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도 조절형 입식 북삽

申请号 KR1020130051423 申请日 2013-05-07 公开(公告)号 KR101401596B1 公开(公告)日 2014-06-02
申请人 조준래; 发明人 조준래;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up farm shovel which allows a user to slice the ground by scraping or pushing the ground with a farming tool and to carry and transfer soil while standing, wherein the working angle of the shovel, which is generally used for removing weeds and earthing, can be freely controlle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mi-cylindrical shovel blade having a slightly protruding round shape of lower parts on front and rear sides, wherein working bridges are separately installed in upper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mi-cylindrical shovel blade, while the height of the working bridge installed in the front side can be adjusted vertically and the working bridge installed in the rear side is hinge-combined. A handle combining tool to which a working handle is slantly inserted to the rear side is installed on the working bridge.
权利要求
  • 단면이 반원통 형상을 갖고 전후방의 하측이 상측보다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는 반원통 삽날(10)을 구비하고,
    상기 반원통 삽날(10)의 상측 전후방으로 각각 작업다리(21)(22)를 설치하되 전방에 설치되는 작업다리(21)는 삽날(10)의 고정구멍(11)을 선택하여 상하로 높낮이 조절되게 결합되는 한편 후방에 설치되는 작업다리(22)는 힌지(15)로 결합되게 하며,
    상기 작업다리(21)(22)에는 후방으로 서서 작업하기 위한 손잡이(30)가 경사지게 끼워지는 손잡이 결합구(2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입식 북삽.
  • 제1항에 있어서, 반원통 삽날(10)의 전방 상측으로는 지지다리(21)가 고정볼트(25)로 고정되는 고정구멍(11)을 상하로 높낮이가 다르게 형성하되 상기 높낮이가 다른 고정구멍(11)은 힌지(15)를 중심으로 동심원상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입식 북삽.
  • 제 1항에 있어서, 반원통형의 삽날(10)은 지지다리(21)(22)가 형성된 손잡이 결합구(20)와 볼트로 체결되어 삽날(10)의 교체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입식 북삽.
  • 说明书全文

    각도 조절형 입식 북삽{Angle adjustment type farm equipment}

    본 발명은 선 자세로 긁거나 밀어서 지표면을 슬라이스 치는 방식으로 파면서 파여진 흙을 담아서 옮기는 기능의 북삽에 관한 것으로, 주된 용도는 제초와 북주기, 배수로 파기, 흙 퍼서 옮기기 등에 적은 힘으로 능률적으로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작업자의 신장이나 작업 여건에 맞춰서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형 입식 북삽에 관한 것이다.

    작물과 함께 성장하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호미를 이용하여 파내는 것이 일반적인 작업형태이나, 상기 호미를 이용하는 경우 잡초를 일일이 뿌리를 뽑아가며 작업을 하게 되어 비능률적이며, 흙을 담아 작물을 북돋워 주는 북주기 작업도 멀칭을 하지 않은 경우(잡초가 자라지 않게 비닐을 씌우지 않은 경우)와 같이 작물 옆의 흙으로 북주기하는 데는 용이하지만, 멀칭한 경우(잡초 제거용 비닐을 씌운 경우)와 같이 고랑의 흙을 퍼서 이랑의 작물을 덮어주는 경우에는 적절치 못하며, 특히 호미를 사용하는 경우 앉아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관절에 무리가 오고 작업속도도 매우 느리게 된다.

    호미와 달리 선 자세로 제초와 북주기를 할 수 있는 농기구는 삽이나 괭이를 이용할 수 있으나, 삽이나 괭이는 잡초의 제거와 북주기가 매우 힘들고 불편하며, 또한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북삽(100)을 이용하여 흙을 북돋는 작업을 있으나, 이러한 북삽(100)도 앉아서 사용할 수밖에 없어, 무릎과 허리에 무리를 주고 능률이 떨어진다.

    즉, 북삽(100)은 반원통 형상을 갖고 측방향에서 볼 때 상측 전후방이 하측보다 길이가 짧은 형태를 갖는 반원통 삽날(10)을 구비하되 상기 반원통 삽날(10)은 측방향에서 볼 때 U자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반원통 삽날(10)의 상부 전후방으로 지지다리(21)(22)를 설치하되 상기 지지다리(21)(22)에서 손잡이 결합구(20)를 형성하여 손잡이(30)가 끼워지게 하며, 상기 지지다리(21)(22)는 반원통 삽날(10)에 리벳(9)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북삽(100)도 결국에는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것이어서, 제초나 북돋기 작업을 할 때 힘이 들고 관절에 무리가 오는 문제는 피할 수 없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0929970호(2009.11.26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1149656호(2012.05.17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1032808호(2011.04.26 등록)

    농업 노동력은 고령화되어 관절 등이 부실하고, 새로이 귀농하는 젊은 사람들은 앉아서 작업하는 것에 적응하지 못하여, 선 자세로 김매기와 제초 그리고 북주기가 가능하며, 삽과 괭이의 기능을 대신할 가벼운 농기구가 요구되고 있으나, 이제까지의 손으로 작업하는 농기구들은 작업자의 신체적인 조건이나 작업 형태, 작업 내용에 따라 조절하거나 적합한 조합을 선택하여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사용자편의 구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관계로, 농기구의 구성이나 자루의 길이 등을 작업자의 신장이나 작업환경에 맞춰서 최적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자기 맞춤형의 조합과 조절이 가능한 농기구를 제공하여, 체력에 무리를 주지 않고 능률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북삽은 괭이나 삽을 대신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작업 내용에 따라 삽날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강한 힘이 요구되는 작업용, 가벼운 힘이 요구되는 작업용, 넓은 면적이 필요한 작업용, 좁은 면적이 필요한 작업용 등으로 손잡이와 삽날을 분리해서 생산함으로 사용자가 선택하여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선 자세로, 지표면을 긁거나 미는 기능과 흙을 떠서 옮기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헛골 제초, 김매기, 북주기, 배수로 내기, 골타기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되 작업자의 신장이나 작업 환경에 맞게 가장 적합한 삽날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작업 내용에 맞게, 삽날을 4종류 (강한 힘이 작용하는 것과 가벼운 힘이 작용하는 것, 큰 것과 작은 것) 작업다리를 2종류 (큰 것과 작은 것)를 구비하여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반원통 형상을 갖고 전후방의 하측이 약간 돌출되게 라운드지어 형성되는 반원통 삽날을 구비하고, 상기 반원통 삽날의 상측 전후방으로 손잡이 결합구에 형성된 지지다리를 고정시켜 흙을 긁거나 파고, 담아서 옮기도록 하는 북삽에 있어서, 선 자세로 작업이 가능하도록 지지다리가 형성된 손잡이 결합구의 각도를 조절하여 손잡이가 결합되게 하되 작업자가 자신의 신장이나 작업환경에 맞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삽날의 전방 상측에 결합되는 지지다리는 상하 높낮이 조절되게 하고, 삽날의 후방 상측에 결합되는 지지다리는 힌지 결합되게 하며, 상기 지지다리에는 후방으로 작업 손잡이가 경사지게 끼워지는 손잡이 결합구거 형성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방의 지지다리를 결합시키는 구멍을 선택하여 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최적의 각도를 갖고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삽날과 지지다리를 부품으로 생산하여 볼트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 사용자가 간단한 볼트 결합으로 최적의 작업각도를 조절하는 것은 물론, 삽날의 종류(예 : 두꺼운 것과 얇은 것, 큰 것과 작은 것)를 선택하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북삽을 이용하여 고통스럽게 앉아서 하던 김매기와 북주기를 선 자세로 쉽고 빠르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앉아서 하는 일을 서서 하는 일로 바꾸어 줌으로써 무릎관절과 허리 관절이 허약해져 있는 농촌의 고령화된 인구와, 앉아서 작업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힘든 젊은 세대가 힘들이지 않고 서서 작업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랑을 씌워 잡초가 자라지 않게 하는 비닐 피복이 일반화되면서, 비닐을 씌우지 않은 헛골도 쉽게 제초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무제초제 유기농을 하는 사람들은 헛골의 잡초를 제거하는데 너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본 발명은 선채로 헛골을 제초하면서 동시에 비닐구멍에 흙을 넣어주는 것(일종의 북주기)에 최적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흙을 긁어 파는 기능이나 밀어서 파는 기능도 대단하다. 돌이 많은 곳에서는 한계가 있지만, 대부분의 밭이나 논에는 배수로나 고랑 만들기에 삽이나 괭이 보다 효과적이며, 또한 흙을 퍼 담아서 옮기는 능력도 좋은데, 삽처럼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고, 또 멀리까지 흙을 옮길 수 있어, 한 개의 북삽만 가지고 나가도 여러 가지의 일을 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삽날과 지지다리를 고정볼트로 조립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자신의 신장이나 작업 환경에 맞추어 최적의 상태로 손잡이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있는 한편 삽날 4종류(두꺼운 것과 얇은 것, 넓은 것과 좁은 것)와 작업대 2종류(넓은 것과 좁은 것)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북삽 사시도
    도 2는 기존의 북삽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손잡이 각도를 조절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잡초 제거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서 흙을 북돋기 위한 흙을 파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은 흙의 표면을 얕게 절단하여(긁거나 밀어서) 잡초의 뿌리를 절단함으로 한 번에 많은 풀을 손쉽게 제초하거나, 긁거나 밀어서 퍼 담은 흙을 작물 주위에 부어 북주기를 하는 것으로서, 선 자세로 일 할 수 있도록 만들었고, 작업자의 신장이나 작업 내용에 따라 최적의 각도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농기구는 반원통 형상을 갖고 측방향에서 볼 때 상측 전후방이 하측보다 길이가 짧은 형태를 갖는 반원통 삽날을 구비하되 상기 반원통 삽날은 측방향에서 볼 때 U자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반원통 삽날의 상부 전후방으로 지지다리를 설치하되 상기 지지다리에서 손잡이 결합구를 형성하여 손잡이가 끼워지게 하며, 상기 지지다리 중 전방에 위치한 지지다리는 상하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지지다리 중 후방에 위치하는 지지다리는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원통형 삽날의 측면으로는 수 개의 고정구멍을 형성하되 힌지를 중심으로 같은 거리를 가지며 상하로 형성되게 하고, 전방의 지지다리에는 상기 고정구멍을 이용하여 고정볼트가 끼워지게 한다.

    본 발명의 원통형 삽날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지지다리를 연결하는 곳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손잡이 결합구에는 선 자세로 작업할 수 있는 긴 손잡이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북삽(200)은 측방향에서 볼 때 반원통형을 갖는 한편 전후방에서는 상면이 하면보다 짧은 상태에서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형태의 반원통 삽날(10)을 구비하고, 상기 반원통 삽날(10)의 상부 전후방에는 지지다리(21)(22)를 결합하되 상기 지지다리(21)(22)는 반원통 삽날(10)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한편 후방 중앙으로 손잡이 결합구(20)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반원통 삽날(10)의 상부 전방에 결합되는 지지다리(21)는 반원통 삽날(10)에서 높낮이가 다르게 형성된 고정구멍(11)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되게 하고, 상기 반원통 삽날(10)의 상부 후방에 결합되는 지지다리(22)는 힌지(15)로 회동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반원통 삽날(10)에 결합된 지지다리(21)(22) 중 전방에 위치한 지지다리(21)는 높낮이가 다르게 형성된 고정구멍(11)에 고정볼트(25)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지지다리(22)는 힌지(15) 결합되므로, 전방의 지지다리(21)를 어느 위치에 고정시키느냐에 따라 손잡이 결합구(20)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 결합구(20)의 경사 각도를 작업자가 임의로 조절하는 것은 작업자의 작업조건이나 신체조건 또는 작업습관(긁기 또는 밀기)에 따라 최적의 작업 각도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즉, 김매기와 같은 제초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반원통 삽날(10)이 지면과 거의 수평인 상태가 되도록 손잡이 결합구(20)에 끼워진 손잡이(30)를 당겨주어야 가장 편안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작업을 할 때는 손잡이 결합구(20)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조절하여 작업자의 작업 높이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볼트(25)를 풀고, 지지다리(21)를 고정구멍(11)을 이용하여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측에 위치한 고정구멍(11)에 지지다리(21)를 고정시키는 경우가 손잡이 결합구(20)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낮게 되고, 하측에 위치한 고정구멍(11)에 지지다리(21)를 고정시키는 경우가 손잡이 결합구(20)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크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30)를 잡고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반원통 삽날(10)을 지면에 댄 채로 긁거나 또는 밀거나 하면, 지면이 삽날(10)의 각도에 다라 얇게 슬라이스 쳐 지는 것으로, 반원통 삽날(10)이 지면을 긁을 때(또는 밀을 때) 잡초의 뿌리 부분이 절단되어 잡초가 제거되게 되고, 반원통 삽날(10)에는 슬라이스 쳐진 흙이 담겨지게 되는 데, 이 흙을 반원통 삽날(10)에 올려진 채로 옮겨 이랑의 작물 주변을 덮거나 북주기를 한다.

    그리고, 반원통 삽날(10)을 이용한 작업을 할 때, 키가 작은 사람이나 얕은 깊이로 흙을 절단하는 경우에는 각도를 적게 주고, 키가 큰 사람이나 흙을 깊이 파는 경우에는 각도를 크게 주는 조정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고정볼트(25)를 풀고 하측에 위치한 고정구멍(11)에 지지다리(21)를 고정시켜 손잡이 결합구(20)가 지면 적당한 각도로 세워지게 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힘을 덜 들이고 작업을 할 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작업자의 높이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상태에서 가장 적은 힘을 들여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 종류에 따라 삽날(10)을 4가지(두꺼운 것과 얇은 것, 넓은 것과 좁은 것)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10 : 반원통 삽날 11 : 고정구멍
    15 : 힌지 20 : 손잡이 결합구
    21,22 : 지지다리 25 : 고정볼트
    30 : 손잡이 100,200 : 북삽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