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용도 히터 장치

申请号 KR1020130098993 申请日 2013-08-21 公开(公告)号 KR1020150021709A 公开(公告)日 2015-03-03
申请人 강성탁; 发明人 강성탁;
摘要 본 발명은 다용도 히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전면에 발열면을 구비한 히팅 패널(14); 상기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히팅 패널(14)을 통해 열이 방출되어 발열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히터(20)와, 상기 히팅 패널(14)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로 배치되어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발열면이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공간부(12)를 구비한 히팅 박스(10)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20)에 의해 상기 각각의 히팅 패널(14)이 상기 히팅 박스(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열을 고르게 방출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히팅 박스(10) 내부의 상기 공간부(12)에 상기 히터(20)의 열이 보유되어 있다가 상기 히팅 패널(14)을 통해 상기 히팅 박스(10)의 외부로 방출되어 열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权利要求
  • 전면에 발열면을 구비한 히팅 패널(14);
    상기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히팅 패널(14)을 통해 열이 방출되어 발열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히터(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히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패널(14)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로 배치되어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발열면이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공간부(12)를 구비한 히팅 박스(10);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박스(10)의 상기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각각 상기 히터(20)가 구비되며,
    상기 히터(20)에 의해 상기 각각의 히팅 패널(14)이 상기 히팅 박스(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열을 고르게 방출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히팅 박스(10) 내부의 상기 공간부(12)에 상기 히터(20)의 열이 보유되어 있다가 상기 히팅 패널(14)을 통해 상기 히팅 박스(10)의 외부로 방출되어 열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히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20)는 상기 히팅 패널(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라인형 히터(20)로 구성되어 상기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픽싱 브라켓(22)에 의해 고정되도록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히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패널(14)의 배면에는 상기 히터(20)의 열이 상기 히팅 패널(14)의 전면으로 방출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히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패널(14)의 배면에는 상기 히터(20)를 커버하여 상기 히팅 패널(14)의 전면으로 열이 방출되도록 하는 단열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히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20)는 상기 히팅 패널(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라인형 히터(20)로 구성되고, 상기 히터(20)의 양단부에는 상기 내부의 발열선과 연결된 통전성 커넥트핀(24)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트핀(24)에는 전원 공급용 전선(26)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히터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패널(14)은 적어도 전면에 원적외선 코팅층(1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히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박스(10)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발열면을 구비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히팅 패널(14)의 양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히팅 박스(10)가 단면 다각형 박스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구비된 상기 히터(20)를 통해 상기 히팅 박스(10)의 각각의 방사 방향 발열면으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히터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박스(10)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측에는 상기 각각의 히터(20)에 연결된 전선(26)과 통전 가능한 단자부(28)가 구비되어, 상기 단자부(28)에 의해 상기 전선(26)들의 결선 패턴 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히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패널(14)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내부에 공간부(12)를 구비한 히팅 박스(10)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박스(10)의 상기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상기 히터(20)가 구비어, 상기 히팅 박스(10) 내부의 상기 밀폐형 공간부(12)에 상기 히터(20)의 열이 보유되어 있다가 상기 히팅 패널(14)을 통해 상기 히팅 박스(10)의 외부로 방출되어 열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히터 장치.
  • 说明书全文

    다용도 히터 장치{Multi-functional heater implement}

    본 발명은 다용도 히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방이 필요한 모든 장소에서 신속한 발열과 전방향으로의 균일한 발열을 수행함으로써 히팅 효율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유익한 기능을 발휘하는 다용도 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닐 하우스에서 겨울철과 같이 신속하게 난방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도 있고 건설 현장에서 건물 시공시 콘크리트의 신속한 양생이 필요한 경우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다용도 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난방 기구는 비닐 하우스와 같은 난방이 필요한 장소는 물론 일반 가정, 음식점 등과 같이 난방이 필요한 모든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비닐 하우스와 같이 온풍 난방이 필요한 장소에서는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온도 조건을 맞추기 위해 난방 기구를 사용하는데, 난방 기구에서 비닐 하우스 내부 공간에 열이 고르게 분포되어야만 식물의 최적 생육 조건을 맞추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는 추운 겨울에는 신속하게 열을 공급하여야 식물이 동사하지 않게 되므로, 특히 겨울철에 비닐 하우스에서 열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지 여부도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에는 난방이 필요한 장소에서 온풍이 고르게 분포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에 있어서 미비한 점이 많아서 문제가 되고 있다. 상기 비닐 하우스의 예를 들면 종래에는 비닐 하우스 내부에서 온풍을 고르게 분포되도록 배급하는 기능을 가진 난방 기구가 미비하여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온도 조건을 조성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고, 이처럼 비닐 하우스 내부에서 고르게 온도가 분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히터나 발열용 램프 등을 비치해야 하므로, 경제성 등의 측면에서도 좋지 못하고 유지 관리 측면에서도 쉽지 않은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고 있다. 예를 들어, 동절기의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은 농작물의 적정 생육 온도를 맞추기 위하여 소정의 난방기기를 통한 온풍이 공급되는데, 난방기기는 농작물 재배의 적절한 생육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 바닥면에 온수배관을 통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온수가 순환 공급되며 이와 더불어 온풍이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온수 순환 공급 시스템을 비닐 하우스나 온실 등에 일일이 시설해야 하므로, 비용 소요도 많이 되고 역시 유지 관리 측면에서도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는 건축물의 골격을 형성하기 위하여 철 구조물을 설치하고 거푸집(유로폼 등)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양생시키거나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원주형 기둥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건축물의 골격을 이루는 기둥은 건축물의 하중 등을 충분히 이겨낼 수 있는 압축강도 등을 지니고 있어야만 건축물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여기에는 일반 대기환경에 노출된 건설현장 콘크리트의 경우 사계절의 온도 변화 환경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이때,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에서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혼합된 물이 수화 반응(증발)을 일으키면서 양생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수화 반응을 촉진시켜서 양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건축물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얼마나 신속하게 양생시킬 수 있느냐의 여부는 건축물의 전체 시공 기간의 단축에 상당히 중요한 요인이 되는데, 기존에는 여러 가지 방식에 의해 콘크리트 양생 기간을 단축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결과는 그다지 신통치 못한 실정이다.

    기온이 영하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물이 빙결되므로 물과의 수화작용에 의해 접착제로서 기능을 해야할 시멘트가 물과 수화작용을 할 수 없게 된다. 즉, 콘크리트는 타설된 이후에 시멘트의 수화작용에 의해 경화가 진행되어 소정의 강도가 발현되어야 하는데, 물이 응결되면 수화작용이 발생되지 못하므로 경화가 진행되지 못해 부실시공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동절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적절한 보양조치를 하지 않으면, 콘크리트의 온도가 빙점 이하로 내려가서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동결되고 부피팽창 및 수분 이동에 따른 압력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하고 지속적인 강도 형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열풍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주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방법이나 철근이나 거푸집에 열선을 매설하여 보온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열풍기를 사용하는 방법은 피복재의 열손실이 커서 일정한 보온효과를 유지하기가 어렵고, 콘크리트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강도증진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표면의 급속한 건조로 인해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열선을 사용하는 경우나 열풍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양생 및 경화시까지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므로, 전체 공기가 상당히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닐 하우스나 건설 현장과 같은 난방이 필요한 모든 장소에서 신속한 발열과 전방향으로의 균일한 발열을 수행함으로써 히팅 효율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유익한 기능을 발휘하는 다용도 히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닐 하우스에서 겨울철과 같이 신속하게 난방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도 있고 건설 현장에서 건물 시공시 콘크리트의 신속한 양생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다용도 히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에 발열면을 구비한 히팅 패널; 상기 히팅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히팅 패널이 열전도에 의해 발열되도록 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히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히팅 패널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로 배치되어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발열면이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공간부(12)를 구비한 히팅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박스의 상기 히팅 패널의 배면에 각각 상기 히터가 구비되며, 상기 히터에 의해 상기 히팅 박스의 상기 각각의 히팅 패널이 열전도에 의해 상기 히팅 박스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열이 고르게 방출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히팅 박스 내부의 상기 공간부에 상기 히터의 열이 보유되어 있다가 상기 히팅 패널을 통해 상기 히팅 박스의 외부로 방출되어 열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는 상기 히팅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라인형 히터로 구성되어 상기 히팅 패널의 배면에 픽싱 브라켓(새들)에 의해 고정되도록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팅 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히터의 열이 상기 히팅 패널의 전면으로 방출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더 구비된다.

    상기 히팅 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히터를 커버하여 상기 히팅 패널의 전면으로 열이 방출되도록 하는 단열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히터는 상기 히팅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라인형 히터로 구성되고, 상기 히터의 양단부에는 상기 내부의 발열선과 연결된 통전성 커넥트핀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트핀에는 전원 공급용 전선이 연결된다.

    상기 히팅 패널은 적어도 전면에 원적외선 코팅층(16)이 구비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 박스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발열면을 구비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히팅 패널의 양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히팅 박스가 단면 다각형 박스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히팅 패널의 배면에 구비된 상기 히터를 통해 상기 히팅 박스의 각각의 방사 방향 발열면으로 열이 방출된다.

    상기 히팅 박스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측에는 상기 각각의 히터에 연결된 전선과 통전 가능한 단자부가 구비되어, 상기 단자부에 의해 상기 전선들의 결선 패턴 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 패널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한 히팅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박스의 상기 히팅 패널의 배면에 상기 히터가 구비되며, 상기 히팅 박스 내부의 상기 공간부에 상기 히터의 열이 보유되어 있다가 상기 히팅 패널을 통해 상기 히팅 박스의 외부로 방출되어 열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팅 박스의 양단부에는 캡이 구비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캡에 의해 상기 단자부와 전선이 커버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주요부인 히팅 박스의 각 히팅 패널 배면에 장착된 히터가 발열하면, 히터에서 방출되는 열이 히팅 패널의 배면에서 급속하게 히팅 패널 전체로 전달되고, 이처럼 급속하게 전달된 열이 히팅 박스의 각각의 히팅 패널을 통해 신속하게 방출되기 때문에, 난방이 필요한 모든 장소에서 신속한 발열과 전방향으로의 균일한 발열을 수행함으로써 히팅 효율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유익한 기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을 비닐 하우스의 천정에 매달아놓고 사용하는 경우 주요부인 히터가 발열하면 히팅 박스의 각 히팅 패널이 급속도로 발열하여 비닐 하우스 내부 공간을 신속하게 난방시키기 때문에, 특히 동절기에 사용하기에 딱 좋다. 기온이 영하 이하로 내려가는 동절기에는 비닐 하우스 내부에서 생육하는 식물이 얼지 않도록 신속한 난방이 필요한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비닐 하우스 내부에서 신속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겨울철 비닐 하우스에서 매우 유용하게 난방 기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 박스가 단면 다각형 함체 구조라서 히터의 발열시 열이 히팅 박스의 사방으로 방출되므로, 비닐 하우스 내부에서 전 방향 고른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난방 효율성 등의 측면에서 매우 우수하다. 히터의 열이 히팅 박스를 통하여 비닐 하우스 내부에서 상하 좌우 전 방향으로 고르게 방출되므로, 난방 효율성 등의 면에서 안성맞춤인 제품이라 하겠다. 한편, 상기 비닐 하우스 천정에 본 발명을 메달아 사용할 때에는 비닐 하우스 천정면에서 히팅 박스의 한쪽 면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메달리도록 설치하는데, 발열시 비닐 하우스 천정면으로도 열이 방출되므로, 겨울철에 폭설로 인하여 비닐 하우스 위에 눈이 쌓일 때마다 신속하게 본 발명에 의해 눈을 녹아 내리게 함으로써 비닐 하우스 위에 쌓이는 눈의 무게에 의해 비닐 하우스가 붕괴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건축물 공사 현장에서 사용할 때에는 상기와 같은 히팅 박스로부터의 신속한 발열과 전방향으로의 균일한 발열을 수행함으로써 히팅 효율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되므로, 건축물 시공 현장에서 공기 단축 여부를 크게 좌우하는 콘크리트 양생 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건축물 공기 단축으로 인하여 인건비 절감이나 기타 제반 경비 등의 절감을 가져오게 하므로 경제성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결과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히팅 박스의 각 발열면에는 원적외선 코팅층이 구비되어 있어서, 히터 발열시 열이 원적외선 코팅층에 의해 열이 보다 원거리로 방출되고 동시에 보다 균질하에 방출되므로, 비닐 하우스에서 생물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의 발열 조건을 조성할 수 있고 건축물 공사 현장에서는 기둥이나 벽체, 슬라브 등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깊숙이까지 열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므로, 콘크리트가 보다 신속하고 균일하게 양생되도록 하는데 훨씬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얼마나 신속하게 양생시킬 수 있느냐의 여부는 건축물의 전체 시공 기간의 단축에 상당히 중요한 요인이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기존과 달리 콘크리드 양생 시간 단축과 콘크리트의 균질한 양생 등의 측면에서 매우 흡족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히터 장치를 구성하는 히팅 패널과 히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히팅 패널과 히터에 의해 구성되는 히팅 박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히터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용도 히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단자부와 전선의 연결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자부와 전선 및 히터의 연결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히터 장치는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히터(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난방이 필요한 장소에서 신속한 발열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상기 히팅 패널(14)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히팅 박스(10)와, 이 히팅 박스(10)의 각 히팅 패널(14) 배면에 히터(20)가 구비되어 열전도에 의해 신속한 발열 및 전방향으로의 고른 열방출을 통해 균일한 히팅 작용을 할 수 있는데 주요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상기 히팅 패널(14)은 사각판 구조로서 히팅 패널(14)의 전면에는 발열면이 구비된다. 이때, 히팅 패널(14)의 발열면은 양쪽 단부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홈부에 의해 주름이 있는 면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히팅 패널(14)의 전면이 굴곡이 있는 주름진 면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히팅 패널(14)의 전면에는 원적외선 코팅층(16)이 구비된다. 원적외선 코팅층(16)은 히팅 패널(14)의 전면에 원적외선 도료를 코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일정 두께의 원적외선 층으로 구성한다.

    상기 히팅 패널(14)의 배면에는 히터(20)가 구비된다. 히터(20)는 발열시 히팅 패널(14)이 열전도에 의해 발열되도록 한다. 히터(20)의 발열시 히팅 패널(14)의 전면 발열면으로 열이 방출되는 것이다.

    상기 히팅 박스(10)는 히팅 패널(14)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로 배치되어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발열면이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히팅 박스(10)는 단면 다각형 박스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히팅 박스(10)가 단면 사각형이나 단면 오각형, 단면 육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 다각형 박스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히팅 박스(10)가 기본적으로 단면 사각형의 박스 구조를 이룬다. 즉, 네 개의 히팅 패널(14)이 브라켓과 볼트나 리벳과 같은 체결구에 의해 직각으로 연결됨으로써 히팅 박스(10)가 단면 사각형의 박스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히팅 박스(10)의 내부에는 공간부(12)가 형성된다. 히팅 박스(10) 내부의 공간부(12)는 후술할 히터(20) 발열시 히팅 박스(10) 내부에 열을 보유하였다가 히팅 박스(10)의 각 히팅 패널(14) 전면의 발열면으로 열이 방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히팅 박스(10)는 내부에 공간부(12)를 구비한 단면 다각형 구조를 가지도록 압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히팅 박스(10)를 구성하는 각각의 히팅 패널(14) 배면에는 히터(20)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히터(20)는 히팅 패널(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라인형 히터(20)로 구성되며, 이러한 라인형 히터(20)가 픽싱 브라켓(22)(새들:saddle)을 매개로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지지된다. 이때, 픽싱 브라켓(22)은 히터(20) 지지편의 양단부에 픽싱 풋트가 구비된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픽싱 풋트가 볼트나 리벳과 같은 체결구에 의해 히팅 패널의 배면에 고정되고 상기 히터(20) 지지편은 라인형 히터(20)를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픽싱 브라켓(22)이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고정됨으로써 필요시 픽싱 브라켓(22)을 분리하여 히터(20)의 교체나 수리 등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히터(20)와 히팅 패널(14)의 배면 사이에는 열전도성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열전도성 스페이서가 히터(20)와 히팅 패널(14)의 배면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픽싱 브라켓(22)과 체결구에 의해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히터(20)와 스페이서가 고정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히터(20)가 히팅 패널(14)의 배면에서 거리상으로는 이격되어 있고, 물리적으로는 히팅 패널(14)에 열전도 가능하도록 접촉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히터(20)의 발열시 히팅 박스(10)의 각각의 히팅 패널(14)이 열전도에 의해 히팅 박스(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열이 고르게 방출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히팅 박스(10) 내부의 공간부(12)에 히터(20)의 열이 보유되어 있다가 히팅 패널(14)을 통해 히팅 박스(10)의 외부로 방출되어 열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히팅 박스(10) 내부의 공간부(12)는 외기와는 밀폐되어 있는 구조라서 히터(20)의 발열시 다른 데로 빠져나가지 않고 보지되어 있다가 각각의 히팅 패널(14)을 통해 그대로 히팅 박스(10)의 전 방향으로 열이 방출되기 때문에 열효율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공간부(12)에 열이 보지되어 있다가 방출되는 기능을 발휘하여 신속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면 다각형 함체 형상으로 히팅 박스(10)가 구성되어 히터(20)의 열이 히팅 박스(10)의 모든 히팅 패널(14)의 발열면으로 방사 방향으로 방출된다. 기본적으로 히팅 박스(10)가 단면 사각형 함체 구조라서 히터(20)의 발열시 히팅 박스(10)의 전후 좌우 네 방향으로 고르게 열이 방출되어 히팅이 필요한 모든 장소에서 전 방향으로의 균일한 열 공급 분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히터(20)는 히팅 패널(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라인형 히터(20)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히터(20)의 양단부에는 내부의 발열선과 연결된 통전성 커넥트핀(24)이 구비되고, 커넥트핀(24)에는 전원 공급용 전선(26)이 연결된다.

    상기 커넥트핀(24)은 외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핀 구조이다. 커넥트핀(24)의 외주면에는 나사부에 의해 너트가 결합되고, 전원 공급용 전선(26)에 구비된 통전성 연결편의 결합공이 커넥트핀(24)에 끼워진 다음, 다른 너트를 커넥트핀(24)에 결합함으로써 두 개의 너트 사이에 전선(26)의 일단부에 구비된 통전성 연결편이 접촉되도록 연결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네 개의 히터(20)가 사각 함체 형상의 히팅 박스(10)의 각 히팅 패널(14) 배면에 장착되어 있어서, 각각의 히터(20) 양단부에 한 가닥씩 총 네 가닥의 전선(26)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네 가닥의 전선(26)의 타단부는 통전성 연결부재에 의해 공통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전선(26) 타단부에도 통전성 연결편이 구비되어, 각 통전성 연결편의 결합공에 통전성 볼트를 끼우고, 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볼트와 너트(볼트의 헤드와 너트)에 의해 각 전선(26)의 통전성 연결편이 공통으로 접촉되도록 연결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볼트와 너트 및 통전성 연결편이 각 전선(26)들의 타단부를 공통으로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연결부재가 된다. 이러한 각각의 히터(20) 양단부에 연결된 전선(26)에 외부 전원 공급을 위한 다른 전선(26)이 연결되어, 각 히터(2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20)에 각각 연결된 전선(26)들은 열차단부재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히팅 박스(10) 내부의 공간부(12)에서 열이 보유될 때에 과열로 전선(26)이 녹아내리는 등의 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차단부재는 석고 재질의 애자(내열성 소자)가 될 수 있는데, 애자의 내부에 히터(20)에 연결된 각 전선(26)을 수용하여 히팅 박스(10) 내부의 공간부(12)에 히터(20)의 열이 보유되더라도 애자가 열을 차단함으로써 각 전선(26)이 과열로 소손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공급 전원의 볼트에 따라 각 전선(26)의 결선 패턴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히터(20)의 양단부에 구비된 통전성 커넥트핀(24)에는 절연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커넥트핀(24)이 히팅 패널(14)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절연부재는 석고와 같은 절연 재료를 단관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절연부재가 각 히터(20) 양단부의 통전성 커넥트핀(24) 외주면에 끼워져서 커넥트핀(24)이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커넥트핀(24)이 히팅 패널(14)에 접촉되어 숏트되는 현상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반사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반사판은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로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반사판은 히터(20)를 뒤에서 감싸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히터(20)의 열이 히팅 패널(14)의 전면으로 방출되도록 반사시키게 된다. 반사판에 의해 히팅 박스(10)의 각 발열면으로 방출되는 열량을 높여서 히팅 효율을 보다 높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히팅 패널(14)의 배면에는 히터(20)를 커버하여 히팅 패널(14)의 전면으로 열이 방출되도록 하는 단열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는 반사판과 히터(20)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반사판의 뒤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단열재고 브라켓과 체결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단열재에 의해 히터(20)의 열이 보다 신속하게 히팅 박스(10)의 각 발열면으로 집중 방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히팅 효율 향상을 위한 다른 주요부인 원적외선 코팅층(16)이 히팅 패널(14)에 구비된다. 즉, 히팅 패널(14)은 적어도 전면에 원적외선 코팅층(16)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원적외선 코팅층(16)은 히팅 패널(14)의 전면에 원적외선 도료를 코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일정 두께의 원적외선 층으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히팅 패널(14)이 양단부끼리 연결되어 단면 다각형의 히팅 박스(10)를 구성하므로, 히팅 박스(10)의 각 발열면(전면 발열면)에 각각 원적외선 코팅층(16)이 구비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히팅 박스(10)가 기본적으로 단면 사각형의 함체 구조이므로, 각각의 원적외선 코팅층(16)이 히팅 박스(10)의 전후 좌우 네 개의 면에 구비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즉, 상기 히팅 박스(10)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발열면을 구비하도록 복수개의 히팅 패널(14)의 양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히팅 박스(10)가 단면 다각형 박스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구비된 히터(20)를 통해 히팅 박스(10)의 각각의 방사 방향 발열면으로 열이 고르게 방출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히팅 박스(10)의 각 발열면, 다시 말해, 각 히팅 패널(14)의 전면에 구비된 원적외선 코팅층(16)에 의해 히터(20)의 열이 보다 원거리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도 특징이다.

    한편, 상기 히팅 박스(10)의 양단부에는 캡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팅 박스(10) 자체가 단면 다각형 함체 구조라서 히팅 박스(10)의 양단부가 개구되는데, 캡에 의해 히팅 박스(10)의 양단부를 막아주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히터(20)에 연결되어 히팅 박스(10) 내부의 공간부(12)에 수용된 각 전선(26)은 열차단부재(상기 애자 등의 내열성 소자)의 내부에 수용되는데, 상기 열차단부재가 캡에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캡은 히팅 박스(10)의 양단부측 개구부를 막아주는 캡(34)과, 캡(34)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마감캡(3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히팅 박스(10)의 각 히팅 패널(14) 배면에 장착된 히터(20)가 발열하면, 히터(20)에서 방출되는 열이 히팅 패널(14)의 배면에서 급속하게 히팅 패널(14) 전체로 전달되고, 이처럼 급속하게 전달된 열이 히팅 박스(10)의 각각의 히팅 패널(14)을 통해 신속하게 방출되기 때문에, 난방이 필요한 모든 장소에서 신속한 발열과 전방향으로의 균일한 발열을 수행함으로써 히팅 효율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유익한 기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은 비닐 하우스나 건축물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면 그 유용성이 더욱 높다.

    본 발명을 비닐 하우스의 천정에 매달아놓고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주요부인 히팅 박스(10)의 각 히팅 패널(14) 중에서 어느 하나에 행거 고리를 구비하고, 행거 고리에는 비닐 하우스 천정에 있는 줄(와이어 스트랩 등)을 연결하여 본 발명을 비닐 하우스 천정에 메달아 놓고 사용하면 되는데, 본 발명은 주요부인 히터(20)가 발열하면 히팅 박스(10)의 각 히팅 패널(14)이 공간부(12)에 가두어져서 다른 데로 가지 않고 그대로 히팅 패널(14)을 통해 방출되면서 급속도로 발열하므로, 비닐 하우스 내부 공간을 신속하게 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동절기에 사용하기에 딱 좋다. 기온이 영하 이하로 내려가는 동절기에는 비닐 하우스 내부에서 생육하는 식물이 얼지 않도록 신속한 난방이 필요한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비닐 하우스 내부에서 신속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겨울철 비닐 하우스에서 매우 유용하게 난방 기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 박스(10)가 단면 다각형 함체 구조라서 히터(20)의 발열시 열이 히팅 박스(10)의 사방으로 방출되므로, 비닐 하우스 내부에서 전 방향 고른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난방 효율성 등의 측면에서 매우 우수하다. 히터(20)의 열이 히팅 박스(10)를 통하여 비닐 하우스 내부에서 상하 좌우 전 방향으로 고르게 방출되므로, 난방 효율성 등의 면에서 안성맞춤인 제품이라 하겠다. 한편, 상기 비닐 하우스 천정에 본 발명을 메달아 사용할 때에는 비닐 하우스 천정면에서 히팅 박스(10)의 한쪽 면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메달리도록 설치하는데, 발열시 비닐 하우스 천정면으로도 열이 방출되므로, 겨울철에 폭설로 인하여 비닐 하우스 위에 눈이 쌓일 때마다 신속하게 본 발명에 의해 눈을 녹아 내리게 함으로써 비닐 하우스 위에 쌓이는 눈의 무게에 의해 비닐 하우스가 붕괴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건축물 공사 현장에서 사용할 때에도 유용성이 매우 높다. 건축물 공사 현장에서 본 발명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와 같이 히팅 박스(10)에 행거 고리를 구비하여 행거 고리에 건축물 천정에 있는 줄을 연결하여 메달아 놓고 사용하거나 적정한 장소에 그냥 놓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는 건축물의 골격을 형성하기 위하여 철 구조물을 설치하고 거푸집(유로폼 등)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양생시키거나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원주형 기둥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건축물의 골격을 이루는 기둥에 벽체와 슬라브를 연결하도록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과정이 필요한데,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수화 반응을 촉진시켜서 양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건축물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을 건축물 공사 현장에서 사용할 때에 상기와 같은 히팅 박스(10)로부터의 신속한 발열과 전방향으로의 균일한 발열을 수행함으로써 히팅 효율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되므로, 건축물 시공 현장에서 공기 단축 여부를 크게 좌우하는 콘크리트 양생 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건축물 공기 단축으로 인하여 인건비 절감이나 기타 제반 경비 등의 절감을 가져오게 하므로 경제성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결과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히팅 박스(10)의 각 발열면에는 원적외선 코팅층(16)이 구비되어 있어서, 히터(20) 발열시 열이 원적외선 코팅층(16)에 의해 열이 보다 원거리로 방출되고 동시에 보다 균질하에 방출되므로, 비닐 하우스에서 생물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의 발열 조건을 조성할 수 있고 건축물 공사 현장에서는 기둥이나 벽체, 슬라브 등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깊숙이까지 열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므로, 콘크리트가 보다 신속하고 균일하게 양생되도록 하는데 훨씬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얼마나 신속하게 양생시킬 수 있느냐의 여부는 건축물의 전체 시공 기간의 단축에 상당히 중요한 요인이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기존과 달리 콘크리드 양생 시간 단축과 콘크리트의 균질한 양생 등의 측면에서 매우 흡족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20)의 열이 히팅 패널(14)의 전면으로 방출되도록 반사판을 구비하여, 반사판에 의해 히팅 박스(10)의 각 발열면으로 방출되는 열량을 높여주기 때문에, 히티 효율을 보다 높여서 보다 신속한 난방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팅 패널(14)의 배면에는 단열재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이러한 단열재에 의해서 히터(20)의 열이 보다 신속하게 히팅 박스(10)의 각 발열면으로 집중 방출될 수 있게 되므로, 난방 효율의 더욱더 높이게 된다. 즉, 반사판과 단열재에 의해 히팅 박스(10)에서 열방출이 보다 급속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열손실을 줄이게 되므로, 비닐 하우스나 건축물 공사 현장에서 요구되는 신속한 발열 환경 조성에 더욱 충실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며, 열손실 방지로 인하여 소모 전력을 더욱 줄이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히팅 박스(10)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측에는 각각의 히터(20)에 연결된 전선(26)과 통전 가능한 단자부(28)가 구비되어, 상기 단자부(28)에 의해 전선(26)들의 결선 패턴 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히팅 박스(10)의 양단부측 개구부에 캡(34)이 구비되는데, 상기 전선(26)에 연결된 단자부(28)가 캡(34)에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애자(27)를 캡(34)의 외표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하고, 애자(27)에는 단자부(28)를 구비하여, 상기 단자부(28)에 히터(20)로부터 연결되어 나온 전선(26)을 통전 가능하게 접속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캡(34)에는 전선(26)의 결선 방식을 안내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캡이 캡(34)과 마감캡(36)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캡(34)의 바깥면에 전선(26)의 결선 방식을 표시한 표시부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캡(34)은 마감캡(36)에 의해 막혀지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마감캡(36)은 히팅 박스(10)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매개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갖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히팅 박스(10)의 양단부측에 구비된 단자부(28)를 이용하여 전선(26)의 결선 방식의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공급 전원이 110V, 220V, 380V와 같이 달라지는 경우에 대비하여 호환성 있게 활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델타 결선 방식에서는 3상 3선식으로 3개의 전압선을 이용하며, 기호로는 R, S, T 를 사용하는데, RS, ST, TR 상 사이에는 각각 380V의 전압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Y 결선 방식에서는 3상 4선식으로 3개의 전압선인 R, S, T와 중성선인 N선을 사용한다. RS, ST, TR 상 사이에는 각각 380V의 전압이 나타나고, RN, SN, TN 상 사이에는 각각 220V의 전압이 나타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사용처에서 공급 전압이 380V이냐 110V이냐 또는 220V이냐에 따라 각 전선(26)의 결선 패턴을 바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현장에서의 사용성에 있어서 매우 편리한 등의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히팅 박스(10)의 양단부측에 구비된 단자부(28)를 통해 결선 방식을 변경할 수 있음에 더하여 마감캡(36)으로 마감한다. 마감캡(36)으로 단자부(28)(애자(27)에 구비된 단자부(28)와 전선(26) 부분)를 막아주면 외부의 물건이 단자부(28)에 접촉되거 물이 들어와서 숏트가 되거나 감전되는 등의 위험 요소를 차단할 수 있어서 보다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히터(20)는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픽싱 브라켓(22)(새들)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지지되어 있어서, 필요시 픽싱 브라켓(22)을 분리하여 히터(20)를 들어내고 수리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히팅 박스(10)의 각 히팅 패널(14)도 브라켓과 체결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히팅 박스(10)의 적어도 한쪽 히팅 패널(14)을 분리하고 나서 수리하거나 교체 등을 요하는 히터(20)를 지지하는 픽싱 브라켓(22)을 분리하고 상기 해당 히터(20)를 수리나 교체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보다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히팅 박스(10)는 각 히팅 패널(14)의 전면에 굴곡이진 주름면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히터(20)의 열이 방출될 때에 보다 넓은 폭으로 산란되면서 방출되므로, 히터(20)의 방출열이 난방 장소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히팅 패널(14)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내부에 공간부(12)를 구비한 히팅 박스(10)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박스(10)의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히터(20)가 구비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히팅 패널(14)을 히팅 박스(10)의 상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하고, 히터(20)는 각각의 히팅 패널(14) 배면에 구비되어 상하 두 개의 히터(20)에 의해 히팅 박스(10)의 상면과 하면 두 군데에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하 히팅 패널(14)은 기역자 형태의 브라켓과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브라켓과 상하 두 개의 히팅 패널(14)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12)를 구비한 히팅 박스(10)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히팅 패널(14)이 히팅 박스(10)의 한 면에 구비되어 히팅 박스(10) 내부에 공간부(12)를 구비하고, 상기 히팅 박스(10)의 히팅 패널(14)의 배면에 히터(20)가 구비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히팅 패널(14)을 히팅 박스(10)의 한 면에 배치되도록 구성하고, 히터(20)는 한 면의 히팅 패널(14) 배면에 구비되어 하나의 히터(20)에 의해 히팅 박스(10)의 한 면에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히팅 패널(14)과 히터(20)가 하나만 구비된 경우에는 대략 디귿자 형상의 채널 히터(20) 바디편에 브라켓과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히팅 패널(14)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채널형 히터(20) 바디편과 한 개의 히팅 패널(14)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12)를 구비한 히팅 박스(10)를 구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히팅 박스 12. 공간부
    14. 히팅 패널 16. 원적외선 코팅층
    20. 히터 22. 픽싱 브라켓
    24. 커넥트핀 26. 전선
    27. 애자 28. 단자부
    34. 캡 36. 마감캡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