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

申请号 KR1020020075827 申请日 2002-12-02 公开(公告)号 KR1020030045616A 公开(公告)日 2003-06-11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 탑콘; 发明人 스즈끼야스오; 오가와요시마사;
摘要 PURPOSE: To provide a lens frame shape measuring device capable of measuring an accurate lens frame shape of a lens frame by changing a rotating speed and direction of a contact in response to the shape of the lens frame. CONSTITUTION: In the lens frame shape measuring device, the shapes of lens frames LF and RF are measured by a probe 216 abutting on lens edge grooves (lens frame grooves) 51 provided on the lens frames LF and RF of a spectacle frame MF. It is provided with an arithmetic control circuit 270 variably controlling a rotating speed and direction of the probe 216.
权利要求
  • 안경 프레임의 렌즈테두리 홈에 접촉하는 접촉자에 의해, 이 렌즈테두리의 형상을 측정하는 테두리형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방향을 가변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지시하는 시간간격으로 상기 렌즈테두리 홈에 접촉하면서 회동하도록 상기 접촉자의 화전속도를 가변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
  •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으로 가압하는 설정 스위치의 시간간격으로 상기 렌즈테두리 홈에 접촉하면서 회동하도록 상기 접촉자의 회전속도를 가변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
  • 说明书全文

    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APPEARANCE OF LENS FRAME}

    본 발명은 안경프레임의 렌즈테두리의 형상를 접촉자에 의해 측정하기 위한 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안경프레임의 렌즈테두리 홈에 접촉자를 접촉시켜서 렌즈테두리형상을 측정하기 위한 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가 발명되어 왔다.

    한편, 안경프레임의 렌즈테두리에는 테에 끼워지는 안경렌즈의 광축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림의 폭이 좁고, 외력에 의해 쉽게 일그러지고 변형되기 쉬운 것도 있다. 또 안경프레임의 렌즈테두리로서는 가령 정면에서 보아 세로방향으로의 폭이 극단적으로 좁은 게눈 렌즈테두리를 갖는 안경프레임이 있다. 이와 같은 게눈 렌즈테두리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림의 폭이 좁고 변형되기 쉬운 것도 있다.

    이 때문에 림의 폭이 좁고 변형되기 쉬운 게눈 렌즈테두리를 상술한 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에 의해 측정할 때, 접촉자의 회전방향이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일정하면 일그러지기 쉬운 렌즈테두리, 가령 게눈 렌즈테두리의 코접촉 부분 또는, 귀걸림 부분이 변형되어 버려서, 게눈 렌즈테두리의 정확한 렌즈테두리 형상을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 발명은 렌즈테두리의 형상에 따라서 접촉자의 회전속도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렌즈테두리의 정확한 렌즈형상을 측정할 수 있는 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관한 안경렌즈의 적합 판정장치의 제어회로이다.

    도 2의 (a)는 도 1에 나타낸 제어회로를 갖는 안경렌즈의 적합 판정장치의 개략 사시도, (b)는 도 1, 도 2(a)에 나타낸 제어패널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a)에 나타낸 프레임형상 측정장치의 제어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a)에 나타낸 프레임형상 측정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도 2 (a), 도 4에 나타낸 프레임형상 측정장치의 요부사시도, (b)(c)는 (a)의 원통축과 조작축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d)는 유지손톱의 설명도이다.

    도 6의 (a)∼(c)는 도 2 (a), 도 4, 도 5에 나타낸 프레임형상 측정장치의 안경테 유지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7의 (a), (b)는 프레임형상 측정장치의 프레임형상 측정부 등의 설명도이다.

    도 8의 (a), (b)는 프레임형상 측정장치의 프레임형상 측정부 등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2(a)에 나타낸 옥접기의 렌즈두께 측정부의 설명도이다.

    도 10의 (a), (b), (c)는 도 9에 나타낸 필러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1의 (a)∼(c)는 프레임형상 측정장치의 측정부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2는 림두께 측정을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측정자가 렌즈테두리를 따라 일주하는 시간을 설정할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게눈 렌즈의 측정을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프레임형상 측정장치와 옥접기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6은 이 발명의 프레임형상 측정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측정압 변경을 위한 플레이트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9는 렌즈테두리의 측정결과 표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

    13 : 스타트 스위치(설정 스위치)

    51 : V형 홈(렌즈테두리 홈)

    216 : 측정자 (접촉자)

    270 : 연산 제어회로 (제어수단)

    MF : 안경테(안경프레임)

    LF, RF : 렌즈테두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은, 안경프레임의 렌즈테두리 홈에 접촉하는 접촉자에 의해, 이 렌즈테두리의 형상을 측정하는 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방향을 가변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한 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지시하는 시간간격으로 상기 렌즈테두리 홈에 접촉하면서 회동하도록 상기 접촉자의 회전속도를 가변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으로 가압하는 설정스위치의 시간간격으로 상기 렌즈테두리 홈에 접촉하면서 회동하도록 상기 접촉자의 회전속도를 가변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의 한 실시예를 도면을 토대로 설명한다.

    도 2(a)에서, 1은 프레임형상 측정장치, 2는 프레임형상 측정장치(1)에서의 안경용 형상데이터를 근거로 피가공 렌즈를 안경렌즈의 형상으로 연삭(硏削)가공하는 옥접기(렌즈둘레 가공장치)이다.

    (1)프레임형상 측정장치 1

    프레임형상 측정장치(렌즈테두리형상 데이터 입력수단)(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면(10a)의 중앙에 개구(10b)를 갖는 측정장치 본체(10)와, 측정장치 본체(10)의 윗면(10a)에 설치된 스위치부(11)를 갖는다. 이 스위치부(11)에는 좌우의 측정모드 전환용의 모드 전환스위치(12), 측정개시용의 스타트 스위치(13) 및 데이터 전송용의 전송 스위치(14)를 갖는다.

    또한, 이 모드 전환장치(12)의 좌측부에는, 측정되는 렌즈테두리가 좌측임을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diode)(LED1)와, 측정되는 렌즈테두리가 우측임을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LED2)가 배치되어 있다. 또, 측정 개시용의 스타트 스위치(13), 및 데이터 전송용의 전송 스위치(14)의 상측부에는 발광 다이오드(LED3, LED4)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형상 장치(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안경테(안경프레임) (MF)의 좌우 렌즈테두리(LF, RF)를 유지하는 안경테(안경프레임) 유지기구(유지수단)(15, 15') 및 그 조작기구(16)(도 5(a)참조)를 갖는 동시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측정부 이동기구(100) 및 이 측정부 이동기구(100)로 지지된 프레임형상 측정부(프레임형상 측정수단)(200)를 갖는다. 이 측정부 이동기구(100) 및 프레임형상 측정부(200)는 측정부 이동기구(접촉자 이동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 측정부 이동기구(100)는 프레임형상 측정부(200)를 안경테 유지기구(15, 15')사이로 이동시키는 것이며, 프레임형상 측정부(200)는 안경테(MF), 즉 안경테(MF)의 렌즈테두리(LF, RF)의 형상측정을 행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안경테 유지기구(15, 15'), 조작기구(16), 측정부 이동기구(100), 프레임형상 측정부(200)등은 측정장치 본체(10)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 도 7에서 (101)은 측정장치 본체(10)의 하부내에 배치된 섀시이다. 또, 도 5에서 17, 18은 섀시(101)에 도시하지 않은 부분으로 상하를 향해서 고정되면서 서로 평행으로 설치된 지지테, 19는 지지테(18)의 외면(지지테(17)와는 반대측의 면)에 돌출 설치된 걸림핀, 20은 지지테(18)의 상단부에 설치된 원호형상 슬릿(slit), 21, 22는 지지테(17, 18)에 설치된 장착구멍이다. 이 장착구멍(22)은 원호형상 슬릿(20)과 걸림핀(19)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원호형상 슬릿(20)은 장착구멍(22)과 동심으로 설치되어 있다.

    <조작기구16>

    조작기구(16)는 지지테(17, 18)의 장착구멍(21, 22)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축(23)과, 조작축(23)의 일단부(지지테(18)측의 단부)에 고정된 종동기어(24)와, 지지테(18) 및 측정장치 본체(10)의 정면(10c)을 관통하는 회전축(25)과, 회전축(25)의 일단부에 고정되(또는 일체로 설계되)면서 종동기어(24)에 치합되는 구동기어(26)와 회전축(25)의 타단부에 장착된 조작레버(27)를 갖는다. 도면에서, 23a는 조작축(23)에 형성한 편평부로, 이 편평부(23a)는 조작축(23)의 양단부 근방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 측정장치 본체(10)에는 윗면(10a) 및 정면(10c)에 걸치는 요(凹)부(28)가 형성되고, 이 요부(28)의 윗면에는 원호형상의 돌출부(29)가 형성되고, 윗면(10a)에는 돌출부(29)의 좌우에 위치시킨 「개(開)」, 「폐(閉)」가 부착되어있다. 그리고 요부(28)의 정면에, 상술한 조작레버(27)가 배치되어서, 조작레버 (27)의 상단부에 형성된 절곡부 즉, 지시부(27a)가 돌출부(29)위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종동기어(24)와 걸림핀(19)의 사이에는 테유지(상술한「폐」에 대응) 및 테유지 해제(상술한 「개」에 대응)를 행하게 하는 2위치 유지기구(2위치 유지수단)(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2위치 유지기구(30)는 상술한 원호형상 슬릿(20)과 종동기어(24)의 측면에 돌출 설치되면서 원호형상 슬릿(20)을 관통하는 가동핀(31)과, 가동핀(31)과 걸림핀(19)의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인장 코일 스프링)(32)을 갖는다. 이 원호형상 슬릿(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구멍(22)와 동심으로 되어 있으므로, 종동기어 (24), 조작축(23)과도 동심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동핀(31)은 스프링(32)의 인장력에 의해 원호형상 슬릿(20)의 양단부(20a, 20b)의 어느 한 방향으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조작기구(16)는 조작축(2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반경방향으로는 약간 상대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한쌍의 원통축(33, 33)을 갖는다. 이 원통축(33)내의 절단 원형상 삽입공(33a)의 편평부(33b)와 조작축(23)의 편평부(23a)의 사이에는 도 5(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간의 간격(S)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축(33, 33)에는 자기의 탄성력에 의해 신축가능한 탄성부를 갖는 끈형상체 (34)(도 5(a)에서는 한쪽만을 도시)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 끈형상체(34)는 원통축(33)에 일단부가 고정된 스프링(탄성부)(35)과 스프링(35)의 타단부에 연결된와이어(36)를 갖는다.

    <테유지 기구(15, 15')>

    이 테유지 기구(15, 15')는 같은 구조이므로, 테유지 기구(15)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테유지 기구(15)는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서로 상대접근·이격 가능하게 측정장치 본체(10)내에 유지된 한쌍의 가동테(37, 37)를 갖는다. 이 각 가동테(37)는 수평판부(38)와 이 수평판부(38)의 일단부에 상하를 향하여 연결된 연직(鉛直)판부(39)로부터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직판부(39)에는 원통축(33)이 회전 가능하면서 축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유지되어 있다.

    또, 테유지 기구(15)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테(37, 37)의 수평판부 (38, 38)사이에 장착된 인장 코일 스프링(40)과, 수평판부(38)의 선단 가장자리 부분의 중앙에 고정된 지지판(41)과, 지지판(41)의 수평판부(38)상방으로 돌출하는 부분과 연직판부(39)의 사이에 배치된 손톱장착판(42)을 갖는다. 이 손톱장착판 (42)은 일측부(42a)의 축형상의 지지돌출부(42c)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판 (41)과 연직부(39)에 유지되어 있다. 또, 손톱장착판(42)의 후부측의 축형상 지지돌출부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이 손톱장착판(42)의 타측부(42b)의 선단에는 축형상이며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의 유지손톱(43)이 돌출 설치되고, 손톱장착판(42)의 타측부의 후단부에는 축형상의 유지손톱(44)의 후단부가 지지축(45)으로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 유지손톱(44)은, 베이스부(44a)가 도 5 (d)에 나타낸 바와 같이방형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선단부가 끝이 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지지축(45)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유지손톱(43)에 대하여 상대접근·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유지손톱(44)의 선단부와 손톱장착판(42)과는 지지축(45)에 감겨진 도시하지 않은 토션(torsion)스프링으로, 상시 열린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또, 연직판부(39)에는 유지손톱(44)의 상방에 위치시킨, L자형상의 걸어맞춤손톱(46)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손톱(46)의 선단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에지형상 손톱부(46a)는 유지손톱(44)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손톱유지판(42)의 타측부(42b)가 일측부(42a)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시켜지면, 유지손톱(43, 44)의 간격이 토션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좁혀지도록 되어 있다. 또,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손톱(46)의 에지형상 손톱부(46a)는, 유지손톱(44)의 대략 중앙부에 걸어맞춤된다. 또, 걸어맞춤손톱(46)과 원통축(33)의 사이에는 연직판부(39)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시킨 아이들 풀리(idle pulley)(4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아이들 풀리(47)에는 상술한 와이어 (36)가 지지되고, 와이어(39)의 단부가 양측부(42a, 42b)사이에 위치되어 손톱장착부(42)에 고정되어 있다.

    또, 각 가동테(37, 37)는 대향부측이 도 4, 도 6에 나타낸 프레임 가이드부재(48)로 커버되어 있다. 이 프레임 가이드부재(48)는 수평판부(38)의 선단에 고정된 연직판부(48a)와 연직판부(39)의 상단에 고정된 수평판부(48b)와 판부(48a, 48b)가 연결되는 코너에 연결되면서 수평판부(48b)측으로 경사지는 경사 가이드판부(48c)를 갖는다. 그리고 연직판부(48a)에는 유지손톱(43, 44)에 대응하여 개구 (48d)가 형성되고, 유지손톱(44)은 개구(48d)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 유지손톱 (43)의 선단부는 유지손톱(44, 43)이 도 6 (a), (b)와 같이 최대로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개구(48d)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프레임 가이드부재(48, 48)의 경사 가이드판부 (48c, 48c)는 상단을 향함에 따라서 서로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안경의 안경테(안경프레임)(MF)를 도 6 (a)과 같이 경사 가이드판부(48c, 48c)사이에 배치하고, 안경테(MF)를 코일 스프링(4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위에서부터 눌러 내리면, 경사 가이드판부(48c, 48c)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 프레임 가이드부재(48, 48)의 간격이 넓어져서, 안경테(MF) 즉 안경테(MF)의 렌즈테두리(LF, RF)가 유지손톱(43, 43)위까지 이동되어 유지손톱(43, 43)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레버(27)를「개」위치에서「폐」위치로 회동조작하면, 이 회동이 회전축(25), 기어(26, 24), 조작축(23)을 개재하여 원통축(33)에 전달되고 스프링(35)의 일부가 원통축(33)에 감김으로써, 스프링(35)에 연결된 와이어(36)를 개재하여 손톱장착판(42)이 한측부(42a)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되어 유지손톱(43, 44)의 간격이 도 6(c)과 같이 좁혀지고, 안경테(MF) 즉 안경테(MF)의 렌즈테두리(LF, RF)가 도 6(c)과 같이 유지손톱(43, 44)사이에 유지된다. 이 위치에서는 가동핀(31)이 원호형상 슬릿(20)의 하단부(20a)에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되게 된다.

    또, 안경테(MF) 즉 안경테(MF)의 렌즈테두리(LF, RF)를 유지손톱(43, 44)사이에서 떼어낼 경우에는, 조작레버(27)를 상술한 바와 반대로 조작함으로써 각 부재가 상술한 바와 반대로 작용한다.

    <측정부 이동기구(100)>

    이 측정부 이동기구(100)는 테유지 기구(15, 15')의 배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섀시(101)위에 고정된 지지판(102, 103)과 지지판(102, 103)사이의 상부에 도 7의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수평으로 걸쳐진 가이드 레일(104)을 갖는다. 또, 이 가이드 레일(104)은 2개 설치되어 있지만, 다른 쪽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또, 이 2개의 가이드 레일(104)(다른 쪽의 도시는 하지 않음)은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 7, 도 8은 도 4의 측정부 이동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측정부 이동기구(100)는 가이드 레일(104)이 연장되는 수평방향으로 진퇴(進退)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레일(104)(다른 쪽은 도시하지 않음)에 유지된 슬라이드 베이스(105)와 가이드 레일(104)(다른 쪽은 도시하지 않음)사이의 하방에 위치되어, 지지판(102, 102)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리드 스크류(lead screw) (106)와 리드 스크류(106)를 회전구동하는 측정부 이동용 모터(107)를 갖는다.

    또, 리드 스크류(106)는 가이드 레일(104)과 평행으로 설치되고, 측정부 이동용 모터(107)는 섀시(101)에 고정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베이스(105)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직판부(105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연직판부(105a)의 도시하지 않은 수(雄)나사부에는 리드 스크류(106)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드 스크류(106)를 회전조작함으로써, 슬라이드 베이스(105)가 도 7중 좌우로이동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서, 108은 섀시(101)의 좌측단 상에 고정된 상하로 연장되는 지지판, 109는 지지판(108)의 상단에 좌단이 부착된 홀더 지지편, 110은 홀더 지지편(109)의 선단부 측면에 장착된 마이크로 스위치(센서)이다. 이 마이크로 스위치(110)는 프레임 테형상(옥형(玉型)형상)으로 형성된 형판(型板) 혹은 데모렌즈 등의 옥형을 유지하는 옥형 홀더(111)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 마이크로 스위치(110)는 도 5의 지지테(17 혹은 18)에 장착되어, 유지손톱(43, 44)이 옥형 홀더(111)를 유지할 때에, 가동테(37, 37)가 접촉함으로써 옥형 홀더(111)를 검출해도 된다.

    이 옥형 홀더(111)는 옥형 유지판부(111a)와, 이 옥형 유지판부(111a)의 일단부에 하방을 향해서 연결된 필러(filler)기립용 판부(111b)에서부터 단면형상이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옥형 유지판부(111a)에는 옥형유지 보스부 (111c)가 일체로 설치되고, 옥형유지 보스부(111c)에는 옥형(112)이 유지되어 있다.

    도 7에서, 113은 옥형 유지판부(111a)의 타단에 유지된 고정나사로, 이 고정나사(113)에 의해 옥형 유지판부(111a)를 홀더 지지편(109)의 선단부 상에 고정하면, 옥형 유지판부(111a)가 마이크로 스위치(110)의 감지레버(110a)에 닿아서, 옥형(112)이 측정가능 상태인 것이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형상 측정부(200)>

    도 7에 나타낸 프레임형상 측정부(200)는, 슬라이드 베이스(105)를 상하로 관통하면서 이 슬라이드 베이스(105)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회전축(201)과, 회전축(201)의 상단부에 장착된 회전 베이스(202)와, 회전축(201)의 하단부에 고정된 타이밍 기어(203)와, 회전축(201)에 인접해서 슬라이드 베이스(105)위에 고정된 베이스 회전모터(204)와, 회전모터(204)의 회전모터(204)의 출력축(204a)에 고정된 타이밍 기어(205)와, 타이밍 기어(203, 205)사이에 걸쳐진 타이밍 벨트(206)를 갖는다. 또, 출력축(204a)은 슬라이드 베이스(105)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207, 208은 회전베이스(202)의 양단부에 돌출설치된 지지판이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베이스(202)는 수평 회전 가능하게 슬라이드 베이스(105)에 유지되어 있다.

    또, 프레임형상 측정부(200)는 계측부(210)와, 측정자 위치결수단(250)을 갖는다.

    <계측부(210)>

    계측부(210)는 지지판(207, 208)의 상부 사이에 걸쳐진 2개의 가이드 레일 (211)(다른쪽은 도시하지 않음)과 이 가이드 레일(211)(다른쪽은 도시하지 않음)에 길이방향(수평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 상측 슬라이더(212)와, 상측 슬라이더(212)의 이동방향의 일단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측정축(213)과, 측정축(213)의 하단부에 유지된 롤러(214)와, 측정축(213)의 상단부에 설치된 L자형상 부재(215)와, L자형상 부재(215)의 상단에 설치된 측정자(필러)(216)를 갖는다. 이 측정자(접촉자)(216)의 선단은 측정축(213)의 축선과 일치되어 있다. 또, 이 측정축(213)은 상측 슬라이더(212)에 상하 작동 가능하면서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계측부(210)는 상측 슬라이더(212) 및 측정자(접촉자)(216)의 가이드 레일(211)을 따르는 이동량(동경(動徑) ??i)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동경 측정수단(접촉자 이동량 검출수단, 림폭 측정수단)(217)과, 측정축(213)의 상하방향(Z축방향)의 이동량, 즉 측정자(216)의 상하방향의 이동량(Zi)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측정수단(218)을 갖는다.

    이 측정수단(217, 218)에는 마그네 스케일(digital gate)이나 리니어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조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 계측부(210)는 상측 슬라이더(212)의 타단부 상에 배치되면서 수평단면이 어묵 형상으로 형성된 옥형용 측정자(219)와, 옥형용 측정자(219)를 상측 슬라이더(212)의 이동방향으로 기립하거나 누울 수 있게 상측 슬라이더(212)의 타단부 상의 돌출부(212a)에 장착되어 있는 회동축(220)을 갖는다.

    이 옥형용 측정자(219)는 회전축(220)의 근방에 위치하고 측정면측과는 반대측에 돌출하는 기립구동편(219a)과, 상측 슬라이더(212)의 측방으로 돌출하는 스위치 조작편(219b)을 갖는다. 이 상측 슬라이더(212)의 측면과 기립구동편(219a)의 베이스부 측면의 사이에는 스프링(221)이 장착되어 있다. 또, 스프링(221)은 옥형용 측정자(219)가 도 7(a)과 같이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스프링(221)이 회동축 (220)의 상방에 위치하여, 옥형용 측정자(219)를 누운 위치에 유지함과 동시에, 옥형용 측정자(219)가 도 7(b)과 같이 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스프링(221)이 회전축(220)의 하방에 위치하여, 옥형용 측정자(219)를 기립위치로 유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이 기립위치에서, 옥형용 측정자(219)는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stopper)에 의해 도 7에서 우측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상측 슬라이더(212)의 측면에는, 옥형용 측정자(219)가 눕혀져 있는 것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의 마이크로 스위치(센서)(222)와, 옥형용 측정자(219)가 기립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의 마이크로 스위치(센서)(223)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7(a)의 상태에서, 측정부 이동용모터(107)를 작동시키고 슬라이드 베이스(105)를 도 7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기립구동편(219a)의 선단이 옥형 홀더(111)의 옥형 필러 기립용 판부(111b)에 닿아, 스프링(221)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옥형용 측정자(219)가 회동축(22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 회동에 따라 스프링(221)이 회동축(220)을 넘어서 상방으로 이동하면, 이 스프링(221)의 탄성력에 의하여 옥형용 측정자(219)가 기립되고, 이 옥형용 측정자 (219)가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와 스프링(221)의 작용에 의해 기립위치에 도 7(b)과 같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 스위치(222)는 옥형용 측정자(219)가 눕혀질 때에 옥형용 측정자(219)의 측정면에서 직접 ON되고, 마이크로 스위치(223)는 옥형용 측정자(219)의 기립시에 스위치 조작편(219b)에 의해 ON되도록 되어 있다. 208a는 지지판(208)에 설치된 스토퍼, 224는 지지판(208)에 장착된 아암(arm), 225는 아암(224)의 선단부에 장착된 마이크로 스위치(센서)이다. 이 마이크로 스위치(225)는 상측 슬라이더 (212)가 슬라이더 스토퍼(208a)에 접촉했을 때에 ON되어, 상측 슬라이더(212)의 초기위치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측정력 조정수단 (PS)>

    이 측정력 조정수단(측정력 변경수단, 가압력 조정수단)(PS)은 지지판(207, 208)의 하부 사이에 걸쳐지면서 가이드 레일(211)과 평행으로 설치된 2개의 가이드 레일(251)(다른쪽은 도시하지 않음)과 아암(224)의 하방에 위치되어 가이드 레일 (251)(다른쪽은 도시하지 않음)에 길이방향(상측 슬라이더(212)와 동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 제 1하측 슬라이더(400)와, 이 하측 슬라이더(400)의 하방에 위치되고, 회전 베이스(202)에 고정된 구동모터(401)를 갖는다. 이 제 1하측 슬라이더(400)의 밑면에는 랙톱니(402)가 이동방향으로 배열되고, 구동모터(401)의 출력축(401a)에는 랙톱니(402)에 치합되는 기어(403)가 고정되어 있다. 또, 아암 (224)에는 제 1슬라이더(400)의 이동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 1슬라이더의 위치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404, 405)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 지지판(207)의 상부측면에는 풀리(pulley)(226)가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측 슬라이더(212)의 일단부에 와이어(227)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와이어 (227)의 타단부에 스프링(228)의 일단부가 걸려있고, 스프링(228)의 타단부가 제 1슬라이더(400)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 와이어(227)는 풀리(226)에 걸쳐져 있다.

    <측정자 위치결수단(250)>

    이 측정자 위치결수단(250)은 상술한 2개의 가이드 레일(251)(다른쪽은 도시하지 않음)과, 가이드 레일(251)(다른쪽은 도시하지 않음)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 제 2하측 슬라이더(252)와, 이 하측 슬라이더(252)의 하방에 위치시키고 회전 베이스(202)에 고정된 구동모터(253)와, 구동모터(253)에 근접되고 회전베이스(202)의 측면의 대략 중앙부 부근에 돌출 설치된 걸림핀(스토퍼)(254)을 갖는다.

    하측 슬라이더(252)의 밑면에는 랙톱니(255)가 이동방향으로 배열되고, 하측 슬라이더(252)의 측면에는 이동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걸림핀(스토퍼)(256, 257)이 돌출 설치되고, 구동모터(253)의 출력축에는 랙톱니(255)와 치합되는 기어(258)가 고정되어 있다. 또, 걸림핀(256)은 걸림핀(257)보다도 약간 상방에 위치되고, 하측 슬라이더(252)의 측방에는 축승강(昇降) 조작부재(259)가 배치되어 있다.

    이 축승강 조작부재(259)는, 걸림핀(256, 257)사이에 배열된 장편(259a)과, 긴 변(259a)의 하단에 하방으로 기울어져서 일체로 형성된 단편(259b)으로부터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축승강 조작부재(259)는 절곡부 부분이 회동축(260)에 의해 하측 슬라이더(252)의 측면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단편(259b)의 선단부와 하측 슬라이더(252)의 측면 상부의 사이에는 스프링(261)이 장착되어 있다.

    이 스프링(261)은 장편(259a)이 걸림핀(256)에 접촉하고 있는 위치에서는, 회동축(260)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걸림핀(256)에 장편(259a)을 밀어붙이고, 장편 (259a)이 걸림핀(257)에 접촉하고 있는 위치에서는, 회동축(260)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걸림핀(257)에 장편(259a)을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다.

    또, 하측 슬라이더(252)의 일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판(262)이 설치되고, 이 지지판(262)에는 상단부를 관통하는 가압축(263)이 하측 슬라이더(252)의 이동방향으로 진퇴 작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 가압축(263)의 일단부에는이탈방지용 리테이너(retainer)(264)가 장착되며, 가압축(263)의 타단부에는 상측 슬라이더(212)의 일단부 단면(212b)에 면하는 직경이 큰 가압부(263a)가 일체로 설치되고, 이 대경(大徑)부(263a)와 지지판(262)의 사이에는 가압축(263)에 감겨진 스프링(265)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압부(263a)는 상측 슬라이더(252)의 일단부 단면(212b)에, 스프링(228, 265)의 탄성력(가압력)으로 접촉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프레임형상 측정장치(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경테(F) 또는 옥형형상을 각도 θi에 대한 동경 ρi로서 구하고, 즉 극좌표 형식의 렌즈형상 정보(θi, ρi)로서 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옥형형상 측정장치의 제어회로>

    상술한 모터 전환스위치(12), 측정개시용의 스타트 스위치(13), 및 데이터 전송용 전송 스위치(14)로부터의 조작신호(ON·OFF신호)는, 도 3에 나타낸 연산 제어회로(제어 수단)(270)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 각각의 스위치(12, 13, 14)에 대응하는 발광 다이오드(LED1~4)는 연산 제어회로(270)에 의해 작동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술한 마이크로 스위치(110, 222, 223, 225, 404, 405)등으로부터의 검출신호는 도 3에 나타낸 연산 제어회로(제어수단)(270)에 입력되고, 동경 측정수단 (217)으로부터의 측정신호 및 측정수단(218)으로부터의 측정신호는 연산제어 회로 (270)에 입력된다.

    또, 이 연산 제어회로(270)는 측정부 이동용모터(107), 베이스 회전모터 (204), 구동모터(253, 401)를 구동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 연산 제어회로(270)에는 측정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기억수단)(271)가 접속되어 있다. 이 연산 제어회로(270)는 프레임형상 인식수단 및 측정 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한다.

    (2) 옥접기(玉摺機)(2)

    옥접기(2)는 도 2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가공 렌즈의 테두리 주변을 연삭(硏削)가공하는 가공부(60)(상세 도시 생략)를 갖는다. 이 가공부(60)에는 캐리지(carriage)(도시하지 않음)의 한쌍의 렌즈 회전축(304, 304)에 피가공 렌즈(L)(도 9 참조)를 유지시키고, 이 렌즈 회전축(304, 304)의 회동과 캐리지의 상하회동을 렌즈형상 정보(θi, ρi)에 근거하여 제어하여, 피가공 렌즈의 테두리 주변을 회전하는 연삭숫돌로 연삭 가공하는 것이다. 이 구조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옥접기(2)는 조작 패널부(키보드)(61)를 데이터 입력수단으로 갖고, 액정표시 패널(표시장치)(62)을 표시수단으로 가짐과 동시에, 가공부(60), 액정표시 패널(62)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제어수단)(63)(도 1 참조)를 갖는다.

    또, 옥접기(2)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형상 측정장치(1)에 의해 측정된 옥형형상 정보 즉 렌즈형상 정보(θi, ρi)에 근거하여 피가공 렌즈의 코버두께를 측정하는, 렌즈두께 측정장치(렌즈두께 측정수단)(300)를 갖는다.

    이 렌즈두께 측정장치(300)의 구성·작용은 특허출원 평1-9468호에 상술한 바와 같다.

    <렌즈두께 측정수단>

    이 렌즈두께 측정수단(렌즈 코버두께 측정수단)으로서의 렌즈두께 측정장치(코버두께 형상 데이터 입력수단)는 펄스모터(pulse motor)(336)의 구동에 의해 전후 이동되는 스테이지(stage)(331)를 갖는다. 또, 렌즈두께 측정장치는 피가공 렌즈(L)를 협지(挾持)하기 위하여 스테이지(331)에 설치된 필러(332, 334)를 갖는다. 이 필러(332, 334)는 스프링(338, 338)에 의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항상 렌즈(L)에 앞면(전(前)굴절면) 및 뒷면(후(後)굴절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필러(332, 334)는,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반경(r)의 원판(332a, 334a)을 갖고 있다. 또, 렌즈두께 측정장치는 필러(332, 334)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인코더(333, 335)를 갖는다.

    한편, 도시하지 않은 캐리지의 렌즈 회전축(304, 304)은 펄스모터(337)에 의해 회전구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렌즈 회전축(304, 304)에 렌즈(L)가 협지되어 있다. 그 결과, 렌즈(L)는 펄스모터(337)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또, 렌즈(L)의 광축(OL)은 회전축(304, 304)의 축선과 일치되어 있다.

    펄스모터(337)에는 메모리(90)로부터의 동경정보(ρi, θi의 내, 각도 정보 θi')가 입력되고, 그 각도에 따라 렌즈(L)를 기준위치로부터 각도(θi)회전시킨다. 또 한편, 펄스모터(336)에는 동경길이(ρi)가 입력되고, 스테이지(331)를 개재하여 필러(332, 334)의 원판(332a, 334a)을 전후 이동시켜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축(OL)로부터 동경길이(ρi)의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이 위치에서의 필러(332, 334)의 도 10(A)의 이동량(ai, bi)을 인코더(333, 335)가 검출하고, 이 인코더(333, 335)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연산/판정회로(91)에 입력된다.

    연산/판정회로(91)는 bi-ai=Di, Di-2r=Δi를 계산하여 렌즈두께 Δi를 계산한다.

    <제어수단 등>

    조작패널부(61)에는 도 2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테두리의 원주 가장자리 및 렌즈 테두리 주변의 V형 연삭가공을 위한「오토」모드와 매뉴얼 조작용의「모니터」모드 등의 전환을 실행하는 가공코스용 스위치(64), 안경테(프레임)재질 선택을 위한 「프레임」모드용 스위치(65), 구(舊)렌즈를 활용하여 새로운 프레임으로 교환하는 가공을 위한 「테교환」모드용의 스위치(66), 렌즈면 가공을 위한 「렌즈면」모드용 스위치(67)가 설치되어 있다.

    또, 조작패널부(61)에는 동공간 거리(PD), 프레임 기하학 중심거리(FPD), 상부 기울임량(UP)등의 「입력변경」모드용 스위치(68), 「+」입력 설정용 스위치 (69), 「-」입력 설정용 스위치(70), 커서(cursor)테(71a)의 이동조작용 커서키 (71), 렌즈재질이 유리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72), 렌즈재질이 플라스틱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73), 렌즈재질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74), 렌즈재질이 아크릴수지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7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조작패널부(61)에는「좌」렌즈 연삭가공용 스위치(76), 「우」렌즈 연삭가공용 스위치(77)등의 스타트 스위치, 「재마무리/시도」모드용 스위치(78), 「숫돌회전」용 스위치(79), 스톱용 스위치(80), 데이터 요구용 스위치(81). 화면용 스위치(82), 가공부(60)에 있어서 한쌍의 렌즈 회전축 간의 개폐용 스위치(83, 84) 및 렌즈두께 측정개시용 스위치(85), 설정스위치(86)등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회로(6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형상 측정장치(1)로부터의 렌즈형상 정보(θi, ρi)를 기억하는 렌즈테두리형상 메모리(90)와, 이 렌즈테두리형상 메모리(90)로부터의 렌즈형상 정보(θi, ρi)가 입력되는 연산/판정회로 (연산 제어회로(연산수단))(91)와 흡착반(吸着盤)형상 메모리(92)와 연산/판정회로 (91)로부터의 데이터나 흡착반형상 메모리(92)로부터의 데이터를 근거로 화상 데이터를 구축하고 액정 표시패널(표시수단)(62)에 화상 및 데이터를 표시시키는 화상 형성회로(93)와, 화상 형성회로(93), 조작패널부(V 형상 데이터 입력수단)(61), 경고부저(62)등을 연산 제어수단인 연산/판정회로(91)로부터의 제어지령에 의해 제어하는 제어회로(94)와, 연산/판정회로(91)에 의해 구해진 가공 데이터를 기억하는 가공 데이터 메모리(95)와, 가공 데이터 메모� ��(95)에 기억된 가공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술한 가공부(60)의 작동제어를 하는 가공 제어부(96)를 갖는다.

    「작용」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 장치의 연산 제어회로(270) 및 연산/판정회로(연산 제어회로)(91)에 의한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i)안경테(안경프레임)(MF)의 프레임형상 측정장치(1)에 있어서의 유지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안경의 안경테(안경프레임)(MF)의 형상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도 9, 10에 나타낸 옥형 홀더(111)를 홀더 지지편(109)으로부터 떼어내 둔다. 또, 이와 같은 구성에서 프레임 가이드부재(48, 48)의 경사 가이드판부(48c, 48c)는 상단을 향함에 따라서 서로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안경의 안경테(안경프레임)(MF)를 도 6 (a)와 같이 경사 가이드판부(48c, 48c)사이에 배치하고 안경테(MF)를 코일 스프링(4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위에서부터 눌러내리면, 경사 가이드판부(48c, 48c)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 프레임 가이드부재(48, 48)의 간격 즉 가동테(슬라이더)(37, 37)의 간격이 넓어지고, 안경테(MF)의 림(rim) 즉 안경테(MF)의 렌즈테두리(LF, RF)가 유지손톱(43, 43)위까지 이동되어 유지손톱(43, 43)에 걸어맞춤된다. 이 위치에서는 렌즈테두리(림)(LF), (RF)의 상하에 위치하는 부분이 프레임 가이드부재(48, 48)의 연직판부(48a, 48a)사이에서 코일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레버(27)를「폐」위치에서「개」위치로 회동조작하면, 이 회동이 회전축(25), 기어(26, 24), 조작축(23)을 개재하여 원통축(33)으로 전달되어 스프링(35)의 일부가 원통축(33)에 감김으로써, 스프링(35)에 연결된 와이어(36)를 개재하여 손톱장착판(42)이 일측부(42a)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어 유지손톱(43, 44)의 간격이 도 6 (c)와 같이 좁혀지고, 안경테(MF)의 림 즉 안경테(MF)의 렌즈테두리(LF, RF)는 도 6 (c)과 같이 유지손톱(43, 44)사이에 유지된다. 이 위치에서는, 가동핀(31)이 원호형상 슬릿(20) 하단부(20a)에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되게 된다.

    또, 안경테(MF)의 림, 즉 안경테(MF)의 렌즈테두리(LF, RF)를 유지손톱(43, 44)사이에서 떼어낼 경우에는, 조작레버(27)를 상술한 바와 반대로 조작함으로써, 각 부재가 상술한 바와는 반대로 동작한다.

    (ii)옥형형상 측정

    A. 안경프레임의 렌즈테두리(옥형)의 형상 측정

    [렌즈테두리의 림폭(림두께) 측정]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테(37, 37)의 유지손톱(43, 44)사이에 안경테(MF)의 림 즉 안경테(MF)의 렌즈테두리(LF)를 유지시킨 상태에서는, 측정자(216)가 렌즈테두리(LF)의 내측 공간의 대략 중앙에서 하방으로부터 면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형상 측정장치(1)의 전원을 ON으로 하면, 프레임형상 측정장치 (1)의 연산/판단수단(연산/판단제어회로)인 연산 제어회로(270)(연산수단)에 마이크로 스위치(110, 222, 223, 225)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연산 제어회로 (270)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110, 222, 223, 225)의 검출상태가 판단된다. 또, 도 11 (a)에서는 축승강 조작부재(259)의 장편(259a)이 스프링(261)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핀(257)에 접촉해 있으며, 이 위치에서는 측정자(216)가 대기위치(가)에 위치하고 있다. 또 측정은 가령 안경테(MF)의 렌즈테두리(LF)를 측정한 후에, 렌즈테두리(RF)를 측정하도록 설정해 놓은 상태로 설명한다.

    연산 제어회로(270)는 이 대기위치(가)에서 스타트 스위치(13)을 ON조작하면, 측정부 이동용모터(107)를 구동제어하여 리드 스크류(206)를 회전구동시켜서 슬라이드 베이스(105)를 측정부 이동용모터(107)측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회전 베이스(202)가 슬라이드 베이스(105)와 일체로 측정부 이동용모터(107)측으로 이동되고, 회전 베이스(202)의 상측 슬라이더(212)에 지지시킨 측정축(213)의 측정자(216)가 도 12(a)와 같이 가동테(37, 37)의 한쪽 연직판부(48a)에 접촉된다. 그리고 연산 제어회로(270)는 측정자(216)가 가동테(37)의 연직판부(48a)에 접촉되었을 때의 동경 측정수단(217)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받으면, 측정부 이동용모터(107)를 정지시킨다.

    이것에 따라 연산 제어회로(270)는 측정부 이동용모터(107)가 정지하기까지의 측정부 이동용모터(107)의 구동량으로부터 슬라이드 베이스(105)의 이동량을 구함과 동시에, 이 이동량과 동경 측정수단(217)으로부터의 검출신호로부터 측정자 (216)의 위치를 구하고, 이 위치를 림의 외면위치로 해서 메모리(271)에 기억시킨다.

    이후, 연산 제어회로(270)는 측정부 이동용모터(107)를 역회전시켜서 슬라이드 베이스(105)를 측정부 이동용모터(107)와는 반대방향으로 구동하여, 측정자 (216)가 렌즈테두리(LF)의 내측 공간의 대략 중앙에 면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측정자 이동모터(107)를 정지시킨다.

    다음에 연산 제어회로(270)는 구동모터(253)를 작동시켜서 기어(258)를 화살표(A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하측 슬라이더(252)를 도명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측 슬라이더(212)를 가압축(263)에 의해 화살표(A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중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축승강 조작부재(259)의 장평(259b)을 걸림핀(254)에 접촉시킨다.

    이후, 연산 제어회로(270)는, 하측 슬라이더(252)를 더욱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축승강 조작부(259)를 회동축(260)을 중심으로 화살표(A3)로 나탄낸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측정축(213)을 롤러(214)를 개재하여 축승강 조작부재(259)에 의해 대기위치(가)로부터 상방으로 이동(상승)시킨다. 이것에 따라서, 스프링(261)이 회전축(260)의 상방으로 이동하면, 축승강 조작부재(259)가 스프링(260)의 탄성력에 의해 급격히 상방으로 회동되고, 축승강 조작부재(259)의 장편 (259a)이 걸림핀(254)과 충돌하며, 이때의 관성력에 의해 측정축(213)이 상방으로 이동되고, 측정자(216)가 렌즈테두리(LF)의 대략 상부 가장자리의 스프링 상승위치 (나)까지 급격히 상승된다.

    이후에 측정축(213) 및 측정자(216)가 약간 하강하여, 롤러(214)가 단편 (259b)에 접촉하고, 측정자(216)가 도 11(c)과 같이 렌즈테두리(LF)의 V형 홈(렌즈테두리 홈)의 골짜기부에 면하는 측정자 삽입위치(필러 삽입위치)(다)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이동에 따라서, 측정자(216)가 측정자 삽입위치(다)까지 상승시켜지면, 마이크로 스위치(225)가 상측 슬라이더(212)에 의해 ON된다. 그리고 연산 제어회로(270)는 마이크로 스위치(225)로부터의 ON신호를 받으면, 구동모터(253)를 역회전시켜, 기어(258)가 도 11(b)에 화살표(A4)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하측 슬라이더(252)를 화살표(A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측정자(216)의 선단을 도 8(b), 도 12 (b)와 같이 렌즈테두리(LF)의 V형 홈(렌즈테두리 홈)(51)의 골짜기부(중앙)에 걸어맞춤시킨다.

    그리고, 연산 제어회로(270)는 측정자(216)의 선단이 렌즈테두리(LF)의 V형 홈(51)의 골짜기부에 접촉했을 때의 동경 측정수단(217)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받으면, 구동모터(25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후, 연산 제어회로(270)는 구동모터 (253)의 구동량과 동경 측정수단(217)로부터의 검출신호로부터 측정자(216)의 위치를 구하고, 이 위치를 림의 홈위치(V자형 홈위치, 렌즈테두리 홈위치)로서 메모리 (271)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연산 제어회로(270)는 림의 외면위치와 림의 홈위치의 차를 구하고, 이 차를 렌즈테두리(LF)의 림폭(림두께)Lt로서 메모리(271)에 기억시킨다.

    또,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산 제어회로(270)는 도 1의 액정 표시패널 (표시장치)(62)의 렌즈테두리(FR, FL)에 삽입되는 안경렌즈의 측면화상으로 바꾸어, 좌우의 렌즈테두리(FR, FL)의 림두께를 수치표시할 수 있다.

    B. 통상의 렌즈테두리의 렌즈형상 측정

    이후, 하측 슬라이더(252)가 도 11(b), 도 12( b)의 화살표(A5)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더욱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 가압축(263)의 가압부(263a)가 도 8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슬라이저(252)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이 위치에서는 측정자 (216)가 도 8(b)와 같이 렌즈테두리(LF)의 V형 홈(림의 홈 또는 렌즈테두리 홈) (51)의 골짜기부에 접촉함과 동시에, 측정자(216)가 스프링(228)의 탄성력에 의해 렌즈테두리(LF)의 V형 홈(림의 홈 또는 렌즈테두리 홈)(51)의 골짜기부로 가압된다.

    이 상태에서, 연산 제어회로(270)는 베이스 회전모터(204)를 회전시킴으로써 측정자(216)의 선단을 렌즈테두리(LF)의 V형 홈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이 때, 상측 슬라이더(212)가 V형 홈의 형상에 따라 가이드 레일(211)을 따라서 이동됨과 동시에 측정축(213)이 V형 홈의 형상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측 슬라이더(212)의 이동은 동경 측정수단(217)으로 검출되고, 측정축(213)의 상하이동은 측정수단(218)에서 검출된다.

    또, 이 동경 측정수단(217)은 지지판(208)의 스토퍼(208a)에 접촉한 위치로부터의 상측 슬라이더(212)의 이동량을 검출한다. 이 측정수단(217, 218)의 출력은 연산 제어회로(270)에 입력된다.

    이 연산 제어회로(270)는, 측정수단(217)으로부터의 출력을 근거로 렌즈테두리(LF)의 V형 홈의 골짜기부의 동경(ρi)를 구하고, 이 동경(ρi)를 베이스 회전모터(204)의 회전각 θi에 대응시켜서 동경 정보(θi, ρi)로 하여, 이 동경 정보 (θi, ρi)를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한편, 연산 제어회로는 측정수단(218)로부터의 출력을 근거로 상하방향(Z축방향)의 이동량Zi를 구하여, 이 이동량Zi를 회전각 θi에 대응시킴과 동시에, 동경 ρi에 대응시켜서 옥형형상 정보(θi, ρi, Zi)를 구하고, 이 옥형형상 정보(θi, ρi, Zi)를 메모리(271)에 기억시킨다.

    C.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의 특정과 형상측정

    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F)를 갖는 게눈 안경프레임(272)을 측정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측정예 1

    먼저, 게눈용 렌즈테두리(272)를 도 13 (A)와 같이 가동테(37, 37) 사이에 협지시키고, 측정해야 할 렌즈테두리가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인지, 통상의 렌즈테두리인지를 연산 제어회로(270)로 판정시킨다.

    여기에서 가동테(37, 37)사이의 중앙이고 렌즈테두리(272)의 중앙(림(272a, 272b)사이의 중앙)이 측정자(216) 선단의 이동 개시위치로 된다. 또,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렌즈테두리(272)의 하측림(272a)의 중앙부근을 측정 개시위치(Rm1)로 한다.(272b)는 렌즈테두리(272)의 상측림이다.

    먼저, 연산 제어회로(270)는, 구동모터(253)에 의해 상측 슬라이더(212)를 도 11(b)의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구동모터(107)를 구동제어하여 슬라이드 베이스(105), 상측 슬라이더(212)를 좌우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구동모터(204)를 구동제어하고, 회전축(201), 회전 베이스(202)를 회전시켜서 측정자(216)의 선단을 이동 개시위치(P1)인 도 13(c)에 위치시킨다.

    이 측정 개시위치(P1)에서는, 측정자(216)의 선단이 하측림(272a)의 중앙(측정 개시위치(Rm1))에 있어서 렌즈테두리(272)의 도시하지 않은 렌즈테두리 홈(V형 홈(51)과 실질적으로 대략 같은 형상)에 대향한다.

    다음으로 연산 제어회로(270)는, 구동모터(253)를 구동제어하여 하측 슬라이더(252)를 도 12 (b)에서 화살표(A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가압부(263a)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상측 슬라이더(212)가 스프링 (228)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263a)의 이동에 추종하여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상측 슬라이더(212)의 측정자(216)의 선단이 도 13(c)의 렌즈테두리(272)의 하측림 (272a)의 중앙부근에 위치(P2)까지 이동하고, 측정자(216)의 선단이 렌즈테두리 (272)의 도시하지 않은 V형 홈(V형 홈(51)과 같음)의 측정 개시위치(Rm1)에 접촉한다.

    이후, 연산 제어회로(270)는, 구동모터(253)를 다시 구동제어하여 하측 슬라이더(252)를 도 12 (b)에서 화살표(A5)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가압부(263a)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압부(263a)를 상측 슬라이더(212)로부터 도 8(b)과 같이 이격시킨다.

    이 때, 연산 제어회로(270)는, 측정자(접촉자)(216)의 이동 개시위치(P1)로부터 측정자(216)가 최초로 하측림(272a)에 접촉하는 위치(P2)까지의, 측정자(216)의 이동량을 동경 측정수단(접촉자 이동량 검출수단)(217)에 의해 검출한다. 그리고 연산 제어회로(렌즈테두리형상 식별수단)(270)는, 검출된 측정자(216)의 이동량으로부터 안경프레임의 렌즈테두리형상을 식별한다. 즉, 연산 제어회로(270)는 동경 측정수단(217)의 측정신호에 근거하여 측정자(216)의 회동중심(O)으로부터 측정 개시위치(Rm1)까지의 거리를 구하고, 구해진 거리가 소정값(가령, 12mm)이하인 경우, 측정된 렌즈테두리가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라고 판단한다.

    여기에서 통상의 렌즈테두리를 측정할 때의 구동모터(204)의 회전수를 Nrpm이라 하면, 이 회전수로 구동모터(204)를 구동제어하여 회전축(201) 및 회전 베이스(202)를 회전시키고, 측정자(216)를 회동(회전중심(O)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렌즈테두리의 형상측정을 실시하고 있다고 한다. 이 때의 측정자(216)의 회동속도를 통상 회동속도(Fast)로 하면, 측정되는 렌즈테두리가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 (272)가 유연한 재질등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이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 (272)의 렌즈테두리형상을 통상 회동속도로 회동(이동)하는 측정자(216)에 의해 측정하면,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는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선(27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자(216)의 이동력에 의해 변형되어, 즉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귀걸림 부분 또는, 코접촉 부분의 렌즈테두리의 형상이 변형되어 일그러져서, 정확한 동경 측정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측정되는 렌즈테두리가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라고 판단된 경우, 연산 제어회로(270)는 구동모터(204)의 회전속도를 Nrpm보다 느린 속도 NSrpm(가령 NS=N/2rpm)로 하고, 측정자(216)의 이동속도 즉 회전축(201) 및 회전 베이스(202)의 회전속도를 느리게 하여 측정하는 슬로우(Slow) 회동 시퀀스로 이행한다.

    그리고 연산 제어회로(270)는, 이 슬로우 회동순서에 따라서,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렌즈테두리형상을 측정자(216)에 의해 측정한다.

    이 경우, 측정자(216)의 회동속도가 통상 회동속도보다도 충분히 느려지므로, 측정자(216)는 게눈 안경용 렌즈테두리(272)의 림을 도 13(C)와 같이 변형시키지 않고 측정한다.

    이것에 의해 유연한 재질 등으로 형성된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귀걸림 부분 또는, 코접촉 부분의 렌즈테두리의 형상변형, 일그러짐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 형상변형이나 일그러짐에 의한 부정확한 렌즈테두리형상의 측정이 없어져서, 정확한 렌즈테두리형상의 측정을 실현할 수 있다.

    (2) 측정예 2

    또한, 연산 제어회로(이동속도 제어수단)(270)는, 게눈 안경용의 안경프레임의 렌즈테두리(272)의 코접촉 부분의 소정각도 범위(α1), 또는 귀에 거는 부분의 소정각도 범위(α2)에서 측정자(접촉자)(216)의 회동속도를 슬로우(저속)로 하고, 그 이외의 각도범위(β1, β2)에서는 측정자(216)의 회동속도를 통상 회동속도로 변화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코접촉 부분의 소정각도 범위(α1) 또는 귀걸림부분의 소정각도 범위(α2)의 림이 변형되기 쉬운 부분에서의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는 측정자(216)의 회동속도에 의해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가 변형되지 않는다. 또, 각도범위(β1, β2)의 범위에서는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상측림(272a), 하측림(272b)이 직선에 가까워지므로 각도범위(β1, β2)의 범위에서 측정자(216)의 이동속도를 통상 회동속도로 빠르게 해도, 상측림(272a), 하측림(272b)이 측정자(216)의 회동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도범위(β1, β2)의 범위에서 측정자(216)의 이동속도를 통상 회동속도로 빠르게 함으로써,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렌즈테두리형상의 측정시간을 (1)의 측정예 1에서보다도 단축할 수 있다.

    (3) 측정예 3

    (예비측정)

    먼저,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를 도 13(A)와 같이 가동테(37, 37)사이에 협지시키고, 측정해야 할 렌즈테두리가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인지, 통상의 렌즈테두리인지를 이하의 예비측정에 의해 연산 제어회로(270)로 판단한다.

    즉, 연산 제어회로(270)는, 먼저 측정자(필러, 접촉자)(216)을 게눈용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정면에서 보아 하측림 중앙부근을 측정 개시위치(Rm1)로 한다. 즉, 연산 제어회로(270)는 구동모터(204)를 구동제어하여,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 하측림 (272a)의 중앙(측정 개시위치(Rm1))에서 측정자(216)가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렌즈테두리 홈에 접촉하는 위치에 회전축(201) 및 회전 베이스(202)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연산 제어회로(270)는, 이 때의 동경 측정수단(217)의 측정신호로부터 측정 개시위치(Rm1)에서의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동경(ρ0)을 구하고, 구해진 동경(ρ0)을 메모리(271)에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연산 제어회로(270)는, 구동모터(204)를 구동제어하여 회전축 (201)을 약 180°회전시키고 회전 베이스(202)를 약 180°회전시켜서 측정자(216)를 측정 개시위치(Rm1)로부터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F)의 정면에서 보아 상측림(272b)의 중앙부근의 위치(Rm2)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연산 제어회로(270)는 측정자(216)를 측정 개시위치(Rm1)부근과는 대략 반대측의 위치(Rm2)까지 이동시켰을 때, 동경 측정수단(217)으로부터의 측정신호로부터 위치(Rm2)에 있어서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동경(ρ180)을 구하고, 구한 동경(ρ180)을 메모리(271)에 기억시킨다. 다음에 연산 제어회로(270)는 측정 개시위치(Rm1)의 동경(ρ0)과 위치(Rm2)에서 동경(ρ180)과의 합을 상측림, 하측림 간의 간격D(=ρ0+ρ180)로 하여 구하고, 간격(D)의 절반인 D/2를 연산하여, D/2가 소정값(가령 12mm)이하인 경우, 측정되는 렌즈테두리가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라고 판단한다.

    (본 측정)

    여기에서 통상의 렌즈테두리를 측정할 때의 구동모터(204)의 회전수를 Nrpm으로 하면, 이 회전수로 구동모터(204)를 구동제어하여 회전축(201) 및 회전 베이스(202)를 회전시키고, 측정자(216)를 회동(회전중심(O)을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렌즈테두리의 형상측정을 실시하고 있다고 한다. 이 때의 측정자(216)의 회동속도를 통상 회동속도로 하면, 측정되는 렌즈테두리가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가 유연한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렌즈테두리형상을 통상 회동속도로 회동(이동)하는 측정자(216)에 의해 측정하면,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는 파선(27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자(216)의 이동력에 의해 변형되어, 즉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귀걸림 부분 또는 코접촉 부분의 렌즈테두리의 형상이 변형되어 일그러져서, 정확한 동경의 측정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되는 렌즈테두리가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연산 제어회로(270)는 구동모터(204)의 회전속도를 Nrpm보다 느린 속도 NSrpm(가령, NS=N/2rpm)으로 해서, 측정자(216)의 이동속도 즉 회전축(201) 및 회전 베이스(202)의 회동속도를 느리게 하여 측정하는 슬로우 회동순서로 이행한다.

    그리고 연산 제어회로(270)는, 이 슬로우 회동순서에 따라서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렌즈테두리형상을 측정자(216)에 의해 측정한다.

    이 경우, 측정자(216)의 회동속도가 통상 회동속도보다도 충분히 느려지므로, 측정자(216)는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림을 도 13(C)와 같이 변형시키지 않고 측정한다.

    또, 측정자(216)에 의해 회전속도를 바꾸어 측정되는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측정개소는,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귀걸림 부분 혹은 코접촉 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도가능하다.

    또한, 본 장치는 측정자(216)에 의해 회전측정을 가변으로 하여 측정되는 개소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프레임형상 측정장치(1) 혹은 옥접기(2)의 어느 한 장치에 「측정개소」설정용키(귀걸림 부분, 코접촉 부분, 미간 부분, 볼 부분, 임의 개소)를 설치하여, 측정개소를 설정하고 설정된 개소가 옥형형상을 표시하는 화면상에 색표시 또는 옥형형상의 선의 크기표시 또는 선의 점멸표시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유연한 재질등으로 형성된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의 귀걸림 부분 또는 코접촉 부분의 렌즈테두리의 형상변형, 일그러짐 등이 생기지 않으므로, 이 형상변형이나 일그러짐에 의한 부정확한 렌즈테두리의 측정이 없어져서, 정확한 렌즈테두리 형상측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측정자(216)의 회전속도를 변경하는 것뿐만 아니라, 회전방향을 변경함으로써도,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의 형상변형이나 일그러짐에 의한 부정확한 렌즈테두리의 측정이 없어져서, 정확한 렌즈테두리 형상측정을 실현할 수 있다.

    가령, 도 13에 나탄낸 바와 같은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는, 하측림 (272a)이 좌우의 코접촉부 및 귀걸림부의 부분에서 하측림(272b) 부분까지 크게 만곡되(구부러지)고, 상측림(272b)의 좌우 부분에서는 만곡이 적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측정자(216)를 렌즈테두리(272)에 접촉시키고 실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경우, 측정자(216)가 하측림(272a)부분으로부터 상측림(272b)부분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측림(272b)의 귀걸림측 부분에 급격한 변형력이 작용하면, 상측림(272b)에는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변형이 생긴다, 이 점, 상측림(272b)의 코접촉측(좌측) 부분에는 브리지(Bridge)(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정자(216)를 렌즈테두리(272)에 접촉시키고 파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측정자(216)가 하측림(272a)부분으로부터 상측림(272b)부분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상측림(272b)의 코접촉측 부분에 급격한 변형력이 작용해도 상측림(272b)의 귀걸림측(우측부분)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변형이 생기는 것이 브리지(B)에 의해 방지된다.

    따라서, 측정 제어수단인 연산 제어회로(270)에 의해, 다음과 같은 측정 제어를 행하면 된다.

    즉, 연산 제어회로(27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렌즈테두리(272)의 경우, 렌즈테두리(272)가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라고 판단함과 동시에, 렌즈테두리(272)의 하측림(272a)의 좌우부분의 만곡이 크고, 또 상측림(272b)의 좌우부분의 만곡이 작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 연산 제어회로(270)는 접촉자(216)의 이동방향을 도 13(B)의 점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제어한다. 즉, 연산 제어회로(270)는 접촉자(216)의 회전방향을 코접촉측(브리지(B)측)에 있어서 하측림(272a)으로부터 상측림(272b)를 향하여 접촉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상측림(272b)이 귀걸림측에서 접촉자(216)로부터 급격한 변형력을 받지 않는 바와 같은 접촉 측정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도 13(B)의 점선으로 표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측정자(216)를 회전시킴으로써, 귀걸림측의 렌즈테두리의 형상변형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슬로우 회동 시퀀스와 병행하여 측정자(216)의 회동을 제어함으로써, 달라지는 렌즈테두리의 형상변형이나 일그러짐에 의한 부정확한 렌즈테두리의 형상측정이 없어져서, 정확한 렌즈테두리의 형상측정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측정자(216)의 이동속도가 빠른 경우도 마찬가지다.

    (4)측정예 4

    상술한 예에서는, 안경테(안경 프레임)가 게눈 안경용인지 아닌지를 자동적으로 검출하고, 안경테(안경 프레임)가 게눈 안경일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측정자 (216)의 일주하는 시간(회동속도)을 늦추도록 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즉, 측정자(216)가 렌즈테두리를 따라 일주하는 시간(회전속도)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하, 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산 제어회로(270)는, 스타트 스위치(13)가 눌러지고, 스타트 스위치(13)로부터 입력되는 ON신호가 소정시간(설정시간)보다 짧은 경우, 통상의 회전속도(디폴트(default)의 회전속도)로 베이스 회전모터(204)를 구동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회전축(201)이 일주하는 회전속도, 즉 측정자(필러)(216)가 렌즈테두리의 렌즈홈(V홈)(51)을 따라 일주하는 시간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 된다.

    또, 연산 제어회로(270)는, 스타트 스위치(13)로부터 입력되는 ON신호가 소정시간(설정시간)이상인 경우에는, 도 14(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타트 스위치(13)가 눌러져 있는 시간(ON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시간)으로, 베이스 회전모터 (204)의 회전속도를 임의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축(201)이 일주하는 회전속도, 즉 측정자(필러)(216)가 렌즈테두리의 렌즈홈(V홈)(51)을 따라일주하는 시간은, 스타트 스위치(13)가 눌러져 있는 시간에 임으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산 제어회로(270)는 이 스타트 스위치(13)을 누르고 있는 동안 (ON시켜져 있는 동안), 발광 다이오드(LED3)를 발광시킨 후, 이 발광시간(t)의 간격으로 발광 다이오드(LED3)를 교대로 점멸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 회전모터(204)의 구동제어에 의한 회전축(201)의 일회전, 즉 측정자(206)가 일주하는 시간을 기호에 따라 임의로 무단계(無段階)로 변경할 수 있음과 동시에 측정자(216)이 일주하는 시간을 발광 다이오드(LED3)가 점멸하고 있는 간격(t)으로부터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 스타트 스위치(13)을 가압하고 있는 시간은, 연산 제어회로(270)내에 설치된 시간계측수단을 통하여 계측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연산 제어회로(270)는, 스타트 스위치(13)로부터의 ON신호를 받고 상술한 일주속도가 설정된 후, 스타트 스위치(13)로부터의 OFF신호를 받으면, 베이스 회전모터(204)를 상술한 설정시간에 따라 구동제어하고, 측정자(216)을 렌즈테두리의 렌즈홈(V홈)(51)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제어(회동제어)하여, 렌즈테두리의 형상측정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연산 제어회로(270)는, 이와 같은 측정 개시후에, 스타트 스위치(13)로부터의 ON신호를 받으면, 베이스 회전모터(204)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스타트 스위치(13)는 측정자(필러)회전의 설정 스위치의 역할과, 측정자(필러)회동의 기동스위치의 역할과, 측정자(필러)회동의 정지 스위치의 역할을 겸하도록 하고 있다.

    또, 스타트 스위치(13)에서 입력되는 ON신호가 소정시간(설정시간)이상인 경우에는, 스타트 스위치(13)가 눌러져 있는 시간(ON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시간)으로, 베이스 회전모터(204)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가령 측정자(216)가 렌즈테두리를 따라 일주하는 시간(회전속도)을 5단계로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5단계로 설정한 경우, 스타트 스위치(13)를 가압하는 시간을 연산 제어회로(270)내에 설치된 시간계측수단을 통하여 시간이 시간계측된다. 또, 그 시간에 대응하여, 초고속(이것을 통상의 속도로 생각하고, 편의상 이하와 같이 부르기로 한다)→고속→중속→저속→극저속으로 속도가 완만해지도록 한다. 즉 렌즈테두리 1주(한바퀴)당의 시간이 스타트 스위치를 가압하는 시간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측정자(216)가 렌즈테두리를 따라 일주하는 시간(회전속도),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속도단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가령 2단계, 3단계, 4단계 등으로 설정해도 된다.

    또, 측정자(216)가 일주하는 시간, 혹은 속도를 표시시키는 액정표시기 등의 속도 표시수단을 설치하고, 측정자(216)가 일주하는 시간, 혹은 속도(속도레벨)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측정자(필러)(216)가 렌즈테두리를 따라 이동하는 방향(회동하는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모드 스위치(12)와 스타트 스위치(13)의 양쪽을 가압함으로써, 우측으로 회동시키거나, 좌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가령 모드 스위치 (12)를 누르면서 스타트 스위치(13)를 1번 눌렀을 경우는 우측으로 돌고, 모터 스위치(12)를 누르면서 스타트 스위치(13)를 2번 짧은 시간에 눌렀을 경우는 좌측으로 돌도록 해도 된다. 이 제어는 연산 제어회로(270)에 의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측정자(216)의 이동방향을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경테(안경프레임)가 게눈 안경용인 경우, 렌즈테두리가 일그러지고 변형되기 쉬운 좌우부분, 브리지측과 템플(temple)측 부분에 대한 회전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방향은 변형예 3에 있어서와 같이 렌즈테두리가 일그러짐 변형을 크게 받지 않는 방향으로 할 수 있다.

    D. 측정력(측정압력)의 변경

    (i) 측정력 변경예 1

    상술한 실시예 (1)∼(3)의 측정예에서 연산 제어회로(270)는, 측정해야 할 렌즈테두리가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가 아니라고 판단했을 경우, 구동모터(401)를 작동제어해서, 구동모터(401)의 출력축(401a)과 일체로 회동하는 기어(403)와 랙톱니(402)에 의해 제 1슬라이더(400)를 지지판(208)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따라, 하측 슬라이더(400)이 마이크로 스위치(405)를 ON시키면, 이 ON신호가 연산 제어회로(270)에 입력되고, 연산 제어회로(270)는 슬라이더(401)가 지지판(208)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모터(401)를 정지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228)을 당기는 힘이 커지는 우측단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측정자(216)가 렌즈테두리를 가압하는 가압력(측정력=측정압)은 강해짐과 동시에, 측정자(216)의 회전속도(이동속도)가 통상의 렌즈테두리를 측정하는 경우와 같이 빨라져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1)∼(3)의 측정예에서 연산 제어회로(270)는 측정해야 할 렌즈테두리가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라고 판단했을 경우, 구동모터(401)를 상술한 바와 반대로 역회전(작동제어)시켜서, 구동모터(401)의 출력축(401a)과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403)와 랙톱니(402)에 의해, 제 1슬라이더(400)를 지지판(208)과는 반대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따라, 하측 슬라이더(400)가 마이크로 스위치 (404)를 ON시키면, 이 ON신호가 연산 제어회로(270)에 입력되고, 연산 제어회로 (270)는 구동모터(401)를 정지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하측 슬라이더(400)가 지지판 (207)측에 소정거리 이동해 있으므로, 스프링(228)을 인장하는 힘은 하측 슬라이더 (400)가 지지판(208)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보다 약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의 경우에는, 측정자(216)가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를 가압하는 가압력(측정력=측정압)은 약하게 함과 동시에, 상술한 (1)∼(3)의 측정예와 같이 측정자(216)의 회전속도(이동속도)를 통상의 렌즈테두리를 측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느리게 하거나, 혹은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코접촉 부분 및 귀걸림 부분의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측정자(216)의 회전속도(이동속도)를 통상의 렌즈테두리를 측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느리게 함으로써, 측정자(216)의 가압력에 의한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코접촉 부분 및 귀걸림 부분에서의 일그러짐 변형을 더욱 작게 하여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i) 또 D.(i)의 측정예에서,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를 측정할 경우에 측정자(216)의 회전속도(이동속도)를 통상의 렌즈테두리의 측정시보다도 느리게 함과 동시에, 측정시의 측정자(216)에 의한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가압력을 통상의 측정력보다도 작게 하도록 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즉,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를 측정할 경우에 있어서, 측정자(216)의 회전속도(이동속도)를 통상의 렌즈테두리의 측정시보다도 느리게 제어하지 않고, 측정시의 측정자(216)에 의한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가압력(측정력=측정압)만을 통상의 측정력보다도 작게 하도록 해도 된다.

    (iii) 또, A.에서 측정한 렌즈테두리의 림폭이 소정값보다 작고, 렌즈테두리가 변형되기 쉬운 경우에는, D.(i)와 같이 측정자(216)의 측정력을 작게 하고, 측정자(216)의 가압력에 의한 렌즈테두리의 코접촉 및 귀부분에서의 일그러짐 변형을 더욱 작게 해서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제어는 연산 제어회로 (270)에 의해 실행되지만,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렌즈테두리의 측정시에도 실행해도 된다.

    또한, A.에서 측정한 렌즈테두리의 림폭이 소정값보다 작고, 렌즈테두리가 변형되기 쉬운 경우에는 통상의 렌즈테두리의 측정에 대해서도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의 측정과 마찬가지로, 측정자(216)의 회전속도(이동속도)를 작게 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측정자(216)의 측정력을 작게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E. 기타

    또 가동테(37, 37)의 간격을, 측정할 간격 측정수단을 설치하고, 간격 측정수단으로부터 가동테(37, 37)사이에 유지되는 렌즈테두리의 상측림과 하측림과의 간격으로 하여 구하고, 이 구해진 간격의 절반 값이 소정값(가령 12mm)이하라고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비측정을 행하지 않고 본 측정을 바로 개시할 수 있으므로, 측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간격 측정수단으로서는, 리니어 인코더나 로터리 인코더(rotary encoder) 혹은 마그네 스케일, 포텐셔미터 (potentiometer)등 그 밖의 측정수단을 채택할 수 있다.

    <형판, 데모렌즈의 옥형형상 측정>

    또한, 도 7(a)와 같이 옥형홀더(111)를 사용하고 형판이나 데모렌즈 등의 옥형형상을 측정할 경우에는, 측정부 이동용모터(107)를 작동시켜서 슬라이드 베이스 (105)를 도 7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기립구동편(219a)의 선단이 옥형홀더(111)의 옥형필러 기립용판부(111b)에 닿아, 스프링(221)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옥형용 측정자(219)가 회동축(22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것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222)가 OFF된다.

    그리고, 이 회동에 따라 스프링(221)이 회동축(220)를 넘어서 상방으로 이동하면, 이 스프링(221)의 탄성력에 의해 옥형용 측정자(219)가 기립되고, 이 옥형용 측정자(219)가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와 스프링(221)의 작용에 의해 기립위치인 도 7(b)와 같이 유지된다. 이 기립위치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223)가 옥형용 측정자 (219)의 스위치 조작편(219b)에 의해 ON되고, 이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연산 제어회로에 입력된다.

    이 연산 제어회로는, 이 마이크로 스위치(223)로부터의 ON신호를 받으면,구동모터(253)를 작동시키고 기어(258)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하측 슬라이더(252)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압축(263)의 가압부(263a)를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슬라이더(252)로부터 이격시킨다. 이 동작에 따라, 상측 슬라이더(212)가 스프링(228)의 탄성력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옥형용 측정자(219)의 측정면이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옥형(112)의 테두리 주변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 회전모터(204)를 회전시킴으로써, 옥형용 측정자(219)를 옥형(112)의 테두리 주변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측 슬라이더(212)의 이동을 동경 측정수단(217)으로 검출하고, 동경 측정수단(217)의 출력을 도시하지 않은 연산 제어회로에 입력시킨다.

    이 연산 제어회로는 측정수단(217)으로부터의 출력을 근거로 옥형(112)의 동경 ρi를 구하고, 이 동경 ρi를 베이스 회전모터(204)의 회전각 θi에 대응시켜서 동경정보(θi, ρi)로 하고, 이 옥형형상 정보 즉 동경정보(θi, ρi)를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iii) 옥형형상 정보에 근거하는 피가공 렌즈의 렌즈두께 측정

    그리고, 옥접기의 데이터 요구 스위치(81)가 ON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프레임형상 측정장치(1)에서 구해진 형판, 데모렌즈 등의 옥형의 옥형형상 정보 즉 동경정보(θi, ρi), 혹은 렌즈테두리(옥형형상)의 옥형형상 정보(θi, ρi, Zi)가 옥접기(2)의 렌즈테두리형상 메모리(옥형형상 메모리)(90)에 전송되어 기억된다.

    한편, 렌즈회전축(304, 304)사이에 피가공렌즈(L)를 협지시키고, 렌즈두께측정용의 스위치(85)를 ON시킨다. 이것에 의해 연산/판정회로(91)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으로 필러(332, 334)사이의 간격을 크게 넓힘과 동시에, 336을 작동시켜서, 필러(332, 334)를 피가공렌즈(L)의 전 굴절면과 후 굴절면에 면하게 한 후,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한 필러(332, 334)의 확장 개방력을 해제하여, 필러 (332, 334)를 피가공 렌즈(L)전 굴절면과 후 굴절면에 접촉시킨다. 이후, 연산/판정회로(91)는, 옥형형상 정보(θi, ρi, Zi) 또는 동경정보(θi, ρi)에 근거하여, 펄스모터(pulse motor)(337)을 작동시키고 렌즈회전축(304, 304)을 회전시켜서, 피가공렌즈(L)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펄스모터(336)를 작동제어한다. 이 때, 연산/판정회로(91)는 인코더(335)로부터의 출력을 근거로 옥형형상 정보(θi, ρi, Zi) 또는 옥형형상 정보인 동경정보(θi, ρi)에서 렌즈두께(Δi)를 구하여 가공 데이터 메모리(95)에 기억시킨다.

    (측정수단의 변형예)

    또, 도 9에서는 필러(332, 334)를 따로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필러 (332, 334)사이에 피검렌즈(L)를 협지시킴으로써, 렌즈두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했으나, 반드시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필러(332, 334)를 지지부재(333A)에 일체로 결합 지지시킴으로써, 2개의 필러(332, 334)가 일체적으로 광축(OL)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필러(332, 334)의 이동량을 하나의 인코더(333)로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2개의 필러(332, 334)의 간격(fx)은 피검렌즈(L)의 예상되는 두께보다도 충분히 큰 간격(소정간격)으로 설정한다.

    또, 지지부재(333A)는 스테이지(331)에 좌우 방향으로만 진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333A)와 스테이지(331)의 사이에는 지지부재(333A)의 좌우에 배치한 스프링(S1, S2)이 장착되어 있다. 이 스프링(S1, S2)은 필러 (332, 334)가 피검렌즈(L)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비측정시에, 지지부재(333A)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범위의 대략 중앙에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스테이지(331)는 렌즈회전축(304, 304)에 대해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캐리지(도시하지 않음)를 유지하는 본체에 장착되고, 이 본체에 장착된 펄스모터(336)로 렌즈회전축(304, 304)에 대하여 진퇴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캐리지 및 렌즈회전축(304, 304)은 좌우측방향향(렌즈회전축(304, 304)의 축방향)으로 펄스모터(PM)에 의해 진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 15의 경우에서 연산/판정회로(91)는 코버두께 측정시에, 펄스모터(PM)를 구동제어하여 피가공렌즈(L)를 좌우로 이동시키고, 피검렌즈(L)가 필러 (332, 334)사이에 면했을 때에 펄스모터(PM)를 정지시킨다. 다음에, 연산/판정회로 (91)는 펄스모터(336)를 작동제어하여 스테이지(331)를 렌즈회전축(304, 304)측으로 이동시켜서 피가공렌즈(L)를 필러(332, 334)사이에 위치시킨다. 이 때, 필러 (332, 334)의 선단이 동경정보(θi, ρi)의 초기위치 즉 동경정보(θ0, ρ0)의 회전각(θ0)에 위치하도록 펄스모터(337)로 렌즈회전축(304, 304)을 회전시킨다. 또, 회전각(θ0)에서 펄스모터(336)를 작동제어함으로써 필러(332, 334)의 선단이 피가공렌즈(L)의 동경(ρ0)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스테이지(331) 및 필러(332, 334)를 렌즈회전축(304, 304)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캐리지(도시하지 않음)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펄스모터(PM1)를 작동제어하여, 캐리지 및 렌즈회전축(304, 304), 피가공렌즈(L)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필러(332)를 피가공렌즈(L)의 전 굴절면(fa)에 접촉, 또는 필러(334)를 후 굴절면(fb)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 제어는 연산/판정회로(91)에 의해 실행된다.

    따라서 연산/판정회로(91)는, 이와 같이 해서, 먼저 한쪽 필러(332)를 피검렌즈(L)의 전 굴절면(fa)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연산/판정회로(91)는, 회전축(304, 304)를 회전시키고, 동경정보 (θi, ρi)로부터 피검렌즈(L)의 전 굴절면(fa)의 광축(OL)방향에서의 좌표 또는 위치를 인코더(333)의 출력신호(측정신호) 및 펄스모터(PM1)로부터 구한다. 즉 연산/판정회로(91)는 회전축(304, 304)를 회전시켜서 코버두께의 측정을 개시할 때, 회전축(304, 304)의 회전각(θi)마다 동경(ρi)에 근거하여 펄스모터(336)를 구동제어하여, 스테이지(331) 및 필러(332)를 광축(OL)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진퇴구동시키고, 광축(OL)로부터 필러(332)의 피검렌즈(L)로의 접촉위치까지의 거리를 동경 (ρi)으로 조정시키고, 동경정보(θi, ρi)에 있어서의 피검렌즈(L)전측 굴절면(fa)의 광축(OL)방향에서의 좌표 또는 위치를 인코더(333)의 출력신호(측정신호) 및 펄스모터(PM1)의 구동량으로부터 fai로서 구한다.

    다음으로, 연산/판정회로(91)는 다른쪽의 필러(334)를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피검렌즈(L)의 후 굴절면(fb)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연산/판정회로(91)는 회전축(304, 304)를 회전시켜서, 동경정보(θi, ρi)에서의 피검렌즈(L)의 후 굴절면 (fb)의 광축(OL)방향에 있어서의 좌표 또는 위치를 인코더(333)의 출력신호(측정신호) 및 펄스모터(PM1)의 구동량으로부터 구한다. 즉, 연산/판정회로(91)는 회전축 (304, 304)을 회전시키고 코버두께의 측정을 개시할 때, 회전축(304, 304)의 회전각(θi)마다 (ρi)에 근거하여 펄스모터(336)를 구동제어하고, 스테이지(331) 및 필러(332)를 광축(OL)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진퇴 구동시켜서, 광축(OL)으로부터 필러(332)의 피검렌즈(L)로의 접촉위치까지의 거리를 동경(ρi)으로 조정시키고, 동경정보(θi, ρi)에 있어서의 피검렌즈(L)의 후 굴절면(fb)의 광축(OL)방향에서의 좌표 또는 위치를 인코더(333)의 출력신호(측정신호) 및 펄스모터(PM1)의 구동량으로부터 fbi로서 구한다.

    이후, 연산/판정회로(91)는 동경정보(θi, ρi)에서의 피검렌즈(L)의 전측 굴절면(fa)과 후측 굴절면(fb)과의 간격을 코버두께(Wi)를, Wi=|fai-fbi|로서 구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1개의 인코더(333)만으로 코버두께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테이지(331)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스테이지(331)의 장치에 대한 조립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고가인 인코더를 생략할 수 있는 분만큼 전체의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2)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측정자(216)에 의한 측정력을 구동모터(401) 및 마이크로 스위치(404, 405)를 이용하여 전동제어하도록 설정했으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가령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자(216)에 의한 측정력을 수동으로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이 도 16에서는, 수동 측정력 변경수단(수동 측정력 조정수단)인 크랭크형상의 측정압 전환레버(측정력 조정레버)(500)의 하단부가 지지판 (208)측에 위치하게 되고 회전 베이스(202)에 지지축(50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측정압 전환레버(500)의 상단부측이 지지판(207, 208)에 대해서 진퇴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측정압 전환레버(500)의 중간부에는 스프링 걸림핀(500a)이 돌출 설치되고, 이 스프링 걸림핀(500a)에 스프링 (228)이 걸려있다. 이것에 의해 측정압 전환레버(500)는 항시 도 18에서 좌측방향으로 회동 가압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208)의 상단부에는 L자형상의 레버 걸림용의 플레이트 (금속판)(502)가 고정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502)는 지지판(207)측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판부(502a)를 갖고, 이 판부(502a)에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 삽입공(503)이 형성되고, 이 레버 삽입공(503)에는 측정압 전환레버(500)의 상부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레버 삽입공(503)에는 지지판(208)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의 레버 걸림부(503a, 52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정압 전환레버(500)가 레버 걸림부(503a, 523b)에 걸려 있는 것을 검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504, 505)를 설치하고, 마이크로 스위치(504, 505)로부터의 검지신호를 연산 제어회로(270)에 입력시킨다.

    또, 측정장치 본체(10)에 액정표시기(도시하지 않음) 또는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두고, A.에서 측정한 렌즈테두리의 림폭이 소정값보다 작고, 렌즈테두리가 변형되기 쉬운 경우에, 연산 제어회로(270)는 이 내용을 도시하지 않은 액정표시기 또는 스피커로 측정 작업자에게 알려서, 작업자에게 측정력을 변경해야함을 지시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측정압 전환레버(500)가 레버 걸림부(503a)에 걸려 있을 때는 스프링(228)을 인장하는 힘이 커져, 측정자(216)에 의한 측정력이 커진다. 또 측정압 전환레버(500)가 레버 걸림부(503b)에 걸려 있을 때는 스프링 (228)을 인장하는 힘이 작아져서, 측정자(216)에 의한 측정력이 작아진다.

    또, 연산 제어회로(270)는, A.에서 측정한 렌즈테두리의 림폭이 소정값보다 크고, 큰 측정력에서도 렌즈테두리가 변형되기 어려운 통상의 렌즈테두리의 경우에는 그 내용을 도시하지 않은 액정표시기 또는 스피커로 측정작업자에게 알려서, 작업자에게 측정력을 크게 변경해야 함을 지시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이 지시에 따라서 측정압 전환스위치(500)를 레버 걸림부 (503a)에 걸어맞춤시키고, 측정압 전환레버(500)를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직방향을 향하여, 측정자(216)에 의한 측정력을 크게 하면 된다. 이 경우에, 연산 제어회로(270)는 마이크로 스위치(505)로부터의 검지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다시 작업자에게 측정력을 변경해야 함을 지시한다. 그리고 연산 제어회로(270)는 마이크로 스위치(505)로부터의 검지신호가 있은 후에, 스타트 버튼(13)이 ON되면 측정을 개시한다.

    또한, 연산 제어회로(270)는, A.에서 측정한 렌즈테두리의 림폭이 소정값보다 작고, 큰 측정력에서는 렌즈테두리가 변형될 우려가 있는 렌즈테두리의 경우에는 그 내용을 도시하지 않은 액정표시기 또는 스피커를 통해 측정 작업자에게 알려서, 작업자에게 측정력을 크게 변경해야 함을 지시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이 지시에 따라서 측정압 전환레버(500)를 레버 걸림부(503b)에 걸어맞춤시키고, 측정압 전환레버(200)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208)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시켜서, 측정자(216)에 의한 측정력을 작게 하면 된다. 이 경우에, 연산 제어회로(270)는 마이크로 스위치(504)로부터의 검지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다시 작업자에게 측정력을 변경해야 함을 지시한다. 그리고 연산 제어회로(270)는 마이크로 스위치(504)로부터의 검지신호가 있은 후에, 스타트 버튼(13)이 ON되면 측정을 개시한다.

    또한, 연산 제어회로(270)는,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한 렌즈테두리의 상하 림사이의 간격이 소정값보다도 작고 게눈 안경용의 렌즈테두리(272)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그 내용을 도시하지 않은 액정표시기 또는 스피커를 통해 측정 작업자에게 알려서, 작업자에게 측정력을 크게 변경해야 함을 지시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이 지시에 따라서 측정압 전환레버(500)를 레버 걸림부(503b)에 걸어맞춤시키고, 측정압 전환스위치(500)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208)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측정자(216)에 의한 측정력을 작게 하면 된다. 이 경우에, 연산 제어회로(270)는 마이크로 스위치(504)로부터의 검지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다시 작업자에게 측정력을 변경해야 함을 지시한다. 그리고, 연산 제어회로(270)는 마이크로 스위치(504)로부터의 검지신호가 있은 후에 스타트 버튼(13)이 ON되면 측정을 개시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은, 안경프레임의 렌즈테두리 홈에 접촉하는 접촉자에 의해 이 렌즈테두리의 형상을 측정하는 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방향을 가변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렌즈테두리형상에 따라서, 가령 게눈 안경용 렌즈테두리와 같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기 쉬운 렌즈테두리에 따라서, 접촉자의 회전속도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렌즈테두리의 정확한 렌즈테두리형상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지시하는 시간간격으로 상기 렌즈테두리 홈에 접촉하면서 회동하도록 상기 접촉자의 회전속도를 가변으로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렌즈테두리의 형상에 따라서, 가령 게눈 안경용 렌즈테두리와 같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기 쉬운 렌즈테두리에 따라서, 접촉자의 회전속도나 회전방향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경하여, 렌즈테두리의 정확한 렌즈테두리형상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항에 기재된 렌즈테두리형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으로 가압하는 설정 스위치의 시간간격으로 상기 렌즈테두리 홈에 접촉하면서 회동하도록 상기 접촉자의 회전속도를 가변으로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가령 게눈 렌즈테두리 등과 같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기 쉬운 렌즈테두리에 따라서, 접촉자의 회전속도나 회전방향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경하여, 렌즈테두리의 정확한 렌즈테두리형상을 측정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