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기용앙등억제장치.

申请号 KR2020060002388 申请日 2006-01-26 公开(公告)号 KR200413231Y1 公开(公告)日 2006-04-05
申请人 이진희; 发明人 이진희;
摘要 본고안은 기존의 총기의 발사후 발사반동에 의하여 총기 앞부분이 들리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총기용발사앙등억제장치이다.
기존의 총기는 총기발사 후, 총구 앞이 들리는 현상에 의하여 탄착군이 흐트러지는 현상을 가지고 있었다. 본 총기용발사앙등억제장치는 총기 발사시 탄이 총신을 떠나기 전에 총기 앞부분에 짧은 순간동안 무게추를 앞으로 이동시켜 총기발사시 총기의 앞부분의 무게를 증가시켜 총기발사시 총기의 들리는 현상을 짧은 순간의 무게보정으로써 억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단, 본 고안은 총기용앙등억제장치만으로 한정하며, 격발구조나 탄피배출장치 등은 제외한다.
총기,방아쇠,노리쇠,약실,무게보정추,스프링,작동밀개,회전밀개
权利要求
  • 총기의 앙등을 억제하기위한 (5-무게보정추)와 이 부품의 위치를 원상복귀 하기위한(6-스프링)과 (5-무게보정추)를 노리쇠와 연동시켜 (9-회전밀개), (10-안쪽위치변환장치),(11-바깥쪽위치변환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7-노리쇠와 연동 작동밀개) 와 (5-무게보정추)를 앞으로 밀기위한 (8-무게보정추와 연동 작동밀개)와 서로 연관되어(10-안쪽위치변환장치)의 높낯이를 변화시켜 총기의 원할한 작동을 유지시켜 주기위한 (9-회전밀개), (10-안쪽위치변환장치),(11-바깥쪽위치변환장치)와 무게의 이동을 통한 (5-무게보정추)의 성능을 최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한 (12-안쪽무게추 이동가이드),(13-안쪽무게추),(14-고정구)로 이루어진 총기용앙등억제장치.
  • 说明书全文

    총기용앙등억제장치.{ The Recoil-Suppression System for Guns.}

    전제:

    본 고안은 총기용앙등억제장치를 권총에 적용하고 있으나, 본고안은 그 목적이 총기발사시의 앙등억제를 통한 집탄성확보에 그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총기발사시 가스압에 의하여 노리쇠가 움직이는 구조인, 반자동 저격총과 같은 소총이나 반동이 큰 대구경화포, 정밀사격용 권총에도 적용가능한 점을 밝힌다.

    특히 12.7mm와 20mm를 사용하는 대구경 저격총에의 적용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발명의 기술사상을 구체화 하기 위한 총기용앙등억제장치를 예시하는 것 으로써 본 총기용앙등억제장치는 구성품의 재질, 형상, 구조, 배치를 하기구조로 한정하는 것 은 아니다.

    도면1〉일반적인(발사전) 권총의 사시도.

    도면2〉일반적인(발사후) 권총의 사시도.(슬라이드 뒤로 후퇴)

    도면3〉본 총기용앙등억제장치를 적용한 총기의 외부형상.(발사전)

    도면4〉본 총기용앙등억제장치를 적용한 총기의 외부형상.(발사후)

    도면5〉본 총기용앙등억제장치의 발사전 모습의 조립단면도를 통한 사시.

    도면6〉본 총기용앙등억제장치의 발사후 모습의 조립단면도를 통한 사시.

    도면7〉구성품인 (10),(11)의 구체적인 형상과 작동예시.

    도면8〉구성품인 (5)의 구체적인 형상.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구성품의 부호설명.

    (1) 총기본체 (2) 방아쇠

    (3) 노리쇠 (4) 총신과 일치되어있는 약실

    (5) 무게보정추 (6) 스프링

    (7) 노리쇠와 연동 작동밀개 (8) 무게 보정추와 연동 작동밀개

    (9) 회전밀개 (10) 안쪽위치변환장치

    (11) 바깥쪽위치변환장치 (12) 안쪽무게추 이동가이드

    (13) 안쪽무게추 (14)고정구

    (15) 슬라이드(도1〉도2〉)

    기존의 권총은 발사시 슬라이드가 뒤로후퇴, 총기의 앙등억제가 힘들어 20M이상에서의 집탄성은 기대하기 힘들었다.

    즉 권총발사시 손목을 중심으로 총기의 앞부분이 위쪽으로 들리는데 이때 슬라이드가 뒤로 후퇴, 뒤로 향하는 총기반동에 뒤로 후퇴하는 슬라이드의 힘이 더해져서 총기의 들림이 더욱 심화 된다.

    본고안은 일반적인 권총의 발사시 뒤로 후퇴하는 슬라이드를 없애고 총기발사시 무게보정추를 앞으로 이동시켜 발사시, 앞으로 전진하는 무게보정추의 무게로 이러한 총기의 앙등을 순간적으로 억제하고 나아가 탄, 발사 후 뒤쪽으로 걸리는 반작용힘을 이와 반대방향인, 앞으로 이동하는 무게보정추가 작용과 반작용의 힘으로 다시억제, 발사시의 총기 앙등과 반동을 최대한 억제, 총기의 집탄성 향상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고안은 일반적인 권총의 발사시 뒤로 후퇴하는 슬라이드를 없애고 총기발사시 무게보정추를 앞으로 이동시켜 발사시 앞으로 전진하는 무게보정추의 무게로 이러한 총기의 앙등을 순간적으로 억제하고 나아가 탄, 발사 후 뒤쪽으로 걸리는 반작용힘을 이와 반대방향인, 앞으로 이동하는 무게보정추가 작용과 반작용의 힘으로 다시억제, 발사시의 총기 앙등과 반동을 최대한 억제, 총기의 집탄성 향상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제:

    본 고안은 총기용앙등억제장치를 권총에 적용하고 있으나, 본고안은 그 목적이 총기발사시의 앙등억제를 통한 집탄성확보에 그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총기발사시 가스압에 의하여 노리쇠가 움직이는 구조인, 반자동 저격총과 같은 소총이나 반동이 큰 대구경화포, 정밀사격용 권총에도 적용가능한 점을 밝힌다.

    특히 12.7mm와 20mm를 사용하는 대구경 저격총에의 적용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발명의 기술사상을 구체화 하기 위한 총기용앙등억제장치를 예시하는 것 으로써 본 총기용앙등억제장치는 구성품의 재질, 형상, 구조, 배치를 하기구조로 한정하는 것 은 아니다.

    도면5〉과 도면6〉는 전체적인 총기용앙등억제장치의 구조도와 작동예시도이다.

    (4-총신과 일치되어있는 약실)에서 탄이 발사되면, 이 발사압의 반대방향인 뒤쪽으로 (3-노리쇠)가 후퇴하고 이때 (3-노리쇠) 밑부분의 튀어나온 블록이 (7-노리쇠와 연동작동밀개)를 뒤로 밀어내게 된다.

    (7-노리쇠와 연동작동밀개)는 (9-회전밀개)를 시계방향으로 돌리고, (9-회전밀개)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9-회전밀개)와 한축으로 고정되어있는 (10-안쪽위치변환장치)가 (11-바깥쪽위치변환장치) 안에서 회전하게된다.

    (10-안쪽위치변환장치)가 어느정도 (11-바깥쪽위치변환장치)안에서 회전하면, 도면7〉에서 보듯이 (11-바깥쪽위치변환장치)의 형상에 의하여 도면7〉에서 예시된대로 (10-안쪽위치변환장치)의 중심축이 A 높이에서 B높이로 떨어진다. 이러한 높이차는 도면6〉에서 보듯이 (10-안쪽위치변환장치)와 연동된 (9-회전밀개)와 중심축높이도 밑으로 떨어뜨리며 (9-회전밀개)의 높이의 경감은 결과적으로 (7-노리쇠연동작동밀개)를 밑으로 떨어뜨려(7-노리쇠연동작동밀개)를 노리쇠의 튀어나온 블록에서 이탈하도록하여 결과적으로 총기발사후 노리쇠가 후퇴할 때만, 총기용앙등억제장치에 그 힘이 전달되고, 노리쇠가 전진할 때에는 총기용 앙등억제장치에 그 힘이 전달되지 않게하여, 기존의 본글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탄피배출이나 노리쇠 작동타이밍 등의 다른 작동에 본 총기용앙등억제장치는 최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여, 총기의 원할한 작동을 돕는다. 이때 노리쇠 후퇴 타이밍과 무게 보 정추의 전후왕복타이밍은 총기양산 설계시 적절히 맞아 떨어지도록 설계한다.

    본론으로 돌아가 (7-노리쇠와 연동 작동밀개)과 (9-회전밀개),(10-안쪽위치변환장치)이 서로 연동되어 작동하면, (8-무게보정추와 연동작동밀개)는 노리쇠가 후퇴할 때, 전진하게 되고, (8-무게보정추와 연동작동밀개)는 (6-스프링)을 늘리며, (5-무게보정추)를 앞으로 밀개된다.

    결과적으로 탄발사후 가스압에 의하여 노리쇠가 뒤로 밀리면, (5-무게보정추)가 앞으로 이동, 총기의 들림을 (5-무게보정추)에 의하여, 최대한 억제하고 총기 뒤로걸리는 반동을 무게추의 앞으로의 전진에 의하여 어느정도 상쇄한다.

    도면4〉는 총기발사 후 노리쇠는 완전후퇴해 있고, 무게보정추는 앞으로 최대한 전진한 상태이다.

    총기발사후 전진이동된 (5-무게보정추)는 길이가 늘어난 (6-스프링)에 의하여 본 위치로 돌아오고, 이때 (8-무게보정추와 연동작동밀개)은 뒤로 이동하며,(9-회전밀개)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9-회전밀개)와 같은 축선상에 있는 (10-안쪽위치변환장치)이 (11-바깥쪽위치변환장치)을 타고 본위치로 돌아가면, 즉 (9-회전밀개),(10-안쪽위치변환장치)의 중심축의 높이가 B에서 다시 A로 회복되게 되어 다음탄의 발사를 기다리게 된다.(노리쇠의 튀어나온 블록이 뒤로 밀수있도록 걸릴 수 있는 위치로 올라온다).

    (13-안쪽무게추)는 (12-안쪽무게추이동가이드)를 타고 위치이동이 가능하며, (14-고정구)에 의해서 그 위치가 고정된다. (도면8〉)

    이는 무게 보정추의 움직이는 가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무게보 정추 전,후 왕복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만약 (14-고정구)를 제거할 시에는 (13-안쪽무게추)가 (12-안쪽무게추이동가이드)안에서 자유롭게 전,후 왕복을 할 수 있어 관성의 법칙을 최대한 이용, (5-무게보정추)의 전진이동시에는 (13-안쪽무게추) 또한 (12-안쪽무게추이동가이드)안쪽에서 전진이동, (5-무게보정추)뒤로 후퇴할 시에는 (13-안쪽무게추)도 (12-안쪽무게추이동가이드) 안쪽에서 뒤로 이동하며, 관성의 법칙을 이용한 무게보정추의 효과를 최대한 이끌어 낼 수 있다.

    미군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대구경 저격총인 12.7mm M82A1 Barret와 같은 반자동 대물저격총의 경우 총기발사시 그 앙등과 반동에 의하여, 사수를 곤혹스럽게 만들고 있다. 또한 권총의 경우에도 대부분의 자동권총은 총기발사시 슬라이드가 뒤로 후퇴하면서 그 앙등과 반동을 오히려 증가시킨다. 본 총기용 앙등억제장치는 이러한 총기발사시의 앙등과 반동을 무게보정추를 이용하여 총기발사시에만 짧은순간동안 총신 앞부분으로 이동시켜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결과적으로 총기발사시의 앙등과 반동을 최대한 억제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