한, 제2 링 부재; 상기 제2 링 부재를 상기 제1 링 부재에 해방가능하게(releasably) 결합하는 결합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상기 제2 및 제1 링 부재들은, 결합된 경우 협업하여 회전하는 것이 허용되고, 결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링 부재의 독립적인 회전이 허용되며, 상기 결합 메커니즘은 상기 축 주위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및 방사상 내측으로 이동가능한 제1 체결 수단 및 제2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링 부재와 동축으로 배열된 상기 제2 링 부재는 그 상에 마크된 표시부들을 다수 갖는 카운터를 제공하여 많은 수의 카운트들이 등록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는 심 및 백 단위들을 나타낼 수 있고, 제2 표시부는 일 단위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링 부재를 갖는 실시예들에서, 상기 결합 메커니즘은 상기 제1 체결 수단을 방사상 외측으로 만곡시키는 만곡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체결 수단은 상기 제2 링 부재의 소정 정도의 회전 이후 방사상 외측으로 만곡되며, 상기 제2 링 부재의 상기 소정량의 회전은 상기 축 주위에서 상기 제2 링 부재의 완전한 회전보다 작다.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한 부재와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 수단은 상기 제2 링 부재와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 수단은 슬롯(slot) 및 접촉 단부를 갖는 아암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체결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이 슬롯 및 접촉 단부를 갖는 4개의 아암들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 단부는 상기 만곡부를 접촉하는 상향 연장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링 부재를 갖는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체결 수단은 상기 제1 링 부재와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체결 수단은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들은 서로 일정하게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 수단은 방사상 외측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방사상 외측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제1 체결 수단은 상기 돌출부들 중 하나와 체결된다. 체결되면, 상기 제1 링 부재는 순 카운트 방향으로 상기 제한 메커니즘의 마찰 저항을 넘어서며, 상기 제1 링 부재는 상기 순 카운트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 링 부재는 상기 제2 링 부재 상에서 상기 제2 표시부의 시야를 방해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약물 컨테이너에 남은 주입량이 종료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카운터는 상기 제2 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 메커니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링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폴-치형 메커니즘(pawl-and-teeth mechanism)을 포함한다.

    폴-치형 메커니즘을 갖는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폴-치형 메커니즘은 복수의 치형과 체결가능한 제1 폴 및 제2 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폴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치형 중 하나와 구동 체결로 체결되는 구동 체결 면과, 상기 복수의 치형 중 하나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체결 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폴들 각각은 다음과 같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폴이 상기 치형의 카운트 행정 동안에 상기 복수의 치형들 중 하나에 구동 체결로 체결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2 폴이 상기 치형의 복귀 행정 동안에 상기 복수의 치형들 중 하나에 구동 체결로 체결되도록 배열된다.

    나아가, 상기 제1 및 제2 폴들 각각은 다음과 같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폴이 상기 구동 메커니즘의 카운트 행정 동안에 상기 복수의 치형들 중 하나 위에 올려지고, 상기 제1 폴이 상기 구동 메커니즘의 상기 복귀 행정 동안에 상기 복수의 치형둘 중 하나에 올려지도록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폴들은 상기 제2 링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치형은 치형-베어링 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링 부재의 보어 내에서 왕복 운동하게 배열되며, 상기 폴-치형 메커니즘은, 상기 치형-베어링 부재가 상기 제2 링 부재의 상기 보어 내에서 왕복 운동함으로써 상기 제2 링 부재의 회전 운동을 야기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약물 컨테이너로부터 약물의 주입량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 메커니즘 및 상기 약물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본체를 갖는 디스펜서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링 부재의 회전은 구동되는 상기 디스펜서에 응답하여 수행된다. 상기 카운트는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분배되는 또는 상기 컨테이너에 남아 있는 약물의 주입량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는 숫자들, 색상들, 글자들, 및 기호들(symbol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표시부는 숫자들, 색상들, 글자들, 및 기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표시부는 제1 행의 숫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제2 및 제3 행의 숫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행의 숫자들은 일단위 숫자를 나타내고, 상기 제2 행은 십단위 숫자를 나타내며, 상기 제3 행은 백단위 숫자를 나타낸다. 상기 제1 행의 숫자들은 반복되는 정수 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행의 숫자들은 반복되는 정수 세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행의 숫자들은 정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들은 상기 제1 및 제2 링 부재 상에 인쇄, 조각, 엠보싱, 몰딩, 접착, 병합 및/또는 채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카운터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도 제공한다.

    디스펜서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약물 컨테이너를 수신하는 본체; 약물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로부터의 약물의 주입을 분배하는 분배 메커니즘; 및 전술한 카운터.

    상기 디스펜서는 가압 정량-주입 흡입기들(pressurized metered-dose inhalers, pMDIs)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컨테이너로부터의 약물의 주입을 분배하기 위한 상기 분배 메커니즘은 호흡-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 주위에서 회전 부재의 자유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 메커니즘도 제공하며,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다음을 포함한다: 회전 축을 갖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대해 방사상으로 작동하도록 배열된 체결 부분으로서,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제한 메커니즘에 관한 상기 축 주위에서 상기 회전 부재의 자유 회전이 제한되는, 체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분은 상기 회전 부재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에 접촉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치형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부재에 대해 방사상으로 작동하는 제한 메커니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 상에서 작동하는 상기 방사상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의 제조 공차들과 연관된 문제들이 경감된다. 상기 수직 차원에서의 공차들은 상기 회전 부재에 대해 방사상으로 작동하는 제한 메커니즘의 작동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제한 메커니즘의 더욱 신뢰성있는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는 고정된 관계로 상기 제한 메커니즘 체결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한 메커니즘 체결 부분은 상기 회전 부재와의 접촉을 유지한다.

    본 발명은 또한 축 주위에서 회전 부재의 자유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 메커니즘도 제공하며,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다음을 포함한다: 회전 축을 갖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에 대해 방사상으로 작동하도록 배열된 체결 부분으로서,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제한 메커니즘에 관한 상기 축 주위에서 상기 회전 부재의 자유 회전이 제한되는, 체결 부분; 및 고정된 관계로 상기 제한 메커니즘 체결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아암을 포함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회전 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한 메커니즘 체결 부분이 회전 부재와의 접촉을 유지한다.

    상기 회전 부재에 대해 방사상으로 작동하는 제한 메커니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 상에서 작동하는 상기 방사상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의 제조 공차들과 연관된 문제들이 경감된다. 상기 수직 차원에서의 공차들은 상기 회전 부재에 대해 방사상으로 작동하는 제한 메커니즘의 작동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제한 메커니즘의 더욱 신뢰성있는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암을 방사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기 체결 부분으로부터 고정된 거리에서 제공함으로써, 상기 체결 부분은 상기 회전 부재를 더욱 신뢰성있게 추적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체결 부분이 상기 체결 부재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 보장된다. 다시 말해, (예를 들어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제한 부재 사이에 일부 방사상 활동이 있는 경우와 같은) 상기 체결 부재의 방사상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상기 회전 부재가 외측으로 방사상 이동할 때 아암은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움직임 또는 상기 회전 부재가 가질 수 있는 임의의 윤곽들을 따라갈 것이기 때문에, 그리고 상기 체결 부재가 내측으로 방사상 이동하는 경우 상기 체결 부분은 상기 체결 부재의 움직임을 따를 것이기 때문에, 상기 체결 부분이 상기 회전 부재와 떨어지는 것을 야기하지 않아야 한다.

    상기 체결 부분은 상기 회전 부재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과 접촉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치형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한 메커니즘의 상기 체결 부분과 협업하도록 배열된 체결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축 주위에서 상기 제한 부재에 대한 상기 회전 부재의 자유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체결 부분은 상기 회전 부재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 상의 복수의 치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내측 원주방향 표면 상의 상기 복수의 치형은 래칫 치형(ratchet teec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 메커니즘 체결 부분의 상기 하나 이상의 치형은 하나 이상의 삼각 또는 래칫-형상의 치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외측 원주방향 표면 상에서 회전 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 부재 체결 부분이 상기 회전 부재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 상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는 내측 원주방향 표면 상에서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한 메커니즘 체결 부분은 고정 단부 및 플로팅 단부를 갖는 베이스 상에 지지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 단부에서 제한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 단부에서 가요성으로 구성되어 상기 플로팅 단부가 회전 부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한 메커니즘 체결 부분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플로팅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와 동일한 축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된 제한 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순 회전 방향으로 상기 회전 부재에 마찰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역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 부재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관점들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로서 더욱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가 부착될 수 있는 디스펜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를 포함하는 (도시적인 목적으로 일부분들이 제거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를 포함하는 (도시적인 목적으로 일부분들이 제거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의 구동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의 구동 메커니즘의 작동 원리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의 구동 메커니즘의 작동 원리 중 다른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들이다.
    도 7a 내지 7b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의 바람직한 구동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의 바람직한 구동 메커니즘의 작동 원리 중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9a 내지 9d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의 바람직한 구동 메커니즘의 작동 원리 중 일부를 보여주는 개략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카운터의 제2 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카운터의 평면도이다.
    도 13a 내지 13d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의 동작 원리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a 내지 14d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의 동작 원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5a 내지 15c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의 동작 원리를 보여주는 개략도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18a 내지 18c는 카운터의 부분들에 대한 사시도들이다.
    도 19a 내지 19b는 도 18의 제3 링 부재의 사시도들이다.
    도 20a 내지 20d는 본 발명에 따른 제한 링 부재의 사시도들이다.
    도 21은 도 20a 내지 20d의 제한 링 부재와 함께 수행하도록 적응된 카운터 링 부재의 사이도이다.
    도 22a 내지 22c는 도 21의 카운터 링 부재와 결합된 도 20a 내지 도 20d의 제한 링 부재의 사시도들이다.

    디스펜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인 디스펜서들의 일부 특징들 및 동작 원리들의 단순화된 개요가 초기에 제공된다. 여기에 사용된 것처럼 용어 "디스펜서"는 제품을 보유하는 컨테이너를 수신하기에 적합한 본체를 갖고 발동 시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상기 제품이 분배되는 메커니즘을 갖는 임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호흡-발동된, 킹크 밸브 디스펜서(kink valve dispenser)의 예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디스펜서(100)는 마우스피스(104) 및 회전가능 마우스피스 커버(pivotable mouthpiece cover, 106)를 갖는 본체(102)를 포함한다. 상기 마우스피스 커버는 상기 본체 하부측의 축(A)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고, 중앙 핑거(110)와 함께, 2개의 캠 로브들(하나의 캠 로브(108)가 나타남)을 포함하는 캠 배열 상으로 운반된다. 상기 본체는 약물 컨테이너(114)를 수용하기 위한 오프닝(112)을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본체가 (도시되지 않은) 상기 컨테이너의 계측 밸브 조립체 주변으로 완전히 연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의 위치로 고정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계측 밸브 조립체는 계측 챔버(116) 및 아웃렛 스템(118)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디스펜서 내에 전체적으로 하우징되면, 상기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외측 하우징의 캡 부분에 의해, 그것의 계측 밸브 조립체의 단부 말단에서 보유될 수 있다.

    상기 본체 내 몰드된 부분에서, 오프닝(112) 안쪽은 내부 그루브들(미도시)이 된다. 연결 부재(120)는 그것의 주변에서 리브들(ribs)에 의해 체결된 그루브들을 갖는 본체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연결 부재는 연결 부재(120) 내 플랩(122)을 회전축 위치시키기 위한 한 쌍의 피벗 클립들(미도시)을 갖는다. 중심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계측 밸브 조립체의 아웃렛 스템(118)에 대한 소켓(124)을 갖는다. 상기 소켓은 통로(126)에 의해 계속되고, 이는 얇은 벽, 구부러질 수 있는 부분 및 노즐 단부를 갖는다. 상기 노즐 단부는 연결 부재의 움직일 수 있는 부분에 있다. 상기 연결 부재의 주요 부분 및 이동가능 부분은 리빙 힌지(living hinge)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 부재(120)의 이동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랩(122)의 하측면에서 래치들과 체결되도록 배열되는 한 쌍의 시얼(sear, 미도시)도 구비한다. 상기 연결 부재의 이동 부분은 캠 구조체와 체결을 위한 핑거(finger)를 구비한다.

    처음에, 상기 디스펜서가 폐쇄되면, 상기 플랩은 래칭이 해제되고 연결 부재의 이동 부분은 그것의 하부 위치로 오게 된다. 구부러질 수 있는 부분, 소위 킹크 밸브는 개방된다. 마우스피스 커버(106)의 오프닝에서, 상기 캠 배열의 중앙 핑거는 상기 킹크 밸브를 폐쇄하도록 연결 부재의 이동 부분 상에서 작동한다. 상기 연결 부재의 이동가능 부분의 이동은 플랩의 래치를 구비한 이동가능 부재의 시얼에 체결시키도록 작용하여 상기 플랩이 상부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 부재(120)는 계측 밸브 조립체의 내부 스프링(미도시)에 대하여 메인 캠 로브들(108)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스템(118)은 컨테이너 내측으로 변위된다. 마우스피스 커버(106)를 추가적으로 들어올리면 컨테이너 밸브가 개방되고 계측된 주입량이 튜브의 상부로 방출되어 폐쇄 밸브로서 작동하는 폐쇄된 킹크 밸브에 의해 주입량이 남게 된다.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호흡을 함으로 인하여 공기는 디스펜서를 통하여 유동하게 되며 플랩(122)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이로 인하여, 시얼이 방출되고 킹크 튜브는 그 탄성 및 남은 주입량의 압력하에 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주약량은 흡입을 위한 마우스피스로 노즐을 통하여 방출된다. 상기 플랩은 플랩이 호흡 구동시에 킹크 밸브가 개방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연결 부재의 이동가능 부분상에서 작동할 수 있는 핑거(미도시)도 구비한다.

    예시적인 디스펜서의 이들 구성들 및 다른 구성들은 클리니컬 디자인사의 선행 PCT 출원들 WO1998/41254(US6422234); WO2002/11802(US7036505); WO2002/058772(US6866038); WO2004/073776(US2007 062522)에 자세히 설명되고 있으며, 그 설명은 전체로서 본원에 참조 포함된다.

    카운터

    구동 메커니즘

    용어 '구동 메커니즘'은 약물 컨테이너로부터 분배되는 주입량이 카운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카운트에 연관되는 어떠한 수단으로도 넓게 해석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주입량의 분배는 도 1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20)의 수직 운동을 수반한다.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수직 운동은 카운트되는 증가하는 회전으로 전환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증가하는 회전으로 전환되는 상기 수직 운동은 약물 컨테이너의 운동이 될 수 있다.

    도 2 및 3은 카운터(203) 및 구동 메커니즘(205)을 가지는 디스펜서(200)를 도시한다. 상기 카운터는 제1 링 부재(201) 및 제2 링 부재(202)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메커니즘(205)은 폴-베어링 부재(204: 도 3에 미도시)와 치형-베어링 부재(206: 도 2에 부분 실선 표시)를 가지는 폴-치형 메커니즘이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치형-베어링 부재(206)는 제2 링 부재(201)와 일체로 되는 원통형 실린더이다. 상기 폴-베어링 부재는 상기 치형-베어링 부재(206) 주위로 완전히 연장된다. 반대로 된 구조도 사용될 수 있는데, 즉 폴 베어링 부재(206)가 제2 링 부재(201)에 일체로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열은 도 7에 도시된다.

    2개의 폴들(208)은 폴-베어링 부재(204)의 절개 부분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폴들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폴들의 팁들 상의 내측 연장 돌출부에 의해 치형-베어링 부재(206)의 외측을 향하는 표면에 몰딩되는 치형(210)의 링에 동작 가능하게 체결된다. 한 쌍의 아암들(212a, 212b)은 계측 밸브 조립체의 양 면 상에서 상기 폴-베어링 부재로부터 아래로 연장된다. 상기 아암들은 연결 부재의 상부(가려짐)에 대하여 스프링 걸리거나 고정된다. 상기 연결 부재는 주입량이 분배될 때 수직으로 이동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아암들은 이동 컨테이너, 예를 들어 이동하는 약물 컨테이너에 대하여 스프링 로딩되거나 고정된다.

    상기 연결 부재(120)를 들어올리는 작동(이것은 가압된 약물 컨테이너(114)로부터 주입량을 방출시키게 된다)은 디스펜서(200)의 수직 축(214)에 나란한 방향으로 폴-베어링 부재(204) 상에 상측 방향 힘을 전달한다. 그 결과, 상기 폴(들)과 상기 치형 사이에는 마찰 체결이 생기게 된다. 교대로, 치형-베어링 부재(206) 및 제2 링 부재(201)는 수직 축(214) 주위에서 증가하는 방향(이 경우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일단 주입량이 방출되고 마우스피스 커버가 폐쇄되면, 연결 부재 및 폴-베어링 부재는 약물 컨테이너(114)의 내부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원래 위치들로 하향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향 운동으로 인하여 폴-베어링과 치형-베어링 부재들 사이에 마찰 체결도 발생하게 되고, 수직 축(214) 주위에서 부재들(206, 201)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시계 방향 추가 회전시키게 된다.

    함께 고려하면, 이들 2개의 증가 회전은 제2 링-유사 부재(201)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완전한" 증가 회전을 정의한다.

    도 4a는 치형의 링(210)이 치형-베어링 부재(206)의 내측을 향하는 표면 상에 배치되는 구동 메커니즘(205)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상기 폴 베어링 부재(204)는 그것의 보어(bore) 내에 배치된다. 구동 메커니즘의 동작 원리는 실제로 동일하지만, 폴-베어링 부재 및 치형-베어링 부재는 도 2 및 3에 도시된 구조와 비교하여 반대 구성으로 될 수도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2개의 폴들(402a, 402b)은 그것의 본체의 절개부에 의해 폴-베어링 부재(204)에 일체로 정의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각각의 폴은 동일한 (그렇지만 반대편의) 각도(α, β)에 대하여 폴 베어링 부재(204)의 환상형 평면에 치형(210)의 링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2 (하부) 폴(402b)은 제1 (상부) 폴(402a)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상기 폴들 각각은 루트 단부(root end)와 자유 단부(free end)를 갖는다. 립(lip, 408a, 408b)은 상기 치형과 체결되어 동작하도록 자유 단부들 각각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계측 밸브 조립체의 밸브 스템(118)은 스템 블록(412)에서 선반(410)상에 안착되는 폴-베어링 부재(204)의 베이스의 공차 구멍을 통하여 아래로 삽입된다. 이것은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조와는 상이하다. 이러한 차이는 본질적으로 구동 메커니즘의 측면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동작 시에,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폴-베어링 부재(204)는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치형-베어링 부재(206)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편의를 위하여, 상기 폴-베어링 부재(204)의 상하향 운동은 각각 '카운트 행정' 및 '복귀 행정'으로 지칭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며 카운트 행정 동안에만 카운트가 일어나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카운트 행정, 복귀 행정, 및 양 행정들의 조합 동안에 카운트가 일어날 수 있음이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카운트 행정 동안의 구동 메커니즘의 연속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도 5a에서, 상기 폴-베어링 부재는 돌출 블럭(510)에 의해 치형 상에 안착된다. 상기 폴-베어링 부재 상의 상향 힘은 일단 치형(502)의 수직면(512)와 제1 (상부) 폴(402a)의 립(408a) 사이에 마찰 체결을 가져온다. 이러한 작동은, 제2 (하부) 폴(402b)의 립(408b)이 치형(도 5b의 506)의 하부의 경사면(514)에 연결될 때까지, 상기 폴-베어링 부재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측으로 가이드한다. 그 결과, 립(408b)이 도달하고 치형(506)의 정점(516)을 지날 때까지(도 5c 및 5d 각각에 도시) 진행되는 상향 대각선 운동이 나타나게 된다. 동시에 제1 (상부) 폴(402a)은 치형(도 5c의 502)을 지나서 립(408a)이 통과하도록 약간 내측으로 만곡된다. 파선은 운동 방향을 나타낸다.

    도 6a 내지 6d는 복귀 행정 동안에 구동 메커니즘의 연속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마찬가지의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도 5d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도 6a에서, 제1 (상부) 폴(402a)은 그것이 상부의 치형(502)의 경사면(518)에 마찰 체결될 때까지 수직 하향으로 이동하여, 하향 대각선 운동이 나타나게 된다. 도 6b에서, 립(408a)은 추가적인 하향면(518)으로 진행하여, 블럭(510)은 치형(504)의 상부의 경사면(520)에 연결된다. 이 때, 제2 (하부) 폴(402b)은 립(408b)이 치형(504)을 통과하도록 약간 내측으로 만곡된다. 이것은 폴-베어링 부재가 치형 상에 다시 안착되게 될 때까지(도 6c, 6d) 진행된다. 도 6d는 도 5a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데, 단지 하나의 치형에 의해 치형(506)으로부터 치형(504)까지 회전되어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도 4b는 폴들(402a, 402b) 및 립들(408a, 408b)의 측면 형상을 도시한다. 각각의 립은 립(408)의 구동 체결 시에 치형과 접촉하는 구동 체결 면(440)을 포함한다. 각각의 립은 치형과 체결되지 않고 립(408)이 치형에 접촉되어 들어올려지게 하는 슬라이딩 체결 면(430)도 포함한다. 큰 화살표는 행정들 중 하나에서 치형과 접촉하는 폴 립들의 표면을 표시한다. 반대 면들(화살표 없이 도시)은 다른 행정 시에 치형과 접촉한다. (도면에서 수직 축에 대하여 립의 슬라이딩 체결 면(430)의 경사각이 되는) 각도(γ)는, 립(408b)이 치형에 체결되었을 때(즉, 구동 체결 면(440a)이 치형과 접촉하여 체결되어 구동될 때), 립(408b)이 들어올려져서 치형 위로 올라가기에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15도 보다 큰 각도가 바람직하다. 15도 미만의 각도라면 폴은 치형 위로 들어올려지지 않을 수 있다.

    도 7a는 치형(210)의 링이 폴-베어링 부재(204)의 보어 내에 위치되는 치형-베어링 부재의 외향 면 상에 배치되는 구동 메커니즘(205)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2개의 폴들(402a, 402b)은 본체의 절개 부분에 의해, 폴-베어링 부재(204)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각각의 폴은 폴-베어링 부재(204)의 환상형 평면에서 치형(210)의 링을 향하여 연장되는 2개의 아암들을 포함한다. 제2 폴(402b)은 제1 폴(402a)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립(408a, 408b)은 2개의 아암들이 치형과 연결되어 작동되도록 만나게 되는 지점으로부터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7b는 폴들(402a, 402b)의 측면 프로파일(profile)을 도시한다. 도 4b의 도면부호는 도 7b의 도면부호에 대응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서 수직으로부터 슬라이딩 체결 면(430)의 각도인 각도(γ)는 슬라이딩 체결 면(430)이 들어올려져서 치형(미도시) 위로 올려지도록 충분히 크게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각도는 15도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는 약 45도이다. 제1 폴(402a)의 배향은 도 4b에 도시된 것과 반대일 수도 있다. 체결된 폴(즉 치형에 구동 체결된 폴)은 체결 시에 치형이 형성된 면을 향하여 폴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받게 됨이 이해될 것이다.

    동작 시에,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치형-베어링 부재(206)는 상하로 이동하여(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의 작동에 의해 구동됨), 폴-베어링 부재(204)는 치형-베어링 부재(206)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편의를 위하여, 치형-베어링 부재(206)의 상하 운동은 각각 '카운트 행정' 및 '복귀 행정'으로 지칭될 것이다.

    도 8a 내지 8d는 카운트 행정 시에 바람직한 구동 메커니즘의 연속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도 8a에서, 치형-베어링 부재 및 폴-베어링 부재는 정지되어 있다. 폴 베어링 부재의 내측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슬립-방지 바(450)는 폴-베어링 부재의 카운트되지 않는 회전(즉, 카운트 시에 폴-베어링 부재의 그것과 반대방향으로 폴-베어링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치형과 일렬로 되어 체결 위치에 놓인다. 슬립-방지 바(450)는 폴-베어링 부재의 블럭킹 운동에 의해 카운트되지 않는 방향으로 폴-베어링 부재와 치형-베어링 부재 사이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는 폴-베어링의 내측면으로부터 치형까지 충분히 연장되지만, 치형-베어링 부재의 외측면까지는 아니다.

    치형-베어링 부재에 가해지는 상향 힘은 초기에는 치형(502)의 경사면(512)에 립(408a)의 에지가 마찰 체결되게 하고 회전을 허용하도록 치형의 경로로부터 슬립-방지 바(450)를 이동시킨다. 치형-베어링 부재의 추가적인 상향 운동으로 인하여 폴-베어링 부재의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이 나타난다. 동시에, (도 7b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표면과 같이) 립(408b)의 내부 비-수직면은 치형(520)의 수직-비-선단 에지(522)에 접하여, 치형의 평면으로부터 폴(402b)을 들어올려, 폴(402b)이 체결 없이 치형 위로 올라가게 되는 것이 허용된다.

    폴-베어링 부재의 회전 운동은 립(408a)과 표면(512)이 더 이상 접촉하지 않게 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 부분에서, 립(408b)은 매끈해진 치형(520)을 갖고 폴 아암들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것으로 인하여 치형의 평면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치형-베어링 부재의 추가적인 상향 운동은 폴-베어링 부재의 회전에 더 이상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슬립-방지 바(450)에 유사하게 구성된) 제2 슬립-방지 바(452)는 폴-베어링 부재의 역회전(즉, 카운트되지 않는 회전)을 방지하도록 치형의 경로에 놓이게 된다.

    도 9a 내지 9d는 복귀 행정 동안의 구동 메커니즘의 연속적인 단면을 나타낸다. 도 8에서의 도면부호가 유사하게 사용된다.

    도 8d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도 9a에서, 치형 베어링 부재는 제1 폴(402b)이 치형(502)의 하부의 경사면(518)에 마찰 체결될 때(유사하게, 제2 슬립 방지 바(452)는 치형의 경로로부터 이동된다)까지 하강된다. 치형 베어링 부재의 추가적인 하향 운동으로 인하여 면(518) 및 립(408a)이 마찰 체결되는 이유로 폴 베어링 부재의 회전 운동이 일어나게 된다.

    면(518)은 립(408b)을 추가적으로 하향시킨다. 동시에, 립(408b)의 내부 비-수직 표면은 치형의 수직한 비-선단 에지와 접촉하여, 폴(402a)은 상기 치형의 평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고 폴(402a)은 체결 없이 상기 치형 위로 올라가게 된다.

    폴 베어링 부재의 회전 운동은 립(408b)및 표면(518)이 더 이상 접촉하지 않게 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 부분에서, 립(408a)은 폴 아암들이 탄성 변형가능한 것에 기인하여 치형의 평면으로 올라가서 다시 떨어지게 되는 매끈하게 된 치형을 가지게 된다. 치형 베어링 부재의 추가적인 하향 운동은 폴 베어링 부재의 회전에 더 이상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제1 슬립 방지 바(450)는 폴 베어링 부재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치형의 경로에 다시 놓여지게 된다.

    전술한 내용은 축 주위에서 폴 베어링 부재가 회전(즉, 전체적으로는 디스펜서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치형 베어링 부재가 회전하는 것도 동일하게 가능하다. 당연히, 치형인 치형 베어링 부재의 원주 주위의 어느 한 방향을 가리킬 수도 있다.

    2개의 체결(비록 이득이 있지만)에 의해 회전 변위가 수행되지 않으며, 수직 및 회전 운동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구동 메커니즘은 회전 운동만을 제공할 수도 있는데, 환언하면, 수직 운동 없이 사용될 수도 있다.

    카운터 메커니즘

    도 10 내지 19는 카운터의 다양한 모습들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카운터(203)는 제2 링 부재(201) 및 제1 링 부재(202)를 포함한다. 상기 링 부재들은 디스펜서의 컨테이너를 둘러싸는 중심축(214)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동축방향으로 배열된다. 제1 링 부재는 제2 링 부재의 상부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그들 외측 원주 표면들은 2개의 링 부재들이 만나는 헤어라인(hairline, 720)에 의해서만 간섭되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표면을 형성하도록 정렬된다. 구동 메커니즘의 폴-베어링 부재(205)는 제2 링 부재(201)에 일체로 된다.

    제1 행의 숫자들(701: '8', '9', '0', '1')은 제2 링 부재(201) 상에 표시되고, 제2 행의 숫자들(702: '0', '1', '2', '3', '4') 및 제3 행의 숫자(703: '1','1', '1')는 제1 링 부재(202) 상에 표시된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숫자의 일부만이 표시되었다. 아암(704)을 포함하는 결합 메커니즘(700), 일정하게 이격된 일련의 돌출부(705), 및 만곡부(1002)도 도시된다. 상기 결합 메커니즘으로 인하여 제2 링 부재(201)는 제1 링 부재(202)에 연결되어,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결합 시에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 같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격된 돌출부(705)는 제1 링 부재(202)의 내측면 상에 형성되고 이 경우에 축 주위에서 절반만큼만 연장된다.

    사용되는 카운트 방식에 따라, 복수의 아암 및/또는 만곡부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은 명확할 것이다. 그러나,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단지 하나의 아암 및/또는 만곡부가 이들 도면들에 도시되었다. 카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결합 메커니즘(700)은 상기 제2 링 부재의 상부 방사상 표면 주위로 일정하게 이격된 4개의 아암들(704)을 포함한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아암(704)은 제2 링 부재(201)의 상부 방사상 표면(804)의 리세스(recess)에 고정되어 놓이는 환상형 밴드(802)에 일체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아암(704)은 상부의 방사상 표면(804)에 직접 장착되거나 일체로 될 수 있다. 상기 아암(704)은 상기 제2 링 부재(201)와 거의 동일한 곡률로 아치형 연장되는 슬로팅된 본체(slotted body, 712)와 상향 연장되는 접촉 단부(710)를 갖는다.

    도 10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인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링 부재(202: 파선으로 도시)는 제2 링 부재(파선의 링 아래에서 보면 일부가 보이지 않는 블랭크 링으로 도시)의 상부 방사상 표면(804)의 외측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t2'로 표시된 제1 링 부재(202)의 두께는 't1'으로 표시된 제2 링 부재(201)의 두께의 1/3임이 명백하다. 제2 링 부재(201)의 두께는 그 높이에 따라서 일정할 수 있거나 테이퍼될 수 있으며, 그것의 상부 방사상 표면(804)에서 제일 두껍게 된다. 파선은 아암(704)과 상기 제1 링 부재(202)의 내측 표면(902) 상에 형성된 이격된 돌출부들(705) 사이의 가상 경계를 나타낸다.

    도 13 및 14는 결합 메커니즘의 동작 시에 사시도의 관점 및 평면도의 관점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3a 및 14a는 만곡부(1002)로부터 일정 거리의 아암(704)을 도시한다. 도 13b 및 14b 에서, 제2 링 부재(201) 및 아암(704)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아암(704)의 상향 연장 접촉 단부(710)는 만곡부(1002)에 접근하게 된다. 상기 만곡부(1002)는 컨테이너에 고정되거나 선택적으로 컨테이너를 둘러싸는 슬리브 및/또는 디스펜서의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만곡부는 아암의 본체(712)가 방해 받지 않고 하부로 통과하게 되도록 만큼만 하향 연장된다.

    상기 접촉 단부(710)가 상기 만곡부(1002)의 경사면(1004)에 도달하면, 상기 아암(704)은 외측으로 만곡된다(도 13c 및 14c). 이 부분에서, 상기 슬롯(714)의 후미 단부(718)는 치형(1102) 중 하나에 걸리게 되어, 제1 링 부재(202)는 이에 따라 당겨지게 된다. 상기 접촉 단부가 만곡부의 하향면(1006)으로 하강하면, 치형(1102)은 슬롯의 후미 단부에 의해 해제되며 상기 아암은 만곡되지 않은 위치로 복귀한다(도 13d, 14d).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704)의 상향 연장되는 접촉 단부(710)는 매끈한 만곡이 되도록 만곡부(1002)의 경사면(1004)에 상보적인 면(720)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단부(710)는 만곡부(1002)의 정점에 도달할 때 포인팅되며, 그에 따라 상기 아암은 만곡되지 않은 위치로 즉시 복귀되기 시작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롯(714)은 아암(704)의 체결 부분을 형성하지만, 적절한 체결 수단으로서 후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리세스가 돌출부들 대신에 상기 제1 링 부재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아암(704)은 체결 시에 방사상 외측으로(즉 돌출부들을 향하여) 만곡되도록 충분한 가요성을 가지지만, 원래 위치로 복귀하기에 충분한 탄성도 갖는다. 상기 카운터는 만곡되지 않은 위치로 체결 수단(예를 들어 아암(704))을 이동시키거나 만곡시키도록 작동하는 제2 만곡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2 만곡부는 제1 링 부재(202)의 내측면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링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제2 링 부재에 슬라이딩 되도록 장착되어, 아암과 치형 사이에 연결이 없을 때 회전에 저항하게 된다.

    200번의 주입량으로 구성된 카운터에 대한 예시적인 카운트 구조가 도 15a 내지 15c를 참조하여 설명되는데, 도 15a 내지 15c는 3개의 다른 디스플레이 위치들에 제2 및 제1 링 부재들이 놓인 것을 도시한다. 편의상, 상기 링 부재들(201, 202)는 평평한 링들로 도시된다. 돌출부들(705), 만곡부(1002), 카운터가 보여질 수 있는 윈도우(1202) 및 디스플레이 커버 요소(1204)가 도시된다.

    이러한 특정 구성에서, 제2 링 부재(201)는 4개의 반복되는 연속적인 '0' 내지 '9'의 정수를 포함하는 제1 행의 숫자를 아래와 같이 가진다.

    각각의 정수 세트는 제2 링 부재(201)의 1/4 회전을 커버하며, 카운트의 '일'단위 숫자를 나타낸다.

    제1 링 부재(202)는 제2 및 제3 행의 숫자를 가진다. 아래와 같이 제2 행은 '0' 에 의해 분리되는 2개의 반복되는 연속적인 '1' 내지 '9'의 정수를 포함하고, 반면에 제3 행은 10개의 '1'들, 선택적으로 다음에 '2'가 이어지는 정수 세트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행 및 제3 행의 각각의 정수 세트는 제1 링 부재(202)의 1/4 회전을 커버한다. 여기서 제2 행은 '십'단위를 나타내며, 제3 행은 카운트의 '백'단위를 나타낸다. 상기 제2 링에서 '!' 표시로서 경고 표시가 존재한다.

    실제로, 처음에 제1 링 부재(202)를 회전시켜야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200'보다는 '199'로서 카운트를 시작하는 것이 보다 편리하다. 도 15a의 윈도우(1202)의 우측에 도시된 '200' 숫자를 형성하는 정수는 생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링 부재 및 상기 제1 링 부재는 처음에는 디스펜서의 하우징에서 정렬될 때, 제1, 제2, 및 제3 행들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읽을 경우) 숫자 '199' 를 협동하여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 기호는 블랭크 공간을 나타낸다.

    각각의 첫번째 9번 분배된 주입량에 있어서, 제2 링 부재는 숫자 '190'이 표시될 때까지 '9' 로부터 '0'으로 카운트함으로써, 증가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열번째 분배된 주입량에서, 제1 및 제2 링 부재들은 결합 메커니즘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링 부재들은 증가되면서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윈도우(1202)를 통하여 숫자 '189'가 표시된다. 후속하여 9개의 분배된 주입량에 있어서, 제2 링 부재는 숫자 '180'이 표시될 때까지 증가에 의해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20번째 분배된 주입량에 있어서, 결합 메커니즘은 다시 연결되어, 제2 링 부재 및 제1 링 부재는 증가하면서 같이 회전하고 윈도우(1202)를 통하여 숫자 '179'가 표시된다.

    도 15b는 중간 카운트 위치를 도시하는데, 여기에서는 숫자 '72'가 표시되고 있다. 이 위치에서, 제3 행은 다 소모되어 블랭크 공간이 대신에 나타난다. 선택적으로, 상기 블랭크 공간은 색상과 같은 숫자와 다른 표시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가 소진되어 감에 따라, 예를 들어 아래 10개의 주입량이 남아 있을 때, 제2 행의 숫자는 감탄사 표시 '!' 또는 다른 경고 표시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한 바람직한 경고 표시는 (예를 들어 적색과 같은) 색상들이다. 일단 최종 주입량이 디스펜싱되면(도 15c), 제1 링 부재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 커버 부재(1204)는, 상기 윈도우(1202)와 정렬되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어떠한 표시부로부터도 나타나게 된다. 상기 커버는 예를 들어 "비어있음(EMPTY)"의 단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의 추가적인 구동들은 여전히 제2 링 부재(201)의 회전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치형이 상기 제1 링 부재(202) 주위의 1/2에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 메커니즘은 더 이상 체결될 수 없어서, 즉 아암의 슬롯이 체결될 치형이 없다. 따라서 제1 링 부재(202)는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부재(1204)는 상기 제2 링이 디스펜서의 추가적인 작동에 의해 여전히 회전하게 되더라도 일정 위치에 남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돌출부들(예를 들어, 치형)은 일정하게 이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링 부재 주위를 3/4의 방향으로(예를 들어 약 270도)만 연장되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링 부재의 단지 1/4 내지 1/2 방향으로(예를 들어 약 90도, 108도, 또는 180도 또는 그 사이의 각도) 연장된다.

    상기 만곡부들 및/또는 아암들의 숫자(도 15에 미도시)는 실행되는 카운트 조건에 따라 결정됨이 명백할 것이다. 도 15에서, 예를 들어, 제2 링 부재(201)가 '0' 내지 '9' 의 연속되며 반복되는 4개의 정수 세트를 포함하는 제1 행의 숫자들을 가져서, 각 세트는 제2 링 부재(201)의 1/4 회전을 커버하며, 하나의 만곡부(1002)가 제공되면, 카운터는 90도 간격으로 이격된 4개의 아암들을 가지게 될 것이다. 물론 다른 구성들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링 부재(201)가 '0' 내지 '9' 의 연속되며 반복되는 2개의 정수 세트를 포함하는 제1 행의 숫자들을 가져서, 각 세트가 제2 링 부재(201)의 1/2 회전을 커버하고, 하나의 만곡부(1002)가 제공된다면, 상기 카운터는 180도 간격으로 이격된 2개의 아암을 가지게 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이격된 간격의 하나의 아암과 복수의 만곡부들(1002) 또는 복수의 아암과 만곡부들을 갖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카운터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사시도들이다. 도 2 및 도 3에 대비하여, 치형-베어링 부재가 아닌 폴-베어링 부재는 제2 링 부재(201)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16에서는 제3 행의 숫자(703)를 따르는 색상 스트립이 보여진다. 도 17은 어떻게 카운트('119')가 디스펜서의 하우징(1402)의 윈도우(1202)를 통하여 보여질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제한 메커니즘

    도 18a 내지 18c는 국제특허공개공보 제WO2010/103315호에 설명된 카운터의 일부를 도시한다. 상기 카운터의 경우, 제1 링 부재(1510)는 전술한 바와 같이(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축(214)에 대하여 제2 링 부재(201)에 회전가능하고 동축방향으로 배열된다. 국제특허공개공보 제WO2010/103315호는 링 부재(1510)를 제2 링 부재로 설명하지만, 우리는 상기 용어를 여기에 사용된 언어와 일치하도록 수정하였다. 명확화를 위하여, 제2 링 부재(201)는 이러한 도면들에서 미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경우처럼, 상기 제1 링 부재는 상기 제2 링 부재의 상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고, 그 외측 원주방향 표면은 정렬되어서 2개의 링 부재들이 만나는 헤어라인(hairline)에서만 간섭되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표면이 형성된다. 구동 메커니즘의 폴-베어링 부재(205)는 상기 제2 링 부재(20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카운터는 상기 제1 링 부재(1510)에 동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제3 링 부재(1502)를 추가로 구비한다. 사용 시에, 상기 제3 링 부재는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제3 링 부재는 도 13 및 도 1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1 링 부재(1510)의 내측 표면 상에서 돌출부들(1516)과 체결되도록 상기 제2 링 부재(201) 상의 아암(704)을 만곡시키는 만곡부(150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링 부재는 아암(704)이 외측 방향으로 만곡시킬 수 있도록 그것의 외측 벽 내에 간격(1518)을 갖는다. 상기 윈도우(1518)의 후단 경계 상의 경사진 에지는 상기 치형(1516)에 아암이 체결된 후에 상기 치형(1516)으로부터 아암(704)을 밀어내기 위하여 아암(704)의 에지에 체결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10개의 (제2) 링의 원하지 않는 추가적인 체결(정확하지 않은 주입량 값의 표시로 귀결됨)이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3 링 부재(1502)는 상기 제2 링 부재(1510)의 상부 원주방향 표면에 압력을 가하는 가요성이 있으면서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제한 메커니즘(1506)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상기 제3 링 부재에 대하여 제1 링 부재의 회전량을 제한한다. 특히,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상기 아암이 적절하게 분리되는데 실패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링 부재가 2개의 돌출부들(또는 카운트들)에 의해 부정확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링 부재(1510)는 상기 제3 링 부재(1502)의 제한 메커니즘(1506)에 체결되도록 상부 원주방향 표면상에 복수의 돌출부들(151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들(1512)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이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들(1512)은 제1 링 부재의 내측 표면 상에서 돌출부들(151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격 간격을 갖는다.

    도 13 및 도 14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링 부재 및 제1 링 부재가 결합될 때, 상기 제1 링 부재는 제2 링 부재와 동일한 속력으로 회전한다(제2 링 부재 및 제1 링 부재가 분리될 때까지). 상기 돌출부들(1512)을 (제2 링 부재와 제1 링 부재 사이에서 결합 메커니즘의 일부를 형성하는) 돌출부들(151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이러한 구조는 아암이 적절하게 분리되지 않아서 부정확한 카운트를 표시하더라도 제1 링 부재가 요구되는 것보다 추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3 링 부재는 상부 원주방향 표면에 복수의 배치 리세스들(locating recesses, 1508a, 1508b, 1508c)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형상의 돌출부들은 일정 위치에 상기 제3 링 부재를 유지하도록 이들 리세스들 내에 배치되어 결국 제3 링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들은 컨테이너 또는 디스펜서(예를 들어, 디스펜서 캡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링 부재가 회전하기 않게 함으로써, 상기 만곡부(1504)는 상기 제2 링 부재 및 제1 링 부재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에 남게 된다.

    컨테이너 또는 디스펜서에 위치된 복수의 대응-형상 돌출부들은 키잉 기능(keying function)을 제공하도록 비대칭적인 패턴으로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링 부재는 상기 컨테이너 및 디스펜서에 대하여 1회전 위치에서 위치될 것이며, 따라서 제2 및 제1 링 부재들에 위치될 것이다. 상기 제3 링 부재는, 카운트가 정확하게 등록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2 링 부재와 제1 링 부재에 대하여 항상 정확하게 위치된다.

    상기 제1 링 부재(1510)는 비어 있는 디스펜서를 표시하도록 카운트가 0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제1 표시부(도 15를 참조하여 전술함)의 시야를 방해하도록 디스플레이 커버 부재(1514)도 추가로 포함한다.

    도 19a 내지 19b는 제1 링 부재가 없는 제3 링 부재를 도시한다. 도 18에 대응하는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제3 링 부재(1502)와 관련하여 전술한 제한 메커니즘(1506)은 항상 상기 제1 링 부재의 과회전 또는 역회전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제한 메커니즘(1506)은 수직 방향(즉, 카운터 링들 및 디스펜서의 세로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동하는데, 다시 말해 제한 메커니즘(1506)의 가요성 및 탄성 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압력을 인가하고 수직 방향으로 변형되어 제한 메커니즘으로 작동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그러나, 수직 경로 내 또는 작동하는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제조 공차들이 더해져 수용 가능한 값을 넘어서게 되었다. 그에 따라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제1 링 부재의 회전을 항상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더욱 신뢰성 있는 작동을 제공할 수 있는 개선된 제한 메커니즘에 대한 요구를 이해하였다.

    이제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개선된 제한 메커니즘이 설명될 것이며, 도 20a 내지 도 20d는 본 발명의 제한 링 부재의 사시도들이고, 도 21은 도 20a 내지 도 20d의 제한 링 부재와 함께 수행되도록 적응된 카운터 링 부재(예를 들어, 제1 링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22a 내지 도 22c는 도 21의 카운터 링 부재와 결합된 도 20a 내지 도 20d의 제한 링 부재의 사시도들이다.

    카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링 부재(1610)는 전술한 바와 같이(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축(214)에 대한 제2 링 부재(201)와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동측으로 배열된다. 명확성을 위해, 제2 링 부재(201)는 이들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았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1 링 부재는 제2 링 부재의 상부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그들 외측 원주 표면들은 2개의 링 부재들이 만나는 헤어라인(hairline)에 의해서만 간섭되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표면을 형성하도록 정렬된다. 구동 메커니즘의 폴-베어링 부재(205)는 제2 링 부재(201)에 일체로 된다.

    카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카운터는 제1 링 부재(1610)와 동축으로 배열된 제한 링 부재(1602)를 더 포함한다. 제한 링 부재(1602)는 제1 링 부재(1610)의 정상(atop)에 안착하고, 제한 링 부재(1602) 상의 에지(1650)는 제1 링 부재(1610)의 에지(1652)에 접촉하고 놓여 있다.

    사용 시에, 제한 링 부재(1602)는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제한 링 부재는 도 13 및 도 1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1 링 부재(1610)의 내측 표면 상에서 돌출부들(1616)과 체결되도록 제2 링 부재(201) 상의 아암(704)을 만곡시키는 만곡부(160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한 링 부재는 아암(704)이 외측 방향으로 만곡시킬 수 있도록 그것의 외측 벽 내에 간격(1618)을 갖는다. 상기 윈도우(1618)의 후단 경계 상의 경사진 에지는 상기 치형(1616)에 아암이 체결된 후에 상기 치형(1616)으로부터 아암(704)을 밀어내기 위하여 아암(704)의 에지에 체결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10개의 (제1) 링 부재의 원하지 않는 추가적인 체결(정확하지 않은 주입량 값의 표시로 귀결됨)이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한 링 부재(1602)는 제1 링 부재(1610)에 대해 방사상으로(내측으로 및/또는 외측으로) 작동하도록 배열된 체결 부분(1620)을 포함하는 제한 메커니즘(1606)을 더 포함하며, 제1 링 부재와 접촉하여, 동축성 축 주위에서 제한 부재에 대한 제1 링 부재의 자유 회전이 제한된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부분(1620)은 치형이다.

    상기 제한 메커니즘의 목적은 제1 링 부재의 자유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링 부재가 카운트를 등록하도록 구동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링 부재가 과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카운트 동안의 상기 제1 링 부재의 과회전은 정확하지 않은 주입량 값의 표시로 귀결된다. 또한,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역 카운트 방향으로의 자유 화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이 역시 정확하지 않은 주입량 값의 표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역 카운트 방향으로의 자유 회전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역 카운트 방향으로의 임의의 회전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부분(1620)은 베이스 또는 패널(1622) 상에 위치된다. 패널(1622)의 일 단부는 위치(1626)에서 제한 링 부재(1602)에 고정된다. 패널(1622)의 다른 단부는 플로팅 단부(floating end)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은 위치(1626)에서 제한 링 부재(1602)에 가요성있게 고정되고, 그에 따라 상기 패널의 상기 플로팅 단부는 상기 제1 링 부재에 대해 방사상으로 흔들릴(swing)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플로팅 단부는 상기 제1 링 부재에 대해 내측으로 그리고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부분(1620)은 상기 패널의 플로팅 단부에 위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플로팅 단부의 방사상의 이동에 의해 상기 체결 부분이 상기 제1 링 부재의 표면에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분(1620)은 제1 링 부재(1610)의 내측 또는 외측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부분(1620)은 제1 링 부재(1610)의 내측 표면에 접촉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링 부재(1610)의 내측 표면에는 체결 부분(1630)도 제공되며, 상기 체결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한 메커니즘의 체결 부분(1620)과 협업하도록 모양진 복수의 치형들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 부분 치형(1630)은 바람직하게는 톱-치형 형성의 모양인 치형 또는 래칫 치형(ratchet teech)이다.

    디스펜서가 사용중이지 않는 경우(즉, 카운트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체결 부분(1620)은 제1 링 부재(1610)의 이웃 치형(1630) 사이에 정지된다.

    제1 링 부재(1610)가 카운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요구되면(즉, 만곡부(1604)가 도 13 및 도 14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1 링 부재(1610)의 내측 표면 상의 돌출부들(1616)와 체결되는 제2 링 부재(201) 상의 아암(704)을 만곡시키는 경우 카운트가 등록됨), 체결 부분(1620)은 치형(1630)의 표면 위로 올라간다. 그에 따라, 베이스(1622)는 지점(1626)에서 만곡되어 체결 부분(1620)이 상기 제1 링 부재 이웃 치형(1630)의 다음 쌍 사이로 내려올 때까지 상기 치형의 높이가 수용된다. 지점(1626)에서의 베이스(1622)의 만곡에 탄성이 있기 때문에, 그리고 체결 부분(1620)과 치형(1630)의 표면 사이에 마찰 접촉이 있기 때문에, 제1 링 부재(16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체결 부분(1620)과 치형(1630) 사이의 마찰력들보다 큰 힘이 필요하다. 이는 제2 링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 달성되며, 이는 교대로 제1 링 부재를 구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마찰력들은, 상기 제1 링 부재의 자유 화전을 제한하여, 상기 제1 링 부재가 자유롭게 회전하지 못한다.

    따라서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 구동되는 제2 링 부재(201)의 회전은 상기 제1 링 부재(1610)가 일 증가에 의해 회전하는 것만을 야기할 수 있다. 치형(1630)이 래칫 치형 또는 톱-치형 모양의 치형이기 때문에, 역 카운트 방향에서의 치형(1630)의 표면의 기울기의 각도는 순 카운트 방향에서의 치형(1630)의 표면의 각도보다 더 크다. 따라서, 더 가파른 기울기의 치형(1630)이 체결 부분(1620)과 접하여 상기 제1 링 부재의 역 카운트 방향에서의 회전이 방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치형(163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및 제1 링 부재들 사이의 결합 메커니즘 내 돌출부들(1616) 사이의 간격의 절반이다. 그에 따라, 각각의 돌출부(1616)에 대해, 체결 부분(1620)은 순방향으로 2개의 치형(1630)을 이동한다. 물론, 당해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치형(1630) 사이의 간격이 돌출부들(1616) 사이의 간격보다 절반 이상이거나 이하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치형(1630) 사이의 간격은 1:1일 수 있고, 그것은 1/3, 1/4, 또는 1/5과 같이 더 작을 수도 있다.

    또한, 제한 메커니즘은, 베이스 또는 패널(1622)로부터 투사되는, 아암(1624)의 형태인 가이드(guide)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암(1624)의 목적은 체결 부분(1620)의 제1 링 부재(1610) 상의 체결 부분(1630)과의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아암(1624)은 체결 부분(1620)에 대해 고정 배열되고(다시 말해, 고정된 거리로 떨어지고), 상기 아암은 제1 링 부재(1610)의 반대 표면 상에서 체결 부분 치형(1630)과 접촉한다. 따라서, 도면들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아암(1624)은 제1 링 부재(1610)의 외측 표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위치된 경우, 상기 제1 링 부재는 도 22a 내지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1624)과 체결 부분(1620) 사이에 안착된다.

    제1 링 부재에 대해 방사상으로 작동하는 제한 메커니즘(1606)을 사용함으로써, 이전 형태의 제한 메커니즘(1506)과 연관된 수직 방향에서의 제조 공차들과 관련한 문제들이 경감된다. 제조 공차들 모두가 수직 방향으로 더해지는 것 대신에, 개량된 제한 메커니즘(1606)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제조 공차들은 제1 링 부재(1610)의 방사상 치수들 및 제한 메거니즘(1606) 자체의 제조와 관련된 것들뿐이다. 그에 따라 더욱 신뢰성있는 제한 메커니즘의 동작이 경험된다.

    나아가, 고정된, 가요성 단부(1626)로 인해 방사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베이스(1622) 상의 체결 부분(1620)으로부터 고정된 거리에서 가이드 아암(1624)을 제공함으로써, 체결 부분(1620)은 더욱 신뢰성있게 제1 링 부재를 추적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체결 부분(1620)이 제1 링 부재(1610) 상의 체결 부분 치형(1630)과 접촉하는 것이 보장된다. 다시 말해, (예를 들어 상기 제1 링 부재와 상기 제한 링 부재 사이에 임의의 방사상 활동(play)이 있는 경우) 제1 링 부재(1610)의 방사상 방향의 움직임은, 상기 제1 링 부재가 외측으로 방사상 이동할 때 아암(1624)은 상기 제1 링 부재의 움직임 또는 상기 제1 링 부재가 가질 수 있는 임의의 윤곽들을 따라갈 것이기 때문에, 그리고 체결 부분(1620)은 상기 제1 링 부재가 내측으로 방사상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링 부재의 움직임을 따를 것이기 때문에, 체결 부분(1620)이 치형(1630)과 떨어지는 것을 야기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한 링 부재는 상부 원주방향 표면에 복수의 배치 리세스들(1608a, 1608b, 1608c)도 포함한다. 대응하는 형상의 돌출부들은 일정 위치에 상기 제한 링 부재를 유지하도록 이들 리세스들 내에 배치되어 결국 상기 제한 링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들은 컨테이너 또는 디스펜서(예를 들어, 디스펜서 캡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한 링 부재가 회전하기 않게 함으로써, 상기 만곡부(1604)는 상기 제2 링 부재 및 제1 링 부재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에 남게 된다.

    컨테이너 또는 디스펜서에 위치된 복수의 대응-형상 돌출부들은 키잉 기능(keying function)을 제공하도록 비대칭적인 패턴으로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한 링 부재는 상기 컨테이너 및 디스펜서에 대하여 1회전 위치에서 위치될 것이며, 따라서 제2 및 제1 링 부재들에도 배치될 것이다. 상기 제한 링 부재는, 카운트가 정확하게 등록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2 링 부재와 제1 링 부재에 대하여 항상 정확하게 위치된다.

    상기 제1 링 부재(1610)는 비어 있는 디스펜서를 표시하도록 카운트가 0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제1 표시부(도 15를 참조하여 전술함)의 시야를 방해하도록 디스플레이 커버 부재(1614)도 추가로 포함한다.

    비록 제한 메커니즘(1606)이 2개의 링 카운터 메커니즘(즉, 제2, 단위, 링 부재, 및 제1, 10개, 단위 링 부재)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그 대신에 단일 링 부재 카운터 메커니즘(즉, 단지 제2, 단위들, 링만을 사용함)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링 부재는 전술한 폴 메커니즘을 포함할 것이지만, 결합 아암들(704)을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또한 2개의 링 부재들 이상을 갖는 카운터 메커니즘, 예를 들어 3개 또는 4개의 링 카운터 메커니즘에도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상기 제한 메커니즘이 이전 제1 링 부재와 동축으로 배치된 제한 링 부재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제한 메커니즘은 디스펜서 내 용기(canister) 또는 디스팬서 캡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즉 제1 링 부재와 동축으로 배열된 제한 링 부재를 포함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음이 대안으로서 예견된다. 이 대안적인 구성에서, 제한 메커니즘(1606)은 제1 링 부재에 대해 고정 유지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대안적인 제한 메커니즘도 방사상으로 작동하고, 플로팅 및 고정 단부를 갖는 베이스 상에 배치된 체결 부분(1620)을 포함할 것이며, 이전 배열된 바와 같은 가이드 아암을 가질 것이다. 그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만곡부(1604)도 용기 또는 디스펜서 또는 디스펜서 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열될 필요가 있을 것이고 상기 제1 링 부재에 대하여 고정 위치에 유지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나아가, 비록 우리가 카운터의 관점에서 제한 메커니즘을 설명하였지만, 그러한 제한 메커니즘에 대한, 회전 부재의 자유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요구되는 다른 사용처들이 있을 것이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또는 제1 카운터 링 부재는 회전 부재로 교체된다.

    이 실시예는 정확한 잔존 주입량을 카운트하기 위해 상기 제한 링 부재가 제2 및 제1 링 부재들에 대하여 고정된 회전 위치들에 남아있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어서, 제한 링 부재는 표시를 포함하지 않고, 표시를 운반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음이 명백해질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 및 그들의 사용들에 관한 상기 설명에 의해 예시되었지만 이상의 설명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