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

申请号 KR1020120063757 申请日 2012-06-14 公开(公告)号 KR1020130140398A 公开(公告)日 2013-12-24
申请人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주식회사 에너솔라; 박기주; 发明人 박기주;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apparatus using a far-infrared ray cotton mesh heating element panel capable of being conveniently constructed and maximizing the heating effect by attaching the far-infrared ray cotton mesh heating element panel to the wall or ceiling in an internal space and includes: a heating main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by a plurality of walls, ceilings, and bottoms; and multiple far-infrared ray cotton mesh heating element panels having determined intervals in the wall, ceiling, and bottom inside the heating main body and generating far-infrared ray by attached in a matrix form.
权利要求
  • 복수의 벽부와 천장부 및 바닥부에 의해 실내공간이 형성되는 난방 본체와,
    상기 난방 본체 내부의 벽부와 천장부 및 바닥부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매트릭스 형태로 부착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은
    바닥재 위에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 위에 적층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와,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위에 적층되어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로부터 전해지는 원적외선을 보온 및 발산함과 함께 상부로 반사시키는 반사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의 용량은 설계에 따라 임의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접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은
    바닥재 위에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 위에 적층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와,
    상기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위에 적층되는 절연재와,
    상기 절연재 위에 적층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와,
    상기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위에 적층되어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로부터 전해지는 원적외선을 보온 및 발산함과 함께 상부로 반사시키는 반사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는 서로 다른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초기에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에 전원을 인가하여 100% 운전하게 되고, 일정 온도에 도달할 경우에는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차단하고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부만을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에 의해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접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의 도전부에는 탄소가 도포 또는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수단은 카본파이버 매트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
  • 说明书全文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HEATING UNIT USING COTTON MESH HEATING ELEMENT}

    본 발명은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방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의 종류는 바닥이나 측벽 등의 벽면 내부에 온수가 순환될 수 있는 관을 삽입하고 상기 관에 온수를 순환시켜 난방을 하는 방식과, 벽면외부에 라디에이터를 구비하고 증기 또는 온수를 유통하는 방식, 덕트 등을 이용하여 건물 전체에 열풍을 공급하는 중앙난방 등의 건축물난방과, 전열선 또는 탄소발열체 등 이용하는 중소형 전열기구를 활용하는 독립소형난방 방식이 있다.

    주거형 건물에서는 바닥에 온수순환배관을 매설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주거형이 아닌 건축물에서는 이를 제외한 방법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전열선을 이용하는 전기장판이나 전기난로 등의 난방기구들은 유지비용이 여타 난방방식보다 높을 뿐만 아니라, 과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이 많아 최근 탄소분말을 적용하는 발열체들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탄소발열체들도 기존의 전기장판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바닥이나 측벽에 배치하여 사용하는데에는 설치 및 시공상의 한계가 있었다.

    즉, 전기장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난방기구를 사무실 등 업무시설에 설치한 상태에서 그 위에 무거운 물체를 올려놓게 되면 탄소발열체의 연결이 약화 되어 전원공급의 불균형을 초래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소정의 규격으로 출시되는 제품들을 다수 개 사용할 경우 전원장치의 연결이 용이하지 못하며 누전의 위험성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탄소발열체를 깔고 그 위에 시멘트 등으로 타설할 경우 난방효과가 감소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미 완공된 건축물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할 경우 기존의 바닥을 뜯어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일정 요건을 갖춘 오피스텔의 경우 바닥난방이 허용되고 있으며, 아파트 등의 주거건물에서도 종전에 바닥난방이 허용되지 않던 베란다 등의 공간에도 바닥난방이 허용되고 있는데, 현시점에서 기존의 방식을 사용하여 오피스텔의 바닥면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면에 대한 난방공사를 하게 된다면 온수순환배관을 깔거나, 일반적인 탄소발열체를 깔거나 상기와 같은 시공상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 공간의 천장부나 벽부에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부착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난방 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는 복수의 벽부와 천장부 및 바닥부에 의해 실내공간이 형성되는 난방 본체와, 상기 난방 본체 내부의 벽부와 천장부 및 바닥부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매트릭스 형태로 부착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천장부나 벽부에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매트릭스 형태의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부착함으로써 난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에서 원적외선을 방출시킬 수 있어 국민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셋째, 원적외선을 이용한 난방효과는 물론 물리요법에 의해 체지방을 감소할 수 있고, 피부요법을 통해 인체 탈 산성화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접지수단으로 사용되는 카본파이버 매트전극의 직물 구조는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의 외관 사시도, 그 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절단면도 및 사시도
    도 6은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필름을 이용한 난방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필름을 이용한 난방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개의 벽부(110)와 천장부(120) 및 바닥부(130)에 의해 실내공간이 형성되는 난방 본체(100)와, 상기 난방 본체(100) 내부의 벽부(110)와 천장부(120) 및 바닥부(130)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매트릭스 형태로 부착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난방 본체(100)의 네 개의 벽부(110)와 바닥부(130) 및 천장부(120)는 건물 자체의 바닥과 천장 및 벽체와 완전히 독립된 상태로 설치하거나, 벽부(110) 중 일부의 벽부(110)와 바닥부(130) 및 천장부(120)는 건물 자체의 바닥과 천장 및 벽체로 대체하고 나머지의 벽부(110)만 추가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난방 본체(100)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넓은 공간에 설치할 경우 벽부(110)와 바닥부(130) 및 천장부(120)를 모두 새롭게 구축하거나, 바닥부(130)만 건물의 바닥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네 개의 벽부(110)와 바닥부(130) 및 천장부(120)는 통상적인 건축구조물을 구축하는 데 사용하는 자재, 즉 벽돌, 콘크리트 구조물, 경량칸막이 부재 등 건물의 실내공간과 구획할 수 있는 자재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난방 본체(100)는 가정집이나 사무실, 공장 등의 공간을 말하고 있으며,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200)은 상기 난방 본체(100)의 벽부(110)와 천장부(120) 및 바닥부(130)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부착되어 원적외선을 발생하여 실내를 난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벽부(110)와 천장부(120) 및 바닥부(130)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매트릭스 형태로 부착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200)은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난방을 실시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난방장치는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난방을 실시하지만 원적외선의 경우에는 사람의 피부까지 침투하여 난방함으로써 난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200)은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원적외선 복사에너지에 의해 실내온도를 복사 가열시켜 균일하게 실내온도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인체 및 유기체물에 원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침투시켜 인체의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키고, 괘적한 실내환경에 의해 탈취성 및 항균성이 있는 친환경적인 실내환경을 갖는다.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필름(2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벽부(110)와 천장부(120) 및 바닥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어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210)와, 상기 단열재(210) 위에 적층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와,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 위에 적층되어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로부터 전해지는 원적외선을 보온 및 발산함과 함께 상부로 반사시키는 반사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의 용량은 정해진 것이 아니라 설계에 따라 임의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는 서지임피던스나 과도임피던스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 일측에 접지수단을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가 운전하지 않을 경우에 접지수단을 통해 전자파를 차단하여 전자파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접지수단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설명한다.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는 탄소섬유사와 일반섬유사가 교차로 직조된 구조로 구성되므로 상층부의 모든 표면에 열이 가해지는 전면(全面) 발열 방식으로 온도를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의 도전부에는 탄소가 도포 또는 코팅됨으로써 도전성이 향상되고 과도한 물리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안정된 형태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210)는 실내의 방바닥이나 거실 등에 콘크리트를 시공하거나 또는 타일이나 섬유 패널 등, 단열이 가능한 재료를 소정 두께 및 넓이로 시공함으로써 구성한다.

    상기 반사재(230)는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로부터 전해진 열을 보온 및 발산하는 층으로서, 특히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로부터 발생된 원적외선이 지면으로 내려와 소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시 상부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접지수단으로 사용되는 카본파이버 매트전극의 직물 구조는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지 구조는 기본적으로 카본파이버 매트전극(carbon fiber mat electrode)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카본파이버 매트전극은 도전성 콘크리트나 접지 저감제 등과의 결합 부착성이 우수하도록 유연한 미세 필라멘트를 매트형태로 직조한 직물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접지 구조는 도전성의 미세 카본(carbon) 필라멘트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 형태로 직조한 카본파이버 매트전극(10)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포함하며, 그 카본파이버 매트전극(10)과 결합되는 도전성 구리라인(20), 상기 구리라인(20) 및 카본파이버 매트전극(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단자(30), 그리고 접지단자(30)에 연결되는 접지도선(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를 천장에 부착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를 벽에 부착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200)의 가장자리에 다수의 고정장치(201)를 설치한 후, 상기 고정장치(201)를 천장부(120)에 고정하여 부착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를 천장부(120)에 배치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장부 배치는 열의 이상적인 분배를 보장한다.

    둘째, 보다 적은 열 손실 치(factor)로 인해 필름 동작온도를 유지하는 데에 보다 적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셋째, 천장부 배치는 바닥부나 벽부에 난방장치를 설치할 수 없는 방(예를 들면, 사무실)에 이상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를 천장부에 장착하기가 어려울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벽부(110)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벽부(110)에 배선을 설치하고 그림 걸듯이 벽에 걸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난방장치는 창조적이고 심미적이다. 선택할 수 있는 색상 외에도 (필름온도가 섭씨 110도 이하로 프로그램 된 경우), 패널에 원하시는 대로 그림을 그리거나 혹은 어떤 로고나 그림을 실크스크린으로 인쇄하여 장식품으로 만들 수 있다.

    즉,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200)의 표면에 로고나 그림을 실크스크린을 인쇄하여 적정한 온도로 상승했을 때 모양들이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도 6은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20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섬유와 같이 접거나 구겨도 발열체로서의 특성이 변하지 않으므로 그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하고, 또한 종래의 온돌 구조로는 시공이 불가능한 장소에서도 발열체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는 섬유사(133)가 경사로 배열되고, 탄소섬유사(134)가 위사로 배열되어 격자형태로 직조되는 발열부(132)와 상기 발열부(132)의 일부 또는 전체에 형성되어 상기 발열부(132)로 열을 전도하는 도전부(13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섬유사(133)는 공지된 바와 같이 도전성이나 발열성이 거의 없는 통상의 의류용 내지 산업용 섬유를 일컫는다. 예컨대, 면 또는 마 등의 천연섬유,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함성 섬유와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 등의 재생섬유나 반합성 섬유 등이 모두 적용가능하며 특별히 하나의 섬유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탄소섬유사(134)는 공지된 바와 같이 통전시 발열을 일으키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탄소섬유사(134) 제조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각종 무기 광물질이 포함된 탄소가루를 페이스트화하여 이를 일반 멀티필라멘트 섬유사에 도포하여 제조하는 방법, 탄소와 텅스텐, 망간 및 스테인레스 등을 고온 용융한 상태에서 실로 뽑는 방법, PAN(폴리아크릴니트로릴)계의 섬유를 탄화하여 제조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이 방법들은 그 제조방법과 형태가 다르지만 이들 모두 적용 가능한 방법이다. 이러한 탄소는 금속(알루미늄)보다 가볍고 반면에 금속(철)에 비해 탄성과 강도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전부(136)는 발열부(132)의 소정의 부분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발열부(132)에 열을 전도하기 위한 것으로, 격자망 형태로 형성된 상기 발열부의 소정의 위치에 일반섬유사 대신, 경사로서 구리가 소재로 사용된 동사(137)를 복수 가닥 배치하여, 탄소섬유사(134)와 교차시키면서 직조하여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일반섬유사(133)와 탄소섬유사(134)의 직조 형태는, 일반섬유사(133) 2가닥이 1조를 이루어 이를 꼬아 꼬임부(135)를 형성하고 상기 일반섬유사의 꼬임부(135)로 탄소섬유사(134)가 통과한 형태로 구성한다. 이에 의해, 탄소섬유사(134)의 상부 및 하부가 일반섬유사(133)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일반섬유사의 간격, 꼬임 횟수 및 상기 탄소섬유사의 배치에 따라 상기 발열부의 밀도 및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탄소섬유사(134)와 동사(137)가 직조된 도전부(136) 전체에는 탄소액을 도포하는 것으로 구성한다. 이에 의해, 탄소섬유사(134)와 동사(137)간의 결합이 견고해지므로 내구성이 향상되고(아크방전 방지), 점 접촉되어 있던 상기 탄소섬유사(134)와 동사(137)의 교차점이 면 접촉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므로 도전부(136)의 열특성과 원적외선 특성이 향상되며, 또한 상기 동사(137)의 산화도 함께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탄소액은 전도성 우레탄수지 35%, 전도성 폴리아미드수지 10%, 도전성 카본 8%, 흑연 12%, 분산제 0.5%, 가소제 0.5%, 에틸아세테이트 10%, 이소부틸알콜 10%, 에타놀 14%의 비율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는 단열재(210),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 반사재(230)를 순서적으로 적층시킨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200)을 천장부나 벽부에 부착 고정하여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의 도전부(136)를 전선을 통해 서로 연결시킴으로서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에서 원적외선이 발생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전원부는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발열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가 적용된 난방구조는 다른 난방구조와 비교하여 그 유지비가 적게 들어가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된 난방구조는 다른 난방구조와 비교해 볼 때 시공 및 해체가 용이하고, 그 시공 비용이 적게 들며, 유지비가 저렴하고, 특히 원적외선을 발열원으로 사용하므로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된 난방구조에 적용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는 도전부(136)를 구성하는 전원인가선(동사)과 발열체(탄소섬유사)를 직조한 상태에서 탄소액을 도포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도전부(136) 내의 동사(137)와 탄소섬유사(134)를 완벽히 결착시키고 이에 의해 종래 전기 난방구조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아크방전에 의한 불량원인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난방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는 도 3에 도시된 접지수단을 이용하여 전자파를 차단함으로써 전자파에 의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의 상부에 반사재(230)를 이용하여 마감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로부터 발생된 원적외선의 낭비를 줄여 난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유지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200)은 가동하면서 실내공간에 활동하는 물체에 직접 적외선을 가하여 난방을 실시하지만, 일반적인 난방은 주위 공기를 데워 난방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200)은 공기가 직접 데워지지 않으므로 공기 흐름을 최소화하여 먼지의 순환을 줄일 수가 있다.

    즉, 류머티즘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은 공기 순환에 따라 휘저어진 먼지나 상대습도 변동 등에 매우 민감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난방장치는 공기의 균형과 안정을 유지함으로써 천식이나 류머티즘 환자들의 고통을 경감할 수 있다. 즉, 물체들은 직접 가열되므로 먼지 순환이 없어, 종래의 난방방식으로 야기될 수 있는 먼지 순환은 사람들의 기도나 (콘택트렌즈 착용자) 눈을 자극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난방장치는 움직이는 기계적 부품이나 공기의 흐름이 없으므로 사용시 조용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두 개로 분리하고 그 사이에 절연재(240)를 삽입한 것을 제외하면 동일하다.

    즉,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210)와, 상기 단열재(210) 위에 적층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와, 상기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 위에 적층되는 절연재(240)와, 상기 절연재(240) 위에 적층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50)와, 상기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50) 위에 적층되어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250)로부터 전해지는 원적외선을 보온 및 발산하고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250)로부터 전해지는 원적외선을 상부로 반사하는 반사재(230)와,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250)에 전력을 인가함과 함께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전원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250)는 서로 다른 용량을 갖고 있는데, 이는 탄소의 함유량을 조절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는 상기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50)보다 탄소의 함유량이 많게 구성되어 큰 용량을 갖게 되고, 상기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50)는 상기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보다 탄소의 함유량이 적게 구성되는 작은 용량을 갖게 된다.

    상기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의 탄소 함유량이 상기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50)의 탄소 함유량보다 많은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50)의 탄소 함유량을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보다 많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는 전체 100%의 용량을 가질 경우에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의 용량을 70%로 하고, 상기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50)의 용량을 30%로 하여 설치한다.

    따라서 초기에는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250)에 전원을 인가하여 100% 운전하게 되고, 일정 온도에 도달할 경우에는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를 차단하고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부(250)만을 운전하여 절전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를 운전하고 상기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50)를 운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250)의 용량은 정해진 것이 아니라 설계에 따라 임의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반사재(230)는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250)로부터 전해진 열을 보온 및 발산하는 층으로서, 특히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220,250)로부터 발생된 원적외선이 지면으로 내려와 소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시 상부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난방 본체 200 :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
    210 : 단열재 220 :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230 : 반사재 240 : 절연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