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온수용 매트 구조물

申请号 KR2020120001397 申请日 2012-02-23 公开(公告)号 KR2020130005188U 公开(公告)日 2013-09-02
申请人 정의갑; 发明人 정의갑;
摘要 본 고안은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일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물탱크의 물을 냉난방체인 매트로 배출시키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냉온수 공급관으로 구성되는 냉온수 공급 수단과, 상기 냉온수 공급 수단에서 냉각 또는 가열된 냉온수가 내부를 순환하여 상기 냉온수 공급 수단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냉온수 유입관에 유입되도록 연결되는 냉온수용 매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이때 상기 냉온수 공급 수단은, 몸체인 물탱크, 상기 물탱크를 감싸서 형성되는 진공 단열실, 상기 물탱크의 하부에 장착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는 상부에 형성된 냉온수 저장실, 상기 냉온수 저장실의 하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 홀을 갖는 격벽, 상기 격벽 하부에 형성된 냉온수 공급실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계절에 무관하게 동절기에는 온수를 공급하고 하절기에는 냉수를 공급할 수 있는 매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부여하고 제품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权利要求
  •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일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물탱크의 물을 냉난방체인 매트로 배출시키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냉온수 공급관으로 구성되는 냉온수 공급 수단과, 상기 냉온수 공급 수단에서 냉각 또는 가열된 냉온수가 내부를 순환하여 상기 냉온수 공급 수단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냉온수 유입관에 유입되도록 연결되는 냉온수용 매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공급 수단은, 몸체인 물탱크, 상기 물탱크를 감싸서 형성되는 진공 단열실, 상기 물탱크의 하부에 장착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용 매트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부에 형성된 냉온수 저장실, 상기 냉온수 저장실의 하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 홀을 갖는 격벽, 상기 격벽 하부에 형성된 냉온수 공급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용 매트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외주변이 진공 단열실로 감싸서 형성되고 하부에는 누르면 관통하게 되는 밸브체가 장착된 냉온수 저장실과, 상기 냉온수 저장실의 상기 밸브체가 안착되는 개방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외주변이 진공단열실로 감싸서 형성되는 냉온수 공급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용 매트 구조물.
  • 说明书全文

    냉온수용 매트 구조물{mat structure using hot and cool water}

    본 고안은 냉온수 매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의 냉온수 공급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냉온수의 흐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매트가 마련됨으로 동절기 및 하절기에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 및 상품의 활용도를 향상시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냉온수용 매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가스, 기름 및 전기 히터 등을 이용하여 이로부터 얻어지는 열원으로 냉수를 가열하고, 발생하는 온수를 다양하게 사용하는 기구이다.

    특히 난방용으로 사용되는 보일러의 시스템에서는 보일러 본체와 이 보일러 본체에서 제공되는 온수가 순환하여 흐르는 배관이 매입된 실내나 매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매트에 있어서 기존에는 주로 전열기를 통한 매트 일명, 전기 장판 형태의 겨울철에 사용할 수 있는 온열기능만을 가진 매트가 널리 사용되다가 각종 기능(안마, 전위 등)을 추가한 다양한 매트들이 많이 출시되어 사용되어 왔다.

    또한, 온열에다가 기능성을 추가한 황토 매트나 돌 매트나 침대 같은 부류의 전열 기구는 즉, 히터를 사용하여 발열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 이러한 전열기는 작동시 발생하는 전자파 등이 이슈로 떠오르면서 전자파 차단 전열기를 개발하거나 하여 각종 전자파 차단에 대한 여러 장치들을 부가하여 판매하였다.

    전자파의 피해가 없는 가장 양호한 제품으로는 상술한 것과 같은 소형 전기 보일러를 만들어 물 등의 매체를 가열하여 매트에 내장된 장치된 파이프인 배관을 통하여 순환시키는 일명 온수 매트가 출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전기 장판들은 겨울철에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여름철에는 방치되어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계절에 무관하게 동절기에는 온수를 공급하고 하절기에는 냉수를 공급할 수 있는 매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 및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냉온수용 매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일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물탱크의 물을 냉난방체인 매트로 배출시키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냉온수 공급관으로 구성되는 냉온수 공급 수단과, 상기 냉온수 공급 수단에서 냉각 또는 가열된 냉온수가 내부를 순환하여 상기 냉온수 공급 수단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냉온수 유입관에 유입되도록 연결되는 냉온수용 매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공급 수단은, 몸체인 물탱크, 상기 물탱크를 감싸서 형성되는 진공 단열실, 상기 물탱크의 하부에 장착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물탱크는 상부에 형성된 냉온수 저장실, 상기 냉온수 저장실의 하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 홀을 갖는 격벽, 상기 격벽 하부에 형성된 냉온수 공급실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물탱크는 외주변이 진공 단열실로 감싸서 형성되고 하부에는 누르면 관통하게 되는 밸브체가 장착된 냉온수 저장실과, 상기 냉온수 저장실의 상기 밸브체가 안착되는 개방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외주변이 진공단열실로 감싸서 형성되는 냉온수 공급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계절에 무관하게 동절기에는 온수를 공급하고 하절기에는 냉수를 공급할 수 있는 매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부여하고 제품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용 매트 구조물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냉온수용 매트 구조물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용 매트 구조물 물탱크의 개략적인 구성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용 매트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00 으로 도시한 냉온수용 매트 구조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통상적으로 온수 공급 시스템은 보일러가 필요하나 본 고안에서는 보일러와 유사한 냉온수 공급수단(10)과, 이 공급 수단(10)에서 냉각되거나 가열된 냉온수가 내장된 배관을 순환하여 상기 공급 수단(10)에 유입되도록 연결되는 냉난방체(60)로 구성되는데 여기에서 말하는 냉난방체(60)는 호스(튜브)나 배관이 내장된 매트, 침낭, 담요 및 온돌 침대 등과 유사한 목적의 제품을 말한다.

    이때 상기 냉난방체(60)가 호스나 배관이 내장되지 않고 격벽을 이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냉난방 매트 등에도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공급 수단(10)은 냉각되거나 가열된 냉온수가 배출되어 공급되는 공급관(12)과 상기 냉난방체(60)에서 환수되는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관(14)이 연결되는데 냉온수를 상기 냉난방체(60)로 공급시키는 펌프(16)가 장착되게 되는데 이어 한 펌프(16)는 도면상에서 상기 공급 수단(10)의 외부에 표기되었으나 상기 공급 수단(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급 수단(10)을 한 쌍으로 장착할 뿐만 아니라 상기 유입관(14)과 공급관(12)도 한 쌍으로 형성시키고, 이에 따른 상기 냉난방체(60)도 일정구역을 분할하여 일정구역에만 온수를 각각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맞게 온수를 공급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나 효율적으로도 높은 상품성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냉온수 공급 수단(10)은, 몸체인 물탱크, 상기 물탱크를 감싸서 형성되는 진공 단열실(18), 상기 물탱크의 하부에 장착된 히터(28)를 포함하는데 상기 물탱크는 상부에 형성된 냉온수 저장실(22)과, 이 냉온수 저장실(22)의 하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 홀을 갖는 격벽(26), 상기 격벽 하부에 형성된 냉온수 공급실(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히터(28)는 외부에 장착된 제어기(도시 생략)에 의해 조작이 되며 상기 물탱크를 상하로 구분하는 이유는 하절기 시에 상기 냉온수 저장실(22)에 얼음 등을 저장시키고 뚜껑(20)을 덮은 후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면 저장된 물을 냉각되고 냉각된 물은 관통 홀(24)을 통해 냉온수 공급실(30)로 흐르고 상기 펌프(16)의 작동에 의해 냉난방체(60)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히터(28)는 본 고안에서 열판을 이용하였으나 이는 형상을 최소한 것으로 당업자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발열체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용 매트 구조물 물탱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 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물탱크는 외주변이 진공 단열실(58)로 감싸서 형성되고 하부에는 누르면 관통하게 되는 밸브체(54)가 장착된 냉온수 저장실(52)과, 이 냉온수 저장실(52)의 상기 밸브체(54)가 안착되는 개방구(56)가 상부에 형성되고, 외주변이 진공 단열실로 감싸서 형성되는 냉온수 공급실(6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냉온수 저장실(52)이 본체와 분리됨으로써 용이하게 물과 얼음 등을 상기 저장실(52)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용 매트 구조물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냉온수 공급 수단, 12 : 공급관,
    14 : 유입관, 16 : 펌프,
    18,58 : 진공 단열실, 22,52 : 냉온수 저장실,
    24 : 관통 홀, 26 : 격벽,
    28 : 열판, 30,60 : 냉온수 공급실,
    54 : 밸브체, 56 : 개방구,
    60 : 냉난방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