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 배출식 화기

申请号 KR1020000009327 申请日 2000-02-25 公开(公告)号 KR1020010014508A 公开(公告)日 2001-02-26
申请人 에프엔 에르스딸 소시에떼아노님; 发明人 데누이뜨챨스;
摘要 PURPOSE: Firearms are provided to achieve normal delivery and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feed-in of a new gun by enabling an extractor to securely release a casing when the casing is inclined so that it can be rejected forward in firearms, namely Bullpup gun, where the course of movable elements is formed integrally with a grip. CONSTITUTION: Firearms have a lever(12), the lever is rotatably mounted to one of other movable elements(4) adjacently to an extractor(8) and is provided with an eccentricity cam(11), and the cam cooperates with the extractor being mounted while being inclined. Therefor, when the lever turns, the cam causes the remover to be inclined and allows the extractor to release a casing(22). Also, the fram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control stop(18), the control stop is located in the track of the lever when the movable element moves forward and turns the lever as described earlier when the casing needs to be released from the extractor in the movement.
权利要求
  • 화기로서, 자동이나 수동 사이클로 작동하고 탄피를 전방으로 배출하거나 배출된 탄피를 상기 화기의 전방부로 보내며, 프레임, 이 프레임에 장착되고 발포 챔버가 마련된 총열 및 반동 시에 프레임에 대해 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 요소가 포함되며, 이 이동 요소에는 반동 중에 탄피를 운반하는 추출 장치와 상기 발포 챔버를 폐쇄하는 폐쇄 요소가 포함되고, 상기 폐쇄 요소에 장착된 이젝터가 구비된 배출 장치와, 상기 이동 요소의 반동 중에 탄피의 통과와 그에 따른 추출을 허용하며 배출 중에 탄피가 기울어지게 하는 탄피용 안내 수단이 더 포함되는 화기에 있어서,
    상기 추출 장치(8)에 인접하여 다른 이동 요소 중의 하나에 선회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 레버(12)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버(12)에는 기울어지는 방식으로 장착된 상기 추출 장치(8)와 협동하는 편심 캠(11)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레버(12)가 선회하면 상기 캠(11)이 상기 추출 장치(8)를 기울여, 이 추출 장치(8)가 탄피를 해제하고, 상기 프레임(1)에는 상기 이동 요소(4)의 전방 이동 중의 상기 레버(12)의 궤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어 정지부(18)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전방 이동 중에 상기 탄피(22)가 상기 추출 장치(8)로부터 해제되는 순간에 상기 레버(12)가 선회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2)는 슬라이드(5)에 선회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2)가 선회한 후, 캠(11)이 추출 장치(8)를 기울어지기 이전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레버(12)를 다시 되돌리는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2)를 되돌리는 수단에는 상기 레버(12)에 작용하는 복귀 스프링(14)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2)를 되돌리는 수단에는, 프레임(1)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제어 정지부(18) 보다 앞쪽에 배치되는 복귀 정지부(17)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 제5항에 있어서, 프레임(1)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이동 요소(4)의 반동이 종료되는 지점에서 상기 레버(12)와 협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안내 정지부(19, 2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2)에는 그들 사이에 둔각을 형성하는 2개의 아암(15, 16)이 포함되고, 상부 아암(15)은 상기 복귀 정지부(17)와 협동하고, 하부 아암(16)은 상기 제어 정지부(18)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장치의 상기 안내 수단은 배출 레버(28)와 버튼(33)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 레버(28)는 축(29) 둘레로 선회하는 방식으로 장착되고 탄피(22)용 통로(31)가 마련된 안내 부분(30)이 포함되며, 상기 이동 요소(4)가 전방으로 복귀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 레버(28)의 통로(31)의 입구가 탄피(22)의 궤적에 배치되는 하부 위치 및 상부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고, 상기 버튼(33)은, 상기 배출 레버(28)가 그 상부 위치로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통로(31) 밖으로 탄피(22)를 배출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이동 요소(4) 중의 하나와 일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25, 26)는 추출 장치(8)에 인접하여 폐쇄 요소(7)에 장착됨으로써, 추출 장치에 쥐어지는 탄피(22)에 어떠한 상당한 토오크도 인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25, 26)에는 상기 폐쇄 요소(7)의 개구부(27)에 장착되고 방아쇠로서 스프링(26)이 구비된 버튼(25)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 说明书全文

    전방 배출식 화기{fire arm with forward ejection or ejection brought to the fore-part of the fire arm}

    본 발명은 자동 또는 수동 사이클로 작동하고 탄피를 전방으로 배출하거나 배출된 탄피를 화기의 전방부로 보내는 화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화기에는 프레임, 이 프레임에 장착되고 발포 챔버가 마련된 총열 및 반동 시에 프레임에 대해 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 요소가 포함되며, 이 이동 요소에는 반동 중에 탄피를 운반하는 추출 장치와 상기 발포 챔버를 폐쇄하는 요소가 포함되고, 이 화기에는 이 폐쇄 요소에 장착된 이젝터가 구비된 배출 장치와, 상기 이동 요소의 반동 중의 탄피의 통과와 그에 따른 추출을 허용하며 배출 중에 탄피가 기울어지게 하는 탄피용 안내 수단이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은, 특히 이동 요소가 합체된 소위, "불 펍(bull pup)"이라 불리는 총기에 관한 것이다.

    탄피의 배출이 이루어지고 탄피가 배출 튜브의 출구에서 편향기에 의해 가장 적절한 방향으로 편향되므로, 사수, 즉 사수의 안면과 탄피의 배출 궤적의 어떠한 간섭 위험도 억제된다.

    그러한 화기는 양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오른손잡이 사수뿐만 아니라 왼손잡이 사수에게도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식의 공지의 화기는 유럽 특허 제0.717.25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화기에 있어서, 배출 장치의 안내 수단은 축 둘레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장착되고 탄피용 통로가 마련된 안내부가 포함된 배출 레버로 구성되며, 이 배출 레버는, 이동 요소가 전방으로 복귀하는 경우 그 통로가 탄피의 궤적에 배치되는 하부 위치와, 상부 위치 사이에서 기울어지며, 배출 레버가 그 상부 위치로 근접하는 경우 탄피가 통로 밖으로 배출되게 하는 버튼이 마련되며, 이 버튼은 이동 요소의 하나와 일체를 이룬다.

    이들 화기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은, 탄피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기울어지는 경우, 추출 장치가 여전히 탄피의 목부를 쥐고 있으므로 정상적인 배출과 새로운 공급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탄피가 기울어지는 경우 추출 장치가 이를 확실히 해제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기 일부의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살표(F2)에서 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화기 일부의 종단면도로서, 도 1과는 다른 위치, 즉 배출 순간을 나타내고,

    도 4 내지 도 10은 도 3의 단면 일부의 확대도로서, 탄피의 추출 및 배출의 서로 다른 연속적인 단계에 관련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화기에는 추출 장치에 인접하여 다른 이동 요소 중의 하나에 선회하는 방식으로 장착된 레버가 포함되고, 이 레버에는 기울어지는 방식으로 장착된 추출 장치와 협동하는 편심 캠이 구비되어, 레버가 선회하는 경우, 이 캠은 추출 장치를 기울여 탄피가 해제될 수 있게 하며, 프레임에는 이동 요소의 전방으로의 이동 중의 레버의 궤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정지부가 마련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운동 중에 탄피가 추출 장치로부터 해제되어야 하는 순간에 레버가 선회하게 한다.

    레버는 슬라이드에 선회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선회 후에 캠이 추출 장치가 기울어지기 전에 배치된 위치로 되돌아 가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로 레버가 되돌아가게 하는 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레버를 되돌아가게 하는 상기 수단에는 레버에 작용하는 해제 스프링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수단에는 프레임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제어 정지부보다 더 앞쪽에 배치되는 복귀 정지부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을 더욱 잘 설명하기 위하여, 일례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이러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가스 작동식 화기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프레임(1)과, 이 프레임(1)에 장착되고 그 후부에 발포 챔버(3)가 마련된 총열(2)과, 반동 시에 뒷쪽으로 움직이는 몇개의 이동 요소(4)를 포함하는 회전식 발사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 요소(4)에는 슬라이드(5)와, 발포 시에 발포 챔버(3)를 폐쇄하는 폐쇄 요소(7)가 전방부에 마련된 브리치 볼트(6)와, 추출 장치(8) 및 발포 핀(9)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추출 장치(8)는 횡방향 축(8') 둘레에서 슬라이드(5) 위로 선회하고, 스프링(10)은 이 추출 장치(8)의 후단부에 작용하여 이 추출 장치(8)를 도 3에 도시된 추출 위치로 밀친다.

    해제 레버(12)에 장착된 캠(11)은 상기 추출 장치(8)의 후방 부분과 함께 작동하여, 이 추출 장치가 스프링(10)에 대해 선회하게 할 수 있다.

    이 레버(12)는 슬라이드(5)에 마련되어 있고, 이 슬라이드(5)에는 선회하는 횡방향 축(13)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의 일부와 축(13)의 편평한 부분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복귀 스프링(14)은 상기 축(13)의 선회 시에 복귀 토오크를 가한다.

    캠(11)은 축(13)의 원위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레버(12)에는 상부 아암(15)과 하부 아암(16)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 아암은 그 사이에 둔각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드(5)의 운동 시에 프레임(1)에 배치되어 있는 정지부, 즉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하부 복귀 정지부(17), 상부 제어 정지부(18) 및 한쌍의 안내 정지부(19, 20)와 함께 작동한다.

    추출 장치(8)는 통상적인 구조로서, 도 4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단부는 발포 챔버(3)에 위치하고 있으며 발사되었거나 발사되지 않은 카트리지의 탄피(22)의 목부를 쥘 수 있는 후크(21)를 형성하고 있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정지부(17 내지 20)는 적소에 배치되어, 추출 장치(8)가 추출된 탄피(22)를 해제해야 하는 경우에 그 배출을 허용하도록, 레버(12)를 선회시켜 캠(11)이 추출 장치(8)를 선회시키게 한다.

    전술한 브리치 볼트(6)의 폐쇄 요소(7)에는 전방면(23)이 마련되어 있고, 발포 핀(9)용 축방향 개구부(24)가 이와 교차하여 형성되어 있다.

    배출용으로 배출 장치(ejection device)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배출 장치에는 버튼(25)과 스프링(26), 즉 방아쇠로 구성되어 폐쇄 요소(7)의 개구부(27)에 장착된 이젝터(ejector)가 포함되어 있다.

    전술한 이젝터(25, 26)와는 별개로, 배출 장치에는 배출 레버(28)로 구성되며 발포 챔버(3)의 뒤쪽에 장착된 안내 수단이 포함되어 있다. 이 레버(28)는 프레임(1)에 대해 횡방향 축(29)의 둘레로 도 3에 도시된 하부 지점과 도 1에 도시된 상부 지점 사이에서 선회한다.

    배출 레버(28)에는 탄피(22)용 통로(31)가 교차하여 형성되어 있는 안내 부분(30)이 포함되어 있다.

    하부 지점에서는, 이동 요소(4)가 전방으로 다시 복귀하는 경우에 위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통로(31)의 입구가 탄피(22)의 궤적상에 배치된다.

    상부 지점에서는, 안내 부분(30)이 탄피(22)의 궤적 위에 배치되고, 이로써 이 탄피(22)가 반동하여 배출됨에 따라 상기 안내 부분의 아래로 지나간다.

    이 상부 지점에서, 통로(31)는 총열(2) 위의 프레임(1)에 장착된 배출 튜브(32)로 개방된다.

    탄피(22)가 통로(31)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버튼(33)이 슬라이드(5)에 장착되어 있다.

    전술한 화기에서 탄피(22)의 추출과 전방 배출은,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제0 717 25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로 공지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해하고 본 발명이 공지의 기술과 다르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한도내에서 추출과 배출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발포 순간에 이동 요소(4)는 그 전방부에 배치되고 사격의 결과로서 반동된다.

    이동 요소(4)의 반동 동작 중에, 추출 장치(8)의 후크(21)는 탄피(22)의 목부를 쥐고 있다.

    이젝터(25, 26)는 추출 장치(8)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어 탄피(22)에 어떠한 현저한 토오크도 인가하지 않으므로, 탄피(22)는 이동 요소(4)의 완전한 반동 시에 폐쇄 요소(7)의 전방면(23)에 대해 그 위치에 남아있게 된다.

    반동이 시작되는 경우, 레버(12)의 상부 아암(15)이 복귀 정지부(17)와 접촉하여, 레버(12)는 도 4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된다.

    캠(11)은 추출 장치(8)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추출 장치는 그 추출 위치에 남아 있게 된다.

    정해진 순간에, 하부 아암(16)은 그 궤적상에서 복귀 정지부(17)의 아래 및 더 뒤쪽에 배치된 제어 정지부(18)와 접촉함으로써, 이 아암(16)은 이 제어 정지부(18)를 통과하도록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선회하도록 밀린다.

    이 정지부를 지나면, 레버(12)는 복귀 스프링에 의해 휴지 위치로 선회한다.

    반동의 종료시 상부 아암(15)은 아래쪽 안내 정지부(19)와 접촉하여 안내 정지부(19, 20) 사이로 안내된다. 있을 수 있는 레버의 진동은 정지되고, 레버(12)는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보내진다.

    반동 후에 탄피(22)는 다시 앞으로 오고 여전히 추출 장치(8)와 다른 이동 요소(4)에 의해 구동되고, 아직 전술한 전방면(23)과 접촉하는 위치에 남아 있게 된다.

    레버(12)는 안내 정지부(19, 20)에 의해 형성된 깔대기를 나오자 마자 복귀 스프링에 의해 그 휴지 위치로 돌아간다.

    상기 복귀 이동 중에 하부 아암(16)의 원위 단부가 따라가는 궤적은 제어 정지부(18)를 거치게 되고, 이 아암(16)이 다시 제어 정지부(18)를 치게 되면, 레버(12)는 슬라이드(5)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 7 내지 도 9에서 화살표 34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레버(12)가 선회하는 경우, 캠(11)이 레버(12)의 선회 핀의 둘레로 원운동을 하는 것은 분명하다.

    도 6에 도시된 위치와 도 7에 도시된 위치 사이의 선회 운동 사이만이 아니라 반동 시의 전술한 레버(12)의 선회 운동 중에도, 캠은 추출 장치(8)에 어떠한 실제적인 작용도 하지 않는다.

    추출 장치(8) 및 그 밖의 이동 요소(4)가 도 7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되는 순간과 추출 장치(8) 및 이들 요소(4)가 도 8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되는 순간 사이에서, 탄피(22)는 배출 레버(28)가 도 3에 도시된 하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 그 통로(31)로 들어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 장치의 전방부와 배출 버튼(25)의 전방부의 기하학적 형상의 결과에 따른 상호 작용에 의해 추출 장치(8)로부터 탄피(22)가 정상적으로 해제될 때까지, 배출 레버(28)는 탄피가 상부를 향해 선회하게 만든다.

    이와 동시에, 레버(12)의 선회의 결과에 따라, 캠(11)이 추출 장치의 후방 부분을 뒤쪽으로 밀쳐 추출 장치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하게 한다.

    레버(12)가 도 8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추출 장치는 최대로 선회하고,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탄피(22)의 완전한 해제가 보장된다.

    이러한 순간에 있어서, 이제 탄피(22)는 이동 요소(4)에 의해 그 상부 위치로 되돌려 밀쳐지게 되는 배출 레버(28)에 의해 안내된 후, 이동 요소(4)에 의해 구동되는 버튼(33)에 의해 배출 튜브(32)에서 다시 앞쪽으로 통로(31)의 외측으로 밀쳐지게 된다.

    이동 요소(4)의 전방 복귀 및 이에 따른 탄피(22)의 상승 및 배출 중에, 다음의 카트리지가 통상의 방법으로 공급된다.

    이들 이동 요소(4)가 그 전방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레버는 다시 화살표 34로 나타낸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선회한다. 그 결과, 캠(11)은 추출 장치(8)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소시키고, 추출 장치는 스프링(10)의 작용에 의해 원래의 추출 위치로 되돌아가기 시작한다.

    제어 정지부(18)를 지나 전술한 레버(12)의 복귀 선회가 단지 복귀 스프링(14)의 작용에 의해서만 일어나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 정지부(18)에 의해 초래되는 선회 운동은 상대적으로 크고, 추출 장치의 최대 선회 이동 후에 레버(12)가 여전히 약간의 선회를 함에 따라 잼(jam)이 일어날 수 있다.

    복귀 정지부(17)는, 캠(11)이 더이상 추출 장치를 선회된 위치에 남아 있게 하지 않는 위치로 레버가 확실히 선회되게 한다.

    이동 요소(4)의 복귀 이동의 종료가 임박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아암(14)은 복귀 정지부(17)에 부딪힌다.

    따라서, 복귀 정지부(17)는 레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작 위치로 되돌아 가도록 밀치는데, 여기서 캠(11)은 추출 장치(8)에 더이상 어떠한 압력도 가하지 않으며, 이후에 전술한 사이클은 다시 시작될 수 있다.

    레버(12)에 의한 결과로서, 추출 장치(8)는 탄피(22)가 실제로 배출되는 경우에 탄피(22)를 절대적으로 확실하게 해제시킨다.

    전술한 실시에에 대하여 수많은 변형이 가능하며,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들어간다.

    특히, 총열(2)은 반드시 프레임에 고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이동식 총열을 구비한 방식의 화기에 적용될 수도 있다.

    화기에는 안내 정지부(19, 20)가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고, 이동 요소(4)의 전방 복귀의 종료 시에 복귀 스프링(14)이 레버의 시작 위치로의 복귀를 보장할 수 있다면, 복귀 정지부(17)도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기에서는, 탄피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기울어지는 경우에 추출 장치가 탄피의 목부를 쥐고 있어 정상적인 배출과 새로운 공급을 방해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탄피(22)가 배출되는 경우에 추출 장치(8)가 탄피(22)를 확실하게 해제시킨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