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

申请号 KR1020130165294 申请日 2013-12-27 公开(公告)号 KR101458853B1 公开(公告)日 2014-11-07
申请人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发明人 김현욱;
摘要 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는 주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 중 입자의 정전기를 중화하여 제거하는 정전기 제거장치; 정전기 제거장치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정전기 제거장치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인 챔버; 및 챔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챔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챔버를 통과하는 공기 중 입자를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석면의 특징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와 연동하여 이미지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부의 석면의 특징 정보를 참고하여 석면 섬유를 판단하는 패턴 이미지 검출부와, 석면 섬유를 계수하여 송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석면 계수장치를 현장에 설치하고 실시간으로 석면의 농도를 관측하고 감시하여 유해한 석면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权利要求
  • 주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 중 입자의 정전기를 중화하여 제거하는 정전기 제거장치;
    상기 정전기 제거장치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정전기 제거장치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인 챔버; 및
    상기 챔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챔버를 통과하는 공기 중 입자를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석면의 특징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와 연동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석면의 특징 정보를 참고하여 석면 섬유를 판단하는 패턴 이미지 검출부와, 상기 석면 섬유를 계수하여 송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
    를 포함하는 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출력단에 설치되고, 챔버를 통과한 공기 중 섬유의 끝단을 음극과 양극으로 대전시키고 대전된 섬유의 극성을 교차하는 방식으로 레이저를 통과시켜 극성과 전기장에 평행 정렬되어 섬유를 계수하는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
    를 더 포함하는 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 또는 상기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는 섬유의 길이가 5㎛ 이상이고 길이 대 지름의 비가 3:1 이상인 경우에 석면 섬유로 판단하여 계수하는 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의 출력단에 설치되고, 공기를 가열하는 장치로 상기 주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석면 이외에 물질을 태워 증발시키는 에어히터;
    상기 에어히터의 출력단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히터에서 가열된 공기를 일정 온도로 냉각시키며, 출력단에 상기 정전기 제거장치를 연결하는 냉각 및 응결장치
    를 더 포함하는 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이미지 검출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석면 샘플 이미지와 비교한 섬유 결과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섬유 결과 정보를 기초로 섬유의 끝단이 뚜렷한 경우, 석면 섬유로 각각 계수하며, 각 섬유의 끝단이 뚜렷이 보이지 않는 경우, 한 개로 계수하는 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는 출력단에 설치된 필터밸브와, 상기 필터밸브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석면을 포집하는 석면필터와, 상기 석면필터의 후단에 설치되어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센서와, 상기 유량센서의 출력단에 설치된 펌프, 상기 펌프의 출력단에 설치된 배출구(Outlet)
    를 더 포함하는 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와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에서 석면이 계수되었는지 판단하여 상기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와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에서 석면이 계수되면 석면 계수 및 이에 따른 농도값을 계산하여 상기 송신부를 통해 무선 방식으로 외부로 전송하는 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
  • 삭제
  • 说明书全文

    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Real Time Asbestos Fiber Counting Apparatus Using Light Scattering and Image Patten Recognition}

    본 발명은 석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석면을 자동적으로 계수하는 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면이 함유된 건축물에 대한 해체 및 보수 작업이 늘어나면서 석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석면함유 건축물 해체 및 보수 작업에 대한 법적인 규제가 강화되면서 비용 효율적인 석면 분석법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석면(아스베스토)이란 천연석으로 생산되는 광물군 중에서 높은 항장력과 유연성을 지닌 견사 모야의 특이한 광택을 나타내는 섬유상 집합을 이루는 것의 속칭으로서, 길고(Long) 가늘고(Thin) 강한(Strong) 섬유로 쉽게 갈라지고 천으로 직포할 수 있으며, 내열성, 불활성, 절연성이 있어 불연소성, 내 전도성, 화학적 불활성이 요구되는 곳에 흔히 쓰인다.

    석면은 종류가 다양하여 30가지가 넘는다고 하나 일반적으로 사문석 계통인 백색면과 각섬석 계통인 청석면과 갈석면 등 3가지가 상업적으로 중요하며, 세계적으로 생산량의 95%이상을 백석면이 차지한다.

    대부분의 석면은 건축자재와 자동차 부품, 섬유제품 등으로 소비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석면은 섬유 형태가 가늘고 날카로우며 매우 뻣뻣하고 특히, 체내 보존성이 높아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이 매우 높아 극히 제한된 취급자만이 다룰 수 있다.

    석면은 그 사용 및 제거, 폐기물 처리에 관한 엄격한 제도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석면을 장기간 흡입하게 되면 폐암, 악성중피종, 석면폐 등의 직업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석면을 법령에 의해 독성지정폐기물로 지정되어 발효 되었으나, 현재로서는 단체 및 기관의 단속이 거의 없으므로 석면관련 근로자 및 국민 다수가 생명에 위협을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특히, 대중이 이용하는 지하철 구간이나 학교 및 기간 시설 등의 석면 부유량이 규정치의 수십 배에 달하는 등 기 살포되어 있던 석면의 제거 공사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철거 및 해체 건물 공사시에도 석면이 살포된 건축 폐기물은 일반건축폐기물과 엄격하게 분류하여 별도로 매립하여야 하나 대부분의 공사장에서 일반건축물과 함께 폐기 처분하는 폐해가 잇따르므로 2차 공해를 유발시키고 현장 작업자와 주 변 주민들의 건강에 치명적인 위협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노동부 법에서는 유해성이 입증된 석면의 사용을 규제 또는 관리토록 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석면을 포집하는 석면 포집장치를 해외 또는 국내에서 도입하여 측정하고 있는데 지금껏 사용자가 현장에서 설치하고 해당 위치에 대기하고 있다가 포집이 끝나면 필터를 회수하여 분석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석면을 포집하여 측정하는 측정 장소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 및 범위에 따라 하루 만에 끝나는 경우도 있지만 철거 또는 해체 작업시 일주일 또는 그 이상 일정한 시간을 두고 연속해서 측정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석면 포집은 작업자가 연속해서 현장을 방문하여 설정과 필터의 교환 및 회수, 장비의 재충전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이 상당하게 소요되어 매우 불편하고, 비합리적이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포집된 석면의 측정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의 석면 포집 측정법은 작업자가 석면 샘플러를 가지고 이동하여 석면 필터의 여과지에 현장의 공기를 샘플링하여 담은 후 2차 오염이 되지 않도록 조심히 취급하여 복귀한 이후에 분석 담당 분석자가 여과지를 전처리 과정을 거쳐 투명하게 하며 현미경 분석법으로 분석을 하여 등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분석 시간이 소요된다.

    전처리 과정은 (1) 슬라이드글라스와 커버 글라스를 깨끗이 닦고, 아세톤 증기 화 장치 안에 아세톤을 40~60mL를 넣은 후 60~70℃ 정도로 가열하며 아세톤 증기화 장치를 서서히 가열하여 아세톤을 끓인다. (2) 여과지의 25% 정도를 수술용 칼로 찢어지지 않도록 구르듯이 잘라 먼지가 있는 면이 위로 가도록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놓고, 깨끗이 닦아놓은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절단한 여과지를 분진이 위로 향하도록 올려놓으며, 슬라이드글라스 위의 여과지를 아세톤 증기가 발생하는 곳에서 약 1~2cm 정도 앞에서 2~5초간 증기를 쏘이면 여과지가 투명하게 된다.

    이어서, (3) 마이크로 피펫을 사용해서 3~3.5 마이크로리터의 트리아세틴을 떨어뜨리고, 커버 글라스를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비스듬하게 여과지 위에 얹으며, 커버 글라스의 가장자리를 락카나 매니큐어로 칠하여 밀봉한다.

    분석자는 전처리 과정이 완료된 시료를 광학현미경법, 위상차 현미경법, 주사전자현미경법 등 다양한 현미경 분석법으로 분석을 하게 된다.

    기존의 석면 포집 측정법은 현장을 수시로 작업자가 방문하여 샘플링을 해야 되어 많은 인력이 필요로 하며 전처리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분석 결과를 즉시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석면 계수 및 농도를 계산하여 외부로 무선 방식으로 전송하는 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는,

    주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 중 입자의 정전기를 중화하여 제거하는 정전기 제거장치;

    정전기 제거장치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정전기 제거장치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인 챔버; 및

    챔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챔버를 통과하는 공기 중 입자를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석면의 특징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와 연동하여 이미지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부의 석면의 특징 정보를 참고하여 석면 섬유를 판단하는 패턴 이미지 검출부와, 석면 섬유를 계수하여 송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석면 계수장치를 현장에 설치하고 실시간으로 석면의 농도를 관측하고 감시하여 유해한 석면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석면 계수장치를 현장에 설치하여 석면 계수 및 농도를 무선으로 받아볼 수 있어 현미경 분석법과 같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분석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2차 오염을 미연해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석면 측정법에 비해서 분석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고 무인으로 실시간으로 감기하여 수행 인력을 크게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석면 분석법에 비해 효율적인 석면 유해 인자를 관리하고 수시로 결과를 확인할수 있으며 정밀한 석면 분석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면 계수 알고리즘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에 따라 석면을 계수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면 계수 알고리즘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10)는 액체, 가스 등의 주입구(Inlet)(100), 주입구(100)의 출력단에 설치된 낙엽 등을 막을 수 있는 필터(110), 필터(110)의 출력단에 설치된 주입구밸브(112), 주입구밸브(112)의 출력단에 설치된 에어히터(200), 에어히터(200)의 출력단에 설치된 냉각 및 응결장치(210), 냉각 및 응결장치(210)의 출력단에 설치된 정전기 제거장치(220), 정전기 제거장치(220)의 출력단에 설치된 챔버(240), 챔버(240)의 출력단에 설치된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의 출력단에 설치된 필터밸브(500), 필터밸브(500)의 출력단에 설치된 석면필터(510), 석면필터(510)의 후단에 설치된 유량센서(530), 유량센서(530)의 출력단에 설치된 펌프(540), 펌프(540)의 출력단에 설치된 배출구(Outlet)(550)를 포함한다. 이외에 N2 가스가 저장된 N2 가스저장탱크(116), 이에 연결된 N2 가스밸브(114), 에어히터(200)의 입력단과 냉각 및 응결장치(210)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1 바이패스 밸브(230)와, 필터밸브(500)의 입력단과 석면필터(510)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 바이패스 밸브(520)를 더 포함한다.

    에어히터(200)는 공기를 가열하는 장치로서 필터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이송되는 히터하우징과 히터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종래의 에어히터(200)로 상세한 구성요소의 설명을 생략하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일정 온도로 가열한다.

    에어히터(200)는 히터하우징의 내부에서 300℃ 이상의 온도로 공기를 직접 가열하여 주입구(1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석면 이외에 꽃가루, 먼지 등을 태워 증발시킨다.

    에어히터(200)는 온도를 올려 섬유들의 습도를 제거할 수 있어 인식 오류를 예방하고, 550℃ 이상의 온도에서 먼지, 셀롤로오스 섬유 등을 모두 완전 연소시켜 석면만 선택적으로 남길 수 있다.

    냉각 및 응결장치(210)는 주입구(10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최고 600℃로 가열되어 있는 상태로 내부 배관으로 이동하게 되면 내부 배관이나 결합된 다른 장치들을 파손 또는 변형시키므로 일정 온도로 냉각시키고 증발된 수분을 응결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석면 계수시 인식 오류를 줄이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 냉각 및 응결장치(210)는 에어히터(200)를 통과한 공기가 이송되면서 상호 열교환하는 냉각부와, 냉각부의 주위에 설치하여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워터재킷과, 냉각수를 순환시켜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와, 라디에이터에 응결수를 분사하여 냉각 효율을 높이는 응결수 집결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공기를 열교환을 통해 냉각시키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정전기 제거장치(220)는 전압을 승압하여 고압을 인가하는 회로구성부와, 회로구성부로부터 인가된 고압에 의해 끝단 부근에서 이온을 형성하여 냉각 및 응결장치(210)로부터 유입된 공기 중 석면끼리 또는 석면과 기타먼지 등이 정전기로 인하여 서로 부착된 표면에 대전되어 있는 정전기를 중화시켜 정전기를 제거한다. 여기서, 정전기 제거장치(220)는 종래의 정전기 제거장치(220)로 상세한 구성요소의 설명을 생략한다.

    정전기 제거장치(220)의 후단에 연결된 챔버(240)는 측면 일측에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300)가 설치되고 후단에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가 설치되어 석면을 자동 계수한다.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300)는 현미경 렌즈 및 고속카메라(310), 조명부(320), 패턴 이미지 검출부(330), 데이터베이스부(340), 제어부(350) 및 송신부(360)를 포함한다.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300)는 챔버(240)의 내부를 광을 조사한 후 현미경 렌즈 및 고속카메라(310)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현미경 렌즈 및 고속카메라(310)는 4배율(가로 1.20mm×세로 0.90mm), 6배율(가로 0.80mm×세로 0.60mm), 8배율(가로 0.60mm×세로 0.45mm), 9배율(가로 0.53mm×세로 0.40mm), 12배율(가로 0.40mm×세로 0.30mm)로 배율별로 석면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구(100), 주입구밸브(112), 에어히터(200), 냉각 및 응결장치(210), 정전기 제거장치(220),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 필터밸브(500), 제1 바이패스 밸브(230), 제2 바이패스 밸브(520), 유량센서(530), 배출구(5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패턴 이미지 검출부(330)는 현미경 렌즈 및 고속카메라(310)로부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석면의 특징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340)와 연동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석면의 특징 정보를 참조하여 영상을 인식한다. 여기서, 영상 인식 기술은 특정 DB에 존재하는 레퍼런스 데이터에서 인풋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기술로 널리 알려져 있는 알고리즘이다.

    여기서, 석면의 특징 정보는 색깔 정보, 길이가 5㎛ 이상이고 길이 대 지름의 비가 3:1 이상인 경우를 나타낸다.

    패턴 이미지 검출부(330)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입력 특징점(특징 벡터)을 추출하고, 추출된 입력 특징점과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된 석면의 특징 정보의 특징점과 소정의 매칭 방식을 통해 매칭하여 이미지 데이터가 석면 섬유인지 판단한다.

    패턴 이미지 검출부(330)는 소정의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는데 영상 인식 알고리즘의 종류에 따라 특징점을 추출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으며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등 다양한 영상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패턴 이미지 검출부(330)는 이미지 데이터가 석면의 특징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고 인식되면, 다시 풀어서 설명하면, 공기 중에 입자가 있고, 해당 입자가 길이가 5㎛ 이상이며 길이 대 지름의 비가 3:1 이상인 경우에 석면 섬유로 판단한다.

    패턴 이미지 검출부(330)는 이미지 데이터와 석면의 특징 정보를 참조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한 섬유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350)로 전송한다. 여기서, 섬유 결과 정보는 섬유 길이, 길이 대 지름의 비, 섬유가 다발 형태인지, 섬유의 끝단이 뚜렷한지 여부 등이 포함된다.

    제어부(350)는 패턴 이미지 검출부(330)로부터 섬유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계수가 가능한 섬유로 판단하고, 섬유가 다발 형태인지 판단하게 되는데, 섬유의 끝단이 뚜렷한 경우, 석면 섬유로 각각 계수하며, 각 섬유의 끝단이 뚜렷이 보이지 않는 경우, 한 개로 계수한다.

    섬유의 끝단이 뚜렷이 보이는 것은 다발 형태가 두 섬유가 교차하고 있으나 같은 뭉치에서 나오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경우를 나타낸다.

    다만, 먼지에서 나온 두 섬유가 다른 섬유라고 판단되면, 제어부(350)는 석면 결과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길이가 5㎛ 이상이고 길이 대 지름의 비가 3:1 이상인 경우에만 석면 섬유로 판단하여 각각 계수한다.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는 공기 중 섬유 길이 측정을 위해 만들어진 공지된 장치로서, 챔버(240)를 통과한 입자를 포함한 공기를 끌어들이고 공기 중 석면의 양끝단을 대전시키며 대전된 석면을 -전극과 +전극에 통과시켜서 정렬시킨다.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는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전극과 +전극 장치를 복수개 설치하면 이러한 전극 장치를 통과할 때 각 전극의 극성을 순차적으로 교변(+는 -로, -는 +로)시키면서 대전된 석면이 모터가 회전하는 것과 같이 회전을 한다.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는 회전하고 있는 석면 입자에 레이저 광선을 비추면 입자 또는 석면의 크기와 두께별로 레이저 광이 입자에 부딪칠 때의 레이저 산란광을 광 수신장치에 수신하여 석면인지를 가로 세로 비율로 파악한다.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는 공기 중 석면의 양끝단을 음극과 양극으로 대전시키고 대전된 석면 입자에 극성을 교차하도록 레이저 빔을 통과하도록 하면 석면 입자가 회전되고 레이저 광이 회전하고 있는 석면 입자에 충돌하는 경우 입자의 길이가 클수록 광량의 진폭이 커지며 두께가 굵을수록 광량이 커지게 되는데 이를 통해 석면의 길이와 두께를 파악한다.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는 입자의 비율(길이 대 지름의 비)이 3:1 이하에 레이저 광을 비추면 입자가 구형(원형)에 가깝기 때문에 산란광의 에너지와 진폭이 작은 점을 이용하여 석면인지 아닌지 판단한다.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는 정렬된 섬유의 계수시 전술한 패턴 이미지 검출부(330)에서 사용된 석면 계수 알고리즘과 같이(도 3), 섬유의 길이가 5㎛ 이상이고 길이 대 지름의 비가 3:1 이상인 경우에만 석면 섬유로 판단하여 각각 계수하고 섬유의 끝단이 뚜렷한 경우, 각각 석면 섬유로 계수하며, 각 섬유의 끝단이 뚜렷이 보이지 않는 경우, 1개로 계수한다(S200, S202, S204, S206, S208, S210, S212).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는 종래의 섬유 계수장치에서 섬유의 종류를 석면에 한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는 석면을 계수하여 계수된 결과를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300)로 전송한다.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를 통과한 공기는 필터밸브(500)를 통과하여 석면필터(510)에 포집된다.

    석면필터(510)는 포집된 석면을 회수하여 기존의 방법으로 석면을 계수하여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300)와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에서 계수한 석면의 개수 및 인식률을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된다.

    즉, 석면필터(510)에서 포집된 석면 계수는 인식 오류의 검증과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300)와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의 이상 작동시 보조 시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산란 및 이미지 패턴인식 기반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10)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석면을 계수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350)는 주입구밸브(112)를 닫고 제2 바이패스 밸브(520)를 개방하며 N2 가스밸브(114)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S100, S102, S104).

    제어부(350)는 펌프(540)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최대로 가동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경우(S106, S108), N2 가스밸브(114)를 차단하고 주입구밸브(112)를 개방하며 제2 바이패스 밸브(520)를 닫고 펌프(540)를 정지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구성장치로 전송한다(S110, S112, S114, S116).

    이어서, 제어부(350)는 에어히터(200)를 기설정된 온도 범위까지 가동하도록 제어하고 에어히터(20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경우 에어히터(200)를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에어히터(200)로 전송한다(S118, S120, S122).

    제어부(350)는 필터밸브(500)를 개방하고 냉각 및 응결장치(210), 정전기 제거장치(220), 조명부(320) 및 펌프(540)를 가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구성장치로 전송하고(S124, S126, S128, S130, S132),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와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300)를 동작시켜 두 가지 종류의 석면 계수장치를 가동시킨다(S134).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는 섬유에 전기를 가하여 극성과 전기장에 평행 정렬하고 정렬된 섬유 중 석면을 계수하고,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300)는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챔버(240)를 통과한 입자를 포함한 공기 중 석면을 계수한다.

    제어부(350)는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와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300)에서 석면이 계수되었는지 판단하여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와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300)에서 석면이 계수되면 각 장치의 석면 계수 및 이에 따른 농도값을 계산하여 송신부(360)를 통해 무선 방식으로 외부로 전송한다(S136, S138, S140, S142, S144).

    이어서, 제어부(350)는 에어히터(200)를 기설정된 온도 범위까지 가동하도록 제어하고 에어히터(20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경우 유량센서(530)로부터 유량값을 전송받아 기설정된 유량값을 유지하는지 판단한다(S146, S148, S150).

    유량센서(530)는 공기의 유량을 계측하는 센서로서 데이터 측정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유량값을 계측한다.

    제어부(350)는 유량센서(530)로부터 수신한 유량값이 기설정된 유량값에 도달하거나 기설된 동작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여 기설정된 유량값이나 동작 시간에 도달한 경우(S152, S154), 냉각 및 응결장치(210), 정전기 제거장치(220), 조명부(320), 펌프(540),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400)와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300) 등의 전원을 오프시키고(S154), 기설정된 유량값이나 동작 시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S124 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단계를 실행한다.

    제어부(350)는 필터밸브(500)를 닫고 제2 바이패스 밸브(520)를 개방하며 주입구밸브(112)를 닫고 N2 가스밸브(114)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S156, S158, S160, S162).

    제어부(350)는 펌프(540)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최대로 가동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경우, N2 가스밸브(114)를 차단하고 펌프(540)를 정지시키며 주입구밸브(112)를 닫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구성장치로 전송한다(S164, S166, S168, S170, S172).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실시간 비산석면 측정 장치
    100: 주입구
    110: 필터
    112: 주입구밸브
    114: N2 가스밸브
    116: N2 가스저장탱크
    200: 에어히터
    210: 냉각 및 응결장치
    220: 정전기 제거장치
    230: 제1 바이패스 밸브
    240: 챔버
    300: 이미지 패턴 인식장치
    310: 현미경 렌즈 및 고속카메라
    320: 조명부
    330: 패턴 이미지 검출부
    340: 데이터베이스부
    350: 제어부
    360: 송신부
    400: 광산란식 석면 계수장치
    500: 필터밸브
    510: 석면필터
    520: 제2 바이패스 밸브
    530: 유량센서
    540: 펌프
    550: 배출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