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apparatus of glasses type

申请号 KR20100080652 申请日 2010-08-20 公开(公告)号 KR20120017809A 公开(公告)日 2012-02-29
申请人 LEE YONG NOH; 发明人 LEE YONG NOH;
摘要 PURPOSE: An eyeglasses type image device with a rotary reflection plate is provided to protect a privacy by showing an image to only the user. CONSTITUTION: A transmitter transmits information which is selectively displayed to the outside in real time. A receiver(50) is combined with a bridge(12)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transmitter in real time. A reflection plate(60) is installed in the front sides of both rims(11) and is combined with the lower side of the rim of a temple by a hinge(61). The reflection plate rotates around the hinge. An image device(8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s of both rims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receiver in real time. The image device displays information in the rear of the reflection plate.
权利要求
  • 전자제품(70)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또는 사진 등의 정보(데이터)를 외부로 실시간 송신하는 송신부(71);
    사용자의 양 눈과 대응하도록 양측에 구비된 림부(11)와, 상기 림부(11)의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부(12)와, 상기 브릿지부(12)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코에 받쳐지는 코받침(13)과, 사용자의 양 귀에 각각 걸리는 양 귀걸이부(15)와, 상기 림부(11) 각각의 일측과 상기 귀걸이부(15) 각각의 전방측을 연결하는 다리부(14)로 이루어진 안경테(10);
    상기 브릿지부(12)에 결합되어 상기 송신부(71)로부터 영상 또는 사진 등의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수신받는 수신부(50);
    상기 양 림부(11)의 전방측에 각각 설치되되, 하부가 상기 안경테(10)의 림부(11) 하부와 힌지(61)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힌지(61)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반사판(60);
    상기 양 림부(11) 상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수신부(50)로부터 영상 또는 사진 등의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전달받고, 상기 반사판(60)의 후면에 영상 또는 사진 등의 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기기(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타입의 영상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60)은,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힌지(61)를 중심으로 상기 반사판(60)의 경사각을 조절하며 눈동자(I)로 상기 반사판(6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또는 사진 등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6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타입의 영상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 림부(11)의 내부에 렌즈(20)를 각각 구비하되,
    상기 렌즈(20)는, 상기 반사판(6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또는 사진 등이 사용자의 눈동자(I)에 집중되도록 볼록렌즈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타입의 영상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0)는,
    상기 수신부(50)와 영상기기(8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부(40)를 하나 이상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타입의 영상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0)는,
    상기 양 귀걸이부(15)를 연결하며 사용자의 목에 걸리는 걸이끈(1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타입의 영상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71)는, 상기 전자제품(70)에서 출력되는 소리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외부로 실시간 송신하되,
    상기 안경테(10)는, 양 귀걸이부(15)의 하부 끝단에 각각 연결되어 수신부(50)로부터 소리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전달받아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폰(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타입의 영상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0)는,
    상기 다리부(14)의 후방에 양 이어폰(30)을 각각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3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타입의 영상장치.
  • 说明书全文

    안경 타입의 영상장치{Image Apparatus of Glasses Type}

    본 발명은 안경 타입의 영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제품의 영상을 안경 타입으로 이루어진 영상장치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인이 전자제품의 영상을 볼 수 없도록 함과 동시에 사생활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에 따른 보안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 타입의 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히 발달함에 따라 휴대폰(Mobile phone, Cellular phone)이나 개인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데스크탑 등과 같은 전자제품의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전자제품의 기능 또한 기존의 단순한 통화기능이나 정보수신 기능 이외에 점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휴대폰이나 개인정보단말기 등에 촬영을 위한 카메라 기능이 탑재되고 있는 것은 물론, 음성, 그림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제공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도 탑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 중에도 PDA나 전용 단말기를 통해 콤팩트디스크,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급의 고음질, 고화질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DMB 수신칩이 포함되고 있기 때문에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제품이 점차 고급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상기 전자제품이란, 데스크탑을 비롯하여 휴대기기를 포함하는바, 상기 휴대기기는, 휴대폰이나 PDA를 비롯하여 노트북(Notebook), 넷북(Netbook), 휴대용 게임기(PSP: PlayStation Portable), 엠피쓰리 플레이어(MP3: MPEG Audio Layer-3),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칭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휴대기기와 데스크탑 등의 전자제품을 '전자제품'이라 칭함을 강조한다.

    최근, 전자제품은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가 대형화 및 고품질화되고, 일부 휴대기기는 화소 수가 6만 이상이고 크기가 2.2인치 이상의 액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자제품을 이용하여 영상이나 사진 등을 볼 때, 주변 사람들이 전자제품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또는 사진 등을 함께 보게 되어, 사생활이 보호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인정보를 입력하거나 볼 때에도 주변 사람들에게 공개가 되어 보안에 큰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제품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또는 사진 등을 타인이 볼 수 없도록 하여 사생활을 보호함과 동시에 개인정보의 보안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 타입의 영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전자제품에서 출력되는 소리도 타인이 들을 수 없도록 하여 사생활 및 개인정보를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안경 타입의 영상장치는, 전자제품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또는 사진 등의 정보(데이터)를 외부로 실시간 송신하는 송신부; 사용자의 양 눈과 대응하도록 양측에 구비된 림부와, 상기 림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부와, 상기 브릿지부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코에 받쳐지는 코받침과, 사용자의 양 귀에 각각 걸리는 양 귀걸이부와, 상기 림부 각각의 일측과 상기 귀걸이부 각각의 전방측을 연결하는 다리부로 이루어진 안경테; 상기 브릿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송신부로부터 영상 또는 사진 등의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수신받는 수신부; 상기 양 림부의 전방측에 각각 설치되되, 하부가 상기 안경테의 림부 하부와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반사판; 상기 양 림부 상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수신부로부터 영상 또는 사진 등의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전달받고, 상기 반사판의 후면에 영상 또는 사진 등의 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기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반사판은,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반사판의 경사각을 조절하며 눈동자로 상기 반사판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또는 사진 등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양 림부의 내부에 렌즈를 각각 구비하되, 상기 렌즈는, 상기 반사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또는 사진 등이 사용자의 눈동자에 집중되도록 볼록렌즈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안경테는, 상기 수신부와 영상기기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부를 하나 이상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안경테는, 상기 양 귀걸이부를 연결하며 사용자의 목에 걸리는 걸이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전자제품에서 출력되는 소리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외부로 실시간 송신하되, 상기 안경테는, 양 귀걸이부의 하부 끝단에 각각 연결되어 수신부로부터 소리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전달받아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폰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경테는, 상기 다리부의 후방에 양 이어폰을 각각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안경 타입의 영상장치에 따르면, 안경 형태의 영상장치를 사용자가 쓰고, 전자제품으로부터 실시간 전달된 정보에 따라 영상기기에서 반사판으로 디스플레이된 영상 또는 사진 등의 정보를 사용자의 눈동자로 볼 수 있고, 이어폰을 통해 소리를 듣게 됨으로써, 전자제품에 영상이나 사진 등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아 타인이 볼 수 없음에 따라 사용자 본인 만이 볼 수 있어 사생활이 보호되고 개인정보에 따른 보안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과 영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눈으로 보는 동작을 보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과 영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눈으로 보는 동작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은 전자제품(70)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또는 사진 등의 정보(데이터)를 외부로 실시간 송신하는 송신부(71); 사용자의 양 눈과 대응하도록 양측에 구비된 림부(11)와, 상기 림부(11)의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부(12)와, 상기 브릿지부(12)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코에 받쳐지는 코받침(13)과, 사용자의 양 귀에 각각 걸리는 양 귀걸이부(15)와, 상기 림부(11) 각각의 일측과 상기 귀걸이부(15) 각각의 전방측을 연결하는 다리부(14)로 이루어진 안경테(10); 상기 브릿지부(12)에 결합되어 상기 송신부(71)로부터 영상 또는 사진 등의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수신받는 수신부(50); 상기 양 림부(11)의 전방측에 각각 설치되되, 하부가 상기 안경테(10)의 림부(11) 하부와 힌지(61)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힌지(61)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반사판(60); 상기 양 림부(11) 상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수신부(50)로부터 영상 또는 사진 등의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전달받고, 상기 반사판(60)의 후면에 영상 또는 사진 등의 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기기(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영상장치(1)는, 크게 전자제품(70)과 안경테(1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전자제품(70)은, 기 설명한 바와 같이 데스크탑과 휴대기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기기는, 휴대폰이나 PDA를 비롯하여 노트북(Notebook), 넷북(Netbook), 휴대용 게임기(PSP: PlayStation Portable), 엠피쓰리 플레이어(MP3: MPEG Audio Layer-3),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칭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휴대기기와 데스크탑 등의 전자제품을 '전자제품'이라 칭함을 강조한다.

    상기 전자제품(70)에는, 전자제품(7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나 사진 등의 정보(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7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71)는, 전자제품(7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상기 영상이나 사진 등의 정보(데이터)와 함께 외부로 송신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송신부(71)는, 휴대기기에 적용할 경우에는 도면과 같이 휴대기기의 상부에 구비함이 바람직하고, 데스크탑에 적용할 경우에는 본체의 상부 또는 모니터의 상부에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자제품(70)은, 평상시에는 전자제품(70) 자체에서 영상이나 사진 등의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고 소리에 대한 정보(데이터)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지만, 선택적으로 전자제품(70)에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소리도 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데이터)와 소리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신부(71)를 통해 외부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선택적으로 송신부(71)가 정보(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송신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구성은, 상기 전자제품(70)에 구비된 스위치 또는 버튼이나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한 선택으로 설정하도록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송신부(71)는 전자제품(70)의 상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한바, 이는 정보의 송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부에 설치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전자제품(70)을 휴대폰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기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전자제품(70)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바이다.

    또한, 정보(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71)는 현재 다양한 것들이 개시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 발명에 적용하면 되며,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편하게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안경테(10)는, 일반적인 안경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합성수지와 금속 및 목재 등의 재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용자의 양 눈과 대응하도록 양측에 구비된 렌즈(20)의 테두리를 각각 구성하는 림부(11)와, 상기 양 림부(11)를 연결하는 브릿지부(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렌즈(20)는, 필요에 따라 상기 림부(11)에 결합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림부(11)는, 원형이나 타원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림부(11)의 형상에 맞추어 상기 렌즈(20)도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렌즈(20)를 구비할 때, 평면렌즈로 이루어져 영상기기(80)에서 디스플레이된 영상 또는 사진 등이 반사판(60)을 통해 평면상의 렌즈(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으나, 상기 렌즈(2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또는 사진 등이 사용자의 눈동자(I)에 집중되도록 볼록렌즈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릿지부(12)는, 사용자의 코 부분 상부에 위치하도록 양 림부(11)를 연결하며 형성됨은 물론이며, 상기 브릿지부(12) 하부 양측에는 코받침(13)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코에 상기 안경테(10)가 받쳐지도록 한다.

    상기 코받침(13)은 통상 2가지 형태로 이루어지는바, 도면과 같이 양 림부(11)에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와, 상기 림부(11)와 연결바로 연결된 코받침(13)으로 형성되는 형태이다. 즉, 도면에서는 상기 림부(11)와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림부(11)와 연결바로 연결된 코받침(13)으로 형성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안경테(10)는, 사용자의 양 귀에 각각 걸리는 고리형상의 양 귀걸이부(15)가 구비되고, 상기 양 림부(11)의 각각의 일측과 상기 양 귀걸이부(15) 각각의 전방측을 연결하며 다리부(14)가 구비된다.

    이때 도면과 같이, 상기 브릿지부(12)에 의해 연결된 양 림부(11)의 각각의 외측 상단에 상기 양 다리부(14)의 전방측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림부(11)와 다리부(14)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다리부(14)가 림부(11)의 후방측으로 접히게 되어 안경테(10)를 보관,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경테(10)는, 상기 양 귀걸이부(15)의 하부를 연결하는 걸이끈(16)이 구비되어, 상기 걸이끈(16)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안경테(10)를 목에 걸어 휴대하고 다니다가 간편하게 쓸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이끈(16)은, 탄성이 있는 고무재질의 끈으로 형성하거나, 통상적인 실로 엮어 만든 끈으로 형성함은 물론이며, 더 나아가 옥 성분이나 황토 성분 또는 자석 성분 등 인체에 이로움을 주는 성분이 포함된 끈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인바, 이와 같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끈을 이용하여 걸이끈(16)을 형성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안경테(10)의 브릿지부(12) 상부에는, 상기 전자제품(70)의 송신부(71)로부터 정보(데이터)를 전달받는 수신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수신부(50)는, 상기 브릿지부(12)의 상부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일측 림부(11)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는바, 상기 수신부(50)의 결합위치에 따른 단순 설계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안경테(10)의 중심을 맞추기 위해, 도면과 같이 상시 수신부(50)를 상기 브릿지부(12)에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50)는, 상기 송신부(71)로부터 정보(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현재 다양한 것들이 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 안경테(10)의 양 렌즈(20) 전방에는, 하부가 상기 림부(11)의 하부와 힌지(61)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사판(60)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양 림부(11)의 상부에는 상기 수신부(50)로 수신된 정보에 따른 영상 또는 사진 등을 상기 양 반사판(60)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영상기기(80)가 구비된다.

    상기 반사판(60)은, 힌지(61)에 의한 결합으로 평상시 후면이 상기 림부(11)의 전면과 대응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힌지(61)를 중심으로 반사판(60)을 전방측으로 기울이며 상기 영상기기(8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또는 사진이 렌즈(20)에 잘 디스플레이되도록 반사판(6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영상 또는 사진을 다 본 후에는 다시 사용자가 힌지(61)를 중심으로 반사판(60)을 후방측으로 기울이며 상기 반사판(60)의 후면이 상기 림부(11)의 전면과 대응 접촉하도록 하여 보관 또는 휴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반사판(60)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62)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61)를 중심으로 반사판(60)을 전방으로 기울이거나 후방으로 기울이는 동작이 편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62)는, 도면과 같이 양 반사판(60)의 각각의 외측에 반원형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반타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 전방으로 절곡하고 다시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등, 상기 손잡이(62)에 대한 다양한 형상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반사판(60)은, 현재 사진촬영 또는 영상촬영 등지에서 다양한 것들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들 중 상기 영상기기(8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또는 사진 등이 반사판(60)을 통해 반사되어 렌즈(2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질 및 눈부심 등을 고려하여 가장 바람직한 반사판(60)으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경테(10)에 결합해야 하므로, 최대한 경량의 제품으로 선택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기기(80)는, 수신부(50)로 수신된 영상 또는 사진 등의 정보(데이터)를 반사판(60)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상기 반사판(60)의 하부가 림부(11)의 하부와 힌지(61)로 결합되어 회동함에 따라 경사진 반사판(60)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도면과 같이 하향 경사지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기기(80)는, 현재 다양한 것들이 사용되고 있음에 따라, 이들 중 가볍고 크기가 작은 것을 선택하여 본 발명에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과 같이 상기 수신부(50)로 수신된 소리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이어폰(30)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어폰(30)은, 상기 수신부(50)와 전선으로 연결됨은 물론이며, 상기 전선이 외부에 보이지 않도록 상기 수신부(50)에서 림부(11)와 다리부(14) 및 귀걸이부(15)를 통과하여 귀걸이부(15) 하부로 전선을 돌출시켜 이어폰(30)과 연결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안경테(10)의 양 다리부(14) 후방에는 상기 이어폰(30)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31)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보관부(31)는, 상기 이어폰(30)이 안착될 수 있는 홈이 구비되어, 상기 보관부(31)에 이어폰(30)을 안착시켜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시 이어폰(30)을 보관부(31)에서 꺼내어 귀에 꽂아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경테(10)의 림부(11) 일측에는, 상기 수신부(50)와 영상기기(8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부(40)는, 도면과 같이 림부(11)의 일측에 구비할 수도 있고, 안경테(10)의 다리부(14)에 구비할 수도 있는바, 상기 전원부(40)의 설치위치에 따른 다양한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부(40)는 안경테(10)에 부착되어야 함에 따라, 현재 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것들 중, 가볍고 충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안경 타입의 영상장치는, 평상시 사용자가 걸이끈(16)을 이용하여 목에 걸고 다니다가 주변사람들을 의식하여 개인적인 영상이나 사진 또는 소리 등을 보거나 듣기 위해 전자제품(70)를 조작하고 안경테를 쓰게 된다.

    즉, 상기 전자제품(70)을 조작하여 원하는 정보(데이터)를 송신부(71)로 송신하여 수신부(5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경테(10)를 쓴 후, 반사판(60)의 손잡이(62)를 잡고 반사판(60)을 전방으로 기울여 상기 수신부(50)에 수신된 정보(데이터)에 따른 영상이나 사진 등이 반사판(60)에 잘 반사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이때 상기 전원부(40)에는, 상기 수신부(50) 및 영상기기(80)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치 또는 버튼이 구비되어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사용자는 전원부(40)의 스위치 또는 버튼을 조작하여 전원부(40)의 전원이 수신부(50) 및 영상기기(80)에 공급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영상기기(80)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또는 사진 등은 반사판(60)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반사판(6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또는 사진 등을 사용자가 눈동자로 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림부(11)에 렌즈(20)(볼록렌즈)를 구비하게 되면, 상기 렌즈(20)에 의해 사용자의 눈동자(I)에 집중되며 사용자가 더욱 간편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제품(70)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하면서, 보고자 하는 영상 또는 사진을 혼자만 볼 수 있게 되어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고 개인정보에 따른 보안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양 보관부(31)에 각각 보관된 양 이어폰(30)을 꺼내 양 귀에 꽂게 되고, 상기 전자제품(70)의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소리에 대한 정보(데이터)가 수신부로 전달되어, 상기 수신부(50)에서 이어폰(30)을 통해 소리가 출력되도록 하여 주변사람들이 듣지 못하면서 사용자 혼자만 들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자제품(7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거나 출력되는 소리가 주변사람들이 보거나 듣지 못함은 물론, 사용자 본인만 보거나 들을 수 있게 되어 원하는 정보(데이터)를 주변사람들을 의식하지 않고 보거나 들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안경 타입의 영상장치는,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영상장치
    10 - 안경테 11 - 림부 12 - 브릿지부
    13 - 코받침 14 - 다리부 15 - 귀걸이부
    16 - 걸이끈
    20 - 렌즈
    30 - 이어폰 31 - 보관부
    40 - 전원부
    50 - 수신부
    60 - 반사판 61 - 힌지부 62 - 손잡이
    70 - 전자제품 71 - 송신부
    80 - 영상기기
    I - 눈동자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