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청기 일체형 안경

申请号 KR2020060004992 申请日 2006-02-23 公开(公告)号 KR200416313Y1 公开(公告)日 2006-05-12
申请人 박경완; 发明人 박경완;
摘要 본 고안은 안경테의 다리부에 보청기의 본체를 내장하고, 안경테의 귀걸이부 앞쪽으로부터 귀끼움체를 인출하여 안경과 함께 자연스럽게 보청기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보청기 일체형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전방에 2개의 렌즈홀딩홀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2개의 다리부가 형성되며 다리부의 자유단부는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귀걸이부를 이루는 안경테의 렌즈홀딩홀에 렌즈가 각각 끼워져 이루어진 안경에 있어서, 안경테의 일측 다리부 중간에는 보청기의 본체가 내장되고, 일측 다리부 중간 위치의 안쪽에는 본체의 마이크부가 위치되면서 이와 동일 위치의 일측 다리부 중간 측방에는 음성입력공이 천공되며, 다리부의 아래쪽에는 본체의 볼륨조절노브가 하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귀걸이부의 후위 하단부에는 회전작동에 따라 본체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해주는 전원스위치가 설치되며, 귀걸이부 앞쪽의 다리부 안쪽에는 본체의 스피커부가 위치되면서 이로부터 일측 다리부의 외측으로 하단부에 귀끼움체를 일체로 갖는 음성출력관이 인출된 것이다.
权利要求
  • 전방에 2개의 렌즈홀딩홀(111)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2개의 다리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112)의 자유단부는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귀걸이부(113)를 이루는 안경테(110)의 렌즈홀딩홀(111)에 렌즈(120)가 각각 끼워져 이루어진 안경(100)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10)의 일측 다리부(112) 중간에는 보청기(200)의 본체(210)가 내장되고, 상기 일측 다리부(112) 중간 위치의 안쪽에는 상기 본체(210)의 마이크부(211)가 위치되면서 이와 동일 위치의 상기 일측 다리부(112) 중간 측방에는 음성입력공(114)이 천공되며, 상기 다리부(112)의 아래쪽에는 상기 본체(210)의 볼륨조절노브(212)가 하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귀걸이부(113)의 후위 하단부에는 회전작동에 따라 상기 본체(2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해주는 전원스위치(213)가 설치되며, 상기 귀걸이부(113) 앞쪽의 다리부(112) 안쪽에는 상기 본체(210)의 스피커부(214)가 위치되면서 이로부터 상기 일측 다리부(112)의 외측으로 사용자의 귀에 위치되는 음성출력관(115)이 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일체형 안경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관(115)의 하단부에는 사용자의 귓구멍에 끼워지는 관상의 귀끼움체(116)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일체형 안경.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치(213)는 상기 귀걸이부(11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전원스위치(213)의 안쪽에는 배터리(215)를 착탈가능하게 위치시키고, 상기 전원스위치(213)의 양측벽에는 상기 전원스위치(213)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배터리(215)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본체(210)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전기접점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일체형 안경.
  • 说明书全文

    보청기 일체형 안경{Glasses having a hearing ai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청기 일체형 안경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청기 일체형 안경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청기 일체형 안경의 전원스위치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청기 일체형 안경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안경 110 : 안경테

    111 : 렌즈홀딩홀 112 : 다리부

    113 : 귀걸이부 114 : 음성입력공

    115 : 음성출력관 116 : 귀끼움체

    120 : 렌즈 200 : 보청기

    210 : 본체 211 : 마이크부

    212 : 볼륨조절노브 213 : 전원스위치

    214 : 스피커부 215 : 배터리

    본 고안은 보청기 일체형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테의 다리부에 보청기의 본체를 내장하고, 안경테의 귀걸이부 앞쪽으로부터 보청기의 음성출력부를 인출하여 안경과 함께 자연스럽게 보청기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청력에 이상이 있는 사람들은 소리를 증폭시켜주는 보조 장치, 즉 보청기를 착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보청기의 경우 입력된 소리를 증폭시켜주는 본체를 신체의 임의의 부위에 착용한 상태에서 이로부터 음성출력부위를 리드하여 귀에 꽂아 사용하게 되므로 그 부피가 너무 크고, 리드선이 길수록 치렁치렁하여 보기에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본체로부터 곧바로 음성출력부위가 인출되는 형상의 보청기가 개발되어 이를 통째로 귀에 걸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런 경우 그 무게에 의해 귀에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난청을 가지면서 눈도 나빠 안경을 낄 수밖에 없는 사람의 경우 안경테의 귀걸이부분과 보청기가 귀의 위쪽에 같이 위치될 수밖에 없어 사용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안경테의 다리부 안쪽에는 보청기의 본체를 내장하고, 귀걸이부의 앞쪽으로부터 사용자의 귀에 꽂을 수 있는 귀끼움체를 인출하여 구성함으로써 눈이 나빠 안경을 착용하는 난청환자의 경우 안경을 쓰는 것만으로 안경과 보청기를 한꺼번에 착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보청기 일체형 안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청기 일체형 안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청기 일체형 안경의 실시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청기 일체형 안경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안경(100)은 일반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전방에 2개의 렌즈홀딩홀(111)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2개의 다리부(112)가 형성되며 다리부(112)의 자유단부는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귀걸이부(113)를 이루는 안경테(110)의 렌즈홀딩홀(111)에 렌즈(120)가 각각 끼워져 이루어지며, 이러한 안경에 있어서 안경테(110)의 일측 다리부(112) 중간에는 보청기(200)의 본체(210)가 내장되고, 일측 다리부(112) 중간 위치의 안쪽에는 본체(210)의 마이크부(211)가 위치되며, 마이크부(211)와 동일 위치의 일측 다리부(112) 중간 측방에는 음성입력공(114)이 천공되고, 다리부(112)의 아래쪽에는 본체(210)의 볼륨조절노브(212)가 하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귀걸이부(113)의 후위 하단부에는 회전작동에 따라 본체(2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해주는 전원스위치(213)가 설치되고, 귀걸이부(113) 앞쪽의 다리부(112) 안쪽에는 본체(210)의 스피커부(214)가 위치되면서 이로부터 일측 다리부(112)의 외측으로 사용자의 귀에 위치되는 음성출력관(115)이 인출된 것이다.

    또한, 음성출력관(115)의 하단부에는 사용자의 귓구멍에 끼워지는 관상의 귀끼움체(116)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음성출력관(115)은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 지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귀끼움체(116) 역시 사용자의 귀와 접촉시 통증을 발생하지 않도록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실리콘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전원스위치(213)는 귀걸이부(11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전원스위치(213)의 안쪽에는 배터리(215)가 착탈가능하게 위치되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원스위치(213)의 양측벽에는 전원스위치(213)의 회전위치에 따라 배터리(215)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본체(210)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전기접점이 각각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보청기 일체형 안경테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안경(100)을 끼게 되면 안경테(110)의 양측 귀걸이부(113)가 사용자의 양쪽 귀에 걸리게 되며, 안경테(110)의 양측 다리부(112)는 사용자의 귀로부터 관자놀이를 통과하여 눈의 양측 앞쪽까지 위치하게 된다.

    또한, 귀걸이부(113) 앞쪽의 다리부(112)로부터 인출된 음성출력관(115)은 사용자의 귀 앞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음성출력관(115)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귀끼움체(116)를 귀에 꽂고 귀걸이부(113) 후위 하단에 위치된 전원스위치(213)를 회전시키게 되면 전원스위치(213) 안쪽에 구비된 배터리(215)와 전기접점이 서로 접촉되면서 본체(210)의 전원이 온상태로 전환되어 일측 다리부(112)의 음성입력공(114)과 본체(210)의 마이크부(211)를 통해 유입된 소리가 본체(210) 내부에서 증폭되어 본체(210)의 스피커부(214)를 통해 출력되고, 그 소리가 음성출력관(115)과 귀끼움체(116)를 통해 사용자의 귀로 출력되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소리를 들으면서 사용자의 일측 다리부(112) 아래쪽으로 노출되어 있는 볼륜조절노브(212)를 자신에 맞게 적정하게 조정하면 된다.

    따라서, 안경(100)과 보청기(200)를 모두 필요로 하는 사람의 경우 안경(100)과 보청기(200)를 별도로 착용하는 불편함 없이 안경(100)을 쓰는 것만으로 안경(100)과 보청기(200)를 한꺼번에 착용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때에 따라서는 보안경 또는 선글라스에 보청기를 일체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체(210)에 전원을 인가해주는 배터리(215)의 수명이 다할 경우에는 귀걸이부(113)로부터 전원스위치(213)를 빼내어 배터리(215)를 새로 갈아 끼운 후 다시 귀걸이부(113)에 끼워주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안경테의 다리부에 보청기 본체를 내장하고, 다리로부터 외측으로 음성출력부를 인출하여 안경과 보청기를 일체화한 것이므로 안경을 쓰고 음성출력부를 귀에 위치시키면 안경과 보청기를 동시에 착용할 수 있어 안경과 보청기를 각각 착용하는 것에 비해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며, 외관도 매우 깔끔해지고, 안경과 보청기를 각각 구매할 때보다 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