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널카운터

申请号 KR1020070033582 申请日 2007-04-05 公开(公告)号 KR1020080090606A 公开(公告)日 2008-10-09
申请人 현대자동차주식회사; 发明人 임익중;
摘要 A panel counter is provided to prevent calculation error and disagreement by scraping up or down one side of stacked panels once with a bar equipped with a detection rod capable of counting the number of stacked panels. A grip(100) forms a hole(110) at one side, and a detection rod(200) is formed in a rod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grip. An elastic bearing(300) is placed at the inside of the grip including the detection rod and transfers movement, which occurs in a front part of the detection rod by external shock, to a rear part of the detection rod by elastic deformation. A movement control panel(400) is inserted into the rear part of the detection rod and restricts a moving angle of the detection rod. An operator(500) counts the number micro movement at the rear part of the detection rod by converting the micro movement of the detection rod into an electric signal. A display unit(600) is formed to the outside of the grip and visually represents the counted fine movement of the detection rod. The operator comprises an approach sensor generating an electric signal by detecting the micro movement of the rear part of the detection rod, a transistor, and a digital counter.
权利要求
  • 일측에 홀이 형성된 손잡이부와;
    일정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이 상기 손잡이부의 홀에 삽입되는 감지봉과;
    상기 감지봉이 삽입된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위치하며,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감지봉 전단부의 움직임을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감지봉 후단부로 전달하는 탄성베어링과;
    상기 감지봉 후단부에 삽입되며, 상기 감지봉의 유동각도를 제한하는 이동제어판과;
    상기 감지봉 후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감지봉의 미세움직임을 센서작동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미세움직임의 횟수를 계수하는 연산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외부에 마련되며, 상기 연산부를 통해 계산된 상기 감지봉의 미세움직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카운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감지봉 후단부의 미세움직임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근접센서와;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된 전기신호를 증폭시키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를 통해 증폭된 전기신호를 산술적으로 전환시키는 디지털카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카운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일측에는
    상기 연산부와 연결되어 카운트되는 숫자를 리셋 시키는 리셋스위치와;
    전원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파워스위치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카운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된 홀의 내주면에는 고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카운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봉은 연성이 적은 탄소공구강을 사용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소성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카운터.
  • 说明书全文

    패널카운터{Panel counter}

    도 1은 종래의 팔레트에 적재된 패널을 도시하는 도,

    도 2는 본 발명의 패널카운터를 도시하는 도,

    도 3은 본 발명의 패널카운터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패널카운터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손잡이부 110 : 홀

    200 : 감지봉 300 : 탄성베어링

    400 : 이동제어판 500 : 연산부

    60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패널카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장에 적재된 다수의 패널 수량을 확인하는 작업을 할 때, 패널의 수량을 파악할 수 있는 감지봉이 구비된 막대바를 이용해 적재된 패널의 일측을 긁어올리거나 긁어내림으로써, 패널 수량 확인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계산오류 및 불일치를 방지하기 위한 패널카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널의 프레스라인에서는 400~600장 정도의 많은 수량의 패널을 생산하여 적재하게 되는데, 성형된 패널을 적재할 때는 작업자 1인 또는 2인이 수작업을 통해 팔레트 위에 적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팔레트에 적재된 패널을 도시하는 도이다.

    종래에는 패널을 카운트할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된 패널(10)을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일일이 수량을 파악해야 했다.

    그러나 작업특성상 팔레트(20)에 일정한 수량의 패널(10)이 적재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상기 패널(10)이 상기 팔레트(20)에 과다적재 또는 과소적재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패널(10)의 수량을 파악하기 위해 카운트를 할 때, 팔레트(20)에 다수의 패널(10)이 적재되어 있으면, 작업자가 패널(10)의 수량을 육안으로 일일이 계산함에 따라 계수하면서 오류가 발생하게 되어 패널의 수량이 불일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된 패널을 한 번 긁어내리거나 긁어올리는 작업을 통해 다수의 패널 수량 파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작업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패널카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측에 홀이 형성된 손잡이부와; 일정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이 상기 손잡이부의 홀에 삽입되는 감지봉과; 상기 감지봉이 삽입된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위치하며,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감지봉 전단부의 움직임을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감지봉 후단부로 전달하는 탄성베어링과; 상기 감지봉 후단부에 삽입되며, 상기 감지봉의 유동각도를 제한하는 이동제어판과; 상기 감지봉 후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감지봉의 미세움직임을 센서작동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미세움직임의 횟수를 계수하는 연산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외부에 마련되며, 상기 연산부를 통해 계산된 상기 감지봉의 미세움직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패널카운터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패널카운터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패널카운터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패널카운터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패널카운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홀(110)이 형성된 손잡이부(100)와; 일정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이 상기 손잡이부(100)의 홀(110)에 삽입되는 감지봉(200)과; 상기 감지봉(200)이 삽입된 상기 손잡이부(100) 내부에 위치하며,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감지봉(200) 전단부의 움직임을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감지봉(200) 후단부로 전달하는 탄성베어링(300)과; 상기 감지봉(200) 후단부에 삽입되며, 상기 감지봉(200)의 유동각도를 제한하는 이동제어판과; 상기 감지봉(200) 후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감지봉(200)의 미세움직임을 센서작동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미세움직임의 횟수를 계수하는 연산부(500)와; 상기 손잡이부(100)의 외부에 마련되며, 상기 연산부(500)를 통해 계산된 상기 감지봉(200)의 미세움직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부(600)가 마련되어 적재된 패널을 한 번 긁어내리거나 긁어올리는 작업을 통해 다수의 패널 수량 파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작업효율성을 증대시키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패널카운터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와, 상기 손잡이부(100)에 일측이 삽입되는 감지봉(200)과, 상기 손잡이부(10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감지봉(2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탄성베어링(300)과, 상기 감지봉(20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이동제어판(400)과; 상기 감지봉(200)의 움직임을 산술적으로 계산하는 연산부(500)와, 상기 연산부(500)의 산술계산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부(600)로 이루어진다.

    손잡이부(100)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일측에 홀(110)이 형성된다.

    감지봉(200)은 일정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단부 일측이 상기 손잡이부(100)의 홀(110)에 삽입된다.

    이때 손잡이부(100)에 형성된 홀(110)의 내주면에는 고무링(120)이 구비되어 감지봉(200)이 삽입되고 난 후 상기 홀(110)과 상기 감지봉(200) 사이의 공간이 채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봉(200)은 연성이 적은 탄소공구강으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에 의한 소성변형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베어링(300)은 손잡이부(100)의 홀(110)에 근접한 내부에 마련되며, 감지봉(200)의 일측은 상기 손잡이부(100)에 삽입되면서 상기 탄성베어링(300)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베어링(300)은 감지봉(200)의 전단부가 적재된 다수의 패널(10)들을 상단에서 하단으로 또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긁게 됨으로써 상기 감지봉(200)에서 발생하게 되는 굽힘모멘트에 의한 충격횟수를 탄성력을 통해 상기 감지봉(200)의 후단부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탄성베어링(300)은 1차 충격 후 소정각도 이동하게 되는 감지봉(200)의 탄성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제어판(400)은 손잡이부(100)에 삽입된 감지봉(200)의 미세움직임에 대한 최대유동각도(A)를 제한하여 상기 감지봉(200) 후단이 연산부(500)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제어판(400)에 의한 감지봉(200)의 최대유동각도(A)는 수평을 기준으로 하여 2°~ 3°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동제어판(400)은 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어 감지봉(200)이 기준으로부터 3°이상 이동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충돌하여 막음으로써, 장비를 보호하는 동시에 신속하게 응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신뢰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부(500)는 손잡이부(10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부(100)에 삽입되는 감지봉(200) 후단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감지봉(200)의 미세움직임을 센서작동을 통해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감지봉(200)의 이동 횟수를 산술적으로 계산하게 된다.

    이때 연산부(500)는 감지봉(200) 후단부의 미세움직임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근접센서(510)와, 상기 근접센서(510)로부터 감지된 전기신호를 증폭시키는 트랜지스터(520)와, 상기 트랜지스터(520)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산술적으로 전환시키는 디지털카운터(5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근접센서(510)는 분극현상을 이용한 정전기 센서를 사용하며, 감지 봉(200) 후단부의 미세움직임에 의해 정전유도현상이 일어나게 되면서 발생하는 '+'신호와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520)는 근접센서(510)로부터 감지되는 연속적인 미세 전기신호를 증폭시키게되며, 디지털카운터(530)는 상기 트랜지스터(520)로 증폭된 전기신호의 변화를 수량으로 전환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600)는 손잡이부(100)의 외부에 마련되며, 연산부(500)를 통해 계수된 감지봉(200) 전단부의 외부 충격 횟수를 숫자로 표현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600)는 연산부(500)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손잡이 내부에는 소량의 전원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연산부(5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6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디스플레이부(600) 일측에는 연산부(500)와 연결되어 카운트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숫자를 리셋 시킬 수 있는 리셋스위치(610)와, 전원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는 파워스위치(620)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된 다수의 패널(10)에서 패널(10)과 패널(10) 사이에는 3mm ~ 10mm 정도의 틈새가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패널카운터의 감지봉(200)을 적재된 패널(1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긁어내리거나, 하단에서 상단으로 긁어올리게 된다.

    그 결과, 감지봉(200)으로 패널(10)을 긁음으로써 상기 감지봉(200) 전단부에서 충격력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감지봉(200)이 초기상태보다 수평기준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게 되며, 상기 회동각도는 이동제어판(400)에 의해 일정각도 이내로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때 감지봉(200)에 발생된 충격력은 탄성베어링(300)을 통해 상기 감지봉(200) 끝단에 미세움직임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감지봉(200) 후단부에는 연산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감지봉(200) 끝단에 발생된 미세움직임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며, 변환된 전기신호를 증폭시켜 산술적으로 변환하도록 한다.

    그리고 연산부(50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부(600)는 손잡이부(100) 외부에 마련되며, 감지봉(200) 전단부와 적재된 패널(10)사이의 충격횟수를 상기 연산부(500)를 거쳐 숫자로 변환하여 표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패널카운터는 적재된 다수의 패널을 긁어내리거나 긁어 올림으로써 감지봉에 전달되는 충격횟수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숫자로 표현함으로써, 패널의 수량 파악 시 발생하는 셈 오류를 방지하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적재된 패널을 한 번 긁어내리거나 긁어올리는 작업 을 통해 다수의 패널 수량 파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작업효율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