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총

申请号 KR1019830004798 申请日 1983-10-10 公开(公告)号 KR1019860001192B1 公开(公告)日 1986-08-25
申请人 파크메이어건워크스인코포레이티드; 发明人 죠오지호에닉;
摘要 The invention isf concerned with converting an automatic pistol into a barrel-fixed pistol. The gun conversion assembly includes a barrel to be secured to a receiver and a connector structure having a portion which is adapted to be located within a magazine recess in the receiver handle. And the connector structure acts to secure the barrel rigidly to the connector.
权利要求
  • 일련의 탄환을 유지하는 탄창을 수납하기 위한 요부를 보유하는 손잡이부를 갖는 리시이버를 포함하며, 리시이버로부터 별도로 형성된 총열과 리시이버에 총열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연결체를 갖는 권총을 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가 리시이버에 총열을 고정하기 위해 리시이버의 손잡이 내 탄창요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되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총을 개조하기 위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리시이버의 손잡이부내 탄창요부내에 수납될 연결체의 상기 부분이 연결체의 상기 부분을 요부내로 견고히 고정된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요부의 대향하는 벽을 향해 지지하는 폭이 증가된 상태로 횡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가 총열을 리시이버에 대해 하향하여 당기도록 작동될 수 있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가 탄창 요부내로 하향하여 신장하기 위해 장착되며 총열에 연결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와 계합하기 위해 요부내에 수납될 수 있는 연결부품, 상기 연결부품에 연결되며 리시이버에 대해 연결부품을 하향하여 당기기 위해 리시이버내에 계합할 수 있는 봉 수단 및, 리시이버에 대해 견고히 고정된 위치로 돌출부와 연결부품 및 연결된 총열을 보유하기 위해 요부의 대향하는 벽에 대해 힘을 가하며 그 조합된 유효 폭을 증가시키는 식으로 돌출부와 연결부품을 동시에 지지하고 리시이버에 대해 하향하여 총열을 단단히 당기기 위한 연결부품의 하향 운동에 따라 작동하는 연결부품과 돌출부상의 캠면을 포함하는 장치.
  • 제1내지 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가 요부내로 하향하여 신장하게 장착된 신장된 봉, 신장된 봉에 연결되며 요부의 하부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리시이버의 하부에 대해 상향하여 작용하는 저판 및, 신장된 봉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저판에 대해 상향하여 조여질 수 있는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는 하부와 작동 위치와 저판에 인접한 상부의 후퇴 위치 사이의 선회 운동을 위해 조임부재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조임부재를 수동으로 회전시키시 위한 작동 핸들을 포함하는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리시이버와 저판에 대한 조임부재와 작동 핸들의 회전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핸들의 후퇴된 위치에서 저판에 작동 핸들이 끼워지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열의 연결체에 의해 리시이버의 상향면을 향해 하향하여 당겨지게 장착된 요부의 전, 후 각각에 하향면을 갖는 구조체를 그 후부에 갖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리시이버의 대향하는 측부를 따라서 신장하는 2개의 이간된 측부를 갖는 슬라이드, 총열과 리시이버에 대한 전, 후 운동을 위해 슬라이드를 안내하며 총열의 대향하는 측부에서의 리시이버와 슬라이드의 측부상의 요홈과 삽입 리브 및, 그 후단부를 폐쇄하기 위해 총열과 제거될 수 있게 계합할 수 있으며 그것과 함께 전, 후 운동하기 위해 슬라이드에 의해 운반되는 놀이쇠를 포함하는 장치.
  • 총열과, 리시이버에 총열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체를 가지며, 정렬된 구멍을 보유하는 대향측벽과 그 구멍을 통해 신장하기 위한 핀을 갖는 권총 리시이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리시이버 상방과 총열 하방에 위치하며 리시이버의 대향 측벽 사이에 수납될 수 있는 연결부를 가지며 그것을 통해 핀이 유닛과 리시이버를 연결하기 위해 신장할 수 있는 구멍을 보유하는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총 리시이버와 함게 사용하기 위한 장치.
  • 리시이버에 연결될 수 있는 총열, 리시이버와 총열에 대해 전, 후 슬라이드 운동하기 위해 리시이버에 장착된 슬라이드 및, 슬라이드의 전향 위치에서 총열의 후단부를 폐쇄하기 위해 슬라이드에 의해 운반된 수단을 가지며 권총 리시이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총열과 리시어버에 대한 슬라이드의 후향 운동을 제한하는 작동 위치와 총열이 리시이버에 부착하고 있는 동안 리시이버로 부터의 슬라이드의 후향 제거를 허용하는 이완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에 대해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와 함께 전, 후 이동하기 위해 슬라이드에 의해 운반되는 멈춤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거기에 연결된 총열을 갖는 장치의 1요소로서 상기 리시이버를 포함하는 장치.
  • 说明书全文

    권총

    제1도는 종래의 콜트모델 "0" 0.45구경 자동 권총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권총의 리시이버(receiver)와 권총을 개조하기 위한 부품들을 도시하는 전개된 사시도.

    제3도는 개조된 권총의 수직 단면도.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제3도의 4-4, 5-5 및 6-6단면도.

    제7도는 제3도의 7-7단면도.

    제8도는 제3도의 8-8단면도.

    제9도는 슬라이드와 놀이쇠가 후퇴된 위치인 제3도의 9-9단면도.

    제10도는 총열의 후부와 관련 부품들의 사시도.

    제11도는 제3도와 유사하지만 변형된 예의 수직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12-12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13-13단면도.

    제14도는 제11도의 변형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시이버 11 : 손잡이

    12 : 요부 13 : 탄창

    14 : 탄환 15, 21 : 슬라이드

    16 : 총열 17 : 방아쇠

    20 : 총열 조립체 22 : 연결체

    23 : 유닛 24 : 축

    25, 26 : 측벽 37 : 요홈

    38 : 리브 42 : 요부

    43 : 총열 46 : 구멍

    47 : 놀이쇠 48, 49 : 러그

    50 : 핸들 51 : 돌출부

    52 : 연결부품 53 : 신장봉

    55 : 저판 70 : 플랜지

    본 발명은 권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콜트 자동 권총과 같은 권총을 고정된 총열의 권총으로 개조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일반적인 형식의 자동 권총은 리시이버에 대한 반동 운동을 위한 설치된 슬라이드와 총열을 포함하며 연속 사격을 위한 탄약은 권총의 손잡이내 요부(recess)내에 삽입된 탄창으로부터 총열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개조된 권총은 아주 간단한 구조로 정확하고 안정되며 보다 견고한 총열과 리시이버 사이의 개량된 연결을 제공한다. 또한, 개조된 권총은 자동권총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을때는 그 원래의 상태로 아주 쉽게 복귀될 수 있다. 개조키트(conversion kit)는 보통 자동권총의 탄창을 보유하는 리시이버의 요부내로 총열로부턴 연결부품을 연장시킴으로써 리시이버에 견고히 고정된 총열 조립체를 포함한다. 그 연결구조는 요부의 2개의 대향하는 측벽에 대해 팽창하기 위해 조여질때 작용하는 부분을 가져서 리시이버에 대한 총열의 횡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본 장치는 또한 총열의 밑에 수납될 부재를 포함하며, 그것은 그것을 통해 리시이버에 연결된 핀이 신장하는 구멍을 갖는 부재상의 돌출부에 의해 리시이버에 부착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의 콜트모델 "0" 0.45구경 자동권총은 그 속에 일련의 탄환(14)을 보유하는 탄창(13)이 수납되는, 대략 수직인 요부(12)를 갖는 손잡이(11)를 갖는 리시이버 또는 프레임(10)을 포함한다. 탄창은 제1도의 2점쇄선 위치로부터 그 하부 개방단부를 통해 요부내로 상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사격시 전후 반동을 위해 슬라이드(15)가 리시이버의 정부에 장착된다. 슬라이드의 이런 후향 이동중 총열(16)은 약간 후향 및 하향하여 반동한다. 권총은 리시이버의 방아쇠울(18)내 방아쇠(17)의 작동에 의해 격발되어 햄머(19)를 이완시킴으로써 탄환을 발사한다. 제3도에, 슬라이드(15), 총열(16), 탄창(13) 및 다른 관련부품들이 제거되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 개조 키트의 부재들이 부착된 리시이버(10)가 도시된다.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이 부품들은 총열 조립체(20), 슬라이드(21), 총열 조립체를 리시이버에 견고히 부착하기 위한 연결체(22) 및, 리시버와 총열 사이에 수직으로 수납된 유닛(23)을 포함한다.

    리시이버(10)의 손잡이(11)내 탄창 수납 요부(12)는 상향함에 따라 전방으로 경사지는 축(24)을 따라 신장한다. 요부는 축(24)과 횡방향으로 균일한 단면을 가지며, 총열(20)의 축(27)과 축(24)에 평행되게 배치된 평행한 수직 내벽면(27 및 28)을 갖는 2개의 평행한 측벽(25 및 26)과 리시이버의 2개의 황방향전 및 후벽(29 및 30)에 의해 한정되며, 그중 전자는 요부의 전부에 곡선벽면을 가지며, 횡방향 후벽(30)은 요부의 뒤에 평면(32)을 갖는다. 벽(25,26 및 30)의 상단부에서, 리시이버는 평면적인 수평의 상부면을 가지며 그 일부(33 및 34)는 탄창요부의 대향 측부를 따라서 후방으로 앞에서 신장하고, 동일한 상부 수평면의 일부(35)는 요부의 뒤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신장한다. 요부의 전벽(29)의 상면(36)은 오목하게 그리고 부분적으로 원통형상으로 굽혀진다.

    그 외측에서, 리시이버의 측벽(25 및 26)은 리시이버에 대한 전후운동을 위해 슬라이드(15)를 안내하기 위해 총열의 축(27)과 평행하게 신장하는 수평 신장 요홈(37) 및 리브(38)(제6도)를 형성한다. 제5도와 같이, 횡방향 부분 또는 벽(29)의 앞 위치에서 리시이버는 탄창요부의 2개의 측벽(25 및 26)의 전향 연속부(25' 및 26')를 형성하며, 요홈(37)과 리브(38)는 제5도의 면 앞으로 그리고 그넘어 앞으로 조금 계속된다. 제3도의 위치(39 및 40)사이에서, 리시이버는 제4도에 설명된 횡단면 형상의 상향하는 대략 반원통형인 요부(42)를 보유하는 전방부(41)를 갖는다.

    총열 조립체(20)는 총열 본체(43)와 나사 연결부(45)에 의해 총열(43)에 견고히 고정된 부품(44)을 포함한다. 택일적으로, 총열 본체(43)와 부품(44)은 일체적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발사된 탄환은 총열 내 구멍(46)을 통해 방출된다. 사격중, 총열 조립체의 후단부는 슬라이드(21)의 후부에 의해 운반된 놀이쇠(47)에 의해 폐쇄된다. 이 놀이쇠는 통상적인 구조로서 부품(44)내에 총열 폐쇄 및 시일 위치로 놀이쇠를 견고히 보유하기 위해 부품(44)내 러그(49)와 계합하는 원형으로 이간된 러그(48)을 갖는다. 놀이쇠는 조작핸들(50)에 의해 축(27)에 대해 슬라이드에 관해 그것을 수동으로 선회 시킨후 그것을 뒤로 당김으로써 작동 위치와 이완위치 사이에서 작동될 수 있다.

    리시이버에 총열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한 연결체(22)는 리시이버에 대해 부품(44)을 하향하여 클램프하기 위해 리시이버(10)내 요부(12)를 통해 하향 돌출하는 부품들의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 부품들은 부품(44)에 견고히 고정되고 그것과 일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창 요부내로 하향 신장하는 돌출부(51), 연결부품(52), 연결부품(52)에 54에서 나사식으로 연결된 신장봉(53), 요부(12)의 하단부를 가로질러 신장하는 저판(55), 신장봉(53)에 57에서 나사식으로 연결된 조임부재(56) 및 조임부재(56)를 선회 시키기 위한 작동 핸들(58)을 포함한다. 돌출부(51)는 리시이버(10)내 탄창 요부의 측벽면(27 및 28)을 지지하는 외측면(60)을 갖는 2개의 이간되어 하향 돌출하는 벽(59)을 형성하기 위해 두갈래로 나누어진다. 연결부품(52)은 벽(59)사이에 수납되며 벽 상에 하향력을 발휘하게 형성되며 동시에 면(27 및 28)에 대해 횡방향으로 벌어지게 한다. 이 목적으로, 연결부품(52)은 벽(59)의 내측에서 돌출부(51)내에 형성된 원통면(62)과 계합하는 원통면(61)을 외부에 갖는다. 연결부품(52)의 원통면(61)은 그 부분의 1단부(63)로 부터 제10도의 위치(64)까지 신장하며, 연결부품(52)은 그 위치(64)넘어로 약간 확대되어 볼록하게 둥글게된 전향 확대부(65)를 갖는다. 연결부품(52)은 돌출부(51)의 벽(59)사이의 공간내로 후향하여, 그 속에서 연결부품(52)의 전향 확대부(65)상의 횡방향 환상 쇼울더(66)가 돌출부(51)의 전향 수직면(67)과 계합하는 제도의 위치로 삽입된다. 작은 상부의 수평 평면(68)이 돌출부(51)상에 형성된 평탄한 수평 밑면(69)과 계합함으로서 거기서 그 나사부(54)의 축이 봉(53)에 연결하기 위한 적장한 수직면 내에 놓이는 위치로 부터 회전에 대해 연결부품(52)을 보유하기 위해 연결 부품(52)의 확대부(65)상에 형성된다.

    저판(55)은 요부(12)의 하단부를 가로질러 신장하며, 리시이버에 상향력을 가하며 리시이버에 관한 저판(55)의 상향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요부(12)에 대해 리시버의 저부 연부면(170)과 계합하는 상향 쇼울더면(71)을 형성하기 위해 저펀(55)의 전, 후부 및 대향측부를 리시이버 핸들에 관한 수평운동에 대해 판(55)을 배치하기 위해 그 속에 밀착하는 부분(72)을 갖는다.

    조임부재(56)는 봉(53)의 축(74)에 상응하는 경사를 갖고 배치된 저판(55)내 통로(73)를 통해 상향 신장한다. 봉(53)은 75에서 부재(56)내 통로내로 나사식으로 연결되며, 봉상에 나사식으로 연결되고 조임부재(56)의 상면에 대해 조여줄 수 있는 잼 너트(76)에 의해 조임부재(56)에 대해 필요한 위치로 로크될 수 있다. 조임부재(56)의 외측 원통부(78)와 보다 큰 직경의 외측 원통형 하부(79)사이의 부재(56)상에 형성된 환상 쇼울더(77)는 부재(56)와 봉(53)이 연결부품(52)에 대해 선회될때 조임부재(56)로 부터 저판(55)가지 상향력을 가하기 위해 저판(55)상의 상응하는 환상 쇼울더(177)와 계합한다. 작동핸들(58)은 제3도의 실선의 로크 위치와 점선의 이완 위치 사이에서 핀의 축(81)에 대한 상대적인 선회운동을 위해 횡방향 핀(80)에 의해 조임부재(56)에 연결된다. 그 로크 위치에서, 핸들(58)은 저판(55)의 밑의 축의 전 후 방향으로 신장하는 요홈(82)내에 수납되며, 봉(53)의 축(74)에 대한 회전에 대해 핸들 및 조임부재(56)를 로크하기 위해 핸들의 수직 측면(83)이 요홈의 수직 측면(84)과 계합한다.

    슬라이드(21)는 리시이버(10)의 2개의 측벽(25 및 26)의 외측부에 수납된 2개의 평행 축부 레일부(85)와 리시이버의 요홈(37)내로 돌출하기 위한 리브(86)와, 놀이쇠(47)가 총열 조립체의 후단부를 폐쇄하는 제3도의 작동 격발위치와 챔버가 총열의 후단부로부터 사용된 탄피를 제거하고 그 속에 다른 탄환을 장진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는 제9도의 후퇴위치 사이의 리시이버에 대한 전후 슬라이드 운동을 위해 슬라이드(21)를 안내하는 식으로 리시이버의 리브(38)를 수납하기 위한 요홈(87)을 갖는 단일 금속편으로 형성된다. 그 후단부에서 측부레일(85)을 상호 연결하는 슬라이드 부분(88)내에 수납됨으로써 놀이쇠가 슬라이드에 설치되며, 이 부분(88)은 그 속에 축(27)에 대한 그 부분(88)에 대한 제한된 회전운동을 위해 놀이쇠가 운반되는 통로(89)를 보유한다. 그 전향 단부에서, 슬라이드의 슬라이드 레일(85)은 슬라이드의 횡방향 부분(9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그 밑면과 계합하여 총열에 대해 슬라이드 할 수 있게 이동하기 위해 총열(43)의 밑면에 상응하여 원통형으로 곡선이 이루어진 상면(94)을 갖는다. 슬라이드의 최후부 위치(제9도)에서, 슬라이드의 부분(90)상의 수직후부 쇼울더 면(191)은 슬라이드의 더 이상의 후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총열 조립체의 부품(44)상의 수직 후향면(92)과 계합한다.

    총열의 밑에서 유닛(23)은 전향부재(95)와 거기에 견고히 고정된 연결부(96)를 포함한다. 전향부재(95)는 총열(43)(제4도)의 외면과 계합하기 위해 구부러진 상부의 부분적인 원통면(97)과,리시이버내 곡면(42)내에 밀착하는 치수를 갖는 반원형으로 구부러진 밑면(98)을 갖는다. 연결부(96)는 전향부재(95)로 부터 후향 돌출하여, 그 축(200)이 수평으로 신장하여 총열의 축(120)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수직면내에 놓이는 원통형 구멍(100)을 보유한다.

    제1도와 같은 표준 자동 권총에 있는 보통의 슬라이드 정지부재(101)는 리시이버에 대한 고정된 위치에 그 유닛을 로크하기 위해 유닛(23)내 구멍(100)내에 끼워진다. 제5도와 같이, 슬라이드 정지부재는 리시이버의 의면에 인접하여 수납되며 유닛(23)내 원형 구멍(100)과 리시이버의 대향 측부에 형성된 2개의 정렬된 구멍(104)내에 끼워지며 그것을 통해 신장하는 원통형 핀(103)을 지니는 부분(102)을 갖는다.

    제1도의 권총을 제3도의 상태로 바꾸는데 있어서, 본래의 권총의 슬라이드, 총열등은 우선 리시이버(10)로 부터 제거되고, 그 후 유닛(23)이 제3도 위치에 배치되고 구멍(100)을 통한 슬라이드 정지부재(101)의 핀(103)의 삽입에 의해 그 속에 로크된다. 햄머(19)를 후향하여 젖히면, 슬라이드(21)는 리시이버에 대해 앞으로 삽입되고, 리브 및 요홈(37,38,86 및 87)은 전술한 바와같이 끼워진다. 그리고, 연결부품(52)이 총열 조립체(20)의 밑에서 돌출부(51)의 벽(59)사이에 후향하여 삽입되고, 그 후 총열 조립체가 탄창 요부(12)내로 돌출부(51)와 연결부품(52)을 이동시키기 위해 리시이버에 대해 하향하여 이용될 수 있다.

    봉(53)은 저판(55)내 구멍을 통해 상향하여 삽입될 수 있으며, 봉은 제3도와 같이 부재(56)에 연결되고, 이 전체 조립체는 탄창 요부내로 상향하여 이동되어 봉의 상부 나사단부가 연결부품(52)내 나사 구멍과 계합될 수 있게 한다. 조임부재(56)와 봉(53)은 제3도의 점선 위치에서의 작동핸들(58)의 회전에 의해 선회되므로, 회전봉(53)과 비회전 연결부품(52)사이의 나사 연결부(54)에 의해 봉과 조임부재(56)은 리시이버에 관해 상향하여 점진적으로 당겨진다. 이 상향력은 조임부재(56)에 의해 저판(55)에 가해지며, 저판이 요부의 하단부와 긴밀하게 계합될때까지 회전이 계속되며, 총열 조립체의 부품(44)은 리시이버의 상부수평면(33 및 34)에 대해 긴밀하게 하향하여 당겨진다. 리시이버와 총열조립체 사이의 효과적이고 견고한 계합을 얻기 위하여, 총열 조립체의 부품(44)은 표면(33 및 34)에 하향하여 긴밀하게 계합하기 위해 탄창요부의 대향측부에 2개의 수평면(104)을 갖는 연결부품(52)이 하향하여 당겨지면, 돌출부(51)(제6도의 105에서)의 벽(59)과 연결부품(52)의 계합하는 원통면의 경사는 그 속에서 벽(59)의 외면(60)이 리시이버와 총열 조립체 사이의 견고한 연결 유효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탄창 요부의 측벽면(27 및 28)을 긴밀하게 지지하는 증가된 폭의 상태로 비교적 떨어지게 벽(59)에 점진적으로 힘을 가하는 캠면으로 이 표면들이 작용하게 한다. 봉(53) 및 관련 부품들이 리시이버와 총열조립체 사이의 필요한 견고한 연결이 얻어지는 위치로 선회될때, 핸들(58)은 제3도의 그 점선 위치로 부터 조정된 위치에 그 부품을 로크하기 위해 요홈(82)과 저판(55)내에 수납되는 도면의 실선위치로 상향하여 선회된다. 봉(53)과 조임부재(56)사이의 나사연결은 핸들이 적당히 쓰여진 상태의 부품 내에서 요홈(82)과 수직되게 정렬되고 요홈내로 상향 운동하는 상태로 사전 조정되며, 잼 너트(76)는 이 소정의 상대적인 세팅으로 봉과 조임부재(56)를 로크하기 위해 활용된다. 본 권총은 하시라도 개조 키트의 부품의 제거 및 리시이버상의 표준 부품의 제조립에 의해 원상태로 쉽게 재 개조되기도 한다.

    제11도 내지 제14도의 변형에는 후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2도 내지 제10도의 것과 거의 동일하다. 제11도 내지 제14도에 있어서, 제1실시예의 부품(44)에 상응하며 총열 본체(43a)에 나사식으로 연결되는 총열 조림체의 부품(44a)은 캠관계로 연결부품(52a)과 계합하는 그 밑면에 돌출부(51a)을 갖는다. 봉(53a)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봉(53)과 동일하며 그 하단부에서 리시이버(10a)의 하단부와 계합하며 거기에 상향력을 가하기 위해 55,56,58 및 76으로 나타낸 것과 동일한 부품에 연결된다.

    연결부품(52a)은 U형상이고 돌출부(51a)가 그 속으로 신장하며 그 상단부에서 다른 것을 향해 돌출하며 돌출부(51a)의 확대된 하부(113)상의 경사진 면과 계합할 수 있는 경사진 캠밑면(111)을 갖는 2개의 부분(110)을 갖도록된 형상을 가지므로, 연결부품(52)은 돌출부(51)와 탄창을 탄창의 상연부에 대해 하향하여 당길 수 있으며, 캠면(111,112)은 그런 하향력 작용시 연결부품(52a)의 대향하는 측부(114)들을 서로 상당히 벌어지도록 작동함으로써, 측부(114)의 평행한 수직 외축 평면(115)이 리시이버내 탄창요부의 측벽면(27a 및 28a)에 대해 긴밀하게 지지되게 한다. 부품들이 적당히 긴밀한 상태로 당겨질때, 작동핸들(58)은 봉(53a)의 하단부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로크 위치로 선회될 수 있다.

    부품(44a)에 의해 발휘된 하향력은 탄창(12)의 전, 후와 계합되는 리시이버와 부품(44a)상의 표면을 통해서 리시이버에 가해진다. 이 표면은 부품(44a)의 후부상에 형성되며 돌출부(51a)뒷부분의 부품을 가로질러 신장하고 리시이버 상의 상향면(33a)에 대해 하향하여 계합하는 하향 수평면(116)을 포함한다. 돌출부(51a)의 앞에서, 부품(44a)은 그 위치에서 리시이버상에 형성된 오목하게 구부러진 상향면(36a)과 계합하는 곡면(36a)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부품(44a)은 탄창 요부의 대향 측부를 따라서 신장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33 및 34로 표시한 면에 상응하는 상연부면과 접촉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슬라이드(21a)는 슬라이드의 성부에서 횡방향으로 신장하는 부분(90)을 삭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형태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하다.

    그런 생략은 슬라이드가 총열이 거기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리시이버로부터 후향하여 제거될 수 있게한다.

    제거가 필요한때를 제외하고 이 후향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슬라이드의 측부레일(85a)중 하나가 멈춤쇠(118)을 지니며, 그것은 측부레일에 관한 수직축에 대해 피벗운동을 하도록 핀(119)에 의해 측부레일에 연결되고, 그 멈춤쇠는 총열 조립체의 부품(44a)상의 전향 쇼울더(121)와 계합하기 위한 위치로 측부레일의 내면 넘어로 내향하여 횡방항으로 돌출하는 부분(120)을 가짐으로써 그 부분(120)이 쇼울더(121)와 계합하는 위치 넘어로의 슬라이드의 후향운동을 방지한다.

    스프링(122)은 순순히 슬라이드의 후향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멈춤쇠를 그 작동위치로 유지하며, 멈춤쇠는 그 부분(120)이 쇼울더(121)와 계합하지 않는 위치로 피벗될 수 있으며 스프링(122)을 향해 멈춤쇠의 부분(123)을 내향하여 수동압박 함으로써 쇼울더를 지나서 후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11도 내지 제14도의 장치의 조립에 있어서, 우선 유닛(23)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계하여 서술한 바와 같은 식으로 리시이버에 연결되고, 그후 총열 조립체(43a)가 그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 돌출부(51a)는 리시이버내 탄창요부내로 하향 신장하고, 연결부품(52a)이 돌출부(51a)에 연결된다. 봉(53a)과 그 연관된 부품들이 연결부품(52a)에 부착되며, 탄창요부 전 후의 리시이버 표면에 대해 긴밀하게 하향하여 총열 조립체의 부품(44a)을 당기도록 조여지며, 폭이 증가된 상태인 U형상의 연결부품(52a)은 동시적이고 자동적인 캐밍(camming)에 의해 탄창요부의 대향 측벽을 긴밀하게 지지하며 총열과 리시이버 사이에 아주 효과적이고 전체적인 견고한 연결을 얻을 수 있게한다. 그리고, 슬라이드가 리시이버상에 앞으로 삽입되며, 슬라이드의 측부레일(85a)은 총열 조립체의 대향측부를 따라 이동하고 리시이버의 요홈 및 리브와 슬라이드할 수 있게 계합하며, 멈춤쇠(118)가 부품(44a)을 통과하게 편향되며 그 부품의 앞 위치로 이동한 후 스프링(122)에 의해 슬라이드를 제거하기 위해 멈춤쇠가 의도적으로 이완될때만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한위치를 넘어 슬라이드의 후향 운동을 방지하는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반동력은 돌출부(51)상의 경사후면(151)로부터 탄창요부(12)의 대응하여 경사진 후벽면(32)까지 전달된다. 이 계합면의 경사는 사격시 부품 사이의 견고한 연결을 확실히 유지하기 위해 반동력의 영향하에 리시이버에 대해 총열을 하향 작용시키려 한다.

    제2실시예에서, 반동력은 유사하게 돌출부(51a)의 경사후면(151a)으로부터 탄창요부의 대응하는 경사후벽까지 전달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