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매기용 예초기 칼날

申请号 KR1020110135136 申请日 2011-12-15 公开(公告)号 KR101193933B1 公开(公告)日 2012-10-24
申请人 한경조; 发明人 한경조;
摘要 PURPOSE: A grass eliminator blade for weeding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easily eliminate weeds using the small size blade of a grass eliminator. CONSTITUTION: A grass eliminator blade for weeding(10) combines with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104). A rotation unit connects to the rotation of a shaft(105). A grass eliminator unit(30) eliminates weed or digs up the ground by being rotated by the rotation unit. When the grass eliminator unit digs up the ground, a weeding height restriction unit(40) controls the grass eliminator unit to execute a work in a predetermined depth.
权利要求
  • 일측에 손잡이(101)가 마련된 관형상의 작업봉(102)과, 이 작업봉(10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장치(103)와, 구동장치(103)에 의해 동력전달장치(104)의 샤프트(105)가 회전하는 예초기(100)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104)에 결합되어 작용하는 김매기용 예초기 본체(10)에는
    상기 샤프트(105)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는 회전부(20)와;
    상기 회전부(20)의해 회전하면서 땅을 파헤치거나 잡초를 제거하는 예초기부(30)와;
    상기 예초기부(30)에 의해 땅을 파헤칠 때 일정한 깊이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김매기높이제한부(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0) 에는 다수개가 불규칙하게 천공된 예초기 칼날구멍(21a)을 갖는 회전원판(21)과;
    상기 회전원판(21)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105)가 조립되는 축공(21b)이 형성되며. 상기 축공(21b)의 하부에는 상기 샤프트(105)가 관통하여 결합부재(22)로 결합되는 하우징(2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예초기부(30) 에는 상기 예초기 칼날구멍(21a)과 대응하여 조립되는 다수개의 예초기 칼날(31)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
  • 청구항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예초기 칼날(31) 상부에는 상기 예초기 칼날구멍(21a)에 삽입되는 돌기(31a)와; 상기 회전원판(21) 저면부에 밀착되는 걸림단턱(31b)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깊이제한경계선(31c)이 형성된 칼날(31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
  •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31a)와 예초기 칼날구멍(21a)은 용접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
  •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31d)은 땅을 파헤치기 쉽도록 한쪽방향으로 기울기면(S)의 각이 150°~16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김매기높이제한부(40) 상부에는 축공(21b) 하부에 관통하는 샤프트(105)와 결합부재(22)로 결합되는 하우징(23)과;
    상기 하우징(23) 내측 하단에 형성된 암나사(22')와 결합되는 연결소켓(41)과;
    상기 연결소켓(41) 하부 내측의 환형단턱(41a)에는 연결소켓(4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된 베어링(42)과;
    상기 베어링(42) 내경을 관통하여 결합부재(43)에 의해 고정되는 높이제한부재(44)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
  •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3) 내측 하단부에 형성된 암나사(22')는 상기 연결소켓(41)의 외주면의 수나사(41b)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
  •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43) 내주면은 암사사(43')로 형성되어 상기 높이제한부재(44) 상단부의 수나사(44a)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
  •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제한부재(44)에 형성된 환형단턱(44b)은 상기 베어링(42) 하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높이제한부재(44) 하단부에는 호형의 볼록판(44c)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
  • 说明书全文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Blade of a grass cutter weed out }

    본 발명은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초기(刈草機)의 동력전달장치 끝단에 땅을 일정한 깊이로 파헤칠 수 있는 예초기 칼날을 설치하여 땅을 부드럽게 함과 아울러 주변에서 성장된 잡초의 뿌리까지 파헤쳐 재배식물의 성장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에 농작물을 재배하고 난 뒤에 밭도랑의 경사면과 작물을 재배하는 곳에 성장하는 잡초를 제거하는 김매기를 하게 된다.

    농경지에 여러 가지 잡초가 돋아나 작물과 함께 자라면 작물이 이용해야 할 햇빛 ?양분 ?수분 ?공간 등을 빼앗으므로 작물을 심은 후 일정한 간격의 날자를 선택하여 잡초를 제거하게 되는바, 밭농사에서는 작물을 심은 후 통상 20~30일에 한 번씩 3회 정도 김을 매어야 하는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김매기를 할 때에는 호미로 일일이 제거하게 됨으로서, 매우 힘든 일이고, 시간이 적지 않게 소요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불필요한 식물, 즉 잡초 를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제초제(除草劑)를 사용하는 바, 김매는 노력과 비용을 크게 감소시키고 있으나, 제초제에는 각종 화학물질 특히 다이옥신이라는 내분비교란물질, 즉 환경호르몬이 다향 함유되어 있어 이것이 축적되면 인간의 몸이나 땅, 식물에게 모두 해악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목적은 통상의 예초기(刈草機)의 동력전달장치 끝단에 땅을 일정한 깊이로 파헤칠 수 있는 예초기 칼날을 설치하여 밭도랑이나 그 가장자리까지 성장된 잡초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하겠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손잡이(101)가 마련된 관형상의 작업봉(102)과, 이 작업봉(10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장치(103)와, 구동장치(103)에 의해 동력전달장치(104)의 샤프트(105)가 회전하는 예초기(100)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104)에 결합되어 작용하는 김매기용 예초기 본체(10)에는 상기 샤프트(105)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는 회전부(20)와; 상기 회전부(20)의해 회전하면서 땅을 파헤치면서 잡초를 제거하는 예초기부(30)와; 상기 예초기부(30)에 의해 땅을 파헤칠 때 일정한 깊이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김매기높이제한부(40)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통상의 예초기(刈草機)의 동력전달장치에 예초기 칼날을 설치한 것으로서, 작은 크기의 예초기로 밭도랑이나 그 가장자리 경사면에서 성장된 잡초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김매기의 인력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토양까지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의 결합단면도.
    도 4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예초기 칼날의 발췌사시도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회전원판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과 결합된 예초기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작용상태로서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손잡이(101)가 마련된 관형상의 작업봉(102)과, 이 작업봉(10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장치(103)와, 구동장치(103)에 의해 동력전달장치(104)의 샤프트(105)가 회전하는 예초기(100)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104)에 결합되어 작용하는 김매기용 예초기 본체(10)에는

    상기 샤프트(105)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는 회전부(20)와; 상기 회전부(20)의해 회전하면서 땅을 파헤치거나 잡초를 제거하는 예초기부(30)와; 상기 예초기부(30)에 의해 땅을 파헤칠 때 일정한 깊이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김매기높이제한부(4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20)에는 다수개가 불규칙하게 천공된 예초기 칼날구멍(21a)을 갖는 회전원판(21)과, 상기 회전원판(21)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105)가 조립되는 축공(21b)이 형성되며. 상기 축공(21b)의 하부에는 상기 샤프트(105)가 관통하여 결합부재(22)로 결합되는 하우징(23)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예초기부(30)에는 상기 예초기 칼날구멍(21a)과 대응하여 조립되는 다수개의 예초기 칼날(3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예초기 칼날(31) 상부에는 상기 예초기 칼날구멍(21a)에 삽입되는 돌기(31a)와 상기 회전원판(21) 저면부에 밀착되는 걸림단턱(31b)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깊이제한경계선(31c)이 형성된 칼날(31d)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돌출부(31a)와 예초기 칼날구멍(21a)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칼날(31d)은 땅을 파헤치기 쉽도록 한쪽 방향으로 기울기면(S)의 각이 150°~16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김매기높이제한부(40)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22) 내측으로 결합되는 연결소켓(41)과 상기 연결소켓(41) 하부 내측의 환형단턱(41a)에는 연결소켓(4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된 베어링(42)과,

    상기 베어링(42)내경을 관통하여 결합부재(43)에 의해 고정되는 높이제한부재(44)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2) 내측 하단부에는 암나사(2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소켓(41)의 외주면은 수나사(41b)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43) 내주면은 암사사(43')로 형성되며, 상기 높이제어부재(44) 상단부는 수나사(44a)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제한부재(44)에 형성된 환형단턱(44b)은 상기 베어링(42) 하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제한부재(44) 하단부에는 호형의 볼록판(44c)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초기(100)의 일측에 손잡이(101)를 잡고 구동장치(103)를 동작시키면 동력전달장치(104)의 샤프트(105)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105)가 회전하면 이와 연결된 회전원판(21)과 하우징(22)이 회전함과 동시에 예초기부(30)의 예초기 칼날구멍(21a)과 결합된 예초기 칼날(31)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23)과 결합된 연결소켓(41)은 회전하고 있지만 연결소켓(41) 하단부에 배치된 베어링(42)에 의해 연결된 높이제한부재(44)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초기 칼날(31)이 회전하면서 밭도랑이나 그 주변에 성장된 잡초를 칼날(31d)이 제거하게 한다. 이때 예초기 칼날(31)이 땅속으로 파고들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예초기 칼날(31) 하부에 형성된 깊이제한경계선(31c)과 높이제한부재(44) 하측면 배치된 호형의 볼록판(44c) 하부와 일치하는 부분까지 예초기 칼날(31)이 도달되면 높이제한부재(44)는 연결소켓(4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 하 이동이 불가능하여 예초기 칼날(31)이 더 이상 땅 속으로 진입할 수 없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예초기 본체 20: 회전부
    30: 예초기부 40: 김매기높이제어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