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申请号 KR1019997004172 申请日 1999-02-02 公开(公告)号 KR1020000053205A 公开(公告)日 2000-08-25
申请人 사이고, 츄요시; 发明人 사이고,츄요시;
摘要 PURPOSE: A simulation system for wearing glasses compose the portrait of a non-wearing glasses face with a rim photograph. CONSTITUTION: A portrait of a non-wearing glasses face is taken for data and displaying on a monitor. A device have functions selecting a rim photograph in the prepared photograph, displaying a composed image and displaying operated result of lens type.
权利要求
  •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인물의 초상을 화상 데이터로서 취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과,
    미리 격납된 복수 종류의 안경테 화상을 포함하는 안경테 데이터 중에서 임의의 안경테를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선택된 안경테의 안경테 화상과 상기 초상의 화상을 합성하여 안경테를 착용한 합성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과,
    미리 입력된 렌즈 처방 데이터와 렌즈 소재 정보와 렌즈의 광학설계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안경테에 렌즈를 넣었을 때의 렌즈 형상 상태를 연산하고, 그 연산 결과를 수치 또는 도형에 의한 렌즈 형상 정보로서 표시하는 렌즈 선택 지원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화상과 상기 렌즈 선택 지원 기능에 의한 렌즈 형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렌즈 선택 지원 기능에 의해 연산된 렌즈 중량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렌즈 표면 처리 가공의 정도에 맞춘 렌즈 가격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처방 데이터와 렌즈 소재 정보와 렌즈의 광학 설계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 선택 지원 기능에 의해 연산되는 복수의 렌즈 형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선택된 복수의 안경테를 상기 초상에 각각 착용한 복수의 합성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원하는 안경을 결정하기에 이를 때까지의, 상기 안경테 선택의 조작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조작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 화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인물의 초상을 표시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상기 초상의 얼굴폭 방향의 거리가 독취가능한 스케일 표시상을 상기 초상위에 겹쳐서 표시하고, 이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얼굴폭 정보를 얻는 측정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초상에 대해서, 화상 처리에 의한 얼굴 표면 처리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표면 처리 기능에 의한 화상 처리는 눈과 입술에 대해서는 실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를 선택하는 기능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화면에서는 적어도 테 종류와 테 렌즈 타입 형상과 테 가격을 표시하여 검토를 실시하기 위한 검토 기능 화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안경 사양이 결정된 렌즈의 레이아웃정보를 도형으로 표시하는 화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안경 사양이 결정된 후에, 안경의 제조에 필요한 안경테 정보 및 렌즈정보의 가공지시를 포함하는 발주 처리를 실시하는 발주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인물의 초상을 화상 데이터로서 취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과,
    미리 격납된 복수 종류의 안경테 화상을 포함한 안경테 데이터 중에서 임의의 안경테를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선택된 안경테의 안경테 화상과 상기 초상의 화상을 합성하여 안경테를 착용한 합성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과,
    상기 합성 화상의 렌즈부분의 투과 화상에 대해, 처방 렌즈의 굴절에 의한 외관 효과를 가하여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인물의 초상을 화상 데이터로서 취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과,
    미리 격납된 복수 종류의 안경테 화상을 포함한 안경테 데이터 중에서 임의의 안경테를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선택된 안경테의 안경테 화상과 상기 초상의 화상을 합성하여 안경테를 착용한 합성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안경테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카탈로그로 불리는 것으로서, 선택된 안경테의 안경테 화상외에 선택된 안경테에 관한 문자정보 및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인물의 초상에, 복수의 안경테의 화상을 포함하는 안경테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안경테를 착용한 합성 화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복수의 안경테는 렌즈 타입의 형상 분류에 기초하여 분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타입의 형상 분류가 렌즈 타입의 윤곽선을 구성하는 원의 요소의 수에 의해 분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경테로부터 선택된 다른 렌즈 타입의 안경테를 착용한 2개의 합성 화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나열하여 표시되고, 이러한 2개의 합성 화상을 비교대비하면서 원하는 렌즈 타입의 안경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렌즈 타입의 형상 분류를 나타내는 목구조의 체계도가 표시되고, 상기 2개의 합성 화상에 표시되어 있는 2개의 렌즈 타입이 상기 체계도에서 인식 가능하게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15항에 있어서, 현재 선택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렌즈 타입 중, 항상 렌즈 타입의 형상 내지 형상이 갖는 이미지에 있어서 가장 차이가 있는 2개의 렌즈 타입이 비교대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타입의 형상 분류에 의해 분류된 복수의 기본 렌즈 타입의 안경테의 화상 또는 상기 복수의 기본 렌즈 타입의 안경테를 상기 초상에 각각 착용한 복수의 합성 화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나열하여 표시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기본 렌즈 타입의 안경테의 화상 또는 상기 복수의 합성 화상 중의 어느 것이나를 선택하여, 각각 기본 렌즈 타입에 대해 더욱 세분화한 복수의 렌즈 타입의 안경테를 착용한 합성 화상이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인물의 초상에 무테를 착용한 합성 화상의 화면과, 상기 무테의 렌즈 타입을 변형하기 위해 변형 조작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열하여 표시하는 기능과,
    상기 변형조작의 화면에 있어서의 렌즈 타입의 변형 조작에 의해, 이에 연동하여 상기 합성 화상의 렌즈 타입을 변형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타입의 변형 조작에 의한 변형은 상기 변형조작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무테의 렌즈 타입 화상에 대해서, 렌즈의 일부를 곡선 또는 직선에 의해 컷트하여 변형하는 컷트 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타입의 변형 조작에 의한 변형에는 상기 렌즈 타입의 윤곽선을 구성하는 곡선의 정점 위치의 이동에 따른 변형, 상기 곡선의 신축에 따른 변형, 또는 상기 렌즈 타입의 확대 축소에 따른 변형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타입의 변형 조작에 의한 변형은, 현재 선택되어 있는 렌즈 타입의 형상을 이 렌즈 타입 형상과 특정 이미지의 렌즈 타입 형상을 원하는 비율로 합성하여 변형하는 이미지 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타입의 윤곽선을 강조 보정할 수 있는 윤곽보정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说明书全文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Eyeglasses try-on simulation system}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장치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소 제61-80222호공보에는 비디오 카메라로 인물상을 촬영하고 그 화상의 안경 착용영역을 사각의 테두리 표시로서 지정하고, 그 영역에 안경테를 겹쳐서 합성 화상을 작성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소 제63-76581호에는 안경테와 인물과의 합성 화면상의 촬영 배율의 비율을 PD(동공간 거리)의 실측값과 화면상의 실측값과의 비교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개소 제61-80222호공보 및 특개소 제63-76581호공보에 개시된 시뮬레이션 장치는 동시 화면에서의 여러가지 안경테의 착용 상태의 비교 검토가 어렵고, 또한 조작도 복잡하였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안경테의 착용 상태만을 나타내고, 실제의 처방 렌즈를 넣은 안경의 실제 착용 상태로는 비교를 할 수 없고, 가볍고 외관이 좋은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 최적의 안경을 결정하기 위한 비교 검토의 시뮬레이션으로는 무리였다.

    또한, 안경 착용자의 얼굴형 등에 어울리는 렌즈 타입을 미리 결정한 디자인 룰(design rule)에 기초하여 컴퓨터가 선정하는 방법도 제안되었지만, 이 방법으로는 안경 착용자의 기호를 충분히 반영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 렌즈 정보를 고려한, 보다 실제적인 안경 착용에 가까운 상태를 시뮬레이트할 수 있고,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고 확실하게 원하는 안경을 결정할 수 있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풍부하고 알기 쉬운 안경테 정보를 기초로 하여, 안경 결정의 판단을 실시할 수 있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 착용상태를 확인하면서, 원하는 렌즈 타입을 용이하게 선택 또는 창작할 수 있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구성 1)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인물의 초상을 화상 데이터로서 취하고, 디스플레이 화면(display screen)에 표시하는 기능과,

    미리 격납된 복수 종류의 안경테 화상을 포함하는 안경테 데이터 중에서 임의의 안경테를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선택된 안경테의 안경테 화상과 상기 초상의 화상을 합성하여 안경테를 착용한 합성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과,

    미리 입력된 렌즈 처방 데이터와 렌즈 소재 정보와 렌즈의 광학설계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안경테에 렌즈를 넣었을 때의 렌즈 형상 상태를 연산하고, 그 연산 결과를 수치 또는 도형에 의한 렌즈 형상 정보로서 표시하는 렌즈 선택 지원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치 또는 도형에 의한 렌즈 형상 정보에는, 예를 들어 수치에 의한 렌즈 두께 정보나 도형에 의한 렌즈 외관 형상 등이 있다. 특히, 렌즈 형상 정보로서, 테에 렌즈를 넣었을 때의 렌즈의 주변부(림(rim))의 두께에 관한 수치 또는 도형에 의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렌즈를 측방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 등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실물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 가까운 시뮬레이션을 실시할 수 있고, 최적의 안경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렌즈 형상 정보에서 안경테의 형상 정보(림(rim), 엔드 피스(end piece), 안경다리(temple) 등의 수치 또는 도형에 의한 형상·치수의 정보)를 가미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구성 1의 형태로서,

    (구성 2) 상기 합성 화상과 상기 렌즈 선택 지원 기능에 의한 렌즈 형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렌즈 선택 지원 기능에 의해 연산된 렌즈 중량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합성 화상과 렌즈 형상 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열하여 표시되었기 때문에, 안경 결정에 맞게 총합적인 판단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중량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중량면에서도 원하는 안경 선택이 가능하고, 최적의 안경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 1의 형태로서,

    (구성 3)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렌즈 표면 처리 가공의 정도에 맞춘 렌즈 가격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사방지막 등의 렌즈 표면 처리의 정도(표면처리의 유무 또는 그레이드 (grade)(광선 투과율의 차이나 코팅막의 간섭색의 차이))에 맞춘 렌즈 가격을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에, 렌즈의 선택을 다면적으로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렌즈 표면에 처리되는 반사방지막의 정도에 맞는 가격을 표시할 경우에는, 반사방지막의 정도에 맞는 투과율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상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1의 형태로서,

    (구성 4) 상기 렌즈 처방 데이터와 렌즈 소재 정보와 렌즈의 광학 설계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 선택 지원 기능에 의해 연산되는 복수의 렌즈 형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렌즈 형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하여 비교대비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안경 렌즈를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구성 1의 형태로서,

    (구성 5) 선택된 복수의 안경테를 상기 초상에 각각 착용한 복수의 합성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안경테 착용의 합성 화상이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나열하여 표시되면 각 테가 초상에 주는 착용상태에서의 이미지의 차이를 쉽게 알 수 있어 비교대비가 가능하고, 안경 착용자의 기호에 맞는 안경의 선택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구성 1의 형태로서,

    (구성 6) 원하는 안경을 결정하기에 이를 때까지의, 상기 안경테 선택의 조작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조작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 화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안내 화면이 있으면, 이 시스템에 익숙치 않은 안경 주문자라도 스스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원하는 안경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 1의 형태로서,

    (구성 7) 상기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인물의 초상을 표시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상기 초상의 얼굴폭 방향의 거리가 독취가능한 스케일(scale) 표시상을 상기 초상위에 겹쳐서 표시하고, 이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얼굴폭 정보를 얻는 측정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얼굴폭, 동공간거리 등의 얼굴폭 정보는, 예를 들어 극단적으로 크거나 또는 작은 테의 선택을 피하기 위해, 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있어서의 테와 초상과의 합성 비율을 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구성 1의 형태로서,

    (구성 8)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초상에 대해서, 화상 처리에 의한 얼굴 표면 처리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얼굴 표면 처리는 주름이나 기미등을 흐릿하게 하기도 하고 감추기도 하고, 또는 얼굴색을 보정하기도 하는 등, 얼굴을 아름답게 보이게 하고 자연스럽게 보이게도 하기 위한 각종 처리이다. 구체적으로는, 주름이나 기미를 흐릿하게 하기도 하고 감추기도 하는 처리로는, 예를 들어 얼굴면을 세분된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 내의 색을 그 영역내의 복수의 점의 색을 평균화한 혼합색으로 보정하는 등의 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구성 8의 형태로서,

    (구성 9) 상기 얼굴 표면 처리 기능에 의한 화상 처리는 눈과 입술에 대해서는 실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눈과 입술에 얼굴 표면 처리를 실시하지 않으므로써, 안경 착용자의 얼굴의 특징을 충분히 살리면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구성 1의 형태로서,

    (구성 10) 상기 안경테를 선택하는 기능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화면에서는 적어도 테 종류와 테 렌즈 타입 형상과 테 가격을 표시하여 검토를 실시하기 위한 검토 기능 화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시 화면에 테 종류와 테 렌즈 타입 형상과 테 가격이 표시되기 때문에, 이러한 테 정보를 기초로 하여 안경테의 검토를 실시하여, 안경테 결정의 다면적, 총합적인 판단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구성 1의 형태로서,

    (구성 11) 안경 사양(eyeglasses specification)이 결정된 렌즈의 레이아웃 정보(layout data)를 도형으로 표시하는 화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렌즈의 레이아웃 정보로서는, 광학 중심의 위치, 아이포인트(eyepoint)의 위치, 원용과 근용의 레이아웃, 테부품을 렌즈에 부착하기 위한 구멍의 위치 등을 들 수 있다. 레이아웃 정보가 도형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레이아웃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구성 1의 형태로서,

    (구성 12) 안경 사양이 결정된 후에, 안경의 제조에 필요한 안경테 정보 및 렌즈정보의 가공 지시를 포함하는 발주 처리를 실시하는 발주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구성 13)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인물의 초상을 화상 데이터로서 취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과,

    미리 격납된 복수 종류의 안경테 화상을 포함한 안경테 데이터 중에서 임의의 안경테를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선택된 안경테의 안경테 화상과 상기 초상의 화상을 합성하여 안경테를 착용한 합성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과,

    상기 합성 화상의 렌즈 부분의 투과 화상에 대해, 처방 렌즈의 굴절에 의한 외관 효과를 가하여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처방 렌즈의 도수 등에 맞는 굴절에 의한 외관 효과(눈 및 그 주변부분이 렌즈에 의한 굴절에 의해 확대·축소등이 되어 보이는 효과)를 가하는 것에 의해, 처방 렌즈를 낀 실제의 안경착용상태를 사실적으로 시뮬레이트 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 착용자가 원하는 안경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렌즈 표면의 반사방지막의 그레이드에 맞는 투과율의 상황을 외관 효과로서 더욱 가미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구성 14)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인물의 초상을 화상 데이터로서 취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과,

    미리 격납된 복수 종류의 안경테 화상을 포함한 안경테 데이터 중에서 임의의 안경테를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선택된 안경테의 안경테 화상과 상기 초상의 화상을 합성하여 안경테를 착용한 합성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안경테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카탈로그(multimedia catalog)로 불리는 것으로서, 선택된 안경테의 안경테 화상 외에, 선택된 안경테에 관한 문자정보 및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경테의 화상을 보는 것뿐만 아니라, 안경테의 제품설명을 문자로 읽기도 하고 음성으로 듣기도 하여 알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안경 착용자라도 안경테의 특징 등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알기 쉽도록 할 수 있고,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안경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안경테 화상으로서는, 테 전체의 사시도와, 엔드 피스(end piece) 부근의 부분확대도를 이용하면, 작은 화면으로 안경테의 개략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구성 15)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인물의 초상에, 복수의 안경테의 화상을 포함하는 안경테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안경테를 착용한 합성 화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복수의 안경테는 렌즈 타입의 형상 분류에 기초하여 분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15의 형태로서,

    (구성 16) 상기 렌즈 타입의 형상 분류가 렌즈 타입의 윤곽선을 구성하는 원의 요소의 수에 의해 분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형상의 아름다움은 원(또는 원호의 집결)에 있다는 분석하에, 렌즈 타입의 형상을 렌즈 타입의 윤곽선을 구성하는 원의 요소의 수로 분류하는 분류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여기서 원의 요소의 수라는 것은, 렌즈 타입의 윤곽선을 원 또는 원호(선부분도 포함)를 연결한 선으로 간주할 때의, 원 또는 원호(선부분도 포함)의 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렌즈 타입이 원으로 간주되는 형상의 경우에는, 원의 요소의 수는 1이고, 또한 렌즈 타입이 2개인 원호로 간주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원의 요소의 수는 2이다. 이 새로운 렌즈 타입 형상의 분류방법(유형사상)에 기초하여, 렌즈 타입(예를 들어, 보스톤형(boston type), 웰링톤형(wellington shape) 등)을 적절한 분류수로 분류하고, 그리고 이와 같이 분류된 렌즈 타입 중에서 원하는 렌즈 타입을 선택하여, 선택된 렌즈 타입의 안경테를 착용한 초상의 합성 화상을 표시하여, 렌즈 타입이 착용자에게 주는 영향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 15의 형태로서,

    (구성 17) 상기 복수의 안경테로부터 선택된 다른 렌즈 타입의 안경테를 착용한 2개의 합성 화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나열하여 표시되고, 이러한 2개의 합성 화상을 비교대비하면서 원하는 렌즈 타입의 안경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렌즈 타입의 형상이 다른 안경테를 착용한 2개의 합성 화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나열하여 비교대비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기호의 렌즈 타입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고, 단시간으로 원하는 안경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구성 15의 형태로서,

    (구성 18)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렌즈 타입의 형상 분류를 나타내는 목구조(tree structure)의 체계도가 표시되고, 상기 2개의 합성 화상에 표시되어 있는 2개의 렌즈 타입이 상기 체계도에서 인식 가능하게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15의 형태로서,

    (구성 19) 현재 선택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렌즈 타입 중, 항상 렌즈 타입의 형상 내지 형상이 갖는 이미지에 있어서 가장 차이가 있는 2개의 렌즈 타입이 비교대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15의 형태로서,

    (구성 20) 상기 렌즈 타입의 형상 분류에 의해 분류된 복수의 기본 렌즈 타입의 안경테의 화상 또는 상기 복수의 기본 렌즈 타입의 안경테를 상기 초상에 각각 착용한 복수의 합성 화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나열하여 표시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기본 렌즈 타입의 안경테의 화상 또는 상기 복수의 합성 화상 중의 어느 것이나를 선택하여, 각각 기본 렌즈 타입에 대해 더욱 세분화한 복수의 렌즈 타입의 안경테를 착용한 합성 화상이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구성 21)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인물의 초상에 무테(rimless frame)를 착용한 합성 화상의 화면과, 상기 무테의 렌즈 타입을 변형하기 위한 변형 조작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열하여 표시하는 기능과,

    상기 변형조작의 화면에 있어서의 렌즈 타입의 변형 조작에 의해, 이에 연동하여 상기 합성 화상의 렌즈 타입을 변형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무테를 착용한 합성 화상과 렌즈 타입의 변형 조작의 화면을 나열하고, 렌즈 타입의 변형 조작에 연동시켜 합성 화면의 렌즈 타입이 변형하도록 하기 때문에, 렌즈 타입의 변형 조작의 화면에 의해 변형 조작이 알기 쉬워 조작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렌즈 타입 변형후의 착용 상태를 합성 화상으로부터 바로 볼 수 있다.

    상기 구성 21의 형태로서,

    (구성 22) 상기 렌즈 타입의 변형 조작에 의한 변형은 상기 변형조작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무테의 렌즈 타입 화상에 대해서, 렌즈의 일부를 곡선 또는 직선에 의해 컷트하여 변형하는 컷트변형(cutting transform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21의 형태로서,

    (구성 23) 상기 렌즈 타입의 변형 조작에 의한 변형에는, 상기 렌즈 타입의 윤곽선을 구성하는 곡선의 정점 위치의 이동에 따른 변형, 상기 곡선의 신축에 따른 변형, 또는 상기 렌즈 타입의 확대축소에 따른 변형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21의 형태로서,

    (구성 24) 상기 렌즈 타입의 변형 조작에 의한 변형은, 현재 선택되어 있는 렌즈 타입의 형상을 이 렌즈 타입 형상과 특정 이미지의 렌즈 타입 형상을 원하는 비율로 합성하여 변형하는 이미지 변형(image transform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21의 형태로서,

    (구성 25) 상기 렌즈 타입의 윤곽선을 강조 보정할 수 있는 윤곽보정기능 (contour correcting function)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인물의 초상 화상에 대해서 안경테 화상(image)을 합성한 안경 착용의 합성 화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즉 안경의 가상 시착이 가능한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안경 착용자의 기호에 맞는 안경테나 안경 렌즈를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고 확실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한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flowchart)이고,

    도 2∼도 28은 도 1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처리내용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고, 도 2에서 도 28까지는 도 1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처리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이러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 실시예의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설명한다.

    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하드웨어적 구성은 일본국 특개소 제61-80222호, 특개소 제62-280717호, 특개소 제63-113671호, 특개평 제1-76362호의 각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초상 촬영장치(portrait photographing device), 테 데이터(frame data), 컴퓨터(computer), 표시장치(디스플레이)로 구성된다(도시되지 않음).

    종래 시스템에서와 다른 하드웨어 구성은 초상 촬영장치에서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를 사용하고, 컴퓨터에서는 마우스(mouse)를 포함한 입력수단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테 데이터에서는 화상 데이터(image data), 문자 데이터(text data) 및 음성 데이터(voice data)를 조합한 멀티미디어 카탈로그를 사용하여, 조작성(operability)과 정보량(data capacity)의 향상과, 보다 대화성 (interactiveness)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초상 데이터(1)의 작성(스텝(step) S1), 테 데이터(2)의 작성(스텝 S2), 렌즈 데이터(3)의 작성(스텝 S3), 멀티미디어 카탈로그(5)의 이용(스텝 S2), 렌즈 타입 창작 데이터(6)의 작성(스텝 S2-1), 화상 합성(4)(스텝 S4)은 본 실시예의 특징이 되는 처리부분이고, 이하 기본적 조작순서를 각 처리의 표시 화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스텝 S1)

    초상 데이터(1)의 작성 스텝에 있어서는, 우선 안경점에 방문한 안경 주문자 (손님)의 고객 파일을 작성한다. 이 때, 안과의의 검안에 의한 렌즈 처방을 입력한다. 이어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손님의 초상을 디지탈 카메라로 촬영하여 컴퓨터에 입력한 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스케일 측정이나 필요한 경우에는 얼굴 표면 처리(미안처리(beauty processing))를 실시하여 초상 데이터를 작성한다. 초상 촬영은 촬영 후의 화상처리의 기술의 다양성으로부터 디지탈 카메라를 이용하지만, 특히 디지탈 카메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후, 컴퓨터에 입력된 초상의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일단 표시하고, 이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대해서 고객과 대화하면서 미안처리를 실시함과 동시에, 초상 화상과 안경테 화상의 합성을 위한 스케일 측정을 실시한다.

    도 2는 그 디스플레이 화면이고, 좌측의 화면(21)에는 배경색을 공색으로 하여 얼굴 화상(20)이 표시되고, 우측의 화면(22)은 고객명·안면 계측 정보 등의 문자 및 수치의 표시·입력을 실시하는 화면으로 되어 있다. 더욱이, 좌측 화면(21)의 얼굴 화상(20) 아래의 영역(24)에는 미안처리 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미안처리 버튼은 미안처리의 「개시」 및 「취소」의 조작 버튼과, 미안처리의 처리정도의 랭크를 지정하는 「L」,「M」,「H」,「SH」의 지정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미안처리 기능은 본 발명 특유의 것으로, 예를 들면 주름이나 기미를 감추는 화장을 실시한 상태의 얼굴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고, 얼굴 화상(20)에 대해서 미안처리의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이다. 이를 위한 화면 처리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얼굴의 영역을 세분화한 영역으로 구분하고, 그 구분한 영역내의 얼굴색을 평균화한 혼합색으로서 처리해 가는 것으로, 세분화의 설정정도에 의해 미안처리의 랭크가 변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평소 별로 세심하게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충실하게 확대하여 영상화된 자화상을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보면서 테를 선택하여 가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미안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미리 심리적 쇼크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겨냥한 것이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입술과 눈만은 마스킹(masking)에 의해 미안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오리지널성을 남기는 수법을 택하고 있다. 이것은 본래의 자기 얼굴의 특징을 살리면서 미안처리를 실시하기 위함이다.

    도 2의 우측 화면(22)에서는 안면 계측 정보의 수치 표시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좌우의 한쪽 눈에서의 원용 PD의 수치를 입력하는 영역(25)과, 양안 PD의 수치를 입력하는 영역(26)과, 피팅폭(fitting width)(얼굴폭)의 수치입력 영역(27)이 있다. 피팅폭을 구할 때에는, 스케일(scale) 버튼(28)의 「표시」버튼을 클릭하면, 좌측 화면(21)의 얼굴 화상(20)에 스케일상(23)이 묘사되고, 이 스케일상(23)에서 거리를 독취하여 얼굴폭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측정된 얼굴폭의 화상에서의 측정값은 얼굴 화상(20)과 안경테 화상을 합성하기 위한 위치 및 확대축소 정보로서 사용된다. 또한 스케일 버튼(28)의 「소거」버튼을 클릭하면, 스케일상(23)을 소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PD」버튼(29)을 클릭한 후, 얼굴 화상(20)에 있어서의 좌우 눈의 위치를 클릭하면 화면상에서의 PD값이 계측된다. 이 화면상의 PD값과 실제의 PD실측값을 비교해 보면, 화면상으로의 합성 배율이 계산될 수 있고, 얼굴 화상(20)과 테 데이터의 테 화상의 합성 화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시스템을 관리하는 안경점측의 관리 화면으로, 손님에게는 표시하지 않는 화면이다. 이 화면은 처방입력 화면이 주체로 되어 있고, 입력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보존되고, 다음에 같은 고객이 왔을 경우, 입력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꺼냄으로써 촬영 등의 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 화면은 수정, 추가도 가능하다.

    도 3의 화면을 설명하면, 고객번호, 방문의 이력인 처음 방문일, 성명, 남녀의 식별, 원용 PD(동공간 거리), 좌우 시력, 피팅폭, 년대지정(중년, 청소년, 어린이)의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고객의 좌우 렌즈 처방의 SPH(구면 도수를 의미), CYL(난시도수를 의미), AX(난시축을 의미), ADD(가입도수를 의미), PRSM(프리즘을 의미), BASE(프리즘의 기저방향을 의미)가 입력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렌즈 처방에 대해서는 불필요한 항목은 공란으로 생략가능하다.

    또한 이 화면에서는 도 2의 화면에서 실시한 화면상의 PD측정도 가능하고, 화면 위쪽의 「아이포인트 수정」버튼(30)을 클릭하여, 화살표 버튼(31)으로 좌우 상하로 얼굴의 화면(33)에 나타내는 십자마크를 이동하여 위치입력을 할 수 있다. 더욱 「스케일 표시」버튼(32)을 클릭하면, 도 2와 같이 얼굴폭 측정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초상 데이터의 작성을 종료한 후, 도 3의 화면 아래쪽의 「매장 안내(store guide)」버튼(34)을 클릭하면 다음의 테 선택화면으로 이동한다.

    (스텝 2)

    테 데이터(2)의 작성의 개요는 도 1에 나타난 대로이고, 도 4에서 고객 스스로의 조작 화면으로 이동해 간다. 우선 좌측에 촬영한 초상 화면(41)을 표시하고, 우측의 화면(42)에는 지금부터 처음으로 실시하는 조작에 대해서 기본 루트의 가이던스(guidance)를 이해시키기 위해, 지금부터 등장해 가는 화면의 축소 화면을 표시하고 이들 축소화면을 화살표로 플로우를 나타내면서 안내하는 안내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스스로의 초상의 확인과 지금부터의 선택 조작의 흐름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고,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기본적인 이해가 가능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4의 안내 화면은 원하는 안경테를 결정해 가는 조작을 안내하는 것이지만, 후술할 자작 렌즈 타입을 창착하는 렌즈 타입 창작 방법을 포함한 안내 화면, 또는 렌즈 타입 창작 방법만의 안내 화면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우측의 화면(42)의 위쪽의 영역(43)에서는 조작의 안내 메세지가 표시되고 이후 모든 화면에서 안내 메세지가 등장한다.

    도 5는 테 종류(타입) 화면이고, 화면 위쪽에는 「결정(다음)」의 버튼(51), 「지정않함」의 버튼(52) 및 「뒤로」의 버튼(53)의 조작 버튼 영역이 있고, 그 아래쪽이 테·타입 영역이다. 테 타입 영역의 상부의 안내 화면(54)에는 「원하는 테 타입의 사진을 클릭해 주세요.」「선택한 타입은 적색 문자가 됩니다.」「특히 지정하지 않는 경우는 [지정않함]버튼을 클릭하여 주세요.」라는 메세지가 표시된다. 그리고, 안내 화면(54)의 아래에는 5종류의 테의 사시도가 표시되어 있다. 5종류의 테는 테의 재료나 형상적 특징으로 테를 분류한 것으로, 금속테(55)와 플라스틱테(56), 무테(57), 림론(rimron, nylon use half rim)테(하프림 테(half-rim type))(58)와, 콤비네이션 테(combination frame)(59)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대표적인 금속테(55), 플라스틱테(56) 및 무테(57)에는 각각 아래쪽의 영역(551, 561, 571)에서 설명 메세지가 있고, 예를 들어 금속테(55)의 아래쪽 영역(551)에는 「테의 앞부분의 주요부분이, 금속으로 만들어진 안경테의 스텐다드(standard)입니다.」라는 설명이 있다.

    도 6, 도 7은 후술하는 신규한 렌즈 타입 형상 분류에 의해 분류된 기본이 되는 기본 렌즈 타입 형상의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는 화면이다.

    도 6에 있어서, 화면 위쪽의 영역(61)에는 조작 버튼으로서 「결정(다음)」, 「지정않함」,「뒤로」,「한쌍 비교/선택」의 4개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쌍 비교/선택」의 조작 버튼을 클릭하면 후술하는 렌즈 타입 비교화면(도 7)으로 이행한다.)

    또한 영역(61)의 아래쪽에는 메세지 영역(62)으로서, 「원하는 테의 형의 사진을 선택(클릭)해 주세요.」,「특히 지정하지 않는 경우는 [지정않함]버튼을 클릭해 주세요.」,「비교할 경우는 [비교]버튼을 클릭하여 2개를 선택해 주세요.」라는 표시가 되어 있다. 그리고, 메세지 영역(62)의 아래쪽에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렌즈 타입(본 조작에서는 미리, 어떤 표준 렌즈 타입이 가렌즈 타입로서 선택된다)의 테를 착용한 얼굴의 합성 화면(63)과, 기본이 되는 9종류로 구분 유형된 렌즈 타입의 테를 각각 착용한 얼굴의 합성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도 6에서는 합성화면 651∼659의 일부를 도시 생략한다.). 또한, 9종류의 기본 렌즈 타입의 테를 착용한 얼굴의 합성 화면(651∼659)의 어느 것이나를 선택하면, 다시 각 기본 렌즈 타입을 세분화한 렌즈 타입을 착용한 복수의 합성 화상을 표시한 화면이 나타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합성 화면(651∼659)의 아래쪽에는 「비교」버튼(66)이 있고, 「비교」버튼(66)을 클릭하여 선택함으로써 합성 화면의 한쌍 비교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한쌍 비교의 렌즈 타입의 선택 기능화면이고, 도 6의 화면의 보다 상세한 선택 확인 화면이다. 다른 렌즈 타입의 안경을 착용한 2개의 얼굴의 비교화면(77, 78)을 좌우로 배치하고, 중앙의 화면(75)에는 현재의 선택 렌즈 타입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인식시켜 선정시키는 가이드로서, 렌즈 타입 형상을 분류한 목구조의 체계도(디시젼 트리(decision tree))(76)를 표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렌즈 타입의 형상 특성을 강조시킨 형태로 표시하여 조작자에게 인식시키면서 선택 가이드를 실시해 가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테 선택의 가장 중요한 선택요소에 렌즈 타입 형상을 위치시켜 시스템 설계가 되어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미리 렌즈 타입에 대해서 형상의 기초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그 분석한 유형 사상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본 렌즈 타입을 선정하여 렌즈 타입의 분류를 실시하고 있다.

    종래의 렌즈 타입으로는, 파리(paris)형, 세미오토(semiauto)형, 보스톤형, 오발(oval)형, 헥사곤(hexagon)형, 폭스(fox)형, 가지(eggplant)형, 웰링톤형, 렉싱톤(lexington)형, 라운드(round)형, 옥타곤(octagon)형 등의 렌즈 타입이 있지만, 형상적 정의가 없는 것이나, 유형의 종류가 너무 많기 때문에 적당한 분류 설정을 실시할 수 없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형상의 아름다움은 원(또는 원호로 집결)에 있다는 분석결과로부터, 분류방법으로서 원을 기본형상의 중심으로서 생각하고, 기존의 렌즈 타입이 원의 요소가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는지를 분류하였다. 즉, 렌즈 타입의 윤곽선은 원 또는 원호(선부분도 포함)를 연결한 선으로서 유사하기 때문에 렌즈 타입의 윤곽선을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원 또는 원호(선부분 포함)의 수로 분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오발상의 것은 원의 요소가 한 개인 것, 4각형다운 것은 원의 요소가 4인 것(4개의 원료로 생각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는 분류법이다. 그리고, 렌즈 타입 전체를 9개로 분류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분류수는 9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7종류, 5종류, 또는 12종류라는 분류수라도 상관없다.)

    또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안경 착용 화면으로부터의 선택 방법으로서, 2개의 안경 착용 화면을 비교대비하는 「한쌍 비교법」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것은 너무 비교하는 화면이 많아지면 선택에 혼란이 발생하여 선택하는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주로, 안경 착용자 자신이 조작하여 선택해 가는 경우), 안경점에 있어서 본 시스템의 활용성이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도 7에서는 2개의 선택된 안경 착용 화면을 비교하는 화면(77, 78)을 설정하고 있다. 도 7의 화면의 위쪽 영역(71)에서는 「결정(다음)」, 「지정않함」,「뒤로」의 버튼이, 그 아래쪽 영역(72)에는 「원하는 테 형태의 사진을 선택(클릭)해 주세요.」,「특히 지정하지 않는 경우는 [지정않함]버튼을 클릭해 주세요.」의 메세지가 표시되고 있다. 더욱 화면(77, 78)의 상부 영역(73, 74)에는 착용되어 있는 테의 설명, 예를 들면 영역(73)에는 「확실히 선이 눈에 띠고 부드러운 상냥한 인상입니다」, 또는 영역(74)에는 「딱딱한 느낌으로, 중후한 인상입니다」의 메세지가 표시된다.

    더욱이 보다 선택을 합리적으로 진행시키는 툴(도구)로서, 도 7의 중앙 화면(75)에서는 디시젼 트리(76)를 설정하고 있다. 이 트리(76)는 중앙의 분지(77)를 출발점으로 하고, 한쌍 비교에 의해 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한쌍 비교에서는, 그 시점의 후보중에서, 항상 형상·이미지에 가장 차이가 있는 것끼리를 비교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타입 형상·이미지의 차이에 의해 렌즈 타입을 ①∼⑨의 순서로 디시젼 트리(76)로 배치하고, 우선 중앙 분지(77)에서는 ①의 렌즈 타입와 ⑨의 렌즈 타입을 화면(78, 79)에서 비교하여 원하는 렌즈 타입을 선정하고, 예를 들면 ①의 렌즈 타입이 보다 바람직할 때에는 계속하여 분지(771)로 진행하고, ①의 렌즈 타입과 ⑤의 렌즈 타입을 비교하도록 렌즈 타입의 선택범위를 좁히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도 8은 안경테의 가격대 선택을 실시하는 표시화면이고, 종래 구입예산이라고 했던 것은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금액은 중요한 선택 조건의 하나라는 인식에서 본 기능화면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테 가격대를 지정하지 않는 선택이나 선택의 변경도 가능하다.

    도 9는 브랜드(brand) 선택 기능 화면이고, 이 화면에서는 문자 및 상표 정보만(브랜드마크와 회사명, 디자이너명)이 표시되고, 선택가능하게 된다. 브랜드는 테의 메이커나 디자이너 브랜드를 지정한 것이고, 아래쪽 영역(91)에는 도형 마크, 문자등이 표시된다. 또한 브랜드를 지정하지 않는 선택이나 선택의 변경도 가능하다.

    도 10은 테의 특정한 기능(옵션)을 설정하는 화면이고, 스프링 경첩, 초탄성테, 선글라스 기능, 금속알러지 대책 테, 보석부착 테(쥬어리, jewelry), 금테(gold frame)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각 기능의 화면에서는 테 형상의 사진의 사시도 등이 표시된다(도 10에서는 테 형상의 도는 생략하였다). 옵션 설정은 설정가능한 항목을 일람(chart) 형식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테를 구조나 형상, 테 기능의 관점에서 분류한 것을 지정항목으로서 표시하고 있다. 스프링 경첩은 고유기능의 경첩 부품을 지정하는 것이고, 초탄성은 특정의 테 재료를 지정하는 것이며, 선글라스 기능은 특정 테 형상을 지정하는 것이다. 금속알러지는 니켈 등의 특정 금속으로부터 알러지를 갖는 사람에 대한 테 재질의 제한기능이고, 쥬어리는 보석부착테를 지정하는 것이며, 금테는 금재료의 테 지정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특정 기능(옵션)을 지정하지 않은 선택이나 선택의 추가·변경도 가능하다.

    도 11은 조건 일람 확인 화면이고, 상술한 안경테 선택의 조건, 즉 테의 종류(타입), 테 가격대, 테 렌즈 타입의 타입(형상), 브랜드, 옵션(특정기능)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테의 선택조건이 동시 화면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테 선택을 다면적으로 검토할 수 있고, 총합적인 테 결정의 판단이 가능하다. 상기 테 선택 조건을 확인하여 변경이 없으면 「카탈로그로부터 찾기」버튼(111)을 클릭하여 테카탈로그의 선택으로 이동한다.

    도 12는 상기 선택조건에서 선택된 테 일람을 총괄적으로 표시하는 기능화면이다. 이 화면의 위쪽 영역에는 메세지 화면(121)이 있고, 「끼어 보고 싶은 테의 사진을 클릭해 주세요. 사진이 확대됩니다」, 「「앞페이지」,「다음페이지」버튼을 클릭하면 페이지가 변합니다.」,「다른 조건에서 찾을 경우는 「뒤로」버튼을 클릭해 주세요.」라고 표시되어 있다. 또한 메세지 화면(121)의 왼쪽 영역(122)에는 「앞페이지」,「다음페이지」,「뒤로」의 버튼이 나란히 놓여 있다.

    또한, 메세지 화면(121)의 아래쪽은 후보 테 일람 영역으로 되어 있고, 번호(123)로 표시하는 영역에는 테의 사시도의 사진이, 번호(124)의 영역에는 가격이 문자 정보로, 번호(125)의 영역에는 그 테의 특징을 설명하는 문자정보가 각각 표시되어 있다. 영역(123, 124, 125)의 아래쪽에서도 다른 후보 테가 동일한 형식으로 표시된다.

    도 13은 도 12의 후보 테로부터 지정된 카탈로그 후보 테 화면으로, 멀티미디어 카탈로그로 되어 있는 기능 화면이고, 본 실시예의 특징의 하나이다.

    도 13의 화면은 테의 표시화면이고, 여러가지 조건에 따르며, 선택된 테의 표시를 나타낸다. 그 화면 구성은 테 전체의 인상을 이해할 수 있는 전체의 사시도(136), 엔드 피스 부품 근처의 부분확대도(137), 문자에 의한 그 테의 특징 해설문 등으로 되어 있고, 더욱이 음성에 의한 테의 제품 설명도 받을 수 있는 음성 설명을 받는 경우에는, 「음성설명」버튼(138)을 누르면 된다. 종래 시스템에서는 테 화상뿐이었지만, 테를 보다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문자정보와 음성정보를 더할 수 있다. 화면 위쪽의 영역(131)에는 「끼어 보고 싶은 경우에는 [끼어봄]버튼을 클릭해 주세요.」,「일람으로 되돌아 갈 경우에는 [뒤로]버튼을 클릭해 주세요.」의 메세지가 표시되어 있다. 그 아래쪽 영역(132)에는, [끼어봄]과 [뒤로]의 버튼이 설정되어 있다. 번호(133)는 브랜드의 설명문의 표시 영역, 번호(134)는 그 브랜드의 마크의 표시영역, 번호(135)는 테의 설명문의 표시 영역이다.

    또한 도 13에서는 분할화면으로서 다른 후보테를 표시할 수 있고, 비교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4에는, 선택된 테를 착용한 착용화면(140)이 표시되고, 착용 화면(140)의 우측에는 착용하고 있는 테의 사진 등이 병치되어 있다. 착용 화면(140)의 우측하단에는 스크롤바(scroll bar)(141, 142)가 설치되고, 스크롤바(141, 142)를 조작함으로써, 테를 그 표준 장착 위치로부터, 상하방향, 좌우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그 위치 조정의 기능은 착용 화면(140)의 얼굴 화상에 대해서 테 배치처리가 잘 되어 있지 않았거나, 피팅(fitting) 위치를 확인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림론테나 무테를 선택한 경우, 렌즈 윤곽 형상이 시인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번호(143)로 표시되는 윤곽의 강약을 칼러링(coloring)하여 보정하는 「윤곽」버튼으로 렌즈의 윤곽을 강조보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렌즈 타입 창작 데이터의 작성에 있어서도, 이 렌즈 타입의 윤곽선을 강조보정할 수 있는 윤곽보정 기능이 설치되어 있다.

    도 14의 착용 화면(140)에는, 렌즈 부분(144)은 이미 처방렌즈의 도수효과(외관효과)를 가미한 영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4의 화면의 좌측 하단부에는 「종료」버튼(145),「카탈로그」버튼(146) 및 「후보로」버튼(147)의 3개의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카탈로그」버튼(146)을 누르면, 도 12의 테 일람의 화면으로 되돌아 간다. 또한, 「후보로」버튼(내지 「후보로 등록」버튼)(147)을 누르면, 바람직한 테가 후보로서 등록되고 일시적으로 보존된다. 또한, 화면 우측의 테 화면의 아래쪽 영역에 있어서, 번호(148)의 영역은 테 가격표시, 번호(149)는 테의 해설문자표시, 번호(1410, 1411)는 테 사이즈의 변경버튼으로,「작게」,「크게」지정이 가능하고, 착용화면(140)의 얼굴 화상에 대해 테 사이즈가 변경되어 합성된다.

    또한 도 14의 화면의 우측 하단부에는 「테」버튼(1412),「후보 참조」버튼(1413),「렌즈칼러」버튼(1414),「두께·중량」버튼(1415),「상세정보」버튼(1416)의 기능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테」버튼(1412)을 누르면, 테의 확대화상, 브랜드 등이 표시되고, 또한 「상세정보」버튼(1416)을 누르면 테의 브랜드나 브랜드의 설명, 테의 옵션 정보등을 볼 수 있다.

    도 15는 도 14등의 「후보참조」버튼(1413)을 클릭했을 때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이고, 우측 상방향의 영역(151)에는 「비교하는 경우는 [비교]버튼을 클릭하여 2개를 선택해 주세요.」,「좌측에 확대하는 경우에는 [확대]버튼을 클릭해 주세요.」라는 메세지가 표시되어 있다.

    도 15의 우측의 4개의 화면(축소한 착용화면)은 지금까지 선택하고 보정하여 남긴 착용화면이고, 각 화면의 좌측에 있는 버튼(152)은 「비교」버튼이고, 버튼(153)은 「확대」버튼이다. 또한, 「비교」버튼을 클릭했을 때에 표시되는 비교화면은 도 7의 렌즈 타입 비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쌍 비교 선택법을 채택한 화면으로 되어 있다.

    (스텝 S3)

    도 16은 도 14등의 「두께·중량」버튼(1415)을 클릭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이고, 본 실시예의 큰 특징의 하나인 렌즈 선택 지원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렌즈 선택 지원 기능은 선택된 테에 비해, 미리 입력된 처방 데이터와 렌즈의 굴절률과 렌즈의 광학설계정보(필요에 따라서는 지정 가공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테에 렌즈를 넣은 후의 렌즈 형상 형태를 연산하고, 이 연산결과로부터 렌즈 두께 정보의 수치와 렌즈 외관 형상의 도형을 표시되는 것이다.

    도 16의 화면의 좌측의 영역에는, 테 카탈로그로부터의 테 시뮬레이션 조작에 의해 선택된 테를 착용한 착용화면(161)이 표시되어 있고, 도 14와 같이, 스크롤바의 조작에 의해, 얼굴 화상에 대한 테 화상의 위치 조정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우측 화면(162)에는 상기 렌즈 선택 지원 기능에 기초하여, 렌즈 외관 형상의 도형을 표시하는 영역(163)과, 렌즈 두께 정보의 수치를 표시하는 영역(164)을 갖는다. 렌즈 형상의 도형 표시의 영역(163)에는, 렌즈 메이커의 기제작된 렌즈 그대로의 보통 가공과 안경 착용자의 개인의 사양에 맞춘 특별 설계의 박형 가공의 2개의 경우에는, 우 렌즈 및 좌 렌즈를 측면(볼쪽)에서 본 측면 형상이 각각 대비하여 표시되어 있다. 또한, 렌즈 두께 정보의 수치 표시 영역(164)에는 우 렌즈 및 좌 렌즈 두께(최대 림두께(렌즈 주변부),mm)와 렌즈 중량(g)이 보통 가공과 박형 가공의 경우로 구분하여 표시되어 있다.

    렌즈 두께 정보의 수치나 렌즈 외관 형상의 도형을 표시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마이너스 7디옵터의 강도 렌즈의 처방자(안경 착용자)가 큰 선글라스용 테를 선택한 경우에는 렌즈 주변의 두께가 상대쪽에서 보아서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지만, 그와 같은 경우에 테의 선택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렌즈의 두께는 렌즈의 굴절률이나 렌즈의 가공방식이나 렌즈 설계에 있어서도 달라지는 것이고, 그 요인을 테 선택이나 렌즈 선택에 있어서 동일하게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착용화면(161)의 렌즈 부분(167)의 투과 화상에는, 처방 렌즈의 도수에 맞는 굴절력에 의해 확대·축소등이 되어 보이는 도수효과(영향)을 가한 화상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도수효과를 부여하는 경우에는, 착용화면(161) 아래쪽의 도수효과의 체크(check)버튼(1610)을 클릭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온(on) 상태의 체크마크를 표시시킨다. 또한, 도수효과를 없애고 싶은 경우에는 체크버튼(1610)을 다시 클릭하여 오프(off) 상태인 공백표시로 하면 된다. 도수효과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처방렌즈를 실제로 낀 안경 착용상태를 화면상에서 시뮬레이션할 수 있고, 원하는 안경선택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방 렌즈에 의해 눈이 작게 보이기도 하고, 또는 크게 보이기도 하는 정도나, 얼굴폭을 초과하는 듯한 크기의 렌즈 타입의 테를 선택했을 때에 얼굴면의 윤곽선이 렌즈부분(167)과 그 상하위치에서 어긋나서 보이기도 하는 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도수라도 구면렌즈와 비구면 렌즈에서는 눈이 작게 보이는 정도가 바뀌기 때문에, 비구면 렌즈의 체크버튼(1611)도 설치되어 있다. 비구면 렌즈의 체크버튼(1611)을 클릭하여 온상태로 하면, 비구면렌즈를 착용했을 때의 도수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다시 클릭하여 오프상태로 하면 구면렌즈 때의 도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렌즈칼러」버튼(168)을 클릭하면, 얼굴화면(161)의 렌즈부분(167)을 렌즈칼러(농도, 종류, 그라데이션)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착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우측화면(162)에는 플라스틱 렌즈나 유리 렌즈의 재료선택을 지정하는 영역(165)과, 선택한 렌즈소재(플라스틱 또는 유리)의 굴절률 또는 비중 등을 지정하는 영역(166)이 있다. 굴절률은 보통, 약간 얇게, 보다 얇게, 가장 얇게 라는 표현으로 구분되어 있다.

    도 17은 도 16의 화면을 보다 상세하게 표시한 화면이고, 도 16의 「계산」버튼(169)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화면이다. 화면 위쪽의 영역(171)에는 렌즈두께 (mm) 및 렌즈중량(g)의 수치가 표로 표시되고, 화면 아래쪽의 영역(172)에는 렌즈 형상의 도형이 표시된다. 렌즈두께·중량의 표 표시영역(171)에 있어서, 좌측의 항목은 우 렌즈와 좌 렌즈에, 또한 보통 가공과 박형 가공으로 구분하여 설정되고, 한편, 위쪽 항목은 렌즈 소재의 굴절률(굴절률의 구분은 보통, 약간 얇게, 보다 얇게, 가장 얇게로 구분되어 있다)과, 렌즈 설계 조건(구면과 비구면으로 구분되어 있다)으로 구분하여 설정되어 있다. 또한, 렌즈 설계 조건에서는, 구면, 비구면 이외에도 곡률, 원용과 근용의 레이아웃, 작은 렌즈위치 등이 있지만, 이러한 조건을 가미하여 더욱 구분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박형 가공이라면, 특히 플러스 강도의 처방렌즈의 경우 등에, 테 형상이나 처방의 요인에 의해 기존제품의 렌즈 사양으로는 렌즈 두께는 너무 두꺼워지는 경우, 새롭게 그 테나 처방에 맞쳐 렌즈의 광학 설계를 고치고 최적의 렌즈 두께를 갖는 렌즈를 공급하는 특별한 안경가공인 것이다. 이와 같은 박형 가공을 실시하는 안경가공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호야 메츠 온라인시스템(HOYA METS online system)이 알려져 있다.

    또한 렌즈 형상의 도형 표시영역(172)에는 상기 렌즈두께·중량의 표로부터 선택된 렌즈의 측면형상이 도형으로 도시된다. 도형표시영역(172)에는 2종류의 렌즈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고(도 17에서는 렌즈 A와 렌즈 H를 선택한 상태), 동시비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8은 도 17의 「그래프 표시」버튼(173)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나타나는 화면이다. 도 18의 화면은 도 17의 렌즈 두께 및 렌즈 중량의 숫자에 의한 표 표시를 렌즈 두께 및 렌즈중량의 그래프 표시로 변경한 것으로서, 렌즈 두께 및 렌즈 중량의 비교를 그래프 표시에 의해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나누고 있다.

    이 그래프 표시에 있어서는, A∼H의 각 렌즈에 대해서, 왼쪽부터 보통 가공의 두께(181), 보통 가공의 중량(182), 박형 가공의 두께(183), 박형 가공의 중량(184)이 막대그래프에 의해 표시된다. 이러한 두께 및 중량(181∼184)의 막대 그래프의 높이는 좌우 렌즈 수치를 더하여 계산한 값을 나타낸 것이고, 또한 8종류의 렌즈 A∼H 중에서 가장 큰 수치를 100%로 하여 상대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또한, 화면에 충분한 표시 공간을 확보하면 렌즈 두께 및 중량을 좌우 렌즈마다 절대적인 수치로 비교한 높이로 그래프 표시하도록 해도 물론 좋다.) 또한 그래프 표시는 렌즈 두께만의 비교표시, 렌즈 중량만의 비교표시, 렌즈 두께 및 중량의 양쪽 비교표시(도시예)의 어느것이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선택은 항목 mm(렌즈두께만의 비교표시의 경우), 항목 g(렌즈 중량만의 비교표시의 경우) 및 항목 mm, g(렌즈 두께 및 중량을 비교표시한 경우) 중, 선택하고자 하는 항목의 왼쪽에 있는 라디오 버튼(185)을 클릭하여 온(on)으로 하면 된다. 또한, 렌즈 두께 및 중량을 도 17에 나타나는 숫자에 의한 표시로 되돌리는 것에는 「숫자로 표시」버튼(186)을 클릭하면 된다.

    또한, 도 19는 도 17의 「렌즈 가격표」버튼(174)을 클릭했을 때 나타나는 화면이다. 도 19의 화면 아래쪽의 영역(191)에는 렌즈에 실시되는 반사방지코팅의 정도(코팅없음, 단층막, 다층막, 초다층막)에 맞는 렌즈 가격표가 8종류의 렌즈 A∼H에 대해 표시된다.

    이 렌즈 가격표에 있어서, 좌측항목은 코팅없음, 단층막, 다층막, 초다층막으로 구분되고, 또한 상측의 항목은 렌즈 두께·중량과 같이, 굴절률(보통, 약간 얇게, 보다 얇게, 가장 얇게)과, 렌즈 설계 조건(구면, 비구면)으로 구분되어 있다. 렌즈 가격표의 각 블럭에는 해당 렌즈의 제조 메이커와 가격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시예와 같이,「보다 얇게」의 굴절률의 구면 렌즈의 표면에 다층막을 형성한 렌즈에는 H사제로 31,000엔의 렌즈가 있는 것이 표시된다. 또한 반사방지 코팅의 정도, 렌즈의 굴절률 및 렌즈 설계 조건이 일치되는 렌즈(렌즈가격표의 동일한 블럭에 해당하는 렌즈)가 복수의 제조 메이커에서 제조되는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메뉴(pop-up menu)의 버튼(192)의 표시가 되고, 버튼(192)을 클릭하면 복수의 렌즈 제조 메이커 및 렌즈 가격의 메뉴(리스트)가 나타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영역(191)의 좌측에는 반사방지 코팅의 정도·종류에 의해 투과율이나 코팅막의 간섭색이 다르게 보는 방법이 다른 것으로부터, 이 보는 방법의 차이를 코팅없음, 단층막, 다층막, 초다층막의 4개의 경우에 대해서 원형을 4분할한 화면(193)에 의해 알기 쉽게 표시되어 있다.

    (스텝 S2-1)

    계속하여, 무테에 대해 자작한 렌즈 타입을 창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도, 기본 렌즈 타입의 결정까지는 통상의 상기 시스템의 경우와 동일하고, 기본 렌즈 타입을 변형하여 독자의 렌즈 타입을 창작한 것이다. 또한 이 렌즈 타입 창작방법은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안경(내지 안경테)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등에서도 채용할 있는 것이다.

    도 20은 렌즈 타입 창작의 개시화면이고, 화면 위쪽의 메세지 영역(201)에는 「렌즈 타입을 작성하고 싶은 경우는 「작성한다」버튼을 클릭해 주세요.」,「일람으로 되돌아갈 경우는 「되돌아감」버튼을 클릭해 주세요.」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작성한다」버튼(202)과 「되돌아감」버튼(203)이 얼굴 화면(200)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번호(204)는 메이커 오리지널의 기본 렌즈 타입을 표시한 영역을 표시하기 때문에, 렌즈 타입의 디자인 창작의 출발점으로서 이러한 기본 렌즈 타입로부터 원하는 렌즈 타입에 가까운 것을 선택한다.

    도 21의 화면에서, 번호(211)은 「결정(다음)」버튼이고, 그 아래쪽 영역(212)에는 「원하는 변형 타입의 사진을 클릭해 주세요.」,「선택한 타입은 적색 문자가 됩니다.」의 메세지가 표시되어 있다. 더욱이, 그 아래쪽 영역(213)에는 「여러가지의 변형툴을 이용하여, 렌즈의 알타입을 디자인 할 수 있습니다.」라는 설명의 메세지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번호(214, 215)는 각각의 변형방법을 그래픽이나 문자로 설명하는 표시부이다.

    도 22는 렌즈 타입의 컷트변형을 실시하는 화면이고, 좌측에는 안경착용의 얼굴화면(221)이, 우측에는 변형 조작 화면(222)이 설치되어 있다. 변형조작화면 (222)에는 컷트변형이 된 렌즈 타입과 렌즈 타입의 윤곽선의 일부를 컷트하는 컷트툴(커터)(224)이 표시된 컷트 변형 화면(223)이 설치되어 있다.

    컷트툴(224)은 안경 렌즈 형상으로서 미적인 선이 창작가능하도록 미리 어울리는 곡선이 선정되어 있다. 즉, 컷트툴(224)의 곡선은 미리 설정된 지정곡선(원호, 포물선 등)을 기준곡선으로 하고, 더욱 지정곡선을 일정한 조건의 기준에서 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정곡선(기준곡선)을 결정하는 것은 컷트하는 곡선에 너무 자유도를 많이 주면, 결과적으로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은 테 형상이 되는 경우가 많아지기 때문이고, 미리 안경렌즈로서의 미관을 고려하고, 사용하는 컷트툴(224)의 컷트곡선을 제한하여 변형작업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렌즈를 컷트하는 선으로서, 원호와, 직선(본 실시예에서는 반경이 무한대로 간주되는 원호)을 사용하고 있다.

    컷트툴(224)은 그 곡선의 중심위치(227)가 라운드 마크(round mark)로서 표시되고, 컷트툴(224)의 중심위치(227)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도 하고, 중심위치(227)를 중심으로 좌우회전, 180도 회전(상하 반전)시켜 컷트툴(224)의 위치를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 컷트툴(224)의 곡선의 커브를 소정범위에서 완급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컷트툴 사용시에는 아래쪽의 화면에 컷트변형이 되는 각도 범위가 숫자로 컷트툴의 이동등에 연동하여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컷트 변형화면(223)에서는 귀쪽과 코쪽의 방향이 표기됨과 동시에, 기본 렌즈 타입 형상의 내부에 테 부품을 렌즈면에서 고정하는 고정나사부재(fixing screw member)의 표시(225)가 되어 있고, 그 고정나사부재의 근처의 렌즈 윤곽에는 적색으로 구별된 렌즈 형상 윤곽선(226)이 묘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적색의 렌즈 형상 윤곽선(226) 영역에 컷트툴(224)의 선이 교차하면, 테 지지부품과의 구조상의 관계로부터 변형불가의 경고가, 아래쪽 화면에 문자로 자동적으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컷트 조각을 실시할 때에는, 컷트 변형화면(223)의 컷트툴(224)을 렌즈 타입의 원하는 위치에 셋팅(setting)하여, 화면(223) 아래쪽의 「확정」버튼(228)을 클릭하여, 렌즈 타입의 컷트 변형의 그래픽 처리가 된다. 원호(곡선)으로 컷트한 경우에는, 컷트툴(224)의 원호와 렌즈 타입의 윤곽선의 교차점 부분은 소정의 최소한의 원호로 매끈하게 접속되고, 한편, 직선으로 컷트한 경우에는 직선과 렌즈 타입의 윤곽선과의 교점 부분은 직선으로 윤곽선을 컷트한 상태인 채로 된다. 또한 컷트 변형을 실시후에 취소하고 싶은 경우에는,「취소」버튼(229)을 클릭하면 한단계전의 상태(내지 초기 상태)로 돌아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컷트변형화면(223)상의 렌즈 타입의 변형에 연동하여 얼굴 화면(221)의 렌즈 타입도 변형되고, 얼굴 화면(221)을 확인하면서 렌즈 타입의 변형조작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도 23은 렌즈 타입의 자유변형을 실시하는 자유변형화면이다.

    이 자유변형화면의 좌측에는 안경착용의 얼굴화면(231)이 표시되고, 우측에는 자유변경툴 화면(232)과, 컷트변형툴 화면(233)이 표시되어 있다. 자유변형툴 화면(232)의 상부에는 렌즈 타입의 변형을 실시하는 부위를 화살표 [1]∼[7]로 표시하는 화면(234)이 표시되고, 화면(234)의 아래쪽에는 [1]∼[7]에 대응한 변형조작의 버튼(2301∼2307)이 배치되어 있다.

    버튼(2301)은 렌즈 타입 전체를 유사형으로 확대 또는 축소하는 확대·축소 변형(렌즈 타입 사이즈의 변경)의 조작 버튼이다. 버튼(2301)을 클릭하여 확대·축소변형을 선택하면, 자유변형툴 화면(232)의 아래쪽에, 렌즈 타입의 윤곽선의 도형과 확대·축소 조작버튼과 확정 코멘드버튼(confirmation command button)을 구비한 조작화면(도시되지 않음)이 표시된다. 이 확대·축소 변형의 조작화면에 있어서는 렌즈 타입의 윤곽선은 변형 전 상태가 흰선이고, 확대 변형 후 상태가 빨간 선이고, 축소 변형후의 상태가 물색의 선으로 각각 표시된다. 또한 버튼(2302∼2307)을 클릭하여 다른 변형조작을 선택한 경우에도 동일한 조작화면이 자유변형툴 화면(232)의 아래쪽에 표시됨과 동시에 조작화면에는 동일하게 변형전과 변형후의 렌즈 타입의 윤곽선이 색을 바꾸어 표시된다.

    렌즈 타입의 확대·축소 변형에 있어서는 테의 코폭(nose width)은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좌우방향의 확대·축소는 렌즈 타입의 코쪽 윤곽선의 정점이 좌우방향의 위치(X좌표)를 바꾸지 않는 상태로 되고, 한편 상하방향의 확대·축소는 렌즈의 기하중심을 중심으로서 상하대칭으로 시킨다.

    또한 안경착용의 얼굴 화면(231)에서도 변형후의 렌즈 타입의 윤곽선(2312)(도에서는 점선을 이용하여 표시)이 변형전의 윤곽선(2311)과는 별도의 색으로 미리보기(preview)표시되고, 변형후의 렌즈 타입을 확정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확정 버튼을 누르면, 얼굴 화면(231)에는 변형전의 렌즈 타입의 윤곽선은 취소되고, 변형후의 렌즈 타입의 윤곽선이 표시된다. 렌즈 타입을 한 단계전의 변형상태로 되돌리고 싶은 경우에는 「앞으로 되돌아감」버튼(237)을 누르면 된다. 미리보기 표시의 얼굴화면(231)에는 확대·축소등의 렌즈 타입의 자유변형에 의해 렌즈 멈춤 등의 테 부품의 위치가 렌즈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등 부자연스러운 표시가 되는 경우가 있지만, 확정후의 얼굴화면(231)에는 자연스러운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여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유변형에 있어서도, 변형전과 변형후의 렌즈 타입의 테를 각각 착용한 2개의 얼굴화면을 나열하여 표시시켜 상술한 한쌍 비교에 의해 원하는 렌즈 타입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버튼(2302)은 렌즈 타입의 위쪽 윤곽선(화살표[2]로 표시되는 부분)을 상하로 신축하여 변형하는 상부신축변형의 조작버튼이다. 이 상부신축변형의 조작은 렌즈 타입의 위쪽 윤곽선의 각점을 좌우방향의 위치(X좌표)는 변화없이 상하방향의 위치(Y좌표)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부신축변형은 위쪽 윤곽선의 상방향으로의 팽창의 경우를 조정하는 변형이고, 신축조작에 의해 위쪽 윤곽선이 위로 둥글게 되는 형상이 되고, 수축한 조작에 의해 상측 윤곽선이 평평한 형상이 된다.

    상부 신축변형등의 렌즈 타입의 자유변형에 따라서, 얼굴화면(231)의 얼굴화상에 대해 렌즈 타입의 상하방향의 위치가 부자연스럽게 되는 경우가 있지만, 그 경우에는 「레이아웃」버튼(238)을 누르면, 렌즈 타입이 자연스러운 위치로 자동적으로 자동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정된다. 이 레이아웃 기능(자동조정기능)은 아이포인트와 변형후의 테의 B사이즈(종폭)을 고려하여 되는 것이다. 또한 이 레이아웃 기능은 전술한 렌즈 타입의 컷트변형 및 후술하는 렌즈 타입의 이미지 변형에 있어서도 채용되고 있다.

    버튼(2303)은 렌즈 타입의 아래쪽 윤곽선(화살표[3]으로 표시되는 부분)을 상하로 신축하여 변형하는 하부신축변형의 조작버튼이고, 신축조작에 의해 아래쪽 윤곽선이 아래로 둥글게 되는 형상이 되며, 축소된 조작에 의해 아래쪽 윤곽선이 평평한 상태가 된다.

    버튼(2304)은 상정점 이동변형의 조작버튼이다. 이 상정점 이동 변형에서는 렌즈 타입의 위쪽 윤곽선의 정점(화살표[4]로 나타내는 점)을 좌우로 이동시키면 이 정점이동에 따라 위쪽 윤곽선의 각 점이 상하방향의 위치(Y좌표)는 그대로이고, 좌우방향(X좌표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쪽 윤곽선이 전체로서 매끄러운 곡선(예를 들어 복수의 원호를 연결한 곡선)이 되도록 변형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렌즈 타입의 위쪽 윤곽선은 눈썹의 라인에 맞추면 아름답다고 불리고 있고, 통상적으로 위쪽 윤곽선을 눈썹의 라인에 맞추도록 한다.

    버튼(2305)은 하정점 이동변형의 조작 버튼이다. 이 하정점 이동변형에서는 렌즈 타입의 아래쪽 윤곽선의 정점(화살표[5]로 나타나는 점)을 좌우로 이동시키면 이 정점이동에 따라서 아래쪽 윤곽선의 각 점이 상하방향의 위치는 그대로이고,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아래쪽 윤곽선이 전체로서 매끄러운 곡선이 되도록 변형한다.

    버튼(2306)은 귀쪽 정점 이동변형의 조작버튼이다. 이 귀쪽 정점 이동변형에서는 렌즈 타입의 귀쪽 윤곽선의 정점(화살표[6]으로 표시되는 점)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이 정점 이동에 따라서 귀쪽 윤곽선의 각 점이 좌우방향의 위치는 그대로이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귀쪽 윤곽선이 전체로서 매끄러운 곡선이 되도록 변형한다.

    버튼(2307)은 코쪽 정점 이동 변형의 조작 버튼이다. 이 코쪽 정점 이동변형에서는 렌즈 타입의 코쪽 윤곽선의 정점(화살표[7]로 나타나는 점)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이 정점이동에 따라서 귀쪽 윤곽선의 각 점이 좌우방향의 위치는 그대로이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귀쪽 윤곽선이 전체로서 매끄러운 곡선이 되도록 변형한다.

    또한 도 23의 자유변형화면에서는 상기 자유변형을 실시한 렌즈 타입에 비해, 더욱 컷트변형툴에 의한 컷트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 그 때, 렌즈 타입을 직선으로 컷트하고 싶은 경우에는 컷트툴 화면(233)의 직선 컷트툴 버튼(235)을 클릭하여 직선의 컷트툴을 선택하고, 또한 렌즈 타입을 원호로서 컷트하고 싶은 경우에는 원호 컷트툴 버튼(236)을 클릭하여 원호의 컷트툴을 선택한다. 또한, 컷트 변형의 구체적인 조작은 상술한 대로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컷트 변형을 실시한 렌즈 타입에 비해서는 자유변형은 실시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또한 렌즈 타입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자유변형은 렌즈지지를 렌즈 단면당 접지지부재(lens end face side strap)와 렌즈 면당 접지지부재(lens face side strap)로 실시하는 구조가 아니라, 렌즈 면당 접지지부재만으로 실시하는 구조의 무테에 적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렌즈 단면 지지 부재의 사용에 의해 변형가능한 영역이 일부 제한되는 무테에 대해서도 자유변형 가능한 영역을 지정하여 자유변형이 실시가능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 24는 도 23의 자유변형 화면의 이미지 버튼(239)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화면으로서, 렌즈 타입의 이미지 변형을 실시하는 이미지 변형 화면이다. 이 이미지 변형 화면의 좌측에는 안경 착용의 얼굴 화면(241)이 표시되고, 우측에는 이미지 변형툴 화면(242)이 표시되어 있다.

    렌즈 타입의 이미지 변형은 현재 선택되어 있는 렌즈 타입의 형상과 특정 이미지(부드러운 느낌, 스포티한 느낌 등)를 갖는 렌즈 타입 형상을 원하는 비율로 합성하여 변형하는 것이고, 현재 선택되어 있는 렌즈 타입(2411)의 형상요소에 특정 이미지의 렌즈 타입의 형상요소를 가하여 특정 이미지 쪽에서 렌즈 타입의 형상을 변형(변신)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 선택되어 있는 둥근 형상의 렌즈 타입의 형상요소와, 선택한 특정의 변형 이미지를 갖는 사각의 형상의 렌즈 타입의 형상요소를 소정의 비율, 예를 들면 50%씩 가하여 합한 연산을 실시하여 합성 형상을 작성한다. 이 이미지 변형에는 2개의 다른 화상을 원하는 비율로 매끄럽게 합성 변형한 합성 화상을 얻을 수 있는 모핑(morphing)의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이미지 변형 툴 화면(242)에는 특정 언어의 개념에 따른 변형 이미지(변신이미지)를 가하기 위한 변형툴 버튼으로서, 「부드럽게」,「귀엽게」,「스포티하게」,「개성적으로」,「안정된 느낌으로」,「클래식하게」,「화려하게」,「지적으로 청초하게」의 8종류의 변형툴 버튼(2431∼2438)이 준비되어 있다. 이러한 특정 이미지를 갖는 렌즈 타입 형상으로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부드럽게」에서는 원형의 렌즈 타입이,「아릅답게」에는 타원형의 렌즈 타입이, 「스포티하게」에서는 가지형 렌즈 타입이, 「개성적으로」에서는 단형상의 렌즈 타입이 각각 이용되고 있다.

    현재 선택되어 있는 얼굴 화면(241)의 렌즈 타입(2411)에 대해 이미지 변형을 실시할 때에는, 변형툴 버튼(2431∼2438) 중에서 원하는 변형 이미지를 가하는 버튼을 선택하여 클릭한다. 이 변형툴의 선택에 의해, 도 25의 이미지 변형 화면이 나타난다. 도 25의 이미지 변형툴 화면(252)에는 이미지 변형의 경우(변형 도 내지 변신도)를 5단계(가장 약하게, 약하게, 중간, 강하게, 아주 강하게)로 설정할 수 있는 변형강도 설정버튼(2531∼2535)이 설치되어 있다. 가장 약하게의 설정버튼(2351)이 특정 이미지의 렌즈 타입의 형상요소를 가하는 정도·비율이 가장 작게, 가장 강하게의 설정버튼(2535)이 특정 이미지의 렌즈 타입의 형상요소를 가하는 정도·비율이 가장 많다. 또한 이미지 변형의 정도를 단계적으로 설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미지 변형의 정도를 연속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변형강도 설정 버튼(2531∼2535)의 어느 하나를 클릭하면, 안경착용의 얼굴 화면(251)에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렌즈 타입의 윤곽선(2511)에 비해, 이미지 변형후의 렌즈 타입의 윤곽선(2512)(도에서는 점선을 이용하여 표시한)이 색을 바꾸어 미리보기 표시되고, 이미지 변형후의 렌즈 타입을 확정전에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현재 선택되어 있는 변형강도 설정 버튼 이외의 변형강도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변형 강도의 설정이 변경되고, 이미지 변형후의 렌즈 타입의 윤곽선(2512)은 변형후의 설정강도에 대응한 윤곽선으로 변한다.

    확정 버튼(254)을 누르면, 얼굴 화면(251)에는 이미지 변형후의 렌즈 타입만이 표시된다. 렌즈 타입을 1단계 전의 변형 상태로 되돌리고 싶은 경우는 「취소」버튼(255)를 누르면 된다. 또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이외의 다른 이미지 변형툴을 이용하여 이미지 변형을 실시하고 싶을 경우에는 이미지 재선택 버튼(256)을 누르면 이미지 변형툴 화면(252)의 왼쪽에 도 24의 8종류의 변형툴 버튼 (2431∼2438)이 표시되기 때문에, 이러한 변형툴 버튼으로부터 원하는 변형툴을 선택하면 된다. 이미지 변형 확정후의 렌즈 타입에 대해서도, 더욱 8종류의 이미지 변형툴의 어느 것이나를 선택하여 더욱 이미지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유변형 후의 렌즈 타입을 더욱 이미지 변형하는 것도, 역으로 이미지 변형후의 렌즈 타입을 더욱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조건설정」버튼(257)을 누르면, 도 11의 테의 조건의 일람 확인의 화면으로 되돌아가고, 또한 「변형툴」버튼(258)을 누르면 도 21의 렌즈 타입 변형 방법의 선택화면으로 되돌아 간다.

    (스텝 S6)

    상기 시뮬레이션에 의해 손님이 원하는 안경을 결정하고, 최종적인 안경사양이 결정된 후에, 도 26의 화면에 나타난 바와 같은 고객기록을 얻을 수 있다. 고객기록의 화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 오른쪽에 결정한 안경을 착용한 얼굴화면(260)이 표시됨과 동시에, 영역(261)에는 고객정보, 영역(262)에는 테 정보, 영역(263)에는 렌즈 정보가 각각 문자로서 표시된다. 또한 영역(264)에는 좌우 렌즈의 레이아웃 정보가 도형으로 표시되나. 레이아웃 정보로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렌즈 타입(265)에 비해, 광학 중심(266)의 위치, 아이포인트(267)의 위치, 이중초점렌즈에 있어서의 소렌즈(segment)(268)의 위치, 렌즈 지지 금속 피팅(lens holding metal fitting)을 부착하기 위한 구멍(269)의 위치 등이 표시된다. 소렌즈(268)는 가공전의 형상으로 표시되고, 소렌즈(268)가 렌즈 타입(265)에 의해 어떻게 컷트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고객기록의 화면은, 그 내용이 컴퓨터에 기록 보존되어 안경의 데이터베이스가 됨과 동시에, 고객이 결정한 안경의 내용을 최종적으로 설명하여 확인해주는 확인용 화면으로서 사용된다.

    고객의 최종적인 주문(order)(발주)을 받은 후, 결정한 사양의 안경을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가공지시서가 작성된다. 도 27은 가공지시서의 내용을 나타내는 화면이고 안경제작에 필요한 정보로서 영역(271)에는 테 정보, 영역(272)에는 렌즈 정보, 영역(273)에는 렌즈 레이아웃 정보가 표시된다. 렌즈의 가공 등을 외부업자에게 의뢰하는 경우에는, 이 가공지시서의 내용을 포함하는 발주서가 온라인 등에 의해 외부업자에게 보내진다. 또한, 안경점쪽에서 렌즈 포함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가공지시서에 기초하는 가공지시가 렌즈가공기(edger)로 출력되어 렌즈 가공이 실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시스템에서는 도 28의 화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경점의 점원에게 모든 안경정보를 제공하는 점원정보가 작성된다. 이 점원정보는 예를 들면 렌즈 가공에 있어서 상기 가공지시서와 함께 이용되기도 할 수 있고, 고객정보와 가공정보를 조합한 총합정보로서 보관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안경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안경점에서 이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었다. 그러나,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는 테 데이터, 렌즈데이터를 이용하여 안경 사양을 결정할 수 있고, 이 안경사양에 기초하여 안경의 제조를 모두 외부업자에게 발주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를 사용한 통신수단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호야(HOYA) 온라인시스템)을 이용하기도 해서, 실물의 테 및 렌즈의 잔고가 전혀 없는 곳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검안에 의해 렌즈 처방을 실시한 안과의가 있는 병원 등에서도 본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면상의 기능선택 버튼의 배치나 형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렌즈 타입의 컷트변형화면이나 자유변형화면의 경우에 기능선택버튼을 툴바(툴박스)에 의해 표시해도 좋다.

    본 발명은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인물의 초상 화상에 대하여 안경테 화상을 합성한 안경착용의 합성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으로서, 안경착용자의 기호에 맞는 안경테나 안경렌즈를 용이하게 또는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경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조작이 용이하고 일반적인 안경착용자가 스스로 조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테 및 렌즈의 재고가 전혀 없는 안과병원등에서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