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 FUNCTION ELECTRIC HEATER USING YELLOW SOIL

申请号 KR20070125964 申请日 2007-12-06 公开(公告)号 KR20090059228A 公开(公告)日 2009-06-11
申请人 COROTEK CO LTD; 发明人 YOU BYUNG WOOK;
摘要 A multifunction electric heater using the yellow soil is provided to easily move an electric heater by installing a movable stage on a lower part of a housing. A multifunction electric heater using the yellow soil comprises: a main body member(110) in which a housing(112) is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a heater(120) inserted through an opened top of the housing; and a moving unit(130) on which a lower part of the housing is settled; A plurality of far infrared rays guide cavities(114) is formed on the housing. The top of a main body member is open and inside is vacant. A lower part of the heater is combined in a floor side of the housing. A loess ball(124) and charcoal ball are filled inside the heater. A heat generation post(122) in which a coil heater(128) is mounted is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eater. The movable part is consisting of: a caster(136) mounted on the lower part; a display screen and a plug formed at right and left side; and a movable stage(132) having a controller unit(138)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coil heat.
权利要求
  • 전기히터에 있어서,
    황토로 제작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원적외선 안내공이 형성된 하우징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되고, 하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상에 결합되면서 내부에는 통상의 황토볼 및 통상의 숯볼이 충진되며, 외주면 상에는 통상의 코일히터가 장착되는 발열기둥을 가지는 발열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가 안착되고, 하부에는 통상의 캐스터가 장착되며, 일측에는 통상의 전원스위치, 통상의 온도승하강스위치, 통상의 온도센서, 설정온도 및 실내온도를 동시에 나타내는 통상의 디스플레이화면 및 통상의 플러그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코일히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 유닛이 구비되는 이동스테이지를 가지는 이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부를 덮는 덮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기둥은 통상의 철망으로 제작되고, 상부 및 하부는 폐쇄되며 내부가 빈 수직한 봉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발열기둥의 하부에 인접 한 원주면 상에는 상기 발열기둥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나사 결합되게 하는 연결플랜지가 일체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히터는 하부에서부터 상기 발열기둥의 상부까지 상기 발열기둥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인접한 원주면 상에는 상기 원적외선 안내공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코일히터의 하단이 관통하여 상기 컨트롤러 유닛과 연결되게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코일히터 가동 시 상기 발열기둥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상기 원적외선 안내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안내하는 송풍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송풍기는 상기 이동스테이지의 하부면 상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컨트롤러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상기 하우징의 외부 공기를 상기 발열기둥까지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스테이지에는 제 1 송풍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상에는 상기 제 1 송풍공과 연통하는 제 2 송풍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
  • 说明书全文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MULTI FUNCTION ELECTRIC HEATER USING YELLOW SOIL}

    본 발명은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겨울철 실내를 따뜻하게 난방을 할 수 있으며, 난방 중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방사된 원적외선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여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 이용 가능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토는 주로 가는 모래로 되어 있으며 다량의 탄산칼슘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황토는 탄산칼슘에 의해 쉽게 부서지지 않는 점력을 지니고 물을 가하면 찰흙으로 변하는 성질이 있다. 또한 황토는 석용, 장석, 운모, 방해석 등이 들어 있어서 이들 물질이 철분과 함께 산화작용을 받아 황색, 자색, 적색, 회색, 미녹색 등의 색깔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황토의 분해력, 자장력, 흡수력, 투명성, 생명성 그리고 그 속에 녹아있는 엄청난 약성까지 우리가 쉽게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이며 황토에서 내뿜는 원적외선은 우리 몸의 생리작용을 활성화시켜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은 이미 과학적으로 증면된 사실이다.

    전술한 황토의 원적외선은 인체를 공명, 공진시켜 몸속 노폐물을 제거하며 세포 활성화를 도와 생명을 연장하여 노화를 방지한다.

    한편, 겨울철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름이나 가스와 같은 화석연료를 연료로 하는 다양한 구성의 난방기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성기 난방기는 화석연료를 연소시키기 때문에 난방기를 사용 시 실내 공기가 혼탁해지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환기를 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번거로움 및 유가의 상승으로 인해 전기난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술한 통상의 전기난방기는 반사판의 전방으로 전기히터를 설치하여 전방으로 열을 발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전기난방기의 경우 전기히터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많고 난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전기난방기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실내 장식품들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으며, 난방의 기능 외에는 별도의 기능이 없어 고온의 난방열을 그대로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겨울철 실내를 따뜻하게 난방을 할 수 있으며, 난방 중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방사된 원적외선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여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 이용 가능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 는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기히터에 있어서,

    황토로 제작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원적외선 안내공이 형성된 하우징을 가지는 본체부;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되고, 하부는 하우징의 바닥면 상에 결합되면서 내부에는 통상의 황토볼 및 통상의 숯볼이 충진되며, 외주면 상에는 통상의 코일히터가 장착되는 발열기둥을 가지는 발열부; 및

    하우징의 하부가 안착되고, 하부에는 통상의 캐스터가 장착되며, 일측에는 통상의 전원스위치, 통상의 온도승하강스위치, 통상의 온도센서, 온도를 나타내는 통상의 디스플레이화면 및 통상의 플러그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코일히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 유닛이 구비되는 이동스테이지를 가지는 이동부로 이루어진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를 제공한다.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부를 덮는 덮개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발열기둥은 통상의 철망으로 제작되고, 상부 및 하부는 폐쇄되며 내부가 빈 수직한 봉 형상을 가지며, 발열기둥의 하부에 인접한 원주면 상에는 발열기둥과 하우징의 바닥면을 나사 결합되게 하는 연결플랜지가 일체로 장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일히터는 하부에서부터 발열기둥의 상부까지 상기 발열기둥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면 장착되고, 하우징의 하부에 인접한 원주면 상 에는 원적외선 안내공에 간섭되지 않게 코일히터의 하단이 관통하여 컨트롤러 유닛과 연결되게 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한편, 이동부는 코일히터 가동 시 발열기둥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원적외선 안내공을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안내하는 송풍기를 더 구비하며, 송풍기는 이동스테이지의 하부면 상에 나사 결합되고, 컨트롤러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하우징의 외부 공기를 상기 발열기둥까지 안내할 수 있도록 이동스테이지에는 제 1 송풍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하우징의 바닥면 상에는 제 1 송풍공과 연통하는 제 2 송풍공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는 황토볼이 내부에 충진된 발열기둥에 코일히터가 직접 접촉하고, 코일히터에 인접하게는 하우징이 배치되기 때문에 실내 난방 시 원적외선 방사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열기둥이 장착된 하우징의 하부에 이동스테이지를 구비함으로써, 누구나 용이하게 전기히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동스테이지의 하부에 하우징의 외부 공기를 발열기둥까지 안내하는 송풍기를 장착함으로써, 발열기둥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 그리고, 발열기둥과 하우징 사이에 정체된 원적외선을 원적외선 안내공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하우징의 외관이 통상이 표주박 형상을 가지는 도자기 형상으로 제 작되기 때문에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100)는 본체부(110), 본체부(110) 내에 장착되어 난방열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발열부(120) 및 발열부(120)가 장착된 본체부(1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이동부(13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체부(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형상의 하우징(112)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2)은 통상의 표주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2)은 황토를 이용하여 형태를 잡고 고온에 가마에 넣어 구워내어 제작된다.

    이러한 하우징(112)의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원적외선 안내공(114)이 형성되고, 개방된 상부에는 상부를 덮는 덮개(116)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112)의 내부에는 발열부(120)가 장착되고 하우징(112)의 하부에는 이동부(130)가 배치된다.

    발열부(120)는 하우징(112)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되고 하부는 하우징(112)의 바닥면 상에 결합되는 발열기둥(122)을 구비한다.

    발열기둥(122)은 통상의 철망으로 제작되고, 상부 및 하부는 폐쇄되며 내부가 빈 수직한 봉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발열기둥(122)의 내부에는 볼 형상의 황토, 즉 통상의 황토볼(124) 및 볼 형상의 숯, 즉 통상의 숯볼(125)이 충진되고, 발열기둥(122)의 하부에 인접한 원주면 상에는 발열기둥(122)과 하우징(112)의 바닥면을 나사 결합되게 하는 연결플랜지(126)가 일체로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황토볼(124)에 대하여 숯볼(125)은 6:4 비율로 충진된다.

    한편, 발열부(120)는 통상의 코일히터(128)를 더 구비하는데, 코일히터(128)는 발열기둥(122) 내의 황토볼(124)과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발열기둥(122)의 하부에서부터 발열기둥(122)의 상부까지 발열기둥(122)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면 장착된다.

    한편, 이동부(130)는 이동스테이지(132) 및 송풍기(142)를 구비한다.

    이동스테이지(132)는 하우징(112)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한 판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이동스테이지(132)의 중앙부분에는 제 1 송풍공(134)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동스테이지(132)의 하부면 상에는 통상의 캐스터(caster; 136)가 장착된다. 캐스터(136)는 이동스테이지(132)의 각각의 모서리부분에 장착된다.

    한편, 이동스테이지(132)의 일측에는 통상의 전원스위치(138a), 통상의 온도승하강스위치(138b), 통상의 온도센서(138c), 설정온도 및 실내온도를 동시에 나타내는 통상의 디스플레이화면(138d) 및 통상의 플러그(138e)가 구비되는 컨트롤러 유닛(138)이 제공된다. 컨트롤러 유닛(138)은 코일히터(1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코일히터(128)의 하단은 원적외선 안내공(114)에 간섭되지 않게 하우징(112)을 관통하여 컨트롤러 유닛(138)과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하우징(112)의 하부에 인접한 원주면 상에는 원적외선 안내공(114)에 간섭되지 않게 코일히터(128)의 하단이 관통하는 관통공(140)이 형성된다.

    한편, 송풍기(142)는 이동스테이지(132)의 하부면 상에 나사 결합되고, 코일히터(128)와 마찬가지로 컨트롤러 유닛(13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송풍기(142)는 하우징(112)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 1 송풍공(134)을 통해 발열기둥(122)까지 안내하여 코일히터(128) 가동 시 발열기둥(122)에 생성된 원적외선을 원적외선 안내공(114)을 통해 하우징(112)의 외부로 안내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112)의 바닥면 상에는 제 1 송풍공(134)과 연통하는 제 2 송풍공(144)이 형성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전기히터(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컨트롤러 유닛(138)에 구비된 플러그(138e)를 콘센트(도시되지 않음)에 삽입시킨 후, 마찬가지로 컨트롤러 유닛(138)에 구비된 전원스위치(138a)를 작동시키고, 온도승하강스위치(138b)를 이용하여 원하는 온도를 설정한다.

    한편, 전원스위치(138a)가 작동되면 송풍기(142)는 회전하게 되고, 코일히 터(128)는 발열하게 된다. 이렇게 코일히터(128)가 발열하면 발열되는 열기에 의해서 발열기둥(122) 내부에 충진된 황토볼(124)에서는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마찬가지로 하우징(112)에서도 원적외선이 방사된다. 이때, 회전하는 송풍기(142)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는 제 1 송풍공(134) 및 제 2 송풍공(144)을 거쳐 발열기둥(122) 까지 안내되어 황토볼(124)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 하우징(112)에서 방사되어 발열기둥(122)과 하우징(112) 사이에 정체된 원적외선을 원적외선 안내공(114)을 통해 하우징(112)의 외부로 안내한다.

    한편,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설정된 온도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컨트롤러 유닛(138)은 송풍기(142) 및 코일히터(128)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황토를 이용한 다기능 전기히터 110 : 본체부

    112 : 하우징 114 : 원적외선 안내공

    116 : 덮개 120 : 발열부

    122 : 발열기둥 124 : 황토볼

    126 : 연결플랜지 128 : 코일히터

    130 : 이동부 132 : 이동스테이지

    134 : 제 1 송풍공 136 : 캐스터

    138 : 컨트롤러 유닛 140 : 관통공

    142 : 송풍기 144 : 제 2 송풍공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