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개구 개선 인공삽입물 및 방법

申请号 KR1020157008436 申请日 2013-09-05 公开(公告)号 KR1020150080488A 公开(公告)日 2015-07-09
申请人 뷰티아이즈, 엘엘씨; 发明人 블룸,로널드;
摘要 볼록면과오목면을갖는착용자의눈에착용될수 있는인공삽입물. 인공삽입물은볼록면상에위치하는개구확장영역을갖는다. 인공삽입물은착용자눈의자연적인눈꺼풀틈새(개구)를적어도 1mm 확장한다. 착용자눈의자연적인눈꺼풀틈새를적어도 1mm 확장하는방법이또한제공된다.
权利要求
  •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로서,
    볼록면과 오목면; 및
    상기 볼록면 상에 위치하는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인공삽입물이 상기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natural palpebral fissure)를 적어도 1mm 확장하는,
    인공삽입물.
  •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로서,
    볼록면과 오목면; 및
    상기 볼록면 상에 위치하는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인공삽입물이 각공막(corneo-scleral) 렌즈이고,
    상기 인공삽입물이 상기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적어도 1mm 확장하는,
    인공삽입물.
  •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로서,
    볼록면과 오목면; 및
    상기 볼록면 상에 위치하는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인공삽입물이 공막 링(scleral ring)이고,
    상기 인공삽입물이 상기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적어도 1mm 확장하는,
    인공삽입물.
  •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로서,
    볼록면과 오목면; 및
    상기 볼록면 상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을 갖는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인공삽입물이 상기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적어도 1mm 확장하는,
    인공삽입물.
  •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로서,
    볼록면과 오목면;
    주변부 가장자리; 및
    상기 볼록면 상에 위치하는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사이에 위치한 두께의 최대 변화를 갖는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는 서로 다른,
    인공삽입물.
  •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로서,
    볼록면과 오목면; 및
    상기 볼록면 상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을 갖는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최소의 수직을 갖는,
    인공삽입물.
  •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로서,
    볼록면과 오목면;
    주변부 가장자리;
    기하학적 중심; 및
    상기 볼록면 상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을 갖는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공삽입물의 상기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5.25mm의 위치 또는 그 위치 밖에 위치하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적어도 14.5mm의 전체 직경을 포함하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적어도 15mm의 전체 직경을 포함하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적어도 15.5mm의 전체 직경을 포함하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회전 대칭 렌즈인,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회전할 수 있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회전할 수 없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상기 착용자의 아랫눈꺼풀을 적어도 1mm 누르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상기 착용자의 윗눈꺼풀을 적어도 1mm 올리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색된 강조색(colored accent color)을 더 포함하는,
    인공삽입물.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된 강조색은 상기 인공삽입물이 착용될 때 눈의 경계(limbus) 또는 근처에 들어맞는 상기 인공삽입물의 영역을 둘러싸는,
    인공삽입물.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된 강조색은 경계 링(limbal ring), 서클 링(circle ring) 또는 서클 렌즈 중 하나인,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다초점 콘택트렌즈인,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원환체(toric) 콘택트렌즈인,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단일시(single vision) 콘택트렌즈인,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증대한 표면 마찰 구역을 포함하는,
    인공삽입물.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증대한 표면 마찰은 표면 처리, 코팅, 다른 재료, 표면 오목부(dimples), 표면 불규칙, 또는 이의 조합에 의해 제공되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사이에 위치한 두께의 최대 변화를 갖는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를 포함하는,
    인공삽입물.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가 서로 다른,
    인공삽입물.
  • 제5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경사가 상기 내부 경사보다 큰,
    인공삽입물.
  • 제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경사는 3°내지 45°의 각을 포함하는,
    인공삽입물.
  • 제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경사는 5°내지 25°의 각을 포함하는,
    인공삽입물.
  • 제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경사는 1°내지 15°의 각을 포함하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두께의 최대 변화로 점진적 두께를 포함하는,
    인공삽입물.
  • 제5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의 최대 변화는 25마이크론 내지 1000마이크론의 범위 내인,
    인공삽입물.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의 최대 변화는 100마이크론 내지 500마이크론의 범위 내인,
    인공삽입물.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의 최대 변화는 75마이크론 내지 400마이크론의 범위 내인,
    인공삽입물.
  • 제5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의 최대 변화는 상기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1.0mm 내지 2.5mm 사이에 위치하는,
    인공삽입물.
  • 제5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의 최대 변화는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1.0mm내지 2.5mm 사이에 위치하는,
    인공삽입물.
  • 제5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의 최대 변화는 상기 인공삽입물이 눈에 착용될 때 상기 착용자 눈의 각막 경계(corneal limbus) 또는 그 외부에 위치하는,
    인공삽입물.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점진적 두께는 두께의 증가 또는 두께의 감소인,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의 최외부(outermost part)는 상기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3mm 내지 8.5mm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의 최외부는 상기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5mm 내지 7.75mm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의 최내부(innermost part)는 상기 인공삽입물의 주변부 가장자리와 상기 인공삽입물의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6mm 사이에 위치하는,
    인공삽입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의 최외부는 상기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3mm 내지 8.5mm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인공삽입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의 최외부는 상기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5mm 내지 7.75mm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인공삽입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의 최내부는 상기 주변부 가장자리와 상기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6mm 사이에 위치하는,
    인공삽입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수직 치수는 상기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의 최대 수직 직경보다 큰,
    인공삽입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수직 치수는 10.5mm 또는 그 이상인,
    인공삽입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수직 치수는 11mm 또는 그 이상인,
    인공삽입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수직 치수는 11.5mm 또는 그 이상인,
    인공삽입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수직 치수는 12mm 또는 그 이상인,
    인공삽입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수직 치수는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의 최상부 및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의 최하부 사이의 수직 거리인,
    인공삽입물.
  •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표면 특징을 더 포함하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을 갖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각공막 렌즈인,
    인공삽입물.
  •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공막 링인,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최소 수직 치수를 갖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변부 가장자리 및 기하학적 중심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공삽입물의 상기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5.25mm 또는 그 외부에 위치하는,
    인공삽입물.
  •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공삽입물의 상기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5.25mm 또는 그 외부에 위치하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변부 가장자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변부 가장자리는 칼날 형태, 둥근 형태, 무딘 형태, 또는 반원 형태를 갖는,
    인공삽입물.
  •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 가장자리는 칼날 형태, 둥근 형태, 무딘 형태, 또는 반원 형태를 갖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변부 가장자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변부 가장자리는 25마이크론과 100마이크론 사이의 두께를 갖는,
    인공삽입물.
  •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 가장자리는 25마이크론과 100마이크론 사이의 두께를 갖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하이브리드 디자인을 갖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동종(homogeneous) 디자인을 갖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링, 다수의 링, 부분적 링, 다수의 부분적 링, 섬, 다수의 섬, 밴드, 부분적 밴드, 또는 다수의 분절된 구역을 포함하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상기 착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상기 착용자에 의해 비연속적으로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상기 착용자에 의해 매일, 매주, 또는 매월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일회용(disposable)인,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재사용할 수 있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광학 도수를 포함하는,
    인공삽입물.
  •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광학 도수를 포함하지 않는,
    인공삽입물.
  •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확장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적어도 1mm 확장하기 위한 프로토콜 또는 명령을 제공하고;
    그 볼록면 상에 위치하는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삽입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또는 명령은,
    상기 착용자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의 수직 치수를 결정하는 지시; 및
    상기 착용자에게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의 최대 수직 치수보다 적어도 1mm 큰 최소 수직 치수를 갖는 인공삽입물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상기 착용자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적어도 1mm 확장하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상기 착용자의 아랫눈꺼풀을 적어도 1mm 누르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상기 착용자의 윗눈꺼풀을 적어도 1mm 올리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각공막 렌즈인,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공막 링인,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적어도 14.5mm의 전체 직경을 포함하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적어도 15mm의 전체 직경을 포함하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적어도 15.5mm의 전체 직경을 포함하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회전 대칭 렌즈인,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회전할 수 있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회전할 수 없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착색된 강조색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된 강조색은 상기 인공삽입물이 착용될 때 눈의 경계 또는 그 근처에 들어맞는 상기 인공삽입물의 영역을 둘러싸는,
    방법.
  •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된 강조색은 경계 링, 서클 링 또는 서클 렌즈 중 하나인,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다초점 콘택트렌즈인,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원환체 렌즈인,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단일시 콘택트렌즈인,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증대한 표면 마찰 구역을 포함하는,
    방법.
  •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증대한 표면 마찰은 표면 처리, 코팅, 다른 재료, 표면 오목부, 표면 불규칙, 또는 이의 조합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사이에 위치한 두께의 최대 변화를 갖는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를 포함하는,
    방법.
  •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가 서로 다른,
    방법.
  •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경사가 상기 내부 경사보다 큰,
    방법.
  •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경사는 3°내지 45° 사이의 각을 포함하는,
    방법.
  •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경사는 5°내지 25° 사이의 각을 포함하는,
    방법.
  •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경사는 1°내지 15° 사이의 각을 포함하는,
    방법.
  •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의 최대 변화는 25마이크론 내지 1,000마이크론의 범위 내인,
    방법.
  •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의 최대 변화는 100마이크론 내지 500마이크론의 범위 내인,
    방법.
  •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의 최대 변화는 75마이크론 내지 400마이크론의 범위 내인,
    방법.
  •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의 최대 변화는 상기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1.0mm 내지 2.5mm 사이에 위치하는,
    방법.
  •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의 최대 변화는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1.0mm와 2.5mm 사이에 위치하는,
    방법.
  •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의 최대 변화는 상기 착용자 눈의 각막 경계 또는 그 외부에 위치하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두께의 최대 변화로 점진적 두께를 포함하는,
    방법.
  •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점진적 두께는 두께의 증가 또는 두께의 감소인,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의 최외부는 상기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3mm 내지 8.5mm 범위 내에 위치하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의 최외부는 상기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5mm 내지 7.75mm 범위 내에 위치하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의 최내부는 상기 인공삽입물의 주변부 가장자리와 상기 인공삽입물의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6mm 사이에 위치하는,
    방법.
  •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수직 치수는 10.5mm 또는 그 이상인,
    방법.
  •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수직 치수는 11mm 또는 그 이상인,
    방법.
  •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수직 치수는 11.5mm 또는 그 이상인,
    방법.
  •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수직 치수는 12mm 또는 그 이상인,
    방법.
  •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수직 치수는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의 최상부 및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의 최하부 사이의 수직 거리인,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을 포함하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다수의 표면 특징을 포함하는,
    방법.
  •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5.25mm 또는 그 외부에 위치하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주변부 가장자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변부 가장자리는 25마이크론 내지 100마이크론 사이의 두께를 갖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하이브리드 디자인을 갖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동종 디자인을 갖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링, 다수의 링, 부분적 링, 다수의 부분적 링, 섬, 다수의 섬, 밴드, 부분적 밴드, 또는 다수의 분절을 포함하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상기 착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착용될 수 있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상기 착용자에 의해 비연속적으로, 매일, 매주, 또는 매월 착용될 수 있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일회용인,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재사용할 수 있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광학 도수를 포함하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광학 도수를 포함하지 않는,
    방법.
  • 인공삽입물로서,
    외부 경사, 내부 경사,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 및 점진 두께 직경을 포함하는 개구 확장 영역;
    주변부 가장자리;
    기하학적 중심; 및
    상기 주변부 가장자리 상의 제1 점으로부터, 상기 인공삽입물의 상기 기하학적 중심 및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을 통하여, 대향하는 상기 주변부 가장자리 상의 제2 점까지 측정된 전체 직경;을 포함하며,
    상기 인공삽입물의 상기 전체 직경은 14.5mm 또는 그 이상이고;
    상기 외부 경사는 5°내지 25°의 범위 내이며;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의 상기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75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이고;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의 상기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상기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1mm 내지 3mm 사이에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점진 두께 직경은 10.5mm 또는 그 이상인,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자유롭게 회전하는,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자유롭게 회전하지 않는,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점진 두께 직경은 상기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개구의 수직 치수보다 1mm 더 큰,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각공막 콘택트렌즈인,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공막 링인,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광학 도수를 포함하는,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광학 도수를 포함하지 않는,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단일시 콘택트렌즈인,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다초점 콘택트렌즈인,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원환체 콘택트렌즈인,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실리콘 히드로겔(silicon hydrogel)을 포함하는,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히드로겔을 포함하는,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동종(homogeneous) 재료로 된,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하이브리드 재료로 된,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상기 주변부 가장자리 또는 그에 인접하여 시작하는,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상기 주변부 가장자리 내부에서 시작하는,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100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인,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125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인,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150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인,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175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인,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200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인,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225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인,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250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인,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매일 착용, 일회용, 연속 착용, 매주 착용 또는 매월 착용 중 하나인,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은 안정화되지(stablilized) 않는,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둥근 링인,
    인공삽입물.
  •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확장 영역은 링을 형성하는 일련의 부분적 분절인,
    인공삽입물.
  • 说明书全文

    눈 개구 개선 인공삽입물 및 방법{Eye aperture enhancing prosthesis and method}

    [관련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다음의 미국 가특허출원 및 정규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모두는 그 전체 기재내용이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출원번호 61/698,205, 발명의 명칭 "새로운 눈꺼풀 리프팅 콘택트렌즈 디자인 및 사용(Novel Lid Lifting Contact Lens Design and Use)", 출원일 2012. 9. 7.

    출원번호 61/702,274, 발명의 명칭 "새로운 미용 콘택트렌즈(Novel Cosmetic Contact Lens)", 출원일 2012. 9. 18.

    출원번호 61/706,827, 발명의 명칭 "새로운 미용 눈확장 콘택트렌즈(Novel Cosmetic Eye Widening Contact Lens)", 출원일 2012. 9. 28.

    출원번호 61/714,567, 발명의 명칭 "미용 눈확장 콘택트렌즈(Cosmetic Eye Widening Contact Lens)", 출원일 2012. 10. 16.

    출원번호 61/716,633, 발명의 명칭 "창의적인 눈꺼풀 틈새 확장 콘택트렌즈의 피팅 방법 및 콘택트렌즈 디자인(Fitting Method and Contact Len Design of Inventive Palpebral Fissure Widening Contact Lens)", 출원일 2012. 10. 22.

    출원번호 61/721,530, 발명의 명칭 "착용자 눈의 눈꺼풀 틈새 확장을 위한 콘택트렌즈 디자인(Contact Lens Design for Widening Palpebral Fissure of Wearer's Eye), 출원일 2012. 11. 2

    출원번호 61/726,096, 발명의 명칭 "착용자 눈의 눈꺼풀 틈새 확장을 위한 개선된 콘택트렌즈 디자인(Improved Contact Lens Design for Widening Palpebral Fissure of Wearer's Eye", 출원일 2012. 11. 14.

    출원번호 61/729,020, 발명의 명칭 "눈꺼풀 틈새 확장 콘택트렌즈(Palpebral Fissure Widening Contact Lens)", 출원일 2012. 11. 21.

    출원번호 61/730,185, 발명의 명칭 "눈꺼풀 틈새 확장 콘택트렌즈(Palpebral Fissure Widening Contact Lens)", 출원일 2012. 11. 27.

    출원번호 61/736,210, 발명의 명칭 "개선된 눈꺼풀 틈새 확장 콘택트렌즈(Enhanced Palpebral Fissure Widening Contact Lens)", 출원일 2012. 12. 12.

    출원번호 61/757,365, 발명의 명칭 "눈꺼풀 확장 각공막 콘택트렌즈(Corneal Scleral Contact Lens for Palpebral Widening)", 출원일 2013. 1. 28.

    출원번호 61/835,709, 발명의 명칭 "눈꺼풀 틈새 개선 공막 링(Palpebral Fissure Enhancing Scleral Ring)", 출원일 2013. 6. 17.

    출원번호 61/859,360, 발명의 명칭 "눈 개구 개선 인공삽입물(Eye Aperture Enhancing Prosthesis)", 출원일 2013. 7. 29.

    출원번호 14/018,244, 발명의 명칭 "눈 개구 개선 인공삽입물 및 방법(Eye Aperture Enhancing Prosthesis and Method)", 출원일 2013. 9. 4.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눈 내에 사용하기 위한 인공삽입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착용자 눈의 외관을 개선하거나 변경하는 인공삽입물 분야에 관한 것이다.

    눈의 각막에 딱 맞으며(각막을 둥근 천장으로 덮지 않는) 각막 경계(limbus) 및 안구결막을 덮도록 연장되어 공막의 일부를 덮는 오늘날의 각공막(corneo-scleral) 콘택트렌즈(연질(soft) 콘택트렌즈 또는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는 안검하수의 교정 및/또는 착용자의 눈꺼풀 틈새 확장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이것은 그의 기하학적 디자인에 기인한다. 또한 각막에만 맞으며 각막 경계를 지나 연장되지 않는 각막 콘택트렌즈(경질 또는 연질)는 기하학적 디자인 및 전체 직경 때문에 안검하수의 교정 및/또는 착용자의 눈꺼풀 틈새 확장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공막 콘택트렌즈는 단단하고/경질이며, 과거에는 착용자 눈의 공막에 대해 편안하게 맞도록 "공막을 둥근 천장으로 덮고" 안검하수가 있는 착용자의 윗눈꺼풀을 들어올리도록 매우 두꺼운 가장자리 디자인을 갖도록 설계되었다. 착용자 눈의 윗눈꺼풀을 들어올리는 공막 콘택트렌즈가 과거에도 존재하였지만, 이러한 단단하고/경질인 공막 콘택트렌즈는 매우 불편하여, 심한 충혈을 일으키고 눈꺼풀 끝을 자극하여 착용자에 대해 심각한 한계를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로, 안검하수 교정을 위한 공막 콘택트렌즈의 상업적 성공은 대부분 실패하였다. 또한, 사람의 눈 개구는 나이가 듦에 따라 40세의 성인이 되면 어린이에 비해 그 전체 직경이 1.5mm 또는 그 이상 감소하며 60세 또는 그 이상의 노인이 되면 더 많이 감소한다. 따라서, 눈의 개구를 확장하여 젊은 얼굴을 유지하고 및/또는 안검하수의 경우 손실된 시야 기능의 일부 또는 전체를 회복할 수 있는 비수술적인(non-sufgical) 편안한 수단이 필요하다.

    일부 구현예는 볼록면과 오목면을 가지며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볼록면 상에 위치하는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적어도 1mm 확장한다.

    일부 구현예는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볼록면과 오목면을 갖는다. 개구 확장 영역이 볼록면 상에 위치한다. 인공삽입물은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적어도 1mm 확장하는 각공막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는 볼록면과 오목면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개구 확장 영역이 볼록면 상에 위치한다. 인공삽입물은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적어도 1mm 확장하는 공막 링이다.

    일부 구현예는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볼록면과 오목면을 갖는다. 개구확장 영역이 볼록면 상에 위치한다. 개구 확장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적어도 1mm 확장한다.

    일부 구현예는 볼록면, 오목면, 및 주변부 가장자리를 가지며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또한 볼록면 상에 위치하는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한다. 개구 확장 영역은 사이에 위치한 두께의 최대 변화를 갖는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를 포함한다.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는 다르다.

    일부 구현예는 볼록면, 오목면, 및 주변부 가장자리를 가지며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또한 볼록면 상에 위치하는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한다. 개구 확장 영역은 사이에 위치한 두께의 최대 변화를 갖는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는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볼록면과 오목면을 갖는다. 개구 확장 영역이 볼록면 상에 위치한다. 개구 확장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을 포함한다. 개구 확장 영역은 또한 최소 수직 치수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는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볼록면, 오목면, 주변부 가장자리, 및 기하학적 중심을 갖는다. 개구 확장 영역이 볼록면 상에 위치한다. 개구 확장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의 적어도 일부는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5.25mm 또는 그 외부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적어도 14.0mm의 전체 직경을 갖는다. 다른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적어도 14.0mm의 전체 직경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적어도 15mm의 전체 직경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적어도 15.5mm의 전체 직경을 갖는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적어도 16.0mm 또는 그 이상의 전체 직경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회전 대칭 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회전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회전할 수 없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착용자의 아랫눈꺼풀을 적어도 1mm 누른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착용자의 윗눈꺼풀을 적어도 1mm 올린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착색된 강조색(colored accent color)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착색된 강조색은 인공삽입물이 착용될 때 눈의 경계 또는 근처에 들어맞는 인공삽입물의 영역을 둘러싼다. 일부 구현예에서 착색된 강조색은 경계 링(limbal ring), 서클 링(circle ring) 또는 서클 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다초점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원환체(toric)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단일시(single vision)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증대한 표면 마찰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대한 표면 마찰은 표면 처리, 코팅, 다른 재료, 표면 오목부(dimples), 표면 불규칙, 또는 이의 조합에 의해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또한 사이에 위치한 두께의 최대 변화를 갖는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가 다르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경사가 내부 경사보다 크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경사는 3°내지 45°사이의 각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경사는 5°내지 25°사이의 각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경사는 1°내지 15°사이의 각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점진적 두께와 두께의 최대 변화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의 최대 변화는 25마이크론 내지 1,000마이크론의 범위 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의 최대 변화는 100마이크론 내지 500마이크론의 범위 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의 최대 변화는 75마이크론 내지 400마이크론의 범위 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의 최대 변화는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1.0mm 내지 2.5mm 사이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의 최대 변화는 인공삽입물이 눈에 착용될 때 착용자 눈의 각막 경계(corneal limbus) 또는 그 외부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점진적 두께는 두께의 증가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점진적 두께(incremental thickness)는 두께의 감소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최외부(outermost part)는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3mm 내지 8.5mm 범위 내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최외부는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5mm 내지 7.75mm 범위 내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영역의 최내부(innermost part)는 인공삽입물의 주변부 가장자리와 인공삽입물의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6mm 사이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영역의 최소 수직치수는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의 최대 수직 직경보다 크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최소 수직 치수는 10.5mm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최소 수직 치수는 11mm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최소 수직 치수는 11.5mm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최소 수직 치수는 12mm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최소 수직 치수는 개구 확장 영역의 최상부 및 개구 확장 영역의 최하부 사이의 수직 거리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다수의 표면 특징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각공막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공막 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최소 수직 치수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또한 주변부 가장자리, 기하학적 중심, 및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 또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5.25mm 또는 그 외부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주변부 가장자리는 칼날 형태, 둥근 형태, 무딘 형태, 또는 반원 형태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주변부 가장자리는 25마이크론 내지 100마이크론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하이브리드 디자인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동종(homogeneous) 디자인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링, 다수의 링, 부분적 링, 다수의 부분적 링, 섬, 다수의 섬, 밴드, 밴드들, 부분적 밴드, 분절된 구역, 또는 다수의 분절된 구역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착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착용자에 의해 비연속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착용자에 의해 매일, 매주 또는 매월 착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일회용(disposable)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재사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광학 도수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광학 도수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개구 확장 영역은 외부 경사, 내부 경사,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 및 점진적 두께 직경을 갖는다. 인공삽입물은 또한 주변부 가장자리, 기하학적 중심, 및 전체 직경을 갖는다. 전체 직경은 주변부 가장자리 상의 제1 점으로부터,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 및 개구 확장 영역을 통하여, 대향하는 주변부 가장자리 상의 제2 점으로 측정된다. 전체 직경은 14.5mm 또는 그 이상이다. 외부 경사는 5도 내지 25도의 범위 내이다. 개구 확장 영역의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75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이다. 개구 확장 영역의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1mm 내지 3mm 사이에 위치한다. 점진적 두께 직경은 10.5mm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자유롭게 회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자유롭게 회전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점진적 두께 직경은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개구의 수직 치수보다 1mm 더 크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단일시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다초점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원환체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히드로겔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실리콘 히드로겔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단일 재료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하이브리드 재료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주변부 가장자리 또는 그에 인접하여 시작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주변부 가장자리 내부에서 시작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100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125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150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200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225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250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매일 착용, 일회용, 연속 착용, 매주 착용 또는 매월 착용 중 하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안정화되지(stablilized)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둥근 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링을 형성하는 일련의 부분적 분절(segments)이다.

    일부 구현예는 착용자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적어도 1mm 확장하기 위한 프로토콜 또는 명령을 제공하고 그 볼록면 상에 위치하는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삽입물을 제공함으로써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확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프로토콜 또는 명령은 착용자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의 수직 치수를 결정하고, 착용자에게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의 최대 수직 치수보다 적어도 1mm 큰 최소 수직 치수를 갖는 인공삽입물 제공하는 지시들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 및/또는 개구 확장 영역에 관하여 위에서 열거한 다양한 구현예는 특징들이 서로 배타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임의의 조합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우안에 선천적 안검하수를 갖는 사람을 도시한다.
    도 2는 안검하수 눈꺼풀로 인한 기능적 방해를 보여주는 시야를 도시한다.
    도 3-7은 안검하수에 시달리는 다양한 사람들을 도시한다.
    도 8-11은 안검하수에 시달리지 않는 넓은 눈을 갖는 다양한 사람들을 도시한다.
    도 12A-B는 일 구현예에 따른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사람의 눈 위에 포개놓은 것을 도시한다.
    도 13A-B는 일 구현예에 따른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사람의 눈 위에 포개놓은 것을 도시한다.
    도 14A는 일 구현예에 따른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콘택트렌즈를 보여준다. 도 1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공막 링을 도시한다.
    도 15A-D는 점진적 두께를 갖는 서로 다른 개구확장 영역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다양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6A-D는 점진적 두께를 갖는 서로 다른 개구 확장영역을 갖는 공막 링의 다양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7A-F는 증대한 표면 마찰을 갖는 서로 다른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다양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8-19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 및 착용하지 않은 사람의 눈 사이의 비교를 보여준다. 도 18은 사람의 자연적인 눈을 보여주며, 도 19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한 동일한 사람을 도시한다.
    도 20-21은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 및 착용하지 않은 사람의 눈 사이의 비교를 보여준다. 도 20은 사람의 자연적인 눈을 도시한다.
    도 22A-B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 및 착용하지 않은 사람의 좌안 사이의 비교를 보여준다. 도 22A는 사람의 자연적인 좌안을 보여주며 도 22B는 좌안에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한 사람을 도시한다.
    도 23은 사람의 우안 및 좌안 사이의 비교를 보여준다. 사람은 우안에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하고 좌안에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하지 않고 있다.
    도 24A-B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 및 착용하지 않은 눈 사이의 비교를 도시한다. 도 24A는 사람의 자연적인 눈을 도시하며, 도 24B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한 동일한 사람을 도시한다.
    도 25A-C는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에 대한 표면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26은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을 가로지르는 두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7A-E는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에 대한 표면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28은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의 투시도이다.
    도 29는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의 투시도이다.
    도 30은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의 투시도이다.
    도 3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의 투시도이다.
    도 32는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의 투시도이다.
    도 3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의 투시도이다.
    도 34는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의 투시도이다.
    도 35는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의 조감도이다.
    도 36은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의 조감도이다.
    도 37은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의 조감도이다.
    도 38은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의 조감도이다.
    도 39A-E는 일 구현예에 따른 콘택트렌즈(3900)의 표면 프로파일이다. 도 39A는 콘택트렌즈의 조감도이다. 도 39B는 콘택트렌즈의 측면도이다. 도 39C는 그 중심축을 따른 콘택트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39D는 콘택트렌즈의 볼록면을 도시한다. 도 39E는 콘택트렌즈의 오목면을 도시한다.
    도 40은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을 눈에 포개놓은 것을 도시한다.
    도 4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을 눈에 포개놓은 것을 도시한다.
    도 42는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을 눈에 포개놓은 것을 도시한다.
    도 4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을 눈에 포개놓은 것을 도시한다.
    도 44는 일 구현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를 도시한다.
    도 45는 일 구현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를 도시한다.
    도 46은 일 구현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를 도시한다.
    도 47은 일 구현예에 따른 역(reverse)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를 도시한다.
    도 48은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의 피팅에 사용되는 스케일의 예를 도시한다.
    도 49는 일 구현예에 따른 점진적 두께를 갖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공막 링을 도시한다.
    도 50은 일 구현예에 따른 점진적 두께를 갖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공막 링을 도시한다.
    도 5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점진적 두께를 갖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콘택트렌즈를 도시한다.
    도 52는 일 구현예에 따른 점진적 두께를 갖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콘택트렌즈를 도시한다.
    도 53A-C는 점진적 두께의 다수의 밴드를 갖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공막 링의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53D 및 도 53E는 점진적 두께의 다수의 밴드를 갖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54-56은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 및 착용하지 않은 사람의 눈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54는 사람의 자연적인 눈을 나타내며, 도 55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한 동일한 사람을 나타낸다. 도 56은 도 54 및 55를 나란히 비교한 것이다.
    도 57은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의 외부 경사, 내부 경사 및 두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8은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의 외부 경사, 내부 경사 및 두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9는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의 외부 경사, 내부 경사 및 두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0은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삽입물의 외부 경사, 내부 경사 및 두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1은 눈의 구조와 비교하여 일 구현예에 따른 각공막 콘택트렌즈 인공삽입물의 치수 및 눈에 대한 핏(fit)을 예시한다.
    도 62는 눈의 구조와 비교하여 일 구현예에 따른 공막 링 인공삽입물의 치수 및 눈에 대한 핏(fit)을 예시한다.
    도 63A는 원 형태의 외부 가장자리를 갖는 인공삽입물 상의 개구 확장 영역의 수직 치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63B 및 63C는 삼각형 형태의 외부 가장자리를 갖는 인공삽입물 상의 개구 확장 영역의 수직 치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64A-C는 타원 형태의 외부 가장자리를 갖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의 다양한 정렬을 예시한다. 도 64A는 최소 수직 치수를 갖는 방향을 예시한다. 도 64B 및 64C는 최소 수직 치수를 갖지 않는 방향을 예시한다.
    도 65A 및 65B는 두 부분적 링 형태의 외부 가장자리를 갖는 인공삽입물 상의 개구 확장 영역의 수직 치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66A-D는 다수의 분리된 구역을 갖는 인공삽입물 상의 개구 확장 영역의 수직 치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67은 일 구현예에 따른 손가락과 같은 부재를 갖는 공막 링의 조감도이다.
    도 68은 일 구현예에 따른 손가락과 같은 부재를 갖는 콘택트렌즈의 조감도이다.
    도 69는 일 구현예에 따른 손가락과 같은 부재를 갖는 인공삽입물의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현예를 기술한다. 기술된 구현예(들)은 본 발명을 단지 예시할 뿐이다. 본 발명은 기술된 구현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발명이 기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기술된 구현예(들) 및 명세서 내의 "일 구현예", "구현예", "예시적인 구현예" 등에 대한 언급들은 기술된 구현예(들)이 구체적인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음을 나타내지만, 모든 구현예가 그의 구체적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문구들은 동일한 구현예를 반드시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구체적인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일 구현예와 관련하여 기술될 때,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거나 있지 않거나 다른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그러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구현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의 지식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할 것이다.

    일부 구현예는 볼록면과 오목면을 가지며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볼록면 상에 위치하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다. 인공삽입물은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적어도 1mm 확장한다.

    일부 구현예는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볼록면과 오목면을 갖는다. 개구 확장 영역이 볼록면 상에 위치한다. 인공삽입물은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적어도 1mm 확장하는 각공막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는 볼록면과 오목면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개구 확장 영역이 볼록면 상에 위치한다. 인공삽입물은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적어도 1mm 확장하는 공막 링이다.

    일부 구현예는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볼록면과 오목면을 갖는다. 개구 확장 영역이 볼록면 상에 위치한다. 개구 확장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적어도 1mm 확장한다.

    일부 구현예는 볼록면, 오목면 및 주변부 가장자리를 가지며,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또한 볼록면 상에 위치하는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한다. 개구 확장 영역은 사이에 위치한 두께의 최대 변화를 갖는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를 포함한다.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는 다르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경사는 내부 경사보다 크다. 다른 구현예에서 내부 경사가 외부 경사보다 크다.

    일부 구현예는 볼록면, 오목면 및 주변부 가장자리를 가지며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또한 볼록면 상에 위치하는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한다. 개구 확장 영역은 사이에 위치한 두께의 최대 변화를 갖는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를 포함한다.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는 같다.

    일부 구현예는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볼록면과 오목면을 갖는다. 개구 확장 영역이 볼록면 상에 위치한다. 개구 확장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을 포함한다. 개구 확장 영역은 또한 최소 수직 치수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는 착용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볼록면, 오목면, 주변부 가장자리, 및 기하학적 중심을 갖는다. 개구 확장 영역이 볼록면 상에 위치한다. 개구 확장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의 적어도 일부는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5.25mm 또는 그 외부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적어도 14.0mm의 전체 직경을 갖는다. 다른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적어도 14.0mm의 전체 직경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적어도 15mm의 전체 직경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적어도 15.5mm의 전체 직경을 갖는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적어도 16.0mm 또는 그 이상의 전체 직경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회전 대칭 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회전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회전할 수 없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착용자의 아랫눈꺼풀을 적어도 1mm 누른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착용자의 윗눈꺼풀을 적어도 1mm 올린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착색된 강조색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착색된 강조색은 인공삽입물이 착용될 때 눈의 각막 경계(limbus) 또는 근처에 들어맞는 인공삽입물의 영역을 둘러싸거나, 또는 눈의 경계를 지나서 연장된다(착색된 부분의 직경이 경계에서 경계까지의 측정 직경에 비해 큰 것을 의미함). 일부 구현예에서 착색된 강조색은 경계 링(limbal ring), 서클 링(circle ring) 또는 서클 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다초점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원환체(toric)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단일시(single vision)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증대한 표면 마찰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대한 표면 마찰은 표면 처리, 코팅, 다른 재료, 표면 오목부(dimples), 표면 불규칙, 또는 이의 조합에 의해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또한 사이에 위치한 두께의 최대 변화를 갖는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가 다르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경사가 내부 경사보다 크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경사는 3°내지 45°사이의 각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경사는 5°내지 25°사이의 각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경사는 1°내지 15°사이의 각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점진적 두께와 두께의 최대 변화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의 최대 변화는 25마이크론 내지 1,000마이크론의 범위 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의 최대 변화는 100마이크론 내지 500마이크론의 범위 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의 최대 변화는 75마이크론 내지 400마이크론의 범위 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의 최대 변화는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1.0mm 내지 2.5mm 사이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의 최대 변화는 인공삽입물이 눈에 착용될 때 착용자 눈의 각막 경계(corneal limbus) 또는 그 외부에 위치한다. 외부에 의해 의미하는 것은 최대 추가 두께의 한 점으로부터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을 통하여 최대 추가 두께의 대향 점까지 측정한 두께 직경의 최대 변화가 착용자 눈의 경계의 한 점으로부터 각막 중심을 통하여 경계의 대향 점까지 측정할 때에 비해 크다는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점진적 두께는 두께의 증가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점진적 두께는 두께의 감소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최외부(outermost part)는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3mm 내지 8.5mm 범위 내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최외부는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5mm 내지 7.75mm 범위 내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최내부(innermost part)는 인공삽입물의 주변부 가장자리와 인공삽입물의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6mm 사이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최소 수직 치수는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의 최대 수직 직경보다 크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최소 수직 치수는 10.5mm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최소 수직 치수는 11mm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최소 수직 치수는 11.5mm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최소 수직 치수는 12mm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최소 수직 치수는 개구 확장 영역의 최상부 및 개구 확장 영역의 최하부 사이의 수직 거리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다수의 표면 특징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각공막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공막 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최소 수직 치수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또한 주변부 가장자리, 기하학적 중심, 및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징 또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5.25mm 또는 그 외부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주변부 가장자리는 칼날 형태, 둥근 형태, 무딘 형태, 또는 반원 형태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주변부 가장자리는 25마이크론 내지 100마이크론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하이브리드 디자인(hybrid design)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동종의 디자인(homologenous design)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링, 다수의 링, 부분적 링, 다수의 부분적 링, 섬, 다수의 섬, 밴드, 밴드들, 부분적 밴드, 분절된 구역, 또는 다수의 분절된 구역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러한 부분적 구역은 인공삽입물을 둘러싸도록 정렬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부분적 구역은 인공삽입물을 둘러싸도록 정렬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착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착용자에 의해 비연속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착용자에 의해 매일, 매주, 또는 매월 착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일회용(disposable)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재사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광학 도수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광학 도수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개구 확장 영역은 외부 경사, 내부 경사,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 및 점진적 두께 직경을 갖는다. 인공삽입물은 또한 주변부 가장자리, 기하학적 중심, 및 전체 직경을 갖는다. 전체 직경은 주변부 가장자리 상의 제1 점으로부터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 및 개구 확장 영역을 통하여 대향하는 주변부 가장자리 상의 제2 점까지 측정된다. 전체 직경은 14.5mm 또는 그 이상이다. 외부 경사는 5도 내지 25도의 범위 내이다. 개구 확장 영역의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75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이다. 개구 확장 영역의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1mm 내지 3mm 사이에 위치한다. 점진 두께 직경은 10.5mm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자유롭게 회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자유롭게 회전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점진적 두께 직경은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개구의 수직 치수보다 1mm 더 크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각공막 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공막 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광학 도수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광학 도수를 갖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단일시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다초점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원환체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히드로겔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실리콘 히드로겔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균질한 재료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하이브리드 재료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주변부 가장자리 또는 그에 인접하여 시작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주변부 가장자리 내부에서 시작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100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125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150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200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225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대 추가 두께 델타 지점은 250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매일 착용, 일회용, 연속 착용, 매주 착용 또는 매월 착용 중 하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안정화되지(stablilized)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둥근 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링을 형성하는 일련의 부분적 분절이다.

    일부 구현예는 착용자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적어도 1mm 확장하기 위한 프로토콜 또는 명령을 제공하고, 그 볼록면 상에 위치하는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삽입물을 제공함으로써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확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프로토콜 또는 명령은 착용자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의 수직 치수를 결정하고, 착용자에게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의 최대 수직 치수보다 적어도 1mm 큰 최소 수직 치수를 갖는 인공삽입물을 제공하는 지시들을 포함한다(이러한 결정은, 단지 예시의 방법으로서만, 실제 측정, 촬영, 시각적 추정, 또는 시험적 인공삽입물, 공지 직경의 콘택트렌즈, 또는 공지 직경의 인공삽입물 피팅 중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각공막 콘택트렌즈 및 공막 링 형태의 본 특허출원의 인공삽입물은 착용자의 눈꺼풀 틈새를 개선/확장하여 착용자 눈(들)의 미용적 외관을 개선하고 또한 감기는 눈꺼풀(drooping eyelids) 및/또는 안검하수로 고통받는 환자의 고통 완화를 제공하기 위하여 또한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착용자 눈의 외관을 개선한다는 것은 눈이 더 많이 열리고 및/또는 크게, 및 더 기민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새로운 인공삽입물은 윗눈꺼풀을 밀어올리고(끌어올리고) 및/또는 또한 아랫눈꺼풀을 밀어내려(눌러) 착용자의 눈꺼풀 틈새 또는 개구를 확대하는 방법에 의하여 착용자의 미용적 외관을 개선한다. 인공삽입물은 착용자 눈의 개구를 그 정상/자연적인 눈 개구 수직 치수로부터 추가로 50%까지 벌릴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40세 또는 그 이하의 사람 눈의 평균 개구가 약 10.5mm의 수직 치수를 갖는 자연적인 개구를 갖고 40세 이후에는 동일한 지점으로부터의 평균치수가 약 9mm, 또는 개구 크기의 약 15% 감소인 점을 감안하면, 여기에서 기재된 인공삽입물이 착용자 눈의 젊은 용모를 회복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인공삽입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예시로서: 가장자리 두께의 증대, 내부 점증적 두께 영역(incremental thickness zone), 역진적 두께 영역(regressive thickness zone), 또는 증대된 표면 마찰 영역 (어느 하나) 경계 또는 그 외부에 위치하며, 따라서 또한 볼록면 상의 형태를 취하는 동공 또는 광학 영역 외부인, 단지 예시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링, (링들), 밴드, (밴드들), 부분적 링들, (작은 고리들(ringlets)), 돔(dome), (돔들), 섬, (섬들), 분절된 지역(지역들), 렌즈 주변부 근처 또는 이를 둘러싸는 및/또는 개구 확장 구역 내부 또는 이를 덮는 볼록면 거칠기/마찰, 절단부, (절단부들), 콘택트렌즈의 전체를 두껍게 하기, 더 큰 직경 및 더 가파른 기본 만곡을 포함한다. 효과는 착용자 눈의 눈꺼풀 틈새를 벌리고 이에 따라 시각적 성능에 대한 눈꺼풀처짐(blepharoptosis)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환자/착용자의 미용적 외관을 개선하는 것이다. 각공막 콘택트렌즈 형태일 때 인공삽입물은 연질 콘택트렌즈이거나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일 수 있다. 인공삽입물이 공막 링의 형태일 때 콘택트렌즈와는 달리 공막 링은 광학 도수를 갖지 않는 중앙 개구를 포함한다. 공막 링은 경질(hard) 콘택트렌즈, 가스투과성(gas perm) 콘택트렌즈, 연질 콘택트렌즈, 하이브리드 콘택트 렌즈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인)인공삽입물의 점진적 두께 지역(영역, 구역)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영역, 구역), 또는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영역, 구역)은 회전 대칭, 회전 비대칭, 타원 아치와 같은 특징, 분리된 섬들 중 하나일 수 있다. 타원 아치(아치들)와 같은 특징(특징들)은 윗눈꺼풀의 눈꺼풀 끝 곡선 및/또는 아랫눈꺼풀의 눈꺼풀 끝 곡선과 유사할 수 있다.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또는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은 연속적이거나 비연속적일 수 있다. 점진적 두께 지역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 또는 증대된 표면 마찰은 동일한 재료 또는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인공삽입물은 연속 착용, 매일 착용, 주간 연속 착용, 월간 연속 착용 중 하나로 착용될 수 있다. 인공삽입물은 일회용이거나 재사용할 수 있다. 인공삽입물은 착용자에 의해 제거되거나 재삽입될 수 있다.

    개구 (눈꺼풀 틈새) : 눈꺼풀이 열려 있을 때 눈의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 사이에 위치하는 구역

    개구 확장 영역: (또한 점진적 두께 지역/영역/구역, 역진적 두께 지역/영역/구역 또는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영역/구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불릴 수 있다) 윗눈꺼풀을 올리거나(끌어올리거나) 및/또는 아랫눈꺼풀을 눌러(낮추어) 눈의 개구를 확장하는 지형(topography) 또는 표면 마찰을 제공하는 지역/영역/구역

    점진적 두께 구역: 공막 링 또는 콘택트렌즈의 점진적 두께 지역 또는 영역 내에 위치한 구역. 점진적 두께 지역 또는 영역은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다수의 지역 또는 영역이며 점증적 두께 구역은 점진적 두께 구역들로 지칭된다. 점진적 두께 구역은 표면에 두께를 추가하거나 점진적 두께 구역 주위의 두께를 제거하는 방법 (이에 따라 역진 두께 영역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지적해 두어야 한다.

    눈꺼풀처짐 ( Blepharoptosis ) : 또한 안검하수(ptosis)로도 지칭되며, 일차 주시할 때 윗눈꺼풀 끝의 비정상적인 낮음(low-lying)으로 정의된다. 정상적인 성인 윗눈꺼풀은 위 각막 경계 1.5mm 아래에 위치하며 동공에 대해 약간 코 쪽으로 가장 높다. 눈꺼풀처짐은 아래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인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차이는 나이에 기반한다. 더 포괄적인 구분은 병인학(etioloty)에 기반하며, 근원성(myogenic), 건막성(aponeurotic), 신경성(neurogenic), 기계적(mechanical), 외상성(traumatic), 및 의사안검하수성(pseudoptotic)을 포함한다. 선천적 안검하수의 가장 일반적 원인은 올림근의 잘못된 발달로 인한 근원성이다.

    안검성형(blepharoplasty)은 눈꺼풀 리프팅을 위해 제공되는 외과적 방법의 이름이다. 현재 미국에서는 해마다 200,000-300,000 안검성형 수술이 수행되며, 비용은 윗눈꺼풀 수술에 대해 약 $2,500 및 아랫눈꺼풀 수술에 대해 약 $3,500이다. 안검성형은 40세 이상에 대해 수행되는 가장 많은 얼굴 미용 수술 방법 중 하나이다. 또한 오늘날의 국제적인 사회에서 큰 눈이 작은 눈에 대해 더 매력적인 것으로 인식되는 점을 또한 주목한다.

    공막 링 또는 콘택트렌즈의 중심 맞추기 ( centration ):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에 의하면 공막 링의 개방 개구 내에 착용자의 경계 및/또는 동공이 대부분 집중되거나 콘택트렌즈의 경우 착용자의 동공이 광학 영역 내에 대부분 집중되도록 하는 공막 링 또는 콘택트렌즈의 적절한 센터링(centering)을 의미한다.

    중앙 개방 개구 ( Central Open Aperture ) :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을 포함하는 물질이 없는 구멍 또는 간극을 의미한다.

    콘택트렌즈: 각막을 덮어 맞도록 설계되며 시력장애를 교정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얇은 렌즈; 콘택트렌즈는 3개의 주요한 범주에 해당된다: #1) 각막 콘택트렌즈, #2) 각공막 콘택트렌즈, #3) 공막 콘택트렌즈. 3개의 주요한 범주는 다시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하위 범주로 나누어질 수 있다: A) 매일 착용(낮 동안에만 착용하며 취침시에는 제거하는 것을 의미), B) 연속 착용(제한된 날짜 동안 주야간 24시간 착용하는 것을 의미), 및 C) 매일 또는 연속적으로 착용될 수 있지만 오염되거나 특정한 광학 또는 편안함의 품질을 잃으면 버리는 일회용 콘택트렌즈. (여기에서 개시된 인공삽입물은 범주 #2 ( 각공막 콘택트렌즈)의 것임을 지적하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콘택트렌즈라는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각공막 콘택트렌즈를 의미한다.

    각막 콘택트렌즈: 각막 렌즈는 각막에 의해 배타적으로 지지되며, 경계(각막 및 공막 사이의 접합부)를 지나 연장되지 않는다. 각막 콘택트렌즈의 예는 착용자의 각막 직경보다 크지 않고 대부분의 경우 착용자의 각막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단단한 경질 콘택트렌즈이다. 각막 콘택트렌즈는 또한 연질 콘택트렌즈일 수 있다.

    각공막 렌즈: 각공막 렌즈는 시력장애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택트렌즈의 유형이다. 이 명칭은 눈에서 렌즈가 놓이는 구역과 지점을 나타낸다. 각공막 렌즈는 각막과 공막 위의 안구결막 양자에 의해 지지되며 경계를 지나 연장된다. 각공막 콘택트렌즈의 예는: 연질 콘택트렌즈,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이다. 이러한 렌즈들은 착용자의 각막 직경을 넘는 직경을 가지며 착용자의 경계 구역을 지나 연장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그러나 항상은 아니다) 12.5 내지 15mm 직경이다. 각공막 렌즈 아래의 눈물 보유는 각막을 둥근 천장으로 덮는 전체 공막 콘택트렌즈와 비교할 때 매우 제한된다. 각공막 렌즈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델타 점진적 두께, 점진적 두께 델타, 점진적 두께의 델타, 및 두께의 최대 변화: 점진적 두께 지역 내에 위치한 점과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동일한 지점에서 측정한 정상 두께 사이의 두께 차이. 최대 델타는 두께 차이 또는 최대 델타 두께가 가장 큰, 또는 달리 말하자면, 두께의 최대 변화가 발견되는 지점이다.

    델타 역진적 두께, 역진적 두께 델타, 역진적 두께의 델타, 및 두께의 최대 변화: 역진적 두께 지역 내에 위치한 점과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 내부(인공삽입물의 중심을 향한 방향) 근처 (가깝게 위치한) 구역의 두께와 비교한 두께 차이. 최대 델타는 두께 차이 또는 최대 델타 두께가 가장 큰, 또는 상기 다른 방법으로, 두께의 최대 변화가 발견되는 지점이다.

    가장자리( edge ): 여기에서 사용되는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가장자리는 콘택트렌즈의 바깥쪽 주위 둘레이며 또는 공막 링의 경우, 바깥쪽 주변부 가장자리 또는 공막 링의 개방 개구에 가장 가까운 안쪽 주변부 가장자리이다. 공막 링의 (개방 중심 개구에 인접한) 안쪽 가장자리는 공막 링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것과 유사한 윤곽을 갖는다.

    가스 투과성 콘택트렌즈: 산소를 투과시킬 수 있는 경질 재료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이러한 재료는 착용자 각막의 직경과 같거나 이보다 작은 직경의 가스투과성 각막 콘택트렌즈나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의 중심 경질 가스투과성 지역 내에 사용되어 연질의 친수성 스커트의 중심에 있는 재료가 가스투과성 재료로 된다.

    기하학적 중심: 여기에서 사용되는 기하학적 중심은 공막 링 또는 콘택트렌즈의 절대 중심을 의미한다. 콘택트렌즈의 경우 이는 실재하며, 공막 링의 경우 중앙 개방 개구를 감안할 때 이는 가상적이다.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 또는 하이브리드 공막 링: 여기에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는 서로 결합된 둘 또는 그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이다. 이의 예는 중앙의 가스투과성 재료 및 외부의 부드러운 친수성 콘택트렌즈 스커트를 포함하는 오늘날의 상용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와 같은 것이다. 여기에서 논의되는 3가지 추가 구현예는: #1)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의 외부 주변부가 경질이며, 중앙이 연질인 여기에서 교시된 구현예, 또는 #2) 공막 링의 경우, 공막 위로 놓이는 링이 더 경질(덜 연질 또는 더 경질) 재료이지만, 확장 효과를 제공하는 점진적 두께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더 연질이며 더 유연한 재료가 공막 링에 부착됨. 이 더 연질이며 더 유연한 재료는 더 경질의 공막 링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손가락과 같은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3) 소트프 콘택트렌즈의 경우 윗눈꺼풀을 올리거나 및/또는 아랫눈꺼풀을 낮추기 위한 증대한 표면 마찰을 제공하는 동일한 재료로 되지 않은 부재 또는 표면 처리를 갖는 것.

    점진적 두께: 정규화된 볼록면의 기본 공막 링 또는 콘택트렌즈 상의 점을 취할 때 그 점으로부터 여기에서 교시된 공막 링 또는 콘택트렌즈 상의 동일한 점의 차이를 계산한 증대된 차이 또는 델타 두께. 달리 말하자면; 공막 링 또는 콘택트렌즈의 볼록면 곡률을 수학적으로 정규화한 다음, 공막 링 또는 콘택트렌즈의 정규화된 볼록면을 넘어 그 위로 추가 두께가 더해진다. 콘택트렌즈에 대해서는 광학 영역은 콘택트렌즈의 특정한 광학 도수에 기인하여 다른 볼록 곡률을 가질 수 있으므로 광학 영역의 볼록면은 정규화된 볼록면의 계산에서 고려되지 않으며, 따라서 제외되는 점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대 점진적 두께는 피크 두께 델타 또는 두께의 최대 변화이다. 점진적 두께는 역진적 두께 지역으로 둘러싸이거나 이에 인접하여 생성될 수 있음을 지적하는 것이 중요하다.

    점진적 두께 직경 : 점진적 두께 직경은 최대 델타 두께 또는 두께의 최대 변화 지점으로부터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을 따라 직선으로 진행하여 최대 델타 두께의 이전 지점으로부터 대향하는 측에 위치한 최대 델타 두께 또는 두께의 최대 변화의 지점까지 수직 축을 따른 거리이다.

    점진적 두께 지역/영역/구역: (또한 " 개구 확장 영역"으로도 지칭됨) 본 특허출원의 목적을 위해 새로 만들어진 문구이다. 점진적 두께 영역은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정규화된 볼록면 위로 더해진 추가 두께의 영역, 지역, 구역이다. 점진적 두께 영역은 또한 다수의 점진적 두께의 영역 또는 지역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점진적 두께의 구역 또는 구역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대부분의, 그러나 모든 경우는 아닌, 경우에서 점진적 두께 영역 또는 지역은 착용자에 대해 유용한 시력 교정을 제공하지 않는다. 점진적 두께 영역은 또한 개구 확장 영역으로 지칭된다. 점진적 두께 지역 또는 영역의 목적은 착용자의 눈의 눈꺼풀 틈새(개구)를 확장하기 위하여 윗눈꺼풀(눈꺼풀들)을 들어올리고(끌어올리고) 및/또는 아랫눈꺼풀을 낮추는(누르는) 힘을 제공하는 것이다.

    점진적 두께 영역 폭: 점진적 두께 영역이 시작되고 끝나는 공막 링 또는 콘택트렌즈의 볼록면 상의 폭 수치. 이는 일반적으로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에 가장 가까운 부분까지 측정한 점진 두께 영역의 폭이다.

    내부 경사: "내부" 경사는 최대 두께 델타 지점과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에 가장 가까운 개구 확장 영역의 단부 사이의 개구 확장 영역의 경사이다.

    접합부( junction ): 여기에서 사용되는 접합부는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에서 가스투과성 중앙 지역의 외부 주변부 가장자리가 외부 연질 스커트의 내부 주변부 가장자리와 만나는 위치를 의미하며 하이브리드 공막 링 또는 역 하이브리드 렌즈의 경우 두 다른 재료가 만나는 위치를 의미한다.

    경계( limbus ): 공막과 인접한 눈의 각막의 가장자리 지역. 각막의 평균 직경은 11-12mm이며 평균 약 11.5mm로 일반적으로 인식된다.

    최소 수직 치수: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의 구조적 특징을 측정 및/또는 정량화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최소 수직 치수는 여기에서 기재된 일부, 그러나 필수적으로 전부는 아닌, 구현예들을 정량화하는 데 사용되는 파라미터이다. "수직 치수"는 인공삽입물의 꼭대기 근처의 개구 확장 영역의 가장 높은 부분과 인공삽입물의 바닥 근처의 개구 확장 영역의 가장 낮은 부분 사이의 수직 거리이다. 달리 말하자면, "수직 치수"는 윗눈꺼풀을 밀어올리는 인공삽입물의 최상부와 아랫눈꺼풀을 밀어내리는 인공삽입물의 최하부 사이의 수직 거리를 정의한다. 개구 확장 영역이 인공삽입물의 가장자리에서 시작하면, 개구 확장 영역의 "수직 치수"는 인공삽입물의 수직 크기(전체 직경)에 상응한다. 최고 및 최저 부분이 동일한 수직축 상에 놓이지 않으면, "수직 치수"는 최고 및 최저점을 수직축 상에 투영한 거리이다. 개구 확장 영역이 회전 대칭이 아니면, 수직 거리는 인공삽입물이 회전하면 변화할 수 있다. "최소 수직 치수"는 가장 작은 수직 치수를 갖는 인공삽입물의 회전 위치에 상응하는 수직 치수이다. 눈꺼풀로부터의 압력은, 많은 경우에, 인공삽입물을 이러한 회전 위치로 회전시키는 경향이 있다.

    다초점 콘택트렌즈: 둘 또는 그 이상의 광학 도수 지역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이러한 콘택트렌즈는 최소한의 착용자의 원거리 시력 및 노안을 교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다초점 콘택트렌즈는, 착용자의 원거리, 중거리 및 근거리 시력을 교정한다.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자연적 개구 ): 눈꺼풀 끝 사이의 공간-또한 rima palpebrarum 으로 지칭된다.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을 때, 눈 또는 눈들이 느슨하고 사람이 곁눈질하거나 웃거나 또는 찡그리는 등을 하지 않고 무표정할 때의 눈꺼풀 틈새의 공간 또는 구역이다.

    정규화된 앞 볼록면 :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정상 앞 볼록면에 점진적 두께가 전혀 추가되지 않은 앞 볼록면을 의미한다. 정상 앞 볼록면은 비-구면 볼록 곡률 또는 구면 볼록 곡률의 것일 수 있다.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경우에서 정규화된 볼록면은 구면 곡률의 것이다. 달리 말하면 정규화된 앞 볼록 곡률은 볼록 곡률 마이너스 추가된 점진 두께와 동일하다. 광학 영역은 콘택트렌즈의 광학 도수의 영향에 따라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으므로 콘택트렌즈의 볼록면을 정규화할 때 정규화된 표면은 광학 영역의 볼록면을 고려하지 않는다.

    광학 영역: 광학 도수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중앙 영역. 광학 영역은 고정된 크기이며 콘택트렌즈 내에서 고정된 위치에 있다. 여기에 포함된 개시에서 광학부(optic zone) 및 광학 영역(optical zone)은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연질 콘택트렌즈의 광학 영역은 직경 7mm에서 9mm 사이의 범위이다. 밤에 동공이 팽창될 때 눈부심과 빛의 산란을 막기 위하여 광학 영역 직경은 일반적으로 동공 영역 직경에 비해 크다. 공막 링은 광학 영역을 갖지 않으며, 오히려 개방 개구를 갖는다.

    전체 외부 직경 : 인공삽입물 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기하학적 중심을 통하여 인공삽입물을 가로질러 대향하는 외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측정된 직경.

    외부 경사: "외부" 경사는 최대 두께 델타 지점 및 개구 확장 영역이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에 가장 가깝게 끝나는 곳 사이의 개구 확장 영역의 경사이다.

    전체 두께: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오목면 상의 지점에서 동일한 지점의 볼록면 바깥쪽 점까지의 서로에 대한 두께.

    피크 두께 델타(최대 두께 델타): (추가된) 최대 점진 두께 또는 (감소된) 최대 역진 두께. 달리 말하면 두께의 최대 변화이다.

    인공삽입물 : 착용자에게 이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장치. 여기에서 기술된 명세서의 경우에 이점은 미용상 이점 또는 시력의 이점일 수 있다.

    안검하수 : 단순히 예시를 위하여: 동안신경 마비로부터 일어나는 윗눈꺼풀의 처짐. 안검하수는 하나 또는 양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윗눈꺼풀의 비정상적인 처짐을 가리킨다. 이는 지속성이거나 사실상 간헐성일 수 있다. 안검하수는 출생 때부터 있는 경우 선천적일 수 있으며, 인생의 이후 시기에 후천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검하수는 분리된 질환이지만, 또한 다양한 다른 조건과 연관될 수도 있다. 안검하수는 어린이 및 성인 인구에 모두 발생할 수 있다. 안검하수의 발생률은 어린이에서 0.18%로 보고되고 있으며, 아마도 노화 요소에 기인하여 나이든 성인에게서는 더 자주 발생하고, 인구의 1% 또는 그 이상에서 발생한다. 남성과 여성이 동등하게 안검하수에 민감하다.

    안검하수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은 질환이 있는 눈의 윗눈꺼풀의 처짐이다. 처짐의 심각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범주화될 수 있다: 최소 (1-2mm), 중간 (3-4mm) 및 심각 (>4mm). 안검하수가 있는 사람은 눈물의 증가와 흐릿해진 시야를 호소한다. 심한 안검하수 환자는 정상적인 직선 시야를 위해서 눈꺼풀을 손가락으로 들어올리거나 눈썹을 올려야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긴장성 두통 및 눈의 피로를 가져올 수 있다.

    안검하수는 눈꺼풀을 올리는 근육(올림근 및 뮬러근)이 이를 적절히 하기에 충분히 강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이는 한쪽눈 또는 양눈에 모두 발병할 수 있으며, 눈꺼풀의 근육이 나빠지기 시작할 수 있으므로 노인에게 더 흔하다. 안검하수는 통상 눈꺼풀 근육이 적절히 기능하지 못하는 것에 기인한 결과이다. 이는 눈꺼풀 근육의 국소적인 손상 또는 눈꺼풀 근육에 공급하는 신경 손상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정상적인 노화의 진행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중증 근무력증, 진성 당뇨병, 뇌졸중, 호너 증후군(Horner's syndrome) 및 뇌종양은 안검하수 발병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실제로 신경근육 장애인 중증 근무력증은 후천적 안검하수의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또한 콘택트렌즈를 장기간 착용한 사람 및 외모의 미용적 처치를 위하여 보톡스를 이용한 사람이 안검하수에 걸릴 수 있다는 점이 보고되었다. 치료되지 않은 채로 방치되면, 특히 어린이의 경우, 안검하수는 어린이가 자신의 한 눈으로 제대로 보지 못하는 '약시(Lazy Eye)'라 불리는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은 적절히 치료되면 역전될 수도 있다. 어린이에게는 시각장애 및 신체적 외관손상으로 기인한 정서 장애가 있을 수도 있다.

    시각장애가 존재하지 않는 경도의 안검하수의 경우 상황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그러나 심한 선천적 안검하수는 안과 및 성형외과 전문가를 포함하는 외과적 개입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외과적 양상은 눈꺼풀 근육의 교정 및 올림근 절제, 뮬러근 절제 또는 이마근 걸기 수술과 같은 방법이 일반적으로 수행된다. 크런치 안경(Crunch glasses) 또는 특별한 공막 콘택트렌즈의 사용과 같은 비-외과적 양상이 또한 최근에는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좌안에 선천성 안검하수를 갖는 사람을 나타낸다. 도 2는 안검하수 눈꺼풀로 인한 기능적 방해를 나타내는 시야를 예시한다. 안검하수는 착용자 눈의 시야에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기능적 시야 구역을 제한한다. 안검하수가 윗눈꺼풀의 것이고, 따라서 윗눈꺼풀이 동공의 일부를 덮으면, 안검하수를 가진 사람은 자신의 상위 시야의 일부에서 시각 능력을 잃게 된다. 도 3-7은 안검하수에 시달리는 다양한 사람들을 나타낸다. 안검하수는 모든 연령대에 발생할 수 있으며, 40세 이상에게 가장 높은 발생률을 갖는다.

    동공 영역: 여기에서 사용되기로는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콘택트렌즈의 영역으로서 착용자의 동공이 광학적으로 이와 통신한다(또는 달리 말하면 착용자 눈의 동공이 이를 통해 빛을 수신한다). 동공 영역은 동공이 팽창하는 밤이나 어두운 조명에서는 더 넓은 구역이 되고 주위의 빛이 더 높은 수준일 때에는 더 좁은 구역이 된다. 여기에서 기술된 인공삽입물의 동공 영역은 주위의 빛의 낮은 수준으로 인하여 동공이 팽창될 때 동공을 커버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약 6mm 직경 내지 8mm 직경의 범위이다(또는 콘택트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의 반경 3mm 내지 4mm). 동공 영역은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의 광학 영역보다 좁다. 동공 영역은 공막 링 중앙 개방 개구 내에 위치한다.

    피기 백 ( Piggy Back ): "피기 백" 또는 피기 백하기의 용어는: 더 큰 연질 콘택트렌즈의 표면 위에 더 작은 경질 콘택트렌즈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경질 렌즈의 시력교정 이점과 연질 렌즈의 편안함의 이점을 준다. 이 용어는 또한 둘 또는 그 이상의 연질 콘택트렌즈가 동시에 착용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지역( Region ): 지역(region), 영역(zone), 구역(area)은 본 개시에서 모두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역진적 두께: 두께의 감소

    역진적 두께 직경 : 점진적 두께 직경은 최대 델타 두께 지점으로부터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을 통하여 직선으로 진행하여 이전 최대 델타 두께 지점으로부터 대향하는 측에 위치한 최대 델타 지점까지의 수직 축을 따른 거리이다.

    역진적 두께 지역: (또한 " 개구 확대 영역"으로 지칭됨) 인공삽입물의 정규화된 두께가 감소하여, 단지 예시로서, 인공삽입물의 볼록면 상의 지형의 "골짜기"와 같은 구역, 지역, 영역 또는 "부분적으로" 골짜기 같은 구역, 지역, 영역을 형성하고, 따라서 한쪽은 두께가 증가하고 다른쪽은 동일한 두께를 유지하거나 두께가 더 감소하는 지역. 역진적 두께 지역은 일반적으로 (그러나 반드시는 아님) 점진적 두께 구역을 가져온다.

    역진적 두께 영역 폭: 공막 링 또는 콘택트렌즈의 볼록면 상에서 역진 두께 영역이 시작하고 끝나는 폭의 수치. 이는 일반적으로 (그러나 반드시는 아님) 인공삽입물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곳에서 시작하고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에 더 가까운 쪽에서 끝나도록 측정된다.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 이는 바깥쪽 스커트가 경질 재료로 만들어지고 중앙 영역이 연질 렌즈 재료로 만들어진 하이브리드 인공삽입물이다.

    경질 중앙: 경질 중앙은 통상의 경질 재료로 만들어진 가스투과성 또는 하이브리드 가스투과성 콘택트렌즈의 구역을 의미한다.

    링: 여기에서 사용되는 링의 용어는 연속적인 링 또는 비연속적인 링일 수 있다. 따라서 점진 두께의 링은 연속적인 링 또는 끊어진 비연속적인 링일 수 있다. 링은 또한 연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인공삽입물을 둘러싸는 밴드(밴드들), 영역(영역들), 섬(섬들), 지역(지역들), 및 분절(분절들)을 지칭할 수 있다.

    공막: 경계에서 각막과 만나는 눈의 희끄무레한 외피이며 눈의 특정한 지역에서 안구결막으로 덮여있다.

    공막 링 눈 개선기 (공막 링): 착용자 눈의 공막 위로 맞으며, 그 볼록 외부 표면 상에 위치한 착용자의 눈꺼풀 틈새 확장을 제공하는 지형(개구 확장 영역)을 갖고 착용자의 시선을 간섭하지 않도록 개방된 중앙 개구를 포함하는 인공삽입물 장치. 공막 링은 단일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하이브리드 공막 링의 경우 다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공막 링은 윗눈꺼풀을 끌어올리거나 및/또는 아랫눈꺼풀을 낮추는 손가락과 같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공막 링은 광학 도수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경우에서, 공막 링은 각막 부분을 덮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구현예에서 공막 링은 경계와 각막의 매우 제한적인 주변부 지역을 덮는다.

    공막 콘택트렌즈: 공막 렌즈는 각막을 둥근 천장으로 덮는(각막 위에 놓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특별하게 설계된 큰 직경의 "경질" 콘택트렌즈이다. 이는 직경 14mm 내지 20mm 이상의 범위일 수 있다. 이는 각막(눈의 착색 부분을 덮는 투명한 돔 조직)을 완전히 덮어 둥근 천장 형태를 이루며 공막(눈의 바깥쪽 벽을 이루는 눈의 흰 부분) 위로 연장되기 때문에 "공막" 렌즈로 불린다. 공막 렌즈는 공막에 의해 " 독점적으로 지지되며", 각막과 경계를 완전히 둥근 천장으로 덮는다. 공막 렌즈는 착용자 눈의 공막에 매우 단단하게 맞는다.

    실리콘 히드로겔( Silicon Hydrogel ): 소트프 콘택트렌즈에 사용되는 재료. 1998년 실리콘 히드로겔이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실리콘 히드로겔은 실리콘의 매우 높은 산소투과율과 통상의 히드로겔의 편안하고 임상적인 성능을 모두 갖는다. 실리콘이 물에 비해 더 높은 산소투과율을 허용하므로, 실리콘 히드로겔의 산소투과율은 렌즈의 수분함량에 연결되지 않는다. 이제 렌즈는 야간착용(연장착용)이 승인될 정도로 높은 산소투과율을 갖도록 개발되고 있다. 실리콘 히드로겔 재료로 된 매일 착용이 승인된 렌즈 또한 이용할 수 있다.

    실리콘 히드로겔의 단점은 약간 뻣뻣하고 렌즈 표면이 소수성이며 덜 "습윤가능한(wet-able)" 점이다. 이러한 요소는 렌즈의 편안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새로운 제조기술과 다용도 용액의 변화가 이러한 효과를 최소화한다. 플라즈마 코팅이라 불리는 표면 변경 기술이 렌즈 표면의 소수성을 변경한다. 다른 기술은 렌즈 표면을 친수성으로 만들기 위하여 내부적인 재습윤제(rewetting agent)를 사용한다. 세번째 방법은 더 긴 백본 폴리머 사슬을 사용하여 표면 변경이나 부가적인 제재의 사용 없이 크로스링크를 줄이고 습윤을 증가시킨다.

    단일시 콘택트렌즈: 단일의 광학 도수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광학 도수는 원시, 근시, 난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교정할 수 있다.

    슬라이드 저항: 눈꺼풀(눈꺼풀들)이 깜박이며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을 교차하여 움직임에 따라 눈꺼풀(눈꺼풀들)과 콘택트렌즈 사이에 전달되는 저항.

    경사: 외부 표면의 곡률 또는 지형.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서의 경사는 개구 확장 영역, 지역 또는 구역의 경사 또는 하향(incline or decline)의 정도로 특징지어진다. 경사는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로 특징지어진다.

    연질 스커트: 연질 스커트는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 상에 위치한 연질의 친수성 재료의 외부 원형 영역이다.

    연질( soft ) 콘택트렌즈: 경질 렌즈가 약 120년 동안 보급된 것에 비해, 연질 렌즈는 훨씬 최근의 개발품이다. Otto Wichterle에 의해 만들어진 연질 렌즈의 주된 획기적 발전은 1960년대에 일부 국가에서 최초의 연질 히드로겔 렌즈의 출시를 가져왔으며 1971년 미국 FDA에 의해 "Soflens" 매일용 재료(polymacon)가 승인되었다. 경질 콘택트렌즈가 완전한 편안함을 얻기 위해 일정한 적응 기간을 필요로 하는 것에 비하여 연질 콘택트렌즈는 즉각적으로 편안하다. 연질 렌즈 폴리머의 가장 큰 개선은 산소 투과도, 렌즈 습윤성, 및 전반적인 편안함의 증가이다.

    안정화 영역( stabilization zone ): 단시 예시적으로, 동축 안정화 영역, 절단, 프리즘 밸러스트(prism ballast), 슬랩 오프(slab off), 가중(weighted)과 같은 방법으로, 인공삽입물을 안정화하는 지역, 영역, 구역. 안정화 영역은 눈꺼풀 깜박임이 있을 때 눈 안에서 인공삽입물의 회전을 실질적으로 줄이거나 멈춘다. 고정화 영역은 일반적으로 렌즈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눈꺼풀 끝을 건드린다. 안정화 영역 또는 특징은 연질 콘택트렌즈의 착용자의 각막으로의 산소 전달 감소를 일으킬 수 있다.

    표면 특징: 인공삽입물 의 표면 상에 위치하는 인공삽입물의 나머지와는 다른 특징. 이 특징은, 단지 예시로서, 증가/감소된 두께, 증가된 표면 마찰,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지역, 오목부(dimples), 혹(bumps), 표면 불규칙성, 표면 지형의 임의의 변화,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표면 마찰 또는 증대된 표면 마찰: 인공삽입물의 착용자의 눈꺼풀에 의해 접촉할 때 증대된 표면 마찰을 제공하는 인공삽입물의 볼록면의 표면 구역, 영역, 지역을 의미한다. 인공삽입물의 볼록면 상의 이 구역은 개구 확장 영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구역 또는 영역은 점진 두께 영역 또는 지역의 표면 상에 또는 점진 두께 영역 또는 지역을 대신하여 제공될 수 있다.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 영역, 구역은 편평하거나 높여질 수 있다.

    두께 지역 또는 영역: 기본 콘택트렌즈에 점진 두께가 추가된 콘택트렌즈의 지역 또는 영역. 이 지역 또는 영역은 볼록 외부 표면에 두께가 추가된 곳이다. 이는 또한 점진적 두께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두께 차이( thickness differential ): 제1 지점이 제1 지점에 인접한 제2 지점보다 얇은 인공삽입물의 지역, 영역, 구역이다. 대부분의 경우(모두는 아님) 이 두께 차이는 연속적이며 불연속성을 가져오는 계단 형식은 아니다. 두께 차이는 인공삽입물 내에서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 내에서 발견될 수 있다.

    두께 경사: 경사 또는 하향(incline or decline)을 갖는 표면 지형의 수평축을 따라 이동한 mm당 측정된 두께. 두께 경사는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를 이용하여, 또한 전체 두께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두께 경사는 모두 개구 확장 영역과 연관된 외부 두께 경사 지역 또는 내부 두께 경사 지역에 위치할 수 있다.

    원환체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난시 오차를 교정하는 원환체 지역 또는 영역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이 유형의 원환체 렌즈는 원주면(cylindrical) 교정도수 또는 구면-원주면(sphero-cylindrical) 광학도수일 수 있다.

    수직 치수: 개구 확장 영역의 최고 및 최저점을 수직축에 투영한 것 사이의 거리. 개구 확장 영역이 사실상 대칭이 아니면 수직 치수는 렌즈가 회전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즉, 수직 치수는 렌즈의 회전 위치의 함수이다.

    도 8-11은 여기에서 교시된 콘택트렌즈와 맞는 환자 집단으로부터 제외되어야 하는 눈의 예들이다. 도 8-11의 사람들의 윗눈꺼풀은 동공의 위쪽 가장자리의 2mm 내로 오지 않거나 아랫눈꺼풀이 동공의 아래쪽 가장자리의 2mm 내로 오지 않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윗눈꺼풀을 끌어올리도록 설계된 공막 하드/경질 콘택트렌즈는 착용자가 정상적으로 자신의 눈꺼풀을 깜박일 때 이러한 렌즈와 관련된 현저한 불편함 때문에 시장에서 주로 실패하였다. 또한, 이러한 공막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때 눈의 외관이 착용자에게 만족스럽지 않다. 모든 실용적인 목적에 대해서 안검하수 교정을 위해 설계된 이러한 공막 콘택트렌즈는 1980년대 이후로 대부분 상업화가 중단되었다. 각막에만 맞는 경질 각막 콘택트렌즈는 눈꺼풀이 콘택트렌즈를 중앙으로부터 밀어내기 때문에 착용자의 눈꺼풀을 끌어올리지 못한다.

    (여기에서 교시된 각공막 콘택트렌즈 이전에) (오늘날 세계적으로 가장 보편적인) 일반적인 각공막 콘택트렌즈는 그 기하학적 설계 때문에 다수의 각공막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눈꺼풀을 들어올리거나 눈꺼풀 틈새를 벌릴 수 없다. 각공막 콘택트렌즈는 다수의 서로 다른 광학 교정을 제공한다. "다수의 다른 광학 교정 또는 처방" 어구의 사용은 편평(plano)(도수가 없는) 각공막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광학 도수 또는 처방 및 대부분의 모든 공지의 콘택트렌즈에 의해 제공되는 광학 처방 또는 광학 도수를 의미하는 것이다.

    평면을 포함하는 대부분 임의의 및 모든 공지의 광학 도수, 높은 수준의 편안함, 정확한 중심 맞추기, 및 우수한 자양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안검하수의 경우) 착용자의 윗눈꺼풀을 끌어올리고 및/또는 아랫눈꺼풀을 낮추어 착용자의 눈꺼풀 틈새(두 개의 이러한 콘택트렌즈; 우안에 하나 및 좌안에 하나를 착용할 때의 틈새/개구)를 확장하는 각공막 콘택트렌즈(연질 콘택트렌즈 및/또는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 형태의 인공삽입물에 대한 충족되지 못한 요구가 있다.

    또한, 콘택트렌즈의 "비착용자"의 눈의 눈꺼풀 틈새(개구)를 확장하는 인공삽입물에 대한 절박한 요구가 있다. 그러한 인공삽입물은 여기에서 공막 링의 형태인 다른 구현예로서 기재된다. 공막 링은 콘택트렌즈로 의도되지 않는다. 공막 링은 광학 영역 또는 어떤 광학 도수도 포함하지 않는다. 공막 링의 중앙 지역은 중앙 개방 개구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교시된 공막 링은 착용자의 눈꺼풀 틈새 또는 눈 개구를 확장하는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콘택트렌즈"의 용어가 사용될 때, 공막 콘택트렌즈, 가스투과성 공막 콘택트렌즈, 경질 각막 콘택트렌즈 중의 하나로 언급되지 않는 한, 각공막 콘택트렌즈를 의미하는 것임을 지적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개시된 콘택트렌즈는 각공막 콘택트렌즈이다. 그러므로, 이 개시를 읽을 때, "콘택트렌즈"는 항상 이 단락에서 지적된 예외를 제외하고는 각공막 콘택트렌즈로 해석되어야 한다. 공막 링 용어는 여기에 포함된 정의 내에서 정의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개시된 구현예는 각공막 콘택트렌즈의 형태 및 공막 링 형태의 인공삽입물을 교시한다. 각공막 콘택트렌즈는 콘택트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3.0mm 지점 외부의 지역 내의 아무 곳에나 위치하는 최소 25마이크론 또는 그 이상의 점진적 두께 지역 또는 영역을 가지며, 이에 따라 각공막 콘택트렌즈는 그 광학 영역을 통해 적절한 광학 도수를 제공하여 교정되지 않은 굴절 오류를 대부분 교정하고, 점진적 두께는 동일한 광학 도수 교정을 제공하는 동일 제조사의 동일 유형의 일반적인 콘택트렌즈와 비교하여 동일 지점에서 측정된 두께 델타이며, 점진적 두께 지역은 착용자 눈의 눈꺼풀 틈새의 확장을 일으킨다. 각공막 콘택트렌즈는, 예시의 방법으로만, 연질 콘택트렌즈 또는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일 수 있다. 각공막 콘택트렌즈는 단일시, 다초점, 원환체, 난시용 콘택트렌즈 중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학 설계의 것일 수 있다. 연질 콘택트렌즈는 연속착용, 매일 착용, 계획된 교체 또는 일회용일 수 있다. 각공막 콘택트렌즈는 착용자의 눈꺼풀 틈새의 확장을 더 강하게 하기 위하여 콘택트렌즈의 광학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적절히 위치한 착색된, 채색된 홍채 링, 경계 링 또는 원형 밴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착색된, 채색된 링 또는 밴드의 일부는 착용자 눈의 경계에 대략 인접하지만, 이를 덮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경계를 넘어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착색된 부분에 대한 착색된 부분의 외부 직경이 경계 측정에 대한 경계 직경에 비해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공막 링은 일반적으로, 항상은 아니지만, 착용자의 시선을 간섭하지 않도록 눈이 정상적으로 떠질 때 위 및 아랫눈꺼풀 사이에 위치하는 외부 주변부 가장자리를 가지며 (어둠에 의해 자연적으로 팽창될 때) 착용자의 동공 직경의 외부에 위치하는 내부 주변부 가장자리를 가지는 링이다. (개방 중앙 개구에 인접한)공막 링의 내부 가장자리는 공막 링의 주변부 가장자리와 유사한 윤곽을 갖는다. 이는 착용자가 눈을 깜박일 때 착용자의 불편함을 막는 것을 도와준다. 공막 링은 착용자의 시선이 방해받지 않도록 허용하는 개방 중앙 개구를 갖는다. 공막 링은 다양한 콘택트렌즈 재료; 경질, 가스투과성, 연질, 하이브리드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한다. 공막 링은 개구 확장 영역 또는 점진적 두께, 역진적 두께 지역 및/또는 증대된 표면 마찰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증대된 표면 마찰 구역은 인공삽입물의 볼록면 상에서 편평하거나 높여질 수 있다. 점진적 두께 지역 또는 영역은, 단지 예시로서로만, 하나의 재료(링의 개본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더 유연하며 연질의 재료가 주 공막 링의 더 경질이며 덜 유연하고 연질의 재료에 부착되도록 다수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경우에서, 하이브리드 공막 링에 대해 말할 때 더 유연한 재료(덜 경질)가 윗눈꺼풀 끌어올리기와 아랫눈꺼풀 누르기를 제공한다.

    일부,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의 하이브리드 공막 링은 윗눈꺼풀을 끌어올리고 및/또는 아랫눈꺼풀을 낮추는 손가락과 같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공막 링은 광학 도수를 포함하지 않는다. 동작의 메커니즘은 감거나 감겨있을 때 위 및 아랫눈꺼풀이 손가락과 같은 부재를 접거나 구부리기에 필요한 정상적인 힘을 압도하는 힘을 제공하지만, 눈꺼풀이 다시 열리면 손가락과 같은 부재를 접거나 구부리기에 필요한 힘이 손가락과 같은 부재의 구조에 의해 적용되는 것에 비해 작아지고 따라서 손가락과 같은 부재는 원래의 위치로 되튀어서 돌아가며(springs back) 이제 압도하고 그리고 윗눈꺼풀을 올리거나 또는 끌어올리고 및/또는 아랫눈꺼풀을 누르거나 또는 낮춘다. 하이브리드 공막 링의 일부,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손가락과 같은 부재는 공막 링의 외부 표면에 미리 형성된(설계된) 수신 트렌치로 구부러지거나 접힌다. 트렌치 또는 트렌치들의 위치는 각 손가락과 같은 부재에 대해 적절한 위치에 제공된다. 이는 손가락과 같은 부재(부재들)이 눈을 깜박일 때 거의 납작하게 접히도록 허용하여 눈꺼풀이 손가락과 같은 부재(부재들) 위로 쉽게 닫히거나 열린다. 본 개시는 공막 링 인공삽입물과 연관된 것으로 손가락과 같은 부재를 나타내고 교시하였지만 이들은 또한 콘택트렌즈 인공삽입물과 연관될 수도 있음이 지적되어야 한다.

    점진적 영역은 공막 링 및 콘택트렌즈가 하나의 재료로 만들어진 때 동종 재료로 구성되거나 공막 링 또는 콘택트렌즈가 두 가지 재료로 이루어진 때에는 하이브리드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공삽입물의 일부 구현예에서 점진적 두께 영역 또는 지역 또는 역진적 두께 영역 또는 지역이 있거나 없을 수 있지만, 영역 또는 지역의 표면은 추가적인 눈꺼풀 마찰을 제공하기 위하여 변경된다. 이러한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 또는 영역은 눈꺼풀 깜박임이나 힘주어 눈을 감는 동안 쉽게 눌러질 수 있으나, 눈꺼풀을 열 때에는 이러한 증대된 마찰이 윗눈꺼풀을 올리고 및/또는 아랫눈꺼풀을 눌러 눈 개구를 개방한다. 증대된 표면 마찰 영역, 지역, 구역은 인공삽입물의 볼록면 상에 편평하거나 높여질 수 있다. 증대된 표면 마찰 영역, 지역, 구역은 개구 확장 영역, 지역, 구역일 수 있다.

    점진적 두께 영역 또는 증대된 표면 마찰 영역은 여기에서 교시된 인공삽입물의 일부 구현예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예시로서만, 링(링들), 작은고리들(ringlets), 부분적 링들, 밴드, 밴드들, 부분적 밴드들, 돔(dome), 일련의 돔들, 임의의 기하학적 형태의 분리된 지역들 또는 섬들, 분절된 구역, 분절된 구역들의 형태일 수 있다. 점진적 두께 영역은 콘택트렌즈의 볼록면 외부 표면 상에 위치한다. 점진적 두께 영역은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정규화된 외부 볼록면 만곡으로부터 상승된 두께의 구역으로 표현될 수 있다. 대부분의, 그러나 전체는 아닌, 바람직한 구현예의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점진적 두께 영역은 외부 경사가 볼록면을 만나거나 내부 경사가 볼록면을 만나는 지점에서 외부 볼록면 만곡에 연속적인 방법으로 연결된다(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볼록 만곡이 연속 표면의 것임을 의미).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볼록면은 점진적 두께 지역 또는 지역들에 인접하거나 근처에 위치하며 그 위에 주어진 불연속점 또는 불연속점들을 가지며, 따라서 이는 연속 표면이 아니다. 일부 구현예의 하이브리드 공막 링을 말할 때 점진 두께 영역은 하나의 재료가 다른 재료에 부착된 불연속 표면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동종(homogeneous) 공막 링을 말할 때, 링은 하나의 재료로 만들어지며 대부분의 경우 윗눈꺼풀의 끌어올림 및/또는 아랫눈꺼풀의 낮춤을 제공하기 위한 점진적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인공삽입물의 용어는 각공막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 중 하나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콘택트렌즈"의 용어는 경질, 연질, 가스 투과성, 하이브리드 중 하나일 수 있는 각공막 콘택트렌즈를 의미한다.

    점진적 두께 영역을 포함하는 점진적 두께 영역/지역/구역(개구 확장 영역)은 대부분,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동공 영역의 바깥쪽에 동공 영역의 외부 가장자리에 인접한 볼록면 상에 위치한다. 동공 영역은 콘택트렌즈 광학 영역과 같은 크기이거나 더 작으며 공막 링의 중앙 개방 개구 내에 위치한다. 점진적 두께 영역의 최대 두께 델타는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인 인공삽입물이 착용될 때 착용자 눈의 경계에 (정렬하여) 또는 경계 (바깥쪽의) 외부에 위치한다. 이는 점진적 두께 영역(개구 확장 영역)의 최대 두께 델타 또는 두께의 최대 변화가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이 착용되거나 착용되도록 의도된 눈의 각막의 기하학적 중심을 통하여 경계로부터 경계 직경 (각막 외부 직경) 수치와 같거나 더 큰 직경임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교시된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은 점진 두께 영역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이며, 점진적 두께 영역은 점진적 두께, 경사 및 폭을 가지고, 점진적 두께 직경은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보다 1mm 내지 10mm 더 큰 범위 내에 있다. 점진적 두께 영역은 볼록면 상에 위치하며 윗눈꺼풀의 상승기 및/또는 아랫눈꺼풀의 강하기의 역할을 한다. 순미용적인 효과는 착용자 눈의 개구 또는 눈꺼풀 틈새(개구)를 확장하는 것이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또한 눈 개구 확장 효과를 일으키는 지형을 제공하기 위하여 볼록면 디자인 내에 역진 두께 지역이 제공된다. 이 경우, 역진적 두께 지역은 볼록면 내에서 골짜기를 형성하여 윗눈꺼풀이 상승/끌어당겨지고 및 아랫눈꺼풀이 낮추어/눌러지도록 한다. 골짜기를 둘러싸는 지형은 점진 두께 지역,영역, 구역 등이 된다.

    대부분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점진 두께 지역이 추가/설계될 때, 인공삽입물 내로 역진 두께 지역이 설계될 때와 반대로, 전체 구역에서 더 얇게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역진적 두께 지역이 실제로 역진적 두께 지역 내의 두께의 감산 효과라는 점에 기인한다. 따라서 개구 확장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인공삽입물의 볼록면 내에 (역진 지역의 방법으로) 요구되는 골짜기 깊이를 얻기 위해서는 (렌즈의 중심에 더 가까운) 내부에 위치한 구역이 역진 지역보다 더 두꺼워야 한다. 따라서 역진적 두께 지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은 점진적 두께 지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에 비하여 전체 표면 구역에서 더 두꺼울 것이다. 인공삽입물의 대부분의 경우에서 두꺼운 전체 표면 구역에 비해 얇은 전체 표면 구역이 바람직하다. 이제 상술한 바와 함께, 인공삽입물의 일부 구현예에서는 눈 개구 확장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역진적 두께 지역이 사용된다.

    점진적 두께 지역 및/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은 회전대칭, 회전비대칭, 타원 아치와 같은 특징(특징들), 섬 또는 섬과 같은 구역들 중 하나일 수 있다. 타원 아치(아치들)와 같은 특징(특징들)은 윗눈꺼풀의 눈꺼풀 끝 곡선 및/또는 아랫눈꺼풀의 눈꺼풀 끝 곡선과 유사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점진 두께 영역은 (콘택트렌즈의 경우) 광학 영역 또는 (공막 링의 경우) 개방 개구의 한쪽 편(우 또는 좌)에 어느정도 수직인 섬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인공삽입물의 점진 두께 지역은 25마이크론 내지 1,000마이크론 범위 내의 최대 델타 두께 차이(추가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한 범위인 100마이크론 내지 500마이크론, 더 바람직한 범위인 100마이크론 내지 400마이크론, 더 바람직한 범위인 75마이크론 내지 400마이크론을 가질 수 있다. 최대 델타 두께는 25마이크론, 50마이크론, 100마이크론, 150마이크론, 200마이크론, 250마이크론, 300마이크론, 350마이크론, 400마이크론, 450마이크론, 500마이크론, 550마이크론, 600마이크론, 650마이크론, 700마이크론, 750마이크론, 800마이크론, 1000마이크론일 수 있다. 최대 델타 두께 차이는 인공삽입물의 외부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0.5mm 내지 3mm에 위치할 수 있다. 점진적 두께 지역은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 또는 그 근처에서 시작/출발하여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6mm까지 위치할 수 있다. 대부분의 구현예에서 점진적 두께 지역은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 또는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0.1mm 내지 3mm에 있다. 최대 점진적 두께의 델타는 대부분의 경우에 인공삽입물의 가장자리 내부로 0.5mm 내지 3.0mm 범위 내에 있으며, 바람직한 범위로 인공삽입물의 가장자리 내부로 1.0mm 내지 2.5mm 범위 내에 있다. (최대 추가 두께 지점으로부터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을 통하여 대향하는 최대 추가 두께 지점까지 측정된) 점진 두께 직경은; 10.5mm 또는 그 이상, 11.0mm 또는 그 이상, 11.5mm 또는 그 이상, 12.0mm 또는 그 이상, 12.5mm 또는 그 이상, 13mm 또는 그 이상, 13.5mm 또는 그 이상, 14.0mm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인공삽입물의 역진 두께 지역은 25마이크론 내지 1,000마이크론 범위 내의 최대 델타 두께 차이(감소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한 범위인 100마이크론 내지 500마이크론, 더 바람직한 범위인 100마이크론 내지 400마이크론, 더 바람직한 범위인 75마이크론 내지 400마이크론을 가질 수 있다. 최대 델타 두께는 25마이크론, 50마이크론, 100마이크론, 150마이크론, 200마이크론, 250마이크론, 300마이크론, 350마이크론, 400마이크론, 450마이크론, 500마이크론, 550마이크론, 600마이크론, 650마이크론, 700마이크론, 750마이크론, 800마이크론, 1000마이크론일 수 있다. 역진 두께 지역은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6mm까지 위치할 수 있다. 대부분의 구현예에서 역진 두께 지역은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0.1mm 내지 3mm에 있다. 최대 점진 두께의 델타 또는 최대 역진 두께의 델타는 대부분의 경우에서 인공삽입물의 가장자리 내부로 0.5mm 내지 3.0mm 범위 내에 있으며, 바람직한 범위로 인공삽입물의 가장자리 내부로 1.0mm 내지 2.5mm 범위 내에 있다.

    점진적 두께에 의한 개구 확장 영역은 최대 변화 두께(최대 두께 델타) 지점에 의해 분리되는 두 개의 경사를 포함한다. 이 두 개의 경사는 외부 경사 및 내부 경사로 지칭된다.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쪽 상의 개구 확장 영역(점진 두께 지역 또는 역진 두께 지역)의 "외부" 경사는 개구 확장 효과를 획득하는 것을 돕는다. "외부" 경사는, 예시로서만, 50마이크론/mm 또는 그 이상, 100마이크론/mm 또는 그 이상, 150마이크론/mm 또는 그 이상, 200마이크론/mm 또는 그 이상, 250마이크론/mm 또는 그 이상, 300마이크론/mm 또는 그 이상, 350마이크론/mm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내부" 경사는, 예시로서만, 50마이크론/mm 또는 그 이하, 100마이크론/mm 또는 그 이하, 150마이크론/mm 또는 그 이하, 200마이크론/mm 또는 그 이하, 250마이크론/mm 또는 그 이하, 300마이크론/mm 또는 그 이하, 350마이크론/mm 또는 그 이하일 수 있다. 만일 "외부" 경사가 50마이크론/mm 이하의 두께 변화를 가지면 확장 효과는 최소화된다. 외부 경사가 300마이크론/mm 이상의 두께 변화를 가지면 인공삽입물은 불편해지며 중심에서 빗나갈 수 있다(decenter).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쪽 상의 개구 확장 영역의 외부 경사의 범위는 최소 3도 내지 최대 45도의 범위 내이며, 바람직하게는 5도 내지 25도의 범위 내이다.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에 가장 가까운 쪽 상의 개구 확장 영역의 "내부" 경사의 범위는 최소 1도로부터 최대 15도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대부분의, 그러나 모두는 아닌 구현예에서, 외부 경사는 내부 경사와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경사가 외부 경사보다 크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그 볼록면 상에 개구 확장 영역(점진적 두께 지역 또는 점진 역진적 두께 지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구 확장 영역은 개구 확장 효과를 제공하는 볼록면 상의 혹을 만들어낸다. 이 혹(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에 의해 만들어진)은 만곡 형태, 경사 각, 밀리미터 당 두께 변화 및 두께의 최대 변화(최대 델타 두께)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외부 경사는 인공삽입물의 외부 주변부 가장자리 또는 이에 인접하여 시작할 수 있으며 개구 확장 영역의 최대 두께 델타까지 연속된다. 일부 구현에에서, 외부 경사가 외부 주변부 가장자리 또는 이에 인접하여 시작할 때 외부 경사는 외부 가장자리의 경사의 2도 범위 내일 것이다. 대부분의, 그러나 모두는 아닌 구현예에서, 최대 두께 델타의 위치는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1mm 내지 3mm의 범위 내에서 획득되며, 바람직하게는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1.0mm 내지 2.5mm의 범위 내이다. 개구 확장 영역은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개구 확장 영역을 가로질러 진행하여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을 향하여 측정할 때 1mm 내지 6mm의 폭을 포함할 수 있다.

    대부분의, 그러나 모두는 아닌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혹이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수직축을 따라 기하학적 중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한다. 일부의 다른 구현에에서 적어도 하나의 혹이 기하학적 중심의 한쪽에 위치하여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수평 축에 의해 교차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다수의 분리된 혹이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을 가로지르는, 예시로서만, 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에 대하여 40도, 45도, 90도, 135도, 150도, 180도, 210도, 330도 중 둘 또는 그 이상의 가상의 축에 의해 교차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인공삽입물의 피크 델타 점진 두께(두께의 최대 변화) 지역(영역, 구역) 또는 피크 델타 역진 두께(두께의 최대 변화) 지역(영역, 구역)의 위치는 착용자의 윗눈꺼풀 끝에 대하여 0.1mm 또는 그 이상 높게(위에) 및/또는 아랫눈꺼풀 끝에 대하여 0.1mm 또는 그 이상 낮게(아래에) 위치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윗눈꺼풀 끝에 대하여 0.5mm 또는 그 이상 높게(위에) 및/또는 아랫눈꺼풀 끝에 대하여 0.5mm 또는 그 이상 낮게(아래에) 위치한다. 이 단락에 포함된 상기 치수는 착용자의 눈이 분명히 보기 위해서 또는 밝은 빛 속에 있어서 긴장한 상태가 아닌 느슨한 상태로 똑바로 앞을 보는 때에 "인공삽입물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의 눈꺼풀(이것이 착용자 눈의 자연적인 개구이다)임을 지적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인공삽입물을 착용할 때 윗눈꺼풀이 최소 0.1mm 또는 그 이상 올라가고 및/또는 아랫눈꺼풀이 최소 0.1mm 또는 그 이상 눌린다(낮추어진다). 그러나 더 바람직한 예에서, 인공삽입물을 착용할 때 윗눈꺼풀이 최소 0.5mm 또는 그 이상 올라가고 및/또는 아랫눈꺼풀이 최소 0.5mm 또는 그 이상 눌린다(낮추어진다). 인공삽입물의 개구 확장은 착색된 강조색에 의해 더 강화될 수 있다. 착색된 강조색은 인공삽입물 상에 위치한 착색된 경계 링, 착색된 서클 링(착색된 서클렌즈로 지칭될 수 있음)일 수 있다. 착색된 경계 링과 같은 이러한 착색된 강조색을 갖는 인공삽입물에 의해 착용자의 눈 개구가 더 확장되면, 착용자의 눈을 바라보는 사람에 의해 착색된 경계 링이 더 많이 보이게 된다. 이는 착색된 경계 링, 착색 링 또는 착색 강조를 착용자 눈의 미용적 개선에 있어서 더 효과적으로 하는 매우 복잡한 효과를 제공한다. 착색 강조된 인공삽입물이 착용될 때 착색된 강조색의 일부는 착용자 눈의 경계 (위 및 인접하여) 또는 그 외부에 위치할 것이다. 이는 착용될 때 착색 강조된 인공삽입물의 일부가 착용자 눈의 경계 구역 위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착색된 강조 부분의 일부의 직경이 착용자의 각막 외부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큰 직경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예시로서만, 다초점 설계 및/또는 난시를 교정하며, 따라서 원환체 요소를 갖는 광학 도수 및 고정화 영역(특징 또는 부재)을 필요로 하는 콘택트렌즈인 인공삽입물이 채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예시로서만, 인공삽입물이 공막 링 또는 단지 구면 광학 도수만을 갖는 단일시 콘택트렌즈일 때 인공삽입물은 정상적인 눈깜박임에서 자유롭게 회전하여 따라서 고정화 영역(특징 또는 부재)이 없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고정화 영역(특징 또는 부재)이 단일시 구면 도수 콘택트렌즈에서 채용된다. 고정화 영역(특징 또는 부재)이 채용될 때 이는 개구 확장 영역의 설계에 붙박이(built onto or into)되거나 (따라서 같은 것 내의 것이 되도록 특별히 설계됨) 또는 이는 개구 확장 영역과 분리될 수 있다.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영역/구역은 인공삽입물의 볼록면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착용자 눈의 개구를 증대시킬 수 있다.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영역/구역은 개구 확장 영역/지역/구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영역/구역은 편평, 불규칙, 융기, 또는 인공삽입물의 볼록면 상에 통합될 수 있다.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의 폭은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6mm 지점까지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은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0.1mm 및 6mm 내에 위치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이 편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을 포함하는 인공삽입물의 개구 확장 영역의 볼록면 상의 영역/지역/구역 또는 그 일부와 흡사한 점을 감안하면 이 지역은 두께 경사를 갖지 않는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두께 경사가 있다.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은 인공삽입물의 개구 확장 영역의 볼록면 또는 그 일부 상에 예시로서만, 몰딩, 열성형, 표면 처리, 코팅, 식각, 증착, 가스 식각, 가스 처리, 레이저 식각, 레이저 처리, 화학적 식각, 및 화학적 처리를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0mm 내지 6mm의 범위 내에 위치하며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6mm 외부에 위치한 볼록면의 구역과 비교할 때 1% 또는 그 이상의 끌림 마찰(drag friction)을 포함하는 인공삽입물의 임의의 볼록면 지역/영역/구역은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영역/구역으로 간주된다. 예시로서만, 이러한 증대된 표면 마찰 볼록면 지역/영역/구역은; 코팅된 표면, 오목부를 갖는(dimpled) 표면, 잔금을 갖는(crazed) 표면, 표면 혹들, 표면 링들, 표면 선들, 미끄럽지 않은(non-slick) 표면, 불규칙한 표면 등일 수 있다.

    증대된 표면 지역/영역/구역의 오목부, 혹, 링 및 선은 수직 깊이를 갖는다. 수직 깊이는 오목부, 혹, 링 또는 선의 피크와 바닥(trough)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 이러한 특징들의 수직 깊이는 500 옹스트롬 내지 50 마이크론의 범위 내이며, 바람직하게는 1 마이크론 내지 10 마이크론의 범위 내이다.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영역/구역은 인공삽입물의 볼록면 상에 위치한 독립형(stand-alone) 특징일 수 있다. 또한,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영역/구역은 개구 확장 영역의 외부 경사 또는 그 일부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영역/구역은 또한 인공삽입물의 볼록면 상의 개구 확장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연마(polish)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폴리시된 나머지 볼록면에 비해 증대된 표면 마찰을 갖는 개구 확장 영역에 의해 정의되는 지역/영역/구역을 가져온다.

    도 12A-B 및 도 13A-B는 개구 확장 영역이 사람 눈의 눈꺼풀 틈새를 확장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A 및 13B는 여기에서 기재된 인공삽입물을 착용하지 않은 사람을 나타내고, 도 13A 및 13B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이 눈 위에 포개진 동일한 사람을 나타낸다.

    도 12B는 최대 델타 두께(1202)가 눈의 자연적인 개구 외부에 위치하는 인공삽입물(1200)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달리 말하면, 착용할 때 인공삽입물(1200)의 개구 확장 영역(영역들)의 최대 델타 두께(1202)가 눈이 긴장을 풀고 앞을 바라볼 때 윗눈꺼풀 끝 위 및 아랫눈꺼풀 끝 아래에 위치한다. 점진적 두께 직경(최대 추가 두께 지점으로부터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을 통하여 대향하는 최대 추가 두께 지점까지 측정된 직경)이 윗눈꺼풀 끝과 아랫눈꺼풀 끝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점진적 두께 직경 및 또한 역진적 두께 직경은 최대 추가 두께 지점으로부터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을 통하여 직선으로 최대 델타 두께의 이전 지점으로부터 대향하는 쪽에 위치하는 최대 추가 두께 지점까지 진행하는 축을 따른 거리이다. 여기에서 개시된 구현예는 인공삽입물을 피팅할 때 인공삽입물을 최대 델타 두께(또한 피크 두께 델타로 지칭됨)가 윗눈꺼풀 끝에 대하여 최소 0.1mm 위 및/또는 아랫눈꺼풀 끝에 대하여 0.1mm 아래에 위치하도록 맞춘다.

    인공삽입물의 점진적 두께 직경 및 또한 역진적 두께 직경은 인공삽입물의 전체 직경(최외부 직경)에 따라 임의의 직경일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점진적 및 역진적 두께 직경은 10.5mm 내지 15mm의 범위 내이다.

    인공삽입물(1200) 상의 최대 델타 두께(1202)의 위치는 윗눈꺼풀 끝에 대하여 안쪽 위(under and above)에 위치하고 아랫눈꺼풀 끝에 대하여 안쪽 아래(under and below)에 위치하여, 눈의 눈꺼풀 틈새(개구)를 확장한다. 명확하게 하자면, 이 구현예에서, 최대 델타 두께의 위치는 눈의 자연적 개구 내에 위치하지 않으며, 눈의 자연적 개구의 수직 치수 외부 또는 더 큰 거리 치수에 위치한다(이는 점진 두께 직경이 자연적인 눈 개구의 수직 치수에 비해 큰 것을 의미한다). 이 구현예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점진적 두께 영역, 역진 두께 영역, 또는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인 개구 확장 영역으로 인하여 윗눈꺼풀이 끌어 올려진다. 그리고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점진적 두께 영역, 역진적 두께 영역, 또는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인 개구 확장 영역으로 인하여 아랫눈꺼풀이 끌어내려진다. 점진적 두께 영역(지역, 구역)을 갖는 구현예의 경우, 동작 방법은 추가된 두께가 윗눈꺼풀을 밀어서 올리고 아랫눈꺼풀을 눌러서 내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역진적 두께 영역(지역, 구역)을 갖는 구현예의 경우 동작 방법은 눈의 동공에 가장 가까운 쪽에 상당한 두께를 추가하도록 역진적 두께 영역 경계가 시작되는 경사에 의해 윗눈꺼풀 끝과 아랫눈꺼풀 끝이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여 역진적 두께 영역의 골짜기 내에 유지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 구역)을 갖는 구현예의 경우 동작 방법은 추가된 두께가 윗눈꺼풀을 밀어서 올리고 아랫눈꺼풀을 눌러서 내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도 13B는 윗눈꺼풀 끝 및 아랫눈꺼풀 끝에 위치하는 인공삽입물(1300) 상의 최대 델타 두께(1302)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3B 내의 점선이 도 12B에 도시된 구현예의 동일한 점선과 비교하여 직경(점진적 두께 직경 또는 역진적 두께 직경)이 얼마나 작은지를 유의한다. 도 12B는 도 13B와 비교하면 더 큰 점진적 두께 직경 또는 역진적 두께 직경을 갖는다. 이 구현예의 동작 방법은 확장 효과를 획득하기 위하여 점진적 두께 영역을 가로지르는 외부 경사를 이용한다. 인공삽입물(1300)의 외부 가장자리를 마주보는 쪽 상의 시작점으로부터 눈의 자연적인 개구의 바로 안쪽에 위치한 최대 델타 두께(1302)까지 두께가 상승하는(늘어나는) (점진적 두께 영역 폭 또는 역진적 두께 영역 폭을 가로지르는) 가파른 경사를 가짐으로써, 경사는 윗눈꺼풀을 위로 움직이고 아랫눈꺼풀을 아래로 움직이도록 하여 눈 개구를 개방하는 슬라이딩 보드 또는 프리즘 형태의 쐐기 역할을 한다. 이 구현예로 점진적 두께 직경 또는 역진적 두께 직경에 대하여 정상적인/자연적인 눈 개구 내에 위치하는 최대 델타 두께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A-17B는 인공삽입물의 볼록면 상에 존재하는 개구 확장 영역/점진 두께 지역의 다양한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14A는 일 구현예에 따른 공막 링(1400)을 나타낸다. 공막 링(1400)은 중심에 위치한 기하학적 중심(1402)을 갖는 중앙 개방 개구(1404)를 갖는다. 공막 링(1400)은 개방 개구(1404)의 대향하는 쪽에 위치하는 두개의 점진적 두께 지역(1408)을 포함한다. 각 점진적 두께 지역(1408)은 최대 점진적 두께(피크 델타 두께)(1406)을 갖는다. 점진적 두께 지역(1408)은 착용할 때 착용자의 눈꺼풀 틈새를 증대할 수 있다.

    도 14B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콘택트렌즈(1450)를 나탄낸다. 콘택트렌즈(1450)는 중앙에 위치한 기하학적 중심(1452)을 갖는 광학 지역(1454)을 갖는다. 콘택트렌즈(1450)는 광학 지역(1454)의 대향하는 쪽에 위치하며 모두 융기된 섬 형태인 두개의 점진적 두께 지역(1458)을 포함한다. 각 점진적 두께 지역(1458)은 최대 점진적 두께(피크 델타 두께)(1456)를 갖는다. 점진적 두께 지역(1458)은 착용할 때 사용자의 눈꺼풀 틈새를 증대할 수 있다.

    도 15A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콘택트렌즈(1500)를 나타낸다. 콘택트렌즈(1500)는 링 모양의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504)에 의해 둘러싸인 광학 영역(1502)을 갖는다. 콘택트렌즈(1500)는 또한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504)을 둘러싸며 콘택트렌즈(1500)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역진적 두께 지역(1506)을 포함한다.

    도 15B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콘택트렌즈(1520)를 나타낸다. 콘택트렌즈(1520)는 타원 모양의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524)에 의해 둘러싸인 광학 영역(1522)을 갖는다. 콘택트렌즈(1520)는 또한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524)을 둘러싸며 콘택트렌즈(1520)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역진적 두께 지역(1526)을 포함한다.

    도 15C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콘택트렌즈(1540)를 나타낸다. 콘택트렌즈(1540)는 광학 영역(1542)과 하나는 위로 하나는 아래로 그 주위에 위치하는 두개의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544)을 포함한다. 각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544)은 부분적-링 모양을 갖는다. 콘택트렌즈(1540)는 또한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524) 외부에 위치하며 콘택트렌즈(1540)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역진적 두께 지역(1546)을 포함한다.

    도 15D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콘택트렌즈(1560)를 예시한다. 콘택트렌즈(1560)는 다수의 밴드 모양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564)과 광학 영역(1562)을 포함한다.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564)은 바퀴살과 같은 방법으로 광학 영역(1562) 주위에 위치한다.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56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렌즈(1560)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또는 가장자리 내부의 지점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도 16A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공막 링(1600)을 예시한다. 공막 링(1600)은 링 모양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604)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 개방 개구(1602)를 포함한다. 공막 링(1600)은 또한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604)을 둘러싸며, 공막 링(1600)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역진적 두께 지역(1606)을 포함한다.

    도 16B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공막 링(1620)을 예시한다. 공막 링(1620)은 타원 모양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624)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 개방 개구(1622)를 포함한다. 공막 링(1620)은 또한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624)을 둘러싸며 공막 링(1620)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역진적 두께 지역(1626)을 포함한다.

    도 16C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공막 링(1640)을 예시한다. 공막 링(1640)은 중앙 개방 개구(1642)와 하나는 위로 하나는 아래로 그 주위에 위치하는 두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644)을 포함한다. 각각의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644)은 부분적-링 모양을 갖는다. 공막 링(1640)은 또한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624) 외부에 위치하며, 공막 링(1640)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역진적 두께 지역(1646)을 포함한다.

    도 16D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공막 링(1660)을 예시한다. 공막 링(1660)은 다수의 밴드 모양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664)과 중앙 개방 개구(1662)를 포함한다.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664)은 바퀴살과 같은 방법으로 중앙 개방 개구(1662) 주위에 위치한다.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1664)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공막 링(1660)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또는 가장자리 내부의 지점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도 17A-C는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들)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다양한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17A는 광학 지역(1702) 및 광학 지역(1702)을 둘러싸는 링 모양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1704)을 갖는 콘택트렌즈(1700)를 나타낸다. 도 17B는 광학 지역(1712) 및 광학 지역(1712)을 둘러싸는 타원 모양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1714)을 갖는 콘택트렌즈(1710)를 나타낸다. 도 17C는 광학 지역(1722) 및 하나는 위로 하나는 아래로 광학 지역(1722) 주위에 위치하는 두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1724)을 갖는 콘택트렌즈(1720)를 보여준다. 각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1724)은 부분적-링 모양을 갖는다.

    도 17D-F는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들)을 갖는 공막 링의 다양한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17D는 중앙 개방 개구(1732) 및 중앙 개방 개구(1732)를 둘러싸는 링 모양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1734)을 포함하는 공막 링(1730)을 나타낸다. 도 17E는 중앙 개방 개구(1742) 및 중앙 개방 개구(1742)를 둘러싸는 타원 모양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1744)을 포함하는 공막 링(1740)을 나타낸다. 도 17F는 중앙 개방 개구(1752) 및 하나는 위로 하나는 아래로 중앙 개방 개구(1752) 주위에 위치하는 두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1754)을 갖는 공막 링(1750)을 나타낸다. 각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1754)은 부분적-링 모양을 갖는다.

    인공삽입물의 눈꺼풀 리프팅 효과 또는 눈꺼풀 (개구) 확장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인공삽입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음의 것을 변경하는 것을 허용한다.

    1) 전체 직경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경우에서, 더 큰 직경이 가장 효과적이다. 예시로서만, 14.5mm, 14.8mm, 15.0mm, 15.5mm, 16.0mm, 16.5mm (공막 링의 경우 외부 직경이 위의 수치일 수 있으며 또는 16.0mm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2) 전체 두께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더 큰 전체 두께가 가장 효과적이다.

    3) 가장자리 두께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맨 끝 주변부 가장자리 두께는 특정 브랜드 렌즈, 특정 유형, 및 특정 광학 도수의 콘택트렌즈 제조사에 의해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부터 변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그러나 모두는 아닌 경우에서, 외부 가장자리는 통상의 각공막 콘택트렌즈의 것과 유사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 끝 주변부 가장자리 두께는 두께가 증대된다.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맨 끝 주변부 가장자리 두께는 특정 브랜드 렌즈, 특정 유형, 및 특정 광학 도수의 콘택트렌즈 제조사에 의해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부터 변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그러나 모두는 아닌 경우에서, 외부 가장자리는 통상의 각공막 콘택트렌즈의 것과 유사하다.

    4) 최대 추가 두께 또는 최대 두께 델타의 위치

    특정 구현예에서 콘택트렌즈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0.5mm 내지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3mm 내부 구역(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인공삽입물의 중앙을 향한) 은 두께가 증가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콘택트렌즈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0.5mm 내지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7mm 내부 구역(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인공삽입물의 중앙을 향한)은 두께가 증가한다. 이들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폭"은 콘택트렌즈의 전체 직경에 따라 2.5mm 내지 6.5m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특정한 다른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폭은, 다시 콘택트렌즈의 전체 직경에 따라, 1mm 내지 7m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의 2.5mm 내지 5mm 내부의 범위 내로 연장된다. 외부 가장자리로부터의 정확한 거리는 인공삽입물의 유형 및 또한 인공삽입물의 전체 직경에 의존한다.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의 맨 끝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0.5mm 내지 2.5mm 범위 내의 구역은 최대 델타 두께를 제공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맨 끝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0.5mm 내지 2.0mm 범위 내이다).

    5) 점진적 두께 지역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 또는 지역들은 콘택트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에 인접하여 또는 3.0mm 외부에 위치한다.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 또는 지역들은 일반적으로 공막 링 개방 개구 또는 콘택트렌즈의 동공 영역에 인접하여 또는 외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지역 또는 지역들은 콘택트렌즈의 볼록면 상의, 예시로서만, 링, (링들), 밴드, (밴드들), 또는 부분적 고리, (작은 고리들), 돔, (돔들), 섬, (섬들), 또는 임의의 기하학적 형태의 분절된 구역, 분절된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역은 회전 대칭 지역 또는 회전 비대칭 지역일 수 있다.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점진적 두께 지역 또는 지역들 내에서 지역 또는 지역들의 표면 기하는 증가하는 볼록 곡률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점진적 두께 지역 또는 지역들 내에서 지역 또는 지역들의 표면 기하는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전체 볼록면과의 연속 표면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콘택트렌즈 구현예에서, 점진적 두께 지역 또는 지역들 내에서 곡률 변화는 착용자에 대해 시력 교정을 제공하지 않는다. 모든 공막 링 구현예에서, 점진적 두께 지역 또는 지역들 내에서 곡률 변화는 착용자에 대해 시력 교정을 제공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점진적 두께는 0.1 마이크론 내지 1,000 마이크론의 범위일 수 있다.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인공삽입물의 구현예에서, 점진적 두께 지역은 최대 추가 두께 지점을 가질 수 있다. 최대 추가 두께는 25 마이크론 내지 1000 마이크론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의 최대 변화/최대 두께 델타는 100 마이크론 내지 500 마이크론의 범위 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의 최대 변화는 75 마이크론 내지 400 마이크론의 범위 내이다.

    6) 증대된 표면 마찰

    증대된 표면 마찰을 이용하는 구현예들은 개구 확장 영역을 형성하는 인공삽입물의 볼록면 상 또는 점진적 두께 영역의 일부로서이다.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과 눈꺼풀 또는 눈꺼풀들 사이의 미끄럼 저항 접촉 구역은 증가한다. 이는 눈꺼풀(눈꺼풀들)과 콘택트렌즈의 볼록면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되지만, 그렇게 하는 것은 눈꺼풀(눈꺼풀들)을 자극하지 않는 제한적인 방법으로 달성된다. 개구 확장 영역 내의 끌림 마찰의 1% 또는 그 이상의 증가라는 차이도 개구 확장 영역 외부 인공삽입물 나머지의 표면 마찰에 비해 의미있을 수 있다.

    7) 볼록면 형태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콘택트렌즈의 주변부 근처 및/또는 둘레의 볼록면 형태는 특정 브랜드 렌즈, 특정 유형, 및 특정 광학 도수의 콘택트렌즈 제조사에 의해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것과 비교하여 변경된다.

    8) 경사 차이

    대부분의 구현예에서, 가장 급한 경사는 점진 두께 지역의 외부 경사이며 덜 급한 경사는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기하학적 중심에 가장 가까운 점진 두께 지역의 내부 경사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가장 급한 경사는 점진적 두께 지역의 내부 경사이며 덜 급한 경사는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외부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점진적 두께 지역의 외부 경사이다.

    특정의 다른 구현예에서 점진적 두께 지역의 외부 경사는 점진적 두께 지역의 내부 경사와 같다.

    9) 렌즈 재료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렌즈 재료는 실리콘 히드로겔 또는 히드로겔 재료의 하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렌즈 재료는 가스투과성 또는 경질 재료 중 하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른 재료가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에 부가/결합, 삽입, 첨부되어 콘택트렌즈 볼록 외부 표면 재료의 지역(지역들) 또는 구역(구역들)을 변경한다.

    일부 다른 공막 링 구현예에서 공막 링은 비 가스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공막 링 재료는 경질 비 가스투과성 재료이다.

    10) 인공삽입물의 가장자리 형태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맨 끝 주변부 가장자리 형태는 특정 브랜드, 특정 콘택트렌즈 유형, 및 특정 콘택트렌즈 광학 도수에 대해 이용가능한 것으로부터 변경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가장자리 형태는 특정 브랜드, 특정 콘택트렌즈 유형, 및 특정 콘택트렌즈 광학 도수에 대해 이용 가능한 것과 비교할 때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볼록면 상에서 더 급한 경사를 갖도록 변경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가장자리 형태는 특정 브랜드, 특정 콘택트렌즈 유형, 및 특정 콘택트렌즈 광학 도수에 대해 이용가능한 것과 비교할 때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덜 급한 경사를 갖도록 변경된다.

    가장자리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00 마이크론 사이이다. 일회용 콘택트렌즈에 대해 가장자리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 마이크론 사이이다. 일회용이 아닌 콘택트렌즈에 대해 가장자리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마이크론 사이이다. 가장자리는 칼날 형태, 둥근 형태, 반원 형태, 또는 무딘 형태일 수 있다.

    11) 가장자리 처리

    일부,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가잘자리의 일부는 절단된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두 부분(윗눈꺼풀에 인접하여 위치한 것과 아랫눈꺼풀에 인접하여 위치한 것)이 절단된다.

    일부,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가장자리는 프리즘 밸러스트(prism ballast)와 연관된다.

    일부,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렌즈의 가장자리는 가중된다(weighted).

    12) 기본 만곡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기본 만곡은 착용자 눈의 각막에 정상적으로 맞는 것에 비하여 더 가파르게 증가한다(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경우에서, 공막 링은 착용자의 각막에 맞지 않는 점을 이해한다). 공막 링이 각막에 맞는다면 이는 단지 동공 영역 외부 각막의 주변부 상에서만 맞는다.

    일부,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기본 만곡은 착용자 눈의 각막에 정상적으로 맞는 것에 비하여 덜 가파르게 증가한다.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경우에서, 공막 링은 착용자의 각막에 맞지 않는 점을 이해한다). 공막 링이 각막에 맞는다면 이는 단지 동공 영역 외부 각막의 주변부 상에서만 맞는다.

    일부,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기본 만곡은 착용자 눈의 각막에 정상적으로 맞는 것과 같다(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경우에서, 공막 링은 착용자의 각막에 맞지 않는 점을 이해한다).

    13) 볼록면 질감( texture )

    일부,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 볼록면 질감은, 단지 예시로서; 오목부, 매끄럽지 않은 표면, 혹, 불규칙성, 개구 확장 영역 외부 인공삽입물 영역보다 덜 매끈함 및 새긴 자국(indentations)의 지역, 지역들, 구역, 구역들을 가질 수 있다. 이 표면 질감은 일반적으로 개구 확장 영역이거나 이를 덮는다.

    14) 광학 도수( optical power )

    여기에서 개시된 콘택트렌즈는 편평(plano)(도수가 없는)을 포함하는 모든 처방 렌즈 도수를 고려하는 점이 지적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개시된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인) 인공삽입물의 구현예는 해당 환자에게 가능한 최선의 눈꺼풀 리프팅 결과를 보장하기 위하여 전문가가 환자에게 시험 착용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피팅 셋(fitting set)에 대한 요구를 고려한다. 피팅 셋은 콘택트렌즈를 처방할 때 변경할 단일의 최선 변수 또는 변경할 변수의 조합을 맞추고 이해하고자 환자에게 시험할 상기 14 변수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최적의 피팅 셋으로 모든 잠재적인 착용자의 다수에게 피팅하기 위하여 2 내지 6 시험 콘택트렌즈면 충분한 것으로 결정되었다.

    개시된 공막 링은 개방 중앙 개구를 포함하며, 광학 도수가 "없는" 점이 지적되어야 한다. 도 18-23은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한 경우와 착용하지 않은 경우의 다양한 사람의 눈을 보여준다.

    도 18은 65세 남성의 자연적인 눈, 즉 점진 두께 지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하지 않은 눈을 나타낸다. 반대로, 도 19는 같은 사람이 점진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한 것을 나타낸다. 도 18 및 19를 비교함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 기재된 점진 두께 지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할 때 눈의 눈꺼풀 틈새가 넓어진다. 도 19에서 착용된 인공삽입물은 100 마이크론의 기본 두께와 피크 두께 델타 또는 추가된 최대 두께가 200마이크론으로 전체 두께 300 마이크론의 점진 두께 지역을 갖는다.

    도 20-21은 45세 여성의 눈꺼풀 틈새 확장을 나타낸다. 도 20은 자연적인 눈을 나타내며, 도 21은 눈에 점진적 두께 지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한 것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0과 비교할 때 도 21에서 윗눈꺼풀이 올라가 있다. 도 21에서 착용된 인공삽입물은 600 마이크론의 최대 추가 두께 또는 최대 두께 델타를 갖는 점진적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다.

    도 22A-B는 66세 남성의 눈을 나타낸다. 도 22a는 윗눈꺼풀의 안검하수를 갖는 자연적인 오른쪽 눈을 나타내며, 도 22b는 동일한 눈에 점진적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한 것을 나타낸다. 도 22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점진적 두께 지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이 오른쪽 윗눈꺼풀을 끌어올린다. 이에 따라 개구를 매우 극적으로 개방/확대한다.

    도 23은 40세 여성의 우안 및 좌안을 나타낸다. 우안에는 점진적 두께 지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하고 있다(도 23의 왼쪽). 좌안에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하지 않고 있다(도 23의 오른쪽). 우안 내의 인공삽입물은 좌안과 비교할 때 우안의 개구/눈꺼풀 틈새를 실질적으로 확장한다. 우안에 착용된 인공삽입물은 인공삽입물의 외부 주변부 가장자리 내부 약 1.5mm에 위치한 최대 증가 두께/최대 두께 델타 200 마이크론의 점진적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다.

    도 24A는 남성의 자연적인, 즉 점진적 두께 지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하지 않은 눈을 나타낸다. 반대로, 도 24B는 점진적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한 것을 나타낸다. 도 24A 및 24B를 비교하면, 여기에서 개시된 점진 두께 지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할 때 눈의 눈꺼풀 틈새가 확장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25A-C는 3개의 다른 인공삽입물의 다양한 표면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렌즈(2520, 2540, 2560)는 모두 2500에 위치한 기하학적 중심과 선(2502)으로 나타낸 동공 영역을 갖는다. 각각의 렌즈(2520, 2540, 2560)는 점진적 두께 지역(2522, 2542, 2546)을 각각 갖는다. 도 25A의 점진적 두께 지역(2522)의 외부 경사가 점진적 두께 지역의 내부 경사보다 작은 것을 유의한다. 도 25B의 점진적 두께 지역(2542)의 외부 경사는 점진적 두께 지역의 내부 경사보다 큰 것을 유의한다. 도 25C에서 점진적 두께 지역(2546)의 외부 경사는 점진적 두께 지역의 내부 경사보다 큰 것을 유의한다.

    점진적 두께 영역 폭: 점진적 두께 영역 또는 지역의 폭은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를 향한 쪽의 그 시작점(점진적 두께가 시작하는)으로부터 인공삽입물의 중심을 향한 쪽의 영역 또는 지역의 끝(점진적 두께가 끝나는)까지 측정된 거리이다. 이 영역 또는 지역의 폭은 일반적으로 1mm 내지 7mm 사이의 범위이지만, 일부 경우에는 2.5mm 내지 6.5mm 사이이며, 대부분의 경우에서 2.5mm 내지 5mm 사이이다.

    인공삽입물의 점진 두께 프로파일 은 0.1 마이크론 내지 1,000 마이크론 사이 범위의 점진적 두께의 점진 두께 영역일 수 있다. 점진적 두께 영역은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 또는 이에 인접하여 시작할 수 있다. 최대 델타 점진적 두께/최대 추가 두께는 25 마이크론 내지 1,000 마이크론 사이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00 마이크론 내지 500 마이크론의 바람직한 델타 및 75 마이크론 내지 400 마이크론의 더 바람직한 델타를 갖는 100 마이크론 내지 800 마이크론 사이이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콘택트렌즈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0.5mm 내지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3mm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인공삽입물의 중심을 향하여) 내부 구역에서 두께가 증가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콘택트렌즈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0.5mm 내지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7mm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인공삽입물의 중심을 향하여) 내부 구역에서 두께가 증가한다. 이들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폭"은 콘택트렌즈의 전체 직경에 따라 2.5mm 내지 6.5m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폭"은, 다시 콘택트렌즈의 전체 직경에 따라 1mm 내지 7m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 내부 2.5mm 내지 5mm 범위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외부 가장자리로부터의 정확한 거리는 인공삽입물의 유형 및 또한 인공삽입물의 전체 직경에 의존한다.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의 맨 끝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0.5mm 내지 2.5mm 내부 영역이 최대 델타 두께를 제공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의 맨 끝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0.5mm 내지 2.0mm 범위 내이다.

    도 26은 여기에서 기재된 인공삽입물의 일부 구현예에 대하여 가장자리로부터 중심까지 외부 볼록면의 두께 프로파일을 예시한다. 도면은 여러 다른 가증한 볼록면 프로파일(경사)과 또한 점진 두께 지역 또는 영역의 예를 나타낸다.

    도 27A-E는 5개의 다른 인공삽입물(2710, 2720, 2730, 2740, 2750)에 대해 다양한 점진적 두께 지역을 나타낸다. 각각의 인공삽입물(2710, 2720, 2730, 2740, 2750)은 점진적 두께 구역들에 의해 둘러싸인 동공 영역(2700)을 갖는다. 도 27a는 점진적 두께 지역(2712, 2714)을 갖는 인공삽입물(2710)을 나타낸다. 도 27b는 점진적 두께 지역(2722, 2724, 2726, 2728)을 갖는 인공삽입물(2720)을 나타낸다. 도 27c는 점진적 두께 지역(2732, 2734)을 갖는 인공삽입물(2720)을 나타낸다. 도 27d는 점진적 두께 지역(2742, 2744)을 갖는 인공삽입물(2740)을 나타낸다. 도 27e는 점진적 두께 지역(2752, 2754, 2756, 2758)을 갖는 인공삽입물(2750)을 나타낸다.

    도 28-34는 다양한 유형의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다양한 콘택트렌즈의 투시도이다. 도 28-34는 모두 콘택트렌즈를 예시하고 있지만 도 28-34를 참조하여 기재된 동일한 특징이 공막 링에 통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것이다. 도 28은 볼록면(2802), 오목면(2804), 및 주변부 가장자리(2806)를 갖는 콘택트렌즈(2800)를 보여준다. 점진적 두께 지역(2810)이 볼록면(2802) 상에 위치한다. 점진적 두께 지역(2810)은 점진적 두께의 연속적 링 또는 다수의 점진적 두께의 비연속적 부분적 링일 수 있다. 점진적 두께 지역(2810)은 주변부 가장자리(2806)의 안쪽에 위치하며 콘택트렌즈(2800)의 나머지와는 다른 두께를 갖는다. 렌즈의 두께 프로파일은 제1 두께(2812), 제2 두께(2814), 제3 두께(2816) 및 제4 두께(2818)에 의해 도시된다. 제1 두께(2812), 제3 두께(2816) 및 제4 두께(2818)는 통상의 콘택트렌즈의 표준 두께와 동일하다. 점진적 두께 지역(2810) 내에 위치한 제2 두께(2814)는 표준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다.

    도 29는 볼록면(2902), 오목면(2904), 및 주변부 가장자리(2906)를 갖는 콘택트렌즈(2900)를 보여준다.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2910)이 볼록면(2902) 상에 위치한다.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2910)은 증대된 표면 마찰을 갖는 연속적 링 또는 증대된 표면 마찰을 갖는 다수의 비연속적 부분적 링일 수 있다.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2910)은 주변부 가장자리(2906)의 안쪽에 위치하며 콘택트렌즈(2900)의 나머지와는 다른 표면 마찰을 갖는다. 볼록면(2902)의 표면 마찰 프로파일은 제1 표면 마찰(2912), 제2 표면 마찰(2914), 제3 표면 마찰(2916) 및 제4 표면 마찰(2918)에 의해 도시된다. 제1 표면 마찰(2912), 제3 표면 마찰(2916) 및 제4 표면 마찰(2918)은 통상의 콘택트렌즈의 표준 표면 마찰과 동일하다.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2910) 내에 위치한 제2 표면 마찰(2914)은 표준 표면 마찰보다 큰 표면 마찰을 갖는다.

    도 30은 볼록면(3002), 오목면(3004), 및 주변부 가장자리(3006)를 갖는 콘택트렌즈(3000)를 보여준다. 점진적 두께 및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3010)이 볼록면(3002) 상에 위치한다. 점진적 두께 및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3010)은 점진적 두께 및 증대된 표면 마찰을 갖는 연속적 링 또는 점진적 두께 및 증대된 표면 마찰을 갖는 다수의 비연속적 부분적 링일 수 있다. 점진적 두께 및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3010)은 주변부 가장자리(3006)의 안쪽에 위치하며 콘택트렌즈(3000)의 나머지와는 다른 두께 및 표면 마찰을 갖는다. 볼록면(3002)의 두께 및 표면 마찰 프로파일은 제1 두께 및 표면 마찰(3012), 제2 두께 및 표면 마찰(3014), 제3 두께 및 표면 마찰(3016) 및 제4 두께 및 표면 마찰(3018)에 의해 도시된다. 제1 두께 및 표면 마찰(3012), 제3 두께 및 표면 마찰(3016) 및 제4 두께 및 표면 마찰(3018)은 통상의 콘택트렌즈의 표준 두께 및 표면 마찰과 동일하다. 점진 두께 및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3010) 내에 위치한 제2 두께 및 표면 마찰(3014)은 표준 두께 및 표면 마찰보다 큰 두께 및 표면 마찰을 갖는다.

    도 31은 볼록면(3102), 오목면(3104), 및 주변부 가장자리(3106)를 갖는 콘택트렌즈(3100)를 보여준다. 점진적 두께 지역(3110)이 볼록면(3102) 상에 위치한다. 점진적 두께 지역(3110)은 점진적 두께의 연속적 링 또는 다수의 점진적 두께의 비연속적 부분적 링일 수 있다. 점진적 두께 지역(3110)은 주변부 가장자리(3106)의 안쪽에 위치하며 콘택트렌즈(3100)의 나머지와는 다른 두께를 갖는다. 렌즈의 두께 프로파일은 제1 두께(3112), 제2 두께(3114), 제3 두께(3116) 및 제4 두께(3118)에 의해 예시된다. 제1 두께(3112), 제3 두께(3116) 및 제4 두께(3118)는 통상의 콘택트렌즈의 표준 두께와 동일하다. 점진적 두께 지역(3110) 내에 위치한 제2 두께(3114)는 표준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다. 콘택트렌즈(3100)는 또한 주변부 가장자리(3106) 상에 작은 절단부(truncation)(3120)를 갖는다.

    도 32는 볼록면(3202), 오목면(3204), 및 주변부 가장자리(3206)를 갖는 콘택트렌즈(3200)를 나타낸다. 점진적 두께 지역(3210)이 볼록면(3202) 상에 위치한다. 점진적 두께 지역(3210)은 점진적 두께의 연속적 링 또는 다수의 점진적 두께의 비연속적 부분적 링일 수 있다. 점진적 두께 지역(3210)은 주변부 가장자리(3206)의 안쪽에 위치하며 콘택트렌즈(3200)의 나머지와는 다른 두께를 갖는다. 렌즈의 두께 프로파일은 제1 두께(3212), 제2 두께(3214), 제3 두께(3216) 및 제4 두께(3218)에 의해 예시된다. 제1 두께(3212), 제3 두께(3216) 및 제4 두께(3218)는 통상의 콘택트렌즈의 표준 두께와 동일하다. 점진적 두께 지역(3210) 내에 위치한 제2 두께(3214)는 표준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다. 콘택트렌즈(3200)는 또한 주변부 가장자리(3206) 상에 작은 절단부(3220) 및 프리즘 밸러스트(3222)를 갖는다. 작은 절단부(3220)는 주변부 가장자리(3206) 상의 프리즘 밸러스트(3222)와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도 33은 볼록면(3302), 오목면(3304), 및 주변부 가장자리(3306)를 갖는 콘택트렌즈(3300)를 나타낸다. 점진적 두께 지역(3310)이 볼록면(3302) 상에 위치한다. 점진적 두께 지역(3310)은 점진적 두께의 연속적 링 또는 다수의 점진적 두께의 비연속적 부분적 링일 수 있다. 점진적 두께 지역(3310)은 주변부 가장자리(3306)의 안쪽에 위치하며, 콘택트렌즈(3300)의 나머지와는 다른 두께를 갖는다. 렌즈의 두께 프로파일은 제1 두께(3312), 제2 두께(3314), 제3 두께(3316) 및 제4 두께(3318)에 의해 예시된다. 제1 두께(3312), 제3 두께(3316) 및 제4 두께(3318)는 통상의 콘택트렌즈의 표준 두께와 동일하다. 점진적 두께 지역(3310) 내에 위치한 제2 두께(3314)는 표준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다. 콘택트렌즈(3300)는 또한 주변부 가장자리(3306) 상에 작은 절단부(3320) 및 작은 절단부/프리즘 밸러스트(3322)를 갖는다. 작은 절단부(3320)는 주변부 가장자리(3306) 상의 작은 절단부/프리즘 밸러스트(3322)와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도 34는 볼록면(3402), 오목면(3404), 및 주변부 가장자리(3406)를 갖는 콘택트렌즈(3400)를 나타낸다. 점진적 두께 지역(3410)이 볼록면(3402) 상에 위치한다. 점진적 두께 지역(3410)은 점진 두께의 연속적 링 또는 다수의 점진적 두께의 비연속적 부분적 링일 수 있다. 점진적 두께 지역(3410)은 주변부 가장자리(3406)의 안쪽에 위치하며, 콘택트렌즈(3400)의 나머지와는 다른 두께를 갖는다. 렌즈의 두께 프로파일은 제1 두께(3412), 제2 두께(3414), 제3 두께(3416) 및 제4 두께(3418)에 의해 예시된다. 제1 두께(3412), 제3 두께(3416) 및 제4 두께(3418)는 통상의 콘택트렌즈의 표준 두께와 동일하다. 점진적 두께 지역(3410) 내에 위치한 제2 두께(3414)는 표준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다. 콘택트렌즈(3400)는 또한 주변부 가장자리(3406) 상에 작은 절단부/프리즘 밸러스트(3422)를 갖는다.

    도 35-38은 다양한 유형의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다수의 콘택트렌즈의 조감도를 나타낸다. 도 35-38은 모두 콘택트렌즈를 예시하고 있지만 도 28-34를 참조하여 기재된 동일한 특징이 공막 링에 통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것이다. 도 35는 주변부 가장자리(3502) 및 동공 영역(3510)을 갖는 콘택트렌즈(3500)를 나타낸다. 동공 영역(3510)은 광학 도수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광학 도수가 없을 수 있으며 특정한 광학 도수를 갖거나 갖지 않는 통상의 콘택트렌즈의 표준 두께 및 볼록 만곡을 갖는다. 주변부 가장자리(3502) 및 동공 영역(3510) 사이에 점진적 두께 지역(3506)이 위치한다. 점진적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3506)이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 또는 이에 인접하여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여야 한다. 점진적 두께 지역(3506)이 단일 링으로 도시되었지만 다수의 링 또는 부분적 링이 있을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점진적 두께 지역(3506)을 둘러싸고 주변부 가장자리(3502) 및 점진적 두께 지역(3506) 사이에 주위 지역(3504)이 위치한다. 주위 지역(3504)은 통상의 콘택트렌즈의 표준 두께 및 곡률과 동일한 두께 및 곡률을 갖는다. 내부 지역(3508)이 동공 영역(3510) 및 점진적 두께 지역(3506) 사이에 위치한다. 내부 지역(3508)은 통상의 콘택트렌즈와 동일한 두께 및 곡률을 갖는다.

    도 36은 주변부 가장자리(3602) 및 동공 영역(3610)을 갖는 콘택트렌즈(3600)를 나타낸다. 동공 영역(3610)은 광학 도수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광학 도수가 없을 수 있으며 특정한 광학 도수를 갖거나 갖지 않는 통상의 콘택트렌즈의 표준 표면 마찰, 두께 및 볼록 곡률을 갖는다. 주변부 가장자리(3602) 및 동공 영역(3610) 사이에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3606)이 위치한다.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3606)은 표면 마찰을 증대시키는 질감을 갖는 표면을 포함한다. 질감을 갖는 표면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다른 재료, 오목부, 혹, 표면 불규칙성, 표면 지형의 임의의 변화,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개구 확장 영역)(3606)이 단일 링으로 도시되었지만 다수의 링이 있을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3606)을 둘러싸고 주변부 가장자리(3602) 및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3606) 사이에 주위 지역(3604)이 위치한다. 주위 지역(3604)은 통상의 콘택트렌즈의 표준 표면 마찰과 동일한 표면 마찰을 갖는다. 내부 지역(3608)이 동공 영역(3610) 및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3606) 사이에 위치한다. 내부 지역(3608)은 통상의 콘택트렌즈와 동일한 표면 마찰, 두께 및 곡률을 갖는다.

    도 37은 주변부 가장자리(3702) 및 동공 영역(3710)을 갖는 콘택트렌즈(3700)를 나타낸다. 동공 영역(3710)은 광학 도수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광학 도수가 없을 수 있으며 특정한 광학 도수를 갖거나 갖지 않는 통상의 콘택트렌즈의 표준 표면 마찰, 두께 및 볼록 곡률을 갖는다. 주변부 가장자리(3702) 및 동공 영역(3710) 사이에 점진 두께 및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3706)이 위치한다. 점진적 두께 및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개구 확장 영역)(3706)은 증가된 두께 및 표면 마찰을 증대시키는 질감을 갖는 표면을 포함한다. 질감을 갖는 표면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다른 재료, 표면 처리, 오목부, 혹, 표면 불규칙성, 표면 지형의 임의의 변화,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점진적 두께 및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3706)이 단일 링으로 도시되었지만 다수의 링이 있을 수도 있음이 이해된다. 점진적 두께 및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3706)을 둘러싸고 주변부 가장자리(3702) 및 점진적 두께 및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3706) 사이에 주위 지역(3704)이 위치한다. 주위 지역(3704)은 통상의 콘택트렌즈의 표준 두께 및 표면 마찰과 동일한 두께 및 표면 마찰을 갖는다. 내부 지역(3708)이 동공 영역(3710) 및 점진 두께 및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3706) 사이에 위치한다. 내부 지역(3708)은 통상의 콘택트렌즈와 동일한 두께, 표면 마찰 및 곡률을 갖는다.

    도 38은 주변부 가장자리(3802) 및 동공 영역(3810)을 갖는 콘택트렌즈(3800)를 나타낸다. 동공 영역(3810)은 광학 도수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광학 도수가 없을 수 있으며, 특정한 광학 도수를 갖거나 갖지 않는 통상의 콘택트렌즈의 표준 두께 및 볼록 곡률을 갖는다. 동공 영역(3810)은 또한 난시용 광학 도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동공 영역(3810)의 아래 및 위에 두 개의 점진적 두께 지역(3806)이 위치한다. 두 개의 점진적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3806) 각각이 외부 경사, 내부 경사 및 최대 두께 델타/최대 추가 두께 지점을 갖는다는 것이 지적된다. 각각의 점진적 두께 지역(3806)은 반구 형태를 갖는다. 콘택트렌즈(3800)는 또한 동공 영역(3810)의 양쪽에 위치하는 두 개의 내부 지역(3808)을 갖는다. 각 내부 지역(3808)은 통상의 콘택트렌즈의 표준 두께 및 곡률과 동일한 두께 및 곡률을 갖는다. 렌즈의 주변부를 둘러싸고 주변부 지역(3804)이 위치하며, 이는 또한 통상의 콘택트렌즈의 표준 두께 및 곡률과 동일한 두께 및 곡률을 갖는다. 그러나 두 개의 점진적 두께 지역의 각각이 콘택트렌즈의 외부 가장자리 또는 이에 인접하여 시작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점진적 두께 지역(3806)이 또한 표면 마찰을 증대시키는 질감을 갖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점진적 두께 지역(3806)은 통상의 두께 및 곡률을 갖고 질감을 갖는 표면을 갖는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39A-E는 일 구현예에 따른 콘택트렌즈(3900)의 표면 프로파일을 예시한다. 콘택트렌즈(3900)는 광학 도수 0.0+/-1.00D를 갖는다. 도 3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택트렌즈(3900)는 제1 표면(3904), 제2 표면(3906), 제3 표면(3908), 및 제4 표면(3910)을 포함한다. 제1 표면(3904)은 6.50mm 내지 9.5mm 사이 범위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제2 표면(3906)은 혹 형태의 점진적 두께 구간(개구 확장 영역)을 예시한다. 제2 표면(3906)의 곡률 반경은 4.50mm 내지 7.50mm 사이의 범위이다. 제2 표면(3906)은 2.0mm 내지 4.0mm 사이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제3 표면(3908)은 6.50mm 내지 9.50mm 사이 범위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제4 표면(3910)은 콘택트렌즈(3900)의 가장 바깥쪽 주변부에 위치하며 2.0mm 내지 8.0mm 범위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콘택트렌즈(3900)의 전체 직경은 11.0mm 내지 16.5mm의 범위일 수 있다. 도 39b는 콘택트렌즈(3900)의 측면도이다. 도 39C는 도 39A의 3902 선을 따른 콘택트렌즈(3900)의 단면도이다. 도 39D는 콘택트렌즈(3900)의 볼록면을 나타내며, 도 39E는 콘택트렌즈(3900)의 오목면을 나타낸다.

    도 40은 구면 광학 도수를 갖는 콘택트렌즈(4000)가 눈(4014)에 포개진 것을 나타낸다. 눈(4014)은 윗눈꺼풀(4012) 및 아랫눈꺼풀(4008)을 갖는다. 콘택트렌즈(4000)는 점진적 두께 구역(개구 확장 영역)(4002), 동공 영역(4006), 및 주변부 가장자리(4004)를 포함한다. 도 40에서 콘택트렌즈(4000)가 윗눈꺼풀(4012) 아래(under)로 끼워지는 영역(4010)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점진적 두께 지역(4002)의 일부가 영역(4010)에 포함된다.

    도 41은 난시 도수를 갖는 콘택트렌즈(4100)가 눈(4114)에 포개진 것을 나타낸다. 눈(4114)은 윗눈꺼풀(4112) 및 아랫눈꺼풀(4108)을 갖는다. 콘택트렌즈(4100)는 점진적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4102), 동공 영역(4106), 및 주변부 가장자리(4104)를 포함한다. 도 41에서 콘택트렌즈(4100)가 윗눈꺼풀(4112) 아래로 끼워지는 영역(4110)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점진적 두께 지역(4102)의 일부가 영역(4110)에 포함된다. 콘택트렌즈(4100)는 또한 아래쪽(bottom)에 위치한 가중된/안정화된 영역(4116)을 갖는다.

    도 42는 구면 광학 도수를 갖는 콘택트렌즈(4200)가 눈(4214)에 포개진 것을 나타낸다. 눈(4214)은 윗눈꺼풀(4212) 및 아랫눈꺼풀(4208)을 갖는다. 콘택트렌즈(4200)는 다수의 부분적 링(4202)을 갖는 점진적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4218), 동공 영역(4206), 및 주변부 가장자리(4204)를 포함한다. 도 42에서 콘택트렌즈(4200)가 윗눈꺼풀(4212) 아래로 끼워지는 영역(4210)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점진적 두께 지역(4218) 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부분적 링(4202)이 영역(4210)에 포함된다.

    도 43은 구면 광학 도수를 갖는 콘택트렌즈(4300)가 눈(4314)에 포개진 것을 나타낸다. 눈(4314)은 윗눈꺼풀(4312) 및 아랫눈꺼풀(4308)을 갖는다. 콘택트렌즈(4300)는 다수의 부분적 링(4302)을 갖는 점진적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4318), 동공 영역(4306), 및 주변부 가장자리(4304)를 포함한다. 도 43에서 콘택트렌즈(4300)가 윗눈꺼풀(4312) 아래로 끼워지는 영역(4310)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점진적 두께 지역(4318) 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부분적 링(4302)이 영역(4310)에 포함된다. 콘택트렌즈(4300)는 또한 아래쪽에 위치한 가중된/안정화 영역(4316)을 갖는다.

    도 44는 하이브리드 다초점 콘택트렌즈(4400)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콘택트렌즈(4400)는 연질 스커트(4404)를 둘러싸는 주변부 가장자리(4402)를 포함한다. 연질 스커트(4404)는 점진적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4406)을 포함한다. 접합부(4416)가 점진적 두께 지역(4406)의 주변부에 위치한다. 접합부(4416)는 점진적 두께 지역(4406)을 가스투과성 경질 영역(4408)에 연결한다. 가스투과성 경질 영역(4408)은 연속적인 도수 눈금(4412)을 가지며, 비구면 원용 영역(4410) 및 비구면 근용 영역(4414)을 포함한다. 도 44의 구현예는 주변부 가장자리(4402) 근처에 위치한 점진 두께 지역(4406)을 나타내지만, 이는 가스투과성 경질 구역(4408)에 인접하거나 그 주위의 임의의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것으로 점진 두께 지역(4406)이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4400)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3.0mm 인접하여 또는 그 외부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5는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4500)의 구현예가 눈에 포개진 것을 나타낸다. 콘택트렌즈(4500)는 연질 스커트(4504)를 둘러싸는 주변부 가장자리(4502)를 포함한다. 연질 스커트(4504)는 점진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4506)을 포함하며 그 주변부 가장자리에 위치한 접합부(4516)를 갖는다. 접합부(4516)는 연질 스커트(4504)를 가스투과성 경질 영역(4508)에 연결한다. 가스투과성 경질 영역(4508)은 구면 광학 도수 또는 난시용 광학 도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6은 연질 다초점 콘택트렌즈(4600)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콘택트렌즈(4600)는 주변부 가장자리(4602), 점진적 두께 구역(개구 확장 영역(4604), 근용 영역(4606)(콘택트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을 둘러싸는 링으로 도시됨), 중간 영역(4608)(콘택트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을 둘러싸는 링으로 도시됨), 및 원용 영역(4610)(중간 영역(4608)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의 더 큰 어두운 구역으로 도시됨)을 포함한다.

    도 47은 역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4700)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콘택트렌즈(4700)는 주변부 가장자리(4702) 및 기하학적 중심(4712)을 포함한다. 경질 외부 스커트(4704)가 연질 중심(4710)을 둘러싸며 점진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4706)을 포함한다. 접합부(4708)가 경질 외부 스커트(4704)와 연질 중심(4710) 사이에 위치한다.

    인공삽입물 피팅을 위한 환자 선택 과정:

    인공삽입물은 동공의 위쪽 가장자리로부터 2mm 내지 3mm 또는 그 이하 내의 윗눈꺼풀 끝 및/또는 동공의 아래쪽 가장자리로부터 2mm 내지 3mm 또는 그 이하 내의 아랫눈꺼풀 끝을 갖는 눈에 피팅될 때 착용자 눈의 눈꺼풀 틈새의 현저한 미용적 개선/확장을 제공한다. 인공삽입물에 대한 환자 선택을 설정하는 다른 방법은 눈꺼풀이 열린 편안한(resting) 위치에서 위 또는 아랫눈꺼풀이 눈의 위 및/또는 아래 각막경계(limbal) 구역을 덮는 임의의 눈을 선택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개시된 구현예들은 또한 잠재적인 착용자의 피부 및 얼굴 눈 지역 상으로 알려진 직경의 영상을 투영하는 기구를 교시한다. 기구는 잠재적 착용자의 눈 및 인접한 얼굴 지역에 투영된 영상을 사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최선의 눈꺼풀 확장 효과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적절한 직경의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을 신속하게 알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착용자 동공의 수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착용자 눈에 빛을 투영하고자 적외선이 사용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낮은 수준의 가시광이 투영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적외선 카메라가 사용된다.

    본 방법은 인공삽입물의 피팅 셋을 더 고려하며, 콘택트렌즈 인공삽입물의 경우 콘택트렌즈에 링의 세트 또는 일련의 점, 선이 그려지거나 부착되고, 각 점, 선, 링은, 예시로서만, 최외부 인접 점, 선 또는 링보다 직경이 1mm 더 작다. 이는 눈 관리 전문가가 착용자 눈에 인공삽입물을 시험할 때 어떤 콘택트렌즈가 최대 개구 확장을 제공하는지 시각적으로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전문가는 또한 다양한 시험 렌즈의 개방 개구 내에 존재하는 선 또는 링의 수를 단순히 지시함으로써 착용자 눈 개구 내에 가장 많은 수의 선 또는 고리가 있도록 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한다.

    제1 피팅 방법 구현예 에서 여기에서 교시된 인공삽입물의 피팅에서 다음의 기술을 따른다:

    #1) 환자/의도된 착용자가 미소 짓지 않고 편안한 상태에서, 의도된 착용자의 눈 또는 눈들의 사진을 촬영한다.

    #2) 사진을 표시 또는 인쇄한다

    #3) 표시 또는 인쇄된 사진에 나타난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 또는 틈새들을 측정한다.

    #4) 정확한 중심 맞추기를 제공하며 피팅하는 의도된 착용자의 방금 측정된 눈꺼풀 틈새에 비해 1mm 내지 10mm 범위 내로 더 넓은 전체 외부 직경을 갖는 시험 인공삽입물을 선택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서 이는 2mm 내지 4mm 더 넓다.

    #5) 착용자 눈의 외모를 본 후에 환자에게 처방되거나 및/또는 전달될 인공삽입물을 선택한다(이는 눈 관리 전문가에 의해 단독으로 및/또는 피팅하는 환자로부터의 피드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6) 의도된 착용자 또는 환자의 두번째 눈에 피팅하기 위한 적절한 단계를 반복한다.

    제2 피팅 방법 구현예 에서 여기에서 교시된 인공삽입물의 피팅에서 다음의 기술을 따른다:

    #1) 환자/의도된 착용자가 미소 짓지 않고 편안한 상태에서, 환자/의도된 착용자의 눈 또는 눈들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측정한다

    #2) 정확한 중심 맞추기를 제공하며 피팅하는 의도된 착용자의 방금 측정된 눈꺼풀 틈새에 비해 1mm 내지 10mm 범위 내로 더 넓은 전체 외부 직경을 갖는 시험 인공삽입물을 선택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서 이는 2mm 내지 4mm 더 넓다.

    #3) 착용자 눈의 외모를 본 후에 환자에게 처방되거나 및/또는 전달될 인공삽입물을 선택한다(이는 눈 관리 전문가에 의해 단독으로 및/또는 피팅하는 환자로부터의 피드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4) 의도된 착용자 또는 환자의 두번째 눈에 피팅하기 위한 적절한 단계를 반복한다.

    제3 피팅 방법 구현예 에서 여기에서 교시된 인공삽입물의 피팅에서 다음의 기술을 따른다:

    #1) 환자/의도된 착용자가 미소 짓지 않고 편안한 상태에서, 의도된 착용자의 눈 또는 눈들의 사진을 촬영한다.

    #2) 사진을 표시 또는 인쇄한다

    #3) 표시 또는 인쇄된 사진에 나타난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 또는 틈새들을 측정한다.

    #4) 정확한 중심 맞추기를 제공하며 피팅하는 의도된 착용자의 방금 측정된 눈꺼풀 틈새에 비해 1mm 내지 10mm 범위 내로 더 넓은 전체 외부 직경을 갖는 시험 인공삽입물을 재고로부터 피팅하거나 인공삽입물을 주문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서 이는 2mm 내지 4mm 더 넓다.

    제4 피팅 방법 구현예 에서 여기에서 교시된 인공삽입물의 피팅에서 다음의 기술을 따른다:

    #1) 환자/의도된 착용자가 미소 짓지 않고 편안한 상태에서, 환자/의도된 착용자의 눈 또는 눈들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측정한다

    #2) 정확한 중심 맞추기를 제공하며 피팅하는 의도된 착용자의 방금 측정된 눈꺼풀 틈새에 비해 1mm 내지 10mm 범위 내로 더 넓은 전체 외부 직경을 갖는 시험 인공삽입물을 재고로부터 피팅하거나 인공삽입물을 주문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서 이는 2mm 내지 4mm 더 넓다.

    제5 피팅 방법 구현예 에서 여기에서 교시된 인공삽입물의 피팅에서 다음의 기술을 따른다:

    #1) 정확한 중심 맞추기를 제공하며 피팅하는 의도된 착용자의 방금 측정된 눈꺼풀 틈새에 비해 1mm 내지 10mm 범위 내로 더 넓은 전체 외부 직경을 갖는 시험 인공삽입물을 재고로부터 피팅하거나 인공삽입물을 주문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서 이는 2mm 내지 4mm 더 넓다.

    도 48은 여기에서 기재된 인공삽입물의 피팅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람의 눈에 영상(4800)이 투영된다. 영상(4800)은 다수의 표지(4804)를 갖는 눈금(4802)을 포함한다. 표지(4804)는 사람의 눈꺼풀 틈새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윗눈꺼풀을 끌어올리거나, 아랫눈꺼풀을 눌러서 사람의 눈꺼풀 틈새를 확장할 인공삽입물의 직경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임의의 및 모든 공지의 콘택트렌즈 치료, 색상, 맞춤 색상 설계(예시로서만, 각막경계 링, 색상 링, 색상 강조, 착용자 눈을 더 크게 보이게 하는 외부 경계 크기의 외관을 증진시키기 위한 인공삽입물에 주어진 색상 디자인을 포함), 코팅, 재료, 특정 광 파장(들)의 필터링, 콘택트렌즈 디자인, 형태, 편평을 포함하는 광학 도수, 정적 또는 동적 초점조절 콘택트렌즈, 난시, 구면, 및 노안 교정을 위해 요구되는 임의의 공지된 광학 도수가 여기에서 기재된 인공삽입물(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에 적용되도록 고려될 수 있다. 예시로서만, 인공삽입물이 콘택트렌즈의 형태일 때, 콘택트렌즈는; 구면 도수만을 갖는 단일시, 구면-원주면(sphero-cylinder) 도수를 갖는 단일시, 구면 도수만을 갖는 다초점, 구면-원주면 도수를 갖는 다초점일 수 있다. 공막 링 형태의 인공삽입물은 도수를 갖지 않으며 단일시 또는 다초점이 고려되지 않는다.

    여기에 개시된 구현예들은, 단지 예시로서, 연질 콘택트렌즈 또는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이 콘택트렌즈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음의 특징에 의하여 착용자의 눈꺼풀 틈새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임의의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점진적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 증대된 전체 두께, 증대된 가장자리 두께, 증대된 전체 직경, 증대된 두께의 국부적 구역, 증대된 볼록면 마찰, 증대된 볼록면 마찰의 국부적 구역, 볼록면 상의 상승된 두께의 증대된 부분 구역, 역진적 두께 영역, 볼록면 처리(재료 및/또는 질감), 렌즈의 위쪽 가장자리의 절단부, 렌즈의 아래쪽 가장자리의 절단부, 렌즈의 위쪽 및 아래쪽 가장자리의 절단부, 렌즈의 가장자리의 증대된 두께, 동공 영역 외부의 콘택트렌즈의 볼록면 상의 증대된 두께의 (일부 또는 완전한) 밴드(밴드들) 또는 링(링들), 돔(돔들), 분절(분절들), 증대된 기본 만곡 핏. 이 목록은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다.

    일부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동공 영역 위에 증대된 두께 지역을 갖는다.

    일부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동공 영역 아래에 증대된 두께 지역을 갖는다.

    일부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동공 영역 위 및 아래에 증대된 두께 지역을 갖는다.

    일부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인공삽입물을 고정화하기 위한 절단 및/또는 가중을 제공한다.

    일부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렌즈 가장자리는 통상의 인공삽입물 두께 및 가장자리의 것이다.

    일부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렌즈 가장자리는 전통적인 콘택트렌즈와 비교할 때 더 두꺼운 전체 두께 및 가장자리를 갖는다.

    대부분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구현예에서, 콘택트렌즈 인공삽입물의 증대된 두께(동공 영역 내부이거나 동공 영역 외부이거나)가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망막 상에 초점을 맞추는 콘택트렌즈의 부분의 도수 또는 원하는 처방을 변경하지 않는 것을 지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연질 또는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 중 하나는 구면 도수의 것이지만, 동공 영역 주변의 구역은 두께의 관점에서 180(+/-20도) 축을 갖는 마이너스 난시 원환체 렌즈와 같이 구성되며, 이는 동공 영역 위 및 아래의 두께가 정상보다 두꺼운 것을 의미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연질 또는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 중 하나는 구면 도수의 것이지만, 동공 영역 주변의 구역은 두께의 관점에서 이 주변부 구역이 동일한 도수, 직경 및 기본 만곡을 갖는 통상의/전통적인 연질 또는 하이브리드 구면 도수 콘택트렌즈와 비교할 때 증대된 두께를 갖는 점을 제외하고 연질 또는 하이브리드 렌즈 중 하나의 것과 같이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연질 또는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 중 하나는 난시 도수의 것이며, 동공 영역 주변의 구역은 두께의 관점에서 180(+/-20도) 축을 갖는 마이너스 난시 원환체 렌즈와 같이 구성되며, 이는 동공 영역 "위 및 아래"의 두께가 일반적인 난시 교정 연질 또는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에 대한 정상보다 두꺼운 것을 의미한다.

    일부 구현예는 연질 콘택트렌즈 또는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의 동공 영역 위 및 아래 구역이 그러한 구면 또는 난시 광학 도수를 갖는 연질 또는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에 대해 기대되는 것에 비해 두꺼운, 광학 도수 축을 갖지 않는 구면 렌즈를 고려한다.

    일부 구현예는 연질 콘택트렌즈 또는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의 동공 영역 위 및 아래 구역이 그러한 구면 또는 난시 광학 도수를 갖는 연질 또는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에 대해 기대되는 것에 비해 두꺼운, 광학 축을 갖는 난시 렌즈를 고려한다.

    일부 구현예는, 회전 대칭인, 인공삽입물의 볼록면 상에 위치하는 점진적 두께 지역(영역, 구역)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영역, 구역)을 고려한다.

    일부 구현예는, 회전 비대칭인(rotationally asymmetrical), 인공삽입물의 볼록면 상에 위치하는 점진적 두께 지역(영역, 구역)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영역, 구역)을 고려한다.

    일부 구현예는, 비회전 대칭인(non-rotationally symmetrical), 인공삽입물의 볼록면 상에 위치하는 점진적 두께 지역(영역, 구역)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영역, 구역)을 고려한다.

    일부 구현예는, 윗눈꺼풀 끝의 곡선 및/또는 아랫눈꺼풀 끝의 곡선과 유사한, 인공삽입물의 볼록면 상에 위치하는 점진적 두께 지역(영역, 구역)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영역, 구역)을 고려한다.

    인공삽입물의 점진적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은 25 마이크론 내지 1,000 마이크론 범위 내의 최대 델타 두께 차이(추가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한 범위는 100 마이크론 내지 500 마이크론, 더 바람직한 범위는 75 마이크론 내지 400 마이크론이다.

    인공삽입물의 역진적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은 25 마이크론 내지 1,000 마이크론 범위 내의 최대 델타 두께 차이(추가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한 범위는 100 마이크론 내지 500 마이크론, 더 바람직한 범위는 100 마이크론 내지 400 마이크론, 더 바람직한 범위는 75 마이크론 내지 400 마이크론이다.

    인공삽입물의 점진적 두께 볼록면 지역(개구 확장 영역)은 콘택트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3mm 내지 8.5mm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콘택트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5mm 내지 7.75mm 내이다.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개구 확장 영역)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인공삽입물의 가장자리 내부에 있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에서, 대부분은 아니지만,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시작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최대 점진적 두께 델타는 인공삽입물의 가장자리 내부 0.5mm 내지 3.0mm 내에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최대 역진적 두께 델타는 인공삽입물의 가장자리 내부 0.5mm 내지 3.0mm 내에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점진적 두께 지역(영역, 구역)(개구 확장 영역)은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 내부 0.1mm 내지 6.0mm 내에 있다.

    일부 경우에 점진적 두께 지역(영역, 구역)(개구 확장 영역)은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시작하여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 내부 6mm까지 이어진다.

    대부분의 경우에 역진적 두께 지역(영역, 구역)(개구 확장 영역)은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 내부 0.1mm 내지 6.0mm 내에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아닌, 일부 경우에, 이는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시작할 수 있다.

    점진적 두께 지역(영역, 구역)(개구 확장 영역)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영역, 구역)(개구 확장 영역)의 폭은 0.5mm 내지 6mm일 수 있다.

    점진적 두께 직경 및 역진적 두께 직경은 7mm 내지 15mm 범위 내에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수의 점진적 두께 또는 역진적 두께 링 또는 영역이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서 하나의 링이 다른 링의 안쪽에 위치한다(또는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에 더 가깝다).

    일부 구현예에서, 점진적 두께 지역 또는 영역(개구 확장 영역)은 경사 및 최대 두께 델타를 가지며, 최대 점진적 두께 델타 외부(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에 더 가까운)의 외부 경사가 내부(인공삽입물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의 내부 경사보다 가파르다.

    일부 구현예에서, 역진적 두께 지역 또는 영역은 외부 경사 및 최대 두께 델타를 가지며, 최대 역진적 두께 델타 쪽(인공삽입물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의 내부 경사가 가장 가파르다.

    일부 구현예에서, 역진적 두께 지역 또는 영역은 외부 경사 및 최대 두께 델타를 가지며, 최대 역진적 두께 델타 쪽(인공삽입물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의 내부 경사가 외부 경사와 같다.

    일부 구현예에서, 콘택트렌즈 또는 공막 링 형태의 인공삽입물은 눈꺼풀이 닫히거나 깜박거릴 때 공막 링의 중심을 향해 접히고 눈꺼풀이 열릴 때 공막 링의 중심으로부터 다시 열리는(펼쳐지는) 손가락과 같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손가락과 같은 부재는 눈의 동공 위 및 아래의 공막 링의 지역 상에 위치한다. 손가락과 같은 부재는 눈꺼풀이 열리고 깜박거리거나 닫히지 않을 때 윗눈꺼풀을 끌어올리고 아랫눈꺼풀을 누르거나 낮출 수 있다.

    이 개시에서 제공되거나 사용되는 콘택트렌즈의 용어는 각공막 콘택트렌즈,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 중 하나를 의미한다.

    점진적 두께 지역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개구 확장 영역을 의미한다.

    역진적 두께 지역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개구 확장 영역을 의미한다.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개구 확장 영역을 의미한다.

    인공삽입물의 일부 구현예에서 점진 두께 지역(영역, 구역) 또는 역진적 두께 지역(영역, 구역)이 있거나 없을 수 있으며 영역 또는 지역의 표면이 인공삽입물의 다른 구역에 비교하여 증대된 눈꺼풀 마찰을 제공하도록 변경된다. 이러한 증대된 표면 마찰 지역 또는 영역은 눈꺼풀 깜박임이나 힘주어 감는 동안 쉽게 압도될 수 있지만 눈꺼풀을 열 때 이러한 증대된 마찰 지역이 윗눈꺼풀을 끌어올리거나 및/또는 아랫눈꺼풀을 눌러 눈 개구를 연다.

    여기에서 개시된 인공삽입물은, 예시로서만, 다초점 또는 원환체 단일시 렌즈 또는 원환체 다초점의 경우,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정화 영역의 사용에 의하여) 안정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된 인공삽입물은, 예시로서만, 단일시 구면 렌즈의 경우, 고정화가 없을 수 있다(안정화되지 않음/자유 회전).

    여기에서 개시된 인공삽입물은 공막 링의 형태일 때 자연적인/정상적인 눈 깜박임에서 항상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그러나 모두는 아닌 구현예에서) 구면 도수만을 포함하는 단일시 콘택트렌즈의 형태일 때 안정화 영역, 특징 또는 부재가 없다.

    여기에서 구현된 일부 구현예의 인공삽입물은 공막 링의 형태일 때 자연적인/정상적인 눈 깜박임에서 항상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지 않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 및 고정화 영역은 설계상 하나의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안정화 영역, 특징 또는 부재와 분리될 수 있다.

    도 49-53은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의 전형적인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49는 주변부 가장자리(4902)로부터 떨어진 개구 확장 영역(4906)을 갖는 공막 링(4900)을 나타낸다. 주변부 가장자리(4902) 및 개구 확장 영역(4906) 사이에 제1 지역(4904)이 위치한다. 제1 지역(4904)은 통상의 공막 링과 동일한 두께 및 곡률을 갖는다. 개구 확장 영역(4906)은 외부 가장자리(4908) 및 내부 가장자리(4916)를 갖는다. 개구 확장 영역(4906)은 외부 경사(4910) 및 내부 경사(4914) 사이에 위치한 최대 점진적 두께(4912)를 갖는 외부 경사(4910) 및 내부 경사(4914)에 의해 정의되는 점진적 두께를 갖는다. 제2 지역(4918)은 내부 가장자리(4916)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개방 중앙 개구(4920)를 향해 연장된다. 제1 지역(4904)과 유사하게, 제2 지역(4918)은 통상의 공막 링과 동일한 두께 및 곡률을 갖는다. 개방 중앙 개구(4920)의 중심에 공막 링(4900)의 기하학적 중심(4922)이 위치한다. 도 49는 또한 공막 링(4900)의 수직 치수(VD)를 보여준다. 수직 치수(VD)는 외부 가장자리(4908)의 최상위 지점으로부터 외부 가장자리(4908)의 최하위 지점까지 측정된다.

    도 50은 주변부 가장자리(5002)에서 시작하는 개구 확장 영역(5004)을 갖는 공막 링(5000)을 보여준다. 개구 확장 영역(5004)은 외부 경사(5006) 및 내부 경사(5010) 사이에 위치한 최대 점진적 두께(5008)를 갖는 외부 경사(5006) 및 내부 경사(5010)에 의해 정의되는 점진적 두께를 갖는다. 개구 확장 영역(5004)은 개방 중앙 개구(5014)에 인접한 내부 가장자리(5012)를 포함한다. 개방 중앙 개구(5014)의 중심에 공막 링(5000)의 기하학적 중심(5016)이 위치한다. 도 50은 또한 공막 링(5000)의 수직 치수(VD)를 보여준다. 수직 치수(VD)는 외부 가장자리(5002)의 최상위 지점으로부터 외부 가장자리(5002)의 최하위 지점까지 측정된다.

    도 51은 주변부 가장자리(5102)로부터 떨어진 개구 확장 영역(5106)을 갖는 콘택트렌즈(5100)를 나타낸다. 주변부 가장자리(5102) 및 개구 확장 영역(5106) 사이에 제1 지역(5104)이 위치한다. 제1 지역(5104)은 통상의 콘택트렌즈와 동일한 두께 및 곡률을 갖는다. 개구 확장 영역(5106)은 외부 가장자리(5108) 및 내부 가장자리(5116)를 갖는다. 개구 확장 영역(5106)은 외부 경사(5110) 및 내부 경사(5114) 사이에 위치한 최대 점진적 두께(5112)를 갖는 외부 경사(5110) 및 내부 경사(5114)에 의해 정의되는 점진적 두께를 갖는다. 제2 지역(5118)은 내부 가장자리(5116)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콘택트렌즈(5100)의 기하학적 중심(5120)을 향해 연장된다. 제2 지역(5118)은 광학 도수를 갖거나 광학 도수가 없을 수 있으며 특정한 광학 도수가 있거나 없는 통상의 콘택트렌즈와 동일한 두께 및 곡률을 갖는다. 도 51은 또한 콘택트렌즈(5100)의 수직 치수(VD)를 보여준다. 수직 치수(VD)는 외부 가장자리(5108)의 최상위 지점으로부터 외부 가장자리(5108)의 최하위 지점까지 측정된다.

    도 52는 주변부 가장자리(5202)에서 시작하는 개구 확장 영역(5204)을 갖는 콘택트렌즈(5200)를 나타낸다. 개구 확장 영역(5204)은 외부 경사(5206) 및 내부 경사(5210) 사이에 위치한 최대 점진적 두께(5208)를 갖는 외부 경사(5206) 및 내부 경사(5210)에 의해 정의되는 점진적 두께를 갖는다. 제2 지역(5214)은 개구 확장 영역(5204)의 내부 가장자리(5212)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콘택트렌즈(5200)의 기하학적 중심(5216)을 향해 연장된다. 제2 지역(5214)은 광학 도수를 갖거나 광학 도수가 없을 수 있으며 특정한 광학 도수가 있거나 없는 통상의 콘택트렌즈와 동일한 두께 및 곡률을 갖는다. 도 52는 또한 콘택트렌즈(5200)의 수직 치수(VD)를 보여준다. 수직 치수(VD)는 외부 가장자리(5202)의 최상위 지점으로부터 외부 가장자리(5202)의 최하위 지점까지 측정된다.

    도 53A-E는 다수의 점진 두께 밴드(5304)를 갖는 개구 확장 영역의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예를 나타낸다. 점진적 두께 밴드는 개방 중앙 개구(5300) 또는 광학 영역(5302)를 둘러싸고 바퀴살 형태로 배열된다. 다수의 다른 패턴이 도 53A-E에 도시되었지만 임의의 수 또는 방향의 점진적 두께(5304)가 개구 확장 영역 내에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54-56은 여기에서 기재된 개구 확장 영역의 눈꺼풀 틈새 확장 효과를 예시한다. 도 54는 사람의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를 나타낸다. 도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람의 왼쪽 자연적인 눈꺼풀 틈새(도 54의 오른쪽)의 최대 직경은 약 6mm이다. 도 55는 동일한 사람이 여기에서 기재된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한 것을 보여준다. 도 55로부터 그 왼눈의 눈꺼풀 틈새가 확장된 것을 볼 수 있다. 그 왼눈의 눈꺼풀 틈새의 최대 직경은 이제 약 9.5mm이며, 약 3.5mm의 증가이다. 도 56은 도 54 및 55의 왼눈을 나란히 비교한 것을 나타낸다.

    도 57-60은 여기에서 기재된 인공삽입물의 구현예의 표면 프로파일을 예시하는 다양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57-60은 다양한 개구 확장 영역의 내부 및 외부 경사를 정량화한다.

    도 61은 사람 눈의 해부학과 비교하여 콘택트렌즈(6130)의 치수를 예시한다. 사람 눈은 윗눈꺼풀(6120), 아랫눈꺼풀(6122), 각막(6124) 및 공막(6128)을 갖는다. 각막(6124) 및 공막(6128)의 계면에 경계(6126)가 위치한다. 개구 확장 영역(6132)을 갖는 콘택트렌즈(6130)가 눈에 착용된 채로 도시되며, 각막(6124)의 양쪽에서 각막(6124)과 경계(6126)를 가로질러 공막(6128)까지 연장된다. 콘택트렌즈(6130)의 시각적 표현(6100)이 눈의 왼쪽에 예시된다(이는 실제 렌즈는 아니며 콘택트렌즈(6130)의 다양한 치수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시각적 표현(6100)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콘택트렌즈(6130)는 주변부 가장자리(6102)에 인접하여 위치한 개구 확장 영역(6132)을 갖는다. 개구 확장 영역(6132)은 외부 경사(6104), 최대 점진 두께(6106), 내부 경사(6108), 및 내부 가장자리(6110)에 의해 정의된다. 내부 가장자리(6110) 내부에 광학 도수 영역(6112)이 위치하며 그 내부에 기하학적 중심(6114)을 갖는다. 도 61로부터 최대 점진 두께(6106)가 눈의 양쪽 경계(6126)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2는 사람 눈의 해부학과 비교하여 공막 링(6230)의 치수를 도시한다. 사람 눈은 윗눈꺼풀(6220), 아랫눈꺼풀(6222), 각막(6224) 및 공막(6228)을 갖는다. 각막(6214) 및 공막(6228)의 계면에 경계(6226)가 위치한다. 개구 확장 영역(6232)을 갖는 공막 링(6230)이 눈에 착용된 채로 도시되며 각막(6224)의 양쪽에서 각막(6224)과 경계(6226)를 가로질러 공막(6228)까지 연장된다. 공막 링(6230)의 시각적 표현(6200)이 눈의 왼쪽에 도시된다(이는 실제 렌즈는 아니며 공막 링(6130)의 다양한 치수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시각적 표현(6200)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공막 링(6230)은 주변부 가장자리(6202)에 인접하여 위치한 개구 확장 영역(6232)을 갖는다. 개구 확장 영역(6232)은 외부 경사(6204), 최대 점진 두께(6206), 내부 경사(6208), 및 내부 가장자리(6210)에 의해 정의된다. 내부 가장자리(6210) 내부에 개방 중앙 개구(6212)가 위치하며 그 내부에 기하학적 중심(6214)을 갖는다. 도 61로부터 최대 점진적 두께(6206)가 눈의 양쪽 경계(6226)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3A-66D는 다양한 형태의 수직 치수 및/또는 최소 수직 치수를 재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은 개구 확장 영역의 전형적인 형태의 단순화된 변형이며, 임의의 형태가 수직 치수 및 최소 수직 치수를 갖는 것으로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도시의 목적을 위하여 수직 치수 및/또는 최수 수직 치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지점들은 개구 확장 영역의 최상단부와 개구 확장 영역의 최하단부에 위치한다.

    도 63A는 원 형태의 외부 가장자리(6306)를 갖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6300)을 나타낸다. 외부 가장자리(6306)의 최상위 지점은 점(6302)으로 나타내며 외부 가장자리(6306)의 최하위 지점은 점(6304)으로 나타낸다. 최상위 지점(6302)으로부터 최하위 지점(6304)으로 측정되고 수직축에 투영된 수직 치수(VD)가 도 63A의 왼쪽에 예시된다. 외부 가장자리(6306)가 원 형태이므로 수직 치수(VD)는 최소 수직 치수(MVD)와 동일하다. 원에 대해서는, 인공삽입물의 임의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이는 참이다.

    도 63B는 정삼각형 형태의 외부 가장자리(6356)를 갖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6350)을 보여준다. 외부 가장자리(6356)의 최상위 지점은 점(6352)으로 나타내며 외부 가장자리(6356)의 최하위 지점은 점(6354)으로 나타낸다. 최상위 지점(6352)으로부터 최하위 지점(6354)으로 측정되고 수직축에 투영된 수직 치수(VD)가 도 63B의 왼쪽에 예시된다. 도 63B에서, 이는 정삼각형의 높이이며 또한 최소 수직 치수(MVD)이다. 외부 가장자리(6356)가 정삼각형 형태이므로 수직 치수(VD)는 렌즈의 방향에 기반하여 변화한다. 예를 들면, 도 63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삼각형이 옆으로 돌면 최상위 지점은 점(6358)이 되고 최하위 지점은 점(6360)이 된다. 점(6358)으로부터 점(6360)으로 측정되고 수직축에 투영된 수직 치수(VD)가 도 63C의 왼쪽에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삼각형의 회전 방향은 더 큰 수직 치수를 가져온다. 이러한 더 큰 수직 치수는 모든 정삼각형이 그 변의 길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다는 사실로부터 나온다.

    도 64A-C는 타원 형태의 외부 가장자리(6420)를 갖는 인공삽입물(6400) 상에 위치하는 개구 확장 영역의 수직 치수(VD) 및 최소 수직 치수(MVD)의 측정 방법을 예시한다. 도 64A는 타원이 그 단축이 세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놓여진 제1 회전 방향 내의 인공삽입물(6400)을 나타낸다. 도 64A의 방향은 타원에 대해 최소 수직 치수(MVD)와 동일한 수직 치수를 나타낸다. 최소 수직 치수(MVD)는 최상위 지점(6402)으로부터 최하위 지점(6404)으로 측정되며 수직축에 투영된다. 도 64B 및 C는 수직 치수(VD)가 최소 수직 치수가 아닌 타원의 다른 방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64B에서 타원의 장축이 세로 방향으로 향한다. 이는 점(6410)으로부터 점(6412)으로 측정된 수직 치수가 도 64A에 나타난 타원의 최소 수직 치수(MVD)보다 크게 한다. 유사하게 도 64C의 타원의 방향은 점(6406)으로부터 점(6408)으로 측정된 수직 치수(VD)가 도 64A에 나타난 타원의 최소 수직 치수(MVD)보다 크게 한다.

    도 65A-B는 외부 가장자리(6510)를 갖는 두 개의 부분적인 링에 의해 정의되는 인공삽입물(6500)의 개구 확장 영역의 수직 치수(VD) 및 최소 수직 치수(MVD)의 측정 방법을 예시한다. 도 65A는 개구 확장 영역에 대해서 수직 치수(VD)가 최소 수직 치수(MVD)와 동일한 인공삽입물의 방향을 나타낸다. 최소 수직 치수(MVD)는 최상위 지점(6502)으로부터 최하위 지점(6504)까지 측정된다. 도 65B는 수직 치수(VD)가 최소 수직 치수(MVD)가 아닌 인공삽입물(6500)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65B의 수직 치수(VD)는 최상위 지점(6506)으로부터 최하위 지점(6508)까지 측정되며 도 65A에 나타난 최소 수직 치수보다 크다.

    도 66A-B는 정사각형 형태로 배열된 외부 가장자리(6610)를 갖는 다수의 분리된 구역에 의해 정의되는 인공삽입물(6600)의 개구 확장 영역의 수직 치수 및 최소 수직 치수의 측정 방법을 예시한다. 도 66A는 개구 확장 영역에 대해서 수직 치수(VD)가 최소 수직 치수(MVD)와 동일한 인공삽입물(6600)의 제1 방향을 나타낸다. 외부 가장자리(6610)는 인공삽입물(660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게 위치하는 점들(6602, 6604, 6606, 6608)을 갖는다. 도 66A에서, 최소 수직 치수(MVD)는 최상위 지점(6602)으로부터 최하위 지점(6606)까지 측정되며 도 66A의 왼쪽에 위치한 수직축에 투영된다. 도 66B는 수직 치수(VD)가 최소 수직 치수(MVD)가 아닌 인공삽입물(6600)의 제2 방향을 나타낸다. 도 66B의 수직 치수(VD)는 최상위 지점(6604)으로부터 최하위 지점(6606)까지 측정되며 도 66B의 왼쪽에 나타난 수직축에 투영된다. 도 66B의 수직 치수(VD)가 도 66A에 나타난 최소 수직 치수(MVD)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도 66C-D는 삼각형 형태로 배열된 외부 가장자리(6660)를 갖는 다수의 분리된 구역에 의해 정의되는 인공삽입물(6650)의 개구 확장 영역의 수직 치수 및 최소 수직 치수의 측정 방법을 도시한다. 도 66C는 수직 치수(VD)가 최상위 지점(6652)으로부터 최하위 지점(6654)까지의 거리인 인공삽입물(6650)의 제1 방향을 보여준다. 도 66D는 수직 치수가 최소 수직 치수(MVD)와 같은 제2 방향을 나타낸다. 도 66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상위 지점(6654)으로부터 최하위 지점(6656)까지 측정된 최소 수직 치수(MVD)는 도 66D 왼쪽의 수직축에 투영된다.

    도 67은 주변부 가장자리(6710) 및 개방 개구(6702)를 갖는 공막 링(6700)을 보여준다. 개방 개구(6702) 위에 위쪽 손가락 부재(6704)를 갖는 점진적 두께 구역이 위치하며, 개방 개구(6702) 아래에 아래쪽 손가락 부재(6706)를 갖는 점진적 두께 구역이 위치한다. 공막 링(6700)은 또한 착용자의 눈꺼풀에 의해 접힐 때 손가락 부재(6704, 6706)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트렌치(6708)를 가질 수 있다. 트렌치(6708)는 손가락 부재(6704, 6706) 내부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트렌치(6808)는 임의의 것임을 주의한다.

    도 68은 주변부 가장자리(6810) 및 광학 영역(6802)을 갖는 콘택트렌즈(6800)를 나타낸다. 광학 영역(6802) 위에 위쪽 손가락 부재(6804)를 갖는 점진 두께 구역이 위치하며, 광학 영역(6802) 아래에 아래쪽 손가락 부재(6806)를 갖는 점진적 두께 구역이 위치한다. 콘택트렌즈(6800)는 또한 착용자의 눈꺼풀에 의해 접힐 때 손가락 부재(6804, 6806)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트렌치(6808)를 가질 수 있다. 트렌치(6808)는 손가락 부재(6804, 6806) 내부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트렌치(6808)는 임의의 것임을 주의한다.

    도 69는 광학 영역(6902), 위쪽 손가락 부재(6910) 및 아래쪽 손가락 부재(6908)를 갖는 콘택트렌즈(6900)의 측면도이다. 도 69에서, 윗눈꺼풀(6906)이 위쪽 손가락 부재(6910)와 접촉하여 예시된다. 위쪽 손가락 부재(6910)는 콘택트렌즈(6900)를 착용할 때 윗눈꺼풀(6906)을 끌어올린다(상승시킨다). 도 69는 또한 아랫눈꺼풀(6904)이 아래쪽 손가락 부재(6908)와 접촉한 것을 예시한다. 아래쪽 손가락 부재(6909)는 콘택트렌즈(6900)를 착용할 때 아랫눈꺼풀(6904)을 누른다(낮춘다). 도 69에서 콘택트렌즈가 도시되었지만, 손가락 부재를 갖는 공막 링(도 67을 참조로 한 상기 설명 참조) 또한 위 및 아랫눈꺼풀을 도 69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들어올리거나(높이거나) 및/또는 누를(낮출)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것이다.

    표 1은 서로 다른 사람의 눈에 대한 4개의 서로 다른 예시적인 인공삽입물의 효과를 요약한다.

    나이 성별 눈꺼풀 틈새 최대 확장을 나타낸 콘택트렌즈의 시험 구현예 최선의 렌즈의 확장 %
    44 L ~15%
    16 L,J ~20%
    40 I,J,L ~10%
    33 I,J,K ~15%
    45 J,K,L ~18%
    25 I,J,K,L ~15%
    30 I,J,K,L ~15%
    20 K ~33%
    33 K ~6%
    66 L ~40%

    표 1. 4개의 서로 다른 렌즈(I,J,K,L)에 대한 개구 확장 결과

    렌즈 I 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8.4 기본 만곡/ 15.0mm 전체 직경/ 렌즈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안쪽 1.0mm-1.50mm 150 마이크론 최대 두께 델타 혹/ 개구 확장 영역은 렌즈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시작/ 전반적 기본 두께(혹 및 외부 가장자리 제외)는 약 125 마이크론-175 마이크론 범위 내/ 광학 도수 -0.50D

    렌즈 J 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8.4 기본 만곡/ 15.0mm 전체 직경/ 렌즈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안쪽 1.5mm-2.0mm 300 마이크론 최대 두께 델타 혹/ 개구 확장 영역은 렌즈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시작/ 전반적 기본 두께(혹 및 외부 가장자리 제외)는 약 125 마이크론-175 마이크론 범위 내/ 광학 도수 -0.50D

    렌즈 K 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8.4 기본 만곡/ 15.5mm 전체 직경/ 렌즈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안쪽 1.0mm-1.5mm 150 마이크론 최대 두께 델타 혹/ 개구 확장 영역은 렌즈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시작/ 전반적 기본 두께(혹 및 외부 가장자리 제외)는 약 125 마이크론-175 마이크론 범위 내/ 광학 도수 -0.50D

    렌즈 L 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8.4 기본 만곡/ 15.5mm 전체 직경/ 렌즈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안쪽 1.5mm-2.0mm 300 마이크론 최대 두께 델타 혹/ 개구 확장 영역은 렌즈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시작/ 전반적 기본 두께(혹 및 외부 가장자리 제외)는 약 125 마이크론-175 마이크론 범위 내/ 광학 도수 -0.50D

    표 1은 서로 다른 사람에 대해 특정한 렌즈가 가장 적합하며, 여기에서 개시된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착용함에 의하여 대부분의 사람의 눈꺼풀 틈새가 확장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표 1은 착용될 수 있는 다양한 렌즈의 예에 불과하며 여기에서 기재된 인공삽입물의 치수 및/또는 확장 능력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구현예는 착용자에 의해 착용될 수 있으며 볼록 외부 표면에 위치한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하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Xmm의 전체 직경을 가지며, 착용자 눈은 Ymm의 수직 개구 측정치를 포함하고, Xmm는 Ymm보다 적어도 1mm 더 길다. 개구 확장 영역은 착용자 눈의 눈꺼풀 틈새를 확장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착용자의 아랫눈꺼풀을 누른다(낮춘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착용자의 윗눈꺼풀을 들어올린다(높인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착용자의 윗눈꺼풀을 적어도 1mm 들어올린다(높인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착용자의 아랫눈꺼풀을 적어도 1mm 누른다(낮춘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착용자의 윗눈꺼풀을 1mm 이하 높이고 및/또는 아랫눈꺼풀을 1mm 이하 누르지만 착용자 눈의 눈꺼풀 틈새를 적어도 1mm 확장한다.

    인공삽입물은 히드로겔, 실리콘 히드로겔, 실리콘, 가스투과성, 친수성, 경질 및 유연성 중 하나의 재료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각공막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연질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공막 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인공삽입물의 가장자리 내부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시작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회전 대칭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회전 비대칭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25 마이크론 내지 1,000 마이크론 범위 내의 최대 점진 두께 델타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100 마이크론 내지 400 마이크론 범위 내의 최대 점진 두께 델타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3mm 내지 8.5mm 범위 내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5mm 내지 7.75mm 범위 내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인공삽입물의 외부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0.1mm 내지 6.0mm 범위 내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인공삽입물의 외부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내지 인공삽입물의 외부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6.0mm 범위 내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인공삽입물의 외부 주변부 가장자리로부터 0.5mm 내지 3.0mm 범위 내에 위치한 최대 델타 두께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렌즈 볼록면 상에 혹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공막 링은 개방 중앙 개구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공막 링은 단일 디자인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공막 링은 하이브리드 디자인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공막 링은 유연한 손가락과 같은 부재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손가락과 같은 부재는 눈 깜박임에 따라 공막 링의 기하학적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접힌다. 일부 구현예에서 손가락과 같은 부재는 눈꺼풀이 열림에 따라 공막 링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진다.

    인공삽입물은 연속, 매일, 매주, 매월 중 하나의 시간으로 착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일회용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재사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광학 도수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광학 도수가 없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경사 및 최대 점진 두께 델타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대 점진 두께 델타 외부의 경사(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는 내부의 경사(인공삽입물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보다 가파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증대된 표면 마찰 영역 또는 지역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점진 두께 또는 역진 두께 영역이 없지만, 외부 볼록면 상에 위치한 증대된 표면 마찰 영역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폭은 0.5mm 내지 6mm 범위 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의 외부 가장자리는 통상의 각공막 콘택트렌즈의 가장자리와 유사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인공삽입물을 착용하지 않았을 때 착용자의 윗눈꺼풀 끝보다 0.1mm 또는 그 이상 위에 위치한 지점에 상응하는 피크 델타 두께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인공삽입물을 착용하지 않았을 때 착용자의 아랫눈꺼풀 끝보다 0.1mm 또는 그 이상 아래에 위치한 지점에 상응하는 피크 델타 두께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피크 델타 두께는 착용자 눈의 자연적 개구 내에 위치하는 지점에 상응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피크 델타 두께는 착용자 눈의 자연적 개구 외부에 위치하는 지점에 상응한다(피크 델타 두께로부터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을 통하여 피크 델타 두께까지의 거리가 윗눈꺼풀 끝과 아랫눈꺼풀 끝 사이의 수직 치수(수직 눈 개구)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7mm 내지 15mm 범위 내의 직경(개구 확장 영역의 폭이 아님)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각공막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공막 콘택트렌즈는 구면 단일시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공막 콘택트렌즈는 다초점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공막 콘택트렌즈는 원환체 광학 도수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공막 콘택트렌즈는 단일시 구면-원주면 콘택트렌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회전 대칭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하며 고정화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회전 대칭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하며 인공삽입물은 고정화 영역이 없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고정화 영역이 없으며, 따라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안정화되며, 따라서 자유롭게 회전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개구 확장 영역 및 별도의 개구 안정화 영역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개구 확장 영역을 가지며 인공삽입물은 자연적인 눈깜박임 동안 자유롭게 회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착용자 눈에 착용될 때 더 큰 눈의 미용적 외관을 부가하는 착색 구역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착색 구역은, 경계 링, 착색된 링, 강조색 중 하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적인 수직축을 따르는 기하학적 중심 위 및 아래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공삽입물은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적인 수직축을 따르는 기하학적 중심 좌우에 위치하는 개구 확장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는 전체 직경 Xmm를 가지며, 착용자 눈이 Ymm의 수직 개구 치수를 가지고, Xmm는 Ymm에 비해 적어도 1mm 긴, 착용자 눈에 대한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3도 내지 45도 범위 내의 외부 경사를 갖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는 전체 직경 Xmm를 가지며, 착용자 눈이 Ymm의 수직 개구 치수를 가지고, Xmm는 Ymm에 비해 적어도 1mm 긴, 착용자 눈에 대한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인공삽입물은 1도 내지 15도 범위 내의 내부 경사를 갖는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는 기하학적 중심 위 및 아래에 위치한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개구 확장 영역은 두께 경사를 갖는다. 두께 경사는 밀리미터당 50 마이크론 추가 두께를 넘는다.

    일부 구현예는 그 볼록면 상에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개구 확장 영역은 볼록면 상에 혹을 만든다. 개구 확장 영역은 mm당 50 마이크론 추가 두께 이상의 외부 경사 두께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는 그 볼록면 상에 개구 확장 영역을 갖는 인공삽입물을 포함한다. 개구 확장 영역은 볼록면 상에 혹을 만든다. 개구 확장 영역은 mm당 50 마이크론 추가 두께 이하의 내부 경사 두께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외부 경사 두께는 mm당 100 마이크론 추가 두께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외부 경사 두께는 mm당 150 마이크론 추가 두께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외부 경사 두께는 mm당 200 마이크론 추가 두께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외부 경사 두께는 mm당 300 마이크론 추가 두께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내부 경사 두께는 mm당 100 마이크론 추가 두께 이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내부 경사 두께는 mm당 150 마이크론 추가 두께 이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내부 경사 두께는 mm당 200 마이크론 추가 두께 이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의 내부 경사 두께는 mm당 300 마이크론 추가 두께 이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 확장 영역은 인공삽입물의 볼록면 상에 혹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혹은 인공삽입물의 기하학적 중심에 수직으로 위 및 아래에 위치한다.

    발명의 간단한 설명(Summary) 및 요약(Abstract) 부분(있다면)이 아니라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Detailed Description) 부분이 특허청구범위를 해석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의도된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요약 부분(있다면)은 발명자(들)에 의해 고려된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이지만 전부는 아닌 예시적인 구현예들을 진술할 수 있지만, 어떤 방법으로도 발명 또는 첨부된 청구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다.

    여기에서 발명이 예시적인 기술분야 및 응용에 대해 전형적인 구현예들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할 것이다. 다른 구현예 및 그에 대한 변경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 및 취지 내에 있다. 예를 들면, 그리고 본 단락의 일반성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구현예들은 도면에 도시되거나 및/또는 여기에서 기재된 하드웨어, 방법 및/또는 대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구현예(여기에서 명시적으로 기재되었거나 아니거나)는 여기에서 기재된 실시예를 넘는 기술분야 및 응용에 대해 현저한 유용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구현예들은 특정한 기능의 구현을 나타내는 기능적 구성 블록들과 그 관계를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적 구성 블록들의 경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정의되었다. 특정한 기능 및 관계(또는 그와 동등한 것)가 적절히 수행될 수 있는 한 다른 경계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현예가 여기에서 기재된 것과 다른 순서를 사용한 기능적 블록, 단계, 방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구현예", "구현예', "예시적인 구현예", 또는 유사한 구문에 대한 참조는 기재된 구현예가 구체적인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음을 나타내지만, 모든 구현예가 구체적인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문은 반드시 동일한 구현예를 참조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하나의 구현예와 관련되어 설명될 때, 이러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거나 기재되었거나 그렇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결합하는 것은 관련 분야의 기술자의 지식 내일 것이다.

    본 발명의 폭과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구현예의 어떤 것에 의해서도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와 동등한 것에 따라서만 정의되어야 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