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총 받침대

申请号 KR2020040029697 申请日 2004-10-21 公开(公告)号 KR200374212Y1 公开(公告)日 2005-01-26
申请人 이대희; 发明人 이대희;
摘要 본 고안은 소총 받침대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Y자형의 합성수지로 된 거치부와, 육각 또는 팔각의 알루미늄 파이프로 된 지주관과, 추 모양으로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며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된 꽂음부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소총 받침대는, 거치부와 꽂음부가 사출성형 또는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되고 지주관은 압출성형 됨으로서, 이들의 제조 및 조립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제조에 따른 인력이 절감되어 제조원가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단정하여 한층 더 상품성을 높일 수 있고, 중량이 매우 가벼워 휴대가 용이한 이점이 따른다.
权利要求
  • 통상의 소총 받침대에 있어서,
    소총의 총열이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Y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 지주관(12)에 삽입고정시킬 수 있도록 삽입구멍(11')을 형성하여서 된 합성수지 거치부(11);와,
    추 모양으로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지면에 박기 쉽도록 구성되고 상부에는 지주관(12)의 하단에 삽입고정시킬 수 있도록 삽입부(13')를 가지며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된 꽂음부(13);와,
    상 하단부에 상기 거치부(11)와 꽂음부(13)를 끼워 고정시키며 육각 또는 팔각의 알루미늄 압출관으로 된 지주관(12);으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총 받침대.
  • 说明书全文

    소총 받침대{a rifle supporter}

    본 고안은 소총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원가가 저렴하게 들면서 가볍고, 또, 외관이 미려단정하여 상품성이 극대화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소총 받침대는 지주봉의 상부에 총열을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지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끝이 뾰족한 꽂음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총을 휴대 및 사용하여야 하는 군인 또는 예비군 등이 휴대하는 장비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소총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를 수 밖에 없었다.

    즉, 종래의 소총받침대는 재질이 철재로 제조되어 있으며, 특히 거치부와 지주는 용접하여 일체화시키고, 하단 꽂음부는 단조 또는 연마하여 뾰족하게 형성한 것이기에, 제조가 매우 번거롭고 시간 또한 과다 소요되는 단점과 함께 외관이 단정치 못하며, 또, 재질이 철재이기 때문에 오래가지 않아 쉽게 부식됨은 물론, 거치부의 표면이 거칠어 자신의 생명과도 같이 소중하게 여겨야할 소총의 표면에 흠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를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재질이 철재임으로 중량이 과다하여 휴대가 불편하고 힘이 많이 드는 등의 폐단도 따랐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소총받침대에 따른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조립이 매우 신속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외관이 단정하고 부식이 없어 수명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되며, 중량 또한 가벼워 휴대가 용이한 소총 받침대를 제공하려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소총 받침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소총받침대(1)는 소총의 총열이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Y자형으로 형성된 합성수지 거치부(11)와,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 되어 육각 또는 팔각관으로 된 지주관(12)과, 추 모양으로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지면에 박기 쉽도록 구성되며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된 꽂음부(13)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11)는 하부 중앙부에 지주관(12)의 상단에 억지 끼움되도록 삽입구멍(11')을 형성하며 꽂음부(13) 또한 지주관(12)에 억지끼움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삽입부(13')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거치부(11)가 합성수지로 되어 있어 사출성형됨으로서 제조가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고, 지주관(12)은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한 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면 됨으로 이 또한 제조가 손쉽게 이루어지며, 꽂음부(13)는 합성수지 또는 다이캐스팅이나 주물로 제조됨으로서 이것 마저도 제조가 손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각의 부품 제조가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고 양산이 가능해 지는 것이며, 이들을 조립할 때는 단순히 지주관(12)의 상하단부에 거치부(11)와 꽂음부(13)를 억지끼움하면 됨에 따라 조립 또한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는 특징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접 및 단조, 연마 등의 공정 등의 여러가지 수작업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었던 종래의 소총 받침대에 비하여 제조 및 조립이 매우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더불어 외관이 매우 미려단정하고 가벼워 휴대가 편리한 것이다.

    또한 재질이 합성수지 및 비철금속이므로 보관 또는 사용과정에서 부식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오래도록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따르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지주관(12)과 거치부(11)의 삽입구멍(11')에 여유공차를 형성하고 지주관(12)의 상단부, 즉 거치부(11)가 삽입되는 부분의 소정위치에 요홈(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함과 동시에 거치부(11)에는 상기 요홈 위치에 맞춰 압축스프링과 볼로 구성된 볼플런저(도시하지 않음)를 내장 설치하게 되면 지주관(12)과 거치부(11)를 억지끼움시키지 않아도 되고, 이 때는 볼플런저에 의해 지주관(12)과 거치부(11)를 수시로 분해 조립할 수도 있어 휴대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도 따르게 되며, 이와 같이 볼플런저와 홈을 대향 형성하여 지주관(12)과 거치부(11)를 분해 조립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은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겠다.

    또한, 지주관(12)의 하단에 억지끼움되는 꽂음부(13)는 억지끼움 된 그자체로도 충분히 사용 가능하지만 지주관(12)의 하단에 꽂음부(13)의 삽입부(13')를 끼운뒤 지주관(12)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꽂음부(13)를 보다 더 견고하게 물어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화 역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총받침대(1)를 합성수지로 된 거치부(11)와, 알루미늄 관으로 된 지주관(12) 및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된 꽂음부(13)로 분리형성한 뒤 이를 간편하게 조립 사용토록 한 것으로서, 중량이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고, 부식이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외관이 깔끔한 등의 이점이 따르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