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 어셈블리용 탄성 구속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에 의해 얻은 안경

申请号 KR1020117017957 申请日 2009-12-28 公开(公告)号 KR1020110106911A 公开(公告)日 2011-09-29
申请人 몬도티카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发明人 메다나구이도;
摘要 한 쌍의 안경용 탄성 구속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안경 전방 프레임 또는 템플 바의 2개의 개별 부분과 맞물리는 2개의 와이어 터미널이 제공된 하나 이상의 연장불가한 가요성 와이어와, 장착 및 프리로딩되어 상기 연장불가한 가요성 와이어의 응력에 대하여 동작하는 탄성 수단이 제공된 하나 이상의 와이어 터미널을 포함한다.
权利要求
  • 안경 전방 프레임 또는 템플 바의 2개의 개별 부분과 맞물리는 2개의 와이어 터미널이 제공된 하나 이상의 연장불가한 가요성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터미널 중 하나 이상에는 장착 및 프리로딩되어 상기 연장불가한 가요성 와이어의 응력에 대하여 동작하는 탄성 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안경용 탄성 구속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와이어 터미널은 각각 전방 프레임 엔드피스 및 템플 바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는 복수의 상호 연결된 척추골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안경용 탄성 구속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골은 전방으로 볼록한 반원통면과, 후방으로 오목한 반원통면이 제공된 프리즈매틱 바디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안경용 탄성 구속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통면의 측면 상에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안경용 탄성 구속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안경 내부에 있는 측면 상에 배열된 상기 평탄면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반원통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세로 기준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안경용 탄성 구속 시스템.
  •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척추골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 또는 애퍼처를 통과하고, 상기 구멍은 상기 반원통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세로 기준면에 대하여 오프-센터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안경용 탄성 구속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또는 애퍼처는 원뿔형이거나 비스듬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안경용 탄성 구속 시스템.
  •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것 위에 하나가 있는 2개의 와이어는 힌지축 방향으로 상기 척추골 내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안경용 탄성 구속 시스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와이어는 U자형으로 만곡된 단일 피스로 이루어지고, 2개의 단부에 탄성 수단을 가진 와이어 터미널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안경용 탄성 구속 시스템.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와이어는 상기 척추골 내부의 2개의 개별 구멍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안경용 탄성 구속 시스템.
  • 제 2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골은 상기 와이어가 인입될 수 있는 오픈 슬릿을 일측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안경용 탄성 구속 시스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골은 C자형의 횡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되도록 형성된 홈을 가진 안경 렌즈의 에지부와 상기 와이어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안경용 탄성 구속 시스템.
  • 说明书全文

    안경 어셈블리용 탄성 구속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에 의해 얻은 안경{ELASTIC CONSTRAINT SYSTEM FOR EYEGLASSES ASSEMBLY AND EYEGLASSES OBTAINED BY SUCH SYSTEM}

    본 발명은 어셈블리에 대한 최고의 탄성 구속 시스템을 활용하도록 구체적으로 착상된 한 쌍의 안경뿐만 아니라 한 쌍의 안경의 어셈블리에 대한 탄성 구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안경의 분야에 있어서, 수많은 구속 수단이 안경, 즉, 렌즈뿐만 아니라 프레임 또는 전면 피스, 측 템플 바의 주요 내력 구조와 함께 조립하도록 제안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어셈블리에 대한 구속 수단은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부품의 어셈블리를 이루는 나사, 조인트, 또는 다른 연결 수단에 의해 상호간에 연결되고 힌징(hinging)되는 견고한 부재로서 형상화되고 안경 마모를 향상시키고 보다 편안하게 이용하도록 가능하게 탄성을 또한 도입한다. 특히, 소위 가요성 힌지는 전방 프레임에 템플 바를 탄성적으로 관절로 접합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또한, 스트레스가 야기되면 파손되는 경향이 있는 렌즈 상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야기하지 않는 방식으로, 전방 프레임 상에 렌즈를 락킹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 시스템은 여전히 어떤 결점을 겪는다.

    한편으로, 가요성 힌지는 사실은 템플 바/전면 피스에 연결하도록 제조하고 조립하기가 복잡하다. 게대가, 그들은 진보적인 작동을 허용하지 않지만 그들이 탄성 수단에 기인하여 스냅하는 사이에 2개의 안정한 위치(개방/페쇄)만을 가진다. 또한, 힌징 포인트는 느슨해지는 경향이 있는 힌지의 필수적 포인트를 나타내는 조임 피벗 나사에 의해 항상 한정된다.

    반면에, 제조 기술이 렌즈를 유지하기에 적합한 양호한 프레임을 얻도록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것과는 매우 다르기 때문에, 가요성 힌지는 안경 제조자들과 흔히 일치하지 않는 전문화된 제조의 특권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제조하고 조립하기에 충분히 경제적인 그리고 전면에 렌즈의 구속을 위하여 가요성 힌지의 접합에 또는 그것의 변형에 이용될 수 있는 향상된 구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제조하기에 경제적이고 탑재하기에 단순한 한 쌍의 안경의 템플 바에 전면 피스를 연결하기 위한 향상된 가요성 접합 힌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것은 클래식 힌지 나사를 제거하게 하고 따라서 그것의 느슨해짐에 관련된 문제를 제거하게 하는 설비를 공급하는 것이 제공된다.

    또한, 이것은 특히, 동작의 혁신적인 방식 및 대응하는 본래의 미적 외관을 동시에 만들어 내는 프레임과 템플 바 사이의 힌지 시스템의 명확함에서 최고의 상기 탄성 구속 시스템을 활용하도록 구체적으로 착상된 한 쌍의 안경을 제공하는데 의도된다.

    이러한 목적은 첨부된 독립항에 개시된 특징을 통해 달성된다. 종속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을 개시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구속 시스템은 한 쌍의 안경용으로 제공되고, 안경 프론트피스 또는 템플 바의 2개의 개별 부분과 맞물릴 수 있는 2개의 와이어 터미널이 제공된 하나 이상의 연장불가한 가요성 와이어를 포함하고, 와이어 터미널 줄 하나 이상에는 장착 및 프리로딩(preloading)되어 상기 연장불가한 가요성 와이어 상에서의 당김 동작에 대하여 동작하는 탄성 수단이 제공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적용에 의하면, 상기 와이어의 와이어 터미널은 각각 프론트피스의 엔드피스 및 템플 바에 연결되고, 와이어는 관절 부재로서 동작하는 복수의 상호 연결된 척추골(vertebrae)을 통과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적용에 의하면, 와이어는 안경 렌즈의 에지부와 맞물린다.

    실제로는, 본 발명의 주요 양상에 의하면, 한 쌍의 안경용의 탄성 구속 시스템은 각각 프론트피스의 엔드피스 및 템플 바와 맞물릴 수 있는 2개의 와이어 터미널이 제공된 하나 이상의 연장불가한 가요성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터미널 중 하나 이상에는 장착 및 프리로딩되어 상기 연장불가한 가요성 와이어의 응력에 대하여 동작하는 탄성 수단이 제공되고, 와이어는 서로 연결된 복수의 척추골을 통해 통과한다.

    다른 양상에 의하면, 척추골은 전방으로 볼록한 반원통면과와, 후방으로 오목한 반원통면이 제공된 프리즈매틱 바디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양상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평탄면은 척추골의 반원통면의 측면 상에 형성되고, 안경 내부에 있는 측면 상에 배열되고, 상기 반원통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세로 기준면(longitudinal reference plane)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다른 양상에 의하면, 상기 와이어는 상기 척추골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 또는 애퍼처를 통과하고, 상기 구멍은 상기 반원통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세로 기준면에 대하여 오프-센터링(off-centering)되어 있다. 이러한 구멍 또는 애퍼처는 원뿔형이거나 비스듬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상에 의하면, 다른 것 위에 하나가 있는 상기 2개의 와이어는 힌지축 방향으로 상기 척추골 내부를 통과한다. 변형에 의하면, 2개의 와이어는 U자형으로 만곡된 단일 피스로 이루어지고, 2개의 단부에 탄성 수단을 가진 와이어 터미널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특정 양상에 의하면, 2개의 와이어는 상기 척추골 내부의 2개의 개별 구멍을 통과한다.

    다른 바람직한 양상에 의하면, 척추골은 와이어 또는 한 쌍의 와이어가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는 오픈 슬릿을 일측면에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척추골은 C자형의 횡단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적용에 의하면, 와이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되도록 형성된 홈을 가진 안경 렌즈의 에지부와 상기 와이어가 맞물린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렌즈를 갖는 전면 피스부 및 구속 시스템의 컷 아웃 사시도 및 분해 조립도이며,
    도 2는 탑재 상태에서의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이용 상태에서의 도 2의 유사도이며,
    도 4는 도 1의 변형 시스템에 의한 안경 프레임의 정면도이며,
    도 5-9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터미널의 몇몇 실시형태의 컷 아웃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터미널에 대한 경화 소켓의 컷 아웃 사시도이며,
    도 11-14는 안경 전면 피스에서의 와이어 터미널의 다양한 연결 모드를 예시하는 부분 단면, 컷 아웃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해 얻어지는 템플 바에 대한 힌지 시스템의 컷 아웃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해 얻어지는 힌지 시스템의 도 15 중 하나와 유사한 부분 분해 조립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예시하는 척추골의 단면도이며,
    도 18-20은 각각 폐쇄된, 개방된, 및 오버 오픈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의한 템플 바에 대한 힌지의 단면도이며,
    도 21A 및 21B는 횡단 만곡된 상태에서의 도 16과 유사한 측면도이며,
    도 22A 및 22B는 본 발명에 의한 척추골의 특정 실시형태의 사시도이고,
    도 23A 및 23B는 본 발명에 의한 척추골의 다른 특정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안경은 지지 템플 바(U)가 힌징되는 측단에서 한 쌍의 렌즈(F)가 세팅되는 전방 프레임 또는 전면 피스로 구성된다.

    도 1-3은 2개의 렌즈 중 하나를 갖는 전방 프레임의 부분만을 도시하고, 다른 부분은 완전히 대칭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렌즈(F)는 전면 피스의 하우징부(G)와 맞물려 세트 포지션에서 그것을 유지한다. 하우징부(G)는 렌즈의 주변을 부분적으로만 둘러싸고, 예컨대, 적어도 30%의 상당한 부분을 자유롭게 남겨둔다.

    도 1에서 상기 하우징부(G)는 프레임의 최상단의 하나이지만, 같은 방법으로 더 낮은 부분일 수 있다.

    더 큰 안정성을 위해, 렌즈(F)는 하우징부(G) 상에 발견되는 리브(E)와 연결하는 주변 홈(I)을 가진다.

    시스템은 2개의 와이어 터미널(A 및 B)이 제공되는 실질적으로 연장불가한 와이어(C)를 구성하는 구속 수단에 의해 완료되고, 상기 와이어 터미널의 적어도 하나는 탄성 대향 부재(D)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 구속 시스템은 하기에 도시한 방식으로 렌즈(F)의 노출된 주변의 일부와 연결된다.

    도 1-3에 보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와이어 터미널(A)은 고정되고 전면 피스에서 얻어지는 대응하는 시트(A')와 맞물린다. 나선형 스프링(D)에 제공되는 대향하는 와이어 터미널(B)은 전면 피스(1)의 대향하는 시트(B')와 맞물린다. 상기 경우에서, 와이어 터미널(B)은 전면 피스의 시트(B')와 직접 접하는 대신에[고정된 와이어 터미널(A)과 자신의 시트(A') 사이 대신에 일어나는 바와 같이], 시트(B')의 저면(B")과 접하는 스프링(D)의 단부(D"), 대향하는 단부(D') 상에 놓인다. 이로써 연장불가한 와이어(C)는 스프링(D)에 대하여 와이어 터미널(B)을 가져오는 스프링(D)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은 따라서 압축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적으로 압축되는 스프링(M)에 의해, 와이어(C)는 렌즈(F) 주위에 느슨하게 남고, 상기 와이어는 따라서 용이하게 제거되거나 전면 피스의 리브(E)와 연결하도록 삽입된다. 팩와이즈(packwise)를 폐쇄하도록 스프링(D)을 가져오기 위하여, 스프링(D)의 탄성 반응을 극복하기 위해 도 2에서의 2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축력을 부여하는 것이 물론 필요하다(예컨대, 1-2㎏의 정도로).

    와이어를 릴리징함으로써, 탄성 반응-도 3에 3으로 도시한-은 스프링(L)을 다시 연장시키는 경향이 있고 단부(G)에 대하여 렌즈를 밀어내면서, 렌즈(F)의 하부 에지부에 대하여 접하는 와이어를 리콜한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C)는 한번 렌즈 에지에 근접한 장력하에 놓여지면 측길로 빠져나올 수 없도록 렌즈의 주변 홈(I)에 삽입되도록 적합한 직경을 가진다.

    따라서, 와이어의 길이는 스프링이 그 시트(B')에서 완전하게 압축될 때(M) 렌즈의 도입/배출을 허용하기 위해 조정된다.

    와이어는 결국에는 프레임과의 맞물림으로부터 렌즈의 돌발적인 배출 또는 다른 기능장애를 발생시키는 시스템의 느슨함을 회피하기 위해 충분히 연장불가하게 제공되는 각종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C)는 금속 와이어 스트랜드뿐만 아니라 Nylon™ 스레드 또는 적합한 직경의 다른 합성 재료일 수 있다.

    도 4는 변형을 도시하고, 2개의 와이어 터미널 양측은 탄성 수단을 가지고 제공되어 프레임의 2개의 단부에서 각각의 홈과 연결된다. 이 경우, 양측 렌즈에 대하여 구속 시스템은 1개이고, 와이어(C)는 코받침 프레임 내부의 홈(N)을 통하여 자유롭게 통과한다.

    도 5 ~ 도 9는 와이어(C)에 대한 와이어 터미널을 구성하고 배열하는 각종 방식을 도시한다.

    도 5는 와이어 단부에서 크림프된(crimped)(플라스틱 또는 코이닝 변형) 금속 부시(O)를 제공한다.

    도 6은 대신에 와이어(C)의 단부에 코드(P)에 의해 용접 또는 접착되는 부시(O')를 제공한다.

    도 7에서 와이어 터미널의 헤드는 용융 재료의 드로플렛(droplet)(O'')으로서 얻어지고; 재료는 용접 재료일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부분적으로 용융되어 드롭 형상을 하는 동일한 재료의 와이어이다(예를 들면, 그것이 합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때).

    도 8에서 와이어의 단부에서 터미널 매듭(O''')을 행하도록 제공된다.

    도 9는 대신에 와이어를 그리핑하는 가로 나사를 제공하는 터미널 클램프(O'''')에 의한 와이어 터미널의 헤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 ~ 도 13은 대신에 안경의 프레임 상에 탄성 수단으로 와이어 터미널을 맞물리는 어떤 다른 방식을 도시한다.

    도 11은 전체 스프링이 와이어 터미널의 헤드를 지나서 그 확장된 상태에서 내부에 하우징되는 가늘고 긴 홈을 갖는 프레임을 도시한다. 와이어가 나오는 홈의 입구 부분은 와이어를 통과시키기에는 충분하지만 스프링의 가장 외측 또는 말단부(D')에 대한 접합면을 이루는데 바람직한 내로우잉(narrowing)(도 1에서 B'')을 갖는다. 따라서, 스프링은 와이어 견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상기 견인은 스프링(D)의 가장 내측 또는 기단부(D'') 상에 작용하는 와이어 터미널의 헤드의 변위로 바뀌어 그것을 압축시켜 와이어 견인에 대응하는 소망의 탄성 반응을 만들어낸다. 홈에서 스텝(R)이 더 제공되어 내로우잉(B'')의 부근에서 홈의 가로 개구를 부분적으로 잠그도록 배열되고; 이것은 특히 압축 상태하에 그 시트로부터 스프링(D)의 돌발적인 가로 배출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된다.

    프레임 재료가 특별히 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마모되는 경우에 와이어 터미널은 홈에 직접 하우징되지 않지만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더 단단한 케이스나 소켓(Q)에 미리 하우징된다. 소켓(Q)은 스프링(D) 및 와이어 터미널의 헤드의 변위로 인한 피부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금속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1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와이어 터미널 및 탄성 수단을 하우징하는 홈은 일측에 가로로 개방되고: 따라서 와이어 터미널의 도입은 와이어 및 스프링(D)의 연장 방향으로 가로로 일어날 수 있다. 도 13은 대신에 그러한 시트의 변형을 도시하고, 여기서 프레임의 관통 구멍으로서 홈이 형성되고(따라서, 측면 개구는 더 이상 기술적으로 필요하지 않음): 이 경우에 스프링을 갖는 유연한 와이어 및 와이어 터미널의 대응하는 헤드는 와이어의 배출 개구와 마주보는 구멍을 통하여 방향 5를 따라서 세로로 삽입된다. 프레임 구멍으로의 와이어 및 스프링의 도입 후에 와이어 터미널의 록킹이 초래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는 도 10의 딱딱한 소켓(Q)의 사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프레임에서 데드 구멍(T)으로서 시트가 얻어지고 그 배출 개구가 스레딩되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이미 조립된 와이어 터미널-와이어-스프링 조립품이 방향 4를 따라 세로로 도입되고 외부 스레드 캡(S)에 의해 유지되고 와이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자유롭게 도입된다.

    도 14는 대신에 프레임에 고정된 와이어 터미널을 록킹하는 예시적인 방식을 도시한다. 와이어는 프레임의 데드 구멍으로 간단히 도입되어 와이어 도입 구멍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여진 그리핑 나사에 의해 록킹된다.

    와이어-스프링-와이어 터미널, 및 상술된 각각의 연결 변형 모두를 제공하는 그러한 구속 시스템에 의해 안경 프레임과 템플 바 사이의 본래의 관절형 연결이 성취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관절 부분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엔드피스(Z)로도 불리는 프레임 돌출부와 템플 바(U)의 기단부 사이에 척추골(V)로 불리는 복수의 형상화된 부재가 배열된다. 척추골의 수는 달성하고자 하는 관절의 특징에 의존하고, 하나만 있어도 가능하지만 3~4개가 바람직하다.

    형상화된 부재(V)는 다음에 설명되는 특정 형상을 갖고, 금속(알루미늄, 청동, 스테인리스 스틸, ...), 플라스틱, 나무 등의 각종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와이어 터미널을 갖는 와이어 시스템은 템플 바의 주축을 따라 정렬되는 다른 척추골 부재(V)를 통하여 통과하는 유연하고 연장불가 와이어에 의해 한쪽이 엔드피스(Z)에 다른쪽이 템플 바(U)에 고정된다. 더욱 용이한 조립을 위해, 도 1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엔드피스(Z) 상에 고정된 와이어 터미널이 제공되는 반면, 대응하는 스프링을 갖는 탄성 와이어 터미널이 템플 바에 하우징된다.

    추골(V)은 그 일련의 연결을 허용하고 관절형 조인트의 동작을 결정하는 특정 형상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따라서, 템플 바(U) 및 프레임의 엔드피스(Z)의 터미널 부분은 터미널 척추골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상화된다.

    도 1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척추골(V)은 볼록한 반원(또는 그보다는, 반원통형) 형상으로 특징지어지는 전면(VA), 및 대응하는 오목한 반원(또는 그보다는, 반원통형)으로 특징지어지는 후면(VB)을 제공하는 프리즈매틱 바디로 구성된다. 볼록면(VA) 및 오목면(VB)의 2개의 중심을 통과하는 평면은 척추골(V)의 세로 기준 평면을 이룬다.

    볼록한 전면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하지 않는 2개의 평탄면(V' 및 V'')이 측면에 있고: 사실상, 안경의 외측에 놓이도록 의도된 평탄면(V')은 세로 기준 평면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반면, 내측 평탄면(V'')은 세로 기준 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고, 특히 그것은 척추골(V)의 후방으로 개구되는 각도를 정의한다.

    또한, 뒤의 오목면(VB)은 내측을 향하는 면(V''') 및 외측을 향하는 면(V'''')의 2개의 평탄면이 측면에 있다. 이 2개의 평탄면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하고 세로 기준 평면에 직교하지만, 이롭게는 동일한 평면에 놓이지 않는다(도 17에서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추골(V)은 그것을 통하여 통과해야 하는 와이어의 수에 의거한 1개 이상이 구멍(Y)을 통하여 통과하게 한다. 도 15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척추골(V)은 세로 방향, 즉 사용시에 와이어가 놓이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1개의 구멍만을 통해서 통과하고; 도 16에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척추골은 2개의 구멍(관절 축의 방향에서 하나 위의 다른 하나) 또는 척추골의 높이에 따라 연장되는 하나의 구멍을 통하여 통과해서 2개의 와이어는 하나 위의 다른 하나를 통과한다.

    마지막 경우에 있어서, 관통 구멍은 도 22A ~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컷 아웃(cut-out)의 형상을 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이로운 조인트의 동작을 얻기 위해서 관통 구멍은 세로 기준 평면에 대하여 오프 센터링되고, 그들은 아마 척추골의 전방측의 방향으로으로 원뿔 또는 사면으로 더 개구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속 시스템의 와이어는 엔드피스(Z), 척추골(V) 및 템플 바(U) 사이에 완벽한 정렬의 직선 상태를 나타내는 도 19에 예시한 바와 같은 척추골의 구멍을 통하여 통과하게 된다. 개별의 척추골이 인접한 볼록면과 상호 보완적인 방식으로 협력되는 각 오목면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터미널 척추골은 템플 바(U) 또는 엔드피스(Z)의 단부 상에 상응하는 오목 또는 볼록면에 의해 유사하게 연결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는 같은 구멍의 큰 직경부에서 와이드 플레이로 통과하는 반면에 관통 구멍의 작은 직경부에서 자유롭게 통과한다.

    추골의 이 본래 구성은 스프링을 리턴함으로써 와이어의 응력이 척추골의 상호 회전을 발생시키고, 그것은 그들 각각의 반원통형의 에리어에 슬라이딩하고, 비스듬한 평면(V'')이 다음 척추골의 직각의 평면(V'''')과 비스듬해질 때까지 그들을 도 18의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배치하기 쉽다. 실제로, 이것은 연장선이 스프링(D)을 연장되게 하는 그러한 상태의 사실 때문에 안정된 자세이다.

    상태는 템플 바의 폐쇄 상태와 일치하는 도 18에 예시된다.

    이제 하나가 개방 포스를 템플 바(U)의 화살표(4)의 방향으로 적용하면 정지된 엔드피스(Z)를 유지하고, 척추골 템플 바와 스프링 어셈블리는 척추골이 각각 직각의 평면(V'-V''')과 인접해서 스톱할때까지 도 19의 연장된 상태로 리턴한다.

    와이어는 스프링(D)의 제 1 압축의 원인이 되는 척추골의 스트레이트닝 때문에 접촉한다.

    템플 바에 전하는 힘 사이의 이 밸런스와 척추골(V) 사이에 접촉은 템플 바(U)의 개방 상태를 확립했다.

    이제 하나가 이전의 하나(4)보다 큰 뉴 포스(5)를 엔드피스(Z)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템플 바(U)에 적용하면 척추골 템플 바와 스프링 어셈블리가 도 20의 오버 오픈된 상태로 이동한다. 이 포스(5)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스프링의 추가 압축의 원인이 되고, 척추골은 도 19의 평형 수준을 극복하고, 평면(V' 및 V''')의 코너에 대해 서로 인접하도록 유도된다.

    포스(5)를 릴리징하는 것은 오버 개구가 서로 충돌하는 스프링(D)의 코일에 의해 한정된다(소위, 스프링 압축된 "팩 유사" 조건).

    포스(5)를 릴리징하는 것은 스프링이 척추골 템플 바와 스프링 어셈블리를 도 18의 폐쇄 상태로 브링깅해서 연장되기 쉽다.

    도 16에 추가 실시형태는 엔드피스 척추골 템플 바와 스프링 어셈블리가 단일 U-형상 만곡된 와이어를 엔드피스(Z)에 구속 핀에 대해 포함하고, 2개의 스프링과 함께 2개의 탄성 와이어 터미널에 의해 2개의 단부에 구속되는 것이 도시된다. 2개의 와이어부는 안경이 정상적으로 닳은 방향을 참조해서 조인트된 하나를 다른 것 위에서 통과한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는 본 발명에 의한 조인트의 힌지축을 따라 다른 위에 한 개 놓여 있다.

    여기에 예시된 버전에서 엔드피스와 템플 바에서 하우징 시트에 대해 제공하는 것은 도 11을 참조해서 도시되는 방법으로 구속 시스템의 와이어 터미널을 도입할 수 있도록 횡단선으로 개방되어 장착과 탈착을 더 쉽도록 제공된다. 어셈블리의 끝에서 와이어는 각각 엔드피스(Z)와 템플 바(U)에 나사 고정된 2개의 플레이트나 작은 커버(J)에 의해 돌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더 제공된다.

    도 21은 같은 U-형상 만곡된 와이어에 2개의 스프링을 채용하는 이 실시형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이점의 결과를 예시한다. 횡단 포스(6)를 템플 바에 적용함으로써 척추골은 다른 것 위에 2개의 와이어 중 하나를 더 큰 인장력으로 배치하고, 각각의 에지를 따라 서로에 대해서 인접하는 서로를 향해서 개방할 수 있다. 사실상, 횡단 스트레스를 받는(돌발적인 충격의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일반적인 상황), 이 실시형태에 의한 템플 바는 손상없이 탄성적으로 유연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효과도 모든 방향으로 그 고유한 유연성 때문에 단일 와이어로만 얻는 것이 강조될 것이다.

    도 22A~23B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척추골의 다른 실시형태는 더블 와이어의 경우에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는 것이 도시된다. 각 척추골의 면에 오픈 슬릿은 탄성 구속 시스템의 와이어에 쉽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통해 규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3A 및 23B에서 측면의 오픈 슬릿의 에지 형상은 내부 돌출부를 제공한다. 이 형상은, 특히 위에 위치되는 하나와 아래에 위치되는 다른 하나에 척추골 내부의 각각의 시트에서 한 쌍의 와이어의 더 우수한 구속된 장점을 보증한다.

    여기에 제공된 가르침 때문에 추측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련의 추가 이점에 더해서 전문에 설명한 목적이 완벽하게 달성될 수 있다.

    안경 프레임에 적용될 때 본 발명의 탄성 구속 시스템은 렌즈의 쉬운 어셈블리가 툴의 도움 없이, 그리고 작지 않은 치수의 에러가 있는 곳에서 가능하다: 사실상, 스프링의 탄성 회복은 렌즈의 페리메트랄(perimetral) 변화에서도 본 발명의 구속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솔루션은 렌즈 아래에 놓여있는 그 전체 부분을 예시하기 위해 제거하는 것은 안경 프레임을 가볍게 할 수도 있다. 연장불가한 와이어가 메탈 와이어의 스트랜드로 구성된 경우에 프레임 컬러(colour)를 매칭하는 컬러 구조를 얻을 수 있고(갈바닉 처리), 유사한 렌즈-고정 효과를 얻는 페리메트랄 스레드의 탄성 신장 특성만 이용하는 다른 솔루션을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매우 다른 재료를 사용해서 다른 프레임부를 제조한다: 보다 자유롭게 제품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플라스틱, 메탈, 우드, 탄소 등.

    조인트 시스템에서 템플 바의 그 어플리케이션에서 본 발명은 매우 부드럽고 진보적인 동작을 발생한다. 바와 프레임 사이의 어떤 구조적인 플레이의 제거는 회전면 시트를 통해 연결된 요소 사이의 일정한 응력이 결정(셀프 안정화)되기 때문에 달성된다. 따라서, 완성된 조인트는 통상적인 피봇팅 나사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유지를 위한 어떤 필요도 상당히 감소시킨다. 관절 축에 의한 그것의 유연한 탄성 때문에 돌발적인 충격이나 부적절한 사용에 대해서도 고유한 일반적인 스터디니스(sturdiness)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다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는 일련의 척추골은 컬러 및/또는 지금까지 검토되지 않은 재료의 매칭으로 새로운 개발 범위를 개척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예시된 특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의 단지 제한되지 않는 실시예만 나타내지만 다수의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관련 분야의 당업자의 이해 범위 내에서 모든 변경이 가능한 것이 이해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