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반동이 없는 대전차 무기의 추진식 장약을 위한 점화장치

申请号 KR1019900701721 申请日 1989-12-02 公开(公告)号 KR100131595B1 公开(公告)日 1998-04-23
申请人 니코-파이로테크닉 한스-율겐 디어더릭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发明人 뤼버스빌리;
摘要 없음
权利要求
  • 하나의 케이싱내에 하나의 뇌관과 하나의 점화장입물과 그리고 하나의 관통소자를 가지는 하나의 점화기와, 그리고 교체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리고 지지되고 있는 점화기를 위한 장입물의 용기의 구역에 있는 하나의 수취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대전차 무기를 위한 연습탄의 추진장입물에 대한, 용기내에 캡슐 포장된 하나의 장입물을 위한 점화장치에 있어서, 점화기(22)의 케이싱(31)은 원추대의 형상을 가지며 하나의 중앙의 구멍(41)을 가지고 있으며, 이 구멍에는 넓은 기초면에서 원추대의 하부로부터 시작하면서 차례로 뇌관(43), 점화장입물(44) 및 관통소자(47)를 포함하며 여기서 관통소자(47)는 구멍(41)로부터 밀봉되어 있는 것과 그리고 수취장치(21)는 점화기(22)의 케이싱(31)에 대하여 그의 형태에서 적합하여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 �치.
  • 제1항에 있어서, 원추형 점화케이싱(31)의 외부벽(32)은 주면의 밀봉리브들(ribs)(3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점화기의 케이싱(31)은 구배가 주워진 단부에 원통형의 연장부(34)를 가지며 이 연장부는 수취장치(21)의 원추형 구역에 접속하는 원통형구멍(36)에 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주변의 밀봉링(28), 바람직하게는 0-링의 점화기케이싱(31)의 원통형 연장부에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전항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점화기케이싱(31)은 원추대의 넓은 기초부에 지지 가장자리(33)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점화기 케이싱(31)내에 있는 중앙의 구멍(41)은 단계가 형성된 하나의 구멍이며, 원추대의 넓은 기초부에서 구멍의 가장 넓은 부분(42)은 뇌관(43)을 포함하고 구멍의 다음의 더 좁은 부분(44)의 점화장입물(45)을 포함하며, 그리고 원추형의 점화기케이싱(31)의 정점의 구역에 있는 구멍의 가장 좁은 부분(46)은 관통소자(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관통소자는 하나의 볼(47)이며, 이 볼은 원추대 점화기 케이싱(31)의 정점의 구역에 있는 구멍(41,46)으로 압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볼(47)은 특히 밀봉와니스와 같은 밀봉제(48)에 의하여 구멍(46)으로부터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취장치(21)는 선회 가능한 하나의 카버(23)에 대하여 닫혀지도록 적합하여져 있으며 이 선회 가능한 카버는, 닫혀진 상태에서, 점화기 케이싱(31)에 대하여 내부면(63)을 가지고 접해 있으며 그리고 상기의 내부면 하부에는 점화기(22)의 뇌관(43)에 대한 카버(23)의 내부면(63)을 관통하는 타격핀(65)을 수용하고 있는 하나의 격실(68)과 그리고 타격핀(63)을 위한 로킹소자(6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카버(23)는 하나의 볼캣치(ball catch)(63)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说明书全文

    특히 반동이 없는 대전차 무기의 추진식 장약을 위한 점화장치

    이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상위개념에 따르는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점화장치들은 용기내에서 캡슐로 들어가 있는 충전물을 점화하기 위하여 그리고 특히 무반동 대전차 무기를 위한 하부카리버 연습탄의 추진 장입물에 대하여 사용된다. 그러한 연습무기는 발사 튜브안으로 약포에 넣어진 탄약을 수취하는 모형 발사체가 삽입되는 그러한 발사튜브를 가지며 이것에 의하여 탄약의 연습탄은 추진장입물의 도움으로 발사튜브로부터 반응이 없이 축출되어진다. 연습탄의 추진장입물은 예를들면 알루미늄으로된 용기내에 위치하여지며 하나의 점화기에 의하여 점화되며 여기서 점화기는 케이싱내에 하나의 뇌관과, 하나의 점화장입물과 그리고 하나의 관통소자를 포함한다. 점화장입물의 시발(initiated)후에 관통소자는 점화기로 부터 축출되며 그리고 추진장입물의 용기를 관통한다. 점화장입물의 더운 개스는 그 다음에 추진장입물 용기를 관통하며 이 장입물을 점화한다.

    각각의 사격후에 교체되어야 하는 점화기는 점화과정 동안에 발사튜브에 관련하여 압력이 밀봉되는 방법으로써 단단히 수취장치내에 지지되어야 한다. 그밖에 점화장입물은 공기나 수분이 들어올 수 없도록 외부로부터 되어야 한다. 이것은 긴 저장시간 후 일지라도 역시 믿을 수 있게 점화장입물이 점화되는 것을 보증하는 유일한 길이다.

    상기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하여 하나의 점화장치에 공지되어 있는데 여기서 이 점화장치는 그의 케이싱의 주변상에 외부 나사선의 도움으로 수취장치에 나사결합되어져 있다. 이 점화장치의 케이싱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여기서 내부케이싱은 나사선을 가지는 외부케이싱으로 나사 결합되어지며 이 내부케이싱은 뇌관, 점화장입물 및 관통소자를 포함한다. 관통소자는 점화장입물상에 놓여 있는 하부의 링후렌지를 가지는 실린더이다. 미리 정해진 파단점이 링후렌지와 실린더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링후렌지상에는 점화장입물의 건너편에 하나의 환형밀봉부가 있으며 이 환형밀봉부는 내부 케이싱의 테두리에 의하여 링후렌지에 대하여 눌려지며 이것에 의하여 점화장입물을 밀봉한다.

    뇌관이 시발되고 점화장입물이 점화된 후에 관통소자의 원통형 부분은 링후렌지로부터 찢어지며 그리고 외측케이싱의 구멍을 통하여 추진장입물 용기를 향하여 축출되어진다. 이 용기는 관통소자에 의하여 관통되며, 그 결과 점화장입물의 더운 개스들은 그후에 추진 장입물을 관통하고 이것에 의하여 그것을 점화한다.

    점화기의 제조는 서로가 정확하게 맞지 않으면 안되는 많은 단일 부품들의 사용에 의하여 복잡화된다. 점화기의 외부 및 내부케이싱은 별도로 제조되고 그다음에 서로 결합되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나사선 형성된 외부케이싱의 제조와 그리고 관통소자에 대한 압력-밀봉 유지수단을 가지는 내부케이싱의 제조는 경비가 드는 제조기계들과 그리고 많은 상이한 제조단계들을 필요로 한다. 일회용 물품으로서의 사용의 견지에서의 저렴한 제조는 이 구조를 가지고는 기대되어질 수 없다.

    다른 한편 점화기의 교체는 귀찮은 것이다. 공지된 연습 대전차 무기에 있어서 수취장치로부터 점화기를 제거하기 위하여는 점화기를 수취장치로부터 나사를 풀어내고 새로운 점화기를 삽입하기 전에 먼저 2개의 회전링들을 돌리지 않으면 안된다. 점화기 케이싱은 하측에 하나의 파지가장자리를 가지며 이 파지 가장자리는 이 부분의 나사결합 및 나사풀음을 용이하게 하나 그러나 이 가장자리는 다만 대략 1㎝ 이상의 직경을 가졌다. 사용된 점화기의 나사를 풀어내고 그리고 새로운 것으로 나사결합하는 것은 둘다 많은 시간과 참을성 그리고 숙련을 필요로 하는것은 명백하다.

    이 발명은 경제적인 대량 생산과 점화기들의 삽입 및 교체의 동안에 간단한 처리를 허용하기 위하여 문제가 되고 있는 종류의 점화장치를 구조적으로 설계하는 문제에 기초하여진다.

    상기의 문제는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들에 의하여 이 발명에 따라서 해결된다. 따라서 점화장치는 원추형의 외부벽과 중앙구멍 그리고 마찬가지로 원추형으로된 수취장치를 가지는 점화기의 케이싱에 대한 쉽게 제조된 단일한 회전부재로 되어 있다. 점화기는 더 이상은 나사 결합되지 않으며 그러나 수취장치에로 다만 눌려지며 이것에 의하여 점화기의 외부벽들의 그리고 점화기의 내부벽들의 원추형 설계는 점화기의 기밀한 들어맞음을 보증한다. 뇌관, 점화장입물 및 관통소자가 수취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점화기 케이싱내에 바람직하게 계단상으로된 단 하나의 구멍이 만들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관통소자는 바람직하게는 점화기 케이싱의 상부에 계단상으로된 구멍의 가장 좁은 부분으로 압입되어졌으며 그러므로 외측으로부터 점화장입물을 밀봉하는 하나의 볼이다. 이 밀봉은 볼과 구멍 사이의 공간에 예를 들면 밀봉 와니스와 같은 밀봉제로서 채우는 것에 의하여 개량될 수 있다.

    점화 케이싱은 하나의 공작기계에서 하나의 소재로부터 자동적으로 제조되어 질 수 있다. 뇌관, 점화장입물 그리고 볼은 그뒤에 완성된 점화케이싱내에 넣어진다. 관통소자는 바람직하게는 점화기 케이싱의 상부에 계단상으로된 구멍의 가장 좁은 부분으로 압입되어졌으며 그러므로 외측으로부터 점화장입물을 밀봉하는 하나의 볼이다. 이 밀봉은 볼과 구멍사이의 공간에 예를들면 밀봉 와니스와 같은 밀봉제로서 채우는 것에 의하여 개량될 수 있다.

    점화 케이싱은 하나의 공작기계에서 하나의 소재로부터 자동적으로 제조되어질 수 있다. 뇌관, 점화장입물 그리고 볼은 그뒤에 완성된 점화케이싱내에 넣어진다. 선회 가능한 카버가, 닫혀진 상태에서, 그 내부면을 가지고 점화기 케이싱의 하부에 대하여 접하여 있는 그러한 선회 가능한 카버에 의하여 수취장치가 덮혀질 수 있게 한다면 점화기의 삽입 및 교체의 동안에 처리하는 역시 현저하게 단순화되어질 수 있다. 특히 카버는 상기의 내측면의 하부에 하나의 격실이 있으며 이 격실에는 그 내면을 관통하며 스프링으로 지지된 뇌관을 위한 타격피과 그리고 이 타격핀을 위한 로킹소자를 포함하고 있다. 이 카버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볼 캣치에 의하여 닫혀진 채로 지지된다. 그러므로 수취장치로 새로운 뇌관을 삽입하기 위하여는 단지 이 내부카버를 열고 사용된 점화기를 제거하며, 주어진 경우에는 수취장치에 새로운 것을 단순히 삽입하고 그 다음에 카버를 닫는 것이 필요하다.이 활동들은 불리한 조건들의 경우까지도 문제없이 대단히 빨리 수행되어질 수 있다.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이 종속항들에서 지시된다.

    이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르는 점화장치를 가지는 대전차로켓트포의 부분적으로 횡단면을 보인 종방향도.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르는 점화장치의 종단면도.

    제3도는 이 발명에 따르는 점화기의 종단면도임.

    제1도는 하나의 발사튜브(2)와 그리고 이것에 삽입된 하나의 모형발사체(3)를 가지는 대전차 로켓트 발사기의 형태로된 연습무기(1)를 보인다. 이 발사튜브는 하나의 발사장치(4)와 그리고 하나의 조준 망사경(5)과 연결되어 있다. 연습탄(6)이 모형발사체(3)의 내부 튜브에 삽입되어 있으며,이 연습탄은 하부구경의 연습발사체 이외에도 연습발사체를 추진하기 위한 추진장입물(7)과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다. 추진충전물(7)은 제2도에서 더 자세하게 보여진 점화장치(8)에 의하여 점화된다.

    추진충전물(7)은 원통형의 알루미늄용기(9)내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 용기는 점화장치(8)의 범위에 미리 정해진 파단점(10)을 갖는다.

    점화장치는 발사튜브(2)의 벽을 관통하고 있는 수취장치(21)와 이 수취장치에 삽입된 점화기(22)와 그리고 또 이 수취장치(21)를 덮고 있는 하나의 타버(23)로 되어 있다.

    점화기(22)는 원추형의 측벽을 가지는 원추대형의 케이싱(31)과, 이 원추대의 넓은 기초로부상의 지지링(33)과, 그리고 원추대의 좁은 기초부상의 원통형의 연장부(34)를 갖는다.

    수취장치(21)는 점화기의 원추형의 외측벽(32)에 상응하는 원추형의 하나의 내측벽(35)고, 그리고 추진충전물(7)의 파단예정점(10)의구역에서 발사튜브(2)에로 접합하는 하나의 원통형 내측구멍(36)을 갖는다. 점화기(22)의 원통형 연장부(34)에는 흡속으로 삽입된 0-링(38)을 가지는 주변홈(37)이 있으며 이 0-링은 수취장치(21)의 원통형의 구멍(36)으로부터 점화기(22)를 밀봉한다. 점화기(22)가 수취장치(21)안으로 밀려질 때, 점화기의 원투형 벽들과 그리고 수취장치는 역시 서로에 대하여 지지하며, 그 결과로 이들 2개 부품들은 서로로부터 그리고 발사튜브로부터 기밀한 방법으로 밀봉되어진다.

    점화기 케이싱(31)에는 중앙의 단계가 형성된 구멍(41)이 있다. 원추대 케이싱의 넓은 기초부상에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단계가 형성된 구멍의 첫 번째 부분구멍(42)에는 하나의 뇌관(43)이 삽입되어있다. 이 구멍(42)에는 점화충전물(45)를 수용하고 있는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또다른 부분구멍(44)이 접속한다. 구멍의 이 부분(44)은 점화기의 원추형 외측벽(32)이 원통형 연장부(34)에로 이월하는 대략적인 구역에까지 축방향으로 뻗쳐 있다. 부분(44)의 다음에는 또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구멍의 또 다른 부분(46)이 있으며 이 부분 구멍에로는 하나의 볼(47)이 눌러 넣어지며 이 볼은 외측으로부터 추진충전물(45)을 밀봉한다. 볼(47)과 구멍의 부분(46)은 밀봉와니스(48)로 채워진다.

    뇌관(43)이 예를들면 타격핀에 의하여 시발될 때 이것은 점화충전물(45)을 점화하며, 이것에 의하여 볼(47)은 구멍의 부분(46)으로부터 축출되며 그리고 파단예정점(10)의 구역에서 추진충점루(7)의 용기(9)를 관통하게 만든다. 그 다음에 연소하고 있는 점화장입물(45)의 더운 개스들이 파단된 구멍을 통하여 용기내로 흐르며 그리고 추진장입물을 점화한다. 연습탄(6)의 하부직경 발사체는 추진충전물의 도움으로 카운터웨이트의 구축기에 의한 작용이 없이 발사튜브(2)로부터 공지된 방법으로 축출되며 이것에 의하여 모형발사체(3)는 발사튜브(2)에 남게 된다.

    발사튜브(2)와 내부와 점화장치 사이의 기밀한 연결은 제3도의 좌반부에서 파선(51)에 의하여 보여진 바와 같이 점화기(22)의 원추형 외측벽(32)의 단계상 횡단면 설계에 의하여 더 개선되어질 수 있다. 이들 주변의 밀봉리브들은 라비린스씰( labyrinth seal)로서 작용하며 그 결과로 수취장치(21)에서의 점화기(22)의 절대적으로 기밀한 적합을 보증한다.

    수취장치(21)에 삽입된 점화기(22)는 역시 전술한 카버(23)에 의하여 제자리에 유지된다.이 카버는 발사튜브(2)와 연결된 축(61) 주위에서 화살표 P의 방향으로 선회되어 질 수 있고 제2도에서 보여진 바와같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볼캣치(62)에 의하여 로킹된다. 이 위치에서 내부면(63)은 점화기(22)의 하측에 대하여 접하여 있다. 이 내부면(63)은 스프링들(66)에 의하여 지지된 타격핀(65)에 의하여 관통된 하나의 중앙의 개구(64)를 갖는다. 타격핀(65)과 스프린들(66)은 내부면(63)에 대하여 하방으로 뻗쳐 있는 카버(23)의 구간(68)에서 로킹핀(67)과 함께 배열되어 있다. 스프링(69)에 의하여 지지된 로킹핀(67)이 일정한 거리를 이동할 때 스프링-지지된 타격핀이 방출되며 그리고 점화기(22)의 뇌관(43)을 친다.

    기술된 점화장치는 역시 실제의 탄약을 가지고도 사용되어 질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