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케이스 부품제조방법

申请号 KR1019830005433 申请日 1983-11-16 公开(公告)号 KR1019890000083B1 公开(公告)日 1989-03-07
申请人 몽뜨레라도에스.아.; 发明人 폴고크니아트; 에릭로트;
摘要 The glass (1) and surrounding fixture (2) are formed directly by moulding of molten material on respective metallic coatings (3) which provide firm assembly and mask the fixture (2) so that it is not seen through the glass (1). The fixture may be of zinc, tin, copper, or gold in pure or alloy form. The alloy may be zinc, aluminium, copper or magnesium. The coatings may be applied by vacuum or galvanic deposition of several layers. The fixture may consist of a single annular collar with or without threaded pins for anchoring, or a number of fixing plugs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glass. It may also serve as a fluid-tight seal.
权利要求
  • 유리의 한면에 금속코팅(3)을 점착하는 단계와, 그 다음에 코팅 재료에 대해 양호한 친화력을 가지는 용융 금속재를 성형함으로써 금속 코팅상에 고착 수단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1)와 유리에 고착되는 고착수단(2)을 가지는 시계케이스부품 제조방법.
  • 금소코팅(3)과 함께 그 한면에 제공되는 유리(1)와 상호 금속 결합에 의해 상기 코팅에 고착되는 금속고착수단(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시계케이스부품.
  • 제2항에 있어서, 고착수단은 유리밑으로 연장하는 외주 히일(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케이스부품.
  • 제2항에 있어서, 고착수단은 유리 평면에 직각에서 다수의 스터드(6)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케이스부품.
  • 제3항에 있어서, 외주 히일(2)은 유리 평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약간 변형 될 수 있도록 가변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케이스부품.
  • 제2항에 있어서, 고착수단은 또 이들을 둘러싸기 위한 인서어트(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케이스부품.
  • 제6항에 있어서, 인서어트는 나사난 스터드(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케이스부품.
  • 제2항에 있어서, 고착수단(33)의 외부는 림(36)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케이스부품.
  • 제2항 내지 제8항에 있어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착수단(33)은 적어도 별개 재료의 2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케이스부품.
  • 특히 상부개구를 가지는 구성요소(15)와 내부면의 외주를 걸쳐서 금속코팅(18)이 제공되는 유리(14)를 가지는 시계케이스부품과 상호 금속 결합에 의해 상기 코팅에 고정되며 유리밑으로 연장하는 히일을 형성하는 금속 고착수단(13)을 포함하며, 상기 히일은 조립체 유밀이 되도록 상기 구성요소의 적당한 리세스 속으로 맞춰지는 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케이스.
  • 제10항에 있어서, 장력링(17)은 상기 리세스(16)의 측벽에 대항하여 고착 수단을 압착하도록 고착수단(13) 내부에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케이스.
  • 说明书全文

    시계케이스 부품제조방법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여러가지 시계유리의 도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데 이용한 장치의 한형태의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다른 시계유리를 끼운 시계케이스부품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계유리 2 : 고정수단

    5 : 면적 21, 21' : 외단부

    22' : 톱니 22, 11 : 구멍

    23, 23' : 나사구멍 27 : 인써트

    34 : 쇄점선 36 : 럼

    10, 16 : 홈 8,9 : 판

    15 : 시계케이스부분 17 : 인장링

    3, 3' : 코팅

    본 발명은 시계케이스 부품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형 외단부같은 고정수단이 있는 유리를 제공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어 유리를 시계케이스테 또는 중앙에 제거할 수 있게 정착시키는 것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환형외단부 같은 고정수단은 별도로 제공되고, 유리와 고정수단은 이를테면 열압착 또는 접착으로 조립한다. 그러나, 처음에 분리된 외단부에 의해 들게되는 추가비용외에도, 이 방법은 외단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질의 선택을 크게 제한한다. 통상적으로, 외단부는 유리재질과 매우 비슷한 특성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야 하며, 유리 또는 사파이어로 만들수도 있다. 따라서 외단부와 오히려 다루기 힘든 나사구멍같은 가능한 고정수단의 기계가공을 한다. 게다가, 이렇게 만든 조립품의 견고성과 유밀성은 오랜기간동안 완전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가지 재질 특히, 필요할때 어떠한 형상으로 쉽게 세공되는 재료로 만든 고정수단이 있는 시계유리를 쉬운 방법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시계유리(1)는 고정수단(2)을 구성한다. 유리(1)와 고정수단(2)사이의 접촉영역에 있어서, 금속코팅(3)은 유리의 주변에 둔다. 코팅(3)은 고정수단(2)을 보호하고 더 큰 견고성의 조립체를 제공하도록 돕는다. 유리(1)은 어떤 필요한 형상을 가질수도 있고, 환형 외단부의 형태에 있어서 고정수단(2)은 대응형상을 갖을 수 있다. 이 외단부는 내부주위로 연장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예를들면, 직사각형 즉 정사각형 유리의 한쌍의 반대측면을 따라 연장할 수도 없다.

    제2도에 있어서, 금속코팅 면적(5)을 둔 평유리(4)를 도시한다. 금속코팅면적(5)의 중앙에는 유리면에 직각으로 연장되고 고정수단을 형성하는 고정스터드볼트(6)를 부착한다.

    종전 기술가운데 실행되었던 바와 같이, 고정수단(2,6)은 단독으로 만들지 못하고 게다가 종종 부적당한 방법으로 유리에 장착하지만, 고정수단(2,6)은 용융재료를 성형함으로써 각각의 금속코팅에 직접 형성한다. 금속코팅재질과 상충되지 않고, 그것과 우수한 친화력을 가진 고정수단을 위한 재질을 조건으로, 고정수단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재질의 범위는 광범위하고 시계제작 기술 또는 정밀공학에 통상적으로 사용한 대부분의 금속합금을 포함한다.

    예를들면, 고정수단은 순수 또는 합금상태의 아연, 주석, 구리, 금같은 재료로 만든다. 특히 사용은 아연, 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의 합금인 자맥(Zamac)같은 알려진 금속으로 만들수도 있다. 공융합금은 특히 합금의 공정합성이 저용융 온도로 되므로 적합하다.

    코팅은 고정수단 사이의 접합에 적용되고 유리는 진공금속피복법 또는 전해질의 석출전해 같은 여러가지 공지된 방법으로 넣을 수도 있다. 이러한 코팅은 여러가지층 예를들면, 유리에 우수한 접착을 제공하고 고정수단을 가리는 크롬의 일차층을 포함할 수 있고, 성형동안 금속의 우수한 접착을 보증하기 위해 고정수단용으로 사용하는 유사한 재질의 이차층을 둔다. 예를들면, 아연의 외부층은 자맥 고정수단을 접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금의 외부층을 금고정수단을 접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금형으로 만들때 고정수단의 표면상태는 아주 우수하기 때문에 이들 표면을 가공하는 것은 대체로 필요없다.

    제3도와 제4도는 유리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안에 약간 변형시킬 수 있는 주위와 단부를 제공하거나 예를들면, 외단부 형성재료의 냉각동안 발생하는 변형 또는 유리와 외단부의 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한 변형을 흡수하도록 변화하는 폭을 각각 가진 주위외단부(21,21')로 이뤄진 평평한 시계유리(20,20')의 하부면 도시도이다. 이 변화하는 폭은 외단부의 일반적 형상을 좁히거나 성형동안 외단부의 반대모서리를 따라서 번갈아 형성된 톱니(22')(제4도 참조) 또는 구멍(22)(제3도 참조)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나사구멍(23,23')은 고정수단을 시계케이스의 중앙에 부착하도록 주위 외단부(21,21')옆에 제공할 수 있다.

    제5도에서 고정수단(24)은 평평한 시계유리(25)의 비스듬한 모서리 주면의 적어도 일부분 뒤에 걸쳐있다. 또한, 고정수단(24)은 고정수단을 위해 사용하는 재료의 응고와 재료에 수반하는 수축에 대하여 고정수단을 덫에 걸리게 하는 것 같은 유리모서리의 극점부분을 덮어 위쪽으로 걸쳐있다. 평평한 시계유리(25)와 고정수단을 적당히 규격화하는 것으로, 후자는 쐐기 작용에 의해 유리를 조이게 만들 수 있으며 액상씨일을 형성하게 만들수 있다.

    제6도에서, 스터드볼트로 이루어지는 인써트(27)는 시계케이스의 다른 부분에 고정수단을 걸도록 하려면 후자의 성형동안 고정수단(28)안에 부분적으로 끼워 넣는다. 알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수단(28)은 코팅(31)의 적용후에 다른 평평한 시계유리(30) 밀면의 경사진 부분(29)에 형성된다.

    제7도에서, 쇄점선(34)로 분리된 2개의 인접한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수단(33)은 다른 재질로 구성된다. 예를들면, 유리(36)에 인접한 코팅(35) 부분은 코팅(35)과 함께 우수한 접착을 확실히 하기 위해 두꺼운 층으로 구성되고, 이층 아래부분은 더좋은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청동으로 구성된다. 용융상태로 형성되는 양쪽부분인 쇄점선(34)은 두개 부분사이의 예리한 부분같이 생각하지 말고 오히려 두개 재질의 상호 관통영역같이 생각해야 한다.

    그밖에 또, 고정수단(33)은 경한재질 또는 금같은 값비싼 금속으로된 림(36)으로 둘러싼다. 이와 같이 보호 또는 장식기능을 갖는 림을 예를들면, 후자가 형성된후 고정수단(33)에 맞출수 있거나 또는 고정수단을 형성하는 금형 내측에 배치할 수 있다.

    제8도에 도시된 장치는 제1도의 배열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유리(1)는 사출성형기의 두개의 판(8,9)사이에 배치한다. 판(9)은 형성되도록 가지는 고정수단에 유사한 외단부에 상당하는 형상을 이룬 홈(10)을 갖는다. 용융재질은 구멍(11)을 통하여 홈(10)속으로 사출된다. 유리(1)는 성형기 내부에서 가열되고 용융재질을 성형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중의 어느 하나는 예를들면, 원심 성형에 의존할 수도 있고, 또는 로속의 성형은 사용하는 재질의 용융점을 낮추려면 낮은 압력에서 유지한다.

    금속재질은 이안에 설명하거나 기술된 고정수단, 유기재질, 예를들면 합성플라스틱의 생산에 즐겨 사용되지만, 특히 고정수단이 제7도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둘러싼 림에 의해 보호될때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제9도에서, 상기 지적한 바와 같이 만든 환형고정수단(13)은 시계케이스부분(15)의 상부, 예를들면 중앙 또는 시계테에 유리(14)를 확실하게 부착시킬뿐만 아니라 유체가 새지 않는 조립품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을 위하여, 시계케이스부분(15)에 제공된 홈(16)의 주위에 밀접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재료로 만든 고정수단(13)은 홈속에 압력 맞춤된다. 홈(16)의 원주표면과 함께 고정수단의 결합은 환형고정수단의 내측에 사용한 인장링(17)에 의해 개선될 수도 있다. 내부 인장링이 제공될때, 유리(14)의 밑면에 사용한 금속코팅(18)의 양쪽의 고정수단과 인장링을 가리게 인장링 뒤에 내측으로 걸쳐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