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ic boiler

申请号 KR20100064289 申请日 2010-07-05 公开(公告)号 KR20120003597A 公开(公告)日 2012-01-11
申请人 HA YONG DUG; JUN JAI SANG; 发明人 HA YONG DUG; JUN JAI SANG;
摘要 PURPOSE: An electric boiler is provid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enhance the performance of a boiler by performing a heating operation according to a preset temperature. CONSTITUTION: An electric boiler(100) comprises a water inlet pipe(2), a water outlet pipe(4), a heating tank(5), a plurality of electric heaters(6), and a cold water blocking barrier of a perforated plat shape. The water inlet pipe is connected to a water pipe(1). The water outlet pipe is connected to a hot water pipe(3) and a supply pipe. The water inlet pipe and the water outlet pipe are installed on the top and one side of the heating tank. The electric heater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heating tank at regular intervals. The cold water blocking barrier is installed in the heating tank in a longitudinal direction.
权利要求
  • 수도배관(1)에 연결된 급수관(2)과, 온수관(3) 및 공급관에 연결된 출수관(4)과, 상기 급수관(2)과 출수관(4)이 각각 상부와 일측에 설치된 가열탱크(5)와, 상기 가열탱크(5)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내설된 복수의 전기히터(6)로 구성된 전기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5)의 일측 내부에 복수의 통수공(7)이 뚫린 다공판형태의 냉수차단격벽(8)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가열되지 않은 냉수가 출수관(4)으로 배출되지 않아 설정온도에 맞는 온수를 출수관(4)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한 전기 보일러.
  • 说明书全文

    전기 보일러{Electric boiler}

    본 발명은 전기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에 복수의 전기히터가 내설되어 급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냉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출수관으로 배출하는 가열탱크의 내부 일측에 복수의 통수공이 형성된 다공판 형태의 냉수차단격벽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급수관으로 유입된 냉수가 가열되지 않은 상태로 온수와 함께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일러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가열매체의 종류에 따라 나뉘게 되는데, 전기를 가열매체로 사용하는 전기 보일러와, 가스를 가열매체로 사용하는 가스 보일러와, 기름을 가열매체로 사용하는 기름 보일러 등이 있다.

    상기의 보일러 중에서 전기 보일러는 가스 보일러와 기름 보일러와 달리 가격이 높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석유화학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므로 대체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환경 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은 지금 가장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전기 보일러는 전기히터를 열원으로 하여 물을 가열한 후 가열된 물을 온수관 및 공급관으로 공급함으로써 난방이나 급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수도관에 연결되는 급수관과, 온수관 및 공급관에 연결되는 출수관이 각각 상부와 하부 일측에 설치된 가열탱크의 내저부에 복수의 전기히터가 설치된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급수관을 통해 공급된 냉수는 가열탱크에서 설정온도에 맞게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온수는 출수관으로 배출되어 온수관 및 공급관으로 공급됨으로써 온수관으로 공급되어 난방이 이루어지거나 공급관으로 공급되어 용수로 사용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기 보일러는 냉수가 유입되는 급수관과 온수가 배출되는 출수관이 가열탱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급수관으로 유입된 냉수가 가열되기도 전에 온수와 함께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가열탱크의 내부에 가열되지 않은 냉수가 온수와 함께 출수관으로 배출되지 않게 하는 구조가 전혀 없으므로 급수관으로 유입된 냉수가 대류현상에 의해 하향으로 흐르면서 온수와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온수가 냉수에 의해 온도가 떨어져 설정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배출되므로, 설정온대에 맞는 난방이나 급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폐단을 초래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가열되지 않은 냉수가 온수와 함께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폐단을 해소함으로써 난방이나 급탕이 설정온도에 맞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수도배관에 연결된 급수관과, 온수관 및 공급관에 연결된 출수관과, 상기 급수관과 출수관이 각각 상부와 일측에 설치된 가열탱크와, 상기 가열탱크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내설된 복수의 전기히터로 구성된 전기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의 일측 내부에 복수의 통수공이 뚫린 다공판형태의 냉수차단격벽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전기 보일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급수관으로 유입된 냉수가 가열되기 전에 온수와 함께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종래의 폐단을 해소함으로써 설정온도에 맞는 난방 및 급탕이 가능하게 되어 전력소비를 줄이고 보일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기 보일러(100)는 수도배관(1)에 연결된 급수관(2)과, 온수관(3) 및 공급관에 연결된 출수관(4)과, 상기 급수관(2)과 출수관(4)이 각각 상부와 일측에 설치된 가열탱크(5)와, 상기 가열탱크(5)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내설된 복수의 전기히터(6)로 구성된 전기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5)의 일측 내부에 복수의 통수공(7)이 뚫린 다공판형태의 냉수차단격벽(8)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히터(6)는 가열탱크(7)의 하부에 경사진 각도로 내설되되 일정거리를 두고 2열로 대향되게 내설되어 있다.

    상기 가열탱크(5)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와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계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온수관(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9는 급수관(2)을 단속하는 급수밸브(9)이고, 10은 출수관(4)을 단속하는 출수밸브(10)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기 보일러(100)는 전기히터(6)를 열원으로 가열한 온수를 온수관(3) 및 공급관으로 순환 및 공급함으로써 난방 및 급탕을 가능하도록 한 보일러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전기 보일러(100)는 가열된 온수가 가열되지 않은 냉수가 함께 출수관(4)으로 배출되는 폐단을 막아 난방이나 급탕이 설정온도에 맞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큰 특징이다.

    이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2)으로 유입된 가열되지 않은 냉수가 온수와 함께 출수관(4)을 배출되지 않도록 가열탱크(5)의 내부 일측에 복수의 통수공(7)이 뚫린 냉수차단격벽(8)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즉, 급수관(2)이 설치된 가열탱크(5)의 일측 상부와 출수관(4)이 설치된 가열탱크(5)의 일측 하부가 바로 통하지 않게 냉수차단격벽(8)으로 구획시킴으로써, 급수관(2)을 통해 가열탱크(5)의 일측 상부로 유입된 냉수가 바로 가열탱크(5)의 일측 하부로 이동하지 않게 한 구조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보일러(100)의 작동시 급수관(2)을 통해 가열탱크(5)의 일측 상부로 유입된 냉수는 냉수차단격벽(8)에 의해 출수관(4)이 설치된 가열탱크(5)의 일측 하부로 이동하지 않고 가열탱크(5)의 타측 상부와 하부를 거쳐 가열탱크(5)의 일측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대류현상에 의해 가열된 온수의 일부가 도 1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은 흐름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온수가 대류현상에 의해 냉수차단격벽(8)의 통수공(7)을 통해 가열탱크(5)의 일측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가열탱크(5)의 일측 하부로 이동하려는 냉수는 상기와 같은 흐름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가열되지 않은 냉수는 상기 온수의 흐름과 같이 가열탱크(5)의 타측 상부와 하부를 차례대로 거쳐 가열탱크(5)의 일측 하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가열탱크(5)의 하부에 내설된 전기히터(6)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출수관(4)을 통해 온수관(3) 및 공급관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로써 가열탱크(5)에 냉수차단격벽(8)과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가열되지 않은 냉수가 온수와 함께 출수관(4)으로 바로 배출되었던 종래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게 된다.

    따라서 출수관(4)으로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보일러(100)의 설정온도에 맞게 되므로, 그 설정온도에 따른 난방 및 급탕이 이루지게 되어 전력소비를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일러(100)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 수도배관 2: 급수관
    3: 온수관 4: 출수관
    5: 가열탱크 6: 전기히터
    7: 통수공 8: 냉수차단격벽
    9: 급수밸브 10: 출수밸브
    100: 전기 보일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