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온수보일러

申请号 KR1020120113190 申请日 2012-10-11 公开(公告)号 KR101301791B1 公开(公告)日 2013-08-29
申请人 자오이앤피주식회사; 发明人 강두석;
摘要 PURPOSE: An electric hot water boiler is provided to integrally form a heat case for heating thermal medium, thereby maximizing the thermal efficiency by quickly heating the thermal medium. CONSTITUTION: An electric hot water boiler (100) includes a supplying pipe (102), a circulating pump (104), a heating case (120), a heating pipe (140), a drainpipe (106), and a control unit (180). The supplying pipe supplies thermal medium to the boiler. The circulating pump circulates the thermal medium to the heating case through the supplying pipe. The heating case is formed of aluminum material which is one plate and which has high conductivity. The heating pipe is inserted into the lateral passage of the heating case. The heating pipe is pressed, sealed, and fixed by a fixed plate that is fixed to the heating plate. The drainpipe supplies the thermal medium, which is heated by the heating pipe, to heating equipmen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oiler.
权利要求
  • 열매체를 보일러로 공급하는 급수관(102)과;
    열매체를 상기 급수관(102)을 통해 가열케이스(120)로 순환 시키는 순환펌프(104)와;
    열전도율이 높은 하나의 원판(통짜)의 알루미늄재질로 구비되어 직육면체의 판 형상을 이루고, 다수의 가로 유로(122)가 일렬로 배열되어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되고, 상기 가로 유로(122)의 양 끝단 내측으로 연결되게 상.하로 관통되는 세로 유로(124)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가로 유로(122) 일 측으로 다수의 고정홈(126)이 구비되어 상기 가로유로(122)의 각각에 히팅파이프(140)가 밀폐 삽입고정되고, 상기 가로 유로(122)의 타측은 밀폐수단(128)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세로 유로(124) 중 어느 하나의 상.하 양 끝단에 열매체가 유입되는 급수관(102)과 열매체가 배출되는 배수관(106)이 연결되고, 상기 세로 유로(124)의 다른 하나의 상. 하 양 끝단은 밀폐수단(128)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가로 유로(122)가 10 내지 18개로 구비된 원판 2 내지 6개가 하나의 블럭을 이루게 구비되는 가열케이스(120)와;
    상기 가열케이스(120)의 가로 유로(122)에 삽입되어 외부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부(142)가 봉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발열부(142)와 다단을 이루어 상기 가열케이스(120) 외부에 걸림되는 걸림부(144)와, 상기 걸림부(144)와 다단을 이루어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46)로 구비되며, 상기 가열케이스(120)에 고정되는 고정판(160)에 의해 압착밀폐고정되는 히팅파이프(140)와;
    상기 히팅파이프(140)로 가열된 열매체를 난방시설로 공급하는 배수관(106)과;
    보일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180);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온수 보일러.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80)은 난방시설의 설정온도를 입력하는 입력부(182)와;
    현재 보일러의 운전상태와 고장여부를 표시하고, 위험시 경고 안내하는 표시부(184)와;
    설정된 온도에 따라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전력제어장치(186)와;
    실내온도 및 가열 공급되는 열매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 온도감지센서(188-1,188-2)와;
    상기 입력부(182) 및 상기 제1 및 제2 온도감지센서(188-1.188-2)의 신호를 받아 상기 전력제어장치(186) 및 상기 순환펌프(104)를 제어하는 제어부(189);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보일러.
  • 说明书全文

    전기 온수보일러 {Electric Hot Water Boiler}

    본 발명은 열매체로 물을 사용하여 난방 또는 온수로 사용하는 전기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케이스가 일체로 구비되어 열매체가 신속하게 가열되고 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히팅파이프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보일러의 제어가 용이하며, 전력사용량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전기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보일러는 전기의 발열을 연료 대신에 이용하는 보일러를 말하며, 전기보일러는 형식면에서 물 자체를 전기 저항체로 하여 전극간에 전류를 통하여 줄(Joule)열을 발생시키는 전극형과, 물속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금속 저항선을 넣고 그 발열을 이용하는 저항형이 있다.

    상기 전기보일러는 사용 압력에 상당하는 물을 포화 온도보다 조금 낮은 온도까지 가열하여 온수를 난방시설에 순환시켜 난방하며, 온수난방, 급탕, 일반 가열용 등으로 사용된다.

    전기보일러는 열매체의 사용에 따라 물을 가열하여 증기(Steam)로 난방시설에 공급하는 전기보일러와,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난방시설에 공급하는 전기보일러 등이 있고, 상기 온수를 난방시설에 공급하는 보일러를 전기 온수보일러라 한다.

    상기와 같은 전기 온수 보일러는 물통에 저장된 열매체를 전기 히터에 의해 가열하여 나방 또는 온수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전기 온수보일러는 물통에 저장된 열매체를 전기 히터에 의해 가열함으로 가열시간이 오래 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만큼 가열하기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장된 온수를 가열하기 위한 전기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며, 가열된 열매체의 저장시 열의 발산에 의한 열 손실이 많아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용이하지 않았다.

    아울러, 많은 용량의 열매체를 저정하기 위한 물통이 필수적으로 필요하여 보일러의 크기가 커짐으로 보일러 설치를 위한 공간 또한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종래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33110호(급속가열식 전기보일러 2006.12.01)와 같이 파이프에 히팅수단을 삽입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를 도 1 및 도 2를 통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열재등이 씌워져 있는 단열케이스(10)와, 상기 단열케이스(10)의 내부에 "U"형으로 된 다수의 연결관체(23)를 눕혀진 상태로 구비하여 상하 등간격으로 다단 배치하고 그 연결관체(23)의 절곡된 부분은 동일 수직선상에 놓여지도록 하며 상기 연결관체(23)의 관통된 선단부는 "T"형 접속구(25)가 상하 대향되게 결합되어있는 접속관(24)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용수가 지그재그로 선회되어 순환 되게한 용수순환관(20)을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용수순환관(20)의 최하단에 결합된 접속구(25)일측은 용수가 유입되는 하부 입수구(21)로 구성되고 최상단에 결합된 접속구(25)일측은 용수가 배출되는 상부 출수구(2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관(24)의 접속구(25) 외측방향에 형성된 결합구멍(26)에 봉상의 히터(30)를 장착하여 수평배치된 연결관체(23)가 수평으로 된 길이방향의 용수순환관(20) 내부에 일정간극을 두고 히터(30)가 내장된 구성으로 용수순환관(20) 내부를 통해 용수가 순환이송되는 동안에 다수의 히터(30)에 순차적으로 직접가열되어 난방수 및 온수용으로 용수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용수순환관(20)은 단열케이스(10)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대등으로 고정설치가 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비되는 종래의 전기 온수보일러는 열매체가 연결관체를 순환하면서 히터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열되어 난방 또는 온수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관체에 의해 별도의 물통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공간이 적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온수보일러는 연결관체를 별도로 구비하여 이를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함으로 시공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연결관체의 하자에 의한 누수 발생시 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어 전체 케이스를 분해하고 연결관체를 다시 시공하여야 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연결관체에서 열매체의 가열 또는 순환시 가열된 열이 연결관체를 통해 외부로 발산됨으로 열 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단열재료가 온수가열 케이스에 구비되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누수 발생에 의한 보수시 단열재료에 의해 보수가 용이하지 않으며, 보수후 다시 단열재료를 재충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봉 형상의 히터는 연결관체에 결합되는 "T"자 형의 연결부분에 삽입된 상태에서 통상적으로 각각의 히터가 나사방식으로 개별적으로 결합고정되게 구성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일일이 히터를 삽입 후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히터를 고정하게 됨으로 히터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조금만 실수를 하게 되면 히터가 고정된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어 이를 일일이 점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히터는 전기에 의해 발열 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히터의 설치시 무리한 작업이나 충격에 의해 히터의 내부선이 단락되어 히터의 불량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전기 온수보일러는 온도제어가 용이하지 않으며,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전력량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케이스가 일체로 구비되어 열매체가 신속하게 가열되고 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히팅파이프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보일러의 제어가 용이하며, 전력사용량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전기 온수보일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보일러는 열매체를 보일러로 공급하는 급수관과; 열매체를 상기 급수관을 통해 가열케이스로 순환 시키는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로부터 공급된 열매체가 순환이동하며 가열되는 유로가 일체로 구비되는 가열케이스와; 상기 가열케이스에 삽입결합되어, 열매체를 가열하는 히팅파이프와; 상기 히팅파이프로 가열된 열매체를 난방시설로 공급하는 배수관과; 보일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비됨을 특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케이스는, 직육면체의 판 형상을 이루고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어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블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케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로 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가로 유로의 양 끝단 내측으로 상호 연결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 유로가 일체로 구비되어 열 매체가 상기 가로 유로와 세로 유로를 통해 순환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팅파이프는 상기 가열케이스의 유로에 삽입되어 외부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부가 봉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발열부와 다단을 이루어 상기 가열케이스 외부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와 다단을 이루어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로 구비되며, 상기 가열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판에 의해 압착밀폐고정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난방시설의 설정온도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현재 보일러의 운전상태와 고장여부를 표시하고, 위험시 경고 안내하는 표시부와; 설정된 온도에 따라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전력제어장치와; 실내온도 및 가열 공급되는 열매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입력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온도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전력제어장치 및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보일러는 유로가 일체를 이룬 가열케이스를 사용하여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된 열매체가 용이하게 순환이동하며 가열되어 열매체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높이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순환파이프를 배관할 필요없이 가열케이스에 가로 유로 및 세로 유로를 통공 하여 열매체가 순환됨으로 가열케이스의 제작이 용이하여 간편하게 대량생산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케이스에 가로 유로 및 세로 유로가 통공됨으로 유로에서의 누수와 같은 문제점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밀폐수단의 누수시 이를 간편히 파악하여 보수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케이스를 다수 배열하여 하나의 블럭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용량을 자유로이 변경 가능하며, 대용량의 열매체를 한번에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 온수보일러의 난방설비면에서 온수 물탱크, 배관 등의 설비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설비로 인해 요구되었던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전기 온수보일러에서 필요로 하는 온수 물탱크에서의 자연 발열 소모되는 에너지만큼의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간편하게 다수의 히팅파이프를 유로에 삽입한 후 걸림부가 고정판에 의해 압착 밀폐고정됨으로 간편하게 가열케이스에 조립고정할 수 있어 조립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히팅파이프의 조립시 히팅파이프에 별도의 조립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히팅파이프에 무리한 충격을 주지않아 히팅파이프의 불량률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히팅파이프가 고정판과 밀폐링에 의해 압착 밀폐됨으로 히팅파이프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히팅파이프의 고장 발생시 고정판만 이탈함으로 히팅파이프가 간편하게 분해되어 고장난 히팅파이프만 고체후 고정판만 조립하여 유지보수가 용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히팅파이프의 구성이 간편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에 의한 원가 절감효과가 있다.

    아울러, 히팅파이프를 상기 가열케이스의 유로 길이에 상응되게 제작하여, 주변의 열매체를 골고루 가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열매체의 가열온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에 표시부를 구비하여 현재 보일러의 운전상태와 고장여부를 표시하여, 관리자가 보일러의 상태를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고, 위험시 경고 안내하기 때문에 미리 조치할 수 있어 안전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에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설정된 온도에 따라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온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전력의 손실을 막아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온도감지센서를 사용하여 실내온도 및 열매체의 온도를 검출하여 관리자가 현재 난방시설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어부로 상기 입력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온도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전력제어장치 및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기 때문에 전력의 손실을 막아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배수관에 온도압력밸브를 형성하여, 열매체가 가열될 때 팽창되어 생기는 압력으로부터 보일러를 보호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온수보일러의 가열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순환파이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보일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정 단면도.
    도 7은 제어수단에 의해 보일러가 제어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보일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100)는, 열매체를 보일러로 공급하는 급수관(102)과, 열매체를 상기 급수관(102)을 통해 가열케이스(120)로 순환 시키는 순환펌프(10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펌프(104)로부터 공급된 열매체가 순환이동하며 가열되는 유로(122,124)가 일체로 구비되는 가열케이스(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케이스(120)에 삽입결합되어, 열매체를 가열하는 히팅파이프(1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파이프(140)로 가열된 열매체를 난방시설로 공급하는 배수관(106)과, 보일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180)이 구비된다.

    상기 가열 케이스(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판 형상을 이루고, 가열케이스(120)를 관통하는 다수의 가로 유로(122) 및 상기 가로 유로(122)의 양 끝단 내측으로 연결되게 관통되는 세로 유로(124)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가열케이스(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하나의 원판(통짜)의 알루미늄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여러 금속재질 및 합성수지와 같은 여러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로 유로(122)는 상기 가열케이스에 일렬로 배열되어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 유로(124)는 상기 가로 유로(122)의 양 끝단 내측과 연결되게 상.하로 관통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 유로(122)의 일 측으로 히팅파이프(120)가 각각 밀폐되게 삽입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로 유로(122)의 타측은 밀폐수단(128)에 의해 밀폐된다.

    또한, 상기 세로 유로(124) 중 어느 하나의 상.하 양 끝단에 열매체가 유입되는 급수관(102)과 열매체가 배출되는 배수관(106)이 연결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 유로(124)의 다른 하나의 상. 하 양 끝단은 밀폐수단(128)에 의해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가로 유로(122)가 개방되는 일측에 다수의 고정홈(126)이 더 구비된다.

    물론, 상기 급수관(102) 또는 배수관(106)의 연결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한 예로 급수관이 일 측의 세로 유로 하부에 연결되고, 배수관은 타 측의 세로 유로 상부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나머지는 밀폐수단에 의해 밀폐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밀폐수단(128)은 가로 유로(122) 및 세로 유로(124)의 끝단에 나사방식으로 결합 되어 가로 유로(122) 및 세로 유로(124)가 밀폐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열케이스(120)에 구비되는 가로 유로(122)는 18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따른 가열케이스(120)는 6개가 하나의 블럭을 이루게 구비되어 최상의 가열효율을 낼 수 있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 본 출원인의 경험과 그동안의 실험결과에 의한 것이라 할 것이다.

    상기 히팅파이프(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케이스(120)의 가로 유로(122)에 삽입되어 외부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부(142)가 봉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142)와 다단을 이루어 상기 가열케이스(120) 외부에 걸림되는 걸림부(14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144)와 다단을 이루어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46)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밀폐링(148)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밀폐링(148)은 열에 강하고, 부식이 적으며, 밀폐가 용이한 실리콘 또는 고무, 합성수지재질로 링 형상을 이루게 구비되어 상기 히팅파이프(140)의 발열부(142)에 끼워지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파이프(14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1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판(160)은 상기 가열케이스(120)에 대응되게 직사각형의 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히팅파이프(140)의 돌출부(146)가 삽입결합되는 결합공(162)이 다수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판(160)은 상기 가열케이스(120)에 구비되는 고정홈(126)과 대응되는 고정공(164)이 다수 구비되어 별도의 고정수단(168)에 의해 상기 가열케이스(100) 전면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130)은 볼트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홈(126) 또한 나사홈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수단(180)은 난방시설의 설정온도를 입력하는 입력부(182)와, 현재 보일러의 운전상태와 고장여부를 표시하고, 위험시 경고 안내하는 표시부(184)와, 설정된 온도에 따라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전력제어장치(186)가 구비된다.

    그리고, 가열 공급되는 열매체의 온도 및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 온도감지센서(188-1,188-2)와; 상기 입력부(182) 및 상기 제1 및 제2 온도감지센서(188-1,188-2)의 신호를 받아 상기 전력제어장치(186) 및 상기 순환펌프(104)를 제어하는 제어부(189)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보일러(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온수보일러(100)에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급수관(102)을 통하여 물 등의 열매체가 유입되고, 상기 급수관(102)을 통하여 유입된 열매체는 순환펌프(104)를 거쳐 보일러 내부에 순환된다.

    이때, 상기 순환펌프(104)는 고압모터를 사용한 순환펌프(104)를 사용하여 열매체를 빠르게 순환시켜 스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설정온도에 따라 제어수단(160)의 전력제어장치(166)로 전력공급의 정도를 제어하여 열매체의 순환속도를 조절하여 열매체의 순환속도를 조절함으로 가열케이스(120)를 통과하는 시간이 길어져 열매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펌프(104)를 통해 유입되는 열매체는 상기 유로(122,124)가 일체를 이룬 가열케이스(120)를 순환 이동하며 가열되고, 가열케이스(120)에 구비된 히팅파이프(140)를 사용하여 열매체를 가열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펌프(104)에 의해 열매체가 급수관(102)을 통해 세로 유로(124)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케이스(120)로 유입된 열매체는 순환펌프(104)에 의해 가열케이스(120) 내에 상호 연결된 가로 유로(122) 및 세로 유로(124)에 수용되어 순환하며 배수관(106)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히팅파이프(140)이 외부 전원에 의해 발열하면 가로 유로(122)에 수용된 열매체가 히팅파이프(140)에 의해 가열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히팅파이프(140)에 의해 가열되는 열매체는 가로 유로(122) 및 세로 유로(124)를 통해 순환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까지 가열되어 배수관(106)을 통해 배출되므로 사용자가 난방 또는 온수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케이스는 히팅파이프에 의한 가열된 열매체에서 발산되는 열기는 하나의 원판으로 일체를 이룬 가열케이스에 수용되어 아직 가열되지 않은 열매체에 열을 전달함으로 열매체가 고르게 빨리 가열될 수 있다.

    또한, 가열이 끝난 후에도 가열케이스에 수용된 열기가 열매체에 전달되어 열매체가 쉽게 식지 않아 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순환파이프를 배관할 필요없이 가열케이스에 가로 유로 및 세로 유로를 통공 하여 열매체가 순환됨으로 가열케이스의 제작이 용이하다.

    그리고, 가열케이스에 가로 유로 및 세로 유로가 통공됨으로 유로에서 누수와 같은 문제점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밀폐수단의 누수시 이를 간편히 파악하여 보수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아울러, 다수의 케이스가 배열되어 블럭을 형성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용량에 맞게 얼마든지 열매체의 용량을 조절하여 가열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파이프(140)가 용이하게 밀페고정 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열케이스(120) 일 측에 개방된 가로 유로(122)에 히팅파이프(140)의 발열부(142)가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발열부(142)에 끼워진 밀폐링(148)은 가열케이스(120) 외부와 히팅파이프(140)의 걸림부(144)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판(160)의 결합공(162)에 상기 히팅파이프(140)의 돌출부(146)가 삽입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60)과 가열케이스(120)는 고정수단(168)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160)과 가열케이스(120)의 고정에 의해 히팅파이프(140)의 걸림부(144)가 고정판(160)에 의해 압착고정되고, 상기 걸림부(144)와 가열케이스(120) 사이의 밀폐링(148)이 압착되어 히팅파이프(140)와 가로 유로(122)이 상호 밀폐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히팅파이프(140)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다수의 히팅파이프(140)를 가로 유로(122)에 삽입한 후 걸림부(144)가 고정판(160)에 의해 압착 밀폐고정됨으로 간편하게 가열케이스에 조립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히팅파이프의 조립시 히팅파이프에 별도의 조립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히팅파이프에 무리한 충격을 주지않아 히팅파이프의 불량률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아울러, 히팅파이프가 고정판과 밀폐링에의해 압착 밀폐됨으로 히팅파이프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히팅파이프의 고장 발생시 고정판만 이탈함으로 히팅파이프가 간편하게 분해되어 고장난 히팅파이프만 고체후 고정판만 조립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히팅파이프는 18개가 한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전기히터는 100%의 전력을 공급받을 시 860℃의 열을 발생하고, 설정온도에 따라 전력제어장치로 전력공급의 정도를 제어하여 발열온도를 맞출 수 있게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팅파이프는 내열성과 절연성이 우수한 소재로 제작하며, 가열케이스의 가로 유로의 내부길이에 상응되게 제작되어 주변의 열매체를 골고루 가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제어수단은 제어부(189)가 보일러 외부에 형성된 입력부(182)를 통해 난방시설의 설정온도정보와, 배수관(106)에 형성된 제1 및 제2 온도감지센서(188-1,188-2)로부터 검출한 실내온도 및 열매체 온도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제1 온도감지센서(188-1) 실내온도를 감지함이 바람지하다.

    상기 제2 온도감지센서(188-2)는 공급되는 열매체의 온도를 감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9)는 수집된 정보에 따라 전력제어장치(186)에 송신하고, 상기 전력제어장치(186)는 히팅파이프(140)의 전력 또는 순환펌프(104)의 순환속도를 제어하여 온도를 조절한다.

    그러므로, 실내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면 불필요한 히팅파이프에 의한 열매체의 가열을 중지할 수 있으며, 가열케이스 내에 온도에 따라 순환펌프의 가동 및 중지에 의해 적정한 온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전기 온수보일러의 가동에 따른 전력을 최소한으로 줄일수 있다.

    또한, 전기 온수보일러의 외부에 형성된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현재 보일러의 운전상태와 고장여부를 램프나 액정디스플레이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전기 온수보일러의 상태를 용이하게 감시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전기 온수보일러의 고장 등으로 인한 위험이 감지될 때에 부저, 램프 등으로 경고 안내하여 사전에 미리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배수관의 일측에는 온도압력밸브(190)가 더 구비되어 열매체가 가열될 때 팽창되어 생기는 압력으로부터 보일러를 보호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열케이스(120-1)는 가열케이스(120-1)가 하나의 블럭으로 구비되어 다수의 가로 유로(122) 및 세로 유로(124))가 일체로 통공되게 구비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에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가열케이스(120)와 대동소이함으로 생략한다.

    다만, 하나의 블럭을 이룬 가열케이스(120-1)에 다수의 가로 유로(122)와 세로 유로(124)가 한번에 구비됨으로 사용자가 하나의 가열케이스(120-1)로 대용량의 열매체를 한번에 가열할 수 있다.

    물론, 히팅파이프(14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160) 또한 가열케이스(120-1)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됨을 물론이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열케이스(120-2)는 가열케이스(120-2)가 하나의 블럭을 형성하게 다수의 가로 유로(122) 및 세로 유로(124)가 일체로 통공되게 구비되며, 상기 가로 유로(122) 및 세로 유로(124)와 연결되는 제3 유로(122-1)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 및 도 8에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의 가열케이스(120,120-1)와 대동소이함으로 생략한다.

    다만, 하나의 블럭을 이룬 가열케이스(120-2)에 다수의 가로 유로(122)와 세로 유로(124)와 상기 가로 유로(122)와 세로 유로(124)에 연결되는 제3 유로(122-1)가 관통되게 구비되어 열매체가 XYZ 방향으로 입체적으로 순환되어 더욱 용이하게 대용량의 열매체를 신속하게 가열 순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설명된 가로 유로 및 세로 유로는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관통되지 않고 소정의 깊이를 이루게 가열케이스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보일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전기 온수보일러 102: 급수관
    104: 순환펌프 106: 배수관
    120, 120-1, 120-2: 가열케이스
    122: 가로 유로 124: 세로 유로
    126: 고정홈 128: 밀폐수단
    140: 히팅파이프 142: 발열부
    144: 걸림부 146: 돌출부
    148: 밀폐링 160: 고정판
    162: 결합공 164: 고정공
    168: 고정수단 180: 제어수단
    182: 입력부 184: 표시부
    186: 전력제어장치 188-1: 제1 온도감지센서
    188-2: 제2 온도감지센서 189: 제어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