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 조작 가능한 배출레바(ejector)를 구비한 반자동화기

申请号 KR1019850007496 申请日 1985-10-11 公开(公告)号 KR1019950000197B1 公开(公告)日 1995-01-11
申请人 스텀, 루거 앤드 컴퍼니 인코퍼레이티드; 发明人 윌리엄배터맨루거; 로오렌스레오나르드라르손;
摘要 내용 없음.
权利要求
  • 프레임(29)과 왕복슬라이드(12), 탄창(22), 탄피배출구(17), 슬라이드에 장착된 공이쇠(31), 프레임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공이쇠블록편(33)을 구비하고, (a) 프레임(29)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본체(base portion)와 탄피배출구(17)속으로 연장하는 대(stem portion)을 가진 긴 탄피배출레바(16) ; (b) 제1 및 2위치에 배출레바(16)를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과 배출 레바의 본체에 있는 위치고정수단 ; 또한 (c)배출레바상에 있고 제 2위치로 배출레바가 움직일 때 공이쇠(31)를 풀기 위해 공이쇠블록편(33)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블록편과 맞물리는 날개연장부(52)로 구성되고 한편 제1위치는 탄피배출레바(16)가 프레임(29)상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배출장치 역할을 하는 위치이고, 제2위치는 공이쇠블록편을 돌출부(38)가 회전시키는 위치로서 제1위치는 배출레바 대(stem)(51)가 피스톨 작동시에 탄피를 배출하는 배출구(17)속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화기(semi-automatic firearm).
  •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고정장치가 두 상이한 위치에서 배출레바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프레임과 저면상에 구비된 회전걸쇠(24)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고정장치가 빗장쇠 연장부(53b)를 맞물리게 하는 날개연장부(52a)가 있는 배출레바(16)와 연결되고 블록편스프링(72)의 힘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레바 본체가 프레임양면에 장착된 두 연결날개(48)(49)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레바는 화기의 탄창에 대해 배출레바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귀부(ear portion)(61)(6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레바가 프레임과 맞물릴 수 있도록 슬라이드걸쇠(1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화기.
  • 说明书全文

    수동 조작 가능한 배출레바(ejector)를 구비한 반자동화기

    제 1 도는 본 피스톨의 평면도.

    제 2 도는 슬라이드가 뒤로 잠겨있고 탄약이 제거된 상태의 본 피스톨의 측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3-3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4-4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5-5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제 6 도는 탄피배출레바, 해머, 관련부품의 반대측 부분도.

    제 7 도는 제 4 도와 유사한 단면도로써, 탄피배출레바를 손으로 눌러내려 블록편을 불린위치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 8 도는 피스톨 프레임상에 장착된 배출레바의 사시도.

    제 9 도는 슬라이드 걸쇠와 슬라이드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 10 도는 슬라이드 걸쇠가 제거될 수 있도록 눌러내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 11 도는 슬라이드 걸쇠가 총신연장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 12 도는 슬라이드가 전방위치에 있고, 탄약은 제자리에 그리고 탄피배출레바는 배출위치에 있음을 도시하고 있는 하나의 선택적 실시예의 부분적 단면도.

    제 13 도는 제 12 도의 13-13선의 단면도.

    제 14 도는 제 13 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써 분해단면도.

    제 15 도는 이격된 관계로 있는 탄약부분과 탄피배출레바의 사시도.

    제 16 도는 오목한 날개가 있는 연장부를 가진 탄피배출레바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적 측단면도.

    제 17 도는 탄피배출레바가 블록편 회전위치로 내려져 연장부와 정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부분 측단면도.

    제 18 도는 제 17 도의 18-18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 19 도는 슬라이드 걸쇠 및 유지스프링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피스톨의 부분적 사시도.

    제 20 도는 슬라이드 걸쇠를 끌어낸 상태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적 절개 평면도.

    제 21 도는 제 22 도의 21-21선을 따라 절개한 부분단면도.

    제 22 도는 제 21 도의 22-22선을 따라 절개한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피스톨 11 : 총신

    12 : 슬라이드 13 : 슬라이드 걸쇠

    16 : 탄피배출레바 17 : 탄피배출구

    18 : 수동안전레바 19 : 손잡이

    21 : 방아쇠 22 : 탄창

    23, 44 : 회전핀 24 : 회전걸쇠

    25 : 탄창걸쇠 27 : 회전걸쇠 홈(recess)

    28 : 립(lip) 29 : 프레임(frame)

    30 : 해머 31 : 공이쇠

    32 : 해머회전축 33 : 공이쇠블록편

    34, 42 : 회전축 35 : 공이스프링

    36 : 시어(sear) 38 : 돌출부

    39 : 발사대부분 39a : 표면

    40 : 방아쇠봉 43 : 걸쇠편

    45 : 개구부 46 : 측면연장부

    48, 49 : 날개 51 : 배출레바 대(stem)

    52 : 날개연장부 53 : 빗장쇠 연장부

    54 : 걸쇠홈 56 : 슬라이드 노치

    종래의 반자동 피스톨은 슬라이드가 운반하는 공이쇠, 공이쇠블록장치를 포함하며 또한 탄피를 피스톨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장치를 포함하고 있었다. 손잡이에서 슬라이드 공동 위로 연장한 공이쇠블록구조를 택하고 있는 반자동 피스톨에서는 슬라이드가 피스톨의 해체기간중에 이를 떼어내기 할 수 있게 크리어란스 컷(clearance cuts)이 필요하다. 종래의 화기는 이러한 크리어란스 컷을 구비해야만 피스톨에서 슬라이드를 떼어낼 수 있는 조립배열이다. 이 크리어란스 컷을 통하여 먼지가 들어가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일부 피스톨은 슬라이드 걸쇠를 떼어내어 피스톨로부터 슬라이드를 떼어낼 수 있도록 분해되는 것도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슬라이드 걸쇠가 피스톨로부터 분리되므로 잃어버리거나 이 주요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보편적으로, 본 발명은 신규의 반-자동(semi-Automatic) 피스톨 조립체로서, 탄피배출레바가 피스톨 프레임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 1 위치에서 배출장치로 작용하고 제 2 위치에서 돌출부(평시에는 슬라이드 홈속으로 돌출하여 공이쇠를 잡아두는)는 후방단부에 크리어란스 컷을 구비하지 않은 슬라이드로 공이 쇠블록편을 방해하지 않을때까지 공이쇠블록편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길죽한 배출레바는 블록편과 결합하여 슬라이드가 분해될 수 있게 블록편을 회전시키도록 핑거 렉(finger-leg)을 움직인다. 오버-센터링 장치는 레바가 먼저 배출위치에 나중에 블록편 회전위치에 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일단 블록편을 회전시켜 분리하면 슬라이드 걸쇠는 일부가 피스톨로부터 빠져 나오지만 스프링과 상홈(groove) 때문에 완전히 빠져나오지 않아 걸쇠가 손상을 입거나 잃어버릴 염려가 없다.

    배출장치가 탄창과 맞물려 안정되도록 만든 형태도 본 발명의 한 제 1 도-2 도에는, 피스톨(10)이 총신(11), 슬라이드(12), 슬라이드 자물쇠(13), 회전가능한 탄피배출레바(16), 탄피배출구(17), 수동 안전레바(18), 손잡이(19), 방아쇠(21), 탄창(22), 탄창걸쇠(25)를 포함하고 있다.

    제 3 도-제 6 도에서는 탄피배출레바(16)가 정상의 배출위치에서 단단히 고정되어 프레임(29)에 의해 배출 기간중에 받는 힘을 견디어 후방이동을 제한하고 또 레바(16)는 회전걸쇠(24)와 회전걸쇠홈(27)(제 5 도 참조)에 결합한 회전핀(23)에 의해 배출위치에서 안정된다. 이 배출위치에서, 레바(16)는 피스톨 작동중에 소비된 탄피를 이것과 립(lip)(28)의 맞물림을 통해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립(28)은 탄피통로속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드(12)의 왕복이동으로 탄피를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게 한다.

    회전핀(23)은 피스톨 프레임(29)상에 장착된다. 또한 프레임(29)상에는 해머회전축(32) 주위를 회전하는 해머(30)가 있고 ; 회전축(34)에는 공이쇠불록편(33)과 시어(36)가 있다. 직립형 돌출부(38)를 포함하는 공이쇠블록편(33)은 프레임상에 장착된다. 돌출부(38)는 프레임(29) 위로 연장되어 발사대(firing bass)(39)(제 4 도)의 표면(39a)과 정합하여 공이쇠(31)의 이동을 막는다. 항상 직립위치에서 있기 때문에(발사전과 발사기간을 제외하고), 돌출부(38)는 슬라이드(12)의 분리를 방지하고 한편 돌출하고 있는 슬라이드 홈(41)으로부터 이탈할때까지 크리어란스 컷(clearance cuts)을 갖지 않는다. 또한 공이스프링(35)이 도시되어 있다.

    제 4 도를 더 참조하면, 슬라이드 걸쇠(13)는 회전축(42)(제 11 도 참조)과 걸쇠편(4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에서 걸쇠편(43)은 마지막 탄피가 나가고 난 뒤 탄창 뒷부분(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들어올려져 슬라이드(12)를 개방한다.

    방아쇠(21)는 회전핀(44)를 거쳐서 방아쇠봉(40)에 연결된다. 방아쇠봉(40)은 개구부(45)를 가지고 있고 이것의 축부는 공이쇠불록측면연장부(46)와 맞물려 작동싸이클중에 공이쇠블록편(33)을 시계방향(제 4 도)으로 회전시켜 공이쇠(31)을 푼다.

    제 5 도를 참조하면, 레바회전핀(23)이 프레임(29)에 장착되었음을 도시하고 있다. 핀(23)에 배출레바(10)의 날개(48)(49)가 장착되었고 날개(48)에 회전걸쇠(24)를 가지고 있다. 이 걸쇠(24)는 프레임(29)에 위치한 걸쇠홈(27)에 놓인다. 립(28)은 배출레바 대(stem)(51)에 의해 날개(48)(49)에 연결되었다.

    제 6 도에서는 날개(49)가 블록편(33)의 빗장쇠 연장부(53)와 맞물린 날개연장부(52)를 이동시켜 하기에서 설명하는데로 블록편(33)을 회전시킨다.

    제 7 도 및 제 8 도를 관찰하면, 배출레바(16)를 상부에서 밀어내려 회전 걸쇠홈(27) 밖으로 회전걸쇠(24)를 이동시키고 걸쇠가 공이쇠블록편 걸쇠홈(54)속으로 들어갈때까지 레바(16)가 시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함을 할 수 있다. 그결과 연장부(52)는 블록편(33)의 빗장쇠 연장부(53)와 맞물려 돌출부(38)를 슬라이드(12) 하부로 내린다. 손을떼면 배출레바(16)는 걸쇠홈(54)에서 걸쇠에 의해 잡힌다. 블록편(33)이 레바(16)에 의해 회전하여 시어(sear)(36)와 맞물고 이것을 회전시킨다.

    제 9 도와 제 10 도, 제 11 도에 대해 설명하면, 공이쇠블록편 작동위치에서 슬라이드(12)를 제거하기 위해, 슬라이드걸쇠(13)를 손으로 눌러내려 걸쇠편(43)이 슬라이드 노치(notch)(56)(제 10 도 및 제 11 도)를 해제하고 걸쇠(13)를 피스톨로부터 끌어내게 한다(제 9 도). 슬라이드(12)와 총신(11)은 전방으로 그리고 피스톨 프레임(29)으로부터 이동시켜서 자유롭게 분리된다(제 10 도). 제 11 도는 총신(11) 하부에 장착된 회전소켓부분(57)이 분리된 상태의 회전축(42)을 도시하고 있다.

    제 12 도- 제 15 도는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배출레바(16a)가 탄창(22)에 의해 피스톨(10)속에 위치하도록 형상이 만들어졌다. 립(28)의 배출레바귀부(61)(ejector ear pontion)가 한면에서 탄창(22)과 맞물리는 한편 몸통귀부(62)는 반대측면의 탄창(22)(제 12 도 및 제 13 도)과 맞물려 레바(16a)를 제어하고 전방운동을 막게한다.

    또한 후방정지돌출부(63)가 배출레바(16a)에 구비되어 있고 이 돌출부는 레바(16a) 탄피배출을 위해 후방으로 밀릴 때 프레임(29)과 맞문다. 프레임(29)과 정지돌출부(63)의 맞물림은 레바(16a)의 후방이동을 제한한다.

    제 12 도-제 15 도에서는 손잡이 판넬(66), 탄창(22)내의 탄약(67) 및 슬라이드(22)의 왕복에 따라 립(28)을 수용하기 위한 길다란 슬라이드 슬롯트(68)가 더 도시되어 있다.

    끝으로, 제 16 도-제 18 도에 대해 설명하면 이들은 또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배출레바(16b)가 오목한 홈(71)을 가진 형태의 날개연장부(52a)를 구비하고 제 17 도에서 도시한 블록편 해방위치에서 빗장쇠 연장부(53b)와 맞물어 고정하게 한다. 홈(71)을 포함한 날개연장부(52a)의 형상과 같이, 구조 ; 빗장쇠 연장부(53b)의 형상길이 및 구조 그리고 블록편 스프링(72)의 힘은 배출레바(16b)가 이미 기술된 실시예의 걸쇠홈(54)와 회전걸쇠(24)의 사용없이 제 17 도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하는 원인이 된다.

    배출레바(16b)가 제 16 도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하기 위해서 이것을 사람의 손으로 뒤로 당길 수도 있고 혹은 탄창(22)의 삽입으로 배출레바(16b)를 자동적으로 원위치에 오게하고 따라서 블록편(33)이 불록편 스프링(72)에 의해 가동위치로 귀환하도록 만든다.

    최종적으로 제 19 도-제 22 도를 설명하면, 슬라이드 걸쇠배열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슬라이드 걸쇠(13a)가 하나의 잠금 회전축(42a)과 걸쇠편(43a)를 가지고 있다. 축(42a)은 슬로트(71)에 맞물려 슬라이드 걸쇠(13a)를 그의 통상 기능위치에 위치시킨다. 걸쇠(13a)가 슬라이드 제거를 위해 당겨졌을때(제 20 도) 스프링(73)은 슬로트와 맞물려 미리 정해진 편리한 위치에 걸쇠(13a)를 고정시키므로써 걸쇠(13a)가 완전히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여 완전히 빠져 달아나거나 부품들에 잘못위치하는 손실이 없게된다. 스프링(73)은 한 말단(76)이 방아쇠봉 스프링 플럭(77)에 또한 다른 말단(78)이 회전축(42a)에 대해 장착되었다(제 21 도 참조).

    또한 제 19 도-제 22 도에는 방아쇠(21), 프레임(29), 방아쇠봉(40), 방아쇠봉 플런져(79), 유지스프링핀(80), 총신 링크(81), 및 링크회전핀(84)이 도시되어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