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형 레일 시스템 및 모듈형 레일 시스템을 장착한 화기

申请号 KR1020137031687 申请日 2012-05-02 公开(公告)号 KR1020140022906A 公开(公告)日 2014-02-25
申请人 콜트’스 매뉴팩춰링 아이피 홀딩 컴퍼니 엘엘씨; 发明人 랑쥬뱅,케빈; 캐머러,데이비드; 조시,마이클;
摘要 무기용 상부 리시버로서, 제 1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채널과 각각 교차하는 복수의 채널과, 한 쌍의 상기 복수의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체결 부품을 갖는 모듈형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부품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긴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을 때까지 상기 모듈형 레일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한 쌍의 상기 복수의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무기용 상부 리시버를 제공한다.
权利要求
  • 무기용 상부 리시버로서,
    제 1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채널과 각각 교차하는 복수의 채널과,
    한 쌍의 상기 복수의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체결 부품을 갖는 모듈형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부품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긴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을 때까지 상기 모듈형 레일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한 쌍의 상기 복수의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용 상부 리시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에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리시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부품 각각은 상기 상부 리시버에 상기 모듈형 레일을 고정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리시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레일이 상기 상부 리시버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부품 각각이 상기 긴 채널을 규정하는 상부 레지 부분의 플랜지 및 하부 레지 부분의 플랜지와 맞물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리시버.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부품은 상기 상부 리시버에 상기 모듈형 레일을 고정적으로 체결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나사를 포함하여, 상기 모듈형 레일이 상기 상부 리시버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나사의 말단부가 상기 상부 리시버의 개구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리시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는 자동 또는 반자동 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리시버.
  • 무기용 상부 리시버로서,
    상기 상부 리시버의 대향하는 외측면 상의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채널과 각각 교차하는 복수의 채널과,
    한 쌍의 상기 복수의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체결 부품을 각각 갖는 복수의 모듈형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부품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긴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을 때까지 상기 복수의 모듈형 레일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한 쌍의 상기 복수의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용 상부 리시버.
  • 제 7 항에 있어서,
    제거 가능한 바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거 가능한 바닥부는 일체형 레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리시버.
  • 제 7 항에 있어서,
    제거 가능한 바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거 가능한 바닥부는 각각 제 1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채널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채널 각각은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채널과 교차하고,
    한 쌍의 체결 부품을 각각 갖는 복수의 모듈형 레일은 상기 제거 가능한 바닥부의 한 쌍의 복수의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부품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긴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을 때까지 상기 복수의 모듈형 레일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바닥부의 한 쌍의 복수의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리시버.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과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리시버.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부품 각각은 상기 상부 리시버에 상기 모듈형 레일을 고정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리시버.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레일이 상기 상부 리시버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부품이 상기 긴 채널을 규정하는 상부 레지 부분의 플랜지와 하부 레지 부분의 플랜지를 맞물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리시버.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부품은 상기 상부 리시버에 상기 모듈형 레일을 고정적으로 체결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나사를 포함하여, 상기 모듈형 레일이 상기 상부 리시버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나사의 말단부가 상기 상부 리시버의 개구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리시버.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는 자동 또는 반자동 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리시버.
  • 说明书全文

    모듈형 레일 시스템 및 모듈형 레일 시스템을 장착한 화기{MODULAR RAIL SYSTEM AND FIREARM WITH MODULAR RAIL SYSTEM}

    본 출원은 2011년 5월 2일에 출원된 예비특허출원 61/481,697호에 기초한 것이며, 그 내용은 이하에서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일반적으로 화기에 아이템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규격 화기 레일에 레일 부품들을 결합하여 많은 부대 용품이 장착되며, 이러한 부품들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은 광학식 조준경, 전술(tactical) 조준경, 레이저 조준경 모듈, 위성항법장치(GPS) 및 야간 조준경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규격 화기 레일은 군규격 1913 레일, 위버(Weaver) 레일, 나토(NATO) 표준 규격 부대 용품 레일 또는 이들과 균등한 것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화기 레일에 부대 용품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로서 무기용 상부 리시버가 기재되어 있고, 제 1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채널과 각각 교차하는 복수의 채널과, 한 쌍의 상기 복수의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체결 부품을 갖는 모듈형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부품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긴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을 때까지 상기 모듈형 레일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복수의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무기용 상부 리시버가 제공되고, 상기 상부 리시버의 반대 외측의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채널과 각각 교차하는 복수의 채널과, 한 쌍의 상기 복수의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체결 부품을 각각 갖는 복수의 모듈형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부품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긴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을 때까지 상기 복수의 모듈형 레일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복수의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특징들은 하기에 첨부되는 도면과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에게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이들은 단지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모듈형 레일 시스템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모듈형 레일 시스템의 좌측 사시도이며, 복수의 레일들이 확보되어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모듈형 레일 시스템과 사용하도록 구성된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모듈형 레일이 체결되지 않은 보듈형 레일 시스템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5는 모듈형 레일이 체결되지 않은 모듈형 레일 시스템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모듈형 레일 시스템으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된 상부 리시버의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상부 리시버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상부 리시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두 가지의 다른 바닥부를 나타내는 상부 리시버의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모듈형 레일 시스템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상부 리시버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제거 가능한 레일 부재가 체결된 상부 리시버 부분의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모듈형 레일 시스템을 갖는 화기의 도면이다.

    미국 특허 제6,792,711호, 제7,131,228호 및 제7,775,150호의 내용들을 참고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기재된 사항은 무기에 광학식 조준경, 전술(tactical) 조준경, 레이저 조준경 모듈, 조명 장치 및 시야 강화 장치, 위성항법장치(GPS), 야간 조준경 및 유탄 발사기와 같은 부대 용품들을 장착하도록 여러가지 선택 사항을 제공하기 위한 무기 또는 화기용 모듈형 레일을 제공하는 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이다. 전술한 사항들은 비배타적인 것들로서, 모듈형 레일을 사용할 수 있는 부대 용품들의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부대 용품은 도 2의 상자(1)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부대 용품들은 예를 들어, 미국군 규격 1913(MIL-STD-1913(AR))에 기재된 "피카티니 레일(Piccatiny Rial)" 구성의 부품들과 결합하여 종래 당업계에 알려진 방식으로 제거 가능하도록 레일에 장착된다.

    도 1은 화기의 모듈형 레일 또는 모듈형 레일 시스템(10)의 사시도이다. 상부 리시버(14)의 핸드 가드(12)가 도면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핸드 가드와 상부 리시버는 단일 구조의 완전한 하나의 부품으로 될 수 있다. 또한, 하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리시버는 제거 가능한 바닥부 또는 바닥 핸드 가드부를 가질 수 있다.

    핸드 가드(12) 또는 상부 리시버(14) 부분은 미국군 규격 1913(MIL-STD-1913(AR))에 기재된 "피카티니 레일" 구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완전한 레일로 구성되며, 이는 그 전체로서 이하에서 참고로 결합된다. 다른 레일들은 복수의 장착 구성들을 제공하도록 상부 리시버에 제거 가능하게 체결될 것이다. 물론, 다른 레일 구성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의 범위 내에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핸드 가드와 레일들은 예를 들어 경화 코팅 양극처리된 알루미늄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한 상부 레일부(18)와 복수의 모듈형 레일부(20)에 핸드 가드(12)가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레일부(20)는 여러가지 구성 및/또는 변형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길이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핸드 가드 또는 상부 리시버는 사용자가 소정의 구성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모듈형 레일부(20)를 제거 가능하게 수용하고 결합하도록 복수의 완전한 부품들을 갖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부품(22)들이 상부 리시버 핸드 가드의 좌측과 우측(즉, 9시 방향과 3시 방향)에서 완전하게 형성된다. 부품(22)들은 상기 모듈형 레일부(20)에 적절하게 형성된 부품(24)들이 해체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채널 개구부(26)가 제공되며, 모듈형 레일부(20)의 부품(24)들이 도면상 화살표(28)로 나타난 수직한 방향으로 채널 개구부(26)로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각각의 복수의 채널 개구부(26)가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채널 개구부 사이의 거리가 상기 모듈형 레일부(20)의 각 부품(24)들 사이의 거리와 일치하도록 각각의 복수 채널 개구부(26)들은 적절하게 이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부품(24)들이 수평하게 배치된 채널(30) 내에 슬라이딩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모듈형 레일부(20)들이 부품(22)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형 레일부(20)는 도면상 화살표(32) 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부품(22)의 중앙에 배치된 채널(26)에 대하여, 완전하게 채널(30)에 걸쳐 수평 채널(30) 양단의 어느 한 쪽에 채널 개구부(26)가 배치된다.

    부품(24)이 채널 개구부(26) 내부로 수용될 때, 상기 모듈형 레일의 수직 이동시 부품(24)은 채널 개구부(26) 내부로 슬라이딩 움직임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품들이 수평하게 배치된 채널(30) 내부로 수용되는 경우, 상기 모듈형 레일부(20)는 하부 레지부(34) 및 상부 레지부(36)를 통해 핸드 가드 또는 상부 리시버에 지지되며, 이들은 각각 상기 모듈형 레일부의 부품(24)과 표면(38) 사이에 수용될 플랜지부를 갖고 있다.

    적어도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24)은 상기 모듈형 레일부(20)의 채널(42) 내에 수용되는 부분(40)을 갖는다. 이어(ear) 부재(44)는 상기 부분(40)으로부터 이격되어 연장하며, 상기 이어 부재(44)와 표면(38) 사이에 간극(46)이 형성되도록 상기 이어 부재(44)는 표면(38)에 대하여 대면하여 이격되는 관계로 구성된다. 각 부품(24)들은 나사 또는 다른 균등한 부재(48)를 통해 상기 모듈형 레일부(20)에 체결되며,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들은 나사 말단부에 체결되는 핀 또는 부품(50)을 가져, 상기 모듈형 레일부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거나, 채널(42)로부터 부품(24)이 풀리지 않게 된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모듈형 레일부를 채널(30)로 삽입하여 수평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이어 부재(44)의 부분이 변형되어, 상기 나사 또는 다른 균등한 장치는 나사결합의 형태로 상기 부품의 나사형 개구부와 결합하며, 상기 하부 레지부의 플랜지 또는 적어도 상부 레지부의 플렌지는 상기 이어 부재(44)와 표면(38) 사이의 간극(46)에서 슬라이딩된다. 그 후, 상기 나사가 조여질 때, 표면(38) 방향으로 당겨 상기 나사(48)는 상기 표면(38)과 이어 부재(44) 사이의 플랜지를 체결하도록 레일부(20)의 나사형 개구부 내에서 회전하면서 조여진다. 따라서, 모듈형 레일(20)이 체결될 때, 하부 레지의 플랜지부와 적어도 상부 레지는 상기 이어 부재(44)와 표면(38) 사이에서 체결된다. 이는 사용자 또는 작동자가 상기 모듈형 레일부(20)를 적절히 장착할 수 있고, 핸드 가드 또는 상부 리시버 상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멍 또는 개구부(52)가 핀 또는 부품(50)에 가까운 나사 말단부를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듈형 레일이 채널(30)에서 슬라이딩될 때, 상기 모듈형 레일(20)용 부품들을 배치하는 것과 같이 이러한 개구부(52)들이 제공된다. 모듈형 레일(20)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하부 레지부(34)의 플랜지와 적어도 하나의 상부 레지부의 플랜지가 모듈형 레일의 이어 부재(44)와 표면(38) 사이에서 체결되도록, 상기 나사(48)는 조여진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구부(52)는 레일(20) 내의 나사(48) 위치에 따라 배열된다.

    또한,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여, 비제한적인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부 리시버와 일체로 형성된 핸드 가드의 표면은 채널(30)의 어느 한쪽에 위치하는 종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부품(54)을 갖는다. 상기 부품(54)는 모듈형 레일(20)이 채널(30)의 어느 한 쪽 끝에 위치하는 경우, 모듈형 레일(20)의 채널(42)을 미끄러지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들리는 형상을 갖는다. 여기에서, 모듈형 레일(20) 부분은 채널(30)을 지나 연장할 수 있지만, 상기 부품(54)의 들리는 형상은 채널(30)의 어느 한 쪽 끝에 체결되는 경우 모듈형 레일(20)에 지지 및 결합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하게 배치된 모듈형 레일이 핸드 가드 상에, 예를 들어, 도 2에서 9시 방향으로 배치 또는 재배치될 수 있도록, 모듈형 레일(20)의 길이는 달라질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모듈형 레일(20)이 도 2에서 6시 방향으로 체결될수 있도록 모듈형 레일의 크기와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도 4 역시 모듈형 레일의 길이가 달라지는 형태를 나타낸다. 모듈형 레일과 관련된 부품(24)의 개수는 모듈형 레일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핸드 가드의 9시 방향에 체결된 모듈형 레일은 각각 한 쌍의 부품(24)을 갖고, 도 4에서 핸드 가드의 3시 방향에 체결된 모듈형 레일은 4개의 부품(24)을 갖는다.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가드/상부 리시버는 제거 가능한 바닥부(56)를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거 가능한 바닥부(56)는 유탄 발사기와 같은 다른 장착 선택에 따라 일체로 된 하부의 6시 방향으로 배열된 레일(58)을 갖는다. 이러한 유탄 발사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미국특허 제7,360,478호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들 내용은 이하에서 참고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거 가능한 바닥부는 종방향으로 배치된 채널(74)과 교차하는 복수의 채널(70)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모듈형 레일(20)은 3시 및 9시 위치에서 제공되는 구성과 유사하게 이들에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6시 방향의 장착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채널(70)은 상기 채널(74)을 완전하게 지나도록 연장하여, 모듈형 레일(20)의 부품(24)이 상기 제거 가능한 바닥부의 어느 한 쪽으로부터 그 내부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는 3시 및 9시 위치에서 상기 모듈형 레일을 수직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연장된 레지(34)와는 반대되는 구성이다. 3시 및 9시 위치에서 모듈형 레일(20)에 장착되는 부품들이 6시 위치에서 체결되는 질량과는 다르게 레지부(34)로부터 추가적인 지지가 요구되는 질량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지지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3시, 6시, 9시 및 12시 위치는 화기, 소총 및 무기의 종축과 부합한다. 즉, 3시와 9시 위치는 좌우에 부합하고, 6시 및 12시 위치는 상하부에 부합한다.

    비제한적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거 가능한 바닥부는 키 방식(keyed/key way) 시스템 또는 제혀 맞춤(tongue and groove) 시스템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거 가능한 바닥부(56)는 상부 리시버/핸드 가드의 대응 개구부(75)에 삽입되는 한 쌍의 탭(73)을 갖고, 상기 바닥부(70)가 소정의 위치에 이르기까지 화살표(76) 방향으로 상기 바닥부가 슬라이딩되어, 상부 리시버와 바닥부(70) 모두에서 대응 개구부에 삽입된 체결 수단(78)을 통해 상부 리시버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가 화살표(76)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다른 쌍의 탭(80)은 대응 개구부(82) 내에 수용된다. 유사하게, 체결 수단(78)도 탭(80) 대응 개구부와 개구부(82) 내로 삽입된다.

    바닥부(70)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간단하게 상기 체결 수단(78)을 제거하고, 탭(72, 80)이 더 이상 상부 리시버와 결합하지 않을 때까지 화살표(76)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바닥부(70)를 슬라이딩 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핸드 가드에 형성된 상부 리시버가 제공되며, 모듈형 레일(20)은 상부 리시버 상의 다양한 위치에서 적절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절한 위치에서 상기 모듈형 레일을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개별적인 용도로서 특정 위치에서 주변 장치를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더 크거나 작은 부대 용품으로 바꾸고자 하는 경우, 상기 모듈형 레일을 제거하여 다른 크기의 모듈형 레일로 교체하거나, 모듈형 레일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에 맞도록 모듈형 레일(20)의 간극(84)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손가락을 상기 간극(84)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 상기 레일 윗부분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레일이 없는 경우, 수직 채널(26)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가는 공간 또는 유사한 기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간극(84) 및/또는 채널(26)은 찰과상 또는 베이는 현상을 야기할 수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모듈형 레일(20)의 부품 또는 레일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보호 장갑을 착용하였을 경우, 모듈형 레일(20)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위치시켜 장갑의 마모나 찢김이 방지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예시적 실시형태에 따른 모듈형 레일 시스템(10)이 장착된 화기 또는 무기(100)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기술되었으며,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균등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수적인 기술적 사상을 훼손하지 않고, 본 발명으로부터 특정한 상황 또는 재료의 채택에 따라 많은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로서 기재된 특정 실시형태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원의 기술적 사상 내의 모든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