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꽃 발사시스템 및 불꽃 발사방법

申请号 KR1020130019094 申请日 2013-02-22 公开(公告)号 KR1020140105645A 公开(公告)日 2014-09-02
申请人 주식회사 한화; 发明人 손무열;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ireworks launching system and a method for launching fireworks and, more specifically, to fireworks launching system capable of safe and precise control regarding launching fireworks and a method for launching fireworks. The fireworks launching system comprises a fireworks launching part composed of fireworks product; a launching module part connected electrically with the fireworks launching part, and igniting the fireworks; a central control part sending and receiving pre-programmed digital launching signals to and from the launching module part; and an emergency control part operated independently with the central control part, and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launching module part in case of emergency. In fireworks display with such composition and method, it can decrease the probability of errors in launching such as misfire regarding launching fireworks, and it can improve display of fireworks and degree of completion by making sure that the fireworks sets off exactly by the maximum unit of 62 μs. Also, fireworks can be launched more safely by being remotely launched from a long distance through functions of central control and monitoring using a bidirectional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权利要求
  • 불꽃 제품인 불꽃 발사부;
    상기 불꽃 발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불꽃 발사부를 점화하는 발사모듈부;
    사전에 프로그램된 디지털 발사신호를 상기 발사모듈부로 전송하는 중앙 제어부; 및
    상기 중앙 제어부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비상상황에서 상기 발사모듈부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비상 제어부;
    를 포함하는 불꽃 발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발사모듈부와 양방향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는 상기 디지털 발사신호를 상기 발사모듈부로 송신 및 상기 발사모듈부의 상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발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불꽃 발사부 및 발사모듈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불꽃 발사부 및 발사모듈부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 및
    상기 디지털 발사신호를 상기 발사모듈부로 송신하여 상기 불꽃 발사부의 불꽃을 발사하는 명령부;
    를 포함하는 불꽃 발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발사신호는 암호화 처리 후 송수신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발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제어부는 상기 발사모듈부와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중앙 제어부와 별개로 상기 발사모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발사시스템.
  • 불꽃 제품인 불꽃 발사부를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불꽃 발사부를 점화하는 발사모듈부를 상기 불꽃 발사부와 전기적으로 결선하는 결선단계;
    상기 발사모듈부에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발사신호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발사신호에 의해 상기 발사모듈부는 상기 불꽃 발사부에 점화하여 불꽃을 발사하는 발사단계; 및
    상기 발사단계 후 비상 제어부에서 상기 불꽃 발사부 및 상기 발사모듈을 점검하는 점검단계;
    를 포함하는 불꽃 발사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제어부에서 점검하여 불점화된 불꽃 발사부를 점화하여 재발사하거나 상기 발사모듈부를 정지시키는 재발사 또는 정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불꽃 발사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선단계는 직렬결선, 병렬결선, 직/병렬결선 중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발사방법.
  • 说明书全文

    불꽃 발사시스템 및 불꽃 발사방법{Fireworks launching system and fireworks launching methods}

    본 발명은 불꽃 발사시스템 및 불꽃 발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불꽃을 연출하는데 있어서 안전하고 정확한 제어가 가능한 불꽃 발사시스템 및 불꽃 발사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으로 보다 효과적인 불꽃 연출력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불꽃놀이란 화약류를 연소 또는 폭발시켜 빛, 소리, 형태, 그 밖의 연기를 정교하게 조합하여 발생시키는 화공품을 발사 또는 폭발시켜 관상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불꽃놀이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품을 불꽃이라 한다. 여기서 불꽃이란 화학적 물질을 적절히 배합하는 것으로, 산화제 및 산소와 맹렬히 반응하는 연료제, 색상이나 불티 생성제, 배합물들을 단단히 결합시키는 강한 접착제, 점화를 빠르게 시켜주는 점화 촉진제 및 기타 첨가물 등을 물리 화학적인 이론에 의해 적절히 배합하여 만들게 된다.

    또한, 상기 불꽃놀이는 화약으로 만들어진 제품으로 화약을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발파(폭파)와 공통점을 갖지만, 화약 또는 폭약을 사용하여 목적하는 물체를 파괴하는 발파와 달리 불꽃놀이는 불꽃을 상공으로 쏘아 올려 이것이 어느 일정 고도에 이르면 개화되어 화려한 빛과 색을 만들어서, 이것을 많은 사람들이 감상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기 때문에, 불꽃놀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기술력, 연출력, 취급 및 설치에 따른 안전성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꽃놀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문제점 및 안정성을 고려한 불꽃 발사시스템 및 발사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불꽃놀이 중 불꽃을 발사하는데 있어서 불발 등 발사오류의 가능성을 줄이고 최대 62㎲ 단위로 정확한 발사를 가능하게 하는 불꽃 발사시스템 및 불꽃 발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양방향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먼 거리에서 원격으로 발사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불꽃을 발사하는 불꽃 발사시스템 및 불꽃 발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불꽃 발사시스템은 불꽃 제품인 불꽃 발사부, 상기 불꽃 발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불꽃 발사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발사모듈부, 사전에 프로그램된 디지털 발사신호를 상기 발사모듈부로 전송하는 중앙 제어부 및 상기 중앙 제어부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비상상황에서 상기 발사모듈부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비상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발사모듈부와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는 상기 디지털 발사신호를 상기 발사모듈부로 송신 및 상기 발사모듈부의 상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불꽃 발사부 및 발사모듈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불꽃 발사부 및 발사모듈부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 및 상기 디지털 발사신호를 상기 발사모듈부로 송신하여 상기 불꽃 발사부, 즉 불꽃 제품을 발사하는 명령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지털 발사신호는 암호화 처리 후 송수신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상 제어부는 상기 발사모듈부와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중앙 제어부와 별개로 상기 발사모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불꽃 발사방법은 불꽃 제품인 불꽃 발사부을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불꽃 발사부을 점화하는 발사모듈부를 상기 불꽃 발사부와 전기적으로 결선하는 결선단계, 상기 발사모듈부에 양방향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발사신호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발사신호에 의해 상기 발사모듈부는 상기 불꽃 발사부를 점화하여 불꽃을 발사하는 발사단계 및 상기 발사단계 후 비상 제어부에서 상기 불꽃 발사부 및 상기 발사모듈을 점검하는 점검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 제어부에서 점검하여 불점화된 불꽃 발사부를 점화하여 재발사하거나 상기 발사모듈부를 정지시키는 재발사 또는 정지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결선단계는 직렬결선, 병렬결선, 직/병렬결선 중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방법으로 불꽃놀이 중 불꽃을 발사하는데 있어서 불발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이용하여 먼 거리에서 원격으로 발사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불꽃을 발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불꽃놀이 중 불꽃을 발사하는데 있어서 불발되는 가능성을 줄이고 정확한 컨트롤이 가능함에 따라 음악에 맞추어 예술적인 불꽃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암호화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이용하여 송수신 먼 거리에서 중앙제어, 모니터링, 양방향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발사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불꽃을 발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불꽃 연출을 함에 있어 설치 및 현장 투입 인원의 최소화가 가능해지며 결과적으로 시간과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꽃 발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꽃 발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꽃 발사방법 중 재발사 또는 정지단계를 추가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꽃 발사시스템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꽃 발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불꽃 발사시스템(100)은 불꽃 제품인 불꽃 발사부(10), 상기 불꽃 발사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불꽃 발사부(10)를 점화하는 발사모듈부(20), 사전에 프로그램밍된 디지털 발사신호를 상기 발사모듈부(20)로 전송하는 중앙 제어부(30) 및 상기 중앙 제어부(30)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비상상황에서 상기 발사모듈부(20)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비상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발사모듈부(20)는 상기 불꽃 발사부(10)에 연결된 점화옥을 통하여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불꽃을 직접적으로 점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사모듈부(20)는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의해 상기 중앙 제어부(30)에서 전송하는 디지털 발사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발사신호에 따라 직접적으로 상기 불꽃 발사부(10)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불꽃을 점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사모듈부(20)는 상기 불꽃 발사부(10)로 전류가 정확하게 흐르는지 여부를 점검하여 결과를 실시간으로 상기 중앙 제어부(30)에 전송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30)는 실시간으로 상기 발사모듈부(20)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0)는 상기 불꽃 발사부(10) 및 발사모듈부(20)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모니터링부(31), 상기 불꽃 발사부(10) 및 발사모듈부(20)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32) 및 상기 디지털 발사신호를 상기 발사모듈부(20)로 송신하여 상기 불꽃 발사부(10)의 불꽃을 발사하는 명령부(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부(30)는 상기 발사모듈부(20)와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의해 서로 간에 데이터를 원격으로 송신 또는 수신하며, 상기 중앙 제어부(30)에서 상기 디지털 발사신호를 상기 발사모듈부(20)로 송신 및 상기 발사모듈부(20)의 상태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부(30)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앙 제어부(30)는 모니터링부(31), 시스템제어부(32), 명령부(33)를 구비하며, 상기 모니터링부(31)는 상기 발사모듈부(20)와 유무선을 통신하면서, 상기 불꽃 발사부(10)와 발사모듈부(20)의 이상유무를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제어부(32)는 상기 불꽃 발사부(10)의 발사 진행사항, 상기 불꽃 발사부(10)의 발사여부 또는 상기 발사모듈부(20)의 결선상태 등 상기 불꽃을 발사하는데 있어서, 전반적인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명령부(33)는 사전에 프로그램된 디지털 발사신호를 상기 발사모듈부(20)에 전송하여, 발사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발사신호는 암호화 처리 후 송수신됨으로써 해킹 또는 외부 간섭으로 인해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제어부(40)는 상기 중앙 제어부(30)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상기 불꽃 발사부(10) 또는 상기 발사모듈부(20)와 유무선 통신시스템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비상제어부는 상기 발사모듈부(20)를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예상치 못한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발사모듈부(20)에 정지 신호 또는 재발사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중앙 제어부(30)에서 제어하는 것보다 신속하게 위험한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다.

    한편, 도2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볼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꽃 발사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꽃 발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꽃 발사방법 중 재발사 또는 정지단계를 추가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2 내지 도3을 참고하면, 불꽃 발사방법은 불꽃 제품인 불꽃 발사부(10)를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하는 설치단계(S10), 상기 불꽃 발사부(10)를 점화하는 발사모듈부(20)를 상기 불꽃 발사부(10)와 전기적으로 결선하는 결선단계(S20), 상기 발사모듈부(20)에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발사신호 전송하는 전송단계(S30), 상기 발사신호에 의해 상기 발사모듈부(20)는 상기 불꽃 발사부(10)에 점화하여 불꽃을 발사하는 발사단계(S40) 및 상기 발사단계(S40) 후 비상 제어부(40)에서 상기 불꽃 발사부(10) 및 상기 발사모듈을 점검하는 점검단계(S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 제어부(40)에서 점검하여 불점화된 불꽃 발사부(10)를 점화하여 재발사하거나 상기 발사모듈부(20)를 정지시키는 재발사 또는 정지단계(S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선단계(S20)는 상기 불꽃 발사부(10)와 상기 발사모듈부(20) 사이를 전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해진 발사 순서에 따라 상기 불꽃 발사부(10)와 다른 불꽃 발사부(10) 또는 상기 발사모듈부(2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선단계에서는 직렬결선, 병렬결선 또는 직렬결선과 병렬결선을 혼합한 직/병렬결선 중 하나 이상의 방식이 사용하여 결선될 수 있다.

    상기 전송단계(S30)는 사전에 프로그램된 발사신호를 중앙 제어부(30)에서 상기 발사모듈부(20)에 전송하는 단계로써, 상기 중앙 제어부(30)는 상기 발사모듈부(20)와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의해 상기 발사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발사모듈부(20)는 상기 발사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발사 신호에 따라 상기 발사모듈부(20)가 작동하여 상기 불꽃 발사부(10)를 점화할 수 있다.

    상기 발사단계(S40)는 상기 발사신호에 따라 상기 발사모듈부(20)는 상기 불꽃 발사부(10)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불꽃 발사부(10)를 점화 및 발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발사모듈부(20)는 발사가 완료된 상태를 상기 중앙 제어부(30)에 송신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30)는 상기 불꽃 발사부(10)의 발사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점검단계(S50)는 상기 발사단계(S40) 후 비상 제어부(40)에서 상기 중앙 제어부(30)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발사모듈부(20) 및 상기 불꽃 발사부(10)를 점검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비상 제어부(40)는 상기 발사모듈부(20)와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비상 제어부(40)는 상기 불꽃 발사부(10)의 발사 진행상태 점검할 수 있다.

    상기 재발사 또는 정지단계(S60)는 상기 비상 제어부(40)에서 점검하여 불점화된 불꽃 발사부(10)에 재점화를 하기 위해 상기 발사모듈부(20)에 재발사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발사모듈부(20)가 상기 불꽃 발사부(10)에 다시 전류를 인가하거나, 상기 발사모듈부(20)의 전원을 차단하여 발사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 및 방법으로 불꽃놀이 중 불꽃을 발사하는데 있어서 불발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양방향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 송수신, 먼 거리에서 원격으로 발사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불꽃을 발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불꽃 발사부 100: 불꽃 발사시스템
    20: 발사모듈부 S10: 설치단계
    30: 중앙 제어부 S20: 결선단계
    31: 모니터링부 S30: 전송단계
    32: 시스템제어부 S40: 발사단계
    33: 명령부 S50: 점검단계
    40: 비상 제어부 S60: 재발사 또는 정지단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