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폐 계수기

申请号 KR1020120023806 申请日 2012-03-08 公开(公告)号 KR101301977B1 公开(公告)日 2013-09-02
申请人 주식회사 에스비엠; 发明人 유승우; 김효원;
摘要 PURPOSE: A note counting device is provided for two people to utilize simultaneously by sensing a loading direction and managing the result of counting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loading. CONSTITUTION: A hopper part (101) receives paper money to process. Left and right object sensing parts (170a, 170b) include object sensors arranged at left and right side of the hopper part for sensing the passing of an object. A returning means returns the paper money, which is inputted to the hopper part, to a returning path individually. An identifying/counting means identifies/counts the kind of the returned paper money. A stacker loads the counted paper money. A control part independently processes the count result of the paper money which is counted after the object being sensed by the object sensor of the left side and the count result of the paper money which is counted after the object being sensed by the object sensor of the right side.
权利要求
  • 처리해야 할 지폐를 받아들이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를 중심으로 좌측에 마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물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좌측 물체감지부와,
    상기 호퍼부를 중심으로 우측에 마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물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우측 물체감지부와,
    상기 호퍼부에 투입된 지폐를 1매씩 반송로 내로 송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반송수단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반송되는 지폐의 종류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식별/계수수단과,
    상기 식별/계수수단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식별/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된 지폐를 배출하여 집적시키는 스택커와,
    지폐의 반송, 식별, 계수 및 배출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좌측 물체감지부에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와 상기 우측 물체감지부에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를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지폐 계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계수기는 좌측 사용자를 위한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는지 또는 우측 사용자를 위한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좌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지폐 계수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수단에 좌측 사용자를 위한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하고, 우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지폐 계수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수단에 우측 사용자를 위한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계수기는 음향발생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좌측 물체감지부 또는 우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여 음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좌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의 음향을 발생하며, 우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의 음향과는 다른 제2의 음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수단은 호퍼부의 좌측에 마련된 좌측 음향발생수단과 호퍼부의 우측에 마련된 우측 음향발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좌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좌측 음향발생수단을 사용하여 음향을 발생하며, 우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우측 음향발생수단을 사용하여 음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는 지폐가 놓이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호퍼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대기상태에서 상기 좌측 물체감지부 또는 상기 우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되는지를 감시하고 있다가, 어느 한쪽의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되면 호퍼센서에서 지폐가 감지되는지를 일정 시간 동안 감시하고, 상기 일정 시간 이내에 지폐가 감지되면 지폐 계수를 시작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지폐가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계수기는 좌측 사용자의 계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좌측 출력부와 우측 사용자의 계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우측 출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측 물체감지부에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는 상기 좌측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우측 물체감지부에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는 상기 우측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기.
  • 지폐가 놓이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호퍼센서를 포함하며, 처리해야 할 지폐를 받아들이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한쪽에만 마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물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감지부와,
    상기 호퍼부에 투입된 지폐를 1매씩 반송로 내로 송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반송수단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반송되는 지폐의 종류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식별/계수수단과,
    상기 식별/계수수단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식별/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된 지폐를 배출하여 집적시키는 스택커와,
    지폐의 반송, 식별, 계수 및 배출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물체감지부에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상기 호퍼센서에 의해 지폐가 놓이는 것이 감지되는 제1경우 또는 상기 물체감지부에 물체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호퍼센서에 의해 지폐가 놓이는 것이 감지되는 제2경우에 지폐 계수를 시작하고, 제1경우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와 제2경우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를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지폐 계수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계수기는 제1경우의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는지 또는 제2경우의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경우의 지폐계수가 시작되면 상기 표시수단에 제1경우의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하고, 제2경우의 지폐 계수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수단에 제2경우의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계수기는 음향발생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여 음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기상태에서 상기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되는지를 감시하고 있다가, 상기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되면 호퍼센서에서 지폐가 감지되는지를 일정 시간 동안 감시하고, 상기 일정 시간 이내에 지폐가 감지되면 지폐 계수를 시작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지폐가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계수기는 제1경우의 계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제1출력부와 제2경우의 계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제2출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경우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는 상기 제1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제2경우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는 상기 제2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기.
  • 说明书全文

    지폐 계수기 {Bill c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폐 계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퍼부의 좌우측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물체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어느 방향으로부터 지폐가 올려놓여졌는지를 감지하여 지폐가 올려놓여지는 이동 방향에 따라 계수 결과를 별개로 기억하게 함으로써, 1대의 기계에 대하여 두 명의 조작자가 취급할 수 있도록 한 지폐 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권종의 지폐를 일괄적으로 호퍼부에 받아들이고, 투입된 지폐를 1매씩 송출하여 반송하고, 그 종류 및 진위를 식별하는 동시에 계수하여, 투입된 정상적인 지폐의 합계 금액 또는 종류별 매수를 계산하여 표시하는 지폐 계수기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그 일반적인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지폐 계수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호퍼부(1)에 탑재된 지폐는 송출 롤러(5)에 의해 지폐 계수기의 반송로로 이송되어 복수개의 반송 롤러(6)에 의해 반송된다. 지폐 반송 도중에 검지 센서(7a 및 7b)를 통과하고, 지폐 식별 센서(8)에 있어서 종류 및 진위가 판정된다. 그 후, 검지 센서(7c)를 통과하여, 정상 지폐이면 회전하고 있는 날개차(impeller, 9)의 날개의 사이에 받아들여져, 스택커부(2)에 정렬되고 집적된다. 한편, 상기 지폐 식별 센서에 의하여 위조 지폐로 판정된 경우는, 솔레노이드(10)가 작동하여 분기 클릭(11)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리젝트부(3)로 지폐가 보내진다. 그리고, 부호 4는 조작 표시부이며, 지폐 식별 계수 처리를 행할 때의 각종 설정을 행하는 곳이다.

    종래, 은행 등의 창구에서 사용되는 지폐 입금 처리기는, 두 명의 텔러(창구 직원) 사이에 설치되어 공용으로 사용되며, 각각 양쪽으로부터 상위기인 텔러 머신(teller machine)을 통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계에서는, 좌우 두 명의 직원에 의해 차례로 호퍼부에 투입되는 각각의 지폐가 섞이지 않고, 계수·수납 동작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므로, 한 거래마다, 처음부터 마지막까지를 어느 한쪽의 텔러가 점유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한 거래가 종료할 때까지 한쪽의 텔러의 점유 상태가 계속되면, 어떤 이유로 인하여 계수·수납 동작이 중단되는 경우라도, 다른 쪽 텔러는 그 기계를 사용하여 계수·수납 동작을 행할 수 없었다. 만약, 다른 쪽 텔러가 그 기계를 사용하고자 하면, 중단하고 있는 처리를 리셋하여, 자신의 점유 상태로 전환하고 나서 행하여야 하므로, 처음에 행한 텔러의 처리가 취소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수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 버튼을 2그룹 설치하고, 어떤 조작 버튼을 사용하여 계수 처리를 지시하였는지에 따라 계수 결과를 별개로 기억하게 함으로써, 1대의 기계에 대하여 두 명의 조작자가 취급할 수 있도록 한 지폐 계수기가 특허공개 제2011-001175호에 개시되어 있다.

    즉, 1대의 지폐 계수기를 두 명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폐 계수기 좌우의 사용자들이 처리의 개시/정지를 할 수 있도록 기계 전면 좌/우에 각각 1개의 개시/정지(Start/Stop) 버튼을 두고 전면 좌측의 개시/정지 버튼이 눌리면 좌측 사용자가, 전면 우측의 개시/정지 버튼이 눌리면 우측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혹은 기기의 점유 버튼을 기계 전면 좌/우에 각각 1개씩 두고 좌측 점유 버튼을 누르면 좌측 사용자가 기기의 작동 전체를 점유하도록 하고, 우측 점유 버튼을 누르면 우측 사용자가 기기의 작동 전체를 점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지폐를 계수하는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위치에 맞는 개시/정지 버튼을 눌러야만 두 사용자의 계수 결과를 각기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불편함이 있고, 점유 버튼을 사용할 경우에는 현 점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가 점유 버튼을 누르지 않고 작동을 개시할 경우(기기의 점유 상태를 자신 쪽으로 변경하지 않고) 계수 결과가 자신이 아닌 다른 사용자의 결과로 잘못 관리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별도의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1대의 지폐 계수기를 두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지폐 계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별도의 조작 없이 지폐를 올려놓기만 하면 좌측에서 지폐가 올려놓여졌는지 우측에서 지폐가 올려놓여졌는지에 따라 계수 결과를 별개로 기억하는 지폐 계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계수기는, 처리해야 할 지폐를 받아들이는 호퍼부와, 호퍼부를 중심으로 좌측에 마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물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좌측 물체감지부와, 호퍼부를 중심으로 우측에 마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물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우측 물체감지부와, 호퍼부에 투입된 지폐를 1매씩 반송로 내로 송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반송수단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반송되는 지폐의 종류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식별/계수수단과, 식별/계수수단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식별/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된 지폐를 배출하여 집적시키는 스택커와, 지폐의 반송, 식별, 계수 및 배출 동작을 제어하며, 좌측 물체감지부에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와 우측 물체감지부에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를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지폐계수기는 좌측 사용자를 위한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는지 또는 우측 사용자를 위한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좌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지폐 계수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수단에 좌측 사용자를 위한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하고, 우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지폐 계수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수단에 우측 사용자를 위한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지폐계수기는 음향발생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좌측 물체감지부 또는 우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여 음향을 발생한다. 발생되는 음향은 좌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와 우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 서로 다를 수 있다.

    음향발생수단은 호퍼부의 좌측에 마련된 좌측 음향발생수단과 호퍼부의 우측에 마련된 우측 음향발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좌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좌측 음향발생수단을 사용하여 음향을 발생하며, 우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우측 음향발생수단을 사용하여 음향을 발생한다.

    호퍼부는 지폐가 놓이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호퍼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는 대기상태에서 좌측 물체감지부 또는 우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되는지를 감시하고 있다가, 어느 한쪽의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되면 호퍼센서에서 지폐가 감지되는지를 일정 시간 동안 감시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지폐가 감지되면 지폐 계수를 시작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지폐가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지폐 계수기는 좌측 사용자의 계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좌측 출력부와 우측 사용자의 계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우측 출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는 좌측 물체감지부에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는 좌측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우측 물체감지부에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는 우측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물체감지부를 호퍼의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한쪽에만 마련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지폐 계수기는, 지폐가 놓이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호퍼센서를 포함하며 처리해야 할 지폐를 받아들이는 호퍼부와, 호퍼부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한쪽에 마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물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감지부와, 호퍼부에 투입된 지폐를 1매씩 반송로 내로 송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반송수단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반송되는 지폐의 종류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식별/계수수단과, 식별/계수수단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식별/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된 지폐를 배출하여 집적시키는 스택커와, 지폐의 반송, 식별, 계수 및 배출 동작을 제어하며 물체감지부에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호퍼센서에 의해 지폐가 놓이는 것이 감지되는 제1경우 또는 물체감지부에 물체가 감지되지 않고 호퍼센서에 의해 지폐가 놓이는 것이 감지되는 제2경우에 지폐 계수를 시작하고, 제1경우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와 제2경우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를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지폐계수기는 제1경우의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는지 또는 제2경우의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폐계수기는 음향발생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여 음향을 발생한다. 제어부는 대기상태에서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되는지를 감시하고 있다가,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되면 호퍼센서에서 지폐가 감지되는지를 일정 시간 동안 감시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지폐가 감지되면 지폐 계수를 시작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지폐가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퍼부의 좌우측 또는 좌우측 중의 어느 한쪽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체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어느 방향으로부터 지폐가 올려놓여졌는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별개로 지폐 계수 결과를 관리함으로써, 어느쪽 사용자가 사용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별도의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1대의 지폐 계수기를 두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폐가 올려놓여질 때마다 지폐가 올려놓여지는 이동 방향에 따라 사용자를 자동으로 구분하여 계수결과를 관리하므로, 계수 결과가 자신이 아닌 다른 사용자의 결과로 잘못 관리되는 오류를 피할 수 있다. 또한, LED 등의 표시수단이나 스피커 등의 음향발생수단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어느 쪽 사용자가 활성화되었는지를 나타내므로, 지폐의 이동방향의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지폐 계수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폐 계수기를 두 명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경우의 사용자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폐 계수기에서의 사용자 인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지폐계수기는 호퍼부(101)의 좌측과 우측에 물체감지센서(171a, 171b)를 구비한다. 도 2에서는 물체감지센서(171a, 171b)가 호퍼부(101)의 좌측과 우측 에 하나씩 마련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수의 물체감지센서를 호퍼부(101)의 좌우측 모서리, 좌우측 전방, 좌우측 중간 등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체감지센서로는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지만 특정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좌측 사용자 및 우측 사용자는 지폐를 호퍼부(101)에 올려놓고 조작수단(140)을 사용하여 지폐의 계수를 작동시킨다. 또는, 지폐를 올려놓기만 하면 지폐계수기가 호퍼부(101)에 마련된 호퍼센서에서 지폐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지폐의 계수를 시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좌측 사용자가 지폐를 호퍼부(101)에 올려놓을 때는 A로 표시된 궤적을 따라 지폐를 올려놓게 되므로 좌측 물체감지센서(171a)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고, 우측 사용자가 지폐를 호퍼부(101)에 올려놓을 때는 B로 표시된 궤적을 따라 지폐를 올려놓게 되므로 우측 물체감지센서(171b)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지폐계수기(100)는 이와 같이 지폐를 호퍼부에 올려놓을 때에 어느쪽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되었는가에 따라 어느쪽 사용자가 사용중인지를 판단하여 그 계수 결과를 해당 사용자에 관련하여 처리하게 된다. 예를 들면, 계수결과를 표시수단(160)에 표시할 때 어느 사용자의 계수결과인지를 함께 표시하거나, 각 사용자별로 계수 결과의 합산을 별도로 한다거나, 외부출력장치 인터페이스가 2개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계수 결과를 해당 사용자측의 외부 출력 장치로 출력한다거나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내부 구성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계수기는 호퍼부(101)를 중심으로 좌측에 마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물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좌측 물체감지부(170a)와, 호퍼부(101)를 중심으로 우측에 마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물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우측 물체감지부(170b)와, 호퍼부(101)에 투입된 지폐를 1매씩 반송로 내로 송출 반송하는 반송수단(130)과, 반송수단(130)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반송되는 지폐의 종류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식별/계수수단(120)과, 지폐의 반송, 식별, 계수 및 배출 동작을 제어하며, 좌측 물체감지부(170a)에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와 우측 물체감지부(170b)에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를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제어부(110)를 구비한다.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지폐계수기(100)는 또한 식별/계수수단(120)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식별/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된 지폐를 배출하여 집적시키는 스택커를 더 포함한다.

    지폐계수기(100)는 또한 좌측 사용자를 위한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는지 또는 우측 사용자를 위한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좌측 물체감지부(170a)에서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지폐 계수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표시수단(160)에 좌측 사용자를 위한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하고, 우측 물체감지부(170b)에서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지폐 계수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표시수단(160)에 우측 사용자를 위한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표시수단(160)으로는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고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된 발광소자가 사용될 수도 있다.

    지폐계수기(100)는 음향발생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좌측 물체감지부(170a) 또는 우측 물체감지부(170b)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음향발생수단(150)을 제어하여 음향을 발생함으로써 좌우측 사용자들이 호퍼부에 지폐를 올려놓을 때 제대로 감지되었음을 알려준다. 음향발생수단(150)으로는 스피커, 압전소자, 부저 등 다양한 음향발생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좌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와 우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 서로 다른 음향을 발생하도록 음향발생수단(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음향발생수단(150)을 호퍼부(101)의 좌측에 마련된 좌측 음향발생수단과 호퍼부(101)의 우측에 마련된 우측 음향발생수단으로 구성하고, 좌측 물체감지부(170a)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좌측 음향발생수단을 사용하여 음향을 발생하며, 우측 물체감지부(170b)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우측 음향발생수단을 사용하여 음향을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좌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와 우측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 서로 다른 음향을 발생하도록 음향발생수단(150)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되고 일정 시간 이내에만 호퍼부(101)에서 지폐가 놓이는지를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10)는 대기상태에서 좌측 물체감지부(170a) 또는 우측 물체감지부(170b)에서 물체가 감지되는지를 감시하고 있다가, 물체가 감지되면 호퍼부(101)에 지폐가 놓이는지를 일정 시간 동안 감시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지폐가 놓이면 지폐 계수를 수행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지폐가 놓이지 않으면 대기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제어부(110)는 지폐 계수결과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저장부(180)에 저장하거나 외부 출력장치로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지폐 계수기(100)는 좌측 사용자의 계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좌측 출력부(190a)와 우측 사용자의 계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우측 출력부(190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좌측 출력부(190a)와 우측 출력부(190b)에는 각각 좌측 사용자를 위한 출력장치(프린터 또는 모니터)와 우측 사용자를 위한 출력장치가 연결된다. 제어부(110)는 좌측 물체감지부(170a)에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는 좌측 출력부(190a)를 통해 출력하고, 우측 물체감지부(170b)에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는 우측 출력부(190b)를 통해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에서의 지폐 계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좌측 물체감지부(170a) 또는 우측 물체감지부(170b)에서 물체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510). 각 물체감지부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체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중의 어느 하나의 센서에서 물체가 감지되면 물체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는, 다수의 물체감지센서 중에 일정 개수 이상의 물체감시센서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 물체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10)는 물체가 감지되면 물체가 감지된 쪽의 사용자가 지폐 계수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를 해당 센서측의 사용자로 설정한다(단계 520).

    물체가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호퍼부(101)에 지폐가 놓이는지를 호퍼센서를 사용하여 확인한다(단계 530). 이때 물체가 감지되고 나서 소정 시간 이내에 지폐가 놓이는 경우에만 계수를 시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부(101)에 지폐가 놓이면 제어부(110)는 반송수단(130)을 사용하여 지폐를 지폐 계수기(100) 내부로 반송하면서 식별/계수 수단(120)을 이용하여 위폐 여부, 권종 판단 등의 식별/계수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540). 계수된 지폐는 스택커로 배출된다. 포켓이 다수인 지폐 계수기의 경우에는 식별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스택커로 배출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계수 결과를 메모리(180)에 저장하고 표시수단(160)에 표시하거나 외부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데, 단계 510에서 인식되었던 결과에 따라 각 사용자별로 분리하여 처리한다(단계 550). 예를 들면, 좌측 사용자가 계수한 결과는 좌측 사용자가 계수한 결과끼리 합산을 하고, 우측 사용자가 계수한 결과는 우측 사용자가 계수한 결과끼리 합산을 하거나, 좌측 사용자로부터 계수 결과에 대한 출력 요청이 있으면 좌측 사용자에 대해서 수행하였던 계수 결과를 메모리에서 읽어와서 좌측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물체감지부를 호퍼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물체감지부를 호퍼부의 좌우측 중의 어느 한쪽에만 마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 실시예의 지폐 계수기는, 지폐가 놓이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호퍼센서를 포함하며 처리해야 할 지폐를 받아들이는 호퍼부와, 호퍼부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한쪽에 마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물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감지부와, 호퍼부에 투입된 지폐를 1매씩 반송로 내로 송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반송수단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반송되는 지폐의 종류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식별/계수수단과, 식별/계수수단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식별/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된 지폐를 배출하여 집적시키는 스택커와, 지폐의 반송, 식별, 계수 및 배출 동작을 제어하며 물체감지부에 물체가 감지된 이후에 호퍼센서에 의해 지폐가 놓이는 것이 감지되는 제1경우 또는 물체감지부에 물체가 감지되지 않고 호퍼센서에 의해 지폐가 놓이는 것이 감지되는 제2경우에 지폐 계수를 시작하고, 제1경우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와 제2경우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를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지폐계수기는 제1경우의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는지 또는 제2경우의 지폐 계수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폐계수기는 음향발생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여 음향을 발생한다.

    제어부는 대기상태에서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되는지를 감시하고 있다가,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되면 호퍼센서에서 지폐가 감지되는지를 일정 시간 동안 감시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지폐가 감지되면 지폐 계수를 시작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지폐가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상태로 돌아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지폐 계수기는 제1경우의 계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제1출력부와 제2경우의 계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제2출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경우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는 상기 제1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제2경우에 계수된 지폐계수결과는 상기 제2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호퍼부
    110 제어부
    120 식별/계수 수단
    130 반송수단
    140 조작수단
    150 음향발생수단
    160 표시수단
    170a, 170b 물체감지부
    180 저장부
    190a, 190b 출력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