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物理 / 光学 / 眼镜;太阳镜或与眼镜有同样特性的防护镜;隐形眼镜 / 非光学附件;其连接 / .助听器(助听器的构造入H04R25/00) / 이동 무선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일체화된 음향 통신시스템을 포함하는 안경테 및 그에 상응하는 방법

이동 무선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일체화된 음향 통신시스템을 포함하는 안경테 및 그에 상응하는 방법

申请号 KR1020067022464 申请日 2005-03-29 公开(公告)号 KR1020060135924A 公开(公告)日 2006-12-29
申请人 스위스콤 아게; 发明人 리터루돌프; 라우퍼에릭;
摘要 The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acoustic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glasses frame (10) comprises at least one directional microphone (13, 15, 16) for detecting voice signals of a user (21), and communication means (12) for transmitting signals to electronic devices (30) such that the directional dependence of the at least one microphone (13, 15, 16) can be adapted according to the user. The directional microphones can be especially embodied as microphone arrays and/or according to MEMS technology, and structure-borne noise microphones can be used.
权利要求
  • 이용자의 음성 신호를 캡처링(capturing)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존 마이크로폰 및 외부 전자 장치로의 신호 송신을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한 안경테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의 방향-의존성은 특정 이용자에 대해 동적 방식으로 조정가능한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된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의 방향-의존성의 특정 이용자에 대한 적응 방식의 조정을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제어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은 접촉 마이크로폰인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제1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된 신호는 제3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된 신호를 이용하여 필터링될 수 있는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된 신호에 의해 제어가능한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된 신호는 기준 필터에 기초하여 처리가능한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은 마이크로폰 어레이로서 구현되 는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MEMS 기술 체계(technology)로 구현되는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이동 무선 장치(mobile radio device)를 포함하는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는 망막 스캐닝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는 시선 방향을 캡처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에 의해 음성 명령을 캡처링하기 위한 음성 인식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luetooth 및/또는 ZigBee 및/또는 GSM 및/또는 UMTS 인터페이스
    를 더 포함하는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원을 위한 광전지(photovoltaic cells)
    를 더 포함하는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
  • 이용자의 음성 신호가 안경테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되고, 와이어리스(wireless)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송신되는 음향 통신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의 방향-의존성은 특정 이용자에 대해 동적으로 조정되는
    음향 통신을 위한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이용자의 음성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된 상기 이용자의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의 방향-의존성이 특정 이용자에 대하여 적응 방식으로 조정되는
    음향 통신을 위한 방법.
  •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은 접촉 마이크로폰으로서 구현되는
    음향 통신을 위한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제1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된 신호는 제3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된 신호를 이용하여 필터링되는
    음향 통신을 위한 방법.
  •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된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음향 통신을 위한 방법.
  •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된 신호는 기준 필터에 기초하여 처리되는
    음향 통신을 위한 방법.
  •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은 마이크로폰 어레이로서 구현되는
    음향 통신을 위한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MEMS 기술 체계로 구현되는
    음향 통신을 위한 방법.
  • 제13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처링된 신호는 이동 무선 장치로 송신되는
    음향 통신을 위한 방법.
  • 제13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용자는 망막 스캐닝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망막 상에 투사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음향 통신을 위한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의 시선 방향은 모듈에 의해 캡처링되는
    음향 통신을 위한 방법.
  • 제1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성 명령은 음성 인식 모듈에 의해 캡처링되는
    음향 통신을 위한 방법.
  • 제1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처링된 신호는 Bluetooth 및/또는 ZigBee 및/또는 GSM 및/또는 UMTS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송신되는
    음향 통신을 위한 방법.
  • 제1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원은 광전지를 통하여 제공되는
    음향 통신을 위한 방법.
  • 说明书全文

    이동 무선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일체화된 음향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안경테 및 그에 상응하는 방법{GLASSES FRAME COMPRISING AN INTEGRATED ACOUSTIC COMMUN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ON WITH A MOBILE RADIO APPLIANCE, AND CORRESPONDING METHOD}

    본 발명은 음향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안경테는, 외부 전자 장치로의 신호 송신을 위한 통신 수단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음성 신호를 캡처링(capturing)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의 방향-의존성이 특정 이용자에 대해 동적 방식으로 조정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점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의 새로운 이동 통신 단말기일수록 간단한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오디오 또는 비디오 방송이 수신될 수 있는, 예를 들어, 게임을 할 수 있거나 또는 인터넷 또는 이동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정보가 액세스될(accessed) 수 있는, 점점 복잡한 멀티미디어 장치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복 잡한 이동 통신 단자의 제어, 특히, 데이터 입력(entry) 및/또는 명령 입력 뿐만 아니라 이용가능한 데이터 및/또는 데이터 세트 또는 동작 모드의 선택은, 키보드, 스타일러스, 트랙 볼,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비싸고 관리하기 어려운 보조 장치의 이용이 수반되는 것으로 종종 증명되고, 또한 종종 수반한다. 또한,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매순간 이용자가 손에 이동 통신 장치를 갖고 있는 것이 필수적이며, 현대적 통신 단말기의 핸즈프리와 같은 편리한 이용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음성 인식에 기초한 방법이 이 기술 분야에서 이미 알려져 있다. 음성 인식 또는 자동 음성 인식은, 컴퓨터가 음성 언어를 인식하거나 또는 그것을 각각 문자열로 변환하여 그것을 처리하도록 허용하는 방법의 연구 및 개발을 다룬다. 한편, 음성 인석은 자동 대화 시스템에 있어서도, 예를 들어, 시간표 문의(timetable inquiry)와 같은 기술적인 응용예(technical applications)를 발견하였다. 자동 음성 인식 한정된 단어만이 이용되는 모든 분야에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자동 음성 인식에 있어서, 음향 수산의 품질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그에 따라, 인식에서의 현저히 높은 정밀도가 달성될 수 있도록, 수신 품질이 가능한 한 향상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공개공보 WO 03/062906 및 WO 02/086599는 마이크로폰 및 소형 확성기가 안경테 상에 배치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안경테는 케이블 접속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제안된 이 장치의 문제는 특정 이용자를 위한 사운드 및 오디오 녹음에 있어서 만족할만한 노이즈 제거를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이며, 특히, 주변에 위치한 다른 사람의 음성으로부터 이 용자의 음성 명령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공개공보 EP 0 219 026 B1에 개시된 내용은 보청기가 안경테 내에 장착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경테 상에서 마이크로폰들을 특정한 간격으로 분배함으로써, 위치 뿐만 아니라 방향 효과가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청각 장애인이 음향과 관련하여 공간 지각력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게 된다. 안경테에는 모든 음향 및 전자적 구성요소가 갖추어져 있다.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송신 및/수신 접속은 제공되지 않는다.

    미국특허공개공보 2002/0197961 A1에 개시된 내용은, 이동 무선 장치나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의 신호의 송신을 위하여, 마이크로폰, 소형 확성기, 전원(축전지) 및 송신기 또는 각각의 수신기가 설치된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은 클립에 갖추어질 수도 있으며, 이 클립은 안경테, 모자 또는 머리에 쓰는 유사한 물품에 부착되거나 다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은 조정가능한 막대(adjustable arm)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시끄럽고 일정하지 않은 노이즈가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마지막에 언급된 구성을 이용하더라도, 원하는 신호가 충분한 레벨로 마이크로폰에 적용되는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 기술 분야에서의 전술된 문제점을 갖지 않는 음향 통신을 위한 새로운 시스템 및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특히, 이 시스템은 노이즈 환경에 있어서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시스템과 접속되어 음성 명령 및 상호 음성 제어의 믿을만하고 편리한 입력 뿐만 아니라 이동 무선 장치의 편리한 핸즈프리 이용을 가능하게 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독립항들의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달성된다. 또한, 종속항들 및 명세서로부터 편리한 실시예들이 더 제시된다.

    특히, 이 목적들은, 안경테가 외부 전자 장치로의 신호 송신을 위한 통신 수단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음성 신호를 캡처링(capturing)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본 발명을 통하여 달성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의 방향-의존성은 특정 이용자에 대해 동적 방식으로 개조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장점은 효과적인 노이즈 제거 및 그에 따른 현저히 높은 품질의 캡처링된 음성 신호가, 각각의 개인 이용자에게 있어서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특히 이용자의 음성 명령의 인식에 있어서 필요한 필수요건이 될 수 있다. 추가적 장점은, 안경테 내에 장착되기 때문에 입력 장치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점 뿐만 아니라, 음성 명령어의 핸즈프리 입력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된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의 방향-의존성을 특정 이용자에 대해 적응 방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의 방향-의존성의 조정이 다른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된 신호의 기능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에 따라, 보다 우수한 특정 이용자에 대한 조정이 달성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간섭 노이즈의 레벨이 높은 환경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보다 우수한 필수요건 및 향상된 음성 품질을 초래하게 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은 접촉 마이크로폰이다.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말하는 이용자에 의해 송신되는 음성 신호가 공기 내에서의 전파 후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신체 내에서의 전파 후에도 캡처링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에 상당하는 처리 및 프로세싱 후에, 노이즈 제거에 있어서의 더 많은 개선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콘택트 마이크로폰에 의해 이용자가 지금 말하고 있는지 여부가 쉽게 판단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주변에서 말하고 있는 다른 이용자에 의해 가능한 혼선이 사실상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콘택트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된 신호는, 다른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의 방향-의존성의 특정 이용자에 대한 적응 방식의 조정을 위하여 제어 모듈에 의해 이용되는데 매우 적합해진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방향-의존 마이크로폰(16)에 의해 캡처링된 신호는 제3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된 신호를 이용하여 필터링된다.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다른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된 주위의 노이즈가 필터링에 이용될 수 있다는 점 및 제1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된 신호의 신호 품질 향상이라는 장점을 갖는다. 그에 따라,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의 긍정적 특징들은 필터링을 통한 노이즈 제거의 긍정적 특징과 함께 최적의 방식으로 조합되며, 그 결과, 보다 우수한 음성 품질을 야기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이 마이크로폰 어레이로서 구현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MEMS 기술 체계(technology)로 유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특히 효과적이고 강력한 방향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마이크로폰 그룹의 이용을 통하여, 음파(sound wave)의 많은 공간적 특징이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간단한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는 없다. 본 실시예의 추가적 장점은 훨씬 낮은 비용 및 높은 집적률에 의하여 특히 작은 소형 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부 장치가 이동 무선 장치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이동 무선 장치가 안경테 내에 통합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완비된 장치로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쳄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 통신에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안경을 쓰는 사람도,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 접소된 하나 이상의 서버에 의해 안경테를 통하여 통신하고 음향 명령어를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을 쓰는 사람은 어떠한 부가적 핸즈프리 장치도 이용할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그들은 훨씬 더 저렴하고 훨씬 더 편리하게 통신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안경테는 망막 스캔 디스플레이를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망막 스캔 디스플레이는 광 빔이 눈의 망막 상에 직접 투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광 빔의 적절한 광변조 및 빠른 해상력을 통하여, 전체 사진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안경테는 시선 방향을 캡처링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복합 시스템이 이용자가 정보를 직접 보고 외부 출력 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그것을 듣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함께, 시선 캡처링에 의하여, 데이터 입력에 대한 추가적 가능성이 시스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존 마이크로폰에 의해 음성 명령을 캡처링하기 위한 음성 인식 모듈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음성 명령이라는 간단한 방식으로, 데이터가 이용자에 의해 제어되고 또한/또는 선택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모든 장치가 동일한 안경테 내에 포함되기 때문에, 보다 낮은 전력 소비의 장점이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은 Bluetooth 및/또는 ZigBee 및/또는 GSM 및/또는 UMTS 및/또는 WLAN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 인터페이스들은 안경테의 통신 수단 및/또는 통신 단말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현재 산업 표준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이외에, 본 발명은 음향 통신을 위한 방법에도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도1의 시스템 및 방법을 실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안경테를 도시한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도1의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도3의 음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안경의 대략적인 통상적 위치를 도시한 사람의 두개골의 분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안경테 11: 제어 모듈

    12: 인터페이스 13, 15, 16: 방향-의존 음향 센서

    30: 이동 통신 단말기 54: 제어 회로

    도1에 있어서, 부호(10)는 안경테, 예를 들어, 근시 또는 원시의 사람들이 쓰는 교정 렌즈를 구비한 안경테 또는 어두운 렌즈를 구비한 선글라스를 위한 안경테를 나타낸다. 안경테(10)는, 이용자의 입(20)으로부터 발산되는 음파(21)가 캡퍼링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존 음향 센서(16)를 포함한다. 센서(16)의 방 향-의존성을 통하여, 이용자의 입(20)으로부터 발산되고 전파의 직통 라인에 있는 음파(22)는 특히 잘 캡처링된다. 예를 들어, 방향-의존 음향 센서(16)는 간단한 마이크로폰이 될 수 있지만, 이는 마이크로폰 그룹 또는 이른바 마이크로폰 어레이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이용을 통하여, 음장(sound field)의 공간적 특징이 활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캡처링된 신호의 품질 또는 각각의 가해성(comprehensibility)이 상당히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로폰 어레이(16)도 안경테(10) 상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대칭적으로 안경테(10)의 양 쪽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10)는 하나 이상의 방향-의존 음향 센서(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방향-의존 음향 센서(15)는 이용자의 신체 진동 음성 신호(bodily vibration sound signals)가 이 방향-의존 음향 센서(15)에 의해 잘 캡처링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신체 진동 음성 신호는, 말할 때 음파가 이용자의 후두에서 생성되어, 이 음파가 이용자의 신체에 의해 전파되는 것에서 비롯된다. 신체 진동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캡처링하기 위하여 특히 선호되는 위치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 두개골의 양 측면에 위치한 관자놀이(66)이다. 안경테(10)의 다리는 보통 관자놀이에 접하여 있으며, 이는 캡처링된 신체 진동 음성 신호의 보다 높은 품질에 기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방향-의존 음향 센서(15)도 간단한 마이크로폰으로서 또는 마이크로폰이나 이른바 마이크로폰 어레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1 및 도2에 있어서, 부호(13)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방향-의존 음향 센 서(13)를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방향-의존 음향 센서(13)는 안경테(10)에 있어서 특히 이용자의 환경으로부터 나오는 주위의 사운드가 보다 쉽게 캡처링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방향-의존 음향 센서(13)도 간단한 마이크로폰 또는 캡처링된 신호의 보다 우수한 품질을 위한 마이크로폰 어레이로서 구현될 수 있고, 주위의 사운드에 관하여 정렬된 복수의 방향-의존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로폰 어레이(13)가 안경테(10)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 또는 각각의 마이크로폰 어레이(13, 15, 16)는 특히, 이른바 MEMS 기술(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에서 구현될 수 있다. MEMS에 의해, 일정한 로직 또는 적어도 일정한 이동가능 부분을 갖는 가장 작은 칩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MEMS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데이터로부터 초래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계적 부분을 구비한 프로세서이다. 따라서, 매우 작은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MEMS 기술의 이용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 MEMS 기술은 전체적 크기가 작으면서 훨씬 더 우수한 품질을 동시에 달성하고,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안경테(10)에서의 설치에 특히 더 적합하도록 한다.

    도1에 있어서, 부호(11)는 제어 모듈을 나타낸다. 제어 모듈은 방향-의존 음향 센서(13, 15, 16)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1)은 방향-의존 음향 센서(13, 15, 16)와 통신하고 그들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MEMS 기술의 이용을 통하여, 방향-의존 음향 센서(13, 15, 16)는 특별히 간단한 방식으로 많은 노력 없이 제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방향-의존 음향 센 서(13, 15, 16)의 위치, 감도 및/또는 방향-의존성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의존 음향 센서(13, 15, 16)에 의해 캡처링된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11)은 다른 방향-의존 음향 센서(13, 15, 16)를 제어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싱, 신호 증폭 및 다른 신호 처리에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는 안경테(10)에, 특히 제어 모듈(11), 예를 들어, 증폭기(46, 48, 51), 조정 소자(43), 제어 회로(44, 54) 또는 지연 소자(47)에 갖추어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신체 진동 음파가, 말하는 이용자의 후두에서 생성되고 신체에 의해 전파된다. 또한, 이 신체 진동 음파 또는 각각의 음성 신호는, 두개골 및 관자놀이로 전파되며, 여기서, 방향-의존 음향 센서(15)에 의해 캡처링된다. 캡처링된 음성 신호는 제어 모듈(11)에 의해 해석되고 평가되며, 이 평가에 기초하여, 방향-의존 음향 센서(16)는 특정 이용자에 대해 조종된다. 특히, 제어 모듈(11)은, MEMS 기술 체계로 구현되는 방향-의존 음향 센서(16)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방향-의존 음향 센서(16)가 이용자의 인상에 대하여 보다 잘 참작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어 모듈(11)은 특정 이용자에 대해 방향-의존 음향 센서(16)의 감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방향-의존 음향 센서(16)는, 신체 진동 음파가 관자놀이 상으로 충돌하는 동안 이용자의 입(20)으로부터 발산되는 음성 신호에 대하여 특별히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말하는 이용자로부터의 신체 진동 음파 뿐만 아니라 환경으로부터의 주위의 사운드도 방향-의존 음향 센 서(13)에 의해 캡처링된다. 제1 방향-의존 음향 센서(13)에 의해 캡처링된 신체 진동 음파 및 제2 방향-의존 음향 센서에 의해 캡처링된 주위의 노이즈 신호는 제어 모듈(11)에 의해 해석 및 평가되고, 이 평가에 기초하여, 방향-의존 음향 센서(16)가 특정 이용자에 대해 조정된다. 특히, 일정하게 유지되는 주위의 사운드에 있어서, 방향-의존 음향 센서(16)의 방향-의존성의 특정 이용자에 대한 적응 방식의 동적인 조정이 필요해지게 될 수 있다. 이용자가 사실상 기밀하고, 가까이에 있는 사람들에 인식되어서는 안되는 이야기를 함에 따라, 이용자가 갑자기 보다 부드럽게 말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 이용자에 대한 적응 방식의 조정은, 마이크로폰의 방향-의존성이 동적 방식으로, 예를 들어 MEMS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최적의 값으로 만들어지는 동적 조정에 의해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안경테(10)에는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도 제공되며, 이것에 의해, 데이터 형태의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가 통신 채널(17)을 통하여 안경테(10)와 이동 통신 단말기(30)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는 복수의 상이한 네트워크 표준, 예를 들어, Bluetooth 또는 ZigBee로 알려진 로컬 와이어리스(wireless) 표준 뿐만 아니라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PRS(Generalized Packet Radio Servi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802.11, 적외선 통신 기술 또는 어떠한 다른 비접촉 통신 기술도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대체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는 어떠한 접촉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USB 또는 파이어와이어 인터페이스 또는 Ethernet, Token Ring에 대한 인터페이스 또는 어떠한 다 른 와이어(wired) LAN(Local Area Network)도 될 수 있다. 물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Ethernet 또는 Token Ring과 같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직접 이용함에 따라 패킷-교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PPP(Point-to-Point Protocol), SLIP(Serial Line Internet Protocol) 또는 GPRS(Generalized Packet Radio Service)와 같이, 인터페이스가 MAC 또는 DLC 어드레스와 같은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갖지 않는 프로토콜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회선-교환 인터페이스도 포함할 수 있다. 대체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또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특징들이 존재하는 한, 구체적인 네트워크 표준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강조되어야 하지만, 그 대신, 이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원하는 네트워크에 의해, 특히, 상이한 통신 기술 사이에서 투과적으로(transparently) 스위칭되거나 또는 경로가 정해지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 송신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요구되는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확성기 및 전원이 안경테(10)에 갖추어져 있을 수도 있다.

    도1의 부호(30)는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어떠한 원하는 고객 댁내 장치(CPE)도 나타낼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30)는 어떠한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어떠한 이동 무선 장치도 될 수 있다. 이동 무선 장치는 GSM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GSM 장치, 또는 예를 들어 UMTS 네트워크의 UMTS 장치 또는 위성 네트워크의 위성 장치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대체로 이동 통신 단말기(30)는 표준 개인용 컴퓨터(PC), 휴대용 PC, 고정망 전화(fixed net telephone), 이동 무선 장치를 위한 충전기, 플레이 스테이션 또는 전자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구비한 어떠한 다른 장치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30)는 데이터 요소의 입력을 위한 입력 유닛(3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30)는 이동 무선 전화의 종류에 따라, 표준 키보드 또는 유사한 입력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숫자키 및 제어키로 구성되어 있고, 숫자키는 글자의 입력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권한부여 및 인증을 위하여, 예를 들어 텔레커뮤니케이션에서의 수수료 등록 경우, 대개 이동 통신 단말기(30)는 분리가능한 식별 모듈, 예를 들어, 여기서 단말기(30) 아래에 도시되어 있고 동작 시에 이동 통신 단말기 내의 콘택(contacts)과 접촉하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34)를 포함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30)는 데이터 요소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35)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알려진 방식으로 수행하며, 이는 대개 이동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30) 상에, 비접촉 인터페이스(33)가 설치되며, 예를 들어, 이를 통하여, 안경테(10)의 비접촉 인터페이스(12)로부터의 데이터 및 명령이 수신되고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실시예의 구조가 도4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이용자의 입으로부터의 음성 신호(22)는 제1 방향-의존 음향 센서(16)에 의해 수신되고, 제2 방향-의존 음향 센서(13)는 특히 주변으로부터 나오는 주위의 사운드를 향하게 된다. 제3 방향-의존 음향 센서(15)는 이용자의 신체 진동 사운드로부터의 음선 신호를 특히 캡처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2 및 제2 방향-의존 음향 센서(16, 13)에 의해 캡처링된 음성 신호는 차동 증폭기(46)의 출력에서의 주위 노이즈 레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신호 조정 모듈(43) 및 제어 회로(44)에 의해 조정된다. 제3 방향-의존 음향 센서(15)에 의해 캡처링된 음성 신호는 증폭기 컨트롤러(48)에 의해 이용되고, 그 결과, "신체 진동 사운드가 없는" 경우, 제1 방향-의존 음향 센서(16)에 의해 캡처링된 음성 신호는 너무 많이 증폭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신체 진동 사운드가 존재하는" 경우, 증폭기는 제1 방향-의존 음향 센서(16)에 의해 캡처링된 음성 신호가 제2 방향-의존 음향 센서(13)에 의해 캡처링된 음성 신호에 관하여 증폭되도록 설정된다. 그 결과, 실행 시간으로 인하여 방생하는 왜곡이 존재하지 않도록, 신호 지연 모듈(47)이 제공될 수 있다.

    도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부호(10)는 역시 하나 이상의 방향-의존 음향 센서(15)를 포함하는 안경테를 나타내며, 방향-의존 음향 센서(15)는 이용자의 신체 진동 음성 신호가 이 센서(15)에 의해 잘 캡처링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방향-의존 음향 센서(15)도 간단한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로폰 그룹 또는 이른바 마이크로폰 어레이로서 또한/또는 MEMS 기술 체계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존 음향 센서(15, 50)에 의해 캡처링된 음성 신호는 제어 모듈(11)로 송신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의존 음향 센서(15)에 의해 캡처링된 음성 신호는 제어 모듈(11)에서 증폭기(51)에 의해 증폭되고, 신호 프로세싱 모듈(52), 이어서 기준 및 제어 회로(54)에 의해 레벨 및 주파수에 관하여 처리되며, 그 결과, 캡처링된 마이크로폰 신호는 특징에 있어서 일반적인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링된 음성 신호에 대응한다. 다음으로, 음성 신호는 이동 통신 단말기(30)의 오디오 경로(53)에 가해진다. 예를 들어, 기준 및 제어 회로(54)에 대한 기준은 장치의 마이크로폰에 의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30)에서 각각에 이용자에 대하여 기록된다. 기준 및 제어 회로(54) 뿐만 아니라 신호 프로세싱 모듈(52)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안경테(10) 둘 다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시스템의 공급을 위한 전원(14)에 대한 에너지원은, 특히 안경 렌즈 상에 진공 메탈 증착되어 있는 광전지(photovoltaic cells)(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하여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안경테(10) 내에 포함되거나 안경테(10)에 접속된 공전식 배터리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