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시계 겸용 어항

申请号 KR1019990037730 申请日 1999-09-06 公开(公告)号 KR1020010026422A 公开(公告)日 2001-04-06
申请人 김수열; 发明人 김수열;
摘要 PURPOSE: An aquarium combined with a water clock is provided, which can enhance product value not only as a water clock but also as an aquarium by installing a water container at the lower and upper parts of the aquarium and by making the water in the upper water container flow into the lower water container within regular time. CONSTITUTION: The aquarium combined with a water clock comprises: water containers(2,2') formed at the lower and upper sides of a transparent pipe(1); packings(4,4') installed between connection parts(3,3') and the transparent pipe(1) and the water containers(2,2'); and pipe(5,5') and holes(6,6') formed at the connection parts(3,3') for discharging and inhaling water and air.
权利要求
  • 투명재의 파이프상 투명관(1)의 상,하측에 내부에 물을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물저장통(2)(2')을 투명관(1)과 물저장통(2)(2')에 형성된 나사부(7)(7')로 각각 결합하되, 물저장통(2)(2')의 결합면(3)(3')과 투명관(1)의 사이에 패킹(4)(4')을 설치하고, 결합면(3)(3')의 일측에는 각각 투명관(1) 내측으로 돌출된 통류관(5)(5')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통류공(6)(6')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물과 공기가 흡입,배출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시계 겸용 어항.
  • 说明书全文

    물시계 겸용 어항{Combination water clock and fishing port}

    본 발명은 각종 물고기를 넣어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어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항의 상,하측에 물저장통을 설치하여 상부 물저장통 내부의 물이 일정한 시간내에 하부 물저장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장식용 어항은 물론 물시계의 역할을 함께하도록 하여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보다 향상시킨 물시계 겸용 어항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생활 여건이 크게 개선되면서 사람들은 의,식,주의 해결에 만족하지 못하고 주거나 생활 환경의 실내장식 등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장식물 중의 하나는 어항으로서 크고 작은 사면체나 원통 등의 어항 내부에 각종 어류를 넣어 기르므로서 물고기를 좋아하는 사람의 취미생활은 물론 장식의 효과도 뛰어나 많은 사람들이 이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어항은 그 크기가 비교적 크고, 그 구성이 단순히 사면체나 육면체 또는 원통형상으로 어항을 구성하여 그 내부에 각종 어류와 장식물을 넣어 장식용으로 사용하므로서 물의 흐름이 없는 정적인 장식물이어서 장식효과가 떨어지고 사용자 역시 쉽게 식상하는 문제점이 있고, 별도의 기포발생기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시 경제적 부담이 컸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교적 소형의 파이프상의 투명관 상,하부에 통류관과 통류공이 형성된 물저장통을 설치하여 어항을 구성하므로서 어항을 거꾸로 놓으면 통류공과 배출공을 통해 물과 공기가 일정시간에 거쳐 이동하게 되어 동적인 장식효과를 나타내고 별도의 기포발생기가 필요 없으며, 이를 반복하므로서 물시계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여 동적인 장식효과와 물시계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물시계 겸용 어항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단면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명관 2,2' : 물저장통

    3,3' : 결합면 4,4' : 패킹

    5,5' : 통류관 6,6' : 통류공

    7,7' : 나사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투명재의 파이프상 투명관(1)의 상,하측에 내부에 물을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물저장통(2)(2')을 투명관(1)과 물저장통(2)(2')에 형성된 나사부(7)(7')로 각각 결합하되, 물저장통(2)(2')의 결합면(3)(3')과 투명관(1)의 사이에 패킹(4)(4')을 설치하고, 결합면(3)(3')의 일측에는 각각 투명관(1) 내측으로 돌출된 통류관(5)(5')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통류공(6)(6')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물과 공기가 흡입,배출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어항을 사용시에는 우선 일측에 결합되어진 물저장통(2)을 투명관(1)과 분리시킨 후 투명관(1) 내에 물을 넣어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물저장통(2')과 투명관(1) 내에 물이 완전히 충전되도록 하고, 이에 각종 어류를 넣고, 상측에 분리해 두었던 물저장통(2)을 다시 결합하여 조립을 마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되어진 어항을 물시계로 사용하기 위해서 거꾸로 세워 놓게 되면 도 2의 도시와 같이 투명관(1)내에 충전되어진 물이 내부가 비어있는 하측의 물저장통(2)으로 통류공(3)을 통해 흡입되어 지면서 내부의 공기는 통류관(5)을 통해 투명관(1) 내로 배출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측의 물저장통(2')에 충전되어 있던 물(10)이 통류관(5')을 통해 투명관(1) 내로 배출되고, 하측 물저장통(2)의 통류관(5)를 통해 투명관(1)내로 배출된 공기는 다시 상측 물저장통(2')에 형성된 통류공(6')을 통해 물저장통(2')내로 흡입되므로서 일정한 시간에 걸쳐 상측 물저장통(2')과 투명관(1)에 충전되어진 물이 내부가 비어있는 하측의 물저장통(2)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일정한 시간내에 상부 물저장통의 물이 하부의 물저장통에 충전되는 것을 이용하여 물시계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물저장통(2)(2')의 결합면(3)(3')과 투명관(1)의 사이에 고무재 등으로 형성된 패킹(4)(4')을 설치하여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저장통(2)(2')의 결합면(3)(3')에 투명관(1)의 내측으로 형성된 통류관(5)(5')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통류공(6)(6')이 형성되어 각각의 흡입구 높이가 차이가 생기므로 이로 인해 물저장통(2)(2')으로 부터 물을 배출시에는 수압에 의해 통류관(5)(5')으로 물이 배출되고, 투명관(1)내의 물 상면에 형성되는 공기압에 의해 통류공(6)(6')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물저장통(2)(2')의 내부로 물을 유입시에는 투명관(1) 내에 충전되어진 물의 수압에 의해 흡입구의 위치가 통류관(5)(5') 보다 낮은 통류공(6)(6')으로 보다 큰 수압이 작용하여 물이 유입되고, 물저장통(2)(2')내의 공기는 배츨관(5)(5')을 통해 투명관(1)내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투명관(1)의 상,하측에 설치된 물저장통(2)(2')의 통류공(6)(6')과 통류관(5)(5')을 통해 물이 일정한 시간에 거쳐 일측의 물저장통으로 부터 타측의 물저장통으로 원활히 이동되게 하므로서 어항 본연의 역할인 장식효과는 물론 물시계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소형의 파이프상의 투명관 상,하부에 통류관과 통류공이 형성된 물저장통을 설치하여 어항을 구성하므로서 어항을 거꾸로 놓으면 통류공과 배출공을 통해 물과 공기가 일정시간에 거쳐 이동하게 되어 동적인 장식효과를 나타내고 별도의 기포발생기가 필요 없으며, 이를 반복하므로서 물시계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여 동적인 장식효과와 물시계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