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수난방장치

申请号 KR1020070069185 申请日 2007-07-10 公开(公告)号 KR100874279B1 公开(公告)日 2008-12-18
申请人 김열문; 发明人 김열문;
摘要 A hot water heater is provided to improve convenience in carrying by simplifying the boiler structure and reduce the noise by circulating in a heating mat only hot water, not steam. A hot water heater comprises a boiler(1), a supplement water tank(2) and a hot water circulation pipe(3). The boiler is composed of a kettle(11) and a kettle lid(12). The supplement water tank is installed on the kettle lid of the boiler. A check valve(4)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are installed on the kettle lid. The check valve has a ring packing and is forced up by a spring in order to block the flow path when the inside pressure of the kettle is high and make the water of the supplement water tank drop to the kettle when the inside pressure of the kettle is low. An inlet(31)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is positioned at the height of 5~20mm from the bottom of the kettle.
权利要求
  • 보일러(1)와 보충수탱크(2) 및 온수순환관(3)으로 구성되고, 보일러(1)는 솥(11)과 솥뚜껑(12)으로 형성되며, 보충수탱크(2)는 솥뚜껑(12)을 바닥으로 하여 보일러(1) 직 상부에 설치되고,
    솥뚜껑(12)에는 체크밸브(4)와 온수순환관(3)이 설치되고, 체크밸브(4)는 링패킹(41)을 가지며 스프링(42)으로 상향 탄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솥(1) 내부의 압력이 높으면 체크밸브(4)가 유로를 차단하게 하고 솥(1) 내부의 압력이 낮으면 보충수탱크(2)의 수압으로 보충수탱크(2)의 물이 솥(1)으로 내려올 수 있게 구성되고, 온수순환관(3)은 그 입구부(31)가 솥(11)의 바닥으로부터 5~20mm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난방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솥뚜껑(12) 외측의 온수순환관(3)에는 기수분리장치(5)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난방장치.
  • 제2항에 있어서, 기수분리장치(5)는 입구부(51)와 수로(54) 및 공기배출로(56)가 형성된 본체(50) 내부에, 수로(53)와 공기배출로(55)가 형성된 플로터(52)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난방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솥뚜껑(12)에 전열장치(1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난방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솥뚜껑(12)에 설치된 전열장치(14)는 솥뚜껑(12)에 설치된 체크밸브(4)에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난방장치.
  • 说明书全文

    온수난방장치{Hot water supply system for heating mattress}

    본 발명은, 소형 온수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침용 매트리스에 설치하는 방열관과 같은 소규모 방열관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 난방자치에 관한 것이다.

    매트리스에 설치되는 방열관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난방장치는 매트리스에 가깝게 설치되는 일이 보통임으로 소음이 없어야 하며 또 휴대하기 간편할 정도로 그 크기가 소형일 것이 필요하나,

    종래의 소형 온수난방장치는 온수의 순환을 모터로 강제하는 것이 보통이어서 많은 소음을 발생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는 가열되는 보일러의 증기압에 의하여 온수가 순환되게 함으로서 별도의 모터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게 하여 모터의 가동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하여서 된 특허 제10-362469호 열발생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는, 보일러와 보충수탱크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분리된 보일러와 보충수탱크를 합친 부피가 커서 휴대 및 사용이 불편할 뿐 아니라 온수 공급 이후 수증기가 온수순환관을 회류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보일러와 온수탱크를 구비하는 종래의 온수보일러는 그 부피가 크고 분리된 보일러와 보충수탱크의 관리가 불편한 결점이 있었으며, 또한 수증기 순환으로 인한 소음 발생의 결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종래의 온수보일러에 있어서의 이러한 관리 불편의 해소를 과제로 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온수의 순환을 가열되는 보일러의 증기압에 의하게 함으로서 별도의 모터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게 하여 모터의 가동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되, 이에서 나아가, 보일러와 보충수탱크를 하나로 결합시키며, 보충수탱크와 보일러를 상하로 적층되게 구성시키고, 보일러를 솥과 솥뚜껑으로 형성시키며, 솥뚜껑을 보충수탱크의 바닥으로 구성시키고 솥뚜껑과 보충수탱크 윗판을 관통하도록 온수공급을 설치함으로서 보일러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시키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여 휴대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하며, 온수순환관에 기수분리기를 설치하여 난방매트로는 온수만이 순환되고 수증기는 순환되지 아니하는 난방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일러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시키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여 휴대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하며,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 하고, 난방매트로는 온수만이 순환되고 수증기는 순환되지 아니하여 소음이 적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일러(1)와 보충수탱크(2) 및 온수순환관(3)으로 구성된다.

    보일러(1)는 솥(11)과 솥뚜껑(12)으로 형성되며, 솥(11)과 솥뚜껑(12)의 결합은 밀폐되는 결합으로 취사용 압력솥에서 흔히 보는 바와 같이 솥(11)에 솥뚜껑(12)을 올려놓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겨지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솥뚜껑(12)을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공지의 반나사결합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충수탱크(2)는 솥뚜껑(12)을 바닥으로 하며 보충수탱크(2)의 주연하단부를 솥뚜껑(12)과 상기와 같은 반나사결합구조로 밀폐결합시켜 설치된다.

    솥뚜껑(12)에는, 체크밸브(4)가 설치된다. 체크밸브(4)는 링패킹(41)을 가지며 스프링(42)으로 승강변(40)이 상향 탄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솥(1) 내부의 압력이 높으면 체크밸브(4)가 유로를 차단하고, 솥(1) 내부의 압력이 낮으면 보충수탱크(2)의 수압으로 보충수탱크(2)의 물이 솥(1)으로 내려올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체크밸브(4)를 탄력설치하는 스프링(42)의 탄력은 체크밸브(4)의 승강변(40)을 상향으로 지지하는 힘보다 크고 체크밸브(4)의 높이에 해당하는 수압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42)의 탄발력이 이보다 높으면 높은만큼 보충수탱크의 물이 솥으로 내려오지 않게 된다.

    솥뚜껑(12)에 온수순환관(3)이 설치된다. 온수순환관(3)은 그 입구부(31)가 솥(11)의 바닥으로부터 5~20mm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온수순환관(3)은 보충수탱크(2)의 윗판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예컨대, 난방매트(30)에 연결되고 그 출측이 부충수탱크(2)로 연결된다.

    솥뚜껑(12)에는 안전변(1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솥뚜껑(12) 외측의 온수순환관(3)에는 기수분리장치(5)를 설치하여 온수는 온수순환관(3)을 통하여 난방매트(30)에 공급되지만, 온수순환관(3)의 입구부(31)로 수증기가 배출되기 시작하면, 수증기가 난방매트(30)로는 가지 아니하고 외방으로 배출되어 솥(11)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어 보충수탱크(2)의 물이 솥(11)으로 흘러들어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수분리장치(5)는, 첨부된 도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로트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즉, 기수분리장치(5)는 입구부(51)와 수로(54) 및 공기배출로(56)가 형성된 본체(50) 내부에, 수로(53)와 공기배출로(55)가 형성된 플로터(52)를 설치하여 구성시킴으로서, 본체(50)의 입구부(51)로 물이 들어오면 플로터(52)가 떠올라 입구부(51)로부터 수로(53, 54)가 이어져 형성되나, 입구부(51)로 수증기가 들어오면 본체(50) 내부에 물이 없게 되어 플로터(52)가 가라앉아 이제는 공기배출통로(55, 56)가 형성되어 수증기는 난방매트(30)로 가지 아니하고 외방으로 배출되어 솥(11) 내부의 압력을 급격히 저하시킬 수 있게 한다. 보일러(1)에는 전열장치(1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설치 위치는 솥뚜껑(12)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체크밸브(4)에 결합시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조의 편의를 위함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솥(11)내부의 온수 배출이 끝나고 수증기가 배출되어 솥(11)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보충수탱크(2)로부터 보충수가 솥(11)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 설명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부분 중 체크밸브의 발췌 확대도

    도4는 기수분리장치(5)의 일 실시예시도로서

    (가)는 온수 배출 상태도이고

    (나)는 수증기 배출 상태도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보일러

    11. 솥

    12. 솥뚜껑

    13. 안전변

    14. 전열장치

    2. 보충수탱크

    3.온수순환관

    31. 입구부

    4. 체크밸브

    40. 승강변

    41. 링패킹

    42. 스프링

    5. 기수분리장치

    50. 본체

    51. 입구부

    52. 플로터

    QQ群二维码
    意见反馈