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피스 밸런스 스프링

申请号 KR1020140031465 申请日 2014-03-18 公开(公告)号 KR1020140114785A 公开(公告)日 2014-09-29
申请人 니바록스-파 에스.에이.; 发明人 스트랜첼마르크; 헤슬러띠에리; 헬페르장-뤽;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mepiece escape mechanism sub-assembly (1) including at least one bar (3) and at least one balance spring (71). The outer end of the at least one balance spring is fixed to a balance spring stud (73). The at least one balance spring (71) and the balance spring stud (73) associated therewith form a single-piece assembly with the bar (3).
权利要求
  • 적어도 하나의 바 (3) 및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스프링 (71) 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 메카니즘 하위조립체 (1) 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스프링의 외부 단부는 밸런스 스프링 스터드 (73) 에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스프링 (71) 및 이와 관련된 상기 밸런스 스프링 스터드 (73) 는 상기 바 (3) 와 단일편 조립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위조립체 (1).
  •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밸런스 스프링 스터드 (73) 는 위치 조절가능하고 그리고 잠금 수단에 의해 미리 조절된 위치에 잠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위조립체 (1).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스프링 스터드 (73) 는 탄성 복귀 수단 (75) 에 의해 상기 바 (3) 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 복귀 수단은 상기 밸런스 스프링 스터드 (73) 및 상기 바 (3) 와 단일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위조립체 (1).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스프링 (71) 은, 상기 바 (3) 와 단일편으로 2 개의 핀들 (74) 에 의해 클램핑되는 외부 코일 (7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위조립체 (1).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핀들 (74) 의 적어도 하나는 탄성 복귀 수단 (76) 에 의해 상기 바 (3) 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 복귀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핀 (74) 및 상기 바 (3) 와 단일편이고 그리고 상기 핀을 다른 상기 핀 (74) 에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위조립체 (1).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 (3) 는 이스케이프 메카니즘의 구성품 (component) 의 또는 상기 밸런스 스프링 (71) 의 내부 단부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밸런스 (41) 의 선회부를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기 베어링을 가진 분리불가능한 단일편 구성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위조립체 (1).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스프링 (71) 의 내부 단부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밸런스 (41) 를 선회시키기 위해서, 상기 바 (3) 는 탄성 복귀 수단 (14) 에 의해 상기 바 (3) 에 연결된 베어링 캐리어 (13) 에 수용되는 선회부 (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위조립체 (1).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조립체 (1) 는 강성 구조물 (81) 을 포함하는 위치 조절가능한 메카니즘 (80) 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스트립 (83) 을 통하여 위치 조절가능한 구성품 (82) 을 유지하고, 상기 위치 조절가능한 구성품은 하나의 상기 밸런스 스프링 스터드 (73) 를 유지하고 그리고 조절 메카니즘 (90) 에 포함되는 상보적인 인덱싱 수단 (91) 과 협력하도록 배열된 인덱싱 수단 (84) 을 포함하며, 상기 상보적인 인덱싱 수단 (91) 은 상기 인덱싱 수단 (84) 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리고 상기 강성 구조물 (81) 에 탄성적으로 고정된 클램핑 메카니즘 (94) 에 의해 협력 위치에서 잠겨질 수 있으며, 상기 클램핑 메카니즘 (94) 에는 또한 잠금 메카니즘 (98) 의 작용이 가해지고, 상기 잠금 메카니즘은 상기 조절 메카니즘 (90) 이 자유롭게 되는 분리 위치 또는 상기 클램핑 메카니즘 (94) 이 상기 조절 메카니즘 (90) 을 방해하는 결합 위치 중 하나를 상기 클램핑 메카니즘이 점유하도록 하며, 상기 잠금 메카니즘 (98) 은 또한 상기 구조물 (81) 에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위조립체 (1).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조립체 (1) 는 강성 구조물 (81) 을 포함하는 위치 조절가능한 메카니즘 (80) 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스트립 (83) 을 통하여 위치 조절가능한 구성품 (82) 을 유지하고, 상기 위치 조절가능한 구성품은 상기 밸런스 스프링 (71) 의 내부 단부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밸런스 (41) 의 선회부를 수용하기 위한 베어링 (44) 또는 베어링 캐리어 (13) 를 유지하고 그리고 조절 메카니즘 (90) 에 포함되는 상보적인 인덱싱 수단 (91) 과 협력하도록 배열된 인덱싱 수단 (84) 을 포함하며, 상기 상보적인 인덱싱 수단 (91) 은 상기 인덱싱 수단 (84) 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리고 상기 강성 구조물 (81) 에 탄성적으로 고정된 클램핑 메카니즘 (94) 에 의해 협력 위치에서 잠겨질 수 있으며, 상기 클램핑 메카니즘 (94) 에는 또한 잠금 메카니즘 (98) 의 작용이 가해지고, 상기 잠금 메카니즘은 상기 조절 메카니즘 (90) 이 자유롭게 되는 분리 위치 또는 상기 클램핑 메카니즘 (94) 이 상기 조절 메카니즘 (90) 을 방해하는 결합 위치 중 하나를 상기 클램핑 메카니즘이 점유하도록 하며, 상기 잠금 메카니즘 (98) 은 또한 상기 구조물 (81) 에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위조립체 (1).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 (3) 는 상기 밸런스 스프링 (71) 의 내부 단부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밸런스 (41) 의 선회부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44) 또는 하나의 베어링 캐리어 (13) 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베어링 (44) 또는 상기 베어링 캐리어 (13) 는 상기 바 (3) 와 단일편으로 제조되고 그리고 상기 밸런스 (41) 의 아버 (47) 를 반경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회전 숄더 (46) 및 상기 아버 (47) 의 단부를 축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한 전면 숄더 (49)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숄더 (46) 와 상기 전면 숄더 (47) 는 또한 이와 단일편인 탄성 충격 흡수기 (48) 에 의해 함께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위조립체 (1).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조립체에 포함되는 일체화된 상기 탄성 복귀 수단에는 산화된 규소 상태에서 예비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위조립체 (1).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하위조립체 (1) 를 포함하는 기계식 타임피스 무브먼트 (100).
  • 说明书全文

    타임피스 밸런스 스프링 {TIMEPIECE BALANCE SPRING}

    본원은 적어도 하나의 바 및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 메카니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스프링의 외부 단부는 밸런스 스프링 스터드에 고정된다.

    본원은 또한 상기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하위조립체 (sub-assembly) 를 포함하는 기계식 타임피스 무브먼트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타임피스 메카니즘 분야, 보다 자세하게는 기능적, 즉시 사용가능한 모듈들을 포함하는 이스케이프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모듈식 조립체들의 사용은 공통의 베이스를 사용하는 제품들의 군을 제조가능하게 하고, 이들 각각은 상이한 옵션들이나 기능들, 특히 기계식 타임피스 무브먼트의 경우에서는 복잡성에 의해 개별화된다.

    매우 고정확성의 모듈들 또는 하위조립체들의 개념은, 고품질의 상품과 대형 스케일의 제품을 결합하도록 해준다.

    그리하여, 타임피스 무브먼트들에 대한 모듈식 하위조립체들은 ETA SA 명의의 유럽특허출원 제 11193173.9 호 및 제 11193174.7 호에 알려져 있다. 이 특허출원들에 개시된 기계식 모듈들은 비가역적으로 미리 조절되고 또한 조립되어 이러한 세팅들의 내구성을 보장해준다.

    하지만, 종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듈들은 항상 구성품들의 개수의 저감을 허용하지 않고, 이러한 구성품들의 개수의 저감은 제조 비용들을 저감시키고 그리고 조립 플랜을 간략화시켜, 중간 레벨의 기술자가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고 가장 복잡한 기능들을 조절하도록 해준다.

    TISSOT 명의의 스위스특허 제 447042 호에는, 밸런스 스프링의 외부 단부를 고정하는 장치로서, 돌출 스터드들을 가진 강성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스터드들 사이에서 밸런스 스프링은 구불구불한 경로로 스레딩되고 그리고 스터드들 중 하나에 포함된 중첩부에 의해 측방향으로 유지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ROLEX 명의의 유럽특허출원 제 2151722 A1 호에는, 각각의 스트립의 단부들 중 하나가 스트립의 다른 단부에 대하여 아버를 중심으로 각도방향으로 이동될 때 중심 아버 (arbour) 에 마찬가지로 가해질 측력들을 상쇄할 수 있는, 오프셋으로 권취된 적어도 2 개의 동일 평면의 스트립들을 가진 밸런스 스프링이 개시되어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스트립들은 이들의 각각의 2 개의 내부 단부와 외부 단부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ROLEX 명의의 유럽특허출원 제 2347126 A1 호에는, 밸런스 스프링의 스트립의 외부 단부가 타임피스 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한 부재와 일체로 제조되는 밸런스 스프링이 개시되어 있고, 이 연결 부재의 강성은 스프링의 강성보다 크다. 연결 부재 및 프레임은 상보적인 베어링면들을 가진다.

    그리하여, 본원은, 평균적인 조립 및 조절 복잡성을 가진 구성품들의 개수가 줄어든 하위조립체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밸런스 스프링의 조립체는 자동화하기에 어려운 작업이다. 취급이 용이한 하위조립체에 일체화된 밸런스 스프링의 개념은, 조립체의 개선된 자동화를 허용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여기에서는 하위조립체들로서 도시된 모듈들의 제조를 최적화하도록 새로운 마이크로-구성품 제조 기술들, MEMS, "LIGA", 리소그래피 (lithography)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하위조립체들은, 경우에 따라서, 상기 2 개의 특허출원에서와 같이 서로 비가역적으로 조립될 수 있거나 또는 종래의 방식으로 위치결정 및 조립될 수도 있다.

    본원은 적어도 하나의 바 및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 메카니즘 하위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스프링의 외부 단부는 밸런스 스프링 스터드에 핀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스프링 및 이와 관련된 상기 밸런스 스프링 스터드는 상기 바와 단일편 조립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특징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밸런스 스프링 스터드는 위치 조절가능하고 그리고 잠금 수단에 의해 미리 조절된 위치에 잠겨진다.

    본원의 특징에 따라서, 상기 밸런스 스프링 스터드는 상기 밸런스 스프링 스터드 및 상기 바와 단일편인 탄성 복귀 수단에 의해 상기 바에 고정된다.

    본원은 또한 상기 종류의 적어도 하나의 하위조립체를 포함하는 기계식 타임피스 무브먼트에 관한 것이다.

    구성품들을 단일편으로, 특히 플레이트 또는 바들과 단일편으로 제조하는 사실로 인해, 부품들의 개수가 줄어들고 또한 조립 문제점들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진다. 본원은, 이러한 일체식 구성품들이 제조되는 정확성으로부터 이익을 얻는다 (통상적으로, 부품들은 예를 들어 규소로 제조되고 그리하여 미세측정 (micrometric) 정확성을 얻게 된다).

    일체식 하위조립체는 중심들간의 거리들을 보장하고 그리고 즉시 사용가능한 메카니즘, 특히 바람직한 적용에서 진동기 (oscillator) 를 형성하는 주요 장점을 가진다.

    본원은, 특히 이하의 장점들을 가진 가요성 지지체들을 포함한다:

    - 보장된 정확성;

    - 매우 감소되거나 제로의 마찰 레벨;

    - 마찰이 없거나 또는 적어도 매우 저감된 마찰 레벨로 인한, 무브먼트들에서의 이력현상 (hysteresis) 이 없음;

    - 윤활 없음;

    - 유극 없음;

    - 마모 없음.

    가요성 지지체들의 제조는 제한들, 특히 제한된 이동, 낮은 복귀력들, 및 제한된 차지 (charge) 를 유발한다. 하지만, 이러한 제한점들이 다수의 시계학적 (horological) 기능들, 특히 조절과 관련된 기능들을 막을 정도는 아니다.

    이러한 제한들은 중심들간의 거리의 고정확성, 제조할 소량의 구성품들 및 그로 인한 감소된 복잡성 및 조립 시간에 의해 충분히 보상된다. 본원에 따른 하위조립체는 대단한 산업적 장점: 하위조립체에서 메카니즘, 특히 진동기가 무브먼트에서의 조립을 위해 준비된 구성품을 형성하는 장점을 가진다. 더욱이, 본원의 하위조립체 형태로 고안된 전체 무브먼트를 막을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본원의 다른 특징들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부를 판독할 시 알 수 있다.

    도 1 은 바와 단일편으로 제조된 밸런스 스프링을 포함하고 그리고 이스케이프 메카니즘의 특정 경우에 대하여, 본원에 따른 하위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과 유사한 방식으로 유사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3 은, 도 1 과 유사한 방식으로, 밸런스 스프링이 스터드와 단일편으로 제조되고, 이 스터드는 또한 일체화된 탄성 복귀 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바와 단일편으로 제조되는 변형예의 도면이다.
    도 4 는, 도 1 과 유사한 방식으로, 밸런스 스프링이 스터드와 단일편으로 제조되며, 이 스터드는 또한 바와 단일편으로 되며, 그리고 밸런스 스프링의 외부 단부가 바와 단일편으로 형성되는 핀들에 의해 클램핑되고, 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체화된 탄성 복귀 수단에 의해 바에 연결되는 변형예의 도면이다.
    도 5 는 유극을 가진 종래의 핀들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 은 일체화된 탄성 복귀 수단의 영향으로 밸런스 스프링을 클램핑하는 상기 유형의 한 쌍의 핀들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a 는 밸런스 스프링의 내부 단부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밸런스를 선회시키기 위해서, 탄성 복귀 수단에 의해 바에 연결된 베어링 캐리어에 수용되는 선회부를 포함하는 바를 도시한다.
    도 7, 도 8 및 도 9 는 조립체에 또한 일체화되는 구성품을 위한 위치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일체식 하위조립체의 평면도로서,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은 클램핑 수단에 의해 위치에 잠길 수 있다.
    도 7 은 콤을 포함하는 탄성 조절 수단을 통하여 밸런스 스프링을 훅결합하는 선회부의 조절, 조절 위치에서 콤의 위치 잠금, 및 이러한 클램핑 수단을 제어하는 잠금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도 8 은 2 개의 가요성 스트립들 사이에 콤이 유지되고 그리고 이 콤은 쌍안정 구성품 (bistable component) 을 형성하는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 는 콤이 가요성 스트립의 단부에 위치된 인덱스를 고정시키는 유사한 메카니즘의 도면으로서, 이 콤은 스트립 스프링 클램프에 의해 인덱스로 가압되고, 이 스트립 스프링 클램프는 또한 잠금 핑거에 의해 고정된다.
    도 10 은 플레이트 또는 바와 단일편으로 충격 흡수기 베어링을 가진 선회부의 아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 은 본원에 따른 하위조립체를 포함하는 타임피스 무브먼트의 다이어그램이다.

    본원은, 타임피스 메카니즘들의 분야, 보다 자세하게는 즉시 사용가능한 기능적 모듈들을 통합하는 무브먼트들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적어도 하나의 바 (3) 및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스프링 (71) 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 메카니즘 하위조립체 (1) 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밸런스 스프링의 외부 단부는 밸런스 스프링 스터드 (73) 에 고정된다.

    본원에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스프링 (71) 및 이와 관련된 스터드 (73) 는 바 (3) 와 단일편 조립체를 형성한다.

    유리한 변형예에 있어서, 도 7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 (73) 는 위치 조절가능하고 그리고 잠금 수단에 의해 미리 조절된 위치에 고정된다.

    도 1 에서는, 실제 바 (3) 의 평면에 평행하고 그리고 이와 일체화된 밸런스 스프링 (71) 의 평면에서 플레이트 (72) 와 스터드가 일체화되어, 모두 단일편 구성품 (20) 을 형성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2 에서는, 스터드 (73) 가 바 (3) 로부터 돌출하고 그리고 스터드 (73) 의 단부가 밸런스 스프링 (71) 의 평면에서 바 (3) 의 평면에 평행하여, 모두 단일편 구성품 (20) 을 형성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 에서는, 스터드 (73) 가 2 개의 레벨: 밸런스 스프링 (71) 의 레벨과 바 (3) 의 레벨에 걸쳐 동시에 연장하여, 모두 단일편 구성품 (20) 을 형성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특히 도 2 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 스프링 (71) 은 스터드 (73) 와 단일편으로 제조되고, 밸런스 스프링은 그의 외부 코일 (77) 을 통하여 스터드에 부착된다. 이러한 스터드 (73) 는 또한 바 (3) 와 단일편으로 제조되고, 이 스터드는 스터드 (73) 및 바 (3) 둘 다와 단일편으로 제조된 제 2 일체화된 탄성 복귀 수단 (75) 에 의해 바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탄성 복귀 수단의 탄성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되는 스터드 위치 조절은, 도 3 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시예가 도 7 및 도 9 에 도시된 클램핑 수단에 의해 유지된다.

    밸런스 스프링 (71) 의 외부 코일의 작동 길이의 조절은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밸런스 스프링 (71) 의 외부 코일 (77) 은 바 (3) 와 단일편으로 2 개의 핀들 (74A, 74B) 에 의해 클램핑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핀들 (74) 중 적어도 하나는 제 2 탄성 복귀 수단 (76) 에 의해 상부 바 (3) 에 고정되고, 이 제 2 탄성 복귀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 (74A 또는 74B) 및 바 (3) 와 단일편이며, 이 제 2 탄성 복귀 수단은 상기 핀을 다른 핀 (74B 또는 74A) 에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리하여, 도 4 에서는, 도 3 의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밸런스 스프링 (71) 이 또한 스터드 (73) 와 단일편으로 제조되고 그리고 스터드가 또한 바 (3) 와 단일편으로 제조되며, 밸런스 스프링의 외부 단부는 스터드 (73) 로부터 이격되어 바 (3) 와 단일편으로 핀들 (74A, 74B) 에 의해 클램핑되어, 함께 밸런스 스프링 (71) 의 작동 길이를 변경하는 인덱스 (74) 의 상응물을 형성한다.

    어떠한 유극이 없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핀들 (74A, 74B) 중 적어도 하나는, 바 (3) 에 또한 일체화된 탄성 복귀 수단 (76) 에 의해 바 (3) 에 연결 및 고정되고, 이 탄성 복귀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 (74) 및 바 (3) 와 단일편이고 그리고 상기 핀을 다른 핀 (74) 에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도 5 에서는 매우 작은 유극을 가진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핀들 (74A, 74B) 의 반경방향, 독립적인 조절은 다양한 위치들에서의 무브먼트의 등시성 (isochronism) 을 조절한다.

    이러한 탄성 복귀 수단 (76) 은, 특히, 밸런스 스프링 (71) 의 평면 또는 바 (3) 의 평면, 또는 어떠한 다른 평면에 위치된 1 개 이상의 가요성 요소들로 형성된다. 유리한 변형예에 있어서, 밸런스 스프링 (71) 및/또는 핀들 (74A 또는 74B) 은 국부적으로 노치되어 별도의 노치-바이-노치 (notch-by-notch)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메카니즘 (1) 을 용이하게 미리 조절하기 위해서, 이들의 구성품들 중 적어도 하나는 위치 조절가능하고 그리고 잠금 수단에 의해 미리 조절된 위치에서 잠겨진다.

    도 7 내지 도 9 에 도시된 특정 변형예에 있어서, 하위조립체 (1) 는 강성 구조물 (81) 을 포함하는 위치 조절가능한 메카니즘 (80) 을 포함한다. 이러한 강성 구조물 (81) 은 바람직하게는 바 (3) 에 의해 형성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스트립 (83) 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위치 조절가능한 구성품 (82) (특히 스터드에 의해 형성되거나 스터드 (73) 를 유지) 을 유지한다. 이러한 조절가능한 구성품 (82) 은 조절 메카니즘 (90) 에 포함되는 상보적인 인덱싱 수단 (91) 과 협력하도록 배열된 인덱싱 수단 (84) 을 포함한다. 이 상보적인 인덱싱 수단 (91) 은 인덱싱 수단 (84) 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리고 구조물 (81) 에 탄성적으로 고정된 클램핑 메카니즘 (94) 에 의해 협력 위치에서 잠겨질 수 있다. 클램핑 메카니즘 (94) 에는 또한 잠금 메카니즘 (98) 의 작용이 가해지고, 이 잠금 메카니즘은 조절 메카니즘 (90) 이 자유롭게 되는 분리 위치 또는 클램핑 메카니즘 (94) 이 조절 메카니즘 (90) 을 방해하는 결합 위치 중 하나를 메카니즘 (94) 이 점유하도록 한다. 잠금 메카니즘 (98) 은 또한 구조물 (81) 에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이러한 위치 조절가능한 메카니즘 (80) 은 위치 조절가능한 구성품 (82) 을 유지하고, 이 위치 조절가능한 구성품은 이전과 동일한 설계 (architecture) 를 가진 밸런스 스프링 (71) 의 내부 단부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밸런스 (41) 의 선회부를 수용하기 위한 베어링 (44) 또는 베어링 캐리어 (13) 를 유지한다.

    도 7 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위치 조절가능한 구성품 (82) 은 조절 메카니즘 (90) 에 포함되는 상보적인 인덱싱 수단 (91) (여기에서, 콤 또는 치형 섹터로 형성됨) 과 협력하도록 배열된 인덱싱 수단 (84) 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보적인 인덱싱 수단 (91) 은 인덱싱 수단 (84) 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상보적인 인덱싱 수단은 또한 클램핑 메카니즘 (94) 에 의해 협력 위치에서 잠겨질 수 있다.

    이러한 클램핑 메카니즘 (94) 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요소 (96) 에 의해 구조물 (81) 에 탄성적으로 고정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잠금 메카니즘의 작용이 가해지며, 이 잠금 메카니즘은 조절 메카니즘 (90) 이 자유롭게 되는 분리 위치 또는 클램핑 메카니즘 (94) 이 조절 메카니즘 (90) 을 방해하는 결합 위치 중 하나를 메카니즘 (94) 이 점유하도록 한다. 이러한 잠금 메카니즘은 점퍼 (jumper) 를 형성하고 또한 구조물 (81) 에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요소 (98)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요소 (98) 는 여기에서 비이크 (beak; 99) 를 포함하고, 이 비이크는 위치 조절 동안 클램프를 멀리 유지하도록 클램프 (94) 의 비이크 (97) 와 협력하거나 또는 위치 조절이 실시될 때 클램프를 고정하는 경우 클램프 (94) 의 상보적인 정지면 (95) 과 협력한다. 상보적인 정지면은 콤 (91) 에 포함된 암 (93) 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포크 형태로 된다.

    도 8 에서는, 콤 (91) 이 2 개의 실질적으로 정렬된 가요성 스트립들 (92, 92A) 사이에 유지되고 그리고 버클링에 의해 작동하는 쌍안정 구성품을 형성하는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조립체는 2 개의 안정적인 위치들: 콤 (91) 이 이동가능한 스터드 (82) 의 핑거 (84) 와 협력하는 제 1 작동 위치 (A) 와 콤이 핑거로부터 분리되는 제 2 해제 위치 (B) 를 점유할 수 있다.

    도 9 에서는, 콤 (91) 이 가요성 스트립 (83) 의 단부에 위치된 인덱스 (84) 를 잠그는 유사한 메카니즘을 도시하고, 콤 (91) 은 클램프 (94) 에 속하는 스트립 스프링 클램프 (96) 에 의해 인덱스 (84) 로 가압되며, 이 스트립 스프링 클램프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98) 에 장착된 잠금 핑거 (99) 에 의해 잠겨지며, 상기 핑거 (99) 는 스트립 (96) 의 정지면 (97) 과 협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밸런싱 스프링의 축선에 집중된 이동에 대한 스터드를 조절하는 특정 적용에 대해 도시된, 이러한 조합된 조절, 클램핑 및 잠금 메카니즘은, 광범위한 적용들: 베어링, 정지 부재, 인덱스 핀 또는 다른 요소의 위치결정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0 에 따른 변형예에 있어서, 바 (3) 는 이스케이프 메카니즘의 구성품의 또는 밸런스 스프링 (71) 의 내부 단부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밸런스 (41) 의 선회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기 베어링을 가진 분리불가능한 단일편 구성품을 형성한다.

    특히, 도 4a 에 도시된 유리한 변형예에 있어서, 밸런스 스프링 (71) 의 내부 단부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밸런스 (41) 를 선회시키기 위해서, 바 (3) 는 탄성 복귀 수단 (14) 에 의해 바 (3) 에 연결된 베어링 캐리어 (13) 에 수용되는 선회부 (45) 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선회부 (45) 는 플레이트 (2) 상에 배열될 수도 있다.

    선회부 (45) 는 종래의 선회부 또는 가요성 지지체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특정 버젼에 있어서, 선회부 (45) 는, 경우에 따라서, 바 (3) 또는 플레이트 (2) 와 단일편인 가요성 지지체이다.

    특정 버젼 (비도시) 에 있어서, 밸런스 (41) 의 일 단부는 가요성 지지체 및 바 (3) (또는 각각의 플레이트 (2)) 와 단일편이고, 이 밸런스는 그 후 가요성 지지체의 간극에 의해 제한되는 이동을 하며, 이 가요성 지지체는 그 후 밸런스의 충분한 각이동을 허용하도록 여러 단계들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고, 이 밸런스는 그 후 바 (3) (또는 각각의 플레이트 (2)) 와 단일편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이러한 유형의 가요성 지지체는 실제 밸런스 스프링 (71) 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변형예 (비도시) 에 있어서, 밸러스 (41) 는 밸러스 스프링 (71) 을 형성하는 가요성 지지체에 의해 각 측에서 바 (3) 및 플레이트 (2) 둘 다에 훅결합되고, 이러한 2 개의 밸런스 스프링들 (71) 은 동일한 방향으로 또는 반대 방향으로 토크들을 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탄성 복귀 수단 (14) 은 바 (3) 및 베어링 캐리어 (13) 와 단일편이고, 변형예에 있어서, 선회부 (45) 는 또한 단일편 하위조립체 (1) 의 일부를 형성한다.

    하위조립체 (1) 의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 (3) 는 밸런스 스프링 (71) 의 내부 단부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밸런스 (41) 의 선회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44 또는 45) 또는 베어링 캐리어 (13) 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베어링 (44 또는 45), 또는 상기 베어링 캐리어 (13) 는 바 (3) 와 단일편으로 제조되고 그리고 밸런스 (41) 의 아버 (47) 를 반경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회전 숄더 (46) 및 상기 아버 (47) 의 단부를 축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한 전면 숄더 (49)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숄더 (46) 와 상기 전면 숄더 (47) 는 탄성 충격 흡수기 (48) 에 의해 또한 이와 단일편으로 함께 유지된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위조립체 (1) 는 규소로 제조된다. 선회부들 (45) 의 선회 지점들은, 예를 들어 규소 기재에서의 이방성 (KOH) 에칭에 의해 규정된다. 보석들의 조립체를 가진 버젼이 또한 가능하다. 대단한 장점은 선회 지점들의 매우 정확한 위치결정이다 (중심들로부터의 거리, 수직성).

    그리하여, 충격 흡수기들은 플레이트 내측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충격 흡수기 스프링은 플레이트와 함께 제조될 수도 있다. 2 개의 보석들 중 하나 (또는 둘 다) 는 플레이트와 함께 제조될 수도 있다. 그 후, 선회는 규소에서 직접 발생된다. 선회 지점들은 DLC 또는 다른 표면 코팅들로 규소에서 스트레이트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하여, 더 많은 보석들이 없고 그리고 회전 지점들은 매우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위조립체 (1) 는 더 큰 조립체에서 하위조립체의 조립을 향상시키도록 의도된 분리가능한 요소들 (severable elements) 을 포함하고, 이러한 분리가능한 요소들은 그 후 이들의 어떠한 구성요소들에 1 개 이상의 자유도를 부여하도록 단지 분리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분리가능한 요소들은 바와 함께 밸런스 스프링의 내부 단부에 위치되고 그리고 밸런스 (41) 가 조립되고 밸런스 스프링 (71) 이 밸런스의 콜렛에 고정되면 단지 분리된다.

    특정 변형예 (비도시) 에 있어서, 하위조립체 (1) 는 전체 이스케이프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위조립체 (1) 에 포함된 일체화된 탄성 복귀 수단은, 예를 들어 버클링에 의해 작동하는 쌍안정 요소를 도시하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쌍안정 또는 다안정 요소를 포함하고, 또한 2 개의 실질적으로 정렬된 탄성 스트립들 (92, 92A) 사이의 콤 (91) 을 포함하며, 조립체는 2 개의 안정적인 위치들; 콤 (91) 이 이동가능한 스터드 (82) 의 핑거 (84) 와 협력하는 제 1 작동 위치 (A) 와 콤이 핑거로부터 분리되는 제 2 해제 위치 (B) 를 점유할 수 있다.

    규소로 제조된 본원에 따른 하위조립체 (1) 의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하위조립체에 포함되는 일체화된 탄성 복귀 수단에는 산화된 규소 상태에서 예비 응력이 가해진다.

    본원에 따른 하위조립체 (1) 의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 (3) 는 미세기계가공 재료, 규소, 또는 산화된 규소로 제조되고, 이에 포함되는 일체화된 탄성 복귀 수단에는 산화된 규소 상태에서 예비 응력이 가해진다. MEMS 또는 "LIGA" 기술에서의 다른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석영, DLC,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정형 재료들 또는 금속 유리들은 이러한 적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그 리스트는 한정되지 않는다.

    바 (3) 및/또는 이에 포함되는 분리불가능한 단일편 구성품들의 특정 구조화는 이러한 구조적 요소들 또는 메카니즘 하위조립체 (1) 의 구성품들의 팽창 효과들에 대하여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관성을 위해서, 규소로 바 (3) 를 제조한 후, 이를 산화시킬 수 있다.

    본원은 또한 상기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하위조립체 (1) 를 포함하는 기계식 타임피스 무브먼트 (100) 에 관한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